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308B1 - 음향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308B1
KR102340308B1 KR1020200006813A KR20200006813A KR102340308B1 KR 102340308 B1 KR102340308 B1 KR 102340308B1 KR 1020200006813 A KR1020200006813 A KR 1020200006813A KR 20200006813 A KR20200006813 A KR 20200006813A KR 102340308 B1 KR102340308 B1 KR 10234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gion
sound output
light emitting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632A (ko
Inventor
데니 오
치엔 응우엔
Original Assignee
아이알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이알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는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기판, 발광부 및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파장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출력장치{acoustic device comprising semiconductor light source}
본 기술은 음향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 조사 기능을 구비한 음향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이어폰 리시버의 약칭으로,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휴대용 카세트나 MP3 플레이어 내지 기타 음향 발생 단말기 등에서 출력되는 각종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구현한 장치로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음향 출력이 원활하도록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어폰은 다양한 오염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세척이나 살균 과정없이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귓구멍을 통해 다양한 병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있어 위생상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 귀 내부의 중이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중이염은 감기나 알러지 및 가족력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삼출액이 농성으로 바뀌면서 압력이 높아져 고막을 터뜨린 후 외이도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고막에 구멍이 생겨 농성 분비물이 흘러나오게 되면 파열된 고막 사이로 배출된 삼출액이 굳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파열된 고막이 재생되지 않을 경우, 난청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이어폰과 같은 거부감 없는 장치를 통한 치료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사상은 특정 파장대역의 빛 조사를 통해 살균 및/또는 중이염 치료 기능을 갖는 음향출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는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기판, 발광부 및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파장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통해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제 2 하우징 상에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출력 방향을 기준으로 0도 초과 180도 미만의 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일측 방향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서로 다른 빛 투과특성을 갖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주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측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더 높은 UVA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더 높은 UVC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더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부는 UVA, UVB, UVC 및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 및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부터 음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외부로부터 수집된 음향을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는 특정 파장대역의 빛 조사를 통해 살균 및/또는 중이염 치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는 소정 시간 동안만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광원의 발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측면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제 2 하우징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2의 I-I'축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다수의 다양한 실시 예, 또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구현하는 예시가 제공된다. 소자에 있어서 특정한 예시 및 배열은 본 발명을 간소하게 표현하기 위해 기술된다. 이와 같은 것들은 단순한 예시일 뿐이며,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식별 부호 및/또는 문자를 다양한 예시에서 반복한다.
이러한 반복은 간소화 및 명확화를 목적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실시 예 및/또는 논의되는 구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지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특정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위에, ~에 연결되어 있는, 및/또는 ~에 커플된 등의 문구는 직접적으로 두 구성 요소가 연결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두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형태의 실시예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0), 제 2 하우징(120), 기판(130), 음향 출력부(140), 및 발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은 제 2 하우징(120)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120)은 제 1 하우징(11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 1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제 1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하우징(120)은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 용이하도록 볼록한 형태를 가지면서 제 1 하우징(11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 1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은 제 2 하우징(120)과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기판(130), 음향 출력부(140) 및 발광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은 빛 투과성이 있는 재질 또는 빛 투과성이 없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110)은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하우징(110)의 표면에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 또는 보청기 기능에 이용되는 마이크(미도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120)은 발광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하우징(120)은 빛 투과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20)은 발광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파장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제 2 하우징(120)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은 빛 투과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부 영역은 제 2 하우징(120) 상에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전체 영역의 재질에 따라, 상기 일부 영역의 분포 형태에 따라, 및/또는 상기 일부 영역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될 수 있다.
기판(130)은 제 1 하우징(110) 또는 제 2 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30) 상에는 음향 출력부(140) 및 발광부(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어부, 통신부, 배터리와 같은 다양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0)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0)는 기판(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0)의 끝단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사용자의 귀로 전달될 수 있다.
