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364B1 -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 Google Patents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364B1
KR102340364B1 KR1020200020932A KR20200020932A KR102340364B1 KR 102340364 B1 KR102340364 B1 KR 102340364B1 KR 1020200020932 A KR1020200020932 A KR 1020200020932A KR 20200020932 A KR20200020932 A KR 20200020932A KR 102340364 B1 KR102340364 B1 KR 10234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ion
easy
control unit
out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147A (ko
Inventor
진경희
임은진
Original Assignee
(주)몬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몬도미오 filed Critical (주)몬도미오
Priority to KR102020002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3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의 접속핀이 형성된 일면과 접하는 접촉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 양단과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부의 길이방향 타단과 결합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접속핀이 관통되는 접속핀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제어부를 잡아당겨 상기 접촉부로 인력이 가해지도록 함에 따라, 누전, 감전 및 화재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보다 용이하게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빼낼 수 있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EASY OUT TAG FOR PLUG}
본 발명은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원과 연결된 콘센트 상에 삽입된 플러그와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 상에서 플러그가 보다 수월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전력계통이나 배터리 등의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기구로, 벽으로 넣어서 사용하는 매입형과 벽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콘센트는 전압, 주파수, 모양, 사이즈 및 커넥터 타입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A형부터 M형까지의 표준 규격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실외에서 사용하거나, 상기 콘센트와 제품과의 거리가 먼 경우 또는 기존 콘센트에 장착해야 하는 제품의 수가 더 많은 경우 등의 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해, 멀티탭이라 불리는 이동식 콘센트가 보급되고 있다.
상기 콘센트에는 전기에너지를 통해 가동되는 제품과 연결된 플러그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또한 형태에 따라 A형 내지 M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는 C형 또는 F형 플러그 형태를 많이 사용하고, 컨센트 또한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보급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와 플러그는 사용하면서, 절연이 파괴되어 외부로 누설전류가 흐르거나, 장치로 물이 새어 들어가거나, 다른 전도성 물체가 커넥터 부분에 닿는 경우 등의 상황으로 인해 감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0889호("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서는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선행기술 1은 콘센트본체(1) 및 상기 콘센트본체(1)에 장착되는 플러그수용홈 개폐수단(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감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한편,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이탈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여 공간활용이 자유롭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219호("콘센트 안전커버", 이하 '선행기술 2'라 함.)에서는 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콘센트의 삽입단에 결합되는 안전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선행기술 2는 전원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콘센트의 삽입단에 끼워 사용하는 것으로, 삽입단의 노출로 인한 감전, 누전, 및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477호("전원 플러그 손잡이", 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에서는 전워 플러그 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선행기술 3은 전원 콘센트(4)에서 전원 플러그(5)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플러그(5)의 외면 돌출 패턴에 결속되는 갈퀴를 가진 착탈식 전원 플러그 손잡이(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원 콘센트(4) 및 전원 플러그(5)의 분리가 보다 용이해지고,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성이 최소화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관계에서 나타나는 감전, 누전 및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선행기술 1은 개폐수단이 장착될 수 있도록 콘센트본체에 홈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기존 생산된 제품들이나 타사 제품들과의 호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 1 및 2는 플러그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콘센트의 접속단자의 노출을 방지하는 기술로, 플러그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아울러 선행기술 3은 전원 플러그의 외면에 착탈식 전원 플러그 손잡이가 결속될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호환성이 낮고, 플러그의 단부 측을 잡고 빼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힘이 올바르게 전달되지 않아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730889 B1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2017.04.28. 공고) KR 20-0485219 Y1 ("콘센트 안전커버", 2017.12.08. 공고) KR 20-0477477 Y1 ("전원 플러그 손잡이", 2015.06.12. 