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752B1 - 증기 제공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증기 제공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752B1
KR102339752B1 KR1020197033083A KR20197033083A KR102339752B1 KR 102339752 B1 KR102339752 B1 KR 102339752B1 KR 1020197033083 A KR1020197033083 A KR 1020197033083A KR 20197033083 A KR20197033083 A KR 20197033083A KR 102339752 B1 KR102339752 B1 KR 10233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tivation
vapor
respons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779A (ko
Inventor
리차드 헵워스
콜린 딕킨스
패트릭 몰로니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6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dose siz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unwanted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증기 제공 시스템은 제1 활성화 센서; 제2 활성화 센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정의 설정 및 제2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정의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 및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제1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제2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증기 제공 시스템들
본 개시는 니코틴 전달 시스템들(nicotine delivery systems)(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들(electronic cigarettes) 등)과 같은 증기 제공 시스템들(vapour provision systems)에 관한 것이다.
전자 시가렛들(e-시가렛들)과 같은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담배-기반 제품(tobacco-based product)과 같은 고체 재료 또는 전형적으로 니코틴(nicotine)을 포함하는 제제(formulation)를 보유하는 소스 액체(source liquid)의 저장조(reservoir)와 같은 증기 전구체 재료(vapour precursor material)를 보유하며, 이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예를 들어 열 증발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한 증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증기 제공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증발기(vaporiser), 예를 들어 가열 요소를 보유하는 증기 발생 챔버(vapour generation chamber)를 포함할 것이며, 증발기는 전구체 재료의 일부를 증발시켜 증기 발생 챔버 내에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배열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을 흡입하고 전력이 증발기에 공급됨에 따라, 공기는 입구 구멍을 통해 디바이스 내로, 그리고 공기가 증발된 전구체 재료와 혼합되고 응결 에어로졸(condensation aerosol)을 형성하는 증기 발생 챔버 내로 흡인된다. 증기 발생 챔버와 마우스피스(mouthpiece)의 개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동 경로가 있으며, 그래서 증기 발생 챔버를 통해 흡인된 유입 공기는 유동 경로를 따라 마우스피스 개구까지―그와 함께 수증기의 일부를 운반함―,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개구를 통해 외부로 계속된다.
일부 시스템들에서, 증발기에 대한 전력 공급은, 예를 들어 흡입을 위해 증기를 발생시키기 원할 때 사용자가 활성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수동으로 활성화된다. 일부 다른 시스템들에서, 증발기에 대한 전력 공급은, 예를 들어 압력 또는 공기 유동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을 흡입할 때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 흡입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증발기가 활성화될 때 전자 시가렛의 증발기에 공급되는 전력량은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전력량이 많을수록 보다 많은 증기를 발생시킬 것이고, 그래서 사용자는 그에 맞춰 니코틴 및/또는 향미제들(flavourants)과 같은, 증기를 포함하는 더 많은 성분들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효과들도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이한 증기 온도들 및 응결된 증기 입자 크기들이 증발기에 공급되는 상이한 전력량과 연관될 수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일부 전자 시가렛들은 사용자가 사용 동안에 증발기에 대해 상이한 레벨들의 전력을 선택하여 그들이 경험하는 것을 맞출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일부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전력량의 공급과 각각 연관되는 2 개의 활성화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실상 저전력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버튼 및 고전력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버튼을 제공한다. 다른 디바이스들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메뉴 시스템(menu system)을 통해 증발기가 활성화될 때 사용하기 원하는 전력량을 설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 동안에 증발기에 대해 상이한 레벨들의 전력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디바이스들이 추가로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존의 접근법들이 어떤 점에서는 사용자들을 위한 유연성 및 편의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원에는, 이러한 쟁점들 중 일부를 해결하거나 완화시키는 것을 돕고자 하는 다양한 접근법들이 설명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증기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은, 제1 활성화 센서(activation sensor); 제2 활성화 센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user-defined power setting) 및 제2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user programming circuitry); 및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제어 회로(power supply control circuitry)를 포함하며,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제1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에 따라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제2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에 따라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증기 제공 수단(vapour provision means)이 제공되며, 상기 증기 제공 수단은, 제1 활성화 수단; 제2 활성화 수단;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활성화 수단과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정의 설정 및 제2 활성화 수단과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정의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프로그래밍 수단; 및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증발 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제어 수단은 제1 활성화 수단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증발 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제2 활성화 수단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증발 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증기 제공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증기 제공 시스템의 제1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정의 설정 및 증기 제공 시스템의 제2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정의 설정을 표시하도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후속하여, 제1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1 및 다른 양태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본 개시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전술한 특정 조합들로만이 아니라, 적절하게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이들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제공 시스템을 매우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증기 제공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프로그래밍 단계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3은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정상 사용 시의 도 1의 증기 제공 시스템의 작동 단계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제공 