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845B1 - 전기 접촉 단자 - Google Patents

전기 접촉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845B1
KR102339845B1 KR1020210055318A KR20210055318A KR102339845B1 KR 102339845 B1 KR102339845 B1 KR 102339845B1 KR 1020210055318 A KR1020210055318 A KR 1020210055318A KR 20210055318 A KR20210055318 A KR 20210055318A KR 102339845 B1 KR102339845 B1 KR 102339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tact
elastic core
contact terminal
coating layer
conductiv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테크
Priority to KR102021005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접촉 단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코어,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내열성 필름, 및 내열성 필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를 제공하며, 압력에 의해 탄성 코어가 압축됨으로써 금속층이 손상되더라도 전기 접촉 단자의 도전성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접촉 단자{Electric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 접촉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 위에 전자 부품을 장착하는 공정에서 회로 기판과 전자 부품의 접촉 영역 사이, 또는 두 개 이상의 전자 부품의 접촉 영역 사이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접촉 단자에 관한 것이다.
표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 SMT)은 전자 부품을 인쇄회로 기판(PCB) 위에 올려놓고 고온을 인가하여 부착시키는 자동화 기술이다. 이러한 SMT공정을 통해 전자 부품간의 전기적 접촉 품질의 향상, 공정 시간의 단축, 제품의 초소형화가 더욱 가능하게 되었다.
전자 부품과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과 전자 부품 간의 접합을 위해서 그 사이에 도전성 전기 접촉 단자가 적용될 수 있다. 도전성 전기 접촉 단자는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하여 PCB 기판에 실장되는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접합부의 높이는 회로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도전성 전기 접촉 단자는 접합부의 높이에 맞게 변형되어 적용되거나, 탄성을 가진 전기 접촉 단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접합면 자체가 불균일하거나 접합 치수가 맞지 않음에 따른 전기적 접속 불량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접합 부위에는 탄성이 있는 전기 접촉 단자를 적용시킬 필요가 있었다.
리플로우 솔더링이 적용되는 표면 실장 공정은 180℃ ~ 270℃의 고열에서 진행되는데, 통상의 도전성 재료를 단순히 사용할 경우에는 제품이 변형되어 도전성을 상실하여 실제적으로 도전성 전기 접촉 단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표면 실장 공정에 적합한 전기 접촉 단자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접촉 단자의 열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력이 있는 금속 재질의 도전성 전기 접촉 단자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3588호에는 일정 체적을 갖는 절연 발포고무(10), 상기 절연 발포고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 및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을 감싸도록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이면에 금속층(40)이 일체로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0)을 포함하는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을 매개로 하여 절연 발포고무(10)와 내열 폴리머 필름(30)을 접착시킨다.
그런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을 매개로 하여 절연 발포고무(10)와 내열 폴리머 필름(30)을 접착시키는 경우, 압력이 작용하여 압축과 팽창을 여러 번 반복하게 되면 내열 폴리머 필름(30)에 일체로 형성된 금속층(40)이 손상되어 전기접촉단자 전체의 도전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접촉단자는 절연 발포고무(10) 표면에 이격 간격 없이 내열 폴리머 필름(30)이 접착됨으로써, 압력이 작용하여 압축과 팽창을 여러 번 반복하게 되면 절연 발포고무(10)가 수평 방향으로 팽창될 때 절연 발포고무(10)에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30)에 일체로 형성된 금속층(40)도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팽창되어 변형됨으로써 금속층(40)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3588호(2007.12.03)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압력에 의해 탄성 코어가 압축됨으로써 금속층이 손상되더라도 전기 접촉 단자의 도전성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에서 압력에 의에 탄성 코어가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팽창되어 변형되더라고 탄성 코어를 감싸는 금속층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 접촉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전기 접촉 단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코어,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내열성 필름, 및 내열성 필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는 압력에 의해 탄성 코어가 압축됨으로써 금속층이 손상되더라도 전기 접촉 단자의 도전성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는 압력에 의에 탄성 코어가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팽창되어 변형되더라고 탄성 코어를 감싸는 금속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탄성 전기 접촉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폭 방향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길이 방향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는 전기 접촉 단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코어(미도시),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220),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내열성 필름(230), 및 내열성 필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는 외부 표면 전체가 도전성 코팅층(220)으로 감싸진 탄성 코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코어(미도시)는 외부 표면 전체가 도전성 코팅층(220)으로 감싸지므로 탄성 코어(미도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압력에 의해 탄성 코어가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금속층이 손상되더라도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에 의해 전기 접촉 단자의 도전성 성능을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220)의 외부 표면 일부를 내열성 필름(230)이 감싸게 된다. 