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244B1 -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244B1
KR102340244B1 KR1020190170890A KR20190170890A KR102340244B1 KR 102340244 B1 KR102340244 B1 KR 102340244B1 KR 1020190170890 A KR1020190170890 A KR 1020190170890A KR 20190170890 A KR20190170890 A KR 20190170890A KR 102340244 B1 KR102340244 B1 KR 10234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con
emoticons
keyword
recommend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929A (ko
Inventor
박지선
김지현
임희진
박미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19017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2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929A/ko
Priority to KR1020210177690A priority patent/KR20210153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말이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채팅방에 표시되는 복수의 이모티콘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모티콘들에 연관된 추천 이모티콘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천 이모티콘이 존재하는 경우,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추천 이모티콘 요청을 받으면,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상기 채팅방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METHOD FOR PROVIDING EMOTICONS IN INSTANT MESSAGING SERVICE, USER DEVICE, SERVER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이모티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존재한다.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카오톡 등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채팅방에서 친구들과 메시지를 교환한다. 이때, 메시지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이모티콘 등과 같이 다양하다. 특히, 이모티콘은 사용자 감정과 의사를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다양하고 참신한 이모티콘들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채팅방의 대화 맥락(context)을 추론하여, 대화 맥락에 적합한 이모티콘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키워드들과 이모티콘들의 매칭 정보를 포함하는 키워드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채팅방에서 전송되는 이모티콘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맥락 키워드를 결정하고, 맥락 키워드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채팅방에 표시되는 복수의 이모티콘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모티콘들에 연관된 추천 이모티콘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천 이모티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채팅방에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추천 이모티콘 요청을 받으면,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상기 채팅방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천 이모티콘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키워드 식별자들에 매칭된 이모티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키워드 식별자들을 대표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표 키워드 식별자가 존재하면, 상기 추천 이모티콘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는 상기 대표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되어 있는 이모티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이모티콘이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는 이모티콘 표시창을 여는 이모티콘 버튼을 기본 아이콘에서 힌트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이모티콘 표시창에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들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에 저장된 이모티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에 포함된 이모티콘들 중에서, 구매하지 않은 이모티콘들과 구매한 이모티콘들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모티콘 제공 방법은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에서 선택된 이모티콘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이모티콘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채팅방의 참여자 단말들로 전송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키워드 식별자들에 매칭된 이모티콘 정보를 포함하는 키워드 딕셔너리를 저장하는 단계, 단말로 상기 키워드 딕셔너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채팅방의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표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대표 키워드 식별자는 상기 키워드 딕셔너리에 포함된 키워드 식별자이고, 상기 채팅방에서 수신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 중에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이모티콘 제공 방법은 상기 채팅방으로 전송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 딕셔너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채팅방을 표시하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들을 상기 채팅방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들에 포함된 이모티콘들을 이용하여 상기 채팅방의 대화 맥락을 나타내는 대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가 추출되면, 이모티콘 표시창을 여는 이모티콘 버튼을 기본 아이콘에서 힌트 아이콘으로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이모티콘 표시창에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을 실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들에 포함된 텍스트를 더 이용하여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키워드 식별자들에 매칭된 이모티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들에 포함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키워드 식별자들을 대표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식별자를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들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에 저장된 이모티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채팅방의 대화 맥락에 적합한 이모티콘을 추천받으므로, 이모티콘을 검색할 필요 없이, 상황에 맞는 이모티콘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힌트 아이콘을 통해, 채팅방의 대화 맥락에 적합한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알 수 있어서, 상황에 맞는 이모티콘 선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대방이 사용한 이모티콘과 비슷한 이모티콘들을 추천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추천 이모티콘들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되지 않은 이모티콘들을 추천받을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추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대화 맥락에 연관된 이모티콘 추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대화 맥락에 연관된 이모티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화 맥락에 연관된 이모티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에 설치되고, 단말에서 실행되며,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서버와 통신한다.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프로세서는 하드웨어들과 협력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디스플레이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예를 들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터치 입력 이외에 키보드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통신망에 연결된다. 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과 서버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패드형 단말, 랩탑 컴퓨터 등 각종 형태의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TV 단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모티콘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이모티콘”은, 이미지, 이모지, 스티커 등으로 다양하게 부를 수 있고, 텍스트와 다른 종류의 콘텐츠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들(100, 110, 120)은 메시징 서버(200)에 접속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이용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은 도 1과 같이, 채팅방 인터페이스 화면일 수 있고, 설명에서 채팅방 화면이라고 부른다.
