KR102342835B1 -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상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갖는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상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갖는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835B1
KR102342835B1 KR1020210079767A KR20210079767A KR102342835B1 KR 102342835 B1 KR102342835 B1 KR 102342835B1 KR 1020210079767 A KR1020210079767 A KR 1020210079767A KR 20210079767 A KR20210079767 A KR 20210079767A KR 102342835 B1 KR102342835 B1 KR 10234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erial
plasma
combustion
uht
ai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동
이재윤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성신양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양회(주) filed Critical 성신양회(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04B7/4407Treatment or selection of the fuel therefor, e.g. use of hazardous waste as secondary fuel ; Use of particular energy sources, e.g. waste hot gases from other processes
    • C04B7/4423Waste or refuse used as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04B7/4407Treatment or selection of the fuel therefor, e.g. use of hazardous waste as secondary fuel ; Use of particular energy sources, e.g. waste hot gases from other processes
    • C04B7/4446Treatment or selection of the fuel therefor, e.g. use of hazardous waste as secondary fuel ; Use of particular energy sources, e.g. waste hot gases from other processes the fuel being treated in a separate gasifying or decomposing chamber, e.g.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04B7/4453Burning; Melting using plasmas or radi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C10J3/30Fuel charg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12Electrodes present in the gasifi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15Details of feeding means
    • C10J2200/154Pushing devices, e.g. pist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46Waste, e.g. MSW, tires, glass, tar sand, peat, paper, lignite, oil shal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2Heating the gasifier
    • C10J2300/123Heating the gasifier by electromagnetic waves, e.g. microwaves
    • C10J2300/1238Heating the gasifier by electromagnetic waves, e.g. microwaves by plasm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은 고온과 고열 상태를 갖는 연소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플라즈마 발생기의 설치각도, 간격, 배열 등을 최적화하는 작업을 통해서 시멘트 소성로를 이용하여 폐플라스틱의 대량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상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갖는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UHT plasma combustion system with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연소하는 과정에서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푸셔 및 고유량 노즐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연소 체류 시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폐플라스틱의 처리 공정 상에 발생하는 잡철 및 코팅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후단 상에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갖는 UHT 플라즈마 연소반응 시스템을 개발하여 폐플라스틱을 처리하고 이를 연료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는 최대온도 2,000℃까지 높은 열에너지를 갖는 소성로를 이용하여 생산되므로 시멘트 산업은 전형적인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다. 따라서, 1990년 후반부터 현재까지 에너지절약 및 자원재활용을 위해 소성로에 부원료 및 보조연료로써 산업 부산물인 폐기물 사용을 증대하고 있다.
시멘트 산업은 에너지 다소비, 온실가스 다량배출 산업으로 시멘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열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주 연료로 대량의 화석연료(유연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줄이기 위해 가연성 폐기물을 시멘트 제조공정에 보조 연료로서 일부 사용하고 있다.
폐기물을 연료로 재활용함으로써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천연연료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실가스의 저감 및 대기 오염물질을 줄일 수 있다. 소각로, SRF 발전소 등과 같이 별도의 추가 시설 없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폐플라스틱 처리가 가능하여 매립, 소각이 필요없는 자원순환 사회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시멘트 소성로는 이미 완벽한 연소시설과 배가스 후처리 설비(환경설비)가 구축되어 있으며, 동시에 각종 첨단 콘트롤 설비도 완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시멘트 공정 및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폐플라스틱의 연소효율 증대를 위한 최소한의 설비만 설치하면 되므로, 폐플라스틱 처리를 위한 설치비 최소화 가능하다.
시멘트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폐기물은 금속 및 유리 등이 1차적으로 선별된 가연성 폐기물로써 저위발열량이 약 6,500 kcal/kg으로 매우 높은 편으로 현재 시멘트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화석연료(유연탄)의 저위발열량과 유사한 수준임에 따라서 폐플라스틱을 효율적으로 연소, 가스화 하여 보조연료로 사용할 경우 상당량의 화석연료를 줄일 수 있다.
