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84B1 - 임시봉합클립 - Google Patents

임시봉합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84B1
KR102340784B1 KR1020200008085A KR20200008085A KR102340784B1 KR 102340784 B1 KR102340784 B1 KR 102340784B1 KR 1020200008085 A KR1020200008085 A KR 1020200008085A KR 20200008085 A KR20200008085 A KR 20200008085A KR 102340784 B1 KR102340784 B1 KR 10234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body
clip
affected
temporary
affecte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382A (ko
Inventor
백승준
신소현
백재훈
Original Assignee
백승준
신소현
백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준, 신소현, 백재훈 filed Critical 백승준
Priority to KR102020000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시봉합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찢어진 환부의 주변조직을 임시로 모아주면서 코업테이션을 유도하고 환부를 가압하여 출혈과 세균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후속 처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 클립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클립본체는 단부를 가압시 탄성적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찢어진 환부에 오목하게 만곡된 클립본체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한 후, 클립본체의 단부를 누름에 따라 환부의 주변조직이 모아지며 환부가 임시로 봉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봉합클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시봉합클립{Temporary suturing clip}
본 발명은 임시봉합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찢어진 환부의 주변조직을 손쉽게 임시로 봉합할 수 있는 임시봉합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이란 수술을 하려고 절단한 자리나 외상(外傷)으로 갈라진 자리를 꿰매어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봉합을 함에 있어 통상 봉합사와 봉합바늘이 필요하며, 최대한 흉터가 남지 않도록 봉합을 하여야 하므로 의사 등과 같은 전문가가 이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찢어진 환부를 봉합하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상주하는 병원으로 가야하는바, 병원으로 가기까지 찢어진 환부를 통한 출혈과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멸균거즈나 반창고를 환부에 붙이거나 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환부를 제대로 가압할 수 없어 출혈을 막기에 부족하며 찢어진 환부의 벌어짐을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문가는 찢어진 환부를 봉합함에 있어 환부의 주변조직을 상호 맞닿도록 하는데 이때 맞닿는 주변조직의 단부가 살짝 융기되게끔 봉합하며, 이를 일명 '코업테이션(coaptation)'이라 한다. 코업테이션은 봉합 후 환부가 낫는 과정에서 주변조직이 긴장되어 봉합선의 반흔의 폭이 점차 넓어지게 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멸균거즈나 반창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찢어진 환부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의 봉합 처치시 주변조직의 상호 맞닿음이나 코업테이션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6384호 '피부 봉합 키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찢어진 환부의 주변조직을 임시로 모아주면서 코업테이션을 유도하고 환부를 가압하여 출혈과 세균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후속 처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임시봉합클립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임시봉합클립은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 클립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클립본체는 단부를 가압시 탄성적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클립본체는 저면에 접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본체는 테두리에 쐐기 형태를 이루며 하방으로 돌출된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본체는 테두리가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기 테두리에는 중앙을 향하면서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고 저면에 접착수단이 구비된 주변조직승강대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본체는 테두리가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클립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테두리와 연결되면서 환부를 덮는 환부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본체는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호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탄성부여대를 포함하여, 두 개의 탄성부여대의 타단부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찢어진 환부에 오목하게 만곡된 클립본체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한 후, 클립본체의 단부를 누름에 따라 환부의 주변조직이 모아지면서 코업테이션이 유도되고 클립본체가 환부를 가압하여 환부가 임시로 봉합되므로 출혈과 세균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돌기를 통해 클립본체가 환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변조직승강대를 통해 찢어진 환부의 단부가 상향되도록 모아질 수 있어 병원에서의 봉합 처치 등과 같은 후속 처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임시 봉합이 필요할 시 클립본체를 손쉽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임시봉합클립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임시봉합클립이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임시봉합클립에 의해 환부가 임시 봉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임시봉합클립에 의해 환부가 임시 봉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임시봉합클립의 저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임시봉합클립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임시봉합클립을 명함으로부터 분리하여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찢어진 환부의 주변조직을 임시로 모아주면서 코업테이션을 유도하고 환부를 가압하여 출혈과 세균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후속 처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 클립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클립본체는 단부를 가압시 탄성적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찢어진 환부에 오목하게 만곡된 클립본체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한 후, 클립본체의 단부를 누름에 따라 환부의 주변조직이 모아지며 환부가 임시로 봉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봉합클립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임시봉합클립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임시봉합클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 클립본체(A)를 포함한다. 클립본체(A)는 곡면과 같은 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본체(A)는 내측이 비고 소정의 모양을 이루도록 폐곡선을 형성하는 테두리(100)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이 채워진 곡면의 판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클립본체(A)는 일명 똑딱핀이라 칭하는 장신구와 같이 단부를 가압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찢어진 환부에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클립본체(A)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한 후, 클립본체(A)의 단부를 누르면, 클립본체(A)가 탄성적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면서 환부의 주변조직을 모아 코업테이션을 유도하며, 이와 동시에 클립본체(A)는 환부 또는 환부의 주변조직을 가압하게 되는바, 환부의 임시 봉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립본체(A)를 단순히 환부에 놓고 탄성적인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가압하는 것만으로 환부로부터의 출혈과 환부를 통한 세균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클립본체(A)가 만곡된 정도나 클립본체(A)에 의해 임시 봉합되는 부위에 따라 클립본체(A)가 환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끔 고정될 수 있으나, 대부분 곡면을 이루는 피부조직의 특성상 클립본체(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접착수단(12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접착수단(120)은 일 예로 접착제 성분으로 구성되어 클립본체(A)의 저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클립본체(A)의 테두리(100)를 따라 접착수단(120)이 구비되도록 하여 환부에 클립본체(A)가 부착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할 주변조직승강대(300)의 저면에 접착수단(1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환부덮개(400) 또는/및 이음대(420)의 저면에도 접착수단(120)이 구비될 수 있다.