설명을 위해, 사용자A가 단말(100)의 사용자이고, 사용자B가 단말(110)의 사용자이고, 사용자C가 단말(120)의 사용자이며, 사용자A, 사용자B, 사용자C가 채팅방의 대화자들이라고 가정한다. 설명에서, 사용자A의 단말(100)에 표시되는 채팅방 화면(1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메시징 서버(200)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서버를 나타내기 위해 명명한 것으로서, 메시징 서버(200)에 한정될 필요 없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이면 충분하다.
채팅방 화면(10)은 채팅방에서 교환되는 메시지들이 표시되는 메시지 표시창(11), 텍스트를 입력받는 텍스트 입력창(12), 이모티콘 표시창(14)을 열기 위한 이모티콘 버튼(13)을 포함할 수 있다. 채팅방 화면(10)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표시창(15)을 표시한 상태에서, 이모티콘 버튼(13)이 선택되면, 복수의 이모티콘들을 보여주는 이모티콘 표시창(1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모티콘 표시창(14)은 이모티콘 패키지들(상품들)이 나열된 이모티콘 탭(16) 중에서, 특정 탭의 이모티콘 패키지에 포함된 이모티콘 리스트를 이모티콘 리스트 영역(17)에 표시할 수 있다. 이모티콘 리스트는 복수의 이모티콘들로 구성되는 집합을 의미한다.
사용자A가 텍스트 입력창(12)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전송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단말(100)은 메시징 서버(200)로 입력 텍스트를 전송한다. 메시징 서버(200)는 입력 텍스트가 전송된 채팅방을 확인하고, 채팅방의 참여자 단말들로 입력 텍스트를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A, 사용자B, 그리고 사용자C가 참여한 채팅방 화면(10)에 사용자A가 입력한 텍스트가 말풍선 메시지로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A가 이모티콘 표시창(14)에서 어느 이모티콘을 선택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단말(100)은 메시징 서버(200)로 이모티콘을 전송한다. 이때, 이모티콘 이미지가 전송되거나, 이모티콘의 식별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00)는 이모티콘이 전송된 채팅방을 확인하고, 채팅방의 참여자 단말들로 이모티콘을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A, 사용자B, 그리고 사용자C가 참여한 채팅방 화면(10)에 사용자A가 입력한 이모티콘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모티콘은 이모티콘 이미지와 함께 이모티콘 식별자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다.
텍스트나 이모티콘 이외에도, 사용자A는 채팅방 화면(10)에서 동영상, 사진 등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으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A의 채팅방 화면(10)은 사용자B와 사용자C가 입력한 텍스트, 이모티콘 등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A는 채팅방 화면(10)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이모티콘을 입력할 수 있고, 특히 텍스트 대신 이모티콘을 통해 자의 감정과 의사를 상대방에게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A는 이모티콘을 입력하고 싶은 경우, 이모티콘 버튼(13)을 눌러서, 이모티콘 표시창(14)에서 보이는 이모티콘을 직접 검색해야 비로소 원하는 이모티콘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모티콘의 수가 늘어나면, 사용자가 원하는 이모티콘을 찾기가 어렵고, 이모티콘을 선택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이모티콘들이 있더라도 자주 사용하는 이모티콘만 계속 사용할 가능성이 있고, 자신의 감정과 의사에 적합한 이모티콘을 검색하는 것을 귀찮게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들은 채팅방에서 공통의 관심사(특정 뉴스, 특정 물건, 특정 사람 등)나 특정 이벤트(예를 들면, 생일, 기념일 등) 등의 대화 주제에 대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사용자들은 텍스트 대신 이모티콘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시할 수 있지만, 자신의 단말에 저장된 이모티콘들을 확인하고, 채팅방의 상황에 적합한 이모티콘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있다.