시멘트 산업계 특성상 폐플라스틱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철류, 비철류, 세라믹류등)을 선별업체에서 완전 선별할 경우, 폐플라스틱 처리 단가 하락 또는 돈을 지급하여 구매해야 하므로 본 연구의 경제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폐플라스틱 등을 처리하기 위한 스토커로는 계단 형상으로 경사진 복수의 화격자군으로 이루어지고, 화격자군의 각 단에 소각물을 흘려보내기 위한 푸셔가 설치되고, 상부로부터 투입된 소각물을 연소시킨 상태에서 소각물을 적절히 푸셔로 밀어내어 하방으로 내려보내면서 소각하는 것으로, 소각물의 처리 능력에 맞추어 화격자의 폭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 쓰레기 등의 소각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화격자(stoker,스토커)는 투입된 폐기물에 대한 적절한 혼합과 교반, 이송 운동을 통하여 건조, 연소, 후연소의 과정을 거치게 하고, 구체적인 기능으로는 화격자 상에 투입된 폐기물의 혼합 및 균일 층 유지기능, 적절한 연소 공기와 접촉을 이루기 위한 폐기물의 교반과 연소공기 분배기능을 한다. 그리고 화격자 상에서의 폐기물의 각 단계로의 이송기능과 체류시간 유지기능, 화격자의 왕복 또는 회전운동에 의한 대형 클링커의 파쇄기능 등을 담당한다.
폐플라스틱은 현재 시멘트 소성공정에 단순 투입되고 있어 더 많은 양의 폐플라스틱 투입 시, 짧은 체류시간에 따른 연소시간 미확보로 불균일한 연소가 발생되어 예열 공정내 gas balance 불균형이 발생되어 소성공정 불안정으로 인한 내부 coating 형성 및 시멘트 품질저하가 발생한다.
폐비닐, 폐합성수지, 폐섬유 등과 같은 폐플라스틱의 처리량 증대 및 시스템 자동화를 위한 연소시스템과 연소공정을 개발하여 환경 및 사회적으로 이슈인 폐플라스틱을 기존 운영되고 있는 시멘트 소성로에서 처리함으로써, 국가적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여야 한다.
한편, 종래의 플라즈마 발생기를 이용하는 시멘트 소성설비에서는 플라즈마 발생기의 플라즈마 토출구 주변의 압력 편차에 의해 플라즈마가 불안정하여 분해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플라즈마 발생기의 전극이 침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에는 여러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에는 잡철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공정에 투입되게 전에 Magnetic Separator로 잡철을 제거를 해도 폐플라스틱에는 다량의 잡철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잡철은 녹지 않으므로 공정에 들어가는 공정 불안정을 초래하게 된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1472호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15905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부에 설치된 플라즈마 연소수단 및 연소용 공기 공급노즐에서 공급된 공기를 통해 공급된 폐기물을 연소하는 과정에서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푸셔 및 고유량 노즐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연소 체류 시간을 확보하는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을 제공하는 동시에, 폐플라스틱의 처리 공정 상에 발생하는 잡철 및 코팅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의 후단 상에 이물질 제거 설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소 반응기인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의 후단에는 연소되고 남은 이물질 및 잡철이 모이게 된 상태에서 이를 푸셔 블록으로 밀어내는 과정을 통해 연소 반응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배출되는 이물질은 공정 바닥으로 이동하도록 Belt를 설치하여 처리할 예정이며 관련하며 효율적인 처리방법을 연구 중에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은 고온과 고열 상태를 갖는 연소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플라즈마 발생기의 설치각도, 간격, 배열 등을 최적화하는 작업을 통해서 시멘트 소성로를 이용하여 폐플라스틱의 대량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은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푸셔 및 고유량 노즐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연소 체류 시간을 확보하여 연소 효율 증가 및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UHT(Ultra High Temperature)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은 상단부에 설치된 플라즈마 연소수단 및 연소용 공기 공급노즐에서 공급된 공기를 통해 공급된 폐기물을 연소하는 과정에서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푸셔 및 고유량 노즐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연소 체류 시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폐플라스틱의 처리 공정 상에 발생하는 잡철 및 코팅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의 후단 상에 이물질 제거 설비를 설치한 상태에서 폐플라스틱의 대량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UHT 플라즈마 연소반응기는 상단부에 설치된 플라즈마 연소수단 및 연소용 공기 공급노즐에서 공급된 공기를 통해 공급된 폐기물을 연소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계단식으로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푸셔 및 고유량 노즐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연소 체류 시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연소공기의 대량 유입으로 인한 연소효율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고 이물질 제거를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체연료 가스화 장치 및 시멘트 소성로의 개념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HT 플라즈마 연소반응시스템을 보인다.
