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660B1 -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660B1
KR102339660B1 KR1020200079451A KR20200079451A KR102339660B1 KR 102339660 B1 KR102339660 B1 KR 102339660B1 KR 1020200079451 A KR1020200079451 A KR 1020200079451A KR 20200079451 A KR20200079451 A KR 20200079451A KR 102339660 B1 KR102339660 B1 KR 102339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ide
unit
side parts
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대
Original Assignee
김기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대 filed Critical 김기대
Priority to KR102020007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이동이 용이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소독하기 위한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는 후면 및 좌우측면을 덮는 제1 내지 제3 측면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의 내벽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부; 상기 자외선 램프부를 소정 각도 기울이게 하는 틸팅(tilting)장치; 상기 제1 측면부 일측과 힌지 연결된 제1 힌지부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 상측을 덮는 상면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 하측을 받치면서 고정하되 좌우측으로 레일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바퀴부가 포함된 하면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평판의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 일측과 제2 힌지부로 연결되되 상기 제2 및 제3 측면부의 전면을 덮는 제4 측면부를 포함한 도어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부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살균을 위한 용기가 놓이는 안착부; 및 상기 자외선 램프부 및 틸팅장치의 전원을 단속하거나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소독용 살균장치{STERILIZATION APPARATUS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용이하면서 간편하고 신뢰성이 있게 살균 조사(照射)가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소독하기 위한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대형 상가, 쇼핑센터 등에서 사용되는 용기(바구니)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용기는 백화점이나 대형 상가, 쇼핑센터 등에서 구입한 물건을 담아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는 하루에도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수백 번씩 사용되고 있고, 그 청결의 유지 및 관리가 소홀한 탓으로 용기에는 엄청난 세균들이 있다.
이러한 세균은 사람의 손이 많이 닿는 곳에 가장 많이 잠복해 있고, 사람들은 대부분 이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또한, 백화점이나 공항, 쇼핑센터 등의 쇼핑 바구니(용기)는 불특정 다수의 수많은 사람이 사용하게 되므로 항상 세균의 위험에 노출된다.
따라서 물건을 담는 용기 등은 다수의 이용자에 의해 특히 손잡이 부위의 세균에 의한 오염 정도가 심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용자의 이용이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용기의 오염을 정화하기 위한 살균장치 역시 그 개발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536호, 고안의 명칭 "이동식 자외선 살균장치", 등록일자(2006.07.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하면서 간편하고 신뢰성이 있게 살균 조사(照射)가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소독하는 용기소독용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는 후면 및 좌우측면을 덮는 제1 내지 제3 측면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의 내벽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부; 상기 자외선 램프부를 소정 각도 기울이게 하는 틸팅(tilting)장치; 상기 제1 측면부 일측과 힌지 연결된 제1 힌지부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 상측을 덮는 상면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 하측을 받치면서 고정하되 좌우측으로 레일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바퀴부가 포함된 하면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평판의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 일측과 제2 힌지부로 연결되되 상기 제2 및 제3 측면부의 전면을 덮는 제4 측면부를 포함한 도어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부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살균을 위한 용기가 놓이는 안착부; 및 상기 자외선 램프부 및 틸팅장치의 전원을 단속하거나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틸팅(tilting)장치는 상기 자외선 램프부 일측에 스퍼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부 상하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의 상하 움직임으로 상기 스퍼기어부가 회전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부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제4 측면부 상부에 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를 잡고 당기면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4 측면부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슬라이드부를 당기므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살균, 예컨대 바구니의 손잡이 살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장치의 이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틸팅장치를 통하여 손잡이 부근을 고루 조사할 수 있어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치 내에 용기를 놓은 상태로 마트 등에 비치할 수 있으므로, 따로 용기 살균을 위한 공간이 필요 없고, 사용자가 용기가 살균되고 있는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의 상면부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의 도어부를 일부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어부를 투시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 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 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하면서 간편하고 신뢰성이 있게 살균 조사(照射)가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소독하기 위한 장치로, 특히, 살균 조사(照射)시 틸팅장치로 용기(바구니)를 고루 조사하게 하는 용기소독용 