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232B1 - 버퍼 상태의 보고 및 트리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버퍼 상태의 보고 및 트리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232B1
KR102340232B1 KR1020167003863A KR20167003863A KR102340232B1 KR 102340232 B1 KR102340232 B1 KR 102340232B1 KR 1020167003863 A KR1020167003863 A KR 1020167003863A KR 20167003863 A KR20167003863 A KR 20167003863A KR 102340232 B1 KR102340232 B1 KR 10234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ac entity
mac
data
logic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972A (ko
Inventor
이선영
이승준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6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04W72/1242
    • H04W72/1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퍼 상태 보고 및 트리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논리 채널 세트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논리 채널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 세트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논리 채널 세트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함; 상기 제1 논리 채널 세트에 속하는 제1 논리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논리 채널이 상기 제1 논리 채널 세트 중 데이터가 송신 이용가능한 논리 채널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면, 상기 제1 기지국으로의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퍼 상태의 보고 및 트리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IGGERING AND REPORTING A BUFFER STATUS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퍼 상태의 보고 및 트리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중 연결성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에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의 동작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논리 채널 세트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논리 채널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 세트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논리 채널 세트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함; 상기 제1 논리 채널 세트에 속하는 제1 논리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논리 채널이 상기 제1 논리 채널 세트 중 데이터가 송신 이용가능한 논리 채널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면, 상기 제1 기지국으로의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모듈; 및 상기 무선 주파수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논리 채널 세트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논리 채널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 세트들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논리 채널 세트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논리 채널 세트에 속하는 제1 논리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논리 채널이 상기 제1 논리 채널 세트 중 데이터가 송신 이용가능한 논리 채널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면, 상기 제1 기지국으로의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논리 채널은 상기 제2 논리 채널 세트에 속하는 제2 논리 채널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해 송신 이용가능하게 되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논리 채널 세트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논리 채널은 상기 제1 논리 채널 세트의 상기 논리 채널 그룹들 중 어느 하나에 속하며 상기 데이터가 송신 이용가능한 논리 채널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의 보고 및 트리거링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이중 연결성 (dual connectivity) 시스템에서 단말은 각 기지국으로 각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 양을 보고 및 트리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E-UTRAN(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망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2b는 일반적인 E-UTRAN과 EPC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E-UMTS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물리 채널 구조의 일 예시이다.
도 5는 반송파 집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 과 보조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 사이의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a는 이중 연결성에 연관된 기지국의 제어 평면(Control Plane, C-Plane) 연결성의 개념도이고, 도 7b는 이중 연결성에 연관된 기지국의 사용자평면(User Plane, U-Plane) 연결성의 개념도이다.
도 8은 이중 연결성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9는 하향링크에 대한 LTE 프로토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3개의 상이한 상향링크 그랜트(grant)들에 대한 2개의 논리 채널들의 우선순위화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버퍼 상태 및 잔여-전력(power-headroom) 보고들의 시그널링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중 연결성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버퍼 상태의 트리거링 및 보고에 대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는 유럽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및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에 기반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동작하는 3 세대(3rd Generation, 3G) 비대칭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UMTS의 LTE(Long-Term Evolution)는 UMTS를 규격화하는 3GPP에 의하여 논의 중이다.
3GPP LTE는 고속 패킷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사용자 및 제공자 비용을 감소시키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며, 커버리지(coverage) 및 시스템 용량을 확장 및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LTE 과제들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3G LTE는, 상위-레벨 요구로서, 비트(bit)당 비용 감소, 증가된 서비스 가용성, 주파수 대역의 유연성, 단순한 구조, 개방형 인터페이스, 및 단말의 적절한 전력 소모를 요구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FDD 방식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H-FDD 방식 또는 TDD 방식에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E-UTRAN(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망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UMTS는 LTE 시스템으로서 호칭될 수도 있다. 통신망은 IMS 및 패킷 데이터를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배치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UMTS 망은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PC(Evolved Packet Core),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한다. E-UTRAN은 하나 이상의 eNB(evolved NodeB, 20)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단말들(10)이 하나의 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E-UTRAN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게이트웨이들(30)은 네트워크의 종단에 위치되고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eNB(20)로부터 단말(10)로의 통신을 지칭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로부터 eNB(20)로의 통신을 지칭한다.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하여 운반되는 통신 장비를 지칭하며, 또한, 이동국(Mobile Station, MS),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또는 무선 디바이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2b는 일반적인 E-UTRAN과 일반적인 EPC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20)는 사용자 플레인(User Plane) 및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엔드 포인트(end point)를 UE(10)에게 제공한다. MME/SAE 게이트웨이(30)는 세션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의 엔드 포인트를 UE(10)에게 제공한다. eNB(20) 및 MME/SAE 게이트웨이(30)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eNB(20)는 일반적으로 UE(10)와 통신하는 고정국이고 기지국(BS)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라 칭하여지기도 한다. 하나의 eNB(20)가 셀 마다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을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eNB(20)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MME는 eNB(20)에 대한 NAS 시그널링, NAS 시그널링 보안, AS 보안 제어, 3GPP 접속 네트워크간의 이동성을 위한 인터(inter) CN 노드 시그널링, (페이징 재전송의 제어 및 실행을 포함하는) 유휴 모드(idle mode) UE 접근성(Reachability), (유휴 모드 및 활성 모드(active mode)의 UE를 위한) 트랙킹 영역 리스트 관리, PDN GW 및 서빙 GW 선택, MME 변화가 수반되는 핸드오버를 위한 MME 선택, 2G 또는 3G 3GPP 접속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SGSN 선택, 로밍, 인증, 전용 베어러 설정을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ETWS 및 CMAS를 포함하는) PWS 메시지 전송을 위한 지원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SAE 게이트웨이 호스트는 퍼-유저(Per-user) 기반 패킷 필터링 (예, 심층 패킷 검사를 사용), 적법한 인터셉션(Lawful Interception), UE IP 주소 할당, 하향링크에서 전송(transport) 레벨 패킷 마킹, UL 및 DL 서비스 레벨 과금, 게이팅 및 레이트 강화, APN-AMBR에 기초한 DL 레이트 강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MME/SAE 게이트웨이(30)는 명확성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게이트웨이"라 칭한다. 그러나, MME/SAE 게이트웨이(30)는 MME 및 SAE 게이트웨이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복수의 노드가 eNB(20)와 게이트웨이(30) 사이에서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eNB(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호 접속될 수 있고 이웃 eNB들은 X2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메쉬 네트워크 구조(meshed network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eNB(20)는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선택,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활성화 동안 게이트웨이를 향한 라우팅,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송신, 브로드캐스트 채널(BCCH) 정보의 스케줄링 및 송신,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서 UE(10)들을 위한 동적 자원 할당, eNB 측정의 구성 및 준비,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승인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RAC), 및 LTE_ACTIVE 상태에서 연결 이동성 제어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EPC에서, 게이트웨이(30)는 페이징 발신, LTE_IDLE 상태 관리, 사용자 플레인 암호화, 시스템구조에볼루션(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 베어러 제어, 및 비-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 시그널링의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EPC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서빙-게이트웨이(serving-gateway, S-GW),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게이트웨이(Packete Data Network-Gateway, PDN-GW)를 포함한다. MME는 주로 단말들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연결 및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서 갖는 게이트웨이이고, PDN-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를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 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 버전 4(IP version 4, IPv4) 패킷이나 IP 버전 6(IPv6) 패킷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eNB의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및 20 MHz와 같은 대역들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대역에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이한 셀들은 상이한 대역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E-UTRAN으로부터 단말로의 송신을 위한 하향링크 전송 채널(Downlink transport Channel)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및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공유 채널(Shared Channel, SCH)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링크 SCH를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링크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4는 E-UMT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물리채널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물리채널은 시간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축 상에 복수의 심볼(Symbol)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들로 구성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복수의 심볼들과 복수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즉, L1/L2 제어채널을 위해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심볼들(예를 들어, 첫 번째 심볼)의 특정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 L1/L2 제어정보 전송 영역(PDCCH)과 데이터 영역(PDSCH)을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10 ms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이 사용되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개의 서브 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두 개의 연속되는 슬롯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이다. 또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되며, 다수의 OFDM 심볼들 중 일부 심볼(예를 들어, 첫 번째 심볼)은 L1/L2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단위인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은 1ms이다.
