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800B1 -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2800B1 KR102342800B1 KR1020190125369A KR20190125369A KR102342800B1 KR 102342800 B1 KR102342800 B1 KR 102342800B1 KR 1020190125369 A KR1020190125369 A KR 1020190125369A KR 20190125369 A KR20190125369 A KR 20190125369A KR 102342800 B1 KR102342800 B1 KR 1023428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pandable member
- catheter
- urodynamics
- sensing unit
- blad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2—Assessing bladder functions, e.g. incontinence assessment
- A61B5/205—Determining bladder or urethral 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61B5/03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by means introduced into body 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61B5/6853—Catheters with a ballo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4—Bladd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4—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detachable or disposable ballo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는 주입구를 갖는 팽창 부재; 상기 팽창 부재 내에 위치하는 센싱유닛; 상기 팽창 부재 내에 위치되고, 상기 센싱유닛에서 측정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유닛; 및 상기 팽창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팽창 부재를 팽창시키는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팽창 부재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역동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뇨기능 이상은 요실금,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방광염, 방광암 등 다양한 배뇨질환환자에게 관찰되는 증상이다. 배뇨기능 이상진단에는 문진이나 신체검사, 방사선검사, 내시경검사, 및 요역동학검사 등이 선별적으로 시행된다. 특히, 요역동학검사(urodynamic study)는 각종 배뇨기능장애, 즉 배뇨곤란, 요실금, 신경인성방광 등을 진단하고, 그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검사를 통하여 배뇨장애 질환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검사이다. 특히, 문진이나 신체검사, 방사선검사, 내시경검사 등으로 알 수 없는 하부요로의 생리학적 기능과 병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요실금 환자들이나 전립성 비대증환자들에게는 꼭 필요한 검사에 속한다.
요역동학검사는 요류검사, 방광내압측정, 및 괄약근기능검사로 크게 3가지 검사로 이루어진다. 요류검사는 배뇨곤란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배뇨근 수축저하나 방광출구 폐색이 있는 지의 여부를 알아보는 검사이며, 방광내압측정은 방광의 충만과 배뇨시에 일어나는 압력변화를 기록하면서 방광기능을 검사한다. 괄약근기능검사는 괄약근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서 근전도검사, 요도압측정 또는 요누출압측정을 통하여 검사한다. 최근에는 요류검사와 방광내압측정을 동시에 하는 검사법이 시행 중에 있으며, 근전도 검사 및 영상검사가 선택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요역동학검사는 매우 복잡하고 과정 및 기술 또한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시행하는 검사장비에는 다수의 검사모듈이 설치 및 연결되어 있어, 그 부피가 크고 무거운 편이다. 따라서, 이동이 거의 불가능하여, 검사장비 옆에서 환자가 검사를 받게 되어 있고, 실시간으로 검사를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환자가 편안하게 요역동학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요역동학 검사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카테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팽창 부재가 수축된 상태로 신우 내로 삽입된 후에 팽창된 상태로 신우 내에 위치되어 방광압, 배뇨근압 등을 측정하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카테터로부터 분리된 팽창 부재가 신우 내에 위치되어 실시간으로 방광압 등을 측정하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요역동학 검사를 종료한 후에 팽창된 팽창 부재를 파열하여 배뇨시 신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는 주입구를 갖는 팽창 부재; 상기 팽창 부재 내에 위치하는 센싱유닛; 상기 팽창 부재 내에 위치되고, 상기 센싱유닛에서 측정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유닛; 및 상기 팽창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팽창 부재를 팽창시키는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팽창 부재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유닛은 상기 팽창 부재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팽창 부재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상기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입구와 연통되는 연결 통로를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주입구를 향해 유동할 때, 상기 연결 통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테터는 그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와 연통되는 안내 관; 및 상기 안내 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 관을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팽창 부재의 내부에서 설치되고, 상기 센싱유닛이 팽창된 상기 팽창 부재의 일정 영역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위치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센싱유닛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유입 홀들을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팽창 부재의 내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팽창 부재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팽창 부재를 파열시키는 파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방법은 (a) 본 발명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카테터와 수축된 팽창 부재를 요도를 통해 삽입하여, 방광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카테터를 통해 상기 방광 내에 위치된 팽창 부재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팽창 부재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d) 팽창된 상기 팽창 부재와 상기 카테터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팽창 부재와 상기 카테터가 서로 분리된 후, 상기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통신 유닛으로부터 상기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센싱유닛이 측정한 상기 팽창 부재의 내부 압력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방광의 압력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역동학 검사장치는, 상기 팽창 부재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산하여 상기 팽창 부재를 파열시키는 파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열기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카테터로부터 분리된 상기 팽창 부재를 파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 부재가 신우 내에 삽입되면 카테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요역동학 검사를 진행하고, 무선통신 등을 통해 카테터와 분리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요역동학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요역동학 검사가 끝난 후에는 팽창 부재를 파열하여 배뇨시 신우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별도의 조치 없이 검사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팽창된 팽창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팽창 부재가 팽창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팽창된 팽창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팽창 부재가 팽창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팽창된 팽창 부재(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배뇨기능이상 진단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검사장치(10)일 수 있다.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팽창 부재(100), 카테터(200), 센싱유닛(300), 및 통신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파열기(500), 초음파 측정유닛(700), 및 모니터링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부재(100)는 밀폐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팽창 부재(100)는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팽창 부재(10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 부재(100)는 팽창부(11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부(110)는 카테터(200)로부터 공급된 유체(1)가 주입되는 주입구(111)를 가질 수 있다. 팽창부(110)는 수축된 상태였다가 유체(1)의 주입을 통해 팽창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1)는 기체뿐만 아니라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체(1)는 방광 내의 소변보다 비중이 낮은 물질일 수 있다. 이에 유체(1)가 주입된 팽창 부재(100)가 방광 내의 소변 상에 부유할 수 있다.