공고)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 상에서 플러그의 분리가 보다 수월해지도록 하여 감전, 누전 및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양한 형상의 플러그와 호환될 수 있는 이지아웃태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는, 플러그의 접속핀이 형성된 일면과 접하는 접촉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 양단과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부의 길이방향 타단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인력을 가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접속핀이 관통되는 접속핀홀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중, 하나의 상기 연결부 상에 삽입홀이 형성되되,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상기 제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의 폭이 상기 연결부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길이가 상기 제어부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접촉부와 연결부 사이에는 제1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플러그의 타면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핀홀은 상기 제1접힘선을 경계로, 일부가 상기 접촉부 상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연결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핀홀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접촉부는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타단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가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는, 한 쌍의 상기 연결부 또는, 한 쌍의 상기 제어부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는, 상기 접촉부, 연결부 및 제어부가 서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는, 외부에 노출된 제어부와 플러그의 접속핀의 일면에 접하는 접촉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에 인력을 가해 보다 용이하게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플러그를 제거하면서 발생되는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플러그에 연결된 전선이 손상되어 발생되는 누전이나 화재 사고 등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는, 일 몸체의 연결부에 형성된 삽입홀 상에 다른 몸체의 제어부 및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상기 플러그의 접촉부에 고루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지아웃태그의 손상을 방지하기에 재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해당 플러그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종류나 용도를 보다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는, 사용자가 필기류를 통해 플러그를 식별할 수 있도록 연결부 또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표기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의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 플러그 손잡이가 장착된 플러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가 결합된 플러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 및 플러그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이지아웃태그가 결합된 플러그의 사시도를, 도 5는 이지아웃태그 및 플러그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를, 도 6은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를, 도 7 및 도 8은 이지아웃태그의 평면도를, 도 9는 이지아웃태그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는, 중심부가 플러그(10) 상에 접촉되고,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User)가 노출된 부분을 잡아 인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10)가 콘센트(20)로부터 분리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심부는 정중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양 끝단을 제외한 중심부근의 영역이고, 상기 콘센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는 매입형 뿐만 아니라 노출형이나 멀티탭과 같은 이동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의 중심부에는 접속핀홀(H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10)는 콘센트의 접지용 구멍에 삽입되어 전력을 인가받는 접속핀(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5-(a) 및 도 5-(b)에서 도시된 같이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의 접속핀홀(H1) 상에 상기 플러그(10)의 접속핀(11)이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이지아웃태그(100)의 중심부는 접속핀(11)이 형성된 상기 플러그(10)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는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된 면을 기준으로 양단이 상기 플러그(10)의 타면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는 도 5-(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일단부에 삽입홀(H)이 관통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의 삽입홀(H)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는 절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는 전체가 절연체로 구성되거나 일부만 절연체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는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에 일부 회전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100)는 접촉부(110), 연결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110)는 전체 길이 대비 중심부 영역에 구성될 수 있으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접촉부(110a) 및 제2접촉부(110b)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중심선은 전체 길이 대비 일측으로 편향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부(110)에는 플러그의 접속핀이 관통되는 접속핀홀(H1)이 형성될 수 있다.이때 상기 접속핀홀(H1)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1접촉부(110a) 및 제2접촉부(110b)에 각각 형성됨에 따라, 제1접촉부(110a) 및 제2접촉부(110b)가 만나는 영역이 밀폐되어 플러그의 일면에 보다 넓은 면적이 접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속핀홀(H1)이 제1접촉부(110a) 및 제2접촉부(110b)를 경유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홀로 구성되어 보다 다양한 플러그의 접속핀이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제1연결부(120a) 및 제2연결부(12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120a)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접촉부(110a)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120b)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2접촉부(110b)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핀홀(H1)은 상기 연결부(120)의 영역에 일부 중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보다 명확히 설명하자면 상기 접속핀홀(H1)의 일부는 상기 접촉부(110) 