기지국과 단말은 일반적으로 특정 제어 신호 또는 특정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전송 채널인 DL-SCH를 이용하는 물리 채널인 PDSCH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수신한다. PDSCH의 데이터가 어떤 단말(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decoding)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 등은 PDCCH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가 "A"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마스킹(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전송형식정보(예,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셀 내의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PDCCH를 모니터링하고, "A" RNTI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이 있다면, 상기 단말들은 PDCCH를 수신하고, 수신한 PDCCH의 정보를 통해 "B"와 "C"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도 5는 반송파 집성 (carrier aggregatio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반송파 집성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성에 의하여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정의되는 대역폭 단위(예를 들어, 20MHz)의 반송파들(구성반송파들, Component Carriers, CCs)을 최대 5 개 묶어 최대 100MHz까지의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반송파 집성에 이용되는 구성반송파들의 대역폭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반송파들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또는 중심 주파수)을 가진다. 또한 각각의 구성반송파들은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상에 존재할 수도 있지만, 불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상에 존재하는 구성반송파들을 반송파 집성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송파 집성 기술에 있어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대역폭 크기가 대칭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고, 비대칭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반송파 집성에 이용되는 다중 반송파(구성반송파)는 주구성반송파(Primary Component Carrier; PCC) 및 보조구성반송파(Secondary Component Carrier; SCC)로 분류될 수 있다. PCC는 P-셀(Pcell; Primary Cell)이라고 칭할 수도 있고, SCC는 S-셀 (SCell; Secondary Cell)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주 구성반송파는 기지국이 단말과 트래픽 및 제어 시그널링을 교환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반송파를 일컫는다. 제어 시그널링에는 구성반송파의 부가, 주구성반송파에 대한 설정,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또는 하향링크 할당(DL assign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복수개의 구성반송파가 이용될 수 있지만 그 기지국에 속한 단말은 하나의 주구성반송파만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만약 단말이 단일 반송파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주구성반송파가 이용된다. 따라서, 주구성반송파는 독립적으로도 이용될 수 있도록 기지국과 단말간의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의 교환에 필요한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보조구성반송파는 송수신되는 데이터 요구량 등에 따라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는 부가적인 구성반송파를 일컫는다. 보조구성반송파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명령 및 규칙에 따라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구성반송파는 부가적인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하여 주구성반송파와 함께 이용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활성화된 보조구성반송파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하향링크 할당과 같은 제어 신호가 수신될 수 있고,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 채널품질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프리코딩행렬지시자(Precoding Matrix Index; PMI), 랭크지시자(Rank Indicator; RI),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등의 상향링크를 통한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은 주구성반송파 및 복수개의 보조구성반송파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다중반송파 집성 모드에서 시스템은 시스템 부하(즉, 정적/동적 부하 밸런싱), 피크 데이터 레이트, 또는 서비스 품질 요구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에 비대칭적으로 보조구성반송파를 단말에게 할당할 수도 있다. 반송파 집성 기술을 이용함에 있어서 구성반송파에 대한 설정은 RRC 연결 절차(RRC connection procedure)이후에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제공된다. RRC 연결은, SRB를 통하여 단말의 RRC 계층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교환되는 RRC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단말이 무선자원을 할당받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과 기지국의 RRC 연결 절차 이후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구성반송파 및 보조구성반송파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조구성반송파에 대한 설정 정보는 보조구성반송파의 부가/삭제(또는 활성화/비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간에 보조구성반송파를 활성화시키거나 기존의 보조구성반송파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RRC 시그널링 및 MAC 제어요소(MAC Control Element)의 교환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보조구성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서비스 품질(QoS), 반송파의 부하 조건 및 다른 요인들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상향링크에 대한 지시 유형 (활성화/비활성화) 및 보조구성반송파 리스트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보조구성반송파 설정을 지시할 수 있다.
도 6은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 과 보조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 사이의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중 연결성 (dual connectivity) 은 단말이 마스터 eNB (MeNB)와 보조 eNB (SeNB)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MCG는 MeNB와 연관된 서빙 셀들의 그룹으로서, PCell 및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SCell을 포함한다. 또한 SCG는 SeNB와 연관된 서빙 셀들의 그룹으로서, 특별(special) SCell과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SCell을 포함한다. MeNB는 적어도 S1-MME (제어 평면을 위한 S1)를 종단하는 eNB이고, SeNB는 MeNB는 아니나 단말을 위한 추가적 무선 자원들을 제공하는 eNB이다.
