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393B1 - Apparatus for Mid-Air Cultivation of Root Pla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id-Air Cultivation of Root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393B1
KR102338393B1 KR1020190122774A KR20190122774A KR102338393B1 KR 102338393 B1 KR102338393 B1 KR 102338393B1 KR 1020190122774 A KR1020190122774 A KR 1020190122774A KR 20190122774 A KR20190122774 A KR 20190122774A KR 102338393 B1 KR102338393 B1 KR 102338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ltivation
support pad
space
pa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0493A (en
Inventor
박민
고영학
Original Assignee
하이테크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테크팜(주) filed Critical 하이테크팜(주)
Priority to KR102019012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393B1/en
Publication of KR2021004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의해 양 단이 지지되어 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받침패드부, 제2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레임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패드부는 비닐류 등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서 'U' 자 형태의 재배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구마, 감자 등 일정 깊이의 흙 속에서 재배하는 각종 뿌리식물을 땅에서 이격된 공중의 공간에서 재배할 수 있고, 그 아래의 지면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시설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고구마와 감자 등 뿌리식물의 수확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for root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are supported by a first frame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 second fram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frame, and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for cultivation It comprises a support pad portion forming a space, and a frame lifting portion for moving the second frame in the up/down direction. The support pad part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vinyl, and forms a 'U'-shaped cultiv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root plants grown in soil at a certain depth, such as sweet potatoes and potatoes, can be cultivated in an air space separated from the ground, and the ground below it can be freely used, so that the space of the facility is more efficient can be used as In particular, the harvest of root plants such as sweet potatoes and potatoes can be made very easily.

Description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 Apparatus for Mid-Air Cultivation of Root Plant }Apparatus for Mid-Air Cultivation of Root Plant }

본 발명은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구마, 감자 등 각종 뿌리식물을 땅에서 이격된 상태로 공중에서 재배하고, 그 관리와 수확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ulturing root plants in the air, and more particularly, it allows various root plants such as sweet potatoes and potatoes to be grown in the ai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the management and harvesting thereof can also be conveniently performed.

일반적으로 실내 경작은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 내부의 지면에서 이루어지므로, 재배 가능 면적은 시설의 내부 면적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며,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In general, since indoor cultivation is performed on the ground inside a facility such as a plastic house, the cultivateable area is absolutely dependent on the inner area of the facility, and the indoor space cannot be efficiently utilized.

또한, 허리를 굽히거나 앉자 작업을 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작업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면에서 연작을 하면 지력이 약해져 작물의 결실이 나빠지므로, 원하는 작물을 매년 집중적으로 생산할 수 없다.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work while bending the back or sitting, it is inconvenient and the work efficiency is low. In addition, continuous cultivation on the ground weakens the fertility of the crops and deteriorates crop yields, making it impossible to intensively produce desired crops every year.

이와 같이 지면에서 경작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나의 예로서, 등록특허 10-1845132호는 식물을 공중에 고정시켜 재배하는 식물 공중 재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As such, various methods are being studied to solve the problems that occur during cultivation on the ground. As an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845132 discloses an aeri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by fixing them in the air.

상기 등록특허 10-1845132호의 식물 공중 재배장치는, 하단의 중앙부에 원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그 상면에 원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결된 구조로 상기 관통홀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삽입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슬릿으로 상기 식물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폴리에틸렌을 발포하여 형성한 발포지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지부, 및 상기 배지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지부에 양액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액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lant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845132 includes a frame part including a bottom frame having a circular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and a vertical fram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rner of the bottom frame, inside the frame part It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circular through-holes are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slits are formed radially in the through-hole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through-hole, and the plan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and fixed and at least one medium portion composed of foamed paper formed by foaming polyethylene, and at least one or more nutrient solution supply portion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dium portion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medium portion.

