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772B1 -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 Google Patents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772B1
KR102337772B1 KR1020210126552A KR20210126552A KR102337772B1 KR 102337772 B1 KR102337772 B1 KR 102337772B1 KR 1020210126552 A KR1020210126552 A KR 1020210126552A KR 20210126552 A KR20210126552 A KR 20210126552A KR 102337772 B1 KR102337772 B1 KR 10233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ower
winch
pair
wire
portab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949A (ko
Inventor
정재훈
유희영
정재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2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7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41Electr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는, 송전철탑의 일정 높이에 체결되어 휴대용 전동드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윈치부와, 상기 송전철탑의 일정 높이에 대하여 상기 윈치부의 하부에 체결되는 와이어 클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부피가 작아서 송전철탑 높은 곳까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휴대용 전동드릴을 연결하여 자재 및 장비 등의 중량물을 안전하게 인상 및 인하시킬 수 있고, 윈치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A ELECTRIC POWER WINCH ELECTRIC POWER WINCH FOR FOR PORTABLE OF STEEL TOWER}
본 발명은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철탑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한 자재 및 장비 등의 중량물을 안전하게 인상 및 인하하는데 사용되는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치는 원통형의 드럼에 와이어 로프를 감아, 도르래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기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작은 것은 드럼을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식이지만 큰 것은 전원을 사용해서 회전시키는 전동식이고, 드럼에는 클러치나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어 원동기에서 동력을 전달하거나 끊을 수가 있다.
그러나 전원이 필요없는 수동식 윈치는 휴대하여 송전철탑에 설치하기는 쉽지만 자재 및 장비 등의 중량물을 송전철탑의 높은 곳까지 인상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철탑 고공에서 조작핸들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인상 및 인하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체력 고갈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원이 필요한 전동식(모터식) 윈치는 30㎏ 이상으로 크고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가 송전철탑의 높은 곳까지 휴대 및 이동이 불편하고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629호(2002.03.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9836호(2011.04.11.)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부피가 작아서 송전철탑 높은 곳까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휴대용 전동드릴을 연결하여 자재 및 장비 등의 중량물을 안전하게 인상 및 인하시킬 수 있고, 윈치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는, 송전철탑의 일정 높이에 체결되어 휴대용 전동드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윈치부와, 상기 송전철탑의 일정 높이에 대하여 상기 윈치부의 하부에 체결되는 와이어 클램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윈치부는, 상기 송전철탑의 일정 높이에 복수의 철밴드에 의해 상하부가 각각 체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드럼축을 매개로 지지되어 와이어를 권양하도록 내부에 유성기어수단이 설치된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클램프부는, 상기 송전철탑의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좌측 및 우측면 중앙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봉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봉의 끝단에 관통되게 연결되면서 상기 송전철탑의 좌우 끝단에 각각 끼워져 걸리도록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클램프와, 상기 밀착판의 정면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어 후측으로 통과하는 상기 와이어를 밀착판에 밀착시켜 와이어를 고정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드럼축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면서 상기 유성기어수단의 선기어와 연결되고 일측단이 상기 휴대용 전동드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휴대용 전동드릴의 드릴비트와 탈부착되는 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와이어 클램프부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봉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수나사면과,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의 일측으로 관통된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봉의 끝단측 수나사면에 각각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너트와,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의 끼움홈을 향하도록 각각 체결되면서 끼움홈에 끼워진 송전철탑의 좌우 끝단과 각각 압착되는 좌우 한 쌍의 볼트와, 상기 회전판의 정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클램프는 상기 연결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밀착판으로부터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연결봉 중 좌측은 상기 밀착판으로부터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회전판은 상기 밀착판과 회전판의 사이에 끼워진 와이어가 충분히 맞물려 압착되도록 와이어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손잡이는 상기 회전판의 정면에 대하여 