이중 연결성으로, 핸드오버(handover) 가능성을 낮추기 위하여 MCG 내의 스케쥴링 무선 베어러들(Scheduling Radio Bearer, SRB) 또는 다른 DRB들을 유지하는 동시에, 높은 처리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몇몇 데이터 무선 베어러 (Data Radio Bearer, DRB)는 SCG로 오프로드(offload)될 수 있다. MCG는 주파수 f1을 통하여 MeNB에 의하여 작동되고, SCG는 주파수 f2를 통하여 SeNB에 의하여 작동된다. 주파수 f1 및 f2는 동일할 수도 있다. MeNB와 SeNB 사이의 백홀(backhaul) 인터페이스는 비-이상적(non-ideal)이고 (예컨대, X2 인터페이스), 이는 백홀에 상당한 지연이 있어 하나의 노드에서의 중앙화된 스케쥴링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a는 이중 연결성에 연관된 기지국의 제어평면 연결성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7b는 이중 연결성에 연관된 기지국의 사용자평면 연결성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a는 특정 단말에 대한 이중 연결성에 연관된 기지국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C-Plane) 연결성을 도시한다. MeNB는 S1-MME를 통해 MME에 연결된 제어평면이며, MeNB와 SeNB는 X2-C (X2-제어평면)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도 7a와 같이, 이중 연결성을 위한 기지국 간(Inter-eNB) 제어평면 시그널링이 X2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에 의하여 수행된다. MME로의 제어평면 시그널링은 S1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에 의하여 수행된다. MeNB와 MME 사이에 단말당 오직 하나의 S1-MME 연결이 존재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예를 들어 SCG에 대한 SCell (Secondary Cell)(들)을 다른 단말들에게 제공하는 동안 몇몇 단말들에게는 PCell(Primary Cell)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단말들을 독립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특정 단말에 대한 이중 연결성에 연관된 각각의 기지국은 자신의 무선 자원을 소유하며, 자신의 셀들의 무선 자원들을 할당하는 것에 대해 주된 책임이 있고, MeNB와 SeNB 사이의 각각의 조정에 대해서는 X2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도 7b는 특정 단말에 대한 이중 연결성에 연관된 기지국의 사용자평면(User plane, U-Plane) 연결성을 도시한다. 사용자평면 연결성은 베어러 옵션 설정에 따른다: 1) MCG 베어러들에 있어서, MeNB는 S1-U를 통하여 S-GW에 사용자평면 연결되고, SeNB는 사용자평면 데이터 전송에 연관되지 않는다. 2) 분할 베어러들에 있어서, MeNB는 S1-U를 통하여 S-GW에 사용자평면 연결되고, 추가적으로 MeNB와 SeNB는 X2-U를 통하여 상호연결되며, 3) SCG 베어러들에 있어서, SeNB는 S1-U를 통하여 S-GW와 직접 연결된다. MCG 및 분리 베어러들만이 설정된 경우, SeNB에는 S1-U 종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중 연결성에 있어서, 매크로 셀들의 그룹으로부터 스몰 셀들의 그룹으로의 데이터 오프로드(offload)를 위하여 스몰 셀의 개선이 요구된다. 스몰 셀들은 매크로 셀들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의 관점으로부터 복수의 스케쥴러들이 상이한 노드들에 분리되어 위치되고,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이는 상이한 스케쥴링 노드가 상이한 무선 자원 환경을 맞닥뜨리게 됨을 의미하며, 각각의 스케쥴링 노드가 상이한 스케쥴링 결과를 가질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은 이중 연결성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의 E-UTRAN은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DC) 동작을 지원할 수 있고, 이로써, RRC 연결(RRC CONNECTED) 상태인 복수의 수신/송신(Rx/Tx) 단말들이, X2 인터페이스 상의 비-이상적 백홀(backhaul)을 통하여 연결된 2개의 기지국들에 위치된 2개의 별개의 스케쥴러(scheduler)들에 의하여 무선 자원들을 제공받아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단말에 대한 이중 연결성과 관련된 기지국들은 2가지의 상이한 역할들을 가정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은 MeNB로서 동작하거나, 또는 SeNB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중 연결성에서, 단말은 하나의 MeNB 및 하나의 SeNB와 연결될 수 있다.
이중 연결성(DC) 동작에서, 특정 베어러(bearer)가 이용하는 무선 프로토콜 구조는 베어러가 어떻게 설정되었는가에 달려 있다. 3가지 방안으로서, MCG (Master Cell Group) 베어러(801), 분할 베어러(split bearer) (803) 및 SCG (Secondary Cell Group) 베어러(805)가 존재한다. 3가지 방안들은 도 8에 도시된다. SRB(Signaling Radio Bearer)들은 항상 MCG 베어러이고 MeNB에 의하여 제공되는 무선 자원들 만을 이용한다. MCG (Master Cell Group) 베어러(801)는 이중 연결성에서만 MeNB 자원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MeNB에만 위치된 무선 프로토콜이다. 또한, SCG (Secondary Cell Group) 베어러(805)는 이중 연결성에서 SeNB 자원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SeNB 에만 위치된 무선 프로토콜이다.
특히, 분할(split) 베어러(803)는 이중 연결성에서 MeNB 및 SeNB 자원들 양자 모두를 이용하기 위하여 MeNB 및 SeNB 양자에 위치된 무선 프로토콜이며, 분할 베어러(803)는 한 방향(direction)에 대한 하나의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2개의 RLC (Radio Link Control) 및 2개의 MAC (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들을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일 수도 있다. 특히, 이중 연결성 동작은 SeNB에 의하여 제공된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갖는 것으로서도 설명될 수 있다.
도 9는 하향링크에 대한 LTE 프로토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에 하향링크에 대한 LTE 프로토콜 구조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또한, 전송(transport) 포맷 선택 및 다중-안테나 송신과 관련하여 차이점들이 있으나, 상향링크 송신들에 연관된 LTE 프로토콜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하향링크에 대한 LTE 프로토콜 구조와 유사하다.
하향링크에서 송신될 데이터는 SAE 베어러(bearer)들 (901) 중 하나 상에서 IP 패킷 형태로 진입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송신에 앞서, 인커밍(incoming) IP 패킷들은, 이하에서 요약되고 다음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다중 프로토콜 엔티티들을 통하여 통과된다:
*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903)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송신에 필요한 비트의 숫자를 줄이기 위하여 IP 헤더 압축을 수행한다. 헤더-압축 메커니즘은, WCDMA 뿐만 아니라 다른 몇몇 이동-통신 표준들에서 이용되는 표준 헤더-압축 알고리즘인, ROHC에 기초한다. PDCP(903)는 또한 송신 데이터의 암호화(ciphering)와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에 책임이 있다. 수신측에서, PDCP 프로토콜은 대응 암호해독(deciphering) 및 압축해제(decompression) 동작들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에 설정된 무선 베어러 마다 하나의 PDCP 엔티티가 존재한다.
* RLC(Radio Link Control, 905)는 분할(segmentation)/연접(concatenation), 재송신 처리, 및 상위 계층들로의 순차 전달(in-sequence delivery)에 책임이 있다. WCDMA와 달리, LTE 무선-접속-네트워크 구조에서 노드의 단일 유형만이 있기 때문에, RLC 프로토콜은 eNB(eNodeB)에 위치된다. RLC(905)는 무선 베어러들의 형태로 PDCP(903)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단말에 대하여 설정된 무선 베어러 마다 하나의 RLC 엔티티가 존재한다.
* MAC(Medium Access Control, 907)은 하이브리드-ARQ 재송신들과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스케쥴링을 취급한다. 스케쥴링 기능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양자에 대하여, 셀 당 하나의 MAC 엔티티를 갖는, eNB 내에 위치된다. 하이브리드-ARQ 프로토콜부는 MAC 프로토콜의 송신단 및 수신단 양자에 존재한다. MAC(907)은 논리 채널들(909)의 형태로 RLC(905)에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 911)은 부호화/복호화, 변조/복조, 다중-안테나 매핑, 및 다른 통상적 물리 계층 기능들을 취급한다. 물리 계층(911)은 전송 채널들(913)의 형태로 MAC 레이어(907)에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MAC(907)은 논리 채널들(909)의 형태로 RLC(905)에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논리 채널(909)은, 전송하는 정보의 유형으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을 동작하는 데에 필수적인 제어 및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제어 채널들과 사용자 데이터를 위하여 이용되는 트래픽(traffic) 채널들로 분류된다.