이와 같은 식물 공중 재배장치에 의하면, 삽입슬릿을 이용하여 식물을 공중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단위면적당 고밀도의 식물 재배가 가능하여 그에 따른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삽입슬릿에 고정된 식물을 관통홀을 통해 수확함으로써, 식물에게 손상이 적고, 수확이 용이하다.According to such an aeri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plants can be easily fixed in the air using an insertion slit, so that high-density plant cultivation per unit area is possible, thereby saving labor and time. In addition, by harvesting the plant fixed to the insertion slit through the through hole, there is little damage to the plant, and harvesting is easy.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10-1845132호의 식물 공중 재배장치는, 고구마와 감자같은 뿌리식물 재배에는 적합하지 않고, 바닥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 등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이 지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해당 지면과 그 상방의 공간이 모두 그 골격에 점유되어, 지면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However, the aeri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of Patent No. 10-1845132 is not suitable for cultivation of root plants such as sweet potatoes and potatoes, and since the frame forming the skeleton such as 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supported by the ground, the ground and the upper side thereof All of the space in the frame is occupied by the skeleton, so the ground cannot be used freely.

무엇보다 고구마와 감자 등 일정 깊이의 토양 속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수확 과정을 고려할 때, 상기 등록특허 10-1845132호의 식물 공중 재배장치는 고구마와 감자 등의 재배에는 사용되기 어렵다.Above all, considering the harvesting process of crops grown in soil at a certain depth, such as sweet potatoes and potatoes, the plant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845132 is difficult to be used for cultivation of sweet potatoes and potatoe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45132호(공개일: 2017.01.1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45132 (published on: 2017.01.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구마, 감자 등 각종 뿌리식물을 땅에서 이격된 공중에서 재배하면서도 해당 지면을 자유롭게 이용하고, 그 관리와 수확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freely use the ground while cultivating various root plants such as sweet potatoes and potatoes in the air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to conveniently manage and harvest th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ot plant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의해 양 단이 지지되고, 뿌리식물을 재배할 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받침패드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레임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oot plant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 second fram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frame; a support pad part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forming a cultivation space for cultivating root plants; and a frame lifting unit for moving the second frame in an up/down direction.

상기 받침패드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펴지거나 접힐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d part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up/down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상기 받침패드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서 'U' 자 형태의 재배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pad part may form a 'U'-shaped cultiv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의해 양 단이 지지되는 보강패드부가, 상기 받침패드부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A reinforcing pad portion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ad por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에 따른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는 고구마, 감자 등 일정 깊이의 흙 속에서 재배하는 각종 뿌리식물을 땅에서 이격된 공중의 공간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apparatus for aerial cultivation of root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various root plants grown in soil at a certain depth, such as sweet potatoes and potatoes, to be cultivated in an air space separated from the ground.

또한, 그 아래의 지면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시설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ound below it can be freely used, the space of the facility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필요에 따라 한쪽 프레임을 하강시켜 재배공간에 있는 내용물을 쏟아 낼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고랑을 따라가며 일일이 흙을 퍼낼 필요가 없어, 고구마와 감자 등 뿌리식물의 수확도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If necessary, one frame can be lowered to pour out the contents in the cultivation space, so there is no need to dig up the soil one by one along the furrows as in the prior art, and the harvesting of root plants such as sweet potatoes and potatoes can be made very easi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에서 뿌리식물이 재배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예,
도 3은 제2 프레임이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는 예,
도 4는 보강패드부가 더 포함되는 실시예,
도 5는 자동화된 재배 공정에 적용하는 예이다.
1 is an embodiment of a root plant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root plants are grown in the root plant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rame is lowered;
4 is an embodiment in which a reinforcing pad part is further included;
5 is an example applied to an automated cultivation process.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1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111), 제1 프레임(11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프레임(112),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에 의해 양 단이 지지되는 받침패드부(120), 및 제2 프레임(1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레임 승강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 the aerial roo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111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second frame tha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frame 111 . (112), a support pad portion 120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nd a frame lifting unit for moving the second frame 112 in the up/down direction ( 130) is included.

제1 프레임(111)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공중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111 may be installed at various heights as needed, and may be installed in the air in various ways.