연결부(120)는 팽창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주입구(111)와 연통되는 연결 통로(12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120)는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120)의 일단은 주입구(111)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연결부(120)의 타단에는 후술할 카테터(200)가 삽입될 수 있다.
센싱유닛(300)은 팽창 부재(1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유닛(300)은 팽창부(1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센싱유닛(300)은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팽창 부재(10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팽창 부재(100)의 내부 압력 측정함으로써, 방광 내의 방광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팽창 부재(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팽창 부재(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방광 내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유닛(400)은 팽창 부재(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통신유닛(400)은 센싱유닛(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유닛(400)은 센싱유닛(300)에서 측정한 정보(이하, 센싱 정보라고 한다.)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유닛(400)은 무선통신모듈일 수 있다. 통신유닛(400)은 외부 신호가 입력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외부로 센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카테터(200)는 팽창 부재(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테터(200)는 그의 일단이 연결부(12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카테터(200)는 주입구(111)와 연통되고, 주입구(111)를 통해 유체(1)를 팽창 부재(100)에 주입할 수 있다. 주입구(111)를 통해 유체(1)가 주입된 팽창 부재(100)는 팽창될 수 있다. 카테터(200)는 팽창 부재(100)에 유체(1)를 주입한 후에 팽창 부재(100)와 분리될 수 있다. 카테터(200)와 분리된 팽창 부재(100)는 방광 내에 계속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200)가 요도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요역동학 검사는 실시간으로 진행될 수 있다.
카테터(200)는 요도를 통해 방광 내에 삽입되는 안내 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관(210)은 가늘고 길면서 유연한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이에 안내 관(210)의 내부에는 안내 통로(205)를 가질 수 있다. 안내 관(210)의 일단은 연결부(120)에 결합되어, 안내 통로(205)와 연결 통로(121)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안내 관(210)의 일단은 연결부(120)의 연결 통로(121)에 삽입되어 안내 통로(205)와 연결 통로(121)가 연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는 연결부(120)의 타단이 안내 통로(205)에 삽입되어 안내 통로(205)와 연결 통로(121)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팽창 부재(100)가 팽창한 후에, 카테터(200)는 팽창 부재(100)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 방식은 연결부(120)와 결합된 카테터(200)를 잡아당겨 분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광 내에서 팽창 부재(100)는 요도보다 크게 부풀어오른 상태이므로, 카테터(200)를 잡아당길 때에 팽창된 팽창 부재(100)는 방광 내에서 빠지지 않고 카테터(200)만 팽창 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파열기(500)는 팽창 부재(100)에 설치될 수 있다. 파열기(500)는 팽창 부재(10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파열기(50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팽창 부재(100)를 파열시킬 수 있다. 파열기(500)는 요역동학 검사가 끝난 경우에 팽창된 팽창 부재(100)를 파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열된 팽창 부재(100)는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파열기(500)는 통신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파열기(500)는 통신유닛(400)을 통해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파열기(500)는 내부에 자체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직접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파열기(500)는 체외의 유도가열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아 발열하는 발열체일 수 있다. 여기서, 유도가열장치는 소정의 전압 또는 전류의 제어 하에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자기파의 교류적 성질이 발열체에서의 주기적인 자속 변화를 일으키며, 이로 인해 발열체 표면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어 발열체를 발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열기(500)에서 발생한 열은 팽창 부재(100)를 파열할 수 있다. 다만, 파열기(500)가 반드시 상기 발열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택적으로 팽창 부재(100)를 파열시 수 있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초음파 측정유닛(700)은 초음파가 인체를 매질로 방광 내의 팽창 부재(100)로 전파되다가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초음파 측정유닛(700)은 초음파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팽창 부재(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 측정유닛(700)은 방광 내의 잔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600)은 통신유닛(400)으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초음파 측정유닛(700)으로부터 팽창 부재(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600)은 통신유닛(400)으로 외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600)은 센싱 정보와 팽창 부재(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광압, 잔뇨량, 소변 배출 강도, 배출 시기 정보 등(이하, 진단 정보라고 한다. )을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600)은 획득된 진단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 유닛(60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팽창 부재(100)가 팽창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팽창 부재(100), 카테터(200), 센싱유닛(300) 및 통신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위치 가이드 부재(800), 파열기(500), 초음파 측정유닛(700) 및 모니터링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부재(100)는 팽창부(110), 연결부(120) 및 밸브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130)는 연결부(120)에 설치되어 연결 통로(121)를 개폐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밸브부(130)는 막 형태의 개폐 막(131)과 스토퍼(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막(131)은 연결 통로(121)의 내벽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개패 막은 주입구(111)와 연결부(120)의 타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개폐 막(131)은 유체(1)가 카테터(200)로부터 주입구(111)를 향해 유동할 때, 유체(1)의 압력에 의해 연결 통로(121)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막(131)은 유체(1)가 팽창 부재(100)의 내부에서 주입구(111)를 향해 유동할 때, 유체(1)의 압력에 의해 연결 통로(121)를 폐쇄할 수 있다.