도 3 내지 도 4는 연속배치된 복수의 고유량 노즐의 하단에 위치하는 이물질 배출 슈트의 배치 구조를 보인다.
도 5는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의 하단에 배치된 이물질 제거 장치의 전체적인 단면도를 보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시멘트 소성로를 설명한다. 즉, (a) 고온연소반응기; (b) 상기 고온연소반응기에 플라즈마를 공급하는 복수의 플라즈마 연소수단; (c) 상기 고온연소반응기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연소반응기 방향으로 폐플라스틱을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대체연료 가스화 장치를 포함하는 시멘트 소성로를 보인다.
상기 고온연소반응기는 연료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폐플라스틱을 가스화하여 공급하는 장치로 사각 또는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고 축방향의 일 측면에는 연료공급 수단이 설치되며 타 측면에는 가스 배출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온연소반응기는 또한 수직의 원통형 또는 사각 기둥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일측면에는 연료공급수단이 연결되며, 하부의 타측면에는 가스 배출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소반응기의 일측면 상단에는 상기 연료공급수단이 설치되며, 타측면의 하단에는 가스 배출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 공급수단에 의하여 공급된 폐플라스틱은 연소반응기를 지나 타측면의 가스배출구 방향으로 배출되며 생성되는 가스 역시 가스배출구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루는 플라즈마 연소수단에 적용되는 플라즈마는 고체, 액체, 기체에 이어 물질의 제 4의 상태로, 보통 저온 플라즈마와 고온 또는 열플라즈마로 구분할 수 있으며, 폐기물 처리에 각광받고 있는 분야는 열 플라즈마이다.
이러한 플라즈마는 전자, 이온 및 중성입자(원자 및 분자)의 혼합물로서, 고온의 이온화된 전도성의 가스는 전기장 또는 전자장에서 가스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반응성종(reactive species)의 원천으로서 초고온의 빠른 화학반응을 촉진한다.
폐기물들의 열분해, 유리화와 재활용에 사용되는 열플라즈마 토치는 열플라즈마의 발생 방법에 따라 이송식 열플라즈마 토치와 비이송식 열플라즈마 토치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은 고온의 플라즈마를 사용함으로써 빠른 시간안에 목표 온도 도달이 가능하며, 기존 시멘트 소성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고온 순환열을 활용함으로 대량의 폐플라스틱 처리가 가능하다.
고온 플라즈마는 이온화된 열유체로 6,000 K의 화염온도, 10,000 K 이상의 전자온도를 갖고 있으며, 100~2,000 m/s의 고속의 제트 불꽃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재래식 연소에 의해 화학적 반응으로 발생시킨 열유체에서 얻을 수 없는 초고온, 고열용량, 고속, 다량의 활성입자를 갖고 있어 열화학 반응이 촉진되어 폐플라스틱의 연소화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고온 플라즈마는 환경 및 공정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시설에 응용이 가능하다.
