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073B1 -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 Google Patents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073B1
KR102341073B1 KR1020200116367A KR20200116367A KR102341073B1 KR 102341073 B1 KR102341073 B1 KR 102341073B1 KR 1020200116367 A KR1020200116367 A KR 1020200116367A KR 20200116367 A KR20200116367 A KR 20200116367A KR 102341073 B1 KR102341073 B1 KR 10234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welding
welding equipment
output current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리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리미
Priority to KR102020011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6Arrangements or circuits for starting the arc, e.g. by generating ignition voltage, or for stabilising the arc
    • B23K9/067Starting the ar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6Arrangements or circuits for starting the arc, e.g. by generating ignition voltage, or for stabilising the arc
    • B23K9/073Stabilising the ar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은 용접 시작 신호에 의해 와이어가 공급되면, 용접 장비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전류가 소정의 기준전류 이상이면, 모재와 상기 와이어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이후에, 상기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시간인 제어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전류인 스타트 전류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출력 전류를 소정의 용접 전류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 전류는 상기 용접 전류보다 큰 값이다.

Description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ARC START CONTROL METHOD OF WELDING EQUIPMENT AND WELDING EQUIPMENT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아크 용접 장비는 용접기, 와이어 송급장치, 용접토치를 포함한다.
이때, 용접기는 용접 장비의 작동을 제어하며, 와이어 송급장치는 용접을 위한 와이어를 송급하고, 용접토치는 모재에 대하여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용접 장비의 경우 용접 초기의 스타트 성공이 매우 어려우며 이에 따른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접이 시작되면 용접 전압은 무부하 상태이므로 높은 전압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용접토치가 모재에 단락되면, 용접토치와 모재 간의 전류가 급상승하게 되어, 와이어가 모재에 달라붙어버리거나 끊어져버려 불완전 스타트가 발생하여 용접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불완전 스타트를 방지하여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아크 스타트 과정에서 출력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불완전 스타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은 용접 시작 신호가 감지되면, 용접 장비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전류가 소정의 기준전류 이상이면, 모재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이후에, 상기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시간인 제어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전류인 스타트 전류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출력 전류를 소정의 용접 전류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 전류는 상기 용접 전류보다 큰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용접 전류로 변경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울기인 전류기울기로 상기 출력 전류를 상기 스타트 전류에서부터 상기 용접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의 이전에, 상기 제어시간 또는 상기 스타트 전류의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타트 전류는 상기 용접 전류에 대한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시간은 0ms에서 1000ms까지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는 용접 시작 신호가 감지되면, 용접 장비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및 상기 출력 전류가 소정의 기준전류 이상이면, 모재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 이후에, 상기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시간인 제어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전류인 스타트 전류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출력 전류를 소정의 용접 전류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 전류는 상기 용접 전류보다 큰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기울기인 전류기울기로 상기 출력 전류를 상기 스타트 전류에서부터 상기 용접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시간 또는 상기 스타트 전류의 설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타트 전류는 상기 용접 전류에 대한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시간은 0ms에서 1000ms까지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아크 스타트 과정에서 출력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불완전 스타트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류 및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아크 용접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TIG 용접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한, 앞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0에서는, 용접 장비가 용접 시작 신호가 감지되면, 용접 장비의 출력 전류를 검출한다.
예컨대, 용접 장비 사용자가 와이어 송급장치 등에 구비된 스위치를 눌러 용접 시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용접 장비는 용접 시작 신호가 발생됨을 감지하고, 용접토치(용접봉)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용접토치가 모재에 단락되지 않았다면, 용접 전압은 무부하 상태이므로 높은 전압을 나타내는 반면, 출력 전류는 계속하여 0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용접토치가 모재에 단락되면, 용접 전압이 다소간 낮아지면서, 출력 전류는 증가하기 시작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용접 장비가 그 출력 전류가 소정의 기준전류 이상이면, 모재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용접 장비는 출력 전류가 증가하여 소정의 기준전류 이상이 될 때, 용접토치와 모재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전류는 용접기의 특성에 따라 다른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아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최소의 전류값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용접 장비는 t=t1일 때, 출력 전류가 기준전류 이상이 되었음을 감지하고,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용접 장비가 그 판단 이후에,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시간인 제어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전류인 스타트 전류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용접 장비는 t=t1에서 t=t2까지, 출력 전류를 기준전류에서부터 스타트 전류(전류ref)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그 후, 용접 장비는 t=t2에서 t=t3까지, 출력 전류를 스타트 전류에 가까운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스타트 전류는 용접 장비에서 불완전 스타트가 발생하지 않는 최소의 전류값이며, 용접 장비별로, 용접 대상별, 사용자별로 다른 값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제어시간과 스타트 전류는 용접 장비의 제조자, 관리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140에서는, 용접 장비가 제어시간이 경과하면, 출력 전류를 소정의 용접 전류로 변경한다.