상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연결부(12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부(120a) 또는 제2연결부(120b) 상에 배치된 삽입홀(H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상기 연결부(120)의 삽입홀(H2)에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부(120)가 관통되어 서로 "X"자 형태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제1제어부(130a) 및 제2제어부(13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제어부(130a)는 상기 제1연결부(120a)의 길이방향 타단 상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제어부(130b)는 상기 제2연결부(120b)의 길이방향 타단 상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30)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관통홀(H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관통홀(H3)은 각각 상기 제1제어부(130a) 및 제2제어부(13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쌍의 상기 관통홀(H3)이 상기 제1제어부(130a) 및 제2제어부(130b)의 형상과 대응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가 원통형인 경우 상기 관통홀(H3) 또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서로 상반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110), 연결부(120) 및 제어부(130)는 제1접힘선(L1) 및 제2접힘선(L2)을 기준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제1접촉부(110a)와 제1연결부(120a) 사이 및 상기 제2접촉부(110b)와 제2연결부(120b) 사이에는 각각 제1접힘선(L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120a) 및 제2연결부(120b)는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면을 향하도록 접혀 정면도 상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연결부(120a) 및 제1제어부(130a) 사이 및 상기 제2연결부(120b) 및 제2제어부(130b) 사이에는 각각 제2접힘선(L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부(130a) 및 제2제어부(130b)는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하면을 향하도록 접혀 정면도 상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접촉부(110a) 및 제2접촉부(110b)는 일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일단을 중심부라 정의하면, 상기 중심부는 소정크기의 폭(D1)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중심부의 폭(D1)은 상기 제1접촉부(110a) 및 제2접촉부(110b)의 타단 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커져, 상기 접촉부(110) 및 플러그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접속핀홀(H1)은 제1접촉부(110a) 및 제1연결부(120a)에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접촉부(110a) 상에 관통된 일부의 상기 접속핀홀(H1)은 제1길이(A1)를 가지고 이와 연장된 상기 제1연결부(120a) 상에 관통된 다른 일부의 상기 접속핀홀(H1)은 제2길이(A2)를 가져, 상기 접속핀홀(H1)이 소정길이(A)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대상 플러그의 좌우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접촉부(110a) 및 제1연결부(120a)를 접힘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힘선과 무관하게 상기 제1연결부(120a)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휠 수 있도록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플러그에 장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제어부(130b)의 폭(D3)은 상기 제2연결부(120b)의 폭(D2)과 대응하거나, 상기 제2제어부(130b)의 폭(D3)이 상기 제2연결부(120b)의 폭(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120a) 상에 관통된 삽입홀(H2)은 길이(B)는 상기 제2제어부(130b)의 폭(D3)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제어부(130b)가 일부 회전한 상태로 상기 삽입홀(H)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접힘선(L1)이 형성된 상기 제2접촉부(110b) 및 제2연결부(120b)의 경계에는 일부 두께만큼 함몰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제어부(130a)의 두께(W2)는 상기 제1연결부(120a)의 두께(W1) 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제어부(130a)의 두께(W2)는 끝단 측으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접촉부(110b)를 포함하는 접촉부는 상기 제1연결부(120a)와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거나 더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보다 얇고 넓은 접촉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경우, 플러그 및 콘센트의 체결에 대한 제한없이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으로, 도 10은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를, 도 11은 이지아웃태그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200)는 접촉부(210), 연결부(220), 제어부(230) 및 체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210)에는 플러그의 접속핀이 관통되는 접속핀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의 접속핀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경우 상기 접촉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접촉부(210a) 및 제2접촉부(210b)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접속핀홀(H1)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접촉부(210a) 및 제2접촉부(210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는 제1연결부(220a) 및 제2연결부(220b)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이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 또한 제1제어부(230a) 및 제2제어부(230b)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220a) 및 제2연결부(220b)의 단부 측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40)는 체결돌기(240a) 및 체결홈(24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240a)는 상기 제1제어부(230a)의 일면 상에서 일면 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홈(240b)은 상기 제2제어부(230b)의 일면 상에서 타면 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체결돌기(240a)가 상기 체결홈(240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200)는 길이방향 양측 끝단이 서로 일체로 체결되어 외력이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으로, 도 12는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300)는 접촉부(310), 