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498B1 -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498B1
KR102337498B1 KR1020200031148A KR20200031148A KR102337498B1 KR 102337498 B1 KR102337498 B1 KR 102337498B1 KR 1020200031148 A KR1020200031148 A KR 1020200031148A KR 20200031148 A KR20200031148 A KR 20200031148A KR 102337498 B1 KR102337498 B1 KR 10233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theme
graphic process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408A (ko
Inventor
서명원
김보현
백유림
최승연
동이레
이지원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49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408A/ko
Priority to KR1020210172420A priority patent/KR102618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을 선택받고,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며,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NTENT HAVING THEMES}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는, 전화나 문자 메시지와 같은 통신 기능은 물론, 인터넷을 활용한 웹 서핑, 음악 감상, 영상 콘텐츠의 시청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대중화에 힘입어, 멀티 미디어로 이루어진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동영상 공유 서비스(예를 들어, 유튜브(YouTub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고 명명함)의 이용자 또한 급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콘텐츠 소비자들이 곧 콘텐츠의 생산자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직접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여 하나의 콘텐츠로 제작하는 1인 미디어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34311호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 편집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복수개의 영상 전체에 동일한 속성의 편집 내용을 적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영상의 회전, 컬러 변환과 같은 영상 편집 기능을 복수개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콘텐츠로 재생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콘텐츠를 편집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26258호는, 전자기기에 저장된 정적인 이미지(사진파일) 및 음성파일을 결합하여 하나의 영상물 파일을 생성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전자기기에 저장된 유사한 테마를 갖는 사진을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물을 만드는 기술로, 동영상을 포함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재생산하는 기술 및 제작된 영상물의 테마(또는 컨셉)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하는 것에 제한이 있다.
이에, 콘텐츠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영상의 유형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완성도 있는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공통의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콘텐츠의 테마를 선택하는 것 만으로도, 통일성 및 완성도 높은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의 유형에 관계없이, 선택된 영상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의 주제, 제작 의도 등 사용자의 생각을 반영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완성도 높은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또는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를 별도로 생성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대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생성된 영상 콘텐츠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해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된 제1 파트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편집 속성과 다른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된 된 제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영상들 중 가장 첫번째 배열된 제1 영상에 대해, 상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제1 그래픽 처리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에 대하여 상기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제2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따른 시스템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을 선택받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이미지 처리부 및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영상에 대해 특정 테마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통일성 및 완성도 있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테마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음으로써, 위에서 살펴본 특정 테마가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테마 각각에는, 기 결정된 그래픽 처리 방법이 존재하며,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테마가 결정되는 경우, 이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텐츠의 테마를 선택하는 것 만으로도, 선택된 복수의 영상들에 대해, 특정 테마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의 수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통일성 및 완성도 높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의 유형이, 정적인 영상(static image)인 경우, 이를 동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영상의 유형에 관계없이 복수의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의 유형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영상에 합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위에서 살펴본 그래픽 객체가 합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별도로 제작하기 위한 작업 과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영상 콘텐츠의 생성과 함께, 자신의 생각을 반영한 썸네일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테마를 적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살펴본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제1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제2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운드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통의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일성 및 완성도 높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소프트웨어(software)의 형태로 구현되는 시스템에 의하여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애플리케이션과 소프트웨어의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통일하여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명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테마를 적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전자기기(100c)에 설치되어,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전자기기 상에서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전자기기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전자기기 출고 당시,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외부 데이터(data) 저장소(또는 외부 서버(server))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되어, 전자기기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시스템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테마를 갖는 콘텐츠가 생성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전자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시스템이 동작가능한 전자기기이면 