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077B1 - 책등없는 책자 - Google Patents

책등없는 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077B1
KR102341077B1 KR1020210019675A KR20210019675A KR102341077B1 KR 102341077 B1 KR102341077 B1 KR 102341077B1 KR 1020210019675 A KR1020210019675 A KR 1020210019675A KR 20210019675 A KR20210019675 A KR 20210019675A KR 102341077 B1 KR102341077 B1 KR 10234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glass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세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세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세임
Priority to KR102021001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2Back of leaves or signatures prepared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2Covers or strips provided with adhesive for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등없는 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는 내용물을 이루는 다수의 내지(200); 상기 다수의 내지(200)의 일측면을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1 접착제; 상기 다수의 내지(200)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지(200)를 덮어 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내지(200)를 보호하는 표지(100); 및 상기 다수의 내지(200) 일측면과 상기 표지(100)를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2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는 책등 부분 없이 표지와 내지만을 결합하여 완성된 책자를 구성함으로써 외관상 세련되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빈티지한 멋을 보여주고 책등으로부터 내지가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책등없는 책자{A BOOKLET WITHOUT BACKBONE OF BOOKBINDING}
본 발명은 책등없는 책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등 부분 없이 표지와 내지만을 결합하여 완성된 책자를 구성함으로써 외관상 세련되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빈티지한 멋을 보여주고 책등으로부터 내지가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책등없는 책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이루는 다수의 내지(200)를 순서대로 적층한 후 적층된 내지(200)의 일측단부를 제본용 실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상기 제본용 실 또는 접착제로 고정된 내지(200)의 일측단부가 책등(50)과 접착되도록 부착함으로써 책자(10)를 완성하게 된다.
즉, 종래의 책자(10)는 표지(100)에 내지(200)(통상적으로 책의 내용이나 공책 내부지)를 접착하고, 이와 동시에 표지(100)의 책등(50) 부분과 내지(200)의 일측단부를 접착제로 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책자(10)를 구성하는 내지(200)는 사철이라는 공정을 통하여 각각의 내지(200)를 결합함으로써 다수 페이지의 내지(200)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본용 실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내지의 일측단부를 책등과 접착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책등과 내지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고, 외관상 책등 부분이 도드라져 보임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책자는 제본용 실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내지간의 결속력이 취약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표지의 디자인만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 획일화된 외관을 가지고 있어 책의 내용과 함께 책 자체의 외관에 대한 관심과 기호가 증대되고 있는 소비자의 문화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 제20-0433919호(2006년 12월 07일 등록) 국내등록실용 제20-0447808호(2010년 02월 12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679635호(2007년 01월 31일 등록)
본 발명은 책등 부분 없이 표지와 내지만을 결합하여 완성된 책자를 구성함으로써 외관상 세련되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빈티지한 멋을 보여주고 책등으로부터 내지가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책등없는 책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본용 실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내지간의 결속력이 취약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종래 책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책자의 내용과 함께 책자 자체의 외관에 대한 관심과 기호가 증대되고 있는 소비자의 문화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책등없는 책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는 내용물을 이루는 다수의 내지(200); 상기 다수의 내지(200)의 일측면을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1 접착제; 상기 다수의 내지(200)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지(200)를 덮어 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내지(200)를 보호하는 표지(100); 및 상기 다수의 내지(200) 일측면과 상기 표지(100)를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2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및 정제수(Water)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및 정제수(Water)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40 내지 60 중량% 및 정제수(Water) 40 내지 6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5 내지 10 중량%,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25 내지 35 중량% 및 정제수(Water) 60 내지 7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는 책등 부분 없이 표지와 내지만을 결합하여 완성된 책자를 구성함으로써 외관상 세련되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빈티지한 멋을 보여주고 책등으로부터 내지가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는 제본용 실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내지간의 결속력이 취약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종래 책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책자의 내용과 함께 책자 자체의 외관에 대한 관심과 기호가 증대되고 있는 소비자의 문화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책등이 구비된 책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의 