다음에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채팅방의 대화 맥락에 연관된 이모티콘들을 제공(추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의 주체로 설명하거나, 설치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단말(100)을 동작의 주체로 설명할 수 있다.
설명에서, 사용자A의 단말(100)이 채팅방에서 수신한 이모티콘들과 비슷한 이모티콘을 대화 맥락에 적합한 추천 이모티콘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추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100)은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채팅방에 표시되는 복수의 이모티콘들을 수신한다(S110).
단말(100)은 복수의 이모티콘들에 연관된 추천 이모티콘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20). 단말(100)이 추천 이모티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0)은 복수의 이모티콘들로부터 대화 맥락을 추론하는데, 대화 맥락은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가 매칭된 키워드들 중에서 추출될 수 있다. 즉, 단말(100)은 복수의 이모티콘들로부터 추출된 키워드가 존재하면, 추천 이모티콘 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100)이 키워드들과 이모티콘들의 매칭 정보를 포함하는 키워드 딕셔너리(keyword dictionary)를 이용하여, 수신한 이모티콘들이 매칭된 키워드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키워드들을 대표하는 대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딕셔너리는 다음에서 표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단말(100)은 추천 이모티콘 있음으로 판단된 경우,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하고,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표시한다(S130).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모티콘 버튼(13)을 기본 아이콘과 다른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천 이모티콘 요청을 받으면,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채팅방에 표시한다(S140).
예를 들면, 키워드 딕셔너리는 표 1과 같이, 키워드 식별자, 키워드, 키워드에 매칭된 이모티콘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키워드 딕셔너리는 이모티콘 이미지를 포함할 필요는 없고, 이모티콘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면 된다. 이모티콘의 이름이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모티콘 식별자는 다양하게 부여될 수 있다. 키워드 딕셔너리는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전송되고, 메시징 서버(200)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모든 이모티콘들에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가 매칭될 수 있다. 또는 일부 이모티콘에만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가 매칭될 수 있다.
키워드 식별자 키워드 이모티콘 식별자
ID=001 생일축하 IMG1_ID, IMG2_ID, IMG3_ID, … IMGm_ID
ID=002 인사 IMG1_ID, IMG4_ID, IMG5_ID, … IMGn_ID
ID=003 고마워 IMG7_ID, IMG8_ID, IMG9_ID, … IMGk_ID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들은, 이모티콘 이미지와 함께 이모티콘 식별자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단말(100)은 표 1과 같은 키워드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수신한 이모티콘의 식별자에 매칭된 키워드 또는 키워드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대화 맥락에 연관된 이모티콘 추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이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단말(100)은 채팅방 화면을 표시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팅방 화면은 메시지 표시창(11)과 텍스트 입력창(12)을 표시하고, 커서가 텍스트 입력창(12)에 있으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표시창(15)을 기본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채팅방 화면은 이모티콘 표시창을 여는 이모티콘 버튼(13)을 표시하는데, 이모티콘 버튼(13)은 예를 들면, 텍스트 입력창(12)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모티콘 버튼(13)은 기본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B가 단말(110)에서 입력한 이모티콘1(20)이 메시지 표시창(1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C가 단말(120)에서 입력한 이모티콘2(21)과 텍스트(생일 축하해!!!!)(22)가 메시지 표시창(11)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단말(100)은 채팅방에 표시되는 이모티콘1(20)과 이모티콘2(21) 각각의 이모티콘 식별자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표 1과 같은 키워드 딕셔너리를 참조하여, 각 이모티콘 식별자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식별자를 추출한다.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은 이모티콘 식별자를 포함하므로, 단말(100)은 수신한 이모티콘의 이모티콘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신한 이모티콘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0)은 표 1의 키워드 딕셔너리를 참조하여 이모티콘1(20)의 식별자(예를 들면, IMG1_ID)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를 찾고, 이모티콘1(20)의 식별자(IMG1_ID)에 매칭된 키워드 “생일축하”의 식별자(ID=001)를 기록해 둔다. 계속해서 단말(100)은 표 1의 키워드 딕셔너리를 참조하여 이모티콘2(21)의 식별자(예를 들면, IMG2_ID)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를 찾고, 이모티콘2(21)의 식별자(예를 들면, IMG2_ID)에 매칭된 키워드 “생일축하”의 식별자(ID=001)를 기록해 둔다.