시스템을 매우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낸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간결화를 위해 상세하게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 본원에서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그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e-시가렛들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로도 지칭될 수 있는 증기 제공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용어 "e-시가렛"또는 "전자 시가렛"이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증기 제공 시스템/디바이스 및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디바이스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이, 용어들 "증기" 및 "에어로졸(aerosol)", 및 "증발하다", "휘발시키다" 및 "에어로졸화하다"와 같은 관련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증기 제공 시스템들(e-시가렛들)은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재사용 가능한 부분(reusable part) 및 교체 가능한(일회용) 카트리지 부분(cartridge part) 둘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체(modular assembly)를 포함한다. 종종,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부분은 증기 전구체 재료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재사용 가능한 부분은 전원 공급장치(예를 들어,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할 것이다. 이들 상이한 부분들은 기능에 따라 추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은 종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작동 상태 특성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할 것이며, 일부 경우들에서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부분은 온도 제어를 돕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들은, 예를 들어 적절하게 결합하는 전기 접점들을 갖는 스크류 나사(screw thread) 또는 베이어닛 고정(bayonet fixing)을 사용하여, 사용 동안에 제어 유닛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카트리지 내의 증기 전구체 재료가 소진되거나, 사용자가 상이한 증기 전구체 재료를 갖는 상이한 카트리지로 전환하기를 원하는 경우, 카트리지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거되고, 그 대신에 교체 카트리지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2-부분 모듈형 구성에 합치하는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2-부분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시가렛들은 대체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원에 설명된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은 일회용 카트리지들을 이용하는 이러한 종류의 대체로 세장형의 2-부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취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원에 설명된 기본적인 원리들은, 상이한 전자 시가렛 구성들, 예를 들어 단일 부분의 디바이스들 또는 2 개 초과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모듈형 디바이스, 재충전 가능한 디바이스들 및 단일사용의 일회용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보다 박스형인 형상을 갖는 소위 박스-모드(box-mod) 고성능 디바이스들에 기초하는 다른 전체 형상에 합치하는 디바이스들에 동등하게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라 기능을 제공하도록 작동적으로 구성된 전자 시가렛에 기초하며,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시가렛들의 구성적 양태들은 아주 중요하지는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e-시가렛(1)을 통한 단면도이다. e-시가렛(1)은 2 개의 주요 구성요소, 즉 재사용 가능한 부분(2) 및 교체 가능한/일회용 카트리지 부분(4)을 포함한다. 정상 사용 시에, 재사용 가능한 부분(2)과 카트리지 부분(4)은 인터페이스(6)에서 해제 가능하게 함께 결합된다. 카트리지 부분이 소진되었거나, 사용자가 단순히 다른 카트리지 부분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카트리지 부분은 재사용 가능한 부분으로부터 제거되고, 교체 카트리지 부분이 그 대신에 재사용 가능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6)는, 2 개의 부분들 사이에 구조적, 전기적 및 공기 경로 연결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2 개의 부분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 및 공기 경로를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배열된 전기 접점들 및 개구들을 갖는 스크류 나사 또는 베이어닛 고정에 기초하는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 부분(4)이 재사용 가능한 부분(2)에 기계적으로 장착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지만, 구체적인 예를 위해 나사 끼워맞춤부(도 1에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인터페이스(6)는 각각의 부분들 사이의 전기적 및/또는 공기 경로 연결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부분이 아닌 재사용 가능한 부분에 증발기가 제공될 수 있거나, 재사용 가능한 부분으로부터 카트리지 부분으로의 전력의 전달은 무선일 수 있으며(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에 기초함), 그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부분과 카트리지 부분 사이의 전기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일부 구현예들에서, 전자 시가렛을 통한 공기 유동은 재사용 가능한 부분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부분과 카트리지 부분 사이의 공기 경로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트리지 부분(4)은 대략적으로 통상적인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 카트리지 부분(4)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카트리지 하우징(cartridge housing)(42)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우징(42)은 카트리지 부분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재사용 가능한 부분(2)과의 기계적 인터페이스(6)를 제공한다. 카트리지 하우징은 카트리지 부분이 재사용 가능한 부분(2)에 결합하는 종축에 대해 대체로 원형 대칭이다. 본 예에서, 카트리지 부분은 약 4 ㎝의 길이 및 약 1.5 ㎝의 직경을 갖는다. 그러나, 특정 기하형상, 및 보다 일반적으로는 전체 형상들 및 사용된 재료들은 상이한 구현예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카트리지 하우징(42) 내에는, 액체 증기 전구체 재료를 보유하는 저장조(reservoir)(44)가 있다. 액체 증기 전구체 재료는 통상적인 것일 수 있으며, e-액체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액체 저장조(44)는 카트리지 하우징(42)에 의해 규정된 외벽, 및 카트리지 부분(4)을 통한 공기 경로(52)를 규정하는 내벽을 갖는 환형 형상을 갖는다. 저장조(44)는 e-액체를 보유하기 위해 단부 벽들에 의해 각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다. 저장조(44)는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하우징(42)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카트리지 부분은 마우스피스 출구(50)와는 반대측의 저장조(44)의 단부를 향해 위치된 심지(wick)(46) 및 히터(heater)(증발기)(48)를 더 포함한다. 본 예에서, 심지(46)는 카트리지 공기 경로(52)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들은 e-액체의 저장조(44) 내로 저장조(44)의 내벽의 개구들을 통해 연장된다. 저장조의 내벽의 개구들은, 유체 전달 성능에 해로울 수 있는 심지의 과도한 압축없이 액체 저장조로부터 카트리지 공기 경로 내로의 누출에 대한 합리적인 시일(seal)을 제공하기 위해 심지(46)의 치수들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심지(46) 및 히터(48)는 심지(46) 및 히터(48) 주위의 카트리지 공기 경로(52)의 영역이 사실상 카트리지 부분에 대한 증발 영역을 규정하도록 카트리지 공기 경로(52) 내에 배열된다. 저장조(44) 내의 e-액체는 저장조(44) 내로 연장되는 심지의 단부들을 통해 심지(46)에 침투하고, 표면 장력/모세관 작용(즉, 위킹(wicking))에 의해 심지를 따라 흡인된다. 본 예에서, 히터(48)는 심지(46) 주위에 코일링된 전기 저항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히터(48)는 니켈 크롬 합금(Cr20Ni80) 와이어를 포함하고, 심지(46)는 유리 섬유 번들(glass fibre bundle)을 포함하지만, 구체적인 증발기 구성은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사용 시에, 전력이 히터(48)에 공급되어, 심지(46)에 의해 히터(48) 근처로 흡인된 소정량의 e-액체(증기 전구체 재료)를 증발시킬 수 있다. 