되며,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100a)은, 입력부(110), 출력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로서, 전자기기(100c)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입력부 구성(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가상 키(key), 물리적인 키(또는 하드웨어적인 버튼), 입력 센서, 마이크 등)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입력부 구성을 이용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선택받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선택받는다” 함은,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입력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선택 신호(또는 입력 신호,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출력부(12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출력부 구성(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터치 스크린, 스피커 등)을 통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메모리 및 외부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콘텐츠 생성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 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30)에 “저장된다”고 함은, 물리적으로는, 전자기기(100c)의 메모리 또는 외부 저장소에 정보가 저장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전자기기(100c)에서 삭제되는 경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 또한, 전자기기(100c)에서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저장소(100b)는, 클라우드(cloud) 방식의 저장소일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4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통신 모듈(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위치정보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또는 외부 서버)와 송수신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은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전자기기(100c)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50)는, 사운드 처리부(151) 및 이미지 처리부(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처리부(151)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생성시, 음악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부(152)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처리부(152)는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이미지 처리부(152)를 통해 그래픽 처리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고 함은, 편집 대상 영상에 대한 시각적인 변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각적인 변형을 위한 그래픽 처리의 예는 매우 다양하며, 예를 들어, i) 편집 대상 영상에 대해 텍스트, 정적인 이미지, 또는 동적인 영상과 같은 그래픽 객체를 삽입(또는 합성)하는 그래픽 처리, ii) 편집 대상 영상에 대한 색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iii) 편집 대상 영상에 대한 화질 보정(quality control)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iv) 편집 대상 영상의 밝기, 대비, 선명도, 색 변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그래픽 처리, v) 편집 대상 영상에 대해 확대, 축소, 이동, 회전 등의 변형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vi) 편집 대상 영상에 이미지 효과(image effect)를 적용하는 그래픽 처리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효과는, 앞서 설명한, ii), iii), iv)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도 이해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효과는, 편집 대상 영상에 대해 이미지 필터를 적용하는 그래픽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에 대해 이미지 필터를 적용되는 경우, 영상의 질감, 색상, 색온도, 선명도 및 왜곡 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필터는 그 적용되는 이미지 효과에 따라, 서로 다르게 명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노이즈(Noise) 필터, 렌더(Render) 필터, 선명효과(Sharpen) 필터, 스케치 효과(Sketch) 필터, 왜곡(Distort) 필터, 흐림효과(Blur) 필터, 텍스처(Texture) 필터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위에서 열거한 그래픽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이외에 열거된 예 외에도, 편집 대상 영상에 대해 시각적인 변형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가 적용되는 경우,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집 대상 영상(211, 212, 213)은,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각적 외관이 변형되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영상을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은, 그래픽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테마(Thema)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영상이 선택된 경우, 본 발명에서는, 테마에 근거하여 일련의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복수의 영상은, 동일한 하나의 테마에 근거하여 그래픽 처리가 수행되며, 그 결과, 동일한 테마에 근거하여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복수의 영상은, 하나의 영상 콘텐츠 내에서 통일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테마란, 본 발명을 통해 생성된 영상 콘텐츠가 갖는 일종의 “주제, 컨셉 또는 분위기”에 대한 것으로서, 어떤 테마가 적용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테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이러한 복수의 테마 중 어느 하나의 테마(이하, “특정 테마”)에 근거하여, 영상에 대해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 콘텐츠로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의 테마 중 어느 테마가 결정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테마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테마 각각 마다 어떠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지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그래픽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 또는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 등, 다양하게 명명될 수 있으며,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래픽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본 발명에서는,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는, 명령어로도 이해되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테마마다 연계된 그래픽 처리 방법이 존재하며, 각각의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에 의하여, 그래픽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동일한 영상인 경우라도, 어느 테마가 적용되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상에 대해 제1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에 의해 그래픽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특정 영상에 “별(star) 모양”의 그래픽 객체를 합성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특정 영상에 대해 제1 테마와 다른 제2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에 의해 그래픽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특정 영상에 “달(moon) 모양”의 그래픽 객체를 합성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즐거운 분위기”의 테마, “우울한 분위기”의 테마, “공포 분위기”의 테마와 같이, 분위기에 따라 각각의 테마가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즐거운 분위기”의 테마에 따른 그래픽 처리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즐거운 분위기”에 해당하는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즐거운 분위기”에 해당하는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가, “영상의 명도(brightness)를 제1 기준값 이상으로 보정”하도록 하는 데이터인 경우, 