일측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책등이 구비된 책자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의 일측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는 책등(50) 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표지(10)와 내지(200)만을 결합하여 완성된 책자(10)를 제조함으로써, 외관상 세련되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책등으로부터 내지가 쉽게 분리되는 종래 책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10)는 종래와 같이 다수의 내지(200)가 책등(50)과 결합되지 않고, 다수의 내지(20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책등(50)과 내지(200)간의 결속력이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책자(10)의 내용과 함께 책자(10) 자체의 외관에 대한 관심과 기호가 증대되고 있는 소비자의 문화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10)는 내용물을 이루는 다수의 내지(200), 상기 다수의 내지(200)의 일측면을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1 접착제(미도시), 상기 다수의 내지(200)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지(200)를 덮어 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내지(200)를 보호하는 표지(100), 및 상기 다수의 내지(200) 일측면과 상기 표지(100)를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2 접착제(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10)는 책자(10)에 책등(50)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다수의 내지(200)를 접착하는 제1 접착제(미도시)와, 상기 다수의 내지(200) 일측면과 상기 표지(100)를 접착하는 제2 접착제(미도시) 조성물의 구성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공지된 내지(200) 및 표지(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접착제(미도시)는 상기 다수의 내지(200)를 접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상기 제1 접착제는 다수의 내지(200)를 사철하여 다수 페이지의 내지(200) 뭉치로 제조할 때, 상기 다수의 내지(2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및 정제수(Water)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40 내지 60 중량% 및 정제수(Water) 40 내지 6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는 에틸렌(ethylene)과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의 공중합체로서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에 따라 경질소재에서부터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연질소재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범위가 매우 넓으며, 폴리에틸렌에 비해 결정성이 낮고 저온특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고분자이나 고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전기절연성과 내전압성이 우수하고, 투명성, 베리어 특성, 접착성, 그리고 UV 특성 등이 우수하여 튜브, 포장재, 전선피복재, 전기절연제품, 테이프, 접착제, 각종 시트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태양전지와 같은 광전소자의 보호필름이나 봉지재 등으로 그 사용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상기 정제수(Water)는 용매로 사용되고 상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분산시키고 접착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다수의 내지(200) 일측면과 상기 표지(100)를 견고하게 접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및 정제수(Water)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5 내지 10 중량%,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25 내지 35 중량% 및 정제수(Water) 60 내지 7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은 물에 녹는 특이한 고분자 물질로서, -OH 함유 선형 결정고분자이며, 우수한 내용제성과 내유성을 가지고 있어 필름 및 섬유의 형성이 용이하고 표면 활성도, 기계적 성질 및 접착 강도가 높고, 용해도와 화학적 반응이 우수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자량, 비누화도 및 입체규칙성에 따라 의류나 산업용 섬유, 광학적 필름, 분리용 필터 및 의학용 고분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활용범위를 갖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라디칼 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시드를 이용하여 원료 비닐아세테이트를 라디칼 중합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중합반응의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제조 공정에서 유해 화학물질이 첨가되지 않는 친환경 수지이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수축성이 좋고 강도가 높기 때문에 다수의 내지(200)와 표지(100)를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고, 고품질의 우수한 책자(1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Water)는 용매로 사용되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를 분산시키고 접착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10)에서 상기 표지(100)이 표면에는 하기의 코팅액 조성물이 도포된 후 건조되어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표지(100)의 내구성,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고 심미감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표지(100)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미도시)는 코팅액 조성물을 상기 표지(100) 상부에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에멀젼 수지, 인계 단량체, 글라스 비드, 에틸렌글리콜, 탄산칼슘, 분산제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5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인계 단량체 5 내지 15 중량부, 글라스 비드 1 내지 1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부, 탄산칼슘 2 내지 6 중량부, 분산제 0.3 내지 0.7 중량부 및 이소시아네이트 0.1 내지 0.