다음에, 증발된 e-액체는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발 영역으로부터 마우스피스 출구(50)를 향해 카트리지 공기 경로를 따라 흡인되는 공기에 동반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e-액체가 증발기(히터)(48)에 의해 증발되는 속도는 히터(48)에 공급되는 전력량(전력 레벨)에 의존할 것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부분(4) 내의 e-액체로부터 증기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히터에 전력이 인가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펄스 폭 및/또는 주파수 변조 기술들을 통해, 히터(48)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증기 발생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부분(2)은 e-시가렛을 위한 공기 입구(28)를 규정하는 개구를 갖는 외부 하우징(12), 전자 시가렛을 위한 작동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26), 전자 시가렛의 작동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회로(18), 제1 사용자 입력 버튼(14), 제2 사용자 입력 버튼(16) 및 시각적 디스플레이(24)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2)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예에서 인터페이스(6)에서 2 개의 부분들 사이에 매끄러운 전이부를 제공하기 위해 카트리지 부분(4)의 형상 및 크기에 대체로 합치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본 예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분은 약 8 ㎝의 길이를 가져서, 카트리지 부분과 재사용 가능한 부분이 함께 결합되는 경우의 e-시가렛의 전체 길이가 약 12 ㎝가 된다. 그러나,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전자 시가렛의 전체 형상 및 스케일은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공기 입구(28)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2)을 통한 공기 경로(30)에 연결된다. 재사용 가능한 부분 공기 경로(30)는 결국, 재사용 가능한 부분(2)과 카트리지 부분(4)이 함께 연결될 때 인터페이스(6)를 가로질러 카트리지 공기 경로(52)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개구(50) 상을 흡입할 때, 공기는 공기 입구(28)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부분 공기 경로(30)를 따라, 인터페이스(6)를 가로질러, 무화기(atomiser)(48) 근처의 증기 발생 영역(증발된 e-액체가 공기 유동에 동반되는 곳)을 통해 카트리지 공기 경로(52)를 따라, 그리고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개구(50)를 통해 외부로 흡인된다.
본 예에서, 배터리(26)는 재충전 가능하며, 종래의 유형, 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들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류 및 비교적 짧은 기간에 걸쳐 비교적 높은 전류들의 제공을 필요로 하는 다른 응용들일 수 있다. 배터리(26)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 하우징(12)의 충전 커넥터, 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 버튼들(14, 16)은, 예를 들어 전기 접점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스프링 장착식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종래의 기계적 버튼들이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버튼들은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들로 간주될 수 있고, 버튼들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다른 형태들의 기계적 버튼(들) 또는 터치-감지 버튼(들)(예를 들어, 용량형(capacitive) 또는 광 감지 기술들에 기초함)이 사용될 수 있다. 버튼들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특히 원하는 심미적 외관과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2 개의 버튼들(14, 16)이 구조적으로 서로 독립적일 수 있는 반면, 다른 경우들에서 2 개의 버튼들(14, 16)은, 예를 들어 각각의 버튼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되는 단일의 토글 요소(toggle element)로, 어느 정도 통합될 수 있다.
전자 시가렛과 연관된 다양한 특성들, 예를 들어 현재 전력 설정 정보, 배터리 잔량(remaining battery power) 등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4)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디스플레이(24)는 종래 기술들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동될 수 있는 종래의 픽셀화된 LCD 스크린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특정 색상들 및/또는 플래시 시퀀스들(flash sequences)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개별 표시기들, 예를 들어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방식은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는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전자 시가렛의 작동 특성들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전자 시가렛의 작동 특성들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회로(18)는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된 기술들에 따라 전자 시가렛의 통상적인 작동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전자 시가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적절하게 구성/프로그래밍된다. 제어 회로(프로세서 회로)(18)는 전자 시가렛의 작동의 상이한 양태들과 연관된 다양한 서브 유닛들/회로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어 회로(18)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배터리(26)로부터 증발기(48)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공급 제어 회로(2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구성 설정들(예를 들어,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들)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20)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사용자 입력 검출 회로와 같은,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 및 전자 시가렛들의 종래의 작동 양태들에 따른 다른 기능 유닛들/회로 관련 기능을 포함한다. 제어 회로(18)의 기능은, 예를 들어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칩(들)/칩셋(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증기 제공 시스템(1)은 제1 버튼(14)의 사용자 활성화(즉, 누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활성화 센서 및 제2 버튼(16)의 사용자 활성화(즉, 누름)를 검출하기 위한 제2 활성화 센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18), 및 보다 특별하게는 전력 공급 제어 회로(22)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의 논리 구성요소는 활성화 센서들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또는 둘 모두)의 사용자 활성화에 응답하여 마우스피스 출구(50)를 통한 사용자 흡입을 위해 카트리지 부분(4) 내의 e-액체의 일부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배터리(26)로부터 히터/증발기(48)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활성화 센서는 사용자가 구성한 증발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량과 연관된다. 즉, 사용자는 각각의 활성화 센서를 상이한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과 연관시키도록, 제어 회로(18), 보다 특별하게는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22)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의 논리 구성요소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제1 버튼(14)을 누를 때 증기 발생기(48)에 비교적 적은 전력량을 공급하고 사용자가 제2 버튼(16)을 누를 때 증기 발생기(48)에 비교적 많은 전력량을 공급하도록 증기 제공 시스템(1)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증기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가 제1 버튼(14)과 제2 버튼을 동시에 누를 때 증발기(48)에 제3 전력량을 공급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3 전력량은 또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에 의해 사용자-정의되고 구성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절한 버튼(들)을 단순히 누름으로써 직접 액세스될 수 있는 3 개의 별도 성능/증기 발생 레벨들을 정의하는 유연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경우들에서, 제3 전력량은 사전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최대 전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절한 버튼(들)을 단순히 누름으로써 직접 액세스될 수 있는 2 개의 별도 전력 레벨들을 정의하는 유연성뿐만 아니라, 양쪽 버튼들을 함께 누름으로써 증발기에 최대 전력을 공급하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는 다수의 상이한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들을 활성화시키는 능력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것이 고정된 전력량들을 공급하는 것, 또는 전력량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프로그래밍 