테두리(100)에 접착수단(120)이 구비된 클립본체(A)는 오목하게 만곡된 상태에서 찢어진 환부에 놓여질 시 테두리(100)의 중앙부에 도포된 접착수단(120)에 의해 가고정되고, 이후 클립본체(A)의 단부를 누름에 따라 찢어진 환부의 주변조직을 모으면서 테두리(100) 전체에 도포된 접착수단(120)이 주변조직에 붙어 견고히 클립본체(A)가 고정되므로, 임시 봉합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클립본체(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100)에 쐐기 형태를 이루며 하방으로 돌출된 제1 고정돌기(2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200)는 그 종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모따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돌기(200)는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클립본체(A)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수직에 비하여 다소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돌기(200)는 클립본체(A)가 탄성적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변형시, 클립본체(A)의 내측을 향해 주변조직을 모아줌과 동시에 주변조직을 누르게 되어 클립본체(A)가 환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일정 부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돌기(200)는 별도로 마련되어 클립본체(A)에 부착될 수 있으나, 클립본체(A)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고정돌기(200)는 클립본체(A)의 테두리(100) 중 클립본체(A)를 형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클립본체(A)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 형태를 이루는 테두리(100)를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 클립본체(A)의 양 단부의 저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본체(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두리(100)가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테두리(100)에는 중앙을 향하면서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주변조직승강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주변조직승강대(300)는 일 예로 테두리(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내측 중앙을 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직선 형태를 이루면서 테두리(100)에 대하여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클립본체(A)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 형태를 이루는 테두리(100)를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 도 1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본체(A)의 단부와 테두리(100)의 중앙부 사이 지점에 클립본체(A)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주변조직승강대(300)는 홀수 개인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주변조직승강대(300)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주변조직승강대(300)의 저면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착수단(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주변조직승강대(300)는 클립본체(A)를 통한 환부의 임시 봉합시, 즉 클립본체(A)가 탄성적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루도록 할 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변조직승강대(300)가 주변조직을 들어올려 찢어진 환부의 단부가 모아지게끔 하며, 특히 환부의 단부가 상향되도록 하여 병원에서의 봉합 처치 등과 같은 후속 처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6d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본체(A)가 테두리(100)가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때, 클립본체(A)의 중앙부에는 테두리(100)와 테두리(100)와 연결되면서 환부를 덮는 환부덮개(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환부덮개(400)는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환부가 통풍될 수 있도록 통기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부덮개(400)는 일 예로 클립본체(A)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 형태를 이루는 테두리(100)를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 도 1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본체(A)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직선 형태로 환부덮개(400)까지 연결하는 이음대(420)에 의해 클립본체(A)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클립본체(A)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리검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경우 클립본체(A)의 각 단부로부터 내측 중앙을 향해 연장형성된 이음대(420)가 모이는 지점에 환부덮개(4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환부덮개(400)의 가장자리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돌기(200)와 같이 주변조직을 누르도록 하는 제2 고정돌기(4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410)는 그 종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모따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돌기(410)는 환부덮개(40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수직에 비하여 다소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클립본체(A)는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호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탄성부여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탄성부여대(110)의 타단부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탄성을 가지면서 테두리(100)가 폐곡선을 이루며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여대(110)에는 내측을 향해 상술한 주변조직승강대(3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탄성부여대(110)의 타단부에는 상호 엇갈리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111)는 일 예로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내측으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두 개의 탄성부여대(110)의 타단부가 엇갈리도록 한 후 상기 타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10)을 통해 두 개의 탄성부여대(110)가 상호 끼워지도록 하여 엇갈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클립본체(A)는 일 예로 명함(B), 카드 등의 내측에 뜯김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임시 봉합이 필요한 상황 발생시, 사용자는 명함(B)이나 카드로부터 클립본체(A)를 뜯고 클립본체(A)가 탄성을 가지도록 손쉽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편의성이 증대된다.
A : 클립본체 B : 명함
100 : 테두리 110 : 탄성부여대
111 : 체결부 120 : 접착수단
200 : 제1 고정돌기 300 : 주변조직승강대
400 : 환부덮개 410 : 제2 고정돌기
420 : 이음대