LTE에 대하여 특정된 논리-채널 유형들의 집합은 다음을 포함한다:
-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는 네트워크로부터 셀 내의 모든 이동 단말들로의 시스템 제어 정보의 송신에 이용된다. 시스템 접속에 앞서서, 예를 들어 시스템의 대역폭과 같이, 어떻게 시스템이 설정되었는지를 알아내기 위하여, 이동 단말은 BCCH 상에서 송신된 정보를 판독할 필요가 있다.
- PCCH(Paging Control Channel)는, 네트워크에 셀 레벨에서의 위치가 알려지지 않은 이동 단말들의 페이징 및 따라서 다중 셀들에서 송신될 필요가 있는 페이징 메시지에 이용된다.
-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은, 이동 단말로의/이동 단말로부터의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하여 이용된다. 이 채널은, 상이한 핸드오버 메시지들과 같은, 이동 단말들의 개인 설정에 이용된다.
-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은, MTCH의 수신을 위하여 요구되는 제어 정보의 송신에 이용된다.
-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은 이동 단말로의/이동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된다. 이 채널은 모든 상향링크의 송신 및 비-MBMS 하향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논리 채널 유형이다.
-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은 MBMS 서비스들의 하향링크 송신에 이용된다.
도 10은 3개의 상이한 상향링크 그랜트(grant)들에 대한 2개의 논리 채널들의 우선순위화에 대한 도면이다.
하향링크에서와 같은 동일한 MAC 다중화 기능성을 이용하여, 상이한 우선순위들의 다중 논리 채널들이 동일한 전송 블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그러나, 우선순위화가 스케쥴러 제어 하에 있고 구현에 따르는 하향링크의 경우와 달리, 상향링크 다중화는 단말에서 명확한 규칙들의 집합에 따라서 수행되는데, 즉 스케쥴링 그랜트는 단말의 특정 상향링크 반송파에 적용되는 것이지 단말 내의 특정 무선 베어러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베어러-특정 스케쥴링 그랜트들은 하향링크에서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증가시킬 것이며, 따라서, LTE에서는 단말-당(per-terminal) 스케쥴링이 이용된다.
가장 단순한 다중화 규칙은 논리 채널들을 엄격한 우선순위 순서에 따라서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낮은-운선순위 채널들의 고갈을 초래할 수 있다; 송신 버퍼가 빌 때까지 모든 자원들이 높은-우선순위 채널에 주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운영자는, 대신에, 낮은-우선순위 서비스들에 대하여도 또한, 적어도 몇몇의 처리량(throughput)을 제공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LTE 단말에서의 각각의 논리 채널에 대하여, 우선순위 값에 더하여 우선순위화된 데이터 레이트(data rate)가 설정된다. 논리 채널들은 각자의 우선순위화된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서 우선순위가 감소하는 순서로 처리되며, 이는 스케쥴링 데이터 레이트가 적어도 우선순위화된 데이터 레이트들의 합만큼 큰 동안은 고갈을 회피할 수 있다. 우선순위화된 데이터 레이트들 이후, 채널들은 그랜트가 완전히 이용되거나 버퍼가 빌 때까지 엄격한 운선순위 순서에 따라서 처리된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논리채널 1(Logical Channel 1, LCH 1)의 우선순위가 논리채널 2(LCH 2)의 우선순위보다 높다고 가정될 수도 있다. (A)의 경우, LCH 1의 모든 우선순위화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으며 LCH 2의 우선순위화된 데이터의 일부가 스케쥴링된 데이터 레이트의 양까지 송신될 수 있다. (B)의 경우, LCH 1의 모든 우선순위화된 데이터 및 LCH 2의 모든 우선순위화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C)의 경우, LCH 1의 모든 우선순위화된 데이터와 LCH 2의 모든 우선순위화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으며, LCH 1의 데이터의 일부가 더 송신될 수 있다.
도 11은 버퍼 상태 및 잔여-전력(power-headroom) 보고들의 시그널링에 대한 도면이다.
적절한 양의 상향링크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하여, 스케쥴러는 단말들로부터의 송신을 대기하는 데이터의 양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명백히, 송신할 데이터가 없는 단말에 상향링크 자원들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이는 단지 단말이 허용된 자원들을 채우기 위하여 패딩(padding)을 수행하는 것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소한, 스케쥴러는 단말이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는지 그리고 그랜트(grant)가 주어져야 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알 필요가 있는데, 이는 스케줄링 요청으로써 알 수 있다.
다중-비트 스케쥴링은 더 높은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스케쥴링 요청에 대한 단일 비트의 이용에 대한 동기가 상향링크 오버헤드(overhead)를 작게 유지하고자 하는 필요에 의하여 부여된다. 단일 비트 스케쥴링 요청의 결과, 이러한 요청을 수신할 때 단말에서의 버퍼 상황에 대한 기지국에서의 정보가 제한된다. 상이한 스케쥴러 구현들은 이를 상이하게 처리한다. 하나의 가능성은, 단말이 전력이 제한됨 없이 효과적으로 자원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작은 양의 자원들을 할당하는 것이다. 일단 단말이 UL-SCH 상에서 송신을 시작하면,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버퍼 상태와 잔여전력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는 인밴드(inband) MAC 제어 베시지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미 유효한 그랜트를 갖는 단말들은 명백히 상향링크 자원들을 요청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스케쥴러로 하여금 향후의 서브프레임들에서 각 단말들에게 허용할 자원들의 양을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버퍼 상황 및 전력 이용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이상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유용하다. 이 정보는 MAC 제어 요소를 통한 상향링크 송신의 일부로서 스케쥴러에 제공된다. MAC 서브헤더들의 하나 내의 LCID 필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상태 보고의 존재를 나타내는 예약된 값으로 설정된다.