메뉴에 들어가는 것을 요구하는 것에 의존하는 기존의 방식들에 비해 개선된 유연성 및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 세션(use session)의 시작 시에는 증기 발생을 위해 비교적 높은 레벨의 전력을 사용하지만, 사용 세션의 종료 시에는 증기 발생을 위해 보다 낮은 레벨의 전력을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것은 원하는 전력 레벨들 각각을 버튼들 중 하나와 단순히 연관시키고, 다음에 그에 맞춰서 관련 버튼을 사용하여 증기 발생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본원에 설명된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원하는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들을 각각의 활성화 센서들과 연관시키기 위한 증기 제공 시스템의 최종 사용자 프로그래밍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제1 버튼(14) 및 제2 버튼(16)은 증기 제공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 동안에 사용자 입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추가 버튼(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증기 제공 시스템은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증기 제공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고, 특히 다른 활성화 센서들과 연관되도록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들을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별도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컴퓨터에 (유선 또는 무선)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활성화 수단들에 대한 사용자의 원하는 증기 발생 레벨들과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활성화 수단에 대한 설정들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접근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의 단계(S1)에서, 증기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프로그래밍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및/또는 제2 버튼들을 사전정의된 시퀀스로 누름으로써, 예를 들어 제1 버튼을 3 초 이내에 6 번 누르거나 각각의 버튼을 번갈아 3 번씩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물론, 증기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프로그래밍 모드로 들어가도록 트리거(trigger)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이한 활성화 센서들과 현재 연관된 전력 설정들(사전에 설정되지 않은 경우 공장 디폴트들(factory defaults)일 수 있음)을 변경하기를 원할 때마다 사용자 프로그래밍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증기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프로그래밍 모드로 들어가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이것의 표시뿐만 아니라, 현재 구성 설정들과 같은 다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S2)에서, 사용자 프로그래밍 모드에 있을 때, 사용자는 제1 입력 버튼과 연관될 원하는 전력 레벨 설정을 표시하도록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이것이 실행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버튼들을 사용하여 시각적 디스플레이(24)에 의해 표시된 현재 전력 레벨 설정을, 예를 들어 0.1 와트의 스텝으로, 또는 어떤 분해능이든 주어진 구현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각각 증가 및 감소시킴으로써, 특정 와트 수를 표시하는 관점에서 원하는 전력 레벨 설정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원하는 전력 레벨 설정들은 임의의 단위들과 연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zero)의 전력과 최대 전력 사이에서 10 개의 상이한 설정들로부터 선택 가능할 수 있다. 또, 사용자 프로그래밍 모드에 있을 때, 사용자는 제1 및 제2 입력 버튼들을 사용하여 그러한 스케일에서 현재 전력 레벨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확인(ok)" 또는 "입력(enter)"을 표시하는 것에 사실상 대응하도록 취해진 사전정의된 시퀀스로 버튼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누름으로써, 예컨대 하나 또는 다른 버튼의 3 번의 빠른 누름 또는 양쪽 버튼들의 동시 누름에 의해, 제1 입력 버튼과 연관되는 원하는 전력 레벨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3)에서, 사용자 프로그래밍 모드에 있을 때, 그리고 제1 입력 버튼과 연관된 제1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의 표시를 수신 및 저장한 후에,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입력 버튼과 연관된 제2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의 표시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단계(S2)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단계(S4)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프로그래밍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또, 이것은 임의의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그래밍 모드를 종료하는 명령에 대응하도록 취해진 사전정의된 시퀀스로 사용자 입력 버튼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는 사용자가 제1 및 제2 입력 버튼들과 연관되는 원하는 전력 설정들을 설정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들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의 사용자 프로그래밍을 위한 설정된 실시들과 관련하여, 이것을 달성할 수 있는 많은 상이한 방식들 중 단 하나를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력 레벨들이 설정되는 순서는 물론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 프로그래밍 모드는 또한 주어진 구현에 이용 가능할 수 있는 증기 제공 시스템의 임의의 다른 구성 가능한 양태들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증기 제공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고, 특히 제1 버튼(14)과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 및 제2 버튼(16)과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을 구성하고, 프로그래밍 모드를 종료하면, 증기 제공 시스템은 정상 사용(즉, 선택적인 증기 발생)을 위한 준비가 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증기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도 1의 증기 제공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T1)에서 증기 제공 시스템(1)은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전자 시가렛들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이, 증기 제공 시스템(1)은 3 개의 기본 작동 상태들, 즉 "오프(off)" 상태, "온(on)" 상태 및 "대기(standby)" 상태를 지원한다. 오프 상태에서, 전자 시가렛은 증기를 발생시킬 수 없다(즉, 오프 상태에서는 전력 공급 제어 회로가 증발기/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방지됨). 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은 사용 세션들 사이에서, 예컨대 전자 시가렛을 따로 두거나 사용자의 포켓 또는 백 내에 두었을 때, 오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온(또는 활성) 상태에서, 전자 시가렛은 증기를 활발하게 발생시키고 있다(즉, 전력 공급 제어 회로가 증발기/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음). 따라서, 전자 시가렛은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으로부터 증기를 흡입하는 과정에 있을 때에 온 상태에 있을 것이다. 대기 상태에서, 전자 시가렛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증기를 발생시킬 준비가 되어 있지만(즉, 증발기에 전력을 인가할 준비가 됨), 현재는 그렇게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전자 시가렛은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사용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처음으로 오프 상태를 종료할 때 또는 진행중인 사용 세션 동안의 흡입들 사이에서 대기 상태에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를 위해, 도 3에 나타낸 단계(T1)에서, 전자 시가렛은 사용자가 사용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오프 상태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도 3에 나타낸 프로세싱은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 상을 흡입하는 것을 종료했기 때문에 전자 시가렛이 온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들어갈 때와 동일하다. 전자 시가렛이 오프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방식은 구현의 문제이며, 여기서는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오프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이하기 위해, 사용자는 입력 버튼들 중 하나를 특정 시퀀스로 누르고, 예를 들어 사전결정된 시간 내에 여러 번 누르거나, 양쪽 버튼들을 함께 누르도록 요구될 수 있다.