예를 들자면, 제1 프레임(111)은 재배시설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에 고정될 수도 있고, 건물이나 비닐하우스의 내부 천정을 이용하여 일정 높이에 매달려 있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rame 111 may be fixed to a wall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cultivation facility, or may be fixed to be hung at a predetermined height using the inner ceiling of a building or a plastic house.

제2 프레임(112)은 어느 높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프레임 승강부(13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frame 112 is not fixed at a certain height, but may move in an up/down direction through the frame lifting unit 130 as necessary.

받침패드부(120)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의 소재, 길이, 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material, length, shape, etc.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supporting the support pad part 120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needed.

하나의 예로서,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은 중공의 금속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n example,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metal pi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받침패드부(120)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제2 프레임(11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펴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ad part 1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unfolded or folded as the second frame 112 moves in an up/down direction.

구체적인 예로서 받침패드부(120)는 비닐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support pad part 120 may be configured using vinyl.

다만, 받침패드부(120)는 흙과 수분, 흙 속에서 재배되는 작물 등 뿌리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모든 요소들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어야 하므로, 그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support pad part 120 must be able to bear the weight of all elements necessary for the cultivation of root plants, such as soil, moisture, and crops grown in the soil,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the load.

받침패드부(120)가 제2 프레임(112)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펴지거나 접힐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면,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의 사이에 그 단면이 'U' 자 형태인 재배공간(50)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upport pad part 12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up/down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112 , the cross-section between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 This 'U' shaped cultivation space 50 may be formed.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의 간격이 d1 cm이고, 받침패드부(120)의 폭이 d2 cm이며, 'd2 > d1'이라면, 'd2-d1' 정도의 여분으로 인해 받침패드부(120)가 아래로 처지므로, 도 2에 보인 예와 같이 'U' 자 형태의 재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is d1 cm, the width of the support pad part 120 is d2 cm, and 'd2 > d1', about 'd2-d1' Since the support pad part 120 sags downward due to the excess of , a 'U'-shaped cultivation space can be form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

도 2는 그 단면이 'U' 자 형태를 이루는 재배공간에 담긴 흙(31)에서 재배되는 고구마(33)와 그 잎(35)을 보인 것이다.2 shows the sweet potato 33 and the leaves 35 grown in the soil 31 contained in the cultivation space whose cross section forms a 'U' shape.

재배공간의 깊이와 넓이 등은 작물의 특성, 재배공간을 형성하는 각 요소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 depth and width of the cultivation space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rop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forming the cultivation space.

받침패드부(120)가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에 결합하는 구조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pad part 120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즉, 받침패드부(120)는 그 양단이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받침패드부(120)의 양 단을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support pad part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fixedly attach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pad part 120 are attach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받침패드부(120)의 내구성이 각 프레임(111, 112)의 내구성보다 약할 수 있으므로, 받침패드부(120)를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받침패드부(120)의 교환이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durability of the support pad part 120 may be weaker than the durability of each frame (111, 112), if the support pad part 120 is detachably configur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placement of the support pad part 120 is easy.

프레임 승강부(130)는 제2 프레임(1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ame lifting unit 13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to move the second frame 112 in an up/down direction.

공간 활용을 고려하면, 프레임 승강부(130)는 시설의 천정 부근에 배치되어 제2 프레임(1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Considering space utilization, the frame lifting unit 130 may be disposed near the ceiling of the facility and configured to move the second frame 112 in an up/down direction.

제2 프레임(1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의 일 예로서, 제2 프레임(112)에 필요한 개수의 지지선(131)을 연결하고, 프레임 승강부(130)가 모터 등을 이용하여 지지선(131)을 감거나 풀어 제2 프레임(11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method of moving the second frame 112 in the up/down direction, a necessary number of support lines 131 ar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112 , and the frame lifting unit 130 uses a motor or the like.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an up/down direction by winding or unwinding the support line 131 .

