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751B1 -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 Google Patents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751B1
KR101122751B1 KR1020090136141A KR20090136141A KR101122751B1 KR 101122751 B1 KR101122751 B1 KR 101122751B1 KR 1020090136141 A KR1020090136141 A KR 1020090136141A KR 20090136141 A KR20090136141 A KR 20090136141A KR 101122751 B1 KR101122751 B1 KR 10112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eadset
sound
light emitting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162A (ko
Inventor
신진희
박정숙
Original Assignee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3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7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2Sanitary or hygienic devices for mouthpieces or earpieces, e.g. for protecting against inf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균활성을 갖는 가시광을 조사하는 광발생모듈을 구비하여 착용시 헤드셋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중이염을 개선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은 몸체에 설치되며 항균활성을 갖는 가시광을 조사하는 광발생모듈과, 광발생모듈의 주변에 설치된 스피커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몸체에 내장되는 음향발생부와, 음향발생부 및 상기 광발생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에 설치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생모듈은 상기 스피커의 중앙에 설치되며 귓구멍을 향해 개구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귓구멍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며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커버를 구비한다.
발광다이오드, 광역학, 헤드셋, 중이염, 가시광

Description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Functional headset of emitting light}
본 발명은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균활성을 갖는 가시광을 조사하는 광발생모듈을 구비하여 착용시 헤드셋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중이염을 개선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인에게 방해를 끼지치 않고 혼자 음악을 듣기 위한 헤드폰 및 이어폰과,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헤드셋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헤드폰은 사용자의 머리에 본체를 걸고 본체 양측단에 형성된 수화기를 귀에 밀착시켜 주위의 잡음에 구애받지 않고, 이어폰에 비해 위생적이며, 훨씬 좋은 음질이 나온다는 이유 등으로 통신, 방송 등의 업무용이나 학습용, 음악감상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헤드셋은 수화기와 마이크로폰이 결합된 것을 지칭하는데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도중 헤드셋을 머리에 걸쳐 사용함으로서 양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업무를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장시간의 상담이나 빈번한 통화시 보다 능률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근래 들어서 휴대폰이나 MP3등과 같은 모체가 되는 전자기기에 부속하여 별도의 무선 헤드셋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이나 MP3와 같은 기기를 직접 손에 쥐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러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셋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 것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 것이다.
헤드셋의 일반적인 형태는 헤드셋과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 형태로 귓바퀴와 유사한 구조의 수화기가 제공된 상태에서, 수화기가 귓바퀴에 지지 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되었다.
상술한 종래의 헤드셋은 머리에 착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상대방과 통화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헤드셋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여 헤드셋을 사용하면서 중이염을 개선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헤드셋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은 양 귀에 접촉되는 좌우 1쌍의 몸체를 연결부재로 연결한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항균활성을 갖는 가시광을 조사하는 광발생모듈과; 상기 광발생모듈의 주변에 설치된 스피커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몸체에 내장되는 음향발생부와;상기 음향발생부 및 상기 광발생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에 설치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생모듈은 상기 스피커의 중앙에 설치되며 귓구멍을 향해 개구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귓구멍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며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중이염 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440 내지 465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중이염 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며, 상기 광원부는 440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제 1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 1발광다이오드의 둘레에 다수가 배치되고 450 내지 465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제 2발광다이오드들로 형성되고, 상기 투광커버는 상기 제 1발광다이오드가 중심에 대응되는 집속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음향이 토출되는 타원형의 제 1음향토출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음향토출홀들의 바깥에는 상기 케이스의 주위를 따라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음향이 토출되는 정원형의 제 2음향토출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휴대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셋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여 헤드셋을 사용하면서 중이염을 개선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는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10)은 양 귀에 접촉되는 좌우 1쌍의 몸체(20)가 연결부재(9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재(90)는 통상적인 조임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연결부재(90)는 몸체(20)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통상적인 고정도구에 의해 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좌우 2개의 몸체(20)는 구성이 동일하므로 도 1에서 바라볼 때 좌측에 위치한 몸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몸체(20)는 연결부재(90)와 연결되는 하우징(23)과, 하우징(23)의 단부에 결합되는 캡(25)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3)은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귀를 향하는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23)의 개방된 가장자리 바깥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캡(25)과 나사결합한다. 캡(25)의 일측에는 스피커(50)가 장착된다. 캡(25)의 둘레에는 스펀지로 이루어진 쿠션부재(95)가 둘러싼다.