스케쥴링 관점에서, 각각의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 정보는, 이것이 유의한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을 지라도, 유익하다. 논리채널들은 따라서 논리-채널 그룹들로 그룹핑되고, 보고는 그룹 단위로 수행된다. 버퍼-상태 보고 내의 버퍼-크기 필드는 논리-채널 그룹 내의 모든 논리채널들에 걸쳐 송신 대기중인 데이터의 양을 나타낸다. 버퍼 상태 보고는 4개의 모든 논리-채널 그룹들 또는 이들 중 하나를 대표하며 다음의 사유들로 인하여 트리거링될 수 있다:
i) 현재 송신 버퍼에 있는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의 도착 - 즉, 현재 송신되는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논리-채널 그룹 내의 데이터 - 이는 스케쥴링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ii) 서빙 셀의 변경, 단말 내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새로운 서빙 셀에 제공하기 위하여 버퍼-상태 보고가 유용한 경우이다.
iii) 타이머에 의하여 제어됨에 따라 주기적으로.
iv) 패딩(padding) 대신에. 패딩의 양이 버퍼-상태 보고보다 큰 크기의 스케쥴링된 전송 블록 크기에 매칭될 필요가 있는 경우, 버퍼-상태 보고가 삽입된다. 명백히, 가능하다면 패딩 대신에 유용한 스케쥴링 정보에 대한 이용가능한 페이로드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PDCP 엔티티 내의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MAC 버퍼 상태 보고의 목적으로, UE는, 다음뿐만 아니라, PDCP 제어 PDU들을 PDCP 엔티티 내의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로서 간주할 수 있다:
하위 계층들로 PDU가 제출되지 않은 SDU들에 대하여, 1) SDU가 PDCP에 의하여 아직 처리되지 않았다면 SDU 자신, 또는 2) SDU가 PDCP에 의하여 처리되었다면 PDU.
또한, RLC AM 상에 매핑된 무선 베어러들에 대하여, PDCP 엔티티가 이전에 재확립 절차를 수행하였다면, UE는 다음을 PDCP 엔티티 내의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로서 간주할 수 있다:
대응 PDU가 PDCP 재확립에 앞서 하위 계층들로만 제출된 SDU들에 대하여, 대응 PDU들이 하위 계층에 의하여 확인되지 않은 첫 번째 SDU로부터 시작하여, PDCP 상태 보고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전달된 것으로 지시된 SDU들을 제외하고, 수신된 경우에: 1) PDCP에 의하여 아직 처리되지 않은 경우, SDU, 또는 2) PDCP에 의하여 처리되었다면 PDU.
RLC 엔티티 내의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
MAC 버퍼 상태 보고의 목적으로, 단말은 다음을 엔티티에서의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로서 간주할 수도 있다: 1) RLC 데이터 PDU (Protocol Data Unit) 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RLC SDU(Service Data Unit)들, 또는 이들의 세그먼트(segment)들; 2) 재송신(RLC AM)을 위하여 계류(pending) 중인 RLC 데이터 PDU들, 또는 이들의 부분들.
또한, STATUS PDU가 트리거링되고, t-StatusProhibit이 동작 중이 아니거나 만료된 경우, 단말은 다음 송신 기회에 송신될 STATUS PDU의 크기를 예측할 수도 있으며, 이를 RLC 계층에서의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로 간주할 수도 있다.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ing, BSR)
버퍼 상태 보고 (BSR) 절차는 서빙 eNB에 단말의 UL (Uplink) 버퍼들 내의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DAT) 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periodic BSR-Timer 및 retxBSR-Timer의 두 개의 타이머들을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각각의 논리 채널에 대하여 LCG (Logical Channel Group) 에 논리 채널을 할당하는 logical Channel Group을 부가적으로 시그널링함으로써, RRC는 BSR 보고를 제어할 수도 있다.
버퍼 상태 보고 절차에 대하여, 단말은 서스펜드(suspend)되지 않은 모든 무선 베어러들을 고려할 수도 있으며, 서스펜드된 무선 베어러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버퍼 상태 보고(BSR)는 다음의 이벤트들 중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트리거링될 수 있다:
- LCG에 속한 논리 채널에 대한 UL 데이터가 RLC 엔티티 또는 PDCP 엔티티에서 송신 이용가능하게 되고, 이미 송신 이용가능한 데이터에 대하여 임의의 LCG에 속한 논리 채널들의 우선순위들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논리 채널에 속한 데이터 또는, LCG에 속한 임의의 논리 채널들에 대한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가 없는 경우, 이 경우 BSR이 이하에서 "정규(Regular) BSR"로 호칭된다;
- UL 자원들이 할당되고 패딩(padding) 비트들의 숫자가 버퍼 상태 보고 MAC 제어 엘리먼트와 그 서브헤더(subheader)를 더한 크기보다 같거나 큰 경우, 이 경우 BSR이 이하에서 "패딩(Padding) BSR"로 호칭된다;
- retxBSR-Timer가 만료되고 단말이 LCG에 속한 임의의 논리 채널들에 대한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를 갖는 경우, 이 경우 BSR이 이하에서 "정규(Regular) BSR"로 호칭된다;
- periodicBSR-Timer가 만료된 경우, 이 경우 BSR이 이하에서 "주기적(Periodic) BSR"로 호칭된다.
BSR이 송신될 수 있는 시각에 다중 이벤트들이 BSR을 트리거링하는 경우에도, MAC PDU는 최대 하나의 MAC BSR 제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정규 BSR 및 주기적 BSR이 패딩 BSR에 우선한다.
임의의 UL-SCH 상의 새로운 데이터의 송신에 대한 허용(grant)의 지시(indication)시에 단말은 rextBSR-Timer를 재시작할 수도 있다.
이 서브프레임에 대한 UL 그랜트(grant)가 모든 펜딩(pending)중인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를 수용(accommodate)할 수 있으나 BSR MAC 제어 엘리먼트 및 그 서브헤더를 추가적으로 수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 모든 트리거링된 BSR들은 취소될 수도 있다. BSR이 송신을 위한 MAC PDU에 포함된 때, 모든 BSR들은 취소된다.
단말은 TTI 내에서 최대 하나의 정규/주기적 BSR을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이 TTI 내에서 복수의 MAC PDU들을 송신하도록 요청된 경우, 정규/주기적 BSR을 포함하지 않는 임의의 MAC PDU들 내에 패딩 BSR을 포함할 수도 있다.
TTI 내에서 송신된 모든 BSR들은 항상, 해당 TTI에 대해 MAC PDU들이 모두 구성된 후의 버퍼 상태를 반영한다. 각각의 LCG는 TTI당 최대 하나의 버퍼 상태 값을 보고할 수 있으며 이 값은 해당 LCG에 대한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모든 BSR들 내에서 보고될 수 있다.
도 12는 이중 연결성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개념도이다.
단말의 PDCP 및 RLC 메모리에서 버퍼된 데이터의 양을 지시함으로써 기지국이 상향링크 무선 자원들을 서로 다른 단말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보고 (Buffer Status Report, BSR)를 전송할 수 있다. BSR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타이머들 및 이벤트들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 만료 시 BSR을 트리거하는 타이머들, 즉, retxBSR-TimerperiodicBSR-Timer가 있다.
그러나, LTE 릴리즈-12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UE가 MeNB(1201)과 SeNB(1203) 양자에 연결된, 이중 연결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도면에서, MeNB(1201)와 SeNB(1203)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Xn 인터페이스(1205)로 호칭된다. Xn 인터페이스(1205)는 비 이상적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어, Xn 인터페이스에서의 지연은 최대 60ms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eNB(1201)는 VoIP, 스트리밍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데이터와 같은 다른 유형의 트래픽의 송신을 책임지는 반면, SeNB(1203)는 BE(Best Effort) 유형 트래픽의 송신을 책임진다. 이중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토콜 구조들이 연구되며, 잠재적 구조들이 도 12에 도시된다. 이 구조에서, PDCP (1207) 및 RLC (1209) 엔티티들은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에, 예를 들어, PDCP 엔티티는 MeNB에 RLC 엔티티는 SeNB에, 위치된다.