이러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편집 대상 영상들의 명도를 제1 기준값 이상으로 보정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르 일 예로서, “우울한 분위기”의 테마에 따른 그래픽 처리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우울한 분위기”에 해당하는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울한 분위기”에 해당하는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가, “영상의 명도(brightness)를 제2 기준값 미만으로 보정”하도록 하는 데이터인 경우, 이러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편집 대상 영상들의 명도를 제2 기준값 미만으로 보정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테마에 따라 공통의 분위기(주제, 또는 컨셉)를 갖도록 영상들을 보정하는 등의 그래픽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통일성 있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영상에 대해 특정 테마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통일성 및 완성도 있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테마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음으로써, 위에서 살펴본 특정 테마가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테마 각각에는, 기 결정된 그래픽 처리 방법이 존재하며,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테마가 결정되는 경우, 이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텐츠의 테마를 선택하는 것 만으로도, 선택된 복수의 영상들에 대해, 특정 테마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의 수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통일성 및 완성도 높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하나의 콘텐츠로서 생성할 편집 대상에 해당하는 영상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도 2의(a), 211 참조)에 대한 그래픽 처리와, 상기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영상(도 2의(a), 212, 213 참조)에 대한 그래픽 처리를 서로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복수의 영상(도 2의(a), 211, 212, 213 참조)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되, 복수의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도 2의(a), 211 참조)과, 나머지 영상(도 2의(a), 212, 213 참조)에 대해 서로 다른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도 2의 (b), 221, 222, 223 참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복수의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도 2의(a), 211 참조)에 대해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 나머지 영상(도 2의(a), 212, 213 참조)에 대해 상기 제1 편집 속성과 다른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는, 제1 편집 속성을 정의하는 제1편집 속성 데이터 및 제2 편집 속성을 정의하는 제2 편집 속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제1 및 제2 편집 속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영상들 중 어느 영상에 대하여, 제1 편집 속성 데이터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 나머지 영상에 대하여 제2 편집 속성 데이터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편집 속성이란, i) 하나의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영상에 대하여 어떠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 ii) 복수의 영상에서 어떤 기준으로 서로 다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 iii) 앞서 살펴본 다양한 그래픽 처리의 종류 중 어떤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 iv) 편집 대상 영상에 어떤 그래픽 객체를 삽입할지 여부, v) 영상과 합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을지 여부, vi) 영상에 대해 이미지 효과가 적용되는 경우, 그 적용되는 이미지 효과의 구체적인 보정 정도 및 vii)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간의 배열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그래픽 처리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 속성의 정의는, 각각의 편집 속성에 대응되는 편집 속성 데이터에 근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편집 속성 데이터는, 저장부(130) 또는 외부 서버(100b)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편집 속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에 대하여, 기 정의된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편집 속성에 따른 데이터는, i) 하나의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영상에 대하여 어떠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ii) 복수의 영상에서 어떤 기준으로 서로 다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iii) 앞서 살펴본 다양한 그래픽 처리의 종류 중 어떤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iv) 편집 대상 영상에 어떤 그래픽 객체를 삽입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v) 영상과 합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을지 여부에 대한 정보, vi) 영상에 대해 이미지 효과가 적용되는 경우, 그 적용되는 이미지 효과의 구체적인 보정 값 및 vii)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간의 배열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그래픽 처리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콘텐츠로서 생성할 편집 대상에 해당하는 영상이 복수인 경우, 서로 다른 편집 속성에 근거하여,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서로 다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들 간의 배열순서 및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어느 영상에 대해 제1 또는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복수의 영상들 간의 배열순서 및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어느 영상에 대해 제1 또는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살펴본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제1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제2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 생성 방법은, 영상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이 전자기기(100c)상에서 실행되어 있음을 전제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00c) 상에,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하여 출력되는 화면들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화면을 “실행화면”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콘텐츠 생산 방법은,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선택받는 과정이 진행된다(S310, 도 3 참조). 이때, S310 과정에서는, 하나 이상의 영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복수의 영상이 선택되었음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행화면(400) 상에는, 선택 가능한 영상들에 대응되는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가능한 영상들은, 전자기기(100c)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저장소(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에 저장된 영상들일 수 있다. 