현재 시멘트 소성 공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폐플라스틱을 직투입할 경우 작은 연소 용적과 불균질한 폐플라스틱의 성상으로 시멘트 제조 공정 및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예열탑 투입 전 UHT 플라즈마 연소반응기를 통하면 폐플라스틱을 빠르게 열분해 함으로서 해결 가능하다.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은 폐플라스틱 등의 연소열을 소성로 내부로 공급하고, 열에너지로의 변환효율이 높아 수소와 일산화탄소가 주성분인 합성기체로 쉽게 전환이 가능하고, 공정이 단순하며 석탄 대체율도 향상 시킬 수 있다.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은 컴팩트하고 고밀도 열원인 고온 플라즈마를 사용하며 별도의 시멘트 공정 개선 없이 좁은 공간에 설치 가능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투자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에 폐플라스틱을 투입하기 전에 선별업체에서 이물질 중 90% 이상을 분리제거하고 연소챔버에 투입하기 전(자력 선별기 등)과 연소챔버 후단의 불연물 이물질 선별/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시멘트 소성공정으로 투입되는 이물질을 최소화하여 시멘트 소성공정의 안정성을 높이고 발생된 불연물 이물질은 시멘트 부원료로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시멘트 제조 공정 전 순환 주기와 결합된 제조 공정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의 배출량을 허용기준 이하로 제어하고 시멘트 제조 공정의 운전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연소가스의 혼합율을 제어하는 공정의 구성과 연소가스 내 포함되어 있는 타르 또는 염소, 알칼리 성분 등을 효율적으로 분리 가능한 공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제안기술은 이미 설치 및 운용되고 있는 시멘트 제조공정을 이용하고 연소효율 향상을 위한 UHT 플라즈마 연소반응기를 개발한 상태에서, 폐플라스틱을 처리하고 이를 연료화하는 기술로서,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은 30 kW 수준의 플라즈마 발생기 16기를 설치하여 넓은 영역의 고온 유지로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가스화, 연소가 진행되는 1차 연소의 역할을 수행하고 800~1,000℃도 유지되는 예열탑에 연소시스템 출구를 연결하여 2차 연소 및 완전 연소로 소성공정에 필요한 열량 공급과 석탄 절감, 시멘트 소성공정 안정화를 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HT 플라즈마 연소반응기는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공급된 폐플라스틱 내지 대체 연료에 대한 다단 연소 과정을 실시하게 한다. 연소반응기의 상단부에 설치된 플라즈마 연소수단 및 연소용 공기 공급노즐에서 공급된 공기를 통해 공급된 폐기물을 연소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계단식으로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푸셔 및 고유량 노즐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연소 체류 시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연소공기의 대량 유입으로 인한 연소효율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고 효과적인 이물질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연소용 공기 공급노즐에서 공급된 공기는 연소반응기의 상단부에서 1차 연소된 가스를 추가적으로 산화시켜 가스 배출수단방향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일부가 연소반응기의 상단부로 공급되어 1차 연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소반응기를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분하여 가동하는 경우에 폐플라스틱을 가스화 및 완전 연소하기 때문에 재 및 타르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연소가 필요한 경우 상기 하단부의 하단으로 단을 추가하여 3~10단의 연소실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을 따라 계단식으로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푸셔(pusher), 상기 복수의 푸셔를 통해 공급된 폐기물 등을 이송하게 하는 복수의 고유량 노즐, 상기 복수의 푸셔를 분리 구동하는 복수의 실린더 및 연소 챔버 하단에 배치된 이물질 배출 슈트(chute)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고유량 노즐은 코안다 노즐일 수 있는데, 코안다 효과는 벽면이나 천장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그 면에 빨려서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갖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한쪽만 확산하므로 자유 분류에 비해 속도의 감쇠가 작고 도달 거리가 길어진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푸셔 및 복수의 고유량 노즐은 총 4개의 계단식 단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연소챔버의 상부 입구의 직하단에 배치된 메인 푸셔 상에서 토치 등을 통해 1차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진 후에, 이동 푸셔와 고유량 노즐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소 모듈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진다.
연소 모듈 각각은 실린더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푸셔 및 상기 이동 푸셔의 일측 하단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 푸셔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물에 대해 충분한 공기 유량으로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고유량 노즐을 갖는다.
