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486B1 -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486B1
KR102342486B1 KR1020200089595A KR20200089595A KR102342486B1 KR 102342486 B1 KR102342486 B1 KR 102342486B1 KR 1020200089595 A KR1020200089595 A KR 1020200089595A KR 20200089595 A KR20200089595 A KR 20200089595A KR 102342486 B1 KR102342486 B1 KR 10234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fastening
pres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빛나리
최연식
Original Assignee
최빛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빛나리 filed Critical 최빛나리
Priority to KR1020200089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specially adapted for hose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의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로 이루어진 연결배관(100)과, 상기 연결배관(100)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재(200)와, 상기 체결부재(200)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20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부(310) 및 다른 배관(p)에 연결되도록 제2 체결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재(300)로 이루어진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이다.

Description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 City gas piping connection }
본 발명은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벽체에 매립된 상태에서 분기된 배관과 가정 내부에 설치되는 보일러등을 연결하는데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신축, 아파트 등에는 취사 및 난방 용도로 사용되는 도시가스가 공급되고 있으며, 도시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가스 파이프라인은 종래에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도시가스 배관을 이용하여 절도범 등이 주거지 내부로 침입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근래에는 도시가스 배관을 건물의 벽체 내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각 가정 등에 공급되도록 적정 위치에서 분기되며, 이들 분기된 배관은 가정 내부에 설치된 보일러 또는 가스레인지 등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분기된 배관과 가정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기구는 금속재질의 플렉시블 주름관으로 파이프 연결 기구인 피팅(Fitting)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이들 분기배관과 연결부위에서 가스의 누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주름관 형태의 연결배관의 연결부위에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금속 재질의 C링을 끼운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가스 배관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주름관, 금속 재질의 C링, 금속 재질의 너트 등으로 체결됨에 따라 연결부위, 특히 주름관과 C링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로 도시가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1777호에는 따른 고압 가스배관용 연결구는 일측이 배관과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타측은 경사턱을 가지는 경사면에 환홈을 형성하여서 패킹이 결합되며, 피팅은 양측 나사부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의 경사면이 삽입되면서 패킹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패킹등의 부식에 의한 도시가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3287호에는 금속 플렉시블 호스에 관한 것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플렉시블 호스 표면에 형성된 인접하는 두 피치 사이의 골 부분을 절단하는 호스 절단 단계와; 상기 절단된 금속 플렉시블 호스를 고정하는 호스 고정 단계와; 상기 금속 플렉시블 호스의 말단부 피치 전방경사면을 내측으로 압착 절곡하는 호스 절곡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금속 플렉시블 호스의 말단부를 조임너트의 일측에 삽입한 후, 조임너트의 타측으로부터 조임볼트를 삽입 결합하는 플레어 이음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용 금속 플렉시블 호스는 표면에 형성된 인접하는 두 피치 사이의 골 부분이 절단되어 형성된 말단부 피치 전방 경사면이 내측으로 압착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 플렉시블 호스의 말단부를 조임너트의 일측에 삽입한 후에 상기 가스용 금속 플렉시블 호스는 표면에 형성된 인접하는 두 피치 사이의 골 부분이 절단되어 형성된 말단부 피치 전방 경사면을 모터 구동에 따라 자체 회전되는 압착공구(30)를 이용하여 내측을 압착 절곡 가공한다.