한편, 선택 가능한 영상들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촬영된 영상, 제3 자에 의해 촬영, 또는 제작된 영상,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저장소로부터 다운로드된 영상 등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선택 가능한 영상은, 정적인 영상(static image) 또는 동적인 영상(또는 동영상, video)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택된 복수의 영상은 정적인 영상(static image) 및 동적인 영상(또는, 동영상, video)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S310 과정에서와 같이, 영상 콘텐츠의 생성을 위하여 선택된 영상을 “편집의 대상이되는 영상” 또는 “편집 대상 영상” 등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실행화면(400)에 출력되는 선택 가능한 영상들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선택 입력은,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전자기기(100c)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선택 신호가 수신된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150)는, 수신된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항목(411, 412, 413)에 해당하는 영상을, 영상 콘텐츠 생성을 위한 편집 대상 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와 같이, 편집 대상 영상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영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320, 도 3 참조), 이때, 편집 대상 영상이 복수인 경우, 제어부(150)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 중, 정적인 영상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정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는 동적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 동적인 영상에 대해 상기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상기 정적인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복사(copy) 또는 복제하여,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는 동적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는 동적인 영상에 대하여 상기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의 유형이, 정적인 영상(static image)인 경우, 이를 동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영상의 유형에 관계없이 복수의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의 유형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선택된 영상 각각이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영상 콘텐츠 내에서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된 영상 중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초과하는 영상에 대해서는, 재생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중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초과하는, “재생시간 초과 영상”(이는, 개념 정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명명을 위한 용어이며, 다른 용어로 대체 가능함)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생시간 초과 영상의 재생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도록, 상기 재생시간 시간 초과 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영상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재생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영상 편집이 수행된 후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재생시간이 기 편집된 영상에 대해서도, 재생시간을 재조절하기 위한 편집을 다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중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보다 길거나, 또는 짧은 영상으로 편집을 하고자 하는 니즈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재생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영상 편집이 수행된 후에도, 기능 아이콘을 두어,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한 재생시간을 조절하도록 하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선택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복수의 영상들의 재생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영상 편집이 먼저 수행된 후, 특정 테마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중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초과하는 재생시간 초과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생시간 초과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삭제함으로써, 상기 재생시간 초과 영상의 재생시간을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삭제된 상기 재생시간 초과 영상에 대하여 상기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정 테마는,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테마 중, 어느 하나로서, 복수의 테마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테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테마 중 어느 테마가 선택될지 여부는, 도 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정 테마가 선택되는 시점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테마의 선택은, 도 4a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집 대상 영상이 선택되고 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도 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집 대상 영상을 선택받기 위한 실행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실행화면을 통해 편집 대상 영상의 선택이 완료된 후, 도 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마를 선택받기 위한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정 테마의 선택은, 편집 대상 영상이 선택되기 전에,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도 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마를 선택받기 위한 실행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실행화면을 통해 특정 테마를 선택받은 후, 도 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집 대상 영상을 선택받기 위한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에 대하여 적용할 테마의 선택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해 선택된 테마(또는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고 함은,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편집 대상 영상에 대한 시각적인 변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테마 중 어느 테마가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적용되는 그래픽 처리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복수의 테마 중 어느 테마가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복수의 영상에 대해 서로 다른 그래픽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b)에서와 같이, 복수의 테마 중 제1 테마(예를 들어, “액티브(active)” 테마, 421 참조)가 선택된 경우, 도 4a의 (c)에 도시와 같이, 상기 제1 테마(421)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테마(421)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또는 상기 제1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들에 대하여 그래픽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영상이 상기 제1 테마(421)에 따른 분위기(또는 주제, 컨셉)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영상에 대한 시각적 외관을 변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4b의 (b)에서와 같이, 복수의 테마 중 제2 테마(예를 들어, “센티멘탈(sentimental)” 테마, 422 참조)가 선택된 경우, 도 4b의 (c)에 도시와 같이, 상기 제2 테마(422)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제2 테마(422)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또는 상기 제2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들에 대하여 그래픽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영상이 상기 제2 테마(421)에 따른 분위기(또는 주제, 컨셉)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영상에 대한 시각적 외관을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a의 (c) 및 도 4b의 (c)를 비교하여 보면, 도 4a의 (a) 및 도 4b의 (a)와 같이, 편집 대상으로서 선택된 영상이 동일하더라도, 선택된 테마(예를 들어, 제1 테마(421) 또는 제 2테마(422))가 무엇인지에 따라, 적용되는 그래픽 처리의 수행이 달라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선택된 테마에 따라, 편집 대상으로서 선택된 영상이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선택된 특정 테마에 대해,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에 대해 그래픽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예를 들어, 도 4a의(a), 411 항목에 대응되는 영상)에 대한 그래픽 