발광부(150)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150)는 기판(130)과 연결될 수 있다. 발광부(150)는 UVA, UVB, UVC 및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VA는 약 400-315nm 파장 대역의 자외선, UVB는 약 315~280nm 파장 대역의 자외선, UVC는 약 280~100nm 파장 대역의 자외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150)는 이에 한정하지 않지만,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는 낮은 소비전력, 높은 수명 및 친환경성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각종 표시장치, 백라이트 광원 및 조명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IR, UVA, UVB, 및 UVC와 같은 다양한 범위의 파장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장 대역의 범위는 100㎚에서 1000㎚까지의 범위까지 다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120)은 발광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파장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20)은 발광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통해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하우징(120)은 전체 영역을 통해 UVA 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으며, 투과된 UVA가 사용자의 귀에 조사됨으로써 항균,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20)은 일부 영역을 통해 UVA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일부 영역을 통해 UVC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도 있다. 이는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측면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제 2 하우징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2의 I-I'축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0), 제 2 하우징(120), 기판(130), 음향 출력부(140), 및 발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120)은 제 1 영역(121) 및 제 2 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121) 및 제 2 영역(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은 발광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 1 영역(121)이 제 2 하우징(120)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 2 영역(122)이 제 2 하우징(120)의 외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영역(121) 및 제 2 영역(122)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 또는 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은 발광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키고, 제 2 영역(122)은 발광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경우, 제 1 영역(121)은 제 2 하우징(120) 상에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은 음향 출력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 방향(OP)을 기준으로 0도 초과 180도 미만의 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분포할 수도 있다.
제 1 영역(121) 및 제 2 영역(122)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 및 제 2 영역(122)은 모두 UVA, UVB, UVC 또는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은 UVA, UVB, UVC 또는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영역(122)은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은 UVA, UVB, UVC 또는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영역(122)은 제 1 영역(121)이 투과시키지 않는 빛 중 어느 하나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영역(121) 및 제 2 영역(122)의 다양한 형태가 도시된다. 먼저 도 3과 같이, 제 1 영역(121)은 제 2 하우징(120)의 내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 2 영역(122)이 제 2 하우징(120)의 외측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은 UVA, UVB, UVC 또는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영역(122)은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은 UVC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영역(122)은 UVA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UVC는 귓구멍으로 조사되어 공기의 살균/항균을, UVA는 귓바퀴 쪽으로 조사되어 피부의 살균/항균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영역(121) 및 제 2 영역(122)은 제 2 하우징(120)의 외주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은 제 2 영역(122)보다 더 높은 UVA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더 높은 UVC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더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영역(121) 및 제 2 영역(122)은 교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은 UVA, UVB, UVC 또는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영역(122)은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영역(121)은 UVC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영역(122)은 UVA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발광부(150)는 음향 출력부(14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발광부(150)가 4개인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발광부(150)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0), 제 2 하우징(120), 기판(130), 음향 출력부(140), 및 발광부(150)에 추가적으로 배터리(160), 통신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음향출력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제어부(180)의 제어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단말로부터 다양한 신호 및/또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단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음향출력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통신부(170)를 통해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음향출력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음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소정시간 동안 발광부(150)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50)의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발광부(150)의 과도한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은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 발광부를 점등하는 단계(S120), 소정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발광부를 소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S110 단계 내지 S140 단계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110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통신부(170)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발광부(150)를 점등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설정할 수도 있고, 제어부(180)가 음향 신호의 재생 길이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S140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발광부(150)를 소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출력장치(100)는 이어폰, 이어셋 및/또는 보청기와 같은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출력장치(100)가 보청기에 구현되는 경우,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음향 신호를 음향 출력부(150) 및/또는 제어부(180)가 증폭하여 출력하면서 발광부(150)에서 UVA, UVB, UVC 및/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음향출력장치
110: 제 1 하우징
120: 제 2 하우징
121: 제 1 영역
122: 제 2 영역
130: 기판
140: 음향 출력부
150: 발광부
160: 배터리
170: 통신부
180: 제어부

Claims (13)

  1. 음향출력부가 음향을 출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착용시 외부에 노출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음향출력부가 음향을 출력하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상기 음향출력부와 함께 배치되어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로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음향출력부의 외측 둘레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외측 둘레에 해당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빛 중에서 UVC가 투과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빛 중에서 UVA가 투과되는,
    음향출력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 2 하우징 상에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음향출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출력 방향을 기준으로 0도 초과 180도 미만의 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음향출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일측 방향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음향출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주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음향출력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더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음향출력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UVA, UVB, UVC 및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부터 음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하는 음향출력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외부로부터 수집된 음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장치.