이때, 지지선(131)을 감으면 제2 프레임(112)이 상승하고, 지지선(131)을 풀면 중력의 힘으로 제2 프레임(112)은 자연스럽게 하강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upport line 131 is wound, the second frame 112 rises, and when the support line 131 is loosened, the second frame 112 can naturally descend by the force of gravity.

도 3은 제2 프레임(112)을 아래로 내린 예를 보인 것으로서, 편의상 지지선(131)은 생략되어 있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frame 112 is lowered, the support line 131 is omitted for convenience.

제2 프레임(112)이 상승할 수 있는 범위와 하강할 수 있는 범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A range in which the second frame 112 can rise and a range in which it can descend may be variously set as needed.

구체적인 예로서, 제2 프레임(112)은 제1 프레임(111)과 함께 재배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11)과 같은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재배된 뿌리식물을 수확할 때는 재배공간에 있는 것들을 바닥에 쏟기 위하여, 중력에 의해 내려갈 수 있는 한도까지 하강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second frame 112 may rise to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frame 111 to form a cultivation space together with the first frame 111 . In addition, when harvesting the cultivated root plants, in order to pour the things in the cultivation space on the floor, it can descend to the limit that can be lowered by gravity.

이러한 제2 프레임(112)의 상승/하강은 관리자의 지시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 승강부(130)는 작업자가 제2 프레임(112)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33)와 연동할 수 있으며, 입력부(133)로부터 입력되는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제2 프레임(11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aising/lowering of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by an administrator's instruction. To this end, the frame lifting unit 130 may cooperate with the input unit 133 through which the operator can input various command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second frame 112 , and respond to the manager's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unit 133 . Accordingly, it may be configured to raise or lower the second frame 112 .

한편, 뿌리식물은 흙 속에 묻힌 상태로 재배되므로, 재배를 위해 필요한 것들의 전체 무게가 적지 않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oot plant is grown in a state buried in the soil, the total weight of things necessary for cultivation is not small.

그러므로, 받침패드부(120)를 비닐류 등의 유연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할 때, 시간이 지나면서 받침패드부(120)가 하중에 의해 아래로 늘어나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upport pad part 120 is implemented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vinyl, a phenomenon in which the support pad part 120 is stretched downward by a load and sags over time may occur.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100)는 도 4에 보인 예와 같이,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의 사이에 받침패드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패드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the root plant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100 is reinforced to support the support pad part 120 between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ad unit 150 .

이때, 보강패드부(150)는 받침패드부(120)의 아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ad unit 150 may be provid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pad unit 1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즉, 받침패드부(120)에 하중이 계속 인가되어 점점 처지다가 보강패드부(150)가 위치한 곳까지 이르면, 2중으로 그 무게를 감당하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oad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upport pad part 120 and gradually sags until it reaches the position where the reinforcement pad part 150 is located, the weight is doubled,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more stably.

받침패드부(120)와 보강패드부(150)의 소재는 같게 구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 pad part 120 and the reinforcing pad part 15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if necessary.

재배공간(50)의 양쪽 말단 부분, 즉 받침패드부(120)의 길이 방향의 양쪽 끝에는 재배공간(50)에 담긴 흙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덮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soil contained in the cultivation space 50 from falling, a co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ultivation space 50 , that is,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d part 120 .

이러한 덮개(미도시)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Such a cover (not shown)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or metal, and may be detachably configur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

도 5를 참조하자면, 받침패드부(120)에 의해 형성된 재배공간에는 수분 센서(161)와 산도(pH) 센서(162) 등 재배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재배공간에 채워진 흙의 상부에는 물과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관(163)이 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 various types of sensors for measur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such as a moisture sensor 161 and an acidity (pH) sensor 162, may be provided in the cultivation space formed by the support pad part 120, A pipe 163 capable of supplying water and nutrients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soil filled in the space.

그리고, 각종 센서(161, 162)를 통해 감지되는 상태에 따라 관(163)을 통해 적절한 물과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ppropriate water and nutrients may be supplied through the tube 163 according to the state detected by the various sensors 161 and 162 .