복수의 실린더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4개의 이동 푸셔를 2개씩 연결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상하방향 순서대로 제1 이동 푸셔 내지 제4 이동 푸셔 중 제1,3 이동 푸셔는 제1 실린더에 연결되게 하고, 제2,4 이동 푸셔는 제2 실린더에 연결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 푸셔와 고유량 노즐을 갖는 복수의 연소 모듈을 통해 4단 연소를 시행함으로써, 후단부에서의 연소 체류시간을 확보하고, 연소공기 유입으로 인하여 연소효율을 증가하는 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푸셔 및 복수의 고유량 노즐은 연소 챔버 상에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푸셔 및 복수의 고유량 노즐은 연소 챔버 상에서 2개의 연소 모듈은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고, 2개의 연소 모듈은 수평한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소 챔버 상에서 2개의 고유량 노즐을 경사진 상태로 연속 배치하고, 2개의 연소 모듈은 수평한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소 챔버 상에서 4개의 고유량 노즐을 경사진 상태로 연속 배치하는 한편, 고유량 노즐의 에어 방향을 우측의 MFC를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소 챔버 상에서 4개의 고유량 노즐을 경사진 상태로 연속 배치하는 한편, 고유량 노즐의 에어 방향을 상부 측으로 수직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일렬 연속배치된 복수의 고유량 노즐 하단에 위치하는 이물질 배출 슈트(chute)를 상기 고유량 노즐의 길이 방향을 따른 연속선 상에 배치하거나 또는 최하단 고유량 노즐을 중심으로 양측 상에 이물질 배출 슈트 및 푸셔를 위치하는 것으로 배치 가능하다.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이 적용되는 시멘트 소성로는 대체연료 가스화 장치에서 공급된 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무해화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소성로에 부속된 예열탑은 상기 대체연료 가스화 장치에서 공급된 가스를 한번 더 연소시켜 열량을 공급하므로 상기 대체연료 가스화 장치에서 공급된 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가스를 산화시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폐플라스틱의 소각시 많이 발생하는 다이옥신, HCN, CO 또는 NOx의 경우 추가적인 소각과 소성로 자체 보유하고 있는 방지시설을 이용하므로 기존의 폐플라스틱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해가스는 N2, CO2 또는 H2O의 형태로 전환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소챔버의 상부 입구의 직하단에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된 메인 푸셔의 하부단을 따라서 일렬 연속배치된 복수의 고유량 노즐 하단에 위치하는 이물질 배출 슈트(chute)를 상기 고유량 노즐의 길이 방향을 따른 연속선 상에 배치하는 것을 보인다. 즉,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고유량 노즐 중 최종단에 위치한 고유량 노즐 상으로 모아지는 이물질은 상기 최종단에 위치한 고유량 노즐 상에 배치된 푸셔를 실린더를 통해 이물질 배출 슈트 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배출 가능하게 한다.
복수의 푸셔 및 복수의 고유량 노즐은 총 4개의 계단식 단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연소챔버의 상부 입구의 직하단에 배치된 메인 푸셔(main pusher,10) 상에서 토치(torch) 등을 통해 1차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진 후에, 각각의 이동 푸셔(21)와 고유량 노즐(23)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소 모듈(20)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연소챔버의 상부 입구의 직하단에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된 메인 푸셔의 하부단을 따라서 일렬 연속배치된 복수의 고유량 노즐 중 최하단 고유량 노즐을 중심으로 양측 상에 위치하는 이물질 배출 슈트(chute) 및 푸셔를 배치하는 것을 보인다.
즉,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고유량 노즐 중 최종단에 위치한 고유량 노즐 상으로 모아지는 이물질은 상기 최종단에 위치한 고유량 노즐의 일측 상에 배치된 푸셔를 실린더를 통해 고유량 노즐의 타측 상에 배치된 이물질 배출 슈트 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배출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의 하단에 배치된 이물질 제거 장치의 전체적인 단면도를 보인다. 즉, 도 4 상에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고유량 노즐 중 최종단에 위치한 고유량 노즐을 좌우측으로 가로질러 A-A 라인을 따라서 보이도록 한 도면이다. 즉,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 상에서 이물질 제거 장치가 배치된 하단 부분을 고유량 노즐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바라본 상태를 보인다.