단말 측 (1211)에서, 프로토콜 구조는 MAC 엔티티가 공통적으로 셋업되지만 각각의 eNB에 대하여 부-엔티티(sub entity)가 존재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즉 MeNB를 위한 M-MAC(1213)과 SeNB를 위한 S-MAC(1215) 이 그것이다. 이는 스케줄링 노드들이 다른 노드들에 위치하고 2개의 노드들은 비-이상적 백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중 연결성에서, 각 논리 채널은 M-MAC 및 S-MAC 각각에 매핑된다.
이 경우, 상술된 이러한 구조 (즉, M-MAC 및 S-MAC)는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하나의 MAC 엔티티 안에서 다른 논리 채널들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논리 채널이 공통 MAC 엔티티 안에서는 높은 우선순위의 논리 채널이 아닌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림차순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5개의 논리 채널들 L1, L2, L3, L4 및 L5, 즉, 4개의 논리 채널들 중 L1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L5는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짐, 이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L1 및 L2가 M-MAC (1213)에 매핑되고 L3, L4 및 L5가 S-MAC (1215)에 매핑되면, L3는 S-MAC (1215)에 매핑된 다른 어떤 논리 채널들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나, L3는 단말 안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논리 채널이 아니다.
종래기술로서, BSR은 아래의 상황 중 어느 하나에서 트리거된다.
i) 버퍼들이 비워져 있지 않은 논리 채널들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논리 채널을 위한 데이터가 도착한 경우;
ii) 비워져 있는 단말의 버퍼에 대해 데이터가 이용가능해진 경우;
iii) retxBSR-Timer가 만료되고 단말의 버퍼에 여전히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iv) periodicBSR-Timer가 만료된 경우; 또는
v) MAC PDU의 남은 공간이 BSR을 수용 가능한 경우.
BSR 기능이 일반적으로 단말에서 수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만약 논리 채널 L1을 위한 버퍼가 비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논리 채널 L3를 위한 데이터가 도착한 경우, BSR은 트리거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중 연결성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은 서로 다른 eNB들인 MeNB 및 SeNB에서 수행되므로,
동일한 서빙들에 의해 서빙되는 논리 채널들에서의 논리 채널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BSR을 트리거하는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또 다른 문제는, 종래기술에서는 정규 BSR (regular BSR)이 하나의 MAC 엔티티에서 트리거된 경우, 정규 BSR이 어떤 eNB로 전송될 지가 불분명한 것이다. 정규 BSR은 MeNB로 전송되는가, 아니면 SeNB로 전송되는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버퍼 상태의 트리거링 및 보고에 대한 개념도이다.
단말에는, 2개의 MAC 엔티티들, 즉, M-MAC 및 S-MAC이 있다. M-MAC은 단말과 MeNB 사이의 전송을 담당하고 S-MAC은 단말과 SeNB 사이의 전송을 담당한다.
이중 연결성 (dual connectivity) 은 단말이 제1 BS와 제2 BS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BS는 마스터 eNB (MeNB)일 수 있고 제2 BS는 보조 eNB (SeNB)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MCG에 대한 논리 채널들은 M-MAC에 매핑되고 SCG에 대한 논리 채널들은 S-MAC에 매핑된다. MCG는 MeNB와 연관된 서빙 셀들의 그룹으로서, PCell 및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SCell을 포함한다. 또한 SCG는 SeNB와 연관된 서빙 셀들의 그룹으로서, 특별(special) SCell과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SCell을 포함한다. MeNB는 적어도 S1-MME (제어 평면을 위한 S1)를 종단하는 eNB이고, SeNB는 MeNB는 아니나 단말을 위한 추가적 무선 자원들을 제공하는 eNB이다.
이중 연결성으로, 핸드오버(handover) 가능성을 낮추기 위하여 MCG 내의 스케쥴링 무선 베어러들(Scheduling Radio Bearer, SRB) 또는 다른 DRB들을 유지하는 동시에, 높은 처리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몇몇 데이터 무선 베어러 (Data Radio Bearer, DRB)들은 SCG로 오프로드(offload)될 수 있다. MCG는 주파수 f1을 통하여 MeNB에 의하여 동작되고, SCG는 주파수 f2를 통하여 SeNB에 의하여 동작된다. 주파수 f1 및 f2는 동일할 수도 있다. MeNB와 SeNB 사이의 백홀(backhaul) 인터페이스는 비-이상적(non-ideal)이고, 이는 백홀에 상당한 지연이 있어 하나의 노드에서의 중앙화된 스케쥴링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의 다른 MAC 엔티티들의 기능들은 특정되지 않는 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무선 베어러들은 RRC 시그널링과 MCG 및/또는 SCG에 매핑된다. 논리 채널 식별자들은 CG 별로 독립적으로 할당된다. LCG들은 MAC 엔티티 별로 정의된다.
단말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 세트들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논리 채널 세트들은 제1 BS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논리 채널 세트 및 제2 BS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논리 채널 세트를 포함한다 (S1301).
바람직하게는, 제1 논리 채널 세트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들은 M-MAC에 매핑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논리 채널 세트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들은 S-MAC에 매핑될 수 있다.
제1 논리 채널 세트에 속하는 제1 논리 채널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S1303), 단말은 제1 논리 채널 세트의 우선순위를 체크할 수 있다 (S1305).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모든 이벤트들이 발생한 경우
i) 대응하는 RLC 앤티티 또는 대응하는 PDCP 앤티티에서 상향링크 데이터가 M-MAC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논리적 채널 그룹에 속하는 제 1 논리 채널을 통해 전송하도록 이용가능해지는 경우; 그리고
ii) 미리 정의된 트리거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은 정규 BSR를 트리거할 수 있다 (S1307).
이는 M-MAC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들에 속하는 제1 논리 채널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상응하는 RLC 엔티티에서 또는 상응하는 PDCP 엔티티에서 송신 이용가능해지면, 제1 논리 채널에 매핑된 MAC 엔티티는 미리 정의된 트리거 기준이 충족되는지 아닌지를 체크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논리 채널이 제2 논리 채널 세트에 속하는 제2 논리 채널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제1 논리 채널이 제1 논리 채널 세트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면, 미리 정의된 트리거 기준이 충족될 수 있다.
이는, M-MAC 엔티티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에 속하고 전송 가능한 UL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논리 채널이, M-MAC 엔티티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에 속하고 이미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논리 채널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논리 채널의 우선순위는 같은 MAC entity에 매핑된 논리적 채널 그룹에 속한 논리적 채널끼리 비교하는 것을 의미한다.