개폐 막(131)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막(131)은 연결 통로(12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연결 통로(121)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개폐 막(131)의 가장자리 전체가 연결 통로(121)의 내벽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자리의 일정 영역인 일측만이 연결 통로(121)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1) 또는 카테터(200)가 연결 통로(121)를 통과하게 되면, 주입되는 유체(1) 또는 삽입되는 카테터(200)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팽창 부재(100)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다만,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개폐 막(131)은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로 인해 연결 통로(121)가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32)는 개폐 막(131)이 카테터(200) 방향으로 더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개폐 막(131)이 연결 통로(121)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팽창 부재(100) 내로 유체(1)가 주입되면 개폐 막(131)에 의해 연결 통로(121)가 차단되어 유체(1)의 역류가 차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밸브부(130)는 개폐 막(131)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 예에서 밸브부(130)는 소형의 전자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치 가이드 부재(800)는 팽창 부재(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 가이드 부재(800)는 센싱유닛(300)이 팽창된 팽창 부재(100)의 일정 영역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위치 가이드 부재(800)는 하우징(810)과 복수의 연결 부재들(8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810)은 내부에 센서 유닛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810)은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유입 홀들(8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810)의 수용 공간은 유입 홀들(815)을 통해 팽창 부재(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유체(1)가 유입 홀들(815)을 통해 수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 부재들(820)은 하우징(810)과 팽창 부재(100)의 내면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부재들(820)은 길이가 긴 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부재들(820)은 신축될 수 있다. 연결 부재들(820)은 팽창 부재(100)가 팽창하더라도 하우징(810)이 팽창 부재(100)의 일정 영역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810) 내에 위치된 센싱유닛(300)이 팽창 부재(100)의 일정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유닛이 중력에 의해 팽창 부재(100)(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팽창 부재(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유닛은 팽창 부재(100)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어, 팽창 부재(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유닛(400)은 하우징(810)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통신유닛(400)은 하우징(810)의 수용 공간 외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팽창 부재(100), 카테터(200), 센싱유닛(300) 및 통신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파열기(500), 초음파 측정유닛(700) 및 모니터링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부재(100)는 팽창부(11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200)는 안내 관(210)과 분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 관(210)은 연결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안내 관(210)의 일단이 연결 통로(121) 내에 삽입됨으로써, 안내 관(210)과 연결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밸브부(130)는 연결 통로(121) 내에 삽입된 안내 관(210)의 일단과 주입구(1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분리부(220)는 안내 관(210)의 일단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분리부(220)는 안내 관(210)의 외면을 둘려싸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선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열하면, 열선과 접촉하는 연결부(120)가 녹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0)에 결합된 안내 관(210)이 연결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연결부(120)가 안내 관(210)의 안내 통로(205) 내에 삽입됨으로써, 안내 관(210)과 연결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선은 안내 관(210)의 내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를 이용한 요역동학 검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1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바,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하게만 기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방법은 (a) 본 발명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10)를 준비하는 단계, (b) 요역동학 검사장치(10)의 카테터(200)와 수축된 팽창 부재(100)를 요도를 통해 삽입하여 방광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c) 카테터(200)를 통해 방광 내에 위치된 팽창 부재(100)의 내부에 유체(1)를 주입하여 팽창 부재(100)를 팽창시키는 단계, (d) 팽창된 팽창 부재(100)와 카테터(200)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방법은, 준비 단계(S100), 배치 단계(S200), 팽창 단계(S300), 및 분리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준비 단계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전술한 요역동학 검사장치(10)를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배치 단계는 방광 내에 카테터(200)에 결합된 수축된 팽창 부재(100)가 요도를 통해 삽입되어 방광 내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팽창 단계(S300)는, 카테터(200)를 통해 방광 내로 이동된 수축된 팽창 부재(100)에 유체(1)를 주입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팽창 부재(100)가 터지지 않으면서 팽창 부재(100)가 적정하게 팽창될 수 있도록 팽창 부재(100)에 유체(1)를 주입하여야 한다.