또한, 상기 플레어 이음 단계에서 조임너트와 금속 플렉시블 호스의 결합시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 외주면에는 와셔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가스용 금속 플렉시블 호스의 단부 외주면에는 와셔가 삽입되고, 말단부 피치 전방 경사면이 내측으로 압착 절곡되고, 압착공구(30)에 의하여 가공함으로 피치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수직절곡과 절곡에 의하여 형성된 2겹의 호스 단부를 정밀하게 가공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0922호에는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는 주름관의 일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확관된 확관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배관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배관이 다른 배관에 체결되도록 상기 주름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에 대하여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지된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는 체결부재 및 접속부재 사이에 밀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확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확관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확관부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확관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확관부와 동일한 각도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지지부로 이루어져서, 건물의 벽체에서 분기된 분기배관 또는 가스기기에 접속부재를 체결하고 있으나,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의 체결부재로 체결시에 체결부재를 회전시키면 체결부재는 중심선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접속부재의 접속면과 배관의 확관부와 체결부재의 내면에서 모두 접촉이 일어나고 계속해서 체결부재를 조이게 되면 체결부재와 배관의 확관부가 함께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플렉시블 배관이 꼬이거나 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술한 배관의 연결기구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제10-2008-008177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3409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3287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09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기된 배관과 고정된 가스기구를 연결하는 가스 배관용 연결구를 사용하여 배관과 가스기구를 연결 시에,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에 구비된 플렉시블 배관이 체결부재에 의하여 꼬이거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는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시가스의 연결구를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공급하여 연결구 생산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연결구의 제작 공수를 단축시켜 생산성을 높인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의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로 이루어진 연결배관(100)과, 상기 연결배관(100)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재(200)와, 상기 체결부재(200)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20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부(310) 및 다른 배관(p)에 연결되도록 제2 체결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재(300)로 이루어진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100)은 통상의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의 소정의 위치에 주름 부를 늘리는 제1 단계(S10)와, 상기 제1 단계(S10)로 늘어날 부분의 중간을 절단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제2 단계(S20)로 절단된 부분을 스웨이징(swaging)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진 평관튜브로 가공하고, 끝단부를 절단하는 제3단계(S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0)는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배관(100)의 평관튜브가 삽입되는 튜브 삽입홀(210)과, 타측면에는 접속부재(300)의 제1 체결부(310)가 결합되는 체결나사부(220)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 삽입홀(210)의 단부(211)와 체결나사부(220)의 단부(221) 사이에는 상기 평관튜브의 확관부(110)의 외면(110a)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가압부(230)는 체결부재(200)의 중심선과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각도(Q1)는 확관부(110)의 중심선과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보다 크게 형성되어,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제1 가압부(230)에 형성된 단부(211)는 선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300)의 제1 체결부(310)는 상기 체결나사부(220)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부(3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310)의 단부에는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접촉되어 가압하는 제2 가압부(39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가압부(390)는 상기 접속부재(300)의 중심선과 소정의 각도(Q3)로 이루어진 경사면(350)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면(350)의 각도(Q3)는 확관부(110)의 중심선과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50)과 접속부재(300)의 단부(370)와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서는 반지름 R1으로 라운딩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0)와, 접속부재(300)의 체결시에 상기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가 접촉되어서, 상기 플레어(Flare) 가공된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접촉하는 제1 가압부(230)의 접촉면적(M1)보다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와 접촉되는 면적(M2)이 넓게 되어, 체결부재(200)의 회전 시에도 연결배관(100)은 접속부재(300)에 고정되고, 체결부재(200)만 회전되어 연결배관(100)의 뒤틀림 없이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속부재(300)의 제1 체결부(310)는 접속부재(300)의 단부(370)의 내경부(380)의 직경(¢2)은 확관부(110)가 형성되는 평관튜브의 내경(¢1)보다 작게 형성되어, 확관부(110)의 내면(110b)으로 삽입된 접속부재의 단부(370)는 평관튜브의 내경단부(111)의 내측에 위치되어,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가 면접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확관부(110)의 중심선과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를 35.5 내지 36.0 °로 가공하며, 상기 라운딩부(340)는 반지름(R1)은 2.4~2.5mm로 라운딩된다.