살균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의 상면부를 개방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의 도어부를 일부 개방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도어부를 투시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100)는 후면 및 좌우측면을 덮는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의 내벽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부(140); 상기 자외선 램프부(140)를 소정 각도 기울이게 하는 틸팅(tilting)장치(150); 상기 제1 측면부(110) 일측과 힌지 연결된 제1 힌지부(160h)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 상측을 덮는 상면부(160);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 하측을 받치면서 고정하되 좌우측으로 레일부(171)가 구비되고 하부에 바퀴부(173)가 포함된 하면부(170); 상기 레일부(171)를 따라 이동하는 평판의 슬라이드부(181) 및 상기 슬라이드부(181) 일측과 제2 힌지부(180h)로 연결되되 상기 제2 및 제3 측면부(120, 130)의 전면을 덮는 제4 측면부(183)를 포함한 도어부(180); 상기 슬라이드부(18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부(110, 120, 130, 183)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살균을 위한 용기(C)가 놓이는 안착부(190); 및 상기 자외선 램프부(140) 및 틸팅장치(150)의 전원을 단속하거나 제어하는 조작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틸팅(tilting)장치(150)는 상기 자외선 램프부(140) 일측에 스퍼기어부(151)가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부(140) 상하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153)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2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153)의 상하 움직임으로 상기 스퍼기어부(151)가 회전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부(140)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C)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180)는 상기 제4 측면부(183) 상부에 파지부(185)가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85)를 잡고 당기면 상기 제2 힌지부(180h)를 기준으로 상기 제4 측면부(183)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슬라이드부(181)를 당기므로 상기 슬라이드부(181)가 상기 레일부(171)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투시부(210)가 상기 상면부(160)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부(110, 120, 130, 18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190)는 좌우측으로 스프링부(191)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C)의 크기에 따라 압착한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용기소독용 살균장치(100)는 용기(C)를 소독하는 장치로,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 자외선 램프부(140), 틸팅(tilting)장치(150), 상면부(160), 하면부(170), 도어부(180), 안착부(190) 및 조작부(200)를 포함하고, 투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자외선과 같은 유해 광선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상하 및 전후좌우 사방을 닫아, 막혀진 공간 내부만 조사(照射)하여 안정성을 높였다.
제1 내지 제 3측면부(110, 120, 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살균장치(100)의 후면 및 좌우측면을 막아준다.
즉, 제1 측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살균장치(100)의 후면을 막아준다.
또한, 제2 측면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살균장치(100)의 좌측면을 막아준다.
또한, 제3 측면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살균장치(100)의 우측면을 막아준다.
또한,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부(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소독용 조사(照射)장치로,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의 내벽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즉, 자외선 램프부(14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제1, 제2 및 제3 측면부(110, 120, 130)의 내벽 즉, 제2 및 제3 측면판(120, 130)의 마주보는 내벽에 구비되어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 등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를 조사하여 용기(S) 등을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자외선 램프부(140)가 제2 및 제3 측면부(120, 130) 내벽에 각각 3개씩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수량 및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자외선 램프부(140)는 후술하는 틸팅장치(150)를 통하여 불빛이 소정 기울기로 상하 회동하여 내측으로 고루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외선 램프부(140)는 조작부(200)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나 조작신호를 받아 동작하고,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자외선 램프부(140)는 소정 각도 상하 회동하여 용기를 향하여 조사하므로 고루 조사와 함께 고정된 장치보다 넓게 살균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틸팅(tilting)장치(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램프부(140)를 소정 각도 상하 회동하여 기울이게 하는 장치로, 스퍼기어부(151) 및 랙기어부(15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이 제안하는 틸팅(tilting)장치(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램프부(140) 일측에 스퍼기어부(151)가 구비되고 자외선 램프부(140) 상하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153)가 구비되어 조작부(2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153)의 상하 움직임으로 스퍼기어부(151)가 회전하여 자외선 램프부(140)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용기(C)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한다.
한편, 틸팅(tilting)장치(150)는 랙기어부(153)가 상하 움직일 수 있도록 일측에 모터 등과 같은 동력장치와 연결되어 에너지를 공급하고, 조작부(200)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된다.
따라서, 틸팅(tilting)장치(150)는 조작부(200)의 제어에 따라 상하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153)가 상하로 천천히 반복해서 움직이면 랙기어부(153)에 물려있는 스퍼기어부(151)가 회동하면서 자외선 램프부(140)가 같이 회동하게 되므로, 자외선 램프부(140)의 조사(照射)범위가 넓어지고 고루 조사(照射)할 수 있게 한다.