연결부(320), 제어부(330) 및 체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310)에는 플러그의 접속핀이 관통되는 접속핀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핀홀(H1)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촉부(3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320)는 제1연결부(320a) 및 제2연결부(320b)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3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이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30)는 하나 또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연결부(320a) 또는 제2연결부(320b)의 단부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40)는 체결돌기(340a) 및 체결홈(34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340a)는 상기 제1연결부(320a)의 일면 상에서 일면 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홈(340b)은 상기 제2연결부(320b)의 일면 상에서 타면 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체결돌기(340a)가 상기 체결홈(340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200)는 상기 제어부(330) 상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체결부(340)로 집중되어 상기 접촉부(310)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제4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으로, 도 13은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400)는 접촉부(410), 연결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410)에는 플러그의 접속핀이 관통되는 접속핀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핀홀(H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4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20)는 상기 접촉부(410)의 양단에서 길이방향 측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420a) 및 제2연결부(4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420a)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관통홀(H3)이 형성된 상기 제어부(4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420b) 상에는 상기 제1연결부(420a)와 결합된 제어부(4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H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410)의 접속핀홀(H1)과 상기 제2연결부(420b)의 삽입홀(H2)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홀(H)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5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으로, 도 14는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500)는 접촉부(510), 연결부(520) 및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510)에는 플러그의 접속핀이 관통되는 접속핀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510)의 양단과 직교되는 방향 측(기울어진 상태를 포함)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연결부(520)의 일단이 상기 접촉부(510)의 양단과 결합되되, 한 쌍의 상기 연결부(520)의 타단이 절곡되어 서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510)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520)가 플러그홀(H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홀(H4)에 플러그가 인입되되 상기 플러그의 접속핀은 상기 접촉부(510)의 접속핀홀(H1)을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3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관통홀(H3)을 포함하되, 서로 접한 상태의 한 쌍의 상기 연결부(520)의 타단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으로, 도 15는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600)는 접촉부(610), 연결부(620) 및 제어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610)에는 플러그의 접속핀이 관통되는 접속핀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6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610)의 양단과 직교되는 방향 측(기울어진 상태를 포함)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연결부(620)의 일단이 상기 접촉부(610)의 양단과 결합되되, 한 쌍의 상기 연결부(620)의 타단이 절곡되어 서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610)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620)가 플러그홀(H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홀(H4)에 플러그가 인입되되 상기 플러그의 접속핀은 상기 접촉부(610)의 접속핀홀(H1)을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접촉부(610)가 연장된 방향으로 넓적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7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이지아웃태그에 관한 것으로, 도 16은 이지아웃태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지아웃태그(700)는 접촉부(710), 연결부(720), 제어부(730) 및 체결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720)는 제1연결부(720a) 및 제2연결부(720b)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720a) 및 제2연결부(720b)가 상기 접촉부(710)의 양단과 결합되어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30) 또한 제1제어부(730a) 및 제2제어부(730b)로 구성되어, 제1제어부(730a) 및 제2제어부(730b)가 상기 제1연결부(720a) 및 제2연결부(720b)의 단부 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40)는 상기 제1제어부(730a) 또는 제2제어부(730b)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제어부(730a) 상에 상기 체결부(740)가 배치되는 것을 예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접촉부(710)의 양단에는 플러그의 한 쌍의 접속핀이 각각 삽입되는 접속핀홀(H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제1연결부(720a) 및 제2연결부(720b) 각각에는 삽입홀(H2)이, 상기 제1제어부(730a) 및 제2제어부(730b)에는 관통홀(H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740)는 상기 제1제어부(730a)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제어부(730b)의 관통홀(H3)에 삽입되어 서로 체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핀홀(H1), 삽입홀(H2) 및 관통홀(H3)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홀(H)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H : 홀 H1 : 접속핀홀