단계(T2)에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제1 및 제2 입력 버튼들(14, 16)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누르는 것에 대응하는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어떤 버튼이든, 이전에 구성된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들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하고자 하는 전력 레벨 설정에 대응하는 것을 누를 것이다.
단계(T3)에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관련 전력 레벨 설정에 따라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단계(T2)에서, 검출된 사용자 활성화가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입력 버튼(14)을 누르는 것과 대응하는 경우,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도 2에 나타낸 프로그래밍 프로세스 동안에 제1 버튼과 이전에 연관된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에 따라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단계(T2)에서, 검출된 사용자 활성화가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입력 버튼(16)을 누르는 것과 대응하는 경우,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도 2에 나타낸 프로그래밍 프로세스 동안에 제2 버튼과 이전에 연관된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에 따라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 공급이 관련 전력 레벨 설정과 대응하도록 제어되는 방식은 해당 구현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들에 기초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이한 전력 레벨 설정들은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펄스-폭 또는 주파수-폭 변조 방식에서 상이한 충전율들(fill-factors)/듀티 사이클들(duty cycles)과 연관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그러한 의미에서, 증기 발생 동안의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은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증발기에 대한 냉각/가열 시간보다 빠른 시간 스케일에서 구동 전류를 온 및 오프 펄싱함으로써 전형적으로 변화할 것이며, 그것은 실제적인 목적들에 가장 관련된 평균 전력 레벨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임). 그러나, 원칙적으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상이한 전력 레벨 설정들에 대해 상이한 전력을 일정한 전압에서 공급하도록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동안에 사용자가 선택하는데 이용 가능한 상이한 전력 레벨 설정들의 범위, 및 전력 공급 제어 회로가 상이한 전력 레벨 설정들에 대응하여 증발기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방식은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
또한, 사용자 설정은 증발기에 전달하기 위한 특정 양의 전력을 특정할 필요는 없지만, 상이한 파라미터화(parameterisation)에 기초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서, 전자 시가렛은 사용자가 증기 발생을 위해 원하는 온도 설정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전자 시가렛을 위한 전력 공급 회로는 원하는 온도 설정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레벨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것이다(즉, 퍼프(puff) 동안 상이한 지점들에 공급된 특정 전력은 원하는 온도 레벨 설정에 대응하는 온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것에 따라 변할 것임). 그러한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사용자-정의 온도 레벨 설정을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과는 다른 상이한 활성화 센서들과 연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이, 문구 "전력 레벨 설정"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정 자체가 히터에 전달되는 전력량과 직접 관련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히려, 문구 전력 레벨 설정은 보다 일반적으로 증기 발생의 사용자-인식 레벨에 영향을 주는 설정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T4)에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단계(T2)에서 개시된 사용자 활성화의 종료를 검출하고, 본 예에서는 사용자가 단계(T2)에서 누르기 시작한 버튼을 해제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것에 응답하여,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작동하고, 이에 의해 현재의 흡입/퍼프 이벤트를 종료시킨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또한 특정의 다른 조건들이 충족되면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활성화 이벤트에 대해 사전정의된 최대 증기 발생 시간에 도달하거나, 고장 상태(예를 들어, 과열)가 감지되면, 전력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프로세싱에 따르면, 사용자에게는 흡입을 위한 원하는 전력 설정에 따라 발생된 증기가 제공될 수 있다. 중요하게도, 사용자는, 2 개의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들 사이를 변경하기 위해 전가 시가렛을 재구성하거나 재프로그래밍할 필요없이, 퍼프별로(puff-by-puff basis)(그리고 원칙적으로 버튼들을 전환함으로써 단일 퍼프 내에서) 다수의, 본 경우에는 2 개이지만 다른 예들에서 2 개 초과의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사용자들의 작동의 유연성 및 편리성을 증가시킨다.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증기 제공 시스템 및 프로세싱은 상이한 구현들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버튼들(14, 16) 중 하나를 누를 때마다 전력이 증발기에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들에서, 전자 시가렛은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 상을 활발하게 흡입하고있을 때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흡입 센서, 예를 들어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 상을 활발하게 흡입하고 있다는 것을 흡입 센서가 검출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 버튼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사용자 활성화에 응답하여 단지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흡입 동안에 증기 발생을 유지하기 위해 관련 입력 버튼에 대한 압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거나, 흡입 시작 시에 또는 흡입 이전에 관련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전력 레벨을 표시할 수 있고, 다음에 흡입 이벤트 동안에 사용자가 관련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계속해서 흡입하는 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상이한 사전저장된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들과 연관된 활성화 센서들 중 하나의 활성화는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 상을 흡입하는 것과 연관시켜(즉, 그와 동시에 또는 그 근방에) 관련 버튼을 누르는 것을 검출하는 것과 사실상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증기 제공 시스템(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증기 제공 시스템(101)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증기 제공 시스템(1)의 대응하는 요소들과 기능적으로 및/또는 구조적으로 유사하고 그들로부터 이해되는 도 4에 나타낸 증기 제공 시스템(101)의 요소들은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로 식별되고 간결화를 위해 다시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01)은 활성화 센서들이 사용자 활성화 이벤트들을 검출하는 방식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과 상이하다. 특히, 도 1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에 대한 활성화 센서들은 2 개의 사용자 입력 버튼들에 기초하는 반면, 도 4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01)에 대한 활성화 센서들은 하나의 사용자 입력 버튼(14)과 흡입 센서(110)의 조합에 기초한다.