연소 챔버의 최종단에 위치한 고유량 노즐의 일측 상에 배치된 이물질 푸셔 블럭을 제1 에어 실린더를 통해 가압하여 미는 작업을 통해 말단 고유량 노즐의 타측 상에 배치된 이물질 배출 슈트로 이물질을 배출하게 한다.
제1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는 이물질 푸셔 블록(Push Block)의 측면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물질 푸셔 블록은 연소 챔버의 하단 일측 상에 제1 에어 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블록 케이싱을 통해 덮힌 상태를 갖는다. 상기 블록 케이싱과 제1 에어 실린더는 블록 케이싱 접합 플랜지를 통해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이물질 배출 댐퍼는 연소 챔버를 중심으로 이물질 푸셔 블록의 반대측 상에 배치된다. 즉, 먼저 제1 에어 실린더를 통해 이물질 푸셔 블록을 연소 챔버 내부 측으로 밀어서 이동하게 하면, 상기 제1 에어 실린더에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제2 에어 실린더를 통해 이물질 배출 댐퍼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물질 배출 댐퍼를 외측으로 개방하게 한 상태에서, 말단 고유량 노즐의 상면 상에 놓인 이물질을 배출하게 한다. 한편, 제1 에어 실린더를 통해 이물질 푸셔 블록을 원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에어 실린더를 통해 이물질 배출 댐퍼를 원위치하게 한다.
즉,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푸셔 블록과 이물질 배출 댐퍼를 작동하는 실린더가 총 2개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실린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물질 제거 푸셔 실린더인 제1 에어 실린더가 작동하면, 이물질 배출 댐퍼 실린더인 제2 에어 실린더가 작동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대용량 폐플라스틱 처리를 위하여 복수의 플라즈마 발생기를 갖는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라즈마 발생기 각각은 연소 챔버 벽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연소 챔버의 내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플라즈마 발생기의 전단은 보호 커버를 통해 양극을 보호되는 한편, 상기 보호 커버의 중앙 부분은 개방된 상태에서 플라즈마 토출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은,
    상기 연소 챔버 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계단식으로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푸셔(pusher),
    상기 복수의 푸셔를 통해 공급된 폐기물 등을 이송하게 하는 복수의 고유량 노즐,
    상기 복수의 푸셔를 분리 구동하는 복수의 실린더 및
    상기 연소시스템의 하단에 배치된 이물질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연소 챔버의 최종단에 위치한 말단 고유량 노즐의 일측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에어 실린더를 통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가압되는 이물질 푸셔 블럭,
    상기 말단 고유량 노즐의 타측 상에 배치된 이물질 배출 슈트, 및
    상기 연소 챔버를 중심으로 상기 이물질 푸셔 블록의 반대측 상에 배치되는 이물질 배출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어 실린더를 통해 이물질 푸셔 블록을 연소 챔버 내부 측으로 밀어서 이동하게 하면, 상기 제1 에어 실린더에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제2 에어 실린더를 통해 이물질 배출 댐퍼의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물질 배출 댐퍼를 외측으로 개방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말단 고유량 노즐의 상면 상에 놓인 이물질을 배출하게 하는 한편, 상기 제1 에어 실린더를 통해 이물질 푸셔 블록을 원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에어 실린더를 통해 이물질 배출 댐퍼를 원위치하며, 상기 제1,2 에어 실린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제1 에어 실린더가 작동함에 따라 제2 에어 실린더가 작동하는,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푸셔 및 복수의 고유량 노즐은 총 4개의 계단식 단으로 구성되는, UHT 플라즈마 연소시스템.