분리 단계(S400)는, 팽창된 팽창 부재(100)로부터 카테터(200)를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분리 단계에서, 팽창된 팽창 부재(100)는 요도의 직경보다 큰 상태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카테터(200)를 잡아당겨서 카테터(200)와 팽창 부재(1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카테터(200)를 잡아당길 경우 팽창 부재(100)는 요도를 통해 방광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카테터(200)만 팽창 부재(100)와 분리되어 요도를 통해 방광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는 카테터(200)의 분리부(220)를 작동시켜 카테터(200)와 팽창 부재(100)를 분리시킨 후에 카테터(200)를 잡아당겨 카테터(200)만 방광 외부로 뺄 수 있다.
팽창 부재(100)와 카테터(200)가 서로 분리된 후, 팽창 부재(100)는 방광 내의 소변 상에 부유할 수 있다. 팽창 부재(100) 내의 센싱유닛(300)은 부유하는 팽창 부재(100)의 압력,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싱유닛(300)에서 측정한 센싱정보는 통신 유닛을 통해
카테터(200)와 분리된 팽창 부재(100)는 방광 내의 소변 상에 부유하게 되고, 팽창 부재(100) 내의 센싱유닛(300)은 소변 상에 부유하는 팽창 부재(100)의 내부 압력, 내부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싱유닛(300)이 측정한 센싱 정보는 통신 유닛을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수신된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방광에 관련된 검사를 진행하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팽창 부재(100)의 내부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방광의 압력 정보과 소변의 배출시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요역동학 검사장치(10)의 초음파 측정유닛(700)은 방광 내의 팽창 부재(100)를 향해 초음파를 송출하고, 팽창 부재(100)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초음파 측정유닛(700)은 방광 내의 팽창 부재(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팽창 부재(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변의 배출시기 정보와 방광 내의 잔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요역동학 검사장치(10)는 전술한 파열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요역동학 검사를 마친 경우에 파열기(500)에 외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파열기(500)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카테터(200)로부터 분리된 팽창 부재(100)를 파열시킬 수 있다. 이에 팽창 부재(100)는 내부의 유체(1)가 외부로 빠져나가 수축될 수 있다. 파열되어 수축된 팽창 부재(100)와 센싱유닛(300)은 소변과 함께 요도를 통해 방광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유체 10: 요역동학 검사장치
100: 팽창 부재 200: 카테터
300: 센싱유닛 400: 통신유닛
500: 파열기 600: 모니터링 유닛
700: 초음파 측정유닛 800: 위치 가이드 부재
100: 팽창 부재 200: 카테터
300: 센싱유닛 400: 통신유닛
500: 파열기 600: 모니터링 유닛
700: 초음파 측정유닛 800: 위치 가이드 부재
Claims (11)
- 주입구를 갖는 팽창 부재;
상기 팽창 부재 내에 위치하는 센싱유닛;
상기 팽창 부재 내에 위치되고, 상기 센싱유닛에서 측정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유닛; 및
상기 팽창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팽창 부재를 팽창시키는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팽창 부재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부재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상기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입구와 연통되는 연결 통로를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팽창 부재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주입구를 향해 유동할 때, 상기 연결 통로를 개방하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그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와 연통되는 안내 관; 및
상기 안내 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 관을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부재의 내부에서 설치되고, 상기 센싱유닛이 팽창된 상기 팽창 부재의 일정 영역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위치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센싱유닛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유입 홀들을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팽창 부재의 내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들을 포함하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부재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팽창 부재를 파열시키는 파열기를 더 포함하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 (a)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요역동학 검사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카테터와 수축된 팽창 부재를 요도를 통해 삽입하여, 방광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카테터를 통해 상기 방광 내에 위치된 팽창 부재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팽창 부재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d) 팽창된 상기 팽창 부재와 상기 카테터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역동학 검사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부재와 상기 카테터가 서로 분리된 후, 상기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통신 유닛으로부터 상기 요역동학 검사장치의 센싱유닛이 측정한 상기 팽창 부재의 내부 압력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방광의 압력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요역동학 검사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역동학 검사장치는, 상기 팽창 부재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산하여 상기 팽창 부재를 파열시키는 파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열기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카테터로부터 분리된 상기 팽창 부재를 파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요역동학 검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5369A KR102342800B1 (ko) | 2019-10-10 | 2019-10-10 |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5369A KR102342800B1 (ko) | 2019-10-10 | 2019-10-10 |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2607A KR20210042607A (ko) | 2021-04-20 |