따라서, 도 4의 전자 시가렛(101)도 역시 2 개의 주요 구성요소들, 즉 재사용 가능한 부분(102) 및 교체 가능한/일회용 카트리지 부분(4)을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01)을 위한 카트리지 부분은 도 1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을 위한 카트리지 부분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의 재사용 가능한 부분(102)은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입력 버튼(14)을 갖고 흡입 센서(11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의 재사용 가능한 부분(2)과 상이하다. 흡입 센서(110)는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101)의 마우스피스 출구(50) 상을 흡입할 때를 전력 공급 제어 회로(22)가 결정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흡입 센서(110)는 임의의 종래의 흡입 감지 기술에 기초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부분(102) 내의 공기 경로(30)와 유체 연통하는 챔버 내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것이다.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 상을 흡입하는 경우, 공기 경로(30) 내의 대응하는 압력 강하는 흡입 센서(110)로부터의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 제어 회로에 의해 검출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 4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01)의 사용자는 도 1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활성화 센서들과 연관되도록 제1 및 제2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들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2 개의 전자 시가렛들 사이에 상이한 것은 사용자가 2 개의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들 중 원하는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방식이다. 도 1에 나타낸 예시적인 전자 시가렛(1)에서, 제1 활성화 센서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입력 버튼(14)을 누르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고, 제2 활성화 센서는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입력 버튼을 누르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한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낸 예시적인 전자 시가렛(101)에서, 제1 활성화 센서는 흡입 센서(11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 상을 흡입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고, 제2 활성화 센서는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 상을 흡입하는 것과 함께(즉, 그와 동시에 또는 그 근방에) 사용자가 입력 버튼(14)을 누르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01)에 대한 사용자 프로그래밍 단계에서, 제1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 레벨은 버튼(14)을 누르지 않고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을 흡입하는 것과 연관될 수 있는 한편, 제2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 레벨은 사용자가 버튼(14)을 누르는 것과 동시에 디바이스 상을 흡입하는 것과 연관될 수 있다.
사용 동안에, 도 4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01)은 단계(T3)에서, 버튼(14)을 누르지 않고서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 상을 흡입할 때 제1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에 따라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사용자가 버튼(14)을 누르는 것과 함께 전자 시가렛 상을 흡입할 때 제2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에 따라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 공급 제어 회로(22)가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도 3에 나타낸 절차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사용자는 2 개의 원하는 전력 레벨 설정들 중 보다 낮은 것에 대응하도록 제1 전력 레벨을 설정하고 2 개의 원하는 전력 레벨 설정들 중 보다 높은 것에 대응하도록 제2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에 따르면, 전자 시가렛 상의 흡입과 함께 버튼(14)의 사용은, 버튼을 누르는 것이, 사용자가 전자 시가렛 상을 흡입할 때 사용자의 원하는 전력 레벨 설정들의 보다 낮은 것으로부터 사용자의 원하는 전력 레벨 설정들의 보다 높은 것으로 증발기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사용자-정의 전력 부스트(user-defined power boost)를 사실상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해당 구현에 따라,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흡입 동안에 제2 전력 레벨 설정으로 증기의 발생을 유지하기 위해 입력 버튼에 대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요구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버튼을 해제하지만 계속해서 흡입하는 경우, 증발기가 공급되는 전력은 제1 전력 레벨 설정으로 변경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시스템은, 흡입 시작 시에 또는 흡입 시작 직전에 입력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2 전력 레벨 설정이 흡입 전체에 걸쳐 사용되게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입력 버튼이 진행중인 흡입을 통해 부분적으로 눌려지면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이 변경되는지 여부에 관해서는 구현의 문제일 것이다.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자 시가렛이 상이한 활성화 센서들의 사용자 활성화를 위한 접근법들과 연관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방식들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구현예에서, 전자 시가렛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일 버튼 및 흡입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한 번 누름(single press)으로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1 활성화 센서가 트리거되고 사용자가 사전결정된 시간 내에 여러 번의 누름(multiple presses), 예를 들어 1 초 내에 2 번의 누름으로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2 활성화 센서가 트리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을 한 번 또는 두 번 누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을 표시하고, 다음에 선택된 사용자-정의 전력 레벨 설정에 따라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트리거하기 위해 디바이스 상을 흡입하도록 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활성화 센서들은 사용자가 다수의 상이한 사전정의된 누름 시퀀스들 중 하나에서 버튼을 누른 것을 검출하는 것과 연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부 측면들에서 일부의 예시적인 특정 증기 제공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동일한 원리들이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증기 제공 시스템의 다양한 양태들이 기능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본원에 설명된 예들의 기본적인 원리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은 액체 증기 전구체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 기반 증발기를 갖는 디바이스들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다른 기술들에 기초한 증발기들, 예를 들어 압전 진동자 기반 증발기들 또는 광학 가열 증발기들과, 또한 다른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들, 예를 들어 고체 재료들, 예컨대 식물 유래 재료들, 예컨대 담배 파생 재료들, 또는 다른 형태들의 증기 전구체 재료들, 예컨대 겔(gel), 페이스트(paste) 또는 발포체(foam) 기반 증기 전구체 재료들에 기초한 디바이스들에 따라 동일한 원리들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들은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들에 의한 2 개의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들을 포함하는 구현예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2 개 초과의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들 및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들을 지원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들과 관련하여 동일한 원리들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증기 제공 시스템은 대응하는 수의 사용자 입력들/활성화 센서들에 의해 3 개, 4 개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정의 전력 설정들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주어진 전력 레벨 설정을 주어진 사용자 활성화 센서의 활성화와 연관시킬 수 있는 접근법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증기 제공 시스템은 또한 다수의 상이한 사용자 활성화 센서들 각각과 연관되는 전력 전달의 다른 양태들을 사용자가 구성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된 전력 레벨 설정이 특정 버튼(또는 다른 활성화 센서)과 연관되도록 단순히 정의하기보다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퍼프 전체에 걸쳐 전력 공급의 시변 프로파일(time-varying profile)을 정의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들(흡입 이벤트들)은 일련의 세그먼트들, 예를 들어 10 개의 1/2 초 세그먼트들(5 초의 최대 퍼프 지속시간을 제공함)로 개념적으로 분할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에서 논의된 종류의 프로그래밍 모드를 사용하여 퍼프의 세그먼트들 각각에 대해 원하는 전력 레벨 설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이한 활성화 센서들에 대해 상이한 시변 전력 공급 프로파일들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정상 사용 시에, 사용자는 퍼프 동안에 제1 전력 공급 프로파일을 전달하도록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퍼프 동안에 상이한 제2 전력 공급 프로파일을 전달하도록 다른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퍼프 프로파일은 고전력 시작부(예를 들어, 처음 2 초 동안 최대 전력)와 저전력 후부(lower-power tail)(예를 들어, 다음 2 초 동안 2/3의 최대 전력, 및 