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접착력이 우수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Bisphenol)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Bisphenol) F형 에폭시 수지, Brominated 에폭시 수지, Hydrogenated bisphenol-A형 에폭시 수지, Novolac 에폭시 수지, Phenol 에폭시 수지, 그 밖에 분자 내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이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Bisphenol) A형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185 내지 19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당량이 500 내지 60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1:1 중량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피막형성 온도가 낮고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유연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내후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모노머 조성물, 가교성 모노머 및 안정제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모노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교성 모노머 1 내지 5 중량부 및 안정제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은 알케닐 방향족 모노머(alkenyl aromatic monomer);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4~2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메트아크릴산(methacrylic acid)의 알킬(alkyl) 에스테르, (헤테로)사이클로알킬((hetero)cycloalkyl) 에스테르 또는 아랄킬(aralkyl) 에스테르; 1~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랄킬기로 N-치환된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및 메트아크릴아마이드(methacrylamide);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및 비닐 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에 가교 기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부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데,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하이드록시(hydroxy) 기능성 모노머, 아미노(amino) 기능성 모노머, 에폭시(epoxy) 기능성 모노머, 카르보닐(carbonyl) 기능성 모노머 및 메티올(methyol) 기능성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 기능성 모노머는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및 2-hydroxybutyl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아미노 기능성 모노머는 N,N-dimethyl 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 aminoethyl acrylate 및 N,tert-butyl aminoeth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 기능성 모노머는 glycidyl methacrylate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카르보닐 기능성 모노머는 diacetone acrylamide 또는 acetoacetoxyrthyl metacryl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메틸올 기능성 모노머는 N-methylol acrylamide, N-methylol methacrylamide 및 N-n-isobutoxymethyl acry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안정제는 알릴 알킬 황산염(allyl alkyl sulfonate) 또는 공중합성 황산염 모노머(copolymerizable sulfonate manom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계 단량체는 표지(100) 표면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상기 인계 단량체로는 모노 알킬 포스페이트(Mono alkyl phosphate) 또는 디알킬 포스페이트(Di alkyl phosph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인계 단량체로는 비스[2-(메타크릴옥시)에틸]포스페이트(Bis[2-(methacyloyloxy)ethyl] phosphate, DMEP), 2-(메타크릴옥시)에틸포스페이트 (2-(methacryloyloxy) ethyl phosphate, MMEP) 및 트리스 2-(메타크릴옥시)에틸 포스페이트(Tris(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TME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비드는 상기 표지(100)가 형성된 책자(10)가 장식미를 갖고, 미적 심미감을 불러 일으키게 할 수 있는데, 상기 글라스 비드는 하기의 방법으로 각종 첨가물이 혼합되어 제조된 글라스 비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비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에폭시 혼합 수지액은 추후 공정에서 안료, 축광안료, 가공유리 등을 혼합하여 결합하는 바인더로 작용할 수 있는데, 상기 에폭시 혼합 수지액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 혼합 수지액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및 폴리비닐알콜 5 내지 15 중량부를 배합한 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자체 내에 유화시킬 수 있는 활성기를 가지고 있는 에폭시 수지로, 상기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200 내지 220g/eq인 자기유화형 변성 에폭시 수지가 사용됨으로써, 강도, 내후성, 내수성 등의 물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20 내지 30 중량부가 사용되는데, 상기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 내후성, 내수성 등의 물성을 얻을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건조성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 80~90 중량% 및 트리올 10~20 중량%를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무수산 40~50 중량% 및 지방족산 50~60 중량% 포함하는 다염기산과 축합 중합시켜 수산기값이 45~65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유리전이온도가 5~20℃이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3,5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50~60 중량% 및 아크릴 단량체 40~50 중량%를 그래프트(graft) 시켜서 중량평균분자량(Mw) 5,000~7,000, 수산기값이 50~60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및 유리전이 온도가 10~20℃ 범위인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친환경적인 재료로, 유화성, 내수접착성, 점도안정성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상기 수지와의 좋은 상용성을 가지고 있으며 야광 장신구 제조시 점도조절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20,000 내지 80,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에폭시 혼합 수지액에 안료, 축광안료 및 가공유리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안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고, 축광안료 및 가공유리를 포함하여 빛의 반사성 및 입체적인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는데, 상기 안료(Pigment)는 요구하는 색상을 충분히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고, 철, 동, 망간, 코발트, 크롬, 니켈, 아연, 칼슘 및 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복합산화물, 금속황화물 또는 금속 탄산염, 카본블랙, 티탄블랙 및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축광안료는 야간에도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축광안료는 유로피늄(Eu), 가돌리늄(Gd), 디스프로슘(Dy), 터븀(Tb) 및 