회전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중심봉의 둘레에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는 윈치부와 와이어 클램프부를 따로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서 송전철탑의 높은 곳까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늘 휴대하는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윈치부의 드럼을 회전시켜 자재 및 장비 등의 중량물을 인상 및 인하시킬 수 있고, 윈치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가 송전철탑에 설치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치부의 드럼측 유성기어수단을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클램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클램프부가 송전철탑에 설치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는,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에 체결되어 휴대용 전동드릴(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윈치부(30)와, 상기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에 대하여 상기 윈치부(30)의 하부에 체결되는 와이어 클램프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윈치부(30)는, 상기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에 복수의 철밴드(12)에 의해 상하부가 각각 체결되는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의 중앙에 드럼축(34)을 매개로 지지되어 와이어(50)를 권양하도록 내부에 유성기어수단(36)이 설치된 드럼(3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드럼축(34)은 상기 하우징(32)의 좌측 및 우측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유성기어수단(36)의 선기어와 연결되고 일측단이 상기 휴대용 전동드릴(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휴대용 전동드릴(20)의 드릴비트와 탈부착되는 연결홈(3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클램프부(40)는, 기역(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밀착판(41)과, 상기 밀착판(41)의 좌측 및 우측면 중앙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끝단에 수나사면(42a)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연결봉(42)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봉(42)의 끝단에 관통되게 연결되면서 상기 송전철탑(10)의 좌우 끝단에 각각 끼워져 걸리도록 끼움홈(43a)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와,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의 일측으로 관통된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봉(42)의 끝단측 수나사면(42a)에 각각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너트(44)와,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의 끼움홈(43a)을 향하도록 각각 체결되면서 끼움홈(43a)에 끼워진 송전철탑(10)의 좌우 끝단과 각각 압착되는 좌우 한 쌍의 볼트(45)와, 상기 밀착판(41)의 정면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41a)에 체결되어 후측으로 통과하는 상기 와이어(50)를 밀착판(41)에 밀착시켜 와이어(50)를 고정하도록 나사축(46a)이 형성된 회전판(46)과, 상기 회전판(46)의 정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되는 손잡이(4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는 상기 연결봉(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밀착판(41)으로부터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봉(42) 중 좌측은 상기 밀착판(41)으로부터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에 형성된 끼움홈(43a)은 상기 송전철탑(10)의 끝단이 삽입된 후 끼움홈(43a)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볼트(45)의 끝단이 송전철탑(10)에 강하게 압착되어 송전철탑(10)과 클램프(43)을 고정하도록 송전철탑(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너트(44) 및 볼트(45)는 풀림방지를 위해 와셔형 너트 및 볼트 구조로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46)은 상기 밀착판(41)의 정면에 조여질 때 그 사이에 끼워진 와이어(50)가 충분히 맞물려 압착되도록 와이어(5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47)는 상기 회전판(46)의 정면에 대하여 회전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중심봉의 둘레에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송전철탑(10)의 설치 높이까지 윈치부(30)와 와이어 클램프부(40)를 이동시킨 후, 송전철탑(10)의 수직측 ㄴ자 형강 단면에 윈치부(30)의 하우징(32)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하우징(32)의 상하단을 준비한 철밴드(12)의 체결에 의해 각각 묶어준다.
그리고 윈치부(30)의 하부에 인접하도록 와이어 클램프부(40)의 밀착판(41)을 위치시킨 후,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에 형성된 끼움홈(43a)을 송전철탑(10)의 수직측 ㄴ자 형강 단면 끝단에 각각 걸어준 다음,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가 송전철탑(10)으로부터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볼트(45)를 각각 조여준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의 일측을 각각 관통한 좌우 한 쌍의 연결봉(42)의 끝단측 수나사면(42a)에 너트(44)를 각각 체결하여 줌으로써 밀착판(41)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밀착판(41)의 정면 중앙에 나사 결합된 회전판(46)을 풀어서 밀착판(41)과 회전판(46) 사이에 와이어(5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준다.
이런 상태에서 윈치부(30)의 드럼축(34)에 형성된 연결홈(34a)에 휴대용 전동드릴(20)의 드릴비트를 대응되게 끼운 후, 휴대용 전동드릴(20)을 동작시키면, 드럼축(34)은 휴대용 전동드릴(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유성기어수단(36)에 의해 드럼(38)을 감속 회전시키게 되고, 드럼(38)은 회전될 때 그 외주면에 연결된 와이어(50)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지면에 준비된 자재 및 장비 등의 중량물을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까지 인상시키거나 송전철탑(10)에서 교체된 자재 등의 중량물을 지면으로 인하시켜 주게 된다.