단말(100)은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기초로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여부의 판단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한 이모티콘들 중에서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이 기준 값(예를 들면, 2번) 이상 포함된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한 이모티콘들 중에서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이 기준 값(예를 들면, 2개) 이상 포함된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을 기준 값(예를 들면, 2개)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수신한 일정 개수(예를 들면, 5개)의 이모티콘들 중에서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이 기준 값(예를 들면, 2번) 이상 포함된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채팅방의 참여자들 중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을 전송한 참여자 수 또는 참여자 비율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단말(100)은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과 함께, 수신한 텍스트(22)를 반영하여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판단 기준을 기초로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고,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에서 채팅방의 대화 맥락을 나타내는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여부의 판단 기준이,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을 기준 값(예를 들면, 2개)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로 설정된 경우, 단말(100)은 동일한 키워드 식별자(ID=001)에 매칭된 이모티콘1(20)과 이모티콘2(21)를 기준 값(2개) 이상 수신하였으므로,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하고, 동일한 키워드 식별자(ID=001)를 대표 키워드 식별자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상태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b)와 같이, 단말(100)은 이모티콘 버튼(13)을 기본 아이콘과 다른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앞으로, 기본 아이콘과 다른 아이콘을 힌트 아이콘이라고 부르고, 힌트 아이콘을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상태를 표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설명한다. 힌트 아이콘은, 대화 맥락에 연관된 추천 이모티콘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기본 아이콘과 모양이 다른 아이콘이면 충분하다. 더 나아가, 힌트 아이콘은 추천 이모티콘들 중 하나의 이모티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힌트 아이콘은 움직임이 있는 이모티콘일 수 있다.
힌트 아이콘의 이모티콘 버튼(13)이 선택되면, 도 3의 (c)와 같이, 단말(100)은 이모티콘 표시창(14)에 대표 키워드 식별자(ID=001)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들을 표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대표 키워드 식별자(ID=001)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들을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추천 이모티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대표 키워드 식별자(ID=001)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들 중에서, 구매하지 않은 이모티콘들과 구매한 이모티콘들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하지 않은 이모티콘을 선택하면, 단말(100)은 구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천 이모티콘에 대한 구매가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단말(100)은 키워드 딕셔너리를 참조하여 대표 키워드 식별자(ID=001)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식별자들을 확인하고, 구매한(보유한) 이모티콘들 중에서 추천 이모티콘 식별자들에 포함된 이모티콘들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00)은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대표 키워드 식별자(ID=001)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들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100)이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대표 키워드 식별자(ID=001)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들을 수신하는 시점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가 활성화되면,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추천 이모티콘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추천 이모티콘 요청이 있을 때(예를 들면, 힌트 아이콘이 선택될 때),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추천 이모티콘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모티콘 표시창(14)은 이모티콘 탭(16)과 이모티콘 리스트 영역(17) 이외에, 키워드 탭(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탭(18)은 대표 키워드 식별자(키워드 “생일축하”의 식별자)의 연관 키워드들(축하, 생일, 케이크 등)을 제공하고, 연관 키워드가 선택되면, 연관 키워드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들이 이모티콘 리스트 영역(17)에 표시될 수 있다. 연관 키워드들은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이모티콘 표시창(14)에 대표 키워드 식별자(키워드 “생일축하”의 식별자)의 추천 이모티콘들과 함께, 각 연관 키워드에 매칭된 적어도 일부의 추천 이모티콘들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모티콘 표시창(14)을 스크롤하면서, 각 연관 키워드에 매칭된 적어도 일부의 추천 이모티콘들을 탐색할 수 있다.