KR1020200006813A 2019-01-18 2020-01-17 음향출력장치 KR102340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94237P 2019-01-18 2019-01-18
US62/794,237 2019-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32A KR20200090632A (ko) 2020-07-29
KR102340308B1 true KR102340308B1 (ko) 2021-12-17

Family

ID=7161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813A KR102340308B1 (ko) 2019-01-18 2020-01-17 음향출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82392B2 (ko)
KR (1) KR102340308B1 (ko)
WO (1) WO2020149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1542B2 (en) * 2020-11-12 2023-05-02 Michael Backe Earpiece with internal UV cleaning
KR102577255B1 (ko) * 2021-08-25 2023-09-12 유한회사 청텍 저출력 광조사 시스템
KR102577254B1 (ko) * 2021-08-25 2023-09-12 유한회사 청텍 골전도 헤드셋
KR102630521B1 (ko) * 2021-10-28 2024-01-29 주식회사 힐링사운드 적외선 조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152A (ja) * 2008-10-14 2010-04-30 Fujifilm Corp 電子内視鏡システム
KR101122751B1 (ko) * 2009-12-31 2012-03-21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JP2016163770A (ja) * 2016-06-03 2016-09-08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光源装置
KR101912166B1 (ko) * 2017-07-04 2018-10-26 유한회사 셋토퍼 중이염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8002B2 (en) * 2009-02-25 2014-07-22 Valencell, Inc. Light-guiding devices and monitoring devices incorporating same
EP3357419A1 (en) * 2009-02-25 2018-08-08 Valencell, Inc. Light-guiding devices and monitoring devices incorporating same
KR20150105016A (ko) * 2014-03-07 2015-09-16 이건일 스피커 유닛 교체형 발광 이어폰
US10057672B2 (en) * 2016-10-04 2018-08-21 Nxp B.V. Optical communication interface
US10250964B2 (en) * 2017-05-10 2019-04-02 Logitech Europe S.A.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 custom earpiece
KR20180130831A (ko)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전도성 패턴 구조물을 포함하는 광 필터 부재 및 광 필터 직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152A (ja) * 2008-10-14 2010-04-30 Fujifilm Corp 電子内視鏡システム
KR101122751B1 (ko) * 2009-12-31 2012-03-21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JP2016163770A (ja) * 2016-06-03 2016-09-08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光源装置
KR101912166B1 (ko) * 2017-07-04 2018-10-26 유한회사 셋토퍼 중이염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86547A1 (en) 2022-03-17
WO2020149707A1 (ko) 2020-07-23
US11882392B2 (en) 2024-01-23
KR20200090632A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308B1 (ko) 음향출력장치
KR101912166B1 (ko) 중이염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이어폰
US6668064B1 (en)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and surrounding blockade
US9061082B2 (en) Ultraviolet-based sterilization
US11484612B2 (en) UV disinfection device and method
WO2016103983A1 (ja) 骨伝導ヘッドホン
KR101747958B1 (ko) 귀속 치료 장치 및 귀속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JP2015070514A (ja) 音響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9518942A (ja) 補聴器
US20090080679A1 (en) Securing device with light source for a hear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hearing apparatus
US10433080B2 (en) Hearing aid comprising an indicator unit
CN203971201U (zh) 一种耳道光子治疗仪
KR101122751B1 (ko)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KR20210051811A (ko) 중이염 치료를 위한 광조사 장치
US11641542B2 (en) Earpiece with internal UV cleaning
US20200221238A1 (en) In-ear receiver
KR102476256B1 (ko) 외이도염 치료용 헤드셋
JP2003102082A (ja) イヤホン
CN215121135U (zh) 一种入耳式耳机
CN212038624U (zh) 一种紫外线伤口愈合机
US108806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anding sensation using temperature variations
KR102328134B1 (ko) 유브이 엘이디모듈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휴대폰 커버
US20220016283A1 (en) UV Disinfection Device and Method
KR20190063744A (ko) 음원을 이용한 중이염 치료 시스템 및 장치
KR200249229Y1 (ko) 이명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