이터븀(Y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희토류 원소가 도핑된 알카리토류 금속의 알루미나 성분의 복합물인 무기계 축광안료를 사용하되,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의 알루미나 성분의 복합물로는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칼륨, 산화스트론튬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염들의 복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축광안료는 Al2O3CaO 3 내지 5 중량부, Al2O3MgO 2 내지 4 중량부, SrAl2O4 1 내지 3 중량부 및 Al2O3CaOSrOB2O3 2 내지 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염들의 복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축광안료는 평균 입경이 10 내지 200n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가공유리는 폐유리를 가열함으로써 재처리된 고강도 유리로 입경은 10 내지 100nm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가공유리는 폐유리를 분쇄한 후 6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폐유리를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동결하여 1차 가공된 폐유리를 제조하고, 상기 1차 가공된 폐유리를 다시 한번 분쇄한 후 6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폐유리를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2차 동결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유리는 날카로운 부분이 없도록 유리알 형태로 가공될 수 있고, 상기 유리알 형태로 형성된 가공유리는 스티커 필름(10)의 입체적인 심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에폭시 혼합 수지액에 상기 안료는 2 내지 4 중량부, 상기 축광안료는 1 내지 5 중량부, 상기 가공유리는 3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안료, 축광안료 및 가공유리가 혼합된 에폭시 혼합 수지액에 경화제를 혼합한 후 몰드에 투입하고 반경화시켜 성형 원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염료, 축광안료 및 가공유리가 혼합된 에폭시 혼합 수지액에 경화제를 혼합한 후 몰드에 투입하고 반 경화시켜 성형 원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몰드는 일정한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등의 형상에 부합되는 성형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염료, 축광안료 및 가공유리가 혼합된 에폭시 혼합 수지액에 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유지함으로써, 상기 에폭시 혼합 수지액이 완전히 굳은 상태가 아닌 유동성을 가지는 반경화 상태의 성형 원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염료, 축광안료 및 가공유리가 혼합된 에폭시 혼합 수지액에 포함되어 경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경화제로는 경화제수지 및 경화촉진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수지로는 변성 지방족 폴리아민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화촉진제로는 2,4,6-트리디메칠아미노메칠 페놀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경화제수지와 경화촉진제는 각각 경화제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및 경화촉진제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반경화된 성형 원형물을 가열하여 구움으로써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반 경화된 성형 원형물을 180 내지 20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여 구움으로써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반경화된 성형 원형물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구워 성형물을 제조함으로써, 제조되는 글라스 비드가 외부의 충격이나 온도, 습도 등의 변화에 따라 쉽게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성형물을 분쇄하여 글라스 비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성형물을 공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입경이 작은 글라스 비드를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경화 전에는 유동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경화 후에는 물리적, 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은 코팅액 조성물에 포함되는 무기 충전제로 사용되고, 겉보기 점도를 높여 초기 점착을 증가시키며,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은 화학식이 CaCO3로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염 중에서 가장 많고, 그 형태도 다양한데, 대리석, 방해석, 선석, 석회석, 백악, 빙주석(氷洲石), 조개껍질, 달걀껍질, 산호 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일반적으로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고체로, 비중 2.93이며, 825℃에서 분해될 수 있고, 가열하면 이산화탄소(CO2)를 발생하고 생석회를 얻을 수 있다(CaCO3 → CaO + CO2 ↑).
상기 탄산칼슘은 값이 싸고 비중도 크지 않아 공업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칼슘은 석회석 대리석으로서 시멘트의 주원료, 산화칼슘의 원료, 건축재료 등의 중화제(中和劑)로서 사용될 수 있다. 호분은 백색안료와 수성도료에, 침강 탄산칼슘은 안료, 도료, 치약 등에 사용되며, 고무에도 보강제로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코팅액 조성물의 침전을 방지하고 분산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분산제로는 폴리에스터 폴리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Polyether-polydimethylsiloxane copolymer), 디메틸올 부타논산(DMBA), 디메틸올 프로피온산(DMPA), 메틸렌디에탄올아민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는 경화제로 기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는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HDT),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및 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ylmethanediisocyanate, H12MDI)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
다수의 내지, 상기 다수의 내지의 일측면을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1 접착제, 상기 다수의 내지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지를 덮어 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내지를 보호하는 표지, 및 상기 다수의 내지 일측면과 상기 표지를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2 접착제를 포함하는 책등없는 책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50 중량% 및 정제수(Water) 5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7 중량%,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30 중량% 및 정제수(Water) 63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책등이 구비된 책자를 준비하였고, 이를 비교예에 따른 책자로 사용하였다.