최종 2 초 동안 1/2의 최대 전력)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다른 퍼프 프로파일은 일정한 전력 전달(예를 들어, 완전한 퍼프를 통한 1/2의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1 버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제1 전력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사용 세션의 시작 시에 초기 영향을 획득하고, (제2 버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 세션의 잔여 퍼프들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전력 전달 프로파일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이한 활성화 센서들과 연관되도록 다양한 퍼프 프로파일들을 정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력 전달 프로파일의 상이한 세그먼트들 및/또는 퍼프 프로파일의 최대 지속시간(즉, 상이한 세그먼트들의 수)에 대한 시간 분해능을 구성 가능할 수 있거나, 이들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퍼프의 각 세그먼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 특정 전력 레벨들/전력 레벨 설정들을 갖기보다는, 흡입 센서를 포함하는 일부 예들에서, 증기 제공 시스템은 프로그래밍 세션 동안의 사용자 흡입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원하는 퍼프 프로파일을 학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제공 시스템은 내장 퍼프 응답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퍼프 동안 상이한 지점들에 공급되는 전력량은 사용자 흡입의 현재 강도(예를 들어, 압력 측정치들에 기초함)에 응답한다. 프로그래밍 모드에 있을 때, 이러한 내장 퍼프 응답 모드는 프로그래밍 동안 사용자의 흡입 프로파일을 대응하는 전력 공급 프로파일에 맵핑(mapping)하고, 이것을 활성화 센서들 중 하나와 연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후속하여, 정상 사용 시에, 사용자가 관련 활성화 센서를 활성화시킬 때, 대응하는 전력 공급 프로파일이 증발기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개별 버튼(또는 다른 활성화 수단)과 연관되도록 원하는 전력 전달 프로파일을 설정하기 위한 용이한 메커니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증기 제공 시스템이 현재 공기 유동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을 지속적으로 측정 및 조정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퍼프 전체에 걸쳐 원하는 전력 전달 변동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활성화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제1 활성화 센서; 제2 사용자 활성화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제2 활성화 센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정의 설정 및 제2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정의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 및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이 설명되어 있으며, 여기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제1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제2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제1 및/또는 제2 사용자 활성화 동작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활성화 센서와 연관된 특정 버튼 또는 사전정의된 시퀀스 패턴으로 공통 버튼을 누르는 것, 또는 사용자가 시스템 상을 흡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쟁점들을 해결하고 당해 기술을 진전시키기 위하여, 본 개시는,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로서 보여준다. 본 개시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에 불과하고, 여기에만 국한되고 그리고/또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청구된 발명(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그리고 교시하기 위해 단지 제시된다. 본 개시의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대한 제한들로서, 또는 청구항들의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다양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이들을 필수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이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조합들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추후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6)

  1. 증기 제공 시스템(vapour provision system)으로서,
    제1 활성화 센서(activation sensor);
    제2 활성화 센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정의 설정(user-defined setting) 및 상기 제2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정의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user programming circuitry); 및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 전구체 재료(vapour precursor material)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제어 회로(power supply control circuitry)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상기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상기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화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의 제1 버튼(button)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활성화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의 제2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화 센서는 사용자가 사전정의된 제1 누름 시퀀스(predefined pressing sequence)에 따라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의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활성화 센서는 사용자가 사전정의된 제2 누름 시퀀스에 따라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름 시퀀스 및 상기 제2 누름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사전정의된 시간 내에 사전정의된 횟수만큼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것에 대응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화 센서는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흡입에 응답하여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가 상기 제1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와 함께 검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상기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
  7.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활성화 센서 및 상기 제2 활성화 센서의 동시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설정에 따라 상기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설정은 사용자-정의 설정이고, 상기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정의 제3 전력 설정을 수신 및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
  9.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는, 상기 제1 활성화 센서 또는 상기 제2 활성화 센서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
  10.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정의 설정의 표시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정의 설정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display)를 더 포함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
  11.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활성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추가 사용자-정의 설정을 수신 및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전력 공급 제어 회로는 상기 추가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상기 증발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
  12.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증발기를 더 포함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
  13.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증기 전구체 재료를 더 포함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
  14.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활성화 센서; 제2 활성화 센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 전력 공급 제어 회로 및 전원 공급장치(power supply)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reusable part), 및 상기 증기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부분(cartridge part)으로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부분은 사용을 위해 재사용 가능한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증기 제공 시스템.
  15. 증기 제공 수단(vapour provision means)으로서,
    제1 활성화 수단;
    제2 활성화 수단;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활성화 수단과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정의 설정 및 상기 제2 활성화 수단과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정의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프로그래밍 수단; 및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증발 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활성화 수단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상기 증발 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활성화 수단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상기 증발 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제공 수단.