이와 같이,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100)를 이용하면 자동화된 재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In this way, by using the root plant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100, an automated cultivation system can be efficiently construc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eatures or field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50: 재배공간
100: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
111: 제1 프레임
112: 제2 프레임
120: 받침패드부
130: 프레임 승강부
131: 지지선
133: 입력부
150: 보강패드부
50: cultivation space
100: root plant aerial cultivation device
111: first frame
112: second frame
120: support pad part
130: frame lift
131: support line
133: input unit
150: reinforcing pad part

Claims (3)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의해 양 단이 지지되고, 뿌리식물을 재배할 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받침패드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레임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패드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펴지거나 접힐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서 'U' 자 형태의 재배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
a first frame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 second fram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frame;
a support pad part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forming a cultivation space for cultivating root plants; and
and a frame lifting unit for moving the second frame in an up/down direction,
The support pad par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up/down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and forming a 'U'-shaped cultiv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haracterized in, root plant aerial cultivation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의해 양 단이 지지되는 보강패드부가, 상기 받침패드부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식물 공중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einforcing pad portion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provid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ad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oot plant aerial cultivation apparatus.
KR1020190122774A 2019-10-04 2019-10-04 Apparatus for Mid-Air Cultivation of Root Plant KR102338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774A KR102338393B1 (en) 2019-10-04 2019-10-04 Apparatus for Mid-Air Cultivation of Root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774A KR102338393B1 (en) 2019-10-04 2019-10-04 Apparatus for Mid-Air Cultivation of Root 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493A KR20210040493A (en) 2021-04-14
KR102338393B1 true KR102338393B1 (en) 2021-12-10

Family

ID=7547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774A KR102338393B1 (en) 2019-10-04 2019-10-04 Apparatus for Mid-Air Cultivation of Root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3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465A (en) 2021-12-24 2023-07-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더위드 Grower for root pla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16B1 (en) * 2008-04-18 2010-09-17 공성관 Blind having avility for floriculture function
KR101806264B1 (en) * 2016-10-28 2018-01-18 박정미 A Vegetable Growing High-Be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132B1 (en) 2015-07-06 2018-04-04 최덕원 Apparatus for aeroponic cultivation of cro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16B1 (en) * 2008-04-18 2010-09-17 공성관 Blind having avility for floriculture function
KR101806264B1 (en) * 2016-10-28 2018-01-18 박정미 A Vegetable Growing High-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465A (en) 2021-12-24 2023-07-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더위드 Grower for root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493A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9744B2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and plant cultivation facility
KR102514269B1 (en)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using a carrier with a removable side support structure arranged thereon
US3118249A (en) Mushroom tray
JP4935722B2 (en) Strawberry cultivated bed and strawberry cultivated method using the same
KR102069138B1 (en) Strawberry high cultivation equipment that can move up and down in both directions
EP3445157B1 (en) Extendable plant tray assembly
KR102338393B1 (en) Apparatus for Mid-Air Cultivation of Root Plant
KR20090088668A (en) Apparatus for growing sprouts using trolley conveyor
KR100969563B1 (en) installation settlement establishment an height agriculture for shade booth
JP3919614B2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JP3001511B2 (en) Cultivation equipment
AU2005200950A1 (en) Watering device for watering plant containers and watering arrangement formed therewith
GB2177889A (en) Plant support
WO2013041874A1 (en) Improved substrate growing system
US11297779B1 (en) True living organic soil bed system
JP2002272274A (en) Plant support material for greening wall surface and method for greening wall surface
JP2003210047A (en) Cultivation tank and framing for the same
KR102511318B1 (en) Hydroponics apparatus
US8881452B2 (en) Tomato tower with adjustable support trays
CN207201554U (en) A kind of mobilizable Phellinus cultivating stand
EP3714680B1 (en) Installation for a hanging cultivation system
KR101815572B1 (en) The Wire-winding tools
KR20210105157A (en) Device for Cultivating Root Plant
KR0129738Y1 (en) Aerial raising seedling device for crop
US20220354064A1 (en) True living organic soil b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