몸체(20)의 내부에 음향발생부가 설치된다. 음향발생부의 일예로 음향이 저장된 음향칩이 장착된 음향전기신호모듈과, 음향칩에서 재생되는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50)와, 음향전기신호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외에도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통상적인 헤드셋에 적용되는 공지의 음향발생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음향발생부의 구성들은 이미 공지된 기술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음향발생부의 구성들 중 스피커(50)는 캡(25)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데, 스피커(50)의 중앙에는 후술할 광발생모듈의 케이스(61)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스피커(50)에는 음향이 토출되는 제 1 및 제 2음향토출홀들(51)(53)이 형성된다. 제 1음향토출홀들(51)은 케이스(61)의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가 형성되다. 제 1음향토출홀(51)은 스피커의 바깥 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음향토출홀들(53)은 케이스(61)의 주위를 따라 가장자리 부분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며, 정원형으로 형성된다.
광발생모듈(60)은 항균활성을 갖는 가시광을 조사한다. 도시된 예에서 광발생모듈(60)은 스피커(50)의 중앙에 설치되며 귓구멍을 향해 개구된 케이스(61)와, 케이스(61)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63)에 장착되고 개구를 통해 귓구멍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케이스(61)의 개구에 결합되며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커버(67)를 포함한다.
케이스(61)는 스피커(50)의 중앙에 배치된다. 이때 케이스(61)의 일측, 즉 좌측 단부는 캡(25)에 지지되도록 설치딘다. 케이스(61)는 좌우측면이 개구된 형상으로서,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61)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63)은 통상적인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진다. 기판(63)은 음향발생부의 배터리와 연결된다. 기판(63)에는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광원부로 항균활성을 갖는 광을 발생하는 발광다이오드(65)를 이용한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는 원하는 파장대의 광원을 확보하기가 용이하고, 열의 발생이 적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전력소모가 작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중이염 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440 내지 465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65)가 적용된다.
중이염은 크게 급성 중이염과 만성 중이염으로 나뉘는 데, 특히 급성중이염 은 유소아에서 흔히 빈발하며 염증질환으로 대부분 감기가 제때 치료되지 못해 발생한다. 종래에 중이염을 개선 또는 완화시키기 위해 광역학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적외선 영역대의 파장과 달리 본 발명은 440 내지 465nm의 가시광 영역대의 파장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440 내지 465nm의 가시광 영역대의 파장으로 유효하게 증상을 개선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중이염 원인균으로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애(Streptococcus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 등이다.
케이스(61)의 개구된 일측에 결합하는 투광커버(67)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61)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투광커버(67)는 발광다이오드(65)로부터 발생한 광을 중이(中耳)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광을 집속하는 집속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69는 투광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지지체이다.
한편, 음향발생부 및 광발생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해 몸체(20)에 조작부가 설치된다. 조작부의 일 예로 하우징(23)의 일측에 설치된 키패드(43)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키패드(43)를 조작하여 음향발생부 및 광발생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온/오프시킨다. 전원을 온상태로 작동시키면 스피커(50)를 통해 발생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광발생모듈의 기판(63)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다이오드에서 광이 발생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음향발생부와 광발생모듈을 독립 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키패드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몸체(20)의 내부에 별도의 컨트롤러(미도시)를 설치하여 발광다이오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즉 1분 또는 2분 또는 5분 등의 시간만큼만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헤드셋을 머리에 착용하는 경우에만 발광다이오드(65)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를 위해 귓바퀴와 접촉하는 쿠션부재(95)의 내부 일측에 압력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된다. 제어부는 압력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기판(63)으로의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시킨다. 즉, 사용자가 헤드셋(10)을 착용하게 되면 귓바퀴와 접촉되는 압력이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만 제어부는 기판(63)으로의 전원을 인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키패드(43)를 조작하더라도 기판(63)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발광다이오드(65)는 발광하지 않는다. 또한,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광발생모듈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헤드셋을 벗게 되면 제어부가 광발생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는 광발생모듈(7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적용된 광원부는 440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제 1발광다이오드(71)와, 제 1발광다이오드(71)의 둘레에 다수가 배치되고 450 내지 465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제 2발광다이오드들(75)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2발광다이오드(75)는 제 1발광다이오드(71)로부터 동일한 반경을 형성하는 4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2발광다이오드들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발광다이오드(71)(75)는 선택적으로 작동되거나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투광커버는 집속렌즈(80)로 이루어진다. 집속렌즈(80)는 제 1발광다이오드(71)가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 1발광다이오드(71)와 제 2발광다이오드(75)의 거리는 집속렌즈(80)의 반경 이내이다. 바람직하게 집속렌즈(80)로 색수차를 줄이기 위해 색지움렌즈를 이용한다. 색지움렌즈로 볼록렌즈(81)와 오목렌즈(85)를 결합한 아크로매틱 렌즈(achromatic lens)를 이용할 수 있다. 오목렌즈(85)는 볼록렌즈(81)에 쓰인 매질보다 굴절율과 분산이 큰 매질로되며, 볼록렌즈에 덧붙여져 색수차를 줄인다. 일 예로 크라운유리로 만든 볼록렌즈와, 플린트유리로 만든 오목렌즈를 이용한다. 이러한 집속렌즈(80)에 의해 제 1발광다이오드(71)와 제 2발광다이오드(75)로부터 발생된 광은 집속렌즈(80)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중이로 광을 집중시킬 수 있다.