S1307 단계 이후에, 제1 BS로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되고 상향링크 데이터가 제1 BS에 대해 송신 이용가능해지면, 단말은 제1 BS로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또는, 제2 BS로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되고 상향링크 데이터가 제2 BS에 대해 송신 이용가능해지면, 단말은 제2 BS로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S1309).
RLC 엔티티에서 또는 PDCP 엔티티에서 상향링크 데이터가 송신 이용가능해지면, 단말은 MeNB 및 SeNB 중 어떤 eNB에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MeNB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으로 체크된 경우, 단말은 M-MAC에서 정규 BSR을 트리거한다. 또는 SeNB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으로 체크된 경우, 단말은 S-MAC에서 정규 BSR을 트리거한다.
정규 BSR을 트리거하는 MAC 엔티티는 해당하는 eNB로 정규 BSR을 전송한다.
M-MAC이 정규 BSR을 트리거하면, M-MAC은 정규 BSR을 MeNB로 전송한다. 또는 S-MAC이 정규 BSR을 트리거하면, S-MAC은 정규 BSR을 SeNB로 전송한다.
버퍼 상태 보고 절차에서, 단말은 중단(suspended) 되지 않은 MAC 엔티티에 매핑된 모든 무선 베어러들을 고려해야 하고, 중단된 무선 베어러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버퍼 상태의 트리거링 및 보고에 대한 개념도이다.
네트워크는 단말과 2 개의 MAC 엔티티들, 즉 M-MAC 및 S-MAC을 설정한다. 단말은 내림차순으로 P1, P2, P3, P4 및 P5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즉 (높음) P1>P2>P3>P4>P5 (낮음), 5개의 논리 채널들 L1, L2, L3, L4 및 L5를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 받을 수 있다.
5개의 논리 채널들 중, L1 및 L2는 M-MAC에 매핑되고, L3, L4 및 L5는 S-MAC에 매핑된다. L1 및 L4에는, 이미 송신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한다 (S1401).
상향링크 데이터가 논리 채널 L3를 통해 송신 이용가능해진다 (S1403).
논리 채널 L3가 S-MAC에 매핑되기 때문에, S-MAC은 미리 정의된 트리거 기준이 충족되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L4가 S-MAC에 매핑되고 데이터가 L4에 대하여 이미 송신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S-MAC은 논리 채널 L3의 우선순위, 즉 P3, 를 논리 채널 L4의 우선순위, 즉 P4와 비교한다. 논리 채널 L5는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그들이 동일한 S-MAC에 매핑됨에도 불구하고 S-MAC은 P3를 P5와 비교하지 않는다 (S1405).
P3가 P4보다 높은 우선순위이기 때문에 (S1407), 단말은 미리 정의된 트리거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고려한다. 단말은 정규 BSR을 트리거한다 (S1409).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장치는 상술한 매커니즘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및/또는 eNB일 수 있으나,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마이크로프로세서(110) 및 RF(Radio Frequency) 모듈(송수신기; 135)을 포함할 수도 있다. DSP/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송수신기(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송수신기(135)를 제어한다. 장치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전력 관리 모듈(105), 베터리(155), 디스플레이(115), 키패드(120), SIM 카드(125), 메모리 디바이스(130), 스피커(145) 및 입력 디바이스(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도 15는 네트워크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35) 및 네트워크로 타이밍 송/수신 타이밍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135)를 포함하는 단말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수신기와 송신기는 송수신기(135)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송수신기(수신기 및 송신기, 135)에 연결된 프로세서(1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는 단말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135) 및 단말로부터 송수신 타이밍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35)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송수신기(135)를 구성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송신기 및 수신기에 연결된 프로세서(110)를 더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110)는 송수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latency)을 계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BS)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상위 노드의 BS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명백하게, BS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MS와의 통신을 위하여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이 기지국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기지국 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eNB'라는 용어는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수단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설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9)

  1.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BSR (buffer status report)을 트리거링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LCG (logical channel group)가 맵핑된, 제 1 MAC (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 및 제 2 MAC 엔티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MAC 엔티티 및 상기 제 2 MAC 엔티티 중 상기 제 1 MAC 엔티티 에 맵핑된 LCG에 속하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에 맵핑된 LCG에 속하되 가용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다른 논리 채널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논리 채널에 상향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지는 경우,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맵핑된 적어도 하나의 LCG의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논리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BSR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SR 트리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 및 상기 제 2 MAC 엔티티 중 하나는 상기 제 1 기지국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 및 상기 제 2 MAC 엔티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2 기지국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SR 트리거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마크로 셀 기지국이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소형 셀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SR 트리거링 방법.
  4.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로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LCG (logical channel group)가 맵핑된, 제 1 MAC (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 및 제 2 MAC 엔티티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 및 상기 제 2 MAC 엔티티 중 상기 제 1 MAC 엔티티 에 맵핑된 LCG에 속하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에 맵핑된 LCG에 속하되 가용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다른 논리 채널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논리 채널에 상향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지는 경우,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맵핑된 적어도 하나의 LCG의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논리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BSR (buffer status report)을 트리거링하는 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 및 상기 제 2 MAC 엔티티 중 하나는 상기 제 1 기지국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 및 상기 제 2 MAC 엔티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2 기지국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마크로 셀 기지국이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소형 셀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포함된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LCG (logical channel group)가 맵핑된, 제 1 MAC (medium access control) 엔티티 및 제 2 MAC 엔티티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 및 상기 제 2 MAC 엔티티 중 상기 제 1 MAC 엔티티 에 맵핑된 LCG에 속하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에 맵핑된 LCG에 속하되 가용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다른 논리 채널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논리 채널에 상향링크 데이터가 가용해지는 경우, 상기 제 2 MAC 엔티티에 맵핑된 적어도 하나의 LCG의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논리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BSR (buffer status report)을 트리거링하는 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AC 엔티티 및 상기 제 2 MAC 엔티티 중 하나는 상기 제 1 기지국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MAC 엔티티 및 상기 제 2 MAC 엔티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2 기지국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마크로 셀 기지국이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소형 셀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KR1020167003863A 2013-09-26 2014-09-19 버퍼 상태의 보고 및 트리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40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83188P 2013-09-26 2013-09-26
US61/883,188 2013-09-26
PCT/KR2014/008741 WO2015046822A1 (en) 2013-09-26 2014-09-19 Method for triggering and reporting a buffer status and device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972A KR20160061972A (ko) 2016-06-01
KR102340232B1 true KR102340232B1 (ko) 2021-12-16

Family

ID=5274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863A KR102340232B1 (ko) 2013-09-26 2014-09-19 버퍼 상태의 보고 및 트리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10064090B2 (ko)
EP (2) EP3509345B1 (ko)
JP (1) JP6255497B2 (ko)
KR (1) KR102340232B1 (ko)
CN (2) CN110278582B (ko)
ES (2) ES2806007T3 (ko)
RU (1) RU2617706C1 (ko)