이때, 드럼(38)에 감겨진 와이어(50)가 휴대용 전동드릴(20)의 미작동 시 풀리지 않도록 밀착판(41)과 회전판(46) 사이에 와이어(50)를 끼운 후, 손잡이(47)를 이용하여 회전판(46)을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밀착판(41)과 회전판(46) 사이에 끼인 와이어(50)가 강한 밀착력에 의해 인상 또는 인하되지 않도록 잡아준다. 즉 회전판(46)은 와이어(50)가 감기거나 풀린 후 정지하도록 클러치와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와이어(50)에 묶인 자재 및 장비 등의 중량물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로 인상 및 인하된 자재 및 장비 등의 중량물을 보다 안전하게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는 윈치부(30)와 와이어 클램프부(40)를 따로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서 송전철탑(10)의 높은 곳까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늘 휴대하는 전동드릴(20)을 이용하여 윈치부(30)의 드럼(38)을 회전시켜 자재 및 장비 등의 중량물을 안전하게 인상 및 인하시킬 수 있고, 윈치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송전철탑 12 : 철밴드
20 : 휴대용 전동드릴 30 : 윈치부
32 : 하우징 34 : 드럼축
34a : 연결홈 36 : 유성기어수단
38 : 드럼 40 : 와이어 클램프부
41 : 밀착판 41a : 나사홀
42 : 연결봉 42a : 수나사면
43 : 클램프 43a : 끼움홈
44 : 너트 45 : 볼트
46 : 회전판 46a : 나사축
47 : 손잡이

Claims (1)

  1.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에 체결되어 휴대용 전동드릴(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윈치부(30)와,
    상기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에 대하여 상기 윈치부(30)의 하부에 체결되는 와이어 클램프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윈치부(30)는,
    상기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에 복수의 철밴드(12)에 의해 상하부가 각각 체결되는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의 중앙에 드럼축(34)을 매개로 지지되어 와이어(50)를 권양하는 드럼(38)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클램프부(40)는,
    상기 송전철탑(10)의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밀착판(41)과,
    상기 밀착판(41)의 좌측 및 우측면 중앙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봉(42)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봉(42)의 끝단에 관통되게 연결되면서 상기 송전철탑(10)의 좌우 끝단에 각각 끼워져 걸리도록 끼움홈(43a)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와,
    상기 밀착판(41)의 정면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41a)에 체결되어 후측으로 통과하는 상기 와이어(50)를 밀착판(41)에 밀착시켜 상기 와이어(50)를 고정하는 회전판(46)을 포함하되,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43)는 상기 연결봉(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밀착판(41)으로부터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KR1020210126552A 2019-10-04 2021-09-24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KR10233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552A KR102337772B1 (ko) 2019-10-04 2021-09-24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134A KR102311377B1 (ko) 2019-10-04 2019-10-04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KR1020210126552A KR102337772B1 (ko) 2019-10-04 2021-09-24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134A Division KR102311377B1 (ko) 2019-10-04 2019-10-04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949A KR20210120949A (ko) 2021-10-07
KR102337772B1 true KR102337772B1 (ko) 2021-12-10

Family

ID=754774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134A KR102311377B1 (ko) 2019-10-04 2019-10-04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KR1020210126552A KR102337772B1 (ko) 2019-10-04 2021-09-24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134A KR102311377B1 (ko) 2019-10-04 2019-10-04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13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50Y1 (ko) 2001-12-24 2002-03-22 한전기공주식회사 가공지선 분리용 고정블록
KR200297703Y1 (ko) 2002-08-10 2002-12-12 김종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480634Y1 (ko) 2015-04-14 2016-06-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긴급복구용 윈치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484U (ja) * 1991-12-27 1993-07-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ウインチ
JPH0682091U (ja) * 1993-05-10 1994-11-25 多摩川精機株式会社 牽引機
KR200269629Y1 (ko) 2001-12-19 2002-03-25 한국전력공사 핸드윈치용 설치와이어의 권취 장치
KR100788953B1 (ko) * 2006-05-25 2007-12-28 조동호 선박 인양 정착 유도장치
KR101029836B1 (ko) 2009-04-13 2011-04-15 이윤성 전동 윈치 시스템
KR101903021B1 (ko) * 2016-11-28 2018-10-01 대한민국(국민안전처 동해해양경비안전본부장) 휴대용 호이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50Y1 (ko) 2001-12-24 2002-03-22 한전기공주식회사 가공지선 분리용 고정블록
KR200297703Y1 (ko) 2002-08-10 2002-12-12 김종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480634Y1 (ko) 2015-04-14 2016-06-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긴급복구용 윈치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377B1 (ko) 2021-10-13
KR20210120949A (ko) 2021-10-07
KR20210040635A (ko)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39428U (zh) 拉线调节器
KR101950238B1 (ko) 전선 포설을 위한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CN203624942U (zh) 一种绞车带式制动器
US20070194290A1 (en) Device to enable rope pulling functionality using a rotational power source
CN212935366U (zh) 一种电力工程线缆安装用紧线器
CN112061898A (zh) 柱上开关可旋转吊臂吊装设备
KR102337772B1 (ko) 철탑의 휴대용 전동윈치 장치
KR101837986B1 (ko) 선박용 차량 고박장치
US332071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ole reinforcing
CN204224153U (zh) 一种便携式车用多功能自救装置
KR102271893B1 (ko) 송전 철탑 작업용 이동식 윈치 장치
CN210064996U (zh) 一种安全的建筑施工用卷扬机结构
CN110429509B (zh) 一种高强度纤维绳收放装置
CN112478952B (zh) 一种绞磨尾绳收放的驱动装置及方法
CN212559202U (zh) 柱上开关吊装机构
CN111022579B (zh) 一种方便卡接的码头缆绳用连接器
JP6998791B2 (ja) 重量物固定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重量物固定方法
CN215369746U (zh) 手动绞盘式排管具装置
KR101747606B1 (ko) 수력발전 수차의 커플링 허브 인출장치
CN219712200U (zh) 一种施工钢丝绳紧固装置
CN219860309U (zh) 提升机
CN210973679U (zh) 一种新型钢丝绳电动葫芦
CN220951006U (zh) 电动拉紧装置
CN214899833U (zh) 一种桥架线缆敷设辅助装置
CN221078019U (zh) 防坠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