이모티콘 표시창(14)에 이모티콘 추천 결과가 표시되는 방법, 이모티콘 배열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천 이모티콘들 중에서, 채팅방에서 최근에 사용된 이모티콘1, 이모티콘2를 우선 노출할 수 있다. 추천 이모티콘들 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이모티콘을 우선 노출할 수 있다.
이모티콘 리스트에서 어느 이모티콘이 선택되면, 미리보기 화면(19)에 선택된 이모티콘(23)이 표시될 수 있다. 미리보기 화면(19)은 메시지 표시창(11)의 상위 레이어에서, 메시지 표시창(11)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서 표시될 수 있다. 미리보기 화면(19)은 텍스트 입력창(12)의 위에 표시될 수 있다.
전송 버튼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모티콘(23)이 메시징 서버(200)로 전송된다. 메시징 서버(200)는 채팅방의 대화자 단말들로, 이모티콘(23)을 전송한다.
도 3의 (d)를 참고하면, 단말(100)에서 전송된 이모티콘(23)은 채팅방 화면(10)에 표시된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대화 맥락에 연관된 이모티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메시징 서버(200)는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딕셔너리(표 1 참조)를 관리한다(S210). 추가적으로, 메시징 서버(200)는 각 키워드 식별자에 이모티콘들 매칭하고,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키워드 식별자의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00)는 키워드 딕셔너리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220).
단말(100)은 키워드 딕셔너리를 저장한다(S230). 키워드 딕셔너리는 메시징 서버(200)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키워드 딕셔너리는 데이터 파일로서, 단말(100)에 저장된다. 데이터 파일은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저장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00)는 단말(100)을 포함하는 채팅방의 참여자 단말들로 채팅방의 메시지들을 전송한다(S240). 메시지는 이모티콘,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키워드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채팅방에서 수신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확인한다(S250).
단말(100)은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기초로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S260).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여부의 판단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한 이모티콘들 중에서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이 기준 값(예를 들면, 2번) 이상 포함된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한 이모티콘들 중에서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이 기준 값(예를 들면, 2개) 이상 포함된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을 기준 값(예를 들면, 2개)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수신한 일정 개수(예를 들면, 5개)의 이모티콘들 중에서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이 기준 값(예를 들면, 2번) 이상 포함된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채팅방의 참여자들 중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을 전송한 참여자 수 또는 참여자 비율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단말(100)은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단말(100)은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과 함께, 수신한 텍스트를 반영하여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판단 결과에 따라 이모티콘 추천 모드를 활성화하고, 이모티콘 추천모드 활성화 상태를 표시한다(S270). 예를 들면, 단말(100)은 이모티콘 버튼(13)을 힌트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이모티콘 추천 모드 활성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천 이모티콘 요청을 받으면, 수신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대표하는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확인하고, 대표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한다(S280). 추천 이모티콘 요청은 힌트 아이콘 선택일 수 있다. 단말(100)은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 중에서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출한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메시징 서버(200)로 전송하여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요청하고, 수신한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키워드 딕셔너리를 참조하여 대표 키워드 식별자(ID=001)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식별자들을 확인하고, 구매한(보유한) 이모티콘들 중에서 추천 이모티콘 식별자들에 포함된 이모티콘들만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에서 선택된 이모티콘을 메시징 서버(200)로 전송한다(S290).
메시징 서버(200)는 채팅방의 참여자 단말들로 단말(100)에서 전송된 이모티콘을 전송한다(S292).