또한, 상기 라운딩부(340)와 접속되는 경사부(350)와, 상기 경사부(350)와 접속되는 수평부(3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부(350)의 각도(Q3)는 중심선과 34.5~35.0° 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라운딩부(340)와 경사부(350)는 하나의 교점(交點)을 구비하여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라운딩부(340)는 면접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230)에서 경사면의 각도(Q1)는 37.0 ~ 37.5°로 형성되어, Q3 〈 Q2 〈 Q1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로 분기된 배관과 가정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기구를 연결시에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에 구비된 플렉시블 배관이 체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꼬이거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관의 확장부 한쪽면은 선접촉되고 다른쪽면은 면접촉되어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결 배관을 강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스트레칭, 스웨이징, 단부 확장 등과 같이 소재 변형을 야기하는 공정을 없이 준비된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로 연결할 수 있어, 설치제품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어, 가스공급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고압 가스배관용 연결구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로 연결배관의 제작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배관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재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배관의 확관부의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배관의 확관부와 제1 가압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의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배관의 확관부와 제2 가압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결배관과 체결부재, 접속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의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로 이루어진 연결배관(100)과, 상기 연결배관(1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단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재(200)와, 상기 연결배관(10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체결부재(20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20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부(310) 및 다른 배관(p)에 연결되도록 제2 체결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재(300)로 이루어진 구성들은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임의의 방법으로 제작된 연결배관(100)을 제조공정을 개선하였으며,
개선된 연결방법의 제조순서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배관(100)으로 사용되는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는 고도의 유연성을 요구하며 상당한 내식성이 요구되는 제품으로서 재료로는 STS 304 0.25t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는 성형된 주름부에 의해서 유연성을 갖게 되며 이 주름부의 깊이을 깊게 성형할수록 유연성이 좋아진다.
이와 같은 통상의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를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의 연결배관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를 준비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준비된 통상의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의 소정의 위치에 주름 부를 늘리는 제1 단계(S10)를 통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위치의 주름 부를 제거하여 이후 주름부를 평관튜브로 가공하는 스웨이징(swaging) 공정에서 주름부의 산이 겹쳐지지 않고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펴지게 된다.
또한, 도 2(c)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상기 제1 단계(S10)로 늘어날 부분의 중간을 절단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제2 단계(S20)로 절단된 부분을 스웨이징(swaging)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진 평관튜브로 가공하고, 끝단부를 절단하는 제3단계(S30) 공정을 통하여 연결배관(100)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정에서 준비된 연결배관(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0)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200)를 살펴보면,
상기 체결부재(200)는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배관(100)의 평관튜브가 삽입되는 튜브 삽입홀(210)과, 타측면에는 접속부재(300)의 제1 체결부(310)가 결합되는 체결나사부(220)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 삽입홀(210)의 단부(211)와 체결나사부(220)의 단부(221) 사이에는 상기 평관튜브의 단부를 플레어(Flare) 형상으로 가공된 확관부(110)의 외면(110a)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가압부(230)는 체결부재(200)의 중심선과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각도(Q1)는 확관부(110)의 중심선과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제1 가압부(230)에 형성된 단부(211)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단부의 모서리 각부분과 경사면인 확관부(110)의 외면(110a)이 하나의 선으로 선접촉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부재(300)를 살펴보면,
접속부재(300)는 앞에서 설명된 체결부재(20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부(310) 및 다른 배관(p)에 연결되도록 제2 체결부(32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300)의 제1 체결부(310)는 상기 체결나사부(220)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부(330)와, 상기 체결부(320)의 단부에는 관튜브의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접촉되어 가압하는 제2 가압부(39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가압부(390)의 단부에는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라운딩 가공된 라운딩부(340)를 구비하며, 상기 라운딩부(340)와 접속되는 경사부(350)와, 상기 경사부(350)와 접속되는 수평부(36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2 가압부(390)는 접속부재(300)의 중심선과 일정한 경사면(350)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각도(Q3)는 확관부(110)의 중심선과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확관부(110)의 내면(110b)으로 삽입되며, 상기 경사면(350)과 접속부재(300)의 단부(370)와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서는 반지름 R1으로 라운딩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재(300)의 단부(370)의 내경부(380)의 직경은 확관부(110)가 형성되는 평관튜브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접속부재의 단부(370)는 평관튜브의 내경단부(111)의 내측에 위치되어,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와 접촉하게 되면서 제1 가압부(230)에 형성된 단부(211)의 모서리 각부분과 경사면인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접촉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앞에서 설명된 부분에서 최적의 관계를 살펴 보면,
상기 제2 가압부(390)의 단부 반지름 R1은 2.4~2.5mm으로 한다.