H2 : 삽입홀 H3 : 관통홀
H4 : 플러그홀 h : 홈
L1 : 제1접힘선 L2 : 제2접힘선
10 : 플러그 11 : 접속핀
20 : 콘센트
100 : 이지아웃태그(제1실시예)
110 : 접촉부
110a : 제1접촉부 110b : 제2접촉부
120 : 연결부
120a : 제1연결부 120b : 제2연결부
130 : 제어부
130a : 제1제어부 130b : 제2제어부
200 : 이지아웃태그(제2실시예)
210 : 접촉부
210a : 제1접촉부 210b : 제2접촉부
220 : 연결부
220a : 제1연결부 220b : 제2연결부
230 : 제어부
230a : 제1제어부 230b : 제2제어부
240 : 체결부
240a : 제결돌기 240b : 체결홈
300 : 이지아웃태그(제3실시예)
310 : 접촉부
320 : 연결부
320a : 제1연결부 320b : 제2연결부
330 : 제어부
340 : 체결부
340a : 제결돌기 340b : 체결홈
400 : 이지아웃태그(제4실시예)
410 : 접촉부
420 : 연결부
420a : 제1연결부 420b : 제2연결부
430 : 제어부
500 : 이지아웃태그(제5실시예)
510 : 접촉부 520 : 연결부
530 : 제어부
600 : 이지아웃태그(제6실시예)
610 : 접촉부 620 : 연결부
630 : 제어부
700 : 이지아웃태그(제7실시예)
710 : 접촉부
720 : 연결부
720a : 제1연결부 720b : 제2연결부
730 : 제어부
730a : 제1제어부 730b : 제2제어부
740 : 체결부

Claims (11)

  1. 플러그의 접속핀이 형성된 일면과 접하는 접촉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 양단과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부의 길이방향 타단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인력을 가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접속핀이 관통되는 접속핀홀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중,
    하나의 상기 연결부 상에 삽입홀이 형성되되,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상기 제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의 폭이 상기 연결부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길이가 상기 제어부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연결부 사이에는 제1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플러그의 타면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홀은 상기 제1접힘선을 경계로,
    일부가 상기 접촉부 상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연결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홀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접촉부는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타단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가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10.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결부 또는, 한 쌍의 상기 제어부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11. 제1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연결부 및 제어부가 서로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KR1020200020932A 2020-02-20 2020-02-20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KR10234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32A KR102340364B1 (ko) 2020-02-20 2020-02-20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32A KR102340364B1 (ko) 2020-02-20 2020-02-20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47A KR20210106147A (ko) 2021-08-30
KR102340364B1 true KR102340364B1 (ko) 2021-12-20

Family

ID=7750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32A KR102340364B1 (ko) 2020-02-20 2020-02-20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560B2 (ja) 1994-05-25 2001-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2184549A (ja) * 2000-12-13 2002-06-28 Goya Atsunori コンセントプラグ引き抜き子
JP2004327192A (ja) * 2003-04-24 2004-11-18 Yuukon:Kk プラグ外し補助具
US20150056831A1 (en) * 2013-08-20 2015-02-26 Sidney J. Llewellyn, III Plug pull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560U (ja) * 2012-10-02 2012-12-27 淳二 山本 プラグカバー
KR20130072231A (ko) * 2013-06-11 2013-07-01 백지현 이탈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KR200477477Y1 (ko) 2014-02-11 2015-06-12 (주)지안디앤씨 전원 플러그 손잡이
KR200485219Y1 (ko) 2015-03-17 2017-12-08 기현주 콘센트 안전커버
KR101730889B1 (ko) 2016-12-05 2017-04-28 태양기술단(주)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560B2 (ja) 1994-05-25 2001-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2184549A (ja) * 2000-12-13 2002-06-28 Goya Atsunori コンセントプラグ引き抜き子
JP2004327192A (ja) * 2003-04-24 2004-11-18 Yuukon:Kk プラグ外し補助具
US20150056831A1 (en) * 2013-08-20 2015-02-26 Sidney J. Llewellyn, III Plug pu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47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0925B (fi) Pistorasia
US7114968B2 (en) Plastic gate for electrical outlets
US953726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60336682A1 (en) Strain Relief Element for a Cable and Plug with Strain Relief Element
TW462546U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bus
KR20140016962A (ko) 표시장치를 갖는 전기도체 연결장치
KR102340364B1 (ko) 플러그용 이지아웃태그
US8723037B1 (en) Cover for protecting a duplex electrical receptacle and similar devices
CN209641952U (zh) 一种防静电的连接器
US9203225B2 (en) Wire fixing member
KR200442589Y1 (ko) 회전식 콘센트
CN107732563A (zh) 线缆连接器组件
GB2083715A (en) An electrical connector
KR200387806Y1 (ko) 케이블심선 보호구조
JP4249892B2 (ja) 電気丸形コネクタ
GB2064235A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TWM493187U (zh) 連接器結構
TWM462999U (zh) 線纜連接器
KR101848634B1 (ko) 플러그 단자 삽입구 차단용 핀 구조체, 및 플러그 단자 삽입구 차단용 핀 구조체가 구비된 콘센트 구조체
KR20120002276U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CN109716590A (zh) 端子线夹
KR200234469Y1 (ko) 플러그
KR200230921Y1 (ko) 콘센트 안전장치
CN205543478U (zh) 插头接口及电连接装置
CN204668521U (zh) 一种汽车接插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