단말(100)은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을 채팅방에 표시한다(S294).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화 맥락에 연관된 이모티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단말(100)은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딕셔너리를 저장한다(S310). 키워드 딕셔너리는 키워드들과 이모티콘들의 매칭 관계를 포함하는 파일로서, 키워드와 이모티콘은 식별자로 구분될 수 있다.
단말(100)은 키워드 딕셔너리를 참조하여, 채팅방에서 일정 시간 동안 수신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확인한다(S320). 즉, 단말(100)은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창(12)에 텍스트를 입력하는 시점에, 채팅방에서 최근에 교환된 이모티콘들로부터 대화 맥락을 추론하기 위해, 이모티콘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를 확인한다. 이때, 일정 시간은 현재 시점부터 하루, 2시간 등일 수 있다. 또는, 일정 시간은 메시지 전송 패턴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시간은 채팅방에서 메시지 전송이 중단된 이후, 개시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일 수 있다.
단말(100)은 대표 키워드 추출 기준을 기초로 일정 시간 동안 확인한 키워드 식별자들을 대표하는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추출한다(S330). 대표 키워드 추출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한 이모티콘들 중에서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이 기준 값(예를 들면, 2번) 이상 포함된 경우, 단말(100)은 동일 키워드 식별자를 대표 키워드 식별자로 추출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한 이모티콘들 중에서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이 기준 값(예를 들면, 2개) 이상 포함된 경우, 단말(100)은 동일 키워드 식별자를 대표 키워드 식별자로 추출할 수 있다.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을 기준 값(예를 들면, 2개)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단말(100)은 동일 키워드 식별자를 대표 키워드 식별자로 추출할 수 있다. 수신한 일정 개수(예를 들면, 5개)의 이모티콘들 중에서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이 기준 값(예를 들면, 2번) 이상 포함된 경우, 단말(100)은 동일 키워드 식별자를 대표 키워드 식별자로 추출할 수 있다. 채팅방의 참여자들 중 동일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이모티콘들을 전송한 참여자 수 또는 참여자 비율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단말(100)은 동일 키워드 식별자를 대표 키워드 식별자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단말(100)은 메시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과 함께, 수신한 텍스트를 반영하여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대표 키워드 식별자가 추출된 경우, 채팅방의 대화 맥락에 연관된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표시한다(S340). 대표 키워드 식별자는 복수일 수 있다. 단말(100)은 채팅방의 대화 맥락에 연관된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힌트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천 이모티콘 요청을 받으면, 대표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한다(S350). 단말(100)은 힌트 아이콘의 이모티콘 버튼이 선택되면, 대표 키워드 키워드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2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8개의 이모티콘들이 채팅방에서 전송된 경우, 단말(100)은 각 이모티콘 식별자의 매칭 키워드 식별자를 확인한다. 매칭 키워드 식별자들 중에서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칭 키워드 식별자 ID=001이 기준 개수 이상 사용되었으므로, 키워드 “생일축하”의 식별자 ID=001이 대표 키워드 식별자로 추출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키워드 식별자 ID=001의 연관 키워드로 ID=003의 “고마워”와 ID=005의 “좋아”를 추론할 수 있다. 표 2에서, IMG30_ID과 IMG31_ID은 아직 키워드가 매칭되지 않은 이모티콘일 수 있다.