이때, 스타트 전류는 용접 전류보다 큰 전류값이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용접 장비는 t=t3에서 t=t4까지, 출력 전류를 스타트 전류에서 용접 전류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그 후, 용접 장비는 t=t4에서부터 출력 전류를 용접 전류에 가까운 값으로 유지하여 사용자가 원활하게 용접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용접 전류는 용접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전류이며, 용접 장비 및 용접 대상의 특성 등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용접 장비가 미리 설정된 기울기인 전류기울기로 출력 전류를 스타트 전류에서부터 용접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용접 장비는 t=t3에서 t=t4까지, 출력 전류를 스타트 전류에서부터 용접 전류가 되도록 미리 설정된 전류기울기에 따라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접 장비는 t4의 시간을 변경하여 t4-t3의 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전류기울기에 따라 출력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접 장비는 스타트 전류 또는 그에 가까운 전류의 출력 시간이 길어지면 용접 시작 부분의 용융점이 순간적으로 높아져서 박판의 경우 모재에 구멍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용접 장비는 스타트 전류를 최소화하고 용접 전류까지 적절한 슬로프를 주어 감소시킴으로써, 아크 스타트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초기 용융점이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용융점이 높아지는 문제는 두꺼운 모재(후판)에서도 발생 할 수 있으며 후판의 경우에는 모재가 계획했던 것보다 많이 녹아서 용접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장비는 용접 전류를 슬로프를 주어 감소시키면 스타트 전류의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용융점에 의한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용접 장비가 단계 S110의 이전에, 제어시간 또는 스타트 전류의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용접 장비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PC) 등으로부터 제어시간 또는 스타트 전류의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접 장비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PC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시간 또는 스타트 전류의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용접 장비와 용접 대상의 특성,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제어시간과 스타트 전류 설정값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다수의 용접 장비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 다수의 용접 장비의 제어시간과 스타트 전류의 설정값을 수행해야 하는 작업의 특성 따라 한번에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전류는 용접 전류에 대한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용접 장비는 스타트 전류를 용접 전류를 기준으로 하는 비율에 따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스타트 전류가 용접 전류보다 10% 큰 값이 되기 위하여는 1.1의 설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50% 큰 값이 되기 위하여는 1.5의 설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시간은 0ms에서 1000ms까지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용접 장비는 t=t2에서 t=t3까지의 시간인 제어시간을 0ms에서 1000ms까지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용접 장비는 스타트 전류, 용접 전류, 제어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때, 그로 인해 결정되는 시간에 따른 출력 전류의 변화를 레퍼런스 전류로 하여 출력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용접 장비는 출력 전류가 시간에 따라 레퍼런스 전류를 추종하면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레퍼런스 전류는 t=t2(또는 t=t1)에서부터 t=t4 이후까지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전류ref의 형태로 나타나는 전류이며, 용접 장비는 출력 전류가 레퍼런스 전류를 추종토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는 일반적인 아크 용접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반적인 TIG 용접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본 발명은 아크 용접 장비 또는 TIG 용접 장비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아크를 이용하지만 여기에 명시되지 않은 용접 장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은 아크 발생시 출력 전류를 미리 설정된 스타트 전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불완전 스타트의 발생을 억제하고,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200)는 전류검출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검출부(210)는 용접 시작 신호가 감지되면, 용접 장비의 출력 전류를 검출한다.