  16. 증기 제공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의 제1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정의 설정 및 상기 증기 제공 시스템의 제2 활성화 센서와 연관시켜 사용하기 위한 제2 사용자-정의 설정을 표시하도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후속하여, 상기 제1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흡입을 위해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활성화 센서의 사용자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정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흡입을 위해 상기 증기 전구체 재료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97033083A 2017-05-12 2018-05-09 증기 제공 시스템들 KR102339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07627.4 2017-05-12
GBGB1707627.4A GB201707627D0 (en) 2017-05-12 2017-05-12 Vapour provision systems
PCT/GB2018/051238 WO2018206940A1 (en) 2017-05-12 2018-05-09 Vapour provision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779A KR20190133779A (ko) 2019-12-03
KR102339752B1 true KR102339752B1 (ko) 2021-12-14

Family

ID=5920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083A KR102339752B1 (ko) 2017-05-12 2018-05-09 증기 제공 시스템들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200154770A1 (ko)
EP (1) EP3621466B1 (ko)
JP (1) JP6919851B2 (ko)
KR (1) KR102339752B1 (ko)
CN (1) CN110650640B (ko)
AR (1) AR111925A1 (ko)
AU (1) AU2018267248B2 (ko)
BR (1) BR112019023874A2 (ko)
CA (1) CA3062754C (ko)
ES (1) ES2902764T3 (ko)
GB (1) GB201707627D0 (ko)
PL (1) PL3621466T3 (ko)
RU (1) RU2729965C1 (ko)
UA (1) UA126577C2 (ko)
WO (1) WO2018206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05100D0 (en) *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5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GB201605101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709201D0 (en) 2017-06-09 2017-07-26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GB201721765D0 (en) * 2017-12-22 2018-02-07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s systems
GB201803648D0 (en) 2018-03-07 2018-04-25 Nicoventures Trading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CA3102258A1 (en) 2018-06-15 2019-12-19 Juul Labs, Inc. Session control for a vaporizer device
US11974603B2 (en) * 2018-10-12 2024-05-07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visible indicator
GB201903245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CN113645865A (zh) * 2019-03-27 2021-11-12 日本烟草国际股份有限公司 具有可压缩芯吸件的电子烟汽化器
KR102272404B1 (ko) * 2019-04-30 2021-07-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741411A1 (en) * 2019-05-24 2020-11-25 Nerudia Limited Aerosol delivery device
GB201909380D0 (en) * 2019-06-28 2019-08-14 Nicoventures Holdings Ltd Apparatus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317841B1 (ko) * 2019-10-11 2021-10-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증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30544B1 (ko) * 2020-04-08 2022-08-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21193950A (ja) * 2020-06-16 2021-12-27 暮らし創研株式会社 喫煙具
WO2022074543A1 (en) * 2020-10-06 2022-04-14 Philip Morris Products S.A. Power selection for aerosol-generating devices
KR102621734B1 (ko) * 2021-04-29 2024-01-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3004350A (ja) * 2021-06-25 2023-01-1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ネブライザ
JP2023004349A (ja) * 2021-06-25 2023-01-1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ネブライザ
GB202115185D0 (en) * 2021-10-22 2021-12-08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CN114468395A (zh) * 2022-03-11 2022-05-13 四川三联新材料有限公司 一种加热不燃烧烟草器具的温度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3217A1 (en) 2012-10-25 2015-02-26 Matthew Steingraber Electronic cigarette
WO2016090426A1 (en) 2014-12-08 2016-06-16 Kinchington Holdings Pty Ltd Electronic cigarette
WO2016135959A1 (ja) * 2015-02-27 2016-09-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WO2017001819A1 (en) 2015-06-29 2017-01-05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WO2017001817A1 (en) 2015-07-01 2017-01-05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1068B2 (en) * 2009-04-21 2014-10-07 Aj Marketing Llc Personal inhalation devices
EP2915443B1 (en) * 2014-03-03 2019-08-14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CN203873004U (zh) * 2014-05-07 2014-10-15 林光榕 一种双电压电子烟控制组件
US20170150756A1 (en) * 2015-11-30 2017-06-01 National Concessions Group Inc. Dual-activation for vaporizer devices
CN105955094B (zh) * 2015-12-25 2019-03-08 深圳瀚星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功率调节控制电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3217A1 (en) 2012-10-25 2015-02-26 Matthew Steingraber Electronic cigarette
WO2016090426A1 (en) 2014-12-08 2016-06-16 Kinchington Holdings Pty Ltd Electronic cigarette
WO2016135959A1 (ja) * 2015-02-27 2016-09-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WO2017001819A1 (en) 2015-06-29 2017-01-05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WO2017001817A1 (en) 2015-07-01 2017-01-05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779A (ko) 2019-12-03
UA126577C2 (uk) 2022-11-02
RU2729965C1 (ru) 2020-08-13
BR112019023874A2 (pt) 2020-06-02
CA3062754A1 (en) 2018-11-15
CN110650640A (zh) 2020-01-03
ES2902764T3 (es) 2022-03-29
AU2018267248A1 (en) 2019-11-07
EP3621466B1 (en) 2021-12-01
WO2018206940A1 (en) 2018-11-15
GB201707627D0 (en) 2017-06-28
CN110650640B (zh) 2022-09-20
US20200154770A1 (en) 2020-05-21
EP3621466A1 (en) 2020-03-18
AU2018267248B2 (en) 2021-03-04
AR111925A1 (es) 2019-09-04
PL3621466T3 (pl) 2022-02-28
JP6919851B2 (ja) 2021-08-18
JP2020519247A (ja) 2020-07-02
CA3062754C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752B1 (ko) 증기 제공 시스템들
KR102302662B1 (ko) 증기 공급 시스템
KR20200089726A (ko) 증기 제공 시스템들
JP2024016248A (ja) 蒸気供給システムおよび供給方法
KR102509427B1 (ko) 증기 제공 시스템들
US20220183381A1 (en) Vapour provision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230354910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