상기 반지름이 2.4mm 보다 적으면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접촉하지 않고 확관부의 경사부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반지름이 2.5mm 보다 크게 되면, 확관부(110)의 내면(110b) 경사부가 없이 라운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가압부(390)의 단부의 최적의 라운딩 반지름 R1은 2.4~2.5mm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확관부(110)는 상기 제3단계(S30)로 가공된 평관튜브를 상기 체결부재(200)의 튜브 삽입홀(210)로 삽입한 후에 체결부재(200)의 내부로 삽입된 평관튜브부분을 플레어(Flare) 가공하되, 상기 플레어(Flare) 가공된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를 35.5 내지 36.0 °로 가공하는 제4단계(S40)로 가공된다.
또한, 제1 가압부(230)가 체결부재(200)의 중심선과 이루는 경사면의 각도(Q1)를 37.0 내지 37.5 °로 형성하여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제1 가압부(230)에 형성된 단부(211)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단부의 모서리 각부분과 경사면인 확관부(110)의 외면(110a)이 하나의 선으로 선접촉된다.
또한, 제2 가압부(390) 경사면의 각도(Q3)는 확관부(110)의 중심선과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확관부(110)의 내면(110b)으로 삽입되며, 상기 경사면(350)과 접속부재(300)의 단부(370)와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서는 반지름 R1으로 라운딩되고, 접속부재(300)의 단부(370)의 내경부(380)의 직경(¢2)은 확관부(110)가 형성되는 평관튜브의 내경(¢1)보다 작게 형성되어 접속부재의 단부(370)는 평관튜브의 내경단부(111)의 내측에 위치되어,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가 접촉하게 되면서 제1 가압부(230)에 형성된 단부(211)의 모서리 각부분과 경사면인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접촉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라운딩부(340)와 접속되는 경사부(350)와, 상기 경사부(350)와 접속되는 수평부(3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라운드부(340)와 경사부(350)의 길이는 L3이며, 상기 라운딩부(340)와 경사부(350)는 하나의 교점(交點)으로 연결되며, 수평부의 길이는 L4로 구비된다.
또한, 제2 가압부(390)와 대응되는 제1 가압부(230)의 길이는 L2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의 관계는 L3 ≤ L2 〈 L4 로 이루어져 체결부재(200)와, 접속부재(300)의 체결시에 상기 플레어(Flare) 가공된 확관부(110)의 내면(110b)에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가 접촉하면서 진입하여 평관튜브의 내경부로 계속하여 진행하면서 경사부(350)에 의하여 확관부(110)를 가압하여 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이서 호칭 15의 플렉시블 연결관을 연결하는 제1 가압부(230)의 길이(L2)는 2.6mm이고 내경부의 직경은 16.5mm로 형성되어 있고, 제2 가압부(390)의 라운드부(340)와 경사부(350)의 합한 길이(L3)는 2.4mm이며, 수평부의 길이(L4)는 3.0mm로 이루어지며, 체결부재(200)와, 접속부재(300)의 체결 나사의 길이는 모두 10mm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체결부재(200)와, 접속부재(300)의 체결시에 상기 플레어(Flare) 가공된 확관부(110)의 내면(110b)은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가 접촉하면서 평관튜브의 내경부로 진입하면서 경사부(350)와 동일한 각도로 변형되면서 접촉면적(M2)이 증가된다.
또한,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는 접촉하는 제1 가압부(230)에 형성된 단부(211)의 모서리 각부분이 접촉하면서 가압하여, 가압에 의하여 상기 단부(211)의 모서리 각부분과 확관부(110)의 외면(110a)이 가압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접촉면적(M1)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제1 가압부(230)와 제2 가압부(390)는 확관부(110)를 가압하면서 접촉면적이 증가되지만,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접촉하는 제1 가압부(230)의 접촉면적(M1)보다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와 접촉되는 면적(M2)이 항상 더 넓게 형성된다.