도 2의 경우,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의 폭 방향에서 내열성 필름(230)이 도전성 코팅층(22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의 길이 방향의 양쪽 끝단은 도전성 코팅층(220)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내열성 필름의 외부 표면에 금속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경우,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의 폭 방향에서 금속층(240)이 내열성 필름(23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의 길이 방향의 양쪽 끝단은 도전성 코팅층(220)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폭 방향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길이 방향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는 전기 접촉 단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코어(210),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220),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내열성 필름(230), 및 내열성 필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는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수직 단면도에서 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탄성 코어(210), 도전성 코팅층(220), 내열성 필름(230), 및 금속층(2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는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수직 단면도에서 좌우측 방향에서 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탄성 코어(210) 및 도전성 코팅층(2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하 방향에서 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탄성 코어(210), 도전성 코팅층(220), 내열성 필름(230), 및 금속층(2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는 탄성 코어(210)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220)을 포함함으로써, 전기 접촉 단자(200)에 압력이 작용하여 전기 접촉 단자(200)가 압축과 팽창을 여러 번 반복하게 되어 내열성 필름(230)의 외부에 형성된 금속층(240)이 손상되더라도 도전성 코팅층(220)에 의해 전기 접촉 단자(200)의 도전성이 유효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탄성 코어(210)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에 탄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내열성과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표면 실장 공정이 180℃ ~ 270℃의 고온에서 진행되는 공정임을 고려할 때, 탄성 코어(210)는 열에 의해 코어가 변성되지 않도록 내열성을 구비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내열 처리된 천연고무, 또는 내열성 합성고무일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성 코어(210)는 탄성을 구비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실리콘 탄성 코어일 수 있다. 실리콘 탄성 코어는 압출, 고무 금형, 또는 열프레스에 의한 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솔더링 시 수평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좌우 대칭되어 형성함으로써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시 들뜸 또는 치우침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도전성 코팅층(220)은 탄성 코어와 내열성 필름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코팅층(220)은 탄성 코어와 내열성 필름 사이에 위치하여 탄성 코어와 내열성 필름을 신뢰성 있게 접착한다. 이러한 접착제층은 접착성을 갖는 실리콘 성분 및 전기 전도성 금속 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금속 분말은 금, 백금, 은, 동, 니켈, 니켈-철 합금, 주석, 은이 코팅된 구리 등이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성 코팅층(220)은 예컨대 전기 전도성 금속 분말을 함유하는 액상 실리콘 고무가 열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액상 실리콘 고무는 경화하면서 대향하는 대상물과 접착되고 경화 후 고체상의 도전성 코팅층(220)을 형성하는데, 한 번 경화된 후에는 탄성을 유지하며 다시 열이 가해져도 용융되지 않고 접착력을 유지하여 고온에서 솔더링 할 때에도 접착력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내열성 필름(23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가 표면 실장 공정 중의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내열성을 갖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내열성 필름의 예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등의 재질을 갖는 필름일 수 있다. 난연성 필름 상에 난연성 에폭시계 접착제가 도포될 경우 내열성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내열성 필름(230)은 유연성과 기구적 강도를 고려하여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내열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금속층(240)은 솔더링이 가능한 것으로 전기 전도가 가능한 금속 성분이 포함된 재료를 의미한다. 금속층의 두께는 1~20㎛가 바람직하며, 금속층(24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이 어려우며, 금속층(240)의 두께가 20㎛보다 두꺼울 경우 제품의 성형성과 탄성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금속층(240)은 구리, 니켈, 금, 은 및 주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이 내열성 필름(230) 위에 전해 도금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금속층(240)은 금속증착층 및 금속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금속증착층은 구리, 니켈, 금, 은 및 주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이 내열성 필름 위에 증착되어 형성되며, 금속코팅층은 구리, 니켈, 금, 은 및 주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이 금속증착층 위에 전해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금속층(240) 위에 금속박층(미도시)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금속박층으로 인하여 전기 접촉 단자의 솔더링 작업의 효율성과 전기 전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는 탄성 코어(3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구멍(35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코어(310)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350)이 형성된 튜브 형상일 수 있다. 관통구멍(350)이 형성되는 경우 전기 접촉 단자의 폭 방향 수직 단면 형상은 좌우 대칭을 이룬다.
한편, 이하에서 탄성 코어, 도전성 코팅층, 내열성 필름, 및 금속층과 관련하여 도 2부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생략한다.