도시되 바와 달리 집속렌즈로 단일의 볼록렌즈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에 배치된 제 1발광다이오드(71)에서 발생하는 광의 파장보다 제 2발광다이오드(75)에서 발생하는 광의 파장이 더 크기 때문에 굴절률이 더 낮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발광다이오드(71)(75)에서 발생한 광들은 볼록렌즈를 통과할 때 색수차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본 발명의 헤드셋은 상술한 실시 예들에 블루투스 기능이 추가된다.
이를 수신부(45)와, 제어부(30)의 구성을 더한다. 수신부(45)는 조작부(40) 의 조작에 의해 몸체에 설치되며 휴대폰, PDA 등과 같은 휴대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안테나(47)를 통해 음향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수신부(45)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휴대기기로 음향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마이크와, 송신부의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능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된 광의 항염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Raw 264.7 세포를 LPS로 자극한 후에 광을 조사하여 NO의 생성량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였다.
염증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충격이나 화학물질, 세균감염 등과 같은 자극이 가해져서 발생되는 손상부위를 정상상태로 복구 및 재생하는 기전으로, 염증이 일어나면 histamine, serotonine, bradykinin, prostaglandins,hydroxyeicosatetraenoic acid, leukotriene과 같은 혈관활성물질이 유리되어 혈관확장, 혈관세포막 투과성 증가, 부종 등이 증진되며,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nitric oxide (NO)와 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prostagrandin E2 (PGE2) 등과 같은 염증관련 인자들이 생성된다. 이러한 염증매개 물질의 형성은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κB (NF-κB)를 활성화시키고 phospholipase A2의 활성으로 인해 arachidonic acid가 prostaglandin (PG)으로 전환되어 NO를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내독소로 알려진 lipopolysaccaride (LPS)는 그람-음성균의 세포외막에 존재하며, RAW 264.7세포와 같은 macrophage 또는 monocyte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leukin-6 (IL-6), Interleukin-1β (IL-1β)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을 위해 염증유발과 관련이 있는 대식세포주(murine macrophage)인 Raw 264.7 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가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배지를 이용하여 1.5×105 cells/m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 에 접종하였다. 그리고 세포에 1 μg/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한 후 각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로부터 생성된 NO(nitric oxide)의 양은 Griess 시약 [1%(w/v) sulfanilamide,0.1%(w/v) naphylethylenediamine in 2.5%(v/v) phosphoric acid]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농도를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 μL와 Griess 시약 100 μL를 혼합하여 96well plates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sodium nitrite(NaNO2)를 standard로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440nm에서 465nm 파장의 광을 조사한 세포에서는 nitrite의 생성량이 다른 파장대의 광을 조사한 경우보다 크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배양된 상층액 중의 cytokines의 단백질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Cytokines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PBS로 희석하여 각각 코팅한 다음 BSA sucrose, NaN3를 함유한 PBS로 blocking하고, 상층액과 표준 cytokines를 첨가하고 방치한 후, 각 well을 다시 2차 항체 cytokines을 첨가하여 다시 방치하였다. 그 후 Rabbit IgG-conjugated alkaline phosphatase와 PNPP 기질을 첨가하고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TNF-α, IL-6의 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440nm에서 465nm의 파장에서 염증성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는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된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헤드셋 20:몸체
60: 광발생모듈 61: 케이스
63: 기판 65: 발광다이오드
67: 투광커버

Claims (4)

  1. 삭제
  2. 양 귀에 접촉되는 좌우 1쌍의 몸체를 연결부재로 연결한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항균활성을 갖는 가시광을 조사하는 광발생모듈과;
    상기 광발생모듈의 주변에 설치된 스피커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몸체에 내장되는 음향발생부와;
    상기 음향발생부 및 상기 광발생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에 설치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생모듈은 상기 스피커의 중앙에 설치되며 귓구멍을 향해 개구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귓구멍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며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부는 중이염 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440 내지 465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중이염 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며,