또한, 제2 가압부(390) 경사부(350)의 각도(Q3)는 중심선과 34.5~3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압부(230)에서 경사면의 각도(Q1)는 37.0 ~ 37.5 °로 형성되어, Q3 〈 Q2 〈 Q1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결배관과 체결부재, 접속부재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체결부재(200)와, 접속부재(300)의 체결이 완료되면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는 접촉하는 제1 가압부(230)에 형성된 단부(211)의 모서리 각부분이 접촉하면서 가압하여, 가압에 의하여 상기 단부(211)의 모서리 각부분과 확관부(110)의 외면(110a)이 가압에 의하여 확관부(110)의 외면(110a)이 압축 변형됨을 알 수 있고,
또한, 확관부(110)의 내면(110b)은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가 접촉하면서 평관튜브의 내경부로 진입하면서 확관부(110)의 내면(110b)이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와 경사부(350)와 동일한 형태로 변형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와 경사부(350)가 확관부(110)의 내면(110b)을 따라 진입한 후에는 평관튜브의 내경(¢1)로 진입되어 평관튜브는 제2 가압부(39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압에 의하여 변형되어도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접촉하는 제1 가압부(230)의 접촉면적(M1)보다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와 접촉되는 면적(M2)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부재(200)의 회전 시에도 연결배관(100)은 접속부재(300)에 고정되고, 체결부재(200)만 회전되어 연결배관(100)의 뒤틀림 없이 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연결배관 110 : 확관부
200 : 체결부재 210 : 튜브 삽입홀
220 : 체결나사부 230 : 제1 가압부
300 : 접속부재 310 : 제1 체결부
320 : 제2 체결부 330 : 체결나사부
340 : 라운딩부 350 : 경사면

Claims (4)

  1. 소정의 길이의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로 이루어진 연결배관(100)과,
    상기 연결배관(1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단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체결부재(200)와,
    상기 연결배관(10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체결부재(20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20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부(310) 및 다른 배관(p)에 연결되도록 제2 체결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재(300)로 이루어진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100)은
    통상의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의 소정의 위치에 주름 부를 늘리는 제1 단계(S10)와;
    상기 제1 단계(S10)로 늘어날 부분의 중간을 절단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제2 단계(S20)로 절단된 부분을 스웨이징(swaging)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진 평관튜브로 가공하고, 끝단부를 절단하는 제3단계(S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재(200)는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배관(100)의 평관튜브가 삽입되는 튜브 삽입홀(210)과,
    타측면에는 접속부재(300)의 제1 체결부(310)가 결합되는 체결나사부(220)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 삽입홀(210)의 단부(211)와 체결나사부(220)의 단부(221) 사이에는 상기 평관튜브의 단부를 플레어(Flare) 형상으로 가공된 확관부(110)의 외면(110a)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가압부(230)는 체결부재(200)의 중심선과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각도(Q1)는 확관부(110)의 중심선과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보다 크게 형성되어,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제1 가압부(230)에 형성된 단부(211)는 선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접속부재(300)의 제1 체결부(310)는
    상기 체결나사부(220)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부(330)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제1 체결부(310)의 단부에는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접촉되어 가압하는 제2 가압부(39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가압부(390)는 상기 접속부재(300)의 중심선과 소정의 각도(Q3)로 이루어진 경사면(350)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350)의 각도(Q3)는 확관부(110)의 중심선과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50)과 접속부재(300)의 단부(370)와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서는 반지름 R1으로 라운딩되어,
    상기 체결부재(200)와, 접속부재(300)의 체결시에 상기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가 접촉되어서,
    상기 확관부(110)의 외면(110a)과 접촉하는 제1 가압부(230)의 접촉면적(M1)보다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와 접촉되는 면적(M2)이 넓게 되어, 체결부재(200)의 회전 시에도 연결배관(100)은 접속부재(300)에 고정되고, 체결부재(200)만 회전되어 연결배관(100)의 뒤틀림 없이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300)의 제1 체결부(310)는
    접속부재(300)의 단부(370)의 내경부(380)의 직경(¢2)은 확관부(110)가 형성되는 평관튜브의 내경(¢1)보다 작게 형성되어
    확관부(110)의 내면(110b)으로 삽입된 접속부재의 단부(370)는 평관튜브의 내경단부(111)의 내측에 위치되어,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제2 가압부(390)의 라운딩부(340)가 면접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110)의 중심선과 외면(110a)이 이루는 각도(Q2)를 35.5 내지 36.0 °로 가공하며,
    상기 라운딩부(340)는
    반지름 2.4~2.5mm로 라운딩되며,
    상기 라운딩부(340)와 접속되는 경사부(350)과
    상기 경사부(350)와 접속되는 수평부(3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부(350)의 각도(Q3) 는 중심선과 34.5~35.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라운딩부(340)와 경사부(350)는 하나의 교점(交點)을 구비하여 확관부(110)의 내면(110b)과 라운딩부(340)는 면접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230)에서
    경사면의 각도(Q1)는 37.0 ~ 37.5°로 형성되어,
    Q3 〈 Q2 〈 Q1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KR1020200089595A 2020-07-20 2020-07-20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KR10234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595A KR102342486B1 (ko) 2020-07-20 2020-07-20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595A KR102342486B1 (ko) 2020-07-20 2020-07-20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486B1 true KR102342486B1 (ko) 2021-12-23

Family

ID=7917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595A KR102342486B1 (ko) 2020-07-20 2020-07-20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48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936A (ko) * 2004-05-14 2005-11-17 주영수 금속 플렉시블 가스 연결관 연결부재 및 연결방법
KR20080081777A (ko) 2007-03-06 2008-09-10 월드파워텍주식회사 고압 가스배관용 연결구.