KR102342800B1 true KR102342800B1 (ko) | 2021-12-22 |
Family
ID=7574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5369A KR102342800B1 (ko) | 2019-10-10 | 2019-10-10 |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280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43745A1 (ko) * | 2022-06-16 | 2023-12-21 |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 센서 위치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6510A (ko) | 2021-11-24 | 2023-05-31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요역동학검사용 압력센서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
KR20230076511A (ko) | 2021-11-24 | 2023-05-31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복압 측정용 센서 |
KR102708757B1 (ko) | 2021-12-29 | 2024-09-23 |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요역동학 검사기용 신체 기관 모델 장치 |
KR20240139712A (ko) | 2023-03-15 | 2024-09-24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요역동학검사용 센서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2548B1 (ko) * | 1991-10-24 | 2000-07-01 | 윌리엄 뉴 | 방광요관 역류의 내시경 치료용의 탈착 가능한 벌룬 카테테르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38339B1 (en) * | 1991-06-20 | 2001-05-29 | Instrumentarium Corp. | Remote sensing tonometric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 |
CN100554325C (zh) | 2003-10-31 | 2009-10-28 | 倍耐力轮胎公司 | 高性能车轮轮胎 |
KR101431051B1 (ko) * | 2012-12-31 | 2014-08-21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
-
2019
- 2019-10-10 KR KR1020190125369A patent/KR1023428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2548B1 (ko) * | 1991-10-24 | 2000-07-01 | 윌리엄 뉴 | 방광요관 역류의 내시경 치료용의 탈착 가능한 벌룬 카테테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43745A1 (ko) * | 2022-06-16 | 2023-12-21 |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 센서 위치조절을 위한 요역동학검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2607A (ko) | 2021-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2800B1 (ko) |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
RU2451487C2 (ru) |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е непроходимости мочеиспускательного канала | |
KR101431051B1 (ko) |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 |
CN102573617B (zh) | 用于评估体腔压力的系统、设备和方法 | |
US20100121161A1 (en) | Ambulatory Urodynamics | |
US7947001B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measuring structural and elastic properties of a hollow organ | |
US20110208022A1 (en) | Device and methods for sampling prostate fluid | |
KR20190008845A (ko) | 해부학적 내압 검사를 위한 다중 채널 카테터 연결 | |
US20040064017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rectovaginal fistulas | |
Sun et al. | Fecobionics: A novel bionics device for studying defecation | |
JP2017537676A (ja) | 遠位結腸及び肛門直腸機能検査装置 | |
KR20200104827A (ko) | 하부요로 기능이상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
Van Mastrigt et al. | Towards a noninvasive urodynamic diagnosis of infravesical obstruction | |
US10349850B2 (en) | Manometric probe | |
Aagaard et al. | Urethral pressure reflectometry; a novel technique for simultaneous recording of pressure and cross‐sectional area: a study of feasibility in the prostatic urethra | |
KR101601215B1 (ko) |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 |
KR20090098097A (ko) | 복압측정기구 | |
CN203885480U (zh) | 一种直肠敏感性检测仪 | |
US20220378347A1 (en) | Phantom for urodynamic measurement | |
KR20230076510A (ko) | 요역동학검사용 압력센서 어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 |
CN209220330U (zh) | 超声成像辅助装置、超声探头组件和超声成像设备 | |
CN215740891U (zh) | 灌肠装置 | |
KR101796393B1 (ko) | 자궁경부 거치 양막파수 조기 진단 장치 | |
CN102144921A (zh) | 一种膀胱压力探头 | |
Lotti | Innovative Technologies In Non-Invasive Urodynamics Diagnost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