Claims (6)

  1.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 클립본체(A)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본체(A)는 테두리(100)가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단부를 가압시 탄성적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찢어진 환부에 오목하게 만곡된 클립본체(A)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한 후, 클립본체(A)의 단부를 누름에 따라 환부의 주변조직이 모아지며 환부가 임시로 봉합되되,
    상기 테두리(100)에는 중앙을 향하면서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고 저면에 접착수단(120)이 구비된 주변조직승강대(300)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클립본체(A)를 통한 환부의 임시 봉합시 상기 주변조직승강대(300)가 주변조직을 들어올려 찢어진 환부의 단부가 상향되면서 모아지게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봉합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A)는 저면에 접착수단(1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봉합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A)는 테두리(100)에 쐐기 형태를 이루며 하방으로 돌출된 제1 고정돌기(200)가 형성되어, 상기 클립본체(A)를 통한 환부의 임시 봉합시 제1 고정돌기(200)가 주변조직을 모아줌과 동시에 주변조직을 눌러 상기 클립본체(A)가 환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봉합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A)의 중앙부에는 상기 테두리(100)와 연결되면서 환부를 덮는 환부덮개(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봉합클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A)는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호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탄성부여대(110)를 포함하여, 두 개의 탄성부여대(110)의 타단부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폐곡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봉합클립.
  6. 삭제
KR1020200008085A 2020-01-21 2020-01-21 임시봉합클립 KR10234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85A KR102340784B1 (ko) 2020-01-21 2020-01-21 임시봉합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85A KR102340784B1 (ko) 2020-01-21 2020-01-21 임시봉합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382A KR20210094382A (ko) 2021-07-29
KR102340784B1 true KR102340784B1 (ko) 2021-12-21

Family

ID=7712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085A KR102340784B1 (ko) 2020-01-21 2020-01-21 임시봉합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4724A1 (en) 2002-12-19 2004-10-14 Christian Kissel Medical clip and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such a clip
US20110054521A1 (en) * 2009-08-27 2011-03-03 Tatyana Ventura Clip and closure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409Y1 (ko) * 1987-04-06 1989-08-18 이춘기 머리핀
US5531760A (en) * 1995-04-14 1996-07-02 Alwafaie; Mohammed G. Skin closure clip
KR101056384B1 (ko) 2008-10-23 2011-08-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봉합 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4724A1 (en) 2002-12-19 2004-10-14 Christian Kissel Medical clip and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such a clip
US20110054521A1 (en) * 2009-08-27 2011-03-03 Tatyana Ventura Clip and closure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382A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868B1 (en) Device for the non-invasive sutureless closure of the open edges of wound in the skin of a mammal
US2371978A (en) Clamp for retaining the edges of a wound in apposition
US4865026A (en) Sealing wound closure device
US5531760A (en) Skin closure clip
US4430998A (en) Wound closing device
US20060241624A1 (en) Bone fixation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cutting device and band head for the same
KR101758236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구
US20230346377A1 (en) Band for surgical wound suture
EP3331454B1 (en) Non-invasive wound closure device
KR102340784B1 (ko) 임시봉합클립
KR102090211B1 (ko) 봉합사 제조방법
KR102307404B1 (ko) 수술용 및 안면 거상술용 봉합사
KR200493054Y1 (ko) 피부 개구 밀봉 장치
EP4368159A1 (en) Toenail care tape
CN215307388U (zh) 一种可观察的预防压疮医用敷料
US10806492B2 (en) Nail plate growth guide surgical implantation kit
KR102249093B1 (ko) 외과 상처 봉합용 밴드
US20220062062A1 (en) Healing Tape
EP1386593B1 (en) Epidermal positioning mechanism
KR102463528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기
KR102616926B1 (ko)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US11779339B2 (en) Non-invasive wound closure device
Ul Haq et al. (Atasoy) Flap
KR102321885B1 (ko) 무좀 치료를 위한 인조 발톱
EP0224549A1 (en) Haemostatic dress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