탄성 코어(310)는 관통 구멍(350)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위치하는 탄성 코어의 두께가 상하측에 위치하는 탄성 코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 구멍(350)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위치하는 탄성 코어(31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수직 하방으로의 압력이 작용할 경우 탄성 코어(310)는 더욱 쉽게 압축될 수 있다.
탄성 코어(210, 310)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탄성 코어(210, 310)의 상면은 진공픽업을 위하여 평면일 수 있으며, 상면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완성된 전기 접촉 단자가 인쇄회로기판 등에 솔더링 된 후 대향하는 대상물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양측 모서리에서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코어(310)의 하면은 폭 방향으로 양단에서 중간 부분을 향해 위로 파인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코어(310)의 하면은 폭 방향에서 가운데 부분이 위로 상승된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아치(arch) 형상으로 인하여 솔더링 시 충격 흡수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탄성 코어(210, 31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폭이 길이보다 탄성 코어(210, 310)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도전성 코팅층(미도시)은 관통 구멍(350)에 의해 형성된 탄성 코어 외부 표면(315)을 포함하여 탄성 코어 외부 표면 전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200)는 탄성 코어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 도전성 코팅층이 될 액상의 도전성 코팅층 용제에 탄성 코어를 담지하여 도포한 후, 내열성 필름을 접착시키고 후속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코어 외부 표면 전체에 도전성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압력에 의해 탄성 코어가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금속층이 손상되더라도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에 의해 전기 접촉 단자의 도전성 성능을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는 탄성 코어(310)의 외부 표면과 도전성 코팅층(320)의 내부 표면 사이에 빈공간(360)이 형성되도록 도전성 코팅층(320)이 탄성 코어(310)의 외부 표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기 접촉 단자는 내열성 필름에 도전성 코팅층을 도포한 후,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과 도전성 코팅층의 내부 표면 사이 중 일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도전성 코팅층이 도포된 면을 탄성 코어에 접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는 도전성 코팅층(320)의 외부 표면과 내열성 필름(330)의 내부 표면 사이에 빈공간(360)이 형성되도록 내열성 필름(330)이 도전성 코팅층(320)의 외부 표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기 접촉 단자는 탄성 코어에 도전성 코팅층을 도포한 후,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과 내열성 필름의 내부 표면 사이 중 일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열성 필름을 도전성 코팅층에 접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빈공간(360)은 관통 구멍(350)을 중심으로 좌측 및/또는 우측에 대응하는 전기 접촉 단자의 중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촉 단자에 수직 하방으로 압력이 작용하면 탄성 코어(310)가 압축되면서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팽창하여 변형된다.
이때 종래의 전기 접촉 단자는 탄성 코어에 이격 간격 없이 밀착 접착된 금속층이 탄성 코어와 함께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팽창되면서 금속층이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금속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 탄성 코어가 수평 방향 외측으로 팽창하는 힘을 금속층이 견디지 못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 접촉 단자는 탄성 코어(310)가 수직 하방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수평 방향 외측으로 팽창하더라도 탄성 코어(310)와 금속층(미도시)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빈공간(36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탄성 코어(310)는 빈공간(360)으로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빈공간(360)의 외측에 형성된 금속층(미도시)은 탄성 코어(310)가 수평 방향 외측으로 팽창하는 힘을 최대한 적게 받게 되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빈공간(360)이 관통 구멍(350)을 중심으로 좌측 및/또는 우측에 대응하는 전기 접촉 단자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경우, 탄성 코어(310)에 압력이 작용하여 압축되어 수평 방향 외측으로 가장 많이 팽창하는 탄성 코어의 부분은 관통 구멍(350)을 중심으로 좌측 및/또는 우측에 대응하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전기 접촉 단자의 중간 영역이므로, 이 부분에 빈공간(360)을 형성함으로써, 금속층(미도시)이 탄성 코어(310)가 수평 방향 외측으로 팽창하는 힘을 최대한 적게 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1)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에 있어서, 전기 접촉 단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코어;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내열성 필름; 및 내열성 필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2) 도전성 코팅층은 탄성 코어와 내열성 필름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인,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3) 접착제층은 접착성을 갖는 실리콘 성분 및 전기 전도성 금속 분말을 함유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4) 탄성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관통 구멍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위치하는 탄성 코어의 두께가 상하측에 위치하는 탄성 코어의 두께보다 얇은,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5)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과 도전성 코팅층의 내부 표면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도전성 코팅층이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6)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과 내열성 필름의 내부 표면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열성 필름이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7) 빈공간은 관통 구멍을 중심으로 좌측 및/또는 우측에 대응하는 전기 접촉 단자의 중간 영역에 형성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8) 도전성 코팅층은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된 탄성 코어 외부 표면을 포함하여 탄성 코어 외부 표면 전체에 형성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200 :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210, 310 : 탄성 코어