처리와, 상기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영상(예를 들어, 도 4의(a), 412, 413 항목에 대응되는 영상)에 대한 그래픽 처리를 서로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포함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이 중 제1 파트는,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응되고, 제2 파트는 상기 나머지 영상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영상 중, 어느 영상을 이용하여 제1 파트 또는 제2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50)는, 앞서 살펴본 S310 단계에서와 같이, 복수의 영상을 선택받는 과정에서 특정되는 복수의 영상들 간의 배열 순서에 근거하여, 복수의 영상 중 어느 영상을 이용하여 제1 파트 또는 제2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50)는, 영상들이 선택된 순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수집된 순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 중 어느 영상을 이용하여 제1 파트 또는 제2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제어부(150)는, 복수의 영상들 중 가장 첫 번째(또는 제1 번째) 배열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파트에 해당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복수의 영상들 중 가장 첫 번째(또는 제1 번째) 배열된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파트에 해당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실행화면(400, 도 4a 참조)에서 사용자 선택에 근거하여, 복수의 영상 간의 배열 순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열 순서에 근거하여, 복수의 영상 중 어느 영상을 이용하여, 제1 파트 또는 제2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화면(400, 도 4a 참조)에는 선택 가능한 영상들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들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이러한 항목들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근거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실행화면(400)에 포함된 항목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들(411, 412, 413, 도 4a 참조)의 적어도 일 영역에, 각 항목이 선택된 순서에 대응되는 순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들이 선택된 순서에 대응하여, 각 항목에 대응되는 영상들 간의 배열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가장 처음에 선택된 항목(411, 도 4a 참조)이,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선택 취소된 경우, 두번째 선택된 항목(412, 도 4a 참조)을 가장 처음에 선택된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경우, 두번째 선택된 항목(412, 도 4a 참조)에 대응되는 영상이, 복수의 영상에서 가장 첫번째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가장 처음에 선택된 항목(411, 도 4a 참조)이,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취소된 후, 다시 재선택된 경우, 재선택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선택된 항목(413, 도 4a 참조)의 다음 순서로서, 재선택된 항목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재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영상이, 복수의 영상에서 가장 마지막에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을 편의상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 또는 “어느 하나의 영상”이라고 지칭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예를 들어, 도 4a의(a), 411 항목에 대응되는 영상)에 대해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제1 파트에 해당하는 영상(또는 영상 콘텐츠, 441, 도 4a의 (c) 참조)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나머지 영상(예를 들어, 도 4의(a), 412, 413 항목에 대응되는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편집 속성과 다른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여, 제2 파트에 해당하는 영상(또는 영상 콘텐츠, 442, 443, 도 4a의 (c) 참조) (또는 영상 콘텐츠)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통해, 제1 파트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제1 편집 속성은,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과 합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편집 속성은,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제목(title), 주제, 컨셉 또는 사용자 생각(또는 의견), 코멘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것과 관련된 편집 속성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편집 속성에 의하면, 제어부(150)는, 제1 파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전자기기(100c)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오버랩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 5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500)과 합성할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을 위한 과정으로서, 제어부(150)는, 도 5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5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 정보(510)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도 5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텍스트를 입력받기 위한 가상의 키보드(520)를 전자기기(100c)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정보(510)는 도시와 같이, “나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정보의 입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유도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도 5a의 (a) 및 (b)의 과정은,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일 예로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정보(510)는 도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어부(150)는 가이드 정보(510)외에, 텍스트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 아이콘(미도시됨)을 추가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기기(100c)에서는, 가상의 키보드(520)가 아닌, 하드웨어적 키보드(미도시됨)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음성 인식을 통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음성은 STT(Speech to Text) 변환을 통하여, 텍스트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도 5a의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예를 들어, “나의 여행 스토리”)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530)를,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오버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도 5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그래픽 객체(530)의 시각적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편집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전자기기(100c)의 일 영역(540)에는,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텍스트의 폰트, 색상, 크기, 정렬을 조절하기 위한 편집 영역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된 그래픽 객체의 출력 테마를 결정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래픽 객체의 출력 테마는, 복수일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입력된 테마에 대하여 선택된 테마(예를 들어, “사각사각 액티브한 매력이 있는” 테마)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그래픽 객체(530)를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에 오버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그래픽 객체가 영상에 오버랩된다고 함은, 그래픽 객체(530)를 편집의 대상이 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에 합성하는 그래픽 처리가 수행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상기 그래픽 객체(530)를 편집의 대상이 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의 