KR1020210079767A 2020-10-29 2021-06-21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상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갖는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 KR102342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493 2020-10-29
KR20200142493 2020-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835B1 true KR102342835B1 (ko) 2021-12-24

Family

ID=7917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767A KR102342835B1 (ko) 2020-10-29 2021-06-21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상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갖는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83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905A (ko) 1998-02-04 2001-02-26 에릭 오펠스트럽 매드센 시멘트 제조용 킬른 설비 및 시멘트 제조방법
JP2002110399A (ja) * 2000-09-29 2002-04-12 Koike Sanso Kogyo Co Ltd トーチ間移行プラズマ装置
JP2006274127A (ja) * 2005-03-30 2006-10-12 Kenzo Takahashi ストーカー型熱分解炉
KR20100061472A (ko) 2007-09-12 2010-06-07 다이헤이요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시멘트 킬른용 버너 장치 및 이 버너 장치의 운전 방법
KR20110100022A (ko) * 2010-03-03 2011-09-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단계 열분해 장치 및 다단계 열분해 방법
KR20120022480A (ko) * 2010-09-02 2012-03-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단계 열분해 가스화 장치 및 2단계 열분해 가스화 방법
KR20190086063A (ko) * 2018-01-11 2019-07-22 한라정공 주식회사 폐플라스틱 열분해장치
KR20200058931A (ko) * 2018-11-20 2020-05-28 (주)유성 스토커 소각로에 적용되는 푸셔방식 연료투입 장치
KR20200100292A (ko) * 2019-02-18 2020-08-26 비엔지코리아(주) 연속식 열분해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905A (ko) 1998-02-04 2001-02-26 에릭 오펠스트럽 매드센 시멘트 제조용 킬른 설비 및 시멘트 제조방법
JP2002110399A (ja) * 2000-09-29 2002-04-12 Koike Sanso Kogyo Co Ltd トーチ間移行プラズマ装置
JP2006274127A (ja) * 2005-03-30 2006-10-12 Kenzo Takahashi ストーカー型熱分解炉
KR20100061472A (ko) 2007-09-12 2010-06-07 다이헤이요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시멘트 킬른용 버너 장치 및 이 버너 장치의 운전 방법
KR20110100022A (ko) * 2010-03-03 2011-09-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단계 열분해 장치 및 다단계 열분해 방법
KR20120022480A (ko) * 2010-09-02 2012-03-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단계 열분해 가스화 장치 및 2단계 열분해 가스화 방법
KR20190086063A (ko) * 2018-01-11 2019-07-22 한라정공 주식회사 폐플라스틱 열분해장치
KR20200058931A (ko) * 2018-11-20 2020-05-28 (주)유성 스토커 소각로에 적용되는 푸셔방식 연료투입 장치
KR20200100292A (ko) * 2019-02-18 2020-08-26 비엔지코리아(주) 연속식 열분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2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ste
KR20060002764A (ko) 유해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다수의 플라즈마 발생기
CZ290496A3 (en) Method of thermic removal of loose wast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102342835B1 (ko)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상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갖는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
CN107152686B (zh) 一种微波辅助热解气化炉及垃圾热解气化焚烧的方法
US7950339B2 (en) Pyrolysis apparatus with transverse oxygenation
KR101415450B1 (ko) 고형 폐기물의 연소설비
JP2008057906A (ja) 低公害焼却処理装置
KR102342834B1 (ko) 폐플라스틱의 대량 처리를 위한 uht 플라즈마 연소 시스템
KR102430976B1 (ko)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저온열분해 복합 공정 시스템
US3797413A (en) Incinerator
US76212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ste
KR20040061708A (ko) 폐고무 가공 고형연료를 사용하는 하향식 다단 연소장치
CN113881460B (zh) 一种多弧等离子体气化炉
KR102364211B1 (ko) 가스화 디바이스 및 가스화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지연 시스템을 구비한 플라즈마 셔터
CN108707477B (zh) 一种处理废水的清洁型粉煤气化燃烧器及工艺方法
CN112628748A (zh) 一种烘焙碳化耦合等离子体焚烧有机固废处置工艺
KR20210052858A (ko) 대체연료 가스화 및 연소 장치를 포함하는 시멘트 소성로
KR102492110B1 (ko) 폐플라스틱 하향식 소각시스템
RU2229060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нефтешламов
KR102077820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수소 소각로
CN212108418U (zh) 垃圾热解气化系统
KR102431280B1 (ko) 마이크로웨이브 스팀 플라즈마를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저감장치
EP0855005B1 (en) Installation for processing waste
JP2010190500A (ja) 炭化物燃焼装置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