제어부(220)는 그 출력 전류가 소정의 기준전류 이상이면, 모재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이후에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시간인 제어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전류인 스타트 전류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그 제어시간이 경과하면 출력 전류를 소정의 용접 전류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스타트 전류는 용접 전류보다 큰 값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20)는 미리 설정된 기울기인 전류기울기로 출력 전류를 스타트 전류에서부터 용접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수신부(미도시)는 그 제어시간 또는 스타트 전류의 설정값을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전류는 용접 전류에 대한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시간은 0ms에서 1000ms까지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용접 시작 신호가 감지되면, 용접 장비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출력 전류가 소정의 기준전류 이상이면, 모재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이후에, 상기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시간인 제어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전류인 스타트 전류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출력 전류를 소정의 용접 전류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 전류는 상기 용접 전류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 고,
    상기 출력 전류는 상기 스타트 전류, 상기 용접 전류 및 상기 제어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레퍼런스 전류를 추종하며 변경되도록 제어되 는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용접 전류로 변경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울기인 전류기울기로 상기 출력 전류를 상기 스타트 전류에서부터 상기 용접 전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의 이전에,
    상기 제어시간 또는 상기 스타트 전류의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전류는
    상기 용접 전류에 대한 비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간은
    0ms에서 1000ms까지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6. 용접 시작 신호가 감지되면, 용접 장비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및
    상기 출력 전류가 소정의 기준전류 이상이면, 모재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 이후에, 상기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시간인 제어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전류인 스타트 전류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출력 전류를 소정의 용접 전류로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 전류는 상기 용접 전류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 고,
    상기 출력 전류는 상기 스타트 전류, 상기 용접 전류 및 상기 제어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레퍼런스 전류를 추종하며 변경되도록 제어되 는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기울기인 전류기울기로 상기 출력 전류를 상기 스타트 전류에서부터 상기 용접 전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간 또는 상기 스타트 전류의 설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전류는
    상기 용접 전류에 대한 비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간은
    0ms에서 1000ms까지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KR1020200116367A 2020-09-10 2020-09-10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KR10234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367A KR102341073B1 (ko) 2020-09-10 2020-09-10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367A KR102341073B1 (ko) 2020-09-10 2020-09-10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073B1 true KR102341073B1 (ko) 2021-12-20

Family

ID=7903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367A KR102341073B1 (ko) 2020-09-10 2020-09-10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3428A (zh) * 2022-05-31 2022-08-02 深圳市佳士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埋弧焊的起收弧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496B2 (ja) * 1993-12-09 2002-02-25 株式会社ダイヘン パルスmag溶接アークスタート制御方法
KR100908380B1 (ko) * 2008-11-05 2009-07-20 윤채석 아크 용접기의 개시부
KR20100111540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효성 용접기의 아크 스타트 방법 및 그 아크 스타트 안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496B2 (ja) * 1993-12-09 2002-02-25 株式会社ダイヘン パルスmag溶接アークスタート制御方法
KR100908380B1 (ko) * 2008-11-05 2009-07-20 윤채석 아크 용접기의 개시부
KR20100111540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효성 용접기의 아크 스타트 방법 및 그 아크 스타트 안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3428A (zh) * 2022-05-31 2022-08-02 深圳市佳士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埋弧焊的起收弧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0667B2 (en) Arc welding method and arc welding apparatus for adjusting a welding current waveform responsive to a setting voltage adjustment
EP1745880B1 (en) Consumable electrode arc-welding machine
US87422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atistically analyzing welding operations
KR102341073B1 (ko) 용접 장비의 아크 스타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US939363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the starting and stopping of arc welding processes
US94216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modulation control
US1096745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hot-start weld current for arc ignition
US10730131B2 (en) Arc stop
CN108687430A (zh) 用于电弧焊和焊丝操纵控制的系统和方法
JP2000000669A (ja) パルス出力制御方法及び消耗電極式パルスアーク溶接装置
EP2832486B1 (en) Arc welding control method and arc welding device
US20190291201A1 (en) Welding power supplies having dynamic current responses
JP2013173161A (ja) 消耗電極アーク溶接制御方法
JP4946785B2 (ja) アーク溶接制御方法およびアーク溶接装置
JP2005066615A (ja) 消耗電極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の溶接開始時アーク長制御方法
KR20220099793A (ko) 용접 장비의 절전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용접 장비
JP2014046316A (ja) 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アーク溶接装置
JP2012091221A (ja) アークスタート良否判定方法
JP3951931B2 (ja) 溶接制御方法及び消耗電極式パルスアーク溶接装置
JP2016107316A (ja) アーク溶接装置、アーク溶接用電源装置、およびアーク溶接用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2018202431A (ja) 非消耗電極アーク溶接制御方法
JPH0557071B2 (ko)
KR100928533B1 (ko) 저항용접시 전력제어방법
JP2002248573A (ja) 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機とその制御方法
US200100353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arc init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