재생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만 합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로서,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재생시간 동안에는, 상기 그래픽 객체(530)를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오버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재생시간이, 3초이고, 어느 하나의 영상이 10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영상인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10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어느 하나의 영상의 재생 구간 중 3초에 해당하는 재생구간에 대해서만, 상기 그래픽 객체(530)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픽 객체(530)가 합성되는 재생구간은,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의 시작 부분일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의 재생구간 중 0초 ~ 3초 구간에, 상기 그래픽 객체(530)를 합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제어부(1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이 갖는 재생시간 중 기 설정된 비율에 따른 재생시간 동안에만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과 함께 상기 그래픽 객체(530)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이 “재생시간의 1/2 ”인 경우, 제어부(150)는, 10초의 재생시간을 갖는 영상에 대하여, 5초에 해당하는 재생구간에 대해서만, 상기 그래픽 객체(530)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그래픽 객체(530)가 합성되는 재생구간은,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의 시작 부분일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의 재생구간 중 0초 ~ 5초 구간에, 상기 그래픽 객체(530)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예들은, 그래픽 객체(530)로 하여금 영상이 계속하여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예들과 다르게, 제어부(1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의 전 재생구간 동안, 상기 그래픽 객체(530)가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의 전 구간에 대해 그래픽 객체(530)를 합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처리를 포함하는 것 외에, i)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색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ii)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화질 보정(quality control)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iii)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영상의 밝기, 대비, 선명도, 색 변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그래픽 처리, iv)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확대, 축소, 이동, 회전 등의 변형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v)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이미지 효과(image effect)를 적용하는 그래픽 처리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효과에 대한 설명은 앞선 도1 및 도2에와 함께 살펴본 설명으로 갈음한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방법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한 그래픽 객체(530)의 합성이 수행된, 제1 파트의 영상 콘텐츠가 생성되면, 제어부(150)는 상기 제1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도 5b의 561 참조)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가 오버랩된 프레임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썸네일 이미지(도 5b의 561 참조)로 생성하고, 생성된 어느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영상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로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썸네일 이미지의 생성에 이용되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 제1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가장 첫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생성에 이용되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제1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썸네일 이미지의 생성에 이용할 프레임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실행화면을 전자기기(100c)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파트에 해당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중 앞서 도 5a와 함께 살펴본, 텍스트 데이터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텍스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1 파트에 해당하는 영상 콘텐츠에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이 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50), 앞서 살펴본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합성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제어부(150)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가 합성되지 않은 제1 파트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영상에 합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위에서 살펴본 그래픽 객체가 합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별도로 제작하기 위한 작업 과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영상 콘텐츠의 생성과 함께, 자신의 생각(또는 의견)을 반영한 썸네일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파트에 해당하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제어부(150)는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에 대해 그래픽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예를 들어, 도 4a의(a), 411 항목에 대응되는 영상)에 대한 그래픽 처리와, 상기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영상(예를 들어, 도 4a의(a), 412, 413 항목에 대응되는 영상)에 대한 그래픽 처리를 서로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도 2의(a), 211 참조)에 대해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 나머지 영상(도 2의(a), 212, 213 참조)에 대해 상기 제1 편집 속성과 다른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테마에 연계된 데이터는, 제1 편집 속성을 정의하는 제1편집 속성 데이터 및 제2 편집 속성을 정의하는 제2 편집 속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제1 및 제2 편집 속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파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의 수행은, 기 선택된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나머지 영상에 오버랩하는 그래픽 처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편집 대상의 복수의 영상(610, 621, 622, 623, 624) 중 어느 하나의 영상(610, 예를 들어, 복수의 영상 중 가장 첫번째 배열된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621, 622, 623, 624)에 대하여, 도 6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는, 기 선택된 특정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로서, 예를 들어, i) 상기 나머지 영상에 대한 색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ii) 상기 나머지 영상에 대한 화질 보정(quality control)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iii) 상기 나머지 영상에 대한 영상의 밝기, 대비, 선명도, 색 변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그래픽 처리, iv) 상기 나머지 영상에 대한 확대, 축소, 이동, 회전 등의 변형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v) 상기 나머지 영상에 대한 이미지 효과(image effect)를 적용하는 그래픽 처리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효과에 대한 설명은 앞선 도1 및 도2와 함께 살펴본 설명으로 갈음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나머지 영상에 대하여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로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영상과 