220, 320 : 도전성 코팅층
230 : 내열성 필름
240 : 금속층
350 : 관통 구멍
360 : 빈 공간

Claims (8)

  1.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에 있어서,
    전기 접촉 단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코어;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내열성 필름; 및
    내열성 필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
    을 포함하며,
    탄성 코어의 좌우측 양측 측면에서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과 도전성 코팅층의 내부 표면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도전성 코팅층이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을 감싸며,
    내열성 필름은 탄성 코어의 상하면과 좌우측 양측 측면을 감싸도록 도전성 코팅층에 적층되며,
    탄성 코어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2.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에 있어서,
    전기 접촉 단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코어;
    탄성 코어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도전성 코팅층;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내열성 필름; 및
    내열성 필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
    을 포함하며,
    탄성 코어의 좌우측 양측 측면에서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과 내열성 필름의 내부 표면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열성 필름이 도전성 코팅층의 외부 표면을 감싸며,
    내열성 필름은 탄성 코어의 상하면과 좌우측 양측 측면을 감싸도록 도전성 코팅층에 적층되며,
    탄성 코어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도전성 코팅층은 탄성 코어와 내열성 필름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인,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접착성을 갖는 실리콘 성분 및 전기 전도성 금속 분말을 함유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관통 구멍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위치하는 탄성 코어의 두께가 상하측에 위치하는 탄성 코어의 두께보다 얇은,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빈공간은 관통 구멍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대응하는 전기 접촉 단자의 중간 영역에 형성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도전성 코팅층은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된 탄성 코어 외부 표면을 포함하여 탄성 코어 외부 표면 전체에 형성되는,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 단자.
  8. 삭제
KR1020210055318A 2021-04-28 2021-04-28 전기 접촉 단자 KR102339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318A KR102339845B1 (ko) 2021-04-28 2021-04-28 전기 접촉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318A KR102339845B1 (ko) 2021-04-28 2021-04-28 전기 접촉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845B1 true KR102339845B1 (ko) 2021-12-16

Family

ID=7903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318A KR102339845B1 (ko) 2021-04-28 2021-04-28 전기 접촉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8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88B1 (ko) 2006-11-08 2007-12-07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00003525A (ko) * 2008-07-01 2010-01-11 조인셋 주식회사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0993253B1 (ko) * 2010-04-28 2010-11-10 김선기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00124148A (ko) * 2009-05-18 2010-11-26 두성산업 주식회사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접촉 단자
KR20190088842A (ko) * 2018-01-19 2019-07-29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접촉단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88B1 (ko) 2006-11-08 2007-12-07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00003525A (ko) * 2008-07-01 2010-01-11 조인셋 주식회사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00124148A (ko) * 2009-05-18 2010-11-26 두성산업 주식회사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접촉 단자
KR100993253B1 (ko) * 2010-04-28 2010-11-10 김선기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90088842A (ko) * 2018-01-19 2019-07-29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접촉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893B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54251B1 (ko)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접촉 단자
KR200428000Y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 접촉단자
KR100892720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0783588B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US9966685B2 (en)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bjects
KR101038755B1 (ko) 세라믹 칩 어셈블리
KR20190128267A (ko) 전기 부품 및 전기 부품의 제조 방법
KR200390490Y1 (ko) 표면 실장용 전기 접촉단자
JP2002134360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186366B2 (en) Electrode structure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component using the same and the fabrication merhod thereof
US20100090332A1 (en) Ceramic chip assembly
KR102176281B1 (ko) 탄탈륨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01267181A (ja) チップ形固体電解コンデンサ
KR101046765B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339845B1 (ko) 전기 접촉 단자
KR20080006321A (ko) 표면 실장용 도전성 접촉 단자
KR101038980B1 (ko) 표면 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324261B1 (ko) 전기 접촉 단자
KR101951732B1 (ko) 측면 접촉이 가능한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접촉단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04882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0907523B1 (ko)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적 접속부재
KR100845046B1 (ko) 표면실장용 전기적 접촉단자
KR102594639B1 (ko) 응력 집중을 방지한 클립 개스킷
JP3168584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