KR20100113287A (ko) 2009-04-13 2010-10-21 신화옥 금속 플렉시블 호스 연결 방법 및 그 금속 플렉시블 호스
KR101233409B1 (ko) 2012-09-28 2013-02-15 천영민 확관형 배관과 그 조인트의 구조
KR20170043941A (ko) * 2015-10-14 2017-04-24 임영순 배관 연결용 너트 시스템
KR20190060922A (ko) 2017-11-25 2019-06-04 송청호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0468A (ko) * 2018-04-13 2019-10-24 (주)티엘파이프 가스용 주름관의 기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936A (ko) * 2004-05-14 2005-11-17 주영수 금속 플렉시블 가스 연결관 연결부재 및 연결방법
KR20080081777A (ko) 2007-03-06 2008-09-10 월드파워텍주식회사 고압 가스배관용 연결구.
KR20100113287A (ko) 2009-04-13 2010-10-21 신화옥 금속 플렉시블 호스 연결 방법 및 그 금속 플렉시블 호스
KR101233409B1 (ko) 2012-09-28 2013-02-15 천영민 확관형 배관과 그 조인트의 구조
KR20170043941A (ko) * 2015-10-14 2017-04-24 임영순 배관 연결용 너트 시스템
KR20190060922A (ko) 2017-11-25 2019-06-04 송청호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0468A (ko) * 2018-04-13 2019-10-24 (주)티엘파이프 가스용 주름관의 기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0018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собранный фитинг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гофрированным трубопроводом (варианты)
US7055868B2 (en) Corrugated tube fitting
JPH033837B2 (ko)
AU2015343590B2 (en) A fitting, a method for connecting corrugated tubing to a fitting and use of a fitting
CN106795986B (zh) 软管管道及软管管道的制造方法
WO2020233335A1 (zh) 一种与管子连接的管接头
KR102342486B1 (ko)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EP1041330A1 (en) Pipe joint made of resin
KR101999928B1 (ko) 벤딩이 용이한 배관 압착 연결관
KR100242821B1 (ko)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KR102383855B1 (ko) 플렉시블 조인트
KR100668706B1 (ko) 금속 플렉시블 가스 연결관 연결부재 및 연결방법
KR20140100697A (ko) 가스 주름관 연결장치
KR100495273B1 (ko) 체결밴드가 일체로 형성된 관연결구
KR200445021Y1 (ko) 비틀림을 방지한 플렉시블 조인트용 호스 접속구
JP2000193157A (ja) 管継手
EP0486962A1 (en) Multi-purpose flexible sleeve
WO1998045639A1 (fr) Raccord pour tuyaux souples
CN211010248U (zh) 一种与管子连接的管接头
JPH1019176A (ja) 管継手
JPH10196867A (ja) チューブ用継手
KR20060027975A (ko) 관 연결구
KR100313235B1 (ko)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KR200344705Y1 (ko) 주름관의 연결장치
KR200176623Y1 (ko) 동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