< 물성 평가 >
상기 실시예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와, 비교예에 따른 책자의 사용감, 심미감, 그립감, 종합적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사용감 심미감 그립감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5 8.4 8.3 8.4
비교예 6.8 6.5 6.6 6.7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가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책자에 비해 사용감, 심미감, 그립감 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결합력 >
상기 실시예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와, 비교예에 따른 책자를 열었다가 덮는 동작을 하루 500회씩 반복 수행한 후 20일 후 책자의 결합력 상태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O ; 결합부분 상태 양호, X ; 결합부분 일부 파손
구분 결합부분 상태
실시예 O
비교예 X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책등없는 책자는 장기간 사용 후에도 접착 부분의 결합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책자
50; 책등
100; 표지
200; 내지

Claims (3)

  1. 내용물을 이루는 다수의 내지(200);
    상기 다수의 내지(200)의 일측면을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1 접착제;
    상기 다수의 내지(200)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지(200)를 덮어 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상기 내지(200)를 보호하는 표지(100); 및
    상기 다수의 내지(200) 일측면과 상기 표지(100)를 접착하여 결합하는 제2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50 중량% 및 정제수(Water) 5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제2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7 중량%,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30 중량% 및 정제수(Water) 63 중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표지(100) 표면에는 코팅액 조성물이 도포되어 건조된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5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인계 단량체 5 내지 15 중량부, 글라스 비드 1 내지 1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부, 탄산칼슘 2 내지 6 중량부, 분산제 0.3 내지 0.7 중량부 및 이소시아네이트 0.1 내지 0.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Bisphenol) A형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185 내지 19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당량이 500 내지 60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가 1:1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인계 단량체는 비스[2-(메타크릴옥시)에틸]포스페이트(Bis[2-(methacyloyloxy)ethyl] phosphate), 2-(메타크릴옥시)에틸포스페이트 (2-(methacryloyloxy) ethyl phosphate) 및 트리스 2-(메타크릴옥시)에틸 포스페이트(Tris(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글라스 비드는,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및 폴리비닐알콜 5 내지 15 중량부를 배합한 후 혼합하여 에폭시 혼합 수지액을 제조하되, 상기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200 내지 220g/eq인 자기유화형 변성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 80~90 중량% 및 트리올 10~20 중량%를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무수산 40~50 중량% 및 지방족산 50~60 중량% 포함하는 다염기산과 축합 중합시켜 수산기값이 45~65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유리전이온도가 5~20℃이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3,5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50~60 중량% 및 아크릴 단량체 40~50 중량%를 그래프트(graft) 시켜서 제조된 중량평균분자량(Mw) 5,000~7,000, 수산기값이 50~60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및 유리전이 온도가 10~20℃ 범위인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되며, 상기 에폭시 혼합 수지액에 안료, 축광안료 및 가공유리를 혼합하되, 상기 안료는 철, 동, 망간, 코발트, 크롬, 니켈, 아연, 칼슘 및 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복합산화물, 금속황화물 또는 금속 탄산염, 카본블랙, 티탄블랙 및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안료가 사용되며, 상기 축광안료는 Al2O3CaO 3 내지 5 중량부, Al2O3MgO 2 내지 4 중량부, SrAl2O4 1 내지 3 중량부 및 Al2O3CaOSrOB2O3 2 내지 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염들의 복합물이 사용되고, 상기 축광안료는 평균 입경이 10 내지 200nm이며, 상기 가공유리는 폐유리를 분쇄한 후 6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폐유리를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동결하여 1차 가공된 폐유리를 제조하고, 상기 1차 가공된 폐유리를 다시 한번 분쇄한 후 6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폐유리를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2차 동결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며, 상기 에폭시 혼합 수지액에 상기 안료는 2 내지 4 중량부, 상기 축광안료는 1 내지 5 중량부, 상기 가공유리는 3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며, 염료, 축광안료 및 가공유리가 혼합된 에폭시 혼합 수지액에 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유지하여 성형 원형물을 제조하되, 상기 경화제는 경화제수지 및 경화촉진제가 혼합되어 사용되고, 상기 경화제수지로는 변성 지방족 폴리아민이 사용되며, 상기 경화촉진제로는 2,4,6-트리디메칠아미노메칠 페놀이 사용되고, 상기 경화제수지와 경화촉진제는 각각 경화제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및 경화촉진제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성형 원형물을 180 내지 20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여 구움으로써 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성형물을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글라스 비드가 이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등없는 책자.