WO (1) WO2015046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077A1 (ja) * 2013-07-25 2015-01-29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2287928B1 (ko) * 2013-09-27 2021-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120645B1 (en) * 2014-03-21 2022-05-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ross reporting of empty or non-empty buffers in dual connectivity
EP3245816B1 (en) * 2015-01-12 2021-03-0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ing communication efficiency
ES2770061T3 (es) * 2015-01-29 2020-06-30 Huawei Tech Co Ltd Método y dispositivo de transmisión de datos
WO2016183708A1 (zh) * 2015-05-15 2016-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分裂承载的上行数据传输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10701692B2 (en) 2015-08-10 2020-06-3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uplink transmissions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and a dedicat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9942898B2 (en) * 2016-04-25 2018-04-10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CN108012332B (zh) 2016-11-01 2021-0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及终端
EP3449683B1 (en) * 2017-03-16 2019-08-07 Ofinno, LLC Truncated buffer status reporting
US10863380B2 (en) * 2017-03-16 2020-12-08 Ofinno, Llc Buffer status reporting procedure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0856174B2 (en) * 2017-03-16 2020-12-01 Ofinno, Llc Buffer status report control
EP3616459B1 (en) * 2017-04-24 2022-06-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profiles for nr
KR102318015B1 (ko) * 2017-04-28 202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종류에 따른 길이를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915284B (zh) 2017-05-04 2021-08-10 欧芬诺有限责任公司 无线装置和无线网络中的调度请求方法
US11219052B2 (en) * 2017-05-05 2022-0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R-BSR and resource management
WO2018230851A1 (en) * 2017-06-13 2018-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iggering a buffer status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652908B2 (en) * 2017-08-11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dynamic prioritization for delay-sensitive services
CN110572882B (zh) * 2017-08-11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和通信系统
CN109587806B (zh) * 2017-09-28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调度请求发送方法及终端设备
KR102510519B1 (ko) 2017-10-30 2023-03-16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75870B1 (ko) * 2017-11-10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GB2570134A (en) * 2018-01-11 2019-07-17 Tcl Communication Ltd Enhancements to PDCP packet duplication
CN110913496B (zh) * 2018-09-14 2022-05-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上报方法、信息获取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11582775B2 (en) * 2018-09-27 2023-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conveying buffer status with mixed critical and non-critical traffic
WO2020114058A1 (en) * 2018-12-07 2020-06-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buffer status report enhancement
US10873986B1 (en) * 2019-06-04 2020-12-22 Sprint Spectrum L.P. Use of buffer occupancy as a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dual-connectivity service
CN116982329A (zh) * 2021-01-12 2023-10-31 谷歌有限责任公司 在非活动状态场景中管理小数据传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7100A1 (en) * 2008-09-22 2010-03-25 Chia-Chun Hsu Method and related device of a trigger mechanism of buffer status report and scheduling reque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82035A1 (zh) * 2012-06-04 2013-1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缓冲区状态上报的方法、系统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88B1 (ko) * 2005-01-10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자율전송을 지원하는 단말의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전송전력 결정 방법
KR101084134B1 (ko) * 2005-05-03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JP5052258B2 (ja) * 2007-08-15 2012-10-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100937434B1 (ko) * 2007-09-13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TW200926860A (en) * 2007-10-29 2009-06-16 Sunplus Mmobile Inc Method for providing a buffer status repor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113058A1 (en) 2007-10-29 2009-04-30 Microsoft Corporation Terminal server draining
EP2079202A1 (en) * 2008-01-08 2009-07-15 NEC Corporation Method for optimizing the triggering of the transmission of buffer status reporting (BSR) information
KR101292994B1 (ko) * 2008-02-01 2013-08-0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논리 채널들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547435B (zh) * 2008-03-25 2010-12-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缓存状态上报的方法和装置
KR100968020B1 (ko) * 2008-06-18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단말
CN101938840B (zh) * 2009-07-01 2013-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缓存状态报告的发送方法及系统
PT2484168T (pt) * 2009-10-01 2022-02-02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Um método e aparelho para controlo de escalonamento
KR20110081441A (ko) 2010-01-08 201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원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
EP2343945A3 (en) * 2010-01-08 2013-12-0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for uplink carrier aggregation
US8638815B2 (en) * 2010-01-08 2014-01-2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for uplink carrier aggregation
CN102783234B (zh) * 2010-05-03 2015-11-2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无线网络中用于发送缓冲状态报告的方法和装置
US8897238B2 (en) * 2010-05-04 2014-11-2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reporting amount of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761967B (zh) * 2011-04-29 2015-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传输资源分配方法和装置
EP2813118A4 (en) 2012-02-07 2015-09-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DEVICE FOR NOTIFYING AND HANDLING A BUFFER STATUS FOR A USER DEVICE IN A SITE-ALLOCATING AGGREGATE MODE
EP2661138A1 (en) * 2012-05-04 2013-11-06 Panasonic Corporation Threshold-based and power-efficient scheduling request procedure
US9264930B2 (en) * 2012-11-07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Buffer status reporting and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in multiflow operation
PL2765731T3 (pl) * 2012-12-24 2021-11-2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Sposoby i urządzenie dla usprawnienia małej komórki w systemie komunikacji bezprzewodowej
WO2014107917A1 (en) * 2013-01-10 2014-07-17 Broadcom Corporation Buffer status reporting for dual conn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7100A1 (en) * 2008-09-22 2010-03-25 Chia-Chun Hsu Method and related device of a trigger mechanism of buffer status report and scheduling reque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82035A1 (zh) * 2012-06-04 2013-1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缓冲区状态上报的方法、系统和设备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325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59060A1 (en) 2019-05-23
CN110278582B (zh) 2022-04-26
US10064090B2 (en) 2018-08-28
ES2717978T3 (es) 2019-06-26
US20160227433A1 (en) 2016-08-04
CN105557014B (zh) 2019-05-28
EP3050347A1 (en) 2016-08-03
JP6255497B2 (ja) 2017-12-27
ES2806007T3 (es) 2021-02-16
EP3050347A4 (en) 2017-05-24
EP3509345A1 (en) 2019-07-10
CN105557014A (zh) 2016-05-04
US20180270702A1 (en) 2018-09-20
CN110278582A (zh) 2019-09-24
US20200178115A1 (en) 2020-06-04
US10588048B2 (en) 2020-03-10
RU2617706C1 (ru) 2017-04-26
EP3050347B1 (en) 2019-02-27
US10575208B2 (en) 2020-02-25
JP2016529854A (ja) 2016-09-23
KR20160061972A (ko) 2016-06-01
EP3509345B1 (en) 2020-04-15
WO2015046822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5208B2 (en) Method for triggering and reporting a buffer status and device therefor
US11019519B2 (en) Method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a device therefor
KR1022640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900868B2 (en) Method for calculating and reporting a buffer status and device therefor
US10264484B2 (en) Method for calculating and reporting an amount of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a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