상면부(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 등으로 둘러싸인 공간 상부를 덮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방향으로 광선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로 용기 등의 상태를 쉽게 알거나 출입을 쉽게 하는 개구(開口)장치이다.
즉, 상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부(110) 일측과 힌지 연결된 제1 힌지부(160h)로 회동하여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 상측을 덮거나 연다.
또한, 상면부(160)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면부(1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측면부(110, 120, 130) 하측을 받치면서 고정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지지부로, 좌우측으로 레일부(171)가 구비되고 하부에 바퀴부(173)가 포함된다.
특히, 레일부(17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부(170) 좌우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부(181)가 쉽게 슬라이드(slide)되도록 가이드하고, 슬라이드부(181) 하부로 롤러(미도시)가 지지하여 구름 운동에 따른 슬라이드부(181)의 슬라이드(slide) 이동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바퀴부(173)는 하면부(170) 하부에 장착되어 살균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즉, 바퀴부(173)는 하면부(170) 모서리 끝단에 각각 구비되고, 네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2개는 브레이크가 부착되어 쉽게 움직이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도어부(18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장치(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열어 안을 볼 수 있는 개폐(開閉)장치이다.
특히, 도어부(180)는 크게 슬라이드부(181) 및 제4 측면부(18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도어부(180)는 레일부(171)를 따라 이동하는 평판의 슬라이드부(181), 및 상기 슬라이드부(181) 일측과 제2 힌지부(180h)로 연결되되 제2 및 제3 측면부(120, 130)의 전면을 덮는 제4 측면부(183)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부(180)는 제4 측면부(183) 상부에 파지부(185)가 형성되어 파지부(185)를 잡고 당기면 제2 힌지부(180h)를 기준으로 제4 측면부(183)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슬라이드부(181)를 당기므로 슬라이드부(181)가 레일부(171)를 따라 이동하므로, 내부가 공개되어 내부로 용기(S)를 삽입 가능하게 한다.
안착부(1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S) 등이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소정 압력으로 밀착하는 장치가 구현된 부재로, 슬라이드부(181)에 의해 지지되고 제1 내지 제4 측면부(110, 120, 130, 183)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살균을 위한 용기(C)가 놓인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착부(190)는 좌우측으로 스프링부(191)가 형성되어 용기(C)의 크기에 따라 압력을 달리하여 잡아줌으로, 안정하게 용기(S) 등이 안착되게 한다.
또한, 안착부(190)는 미도시이 되었으나, 전후로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좌우측으로 밀착되되 앞뒤로 돌출되거나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아 준다.
조작부(200)는 도 1 및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램프부(140) 및 틸팅장치(150) 등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보내 작동시키는 장치이다.
즉, 조작부(200)는 자외선 램프부(140)에 신호를 보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단속하여 동작하게 하고, 틸팅장치(150)에 신호를 보내 랙기어부(153)를 상하로 동작하게 하므로, 자외선 램프부(140)를 소정 각도로 반복 회동하게 한다.