이모티콘 식별자 매칭 키워드 식별자 키워드
IMG1_ID ID=001, ID=002 생일축하, 인사
IMG2_ID ID=001 생일축하
IMG3_ID ID=001 생일축하
IMG7_ID ID=003 고마워
IMG20_ID ID=005 좋아
IMG21_ID ID=005 좋아
IMG30_ID - -
IMG31_ID - -
한편, 단말(100)은 대표 키워드를 추출할 때, 이모티콘 이외에 채팅방에서 참여자들이 전송한 텍스트를 더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도 2의 (a)에서 텍스트(생일 축하해!!!!)(22)로부터 대화 맥락인 “생일”을 추론할 수 있으므로, 이모티콘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 통계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텍스트로부터 추론된 대화 맥락 정보를 이용하여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정교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동일한 채팅방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이모티콘 이용 이력 등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은 채팅방의 사용자A를 위해 대표 키워드 식별자1을 추출하고, 단말(110)은 채팅방의 사용자B를 위해 대표 키워드 식별자2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단말(100)은 사용자A의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A의 생일이라는 정보가 확인되면, 키워드 “생일축하”의 식별자 대신, 다른 키워드, 예를 들면, 키워드 “고마워”의 식별자를 대표 키워드 식별자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징 서버(200)가 채팅방으로 전송된 메시지들을 채팅방의 대화자 단말들로 전송하므로, 표 2의 정보를 채팅방별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징 서버(200)가 채팅방의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직접 추출할 수 있고, 대표 키워드 식별자가 있으면, 대화 맥락에 연관된 추천 이모티콘이 있음을 단말들(100, 110, 120)로 알려 줄 수 있다. 단말들(100, 110, 120)은 대화 맥락에 연관된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면, 이모티콘 버튼(13)을 힌트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00)는 표 2와 같이, 채팅방에서 사용되는 이모티콘 정보를 기초로 키워드와 이모티콘의 새로운 매칭 관계를 발견하고, 새로운 매칭 관계를 이용하여 키워드 딕셔너리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메시징 서버(200)는 아직 키워드가 매칭되지 않은 이모티콘인 IMG30과 IMG31이 있는데, 이들이 사용된 채팅방에서 추출된 대표 키워드 식별자(예를 들면, 키워드 “생일축하”의 식별자)을 확인하고, IMG30과 IMG31을 대표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00)는 키워드 딕셔너리의 키워드에 매칭되지 않은 이모티콘들(예를 들면, IMG20)이 “생일축하”가 대표 키워드로 추출된 채팅방들에서 자주 사용된다면, 자주 사용되는 이모티콘 IMG20을 키워드 “생일축하”의 매칭 이모티콘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채팅방의 대화 맥락에 적합한 이모티콘을 추천받으므로, 이모티콘을 검색할 필요 없이, 상황에 맞는 이모티콘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힌트 아이콘을 통해, 채팅방의 대화 맥락에 적합한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알 수 있어서, 상황에 맞는 이모티콘 선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대방이 사용한 이모티콘과 비슷한 이모티콘들을 추천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추천 이모티콘들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되지 않은 이모티콘들을 추천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단말이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채팅방에 표시되는 복수의 이모티콘들을 수신하는 단계,
    키워드별로 복수의 이모티콘들이 매칭된 딕셔너리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들을 확인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대표하는 대표 키워드의 존재 유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이모티콘들에 연관된 추천 이모티콘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천 이모티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채팅방에 추천 이모티콘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추천 이모티콘 요청을 받으면, 상기 대표 키워드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상기 채팅방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추천 이모티콘이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는
    이모티콘 표시창을 여는 이모티콘 버튼을 기본 아이콘에서 힌트 아이콘으로 변경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이모티콘 표시창에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들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에 저장된 이모티콘들을 포함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에 포함된 이모티콘들 중에서, 구매하지 않은 이모티콘들과 구매한 이모티콘들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에서 선택된 이모티콘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이모티콘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채팅방의 참여자 단말들로 전송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8. 서버가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키워드별로 복수의 이모티콘들이 매칭된 딕셔너리를 저장하는 단계,
    단말로 상기 딕셔너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채팅방의 대표 키워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표 키워드 식별자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표 키워드 식별자는
    상기 딕셔너리에 포함된 키워드 식별자이고, 상기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방에서 수신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 중에서 추출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채팅방으로 전송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상기 딕셔너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10.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채팅방을 표시하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들을 상기 채팅방에 표시하는 단계,
    키워드별로 복수의 이모티콘들이 매칭된 딕셔너리를 기초로, 상기 메시지들에 포함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들을 확인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상기 채팅방의 대화 맥락을 나타내는 대표 키워드 정보가 추출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가 추출되면, 이모티콘 표시창을 여는 이모티콘 버튼을 기본 아이콘에서 힌트 아이콘으로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힌트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이모티콘 표시창에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에 매칭된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을 실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11. 제10항에서,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가 추출되는 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들에 포함된 텍스트를 더 이용하여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어플리케이션.