  2. 삭제
  3. 삭제
KR1020210019675A 2021-02-15 2021-02-15 책등없는 책자 KR102341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675A KR102341077B1 (ko) 2021-02-15 2021-02-15 책등없는 책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675A KR102341077B1 (ko) 2021-02-15 2021-02-15 책등없는 책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077B1 true KR102341077B1 (ko) 2021-12-20

Family

ID=7903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675A KR102341077B1 (ko) 2021-02-15 2021-02-15 책등없는 책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0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919Y1 (ko) 2006-09-29 2006-12-13 김효진 책등이 노출되도록 제본된 책
KR100679635B1 (ko) 2005-09-16 2007-02-06 주식회사 비유와상징 책등 분리형 책 및 상기 책의 제조방법
KR200447808Y1 (ko) 2009-07-14 2010-02-22 주식회사 비상교육 책등 노출형 합본책
KR20120069690A (ko) * 2009-09-23 2012-06-28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2232516A (ja) * 2011-05-02 2012-11-29 Nagayoshi Ishida 書籍カバー
KR20200108941A (ko) * 2019-03-11 2020-09-22 조용백 친환경 기능성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635B1 (ko) 2005-09-16 2007-02-06 주식회사 비유와상징 책등 분리형 책 및 상기 책의 제조방법
KR200433919Y1 (ko) 2006-09-29 2006-12-13 김효진 책등이 노출되도록 제본된 책
KR200447808Y1 (ko) 2009-07-14 2010-02-22 주식회사 비상교육 책등 노출형 합본책
KR20120069690A (ko) * 2009-09-23 2012-06-28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60091451A (ko) * 2009-09-23 2016-08-02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70096213A (ko) * 2009-09-23 2017-08-23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2232516A (ja) * 2011-05-02 2012-11-29 Nagayoshi Ishida 書籍カバー
KR20200108941A (ko) * 2019-03-11 2020-09-22 조용백 친환경 기능성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03524B (zh) 用于层压透明膜的uv反应性热熔粘合剂
JP6015877B1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加飾成型体
US7300996B2 (en) Reactive hot melt adhesive
WO2012101820A1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WO1995018162A1 (fr) Polymere bloc, polymere d&#39;addition thermoplastique, leurs procedes de fabrication et leurs utilisations
JP2006299252A (ja) 感圧式接着剤組成物及びその利用
WO2001025356A1 (de) Mit aktinischer strahlung aktivierbare bindungen enthaltendes festes stoffgemisch und seine verwendung
JP3521927B2 (ja) 水性プリントラミネート接着剤組成物およびプリントラミネート方法
EP1218463B1 (de) Feststoff, enthaltend über urethangruppen an die grundstruktur gebundene gruppen, die mit aktinischer strahlung aktivierbare bindungen enthalten, und ihre verwendung
JP2008132654A (ja) 熱成形用積層シート
JP5260259B2 (ja) 表示画面用光学フィルター
KR102341077B1 (ko) 책등없는 책자
DE10316890A1 (de) Mit aktinischer Strahlung aktivierbare Initiatoren enthaltende Mischungen sowie Zwei- und Mehrkomponentensystem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6111582B2 (ja) 有機ガラス積層用フィルム、及び積層有機ガラス
JP7404656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樹脂硬化物、積層フィルム、転写フィルム及び積層体
KR102380416B1 (ko) 입체적 표현이 가능한 스티커 필름
JP2019006897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ト
KR102496192B1 (ko) 2코트 방식의 도장용 도료 조성물
JPH10251594A (ja) ポリウレタン樹脂と塩素化ポリオレフィンとからなるバインダー組成物
JP6111581B2 (ja) 有機ガラス積層用フィルム、及び積層有機ガラス
JP6477755B2 (ja) 有機ガラス積層用フィルム、及び積層有機ガラス
KR102123294B1 (ko) 광 연출 입자
KR100463689B1 (ko) 우수한 내후성과 유연성을 갖는 역반사 시트 및 그의제조방법
JP2003048946A (ja) 水性シラノール化ウレタン系樹脂組成物
KR102259012B1 (ko) 수성 베이스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