또한, 조작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160)에 위치할 수도 있고, 조작이 편리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투시부(2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잘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1 내지 제4 측면부(110, 120, 130, 183) 및 상면부(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투시부(210)는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한 재질, 예컨대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시부(210)를 통해 사용자가 살균되고 있는 용기(S) 등 살균장치(1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소독용 살균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살균, 예컨대 바구니의 손잡이 살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장치의 이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틸팅장치를 통하여 손잡이 부근을 고루 조사할 수 있어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치 내에 용기를 놓은 상태로 마트 등에 비치할 수 있으므로, 따로 용기 살균을 위한 공간이 필요 없고, 사용자가 용기가 살균되고 있는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살균장치
110 : 제1 측면부
120 : 제2 측면부
130 : 제3 측면부
140 : 자외선 램프부
150 : 틸팅(tilting)장치
160 : 상면부
170 : 하면부
180 : 도어부
190 : 안착부
200 : 조작부
210 : 투시부

Claims (3)

  1. 후면 및 좌우측면을 덮는 제1 내지 제3 측면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의 내벽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부;
    상기 자외선 램프부를 소정 각도 기울이게 하는 틸팅(tilting)장치;
    상기 제1 측면부 일측과 힌지 연결된 제1 힌지부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 상측을 덮는 상면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 하측을 받치면서 고정하되 좌우측으로 레일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바퀴부가 포함된 하면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평판의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 일측과 제2 힌지부로 연결되되 상기 제2 및 제3 측면부의 전면을 덮는 제4 측면부를 포함한 도어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부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살균을 위한 용기가 놓이는 안착부; 및
    상기 자외선 램프부 및 틸팅장치의 전원을 단속하거나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tilting)장치는 상기 자외선 램프부 일측에 스퍼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부 상하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의 상하 움직임으로 상기 스퍼기어부가 회전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부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제4 측면부 상부에 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를 잡고 당기면 상기 제2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4 측면부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슬라이드부를 당기므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투시부가 상기 상면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좌우측으로 스프링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크기에 따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KR1020200079451A 2020-06-29 2020-06-29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KR10233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51A KR102339660B1 (ko) 2020-06-29 2020-06-29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51A KR102339660B1 (ko) 2020-06-29 2020-06-29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660B1 true KR102339660B1 (ko) 2021-12-15

Family

ID=7886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451A KR102339660B1 (ko) 2020-06-29 2020-06-29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4434A (zh) * 2022-10-11 2023-01-03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一种供应室物品消毒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71Y1 (ko) * 2004-04-27 2004-07-30 유보상 자외선 컵소독기의 도어 설치구조
KR200422536Y1 (ko) 2006-04-10 2006-07-31 신정호 이동식자외선살균장치
KR20100100225A (ko) * 2009-03-05 2010-09-15 박석호 탈부착 가능한 자외선램프 모듈을 구비한 살균 장치
KR20110005189U (ko) * 2009-11-19 2011-05-25 김정현 개방형 바구니 살균 장치
KR101148973B1 (ko) * 2011-12-16 2012-05-23 김종범 방독마스크용 면체 소독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771Y1 (ko) * 2004-04-27 2004-07-30 유보상 자외선 컵소독기의 도어 설치구조
KR200422536Y1 (ko) 2006-04-10 2006-07-31 신정호 이동식자외선살균장치
KR20100100225A (ko) * 2009-03-05 2010-09-15 박석호 탈부착 가능한 자외선램프 모듈을 구비한 살균 장치
KR20110005189U (ko) * 2009-11-19 2011-05-25 김정현 개방형 바구니 살균 장치
KR101148973B1 (ko) * 2011-12-16 2012-05-23 김종범 방독마스크용 면체 소독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4434A (zh) * 2022-10-11 2023-01-03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一种供应室物品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5940B2 (en) Switch sanitizing device
JP4669554B2 (ja) デスクトップ型書物消毒器
KR200488200Y1 (ko) 소독박스
KR20170135024A (ko) 침대 살균 시스템
KR102339660B1 (ko) 용기소독용 살균장치
US20050212239A1 (en) UVC transport cart
KR20190109938A (ko) 전기 소독기
KR101870817B1 (ko) 카세트 포장소독장치
JP2011524189A (ja) 紫外線および/またはオゾンを生成する新規な殺菌装置
KR20200079358A (ko) 쇼핑카트 uvc 살균 소독장치
JP6074487B1 (ja) 陰イオン発散部を用いた計数器収納型紙幣消毒機
KR200436595Y1 (ko) 나이프 살균기
KR101376200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살균 디스펜서
DK151455B (da) Fremgangsmaade og apparat til transport af sterilisationsenheder fra sterilisator til operationsstue
CN112656967A (zh) 便携式智能消毒盒
KR20130000919U (ko) 살균함
KR20220040787A (ko) 차량 내부의 물건 소독시스템
CN212313765U (zh) 一种餐配用杀菌消毒的货箱
JP3228722U (ja) 紫外線殺菌装置
KR101628700B1 (ko) 카트 살균장치 및 살균방법
US20210393835A1 (en) Sanitization device for groceries or other objects
JP2022043728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の殺菌装置
KR20180110739A (ko) 광원 탈부착이 가능한 젖병 살균기
JP7029357B2 (ja) 滅菌装置
KR20220118809A (ko)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