    상기 광원부는 440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제 1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 1발광다이오드의 둘레에 다수가 배치되고 450 내지 465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제 2발광다이오드들로 형성되고,
    상기 투광커버는 상기 제 1발광다이오드가 중심에 대응되는 집속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음향이 토출되는 타원형의 제 1음향토출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음향토출홀들의 바깥에는 상기 케이스의 주위를 따라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음향이 토출되는 정원형의 제 2음향토출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휴대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KR1020090136141A 2009-12-31 2009-12-31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KR101122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41A KR101122751B1 (ko) 2009-12-31 2009-12-31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41A KR101122751B1 (ko) 2009-12-31 2009-12-31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62A KR20110079162A (ko) 2011-07-07
KR101122751B1 true KR101122751B1 (ko) 2012-03-21

Family

ID=4491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141A KR101122751B1 (ko) 2009-12-31 2009-12-31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632A (ko) * 2019-01-18 2020-07-29 아이알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음향출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678B1 (ko) * 2013-02-21 2014-05-2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조사형 헤드폰 장치
KR101747958B1 (ko) 2015-04-07 2017-06-15 주식회사 디알메디칼 귀속 치료 장치 및 귀속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912166B1 (ko) * 2017-07-04 2018-10-26 유한회사 셋토퍼 중이염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이어폰
CN113794961A (zh) * 2021-08-21 2021-12-14 南昌大学 一种保护耳朵的发光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570A (ko) * 2000-12-21 2001-03-05 이재학 무선단말기를 제어하는 블루투스칩을 내장한 무선 이어폰장치
KR100555938B1 (ko) 2003-06-24 2006-03-03 박만수 레이저 빔을 이용한 귀 질환 치료장치
KR100715032B1 (ko) * 2005-12-23 2007-05-09 노수성 자외선 조사 변환기
KR20090109651A (ko) * 2008-04-16 2009-10-21 이용식 레이저 조사 수단을 가진 헤드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570A (ko) * 2000-12-21 2001-03-05 이재학 무선단말기를 제어하는 블루투스칩을 내장한 무선 이어폰장치
KR100555938B1 (ko) 2003-06-24 2006-03-03 박만수 레이저 빔을 이용한 귀 질환 치료장치
KR100715032B1 (ko) * 2005-12-23 2007-05-09 노수성 자외선 조사 변환기
KR20090109651A (ko) * 2008-04-16 2009-10-21 이용식 레이저 조사 수단을 가진 헤드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632A (ko) * 2019-01-18 2020-07-29 아이알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음향출력장치
KR102340308B1 (ko) * 2019-01-18 2021-12-17 아이알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음향출력장치
US11882392B2 (en) 2019-01-18 2024-01-23 Irtronix, Inc. Sound out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62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751B1 (ko) 광 발생 기능성 헤드셋
US7548617B2 (en) Bluetooth earphone
US9756159B2 (en) Handphone
CN103686501A (zh) 蓝牙降噪耳机
JP2004534449A (ja) 携帯電話用の手を使わなくてよい小型アダプタ
CN202721792U (zh) 一种骨气组合无线耳机
ATE513421T1 (de) Audio-kopfhörer
EP1524823A4 (en) PORTABLE PHONE WITH BONE LINE SPEAKER
JPWO2016103983A1 (ja) 骨伝導ヘッドホン
WO2008116394A1 (fr) Combine d&#39;un casque d&#39;écoute blue-tooth et d&#39;une base de mégaphone
TW201306607A (zh) 整合有麥克風的耳機
CN113905304A (zh) 一种耳机及其定向出声的方法
GB2510354A (en) ANC-enabled earphones with ANC processing performed by host device
DE60205584D1 (de) Lautsprecher mit doppelkuppel
CN216357224U (zh) 一种耳机
KR20040011859A (ko) 알파벳 유자 모양의 어깨 착용형 진동 우퍼 스피커
KR20140055716A (ko) 외부음향 청취 헤드폰
US20180121155A1 (en) Helmet for a smart cycling equipment
TW201448614A (zh) 可變換音場的多聲道耳機
GB2455141A (en) Earphone optionally providing sound to the environment
CN115396767A (zh) 耳机及耳机系统
KR102167509B1 (ko)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
CN201097667Y (zh) 具有扬声器的帽子
CN207820173U (zh) 一种可敲击震动开关传感型蓝牙耳机
CN202856954U (zh) 一种无线耳机麦克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