  12. 제10항에서,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키워드 식별자들에 매칭된 이모티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들에 포함된 이모티콘들에 매칭된 키워드 식별자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키워드 식별자들을 대표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식별자를 상기 대표 키워드 정보로 추출하는, 어플리케이션.
  13. 제10항에서,
    상기 추천 이모티콘 리스트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모티콘들을 포함하거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저장된 이모티콘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KR1020190170890A 2019-12-19 2019-12-19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KR102340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890A KR102340244B1 (ko) 2019-12-19 2019-12-19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KR1020210177690A KR20210153591A (ko) 2019-12-19 2021-12-13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890A KR102340244B1 (ko) 2019-12-19 2019-12-19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690A Division KR20210153591A (ko) 2019-12-19 2021-12-13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929A KR20210078929A (ko) 2021-06-29
KR102340244B1 true KR102340244B1 (ko) 2021-12-15

Family

ID=766265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890A KR102340244B1 (ko) 2019-12-19 2019-12-19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KR1020210177690A KR20210153591A (ko) 2019-12-19 2021-12-13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690A KR20210153591A (ko) 2019-12-19 2021-12-13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0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206A (ko)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카카오 대화 정보에 기반하여 이모티콘을 추천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859A (ko) 2022-02-10 2023-08-17 정원모 소프트웨어의 잠재적 오류 테스트 방법
KR20240024562A (ko) * 2022-08-17 2024-02-26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컨텐츠 인덱싱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181B1 (ko) * 2015-01-19 2016-01-06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응답 스티커 추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0537A1 (en) * 2013-10-03 2015-04-09 Microsoft Corporation Emoji for Text Predictions
KR101740274B1 (ko) * 2015-03-18 2017-06-08 주식회사 카카오 이모티콘 탐색 방법 및 단말
KR20180080987A (ko) * 2017-12-13 2018-07-13 주식회사 플랫팜 머신 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이모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34080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플랫팜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181B1 (ko) * 2015-01-19 2016-01-06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응답 스티커 추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206A (ko)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카카오 대화 정보에 기반하여 이모티콘을 추천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929A (ko) 2021-06-29
KR20210153591A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8575B2 (en) Management of calls and media content associated with a caller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10944863B2 (en) Management of media content derived from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1100599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act firewall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10979558B2 (en) Management of media content associated with time-sensitive offer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11381679B2 (en) Management of media content associated with call context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10979559B2 (en) Management of call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based on call participants
US10951755B2 (en) Management of media content for caller ID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KR20210153591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US10965809B2 (en) Management of media content associated with a call participant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10931819B2 (en) Management of media content associated with a user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US10938984B2 (en) Management of media content associated with ending a call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98479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requests for photographs and multimedia content, and enabling electronic social sharing thereof
KR102648289B1 (ko)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의 메시지 컨텍스트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츠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95873A1 (en) Threaded messaging
WO2018188567A1 (zh) 服务器信息推送方法、终端信息发送方法、装置、系统以及存储介质
KR102324200B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US20190260705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vering computerized connections between persons and generating computerized introductions
WO2009050739A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identities over a social network
KR102407110B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US20230376199A1 (en)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recommending emoticons based on conversation information
JP7443427B2 (ja) エモーティコンの推薦方法及びエモーティコンの推薦を提供するユーザー端末
KR20240039665A (ko) 메신저 서비스에서 메시지의 표시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4069242A (ja) エモーティコンの推薦方法及びエモーティコンの推薦を提供するユーザー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