합성하는 경우, 나머지 영상들 간의 배열 순서에 따라, 합성되는 그래픽 객체가 서로 다르도록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나머지 영상에 포함된 영상 중 홀수번째 배열된 영상(621, 623)에 대해서는 제1 타입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래픽 객체(631)를 오버랩하고, 짝수번째 배열된 영상(622, 624)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631)와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을 갖는 제2 그래픽 객체(632)를 오버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도 6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머지 영상 중 서로 이웃하는 영상들(예를 들어, i) 651과 이웃하는 영상은 652, ii) 652 와 이웃하는 영상은 651 및 653이 될 수 있음) 간에, 서로 다른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영상들간 서로 상이한 그래픽 객체가 합성된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단조로운 영상 콘텐츠가 아닌, 생동감 있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나머지 영상에 대하여 그래픽 객체의 합성이 이루어진 후, 나머지 영상들 간의 배열순서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이러한 요청에 근거하여, 나머지 영상들 간의 배열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래픽 객체의 합성이 이루어진 나머지 영상들(651, 652, 653, 654) 중 두번째, 세번째 영상(652, 653) 간의 배열순서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도 6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변경 요청의 대상이 되는 영상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열 순서 변경 요청 전, 두번째 배열되었던 영상(652)은, 도 6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번째 영상으로서(652')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열 순서 변경 요청 전, 세번째 배열되었던 영상(653)은, 도 6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번째 영상(653')으로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나머지 영상들에 대한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그래픽 처리의 수행이 완료된 후, 배열 순서에 대한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나머지 영상에 포함된 영상들 간의 배열순서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나머지 영상에 대해 기 그래픽 처리된 그래픽 객체들의 오버랩 상태는 변경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나머지 영상 중 홀수번째 배열된 영상(621, 623)에 대해 제1 타입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래픽 객체(631)의 오버랩이 완료된 후, 상기 배열 순서에 대한 변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홀수번째 배열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짝수번째 영상으로 배열된 경우, 영상들 간의 배열순서만 변경할 뿐, 기 처리된 그래픽 처리를 재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제어부(150)는, 나머지 영상 중 홀수번째 배열된 영상(621, 623)에 대해 제1 타입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래픽 객체(631)의 오버랩이 완료된 후, 상기 배열 순서에 대한 변경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홀수번째 배열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짝수번째 영상으로 배열된 경우, 영상들 간의 배열순서를 변경함과 함께, 변경된 배열 순서에 맞추어,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재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에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에 대한 그래픽 처리의 일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테마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앞서 본 발명에서는, 편집의 대상으로서 선택된 영상 각각이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영상 콘텐츠 내에서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된 영상 중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초과하는 영상에 대해서는, 재생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그래픽 객체를 삽입할 때, 각각의 영상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가 삽입되는 구간은,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기 설정된 재생시간은 “3초”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영상에 대하여 그래픽 객체를 “3”초 동안 합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도록 재생시간이 편집된 영상들에 대해,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에 대응되는 재생 구간 동안 상기 그래픽 객체를 합성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중,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보다 짧은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보다 짧은 영상의 재생시간 동안에만, 상기 그래픽 객체가 합성되도록 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재생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영상 편집이 수행된 후에도, 기능 아이콘을 두어,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한 재생시간을 조절하도록 하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해 재생시간을 조절하는 사용자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 요청이 수신된 영상의 재생시간을 조절하는 것과 함께, 그래픽 객체의 합성구간을 상기 조절된 재생시간에 따른 재생구간과 동일하게 함께 변경함으로써, 상기 그래픽 객체의 합성 구간이, 상기 사용자 요청이 수신된 영상의 재생구간과 일치하도록 동기화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영상이 선택됨을 전제로 영상 콘텐츠가 생성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영상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영상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영상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테마에 대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선택된 영상을, 제1 파트의 영상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하여, 앞서 살펴본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테마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음으로써, 위에서 살펴본 특정 테마가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테마 각각에는, 기 결정된 그래픽 처리 방법이 존재하며,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테마가 결정되는 경우, 이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텐츠의 테마를 선택하는 것 만으로도, 선택된 복수의 영상들에 대해, 특정 테마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의 수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통일성 및 완성도 높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테마에 근거하여, 제어부(150)에 의해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에 대한 그래픽 처리가 수행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그래픽 처리결과에 더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근거하여, 추가적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에 대하여, 추가적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실행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화면은,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중 언제라도 출력 가능하며,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된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실행화면은, i) 영상 콘텐츠에 대해 색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ii) 영상 콘텐츠에 대해 화질 보정(quality control)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iii) 영상 콘텐츠에 대해 영상의 밝기, 대비, 선명도, 색 변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그래픽 처리, iv) 영상 콘텐츠에 대해 확대, 축소, 이동, 회전 등의 변형을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v) 영상 콘텐츠에 대해 이미지 효과(image effect)를 적용하는 그래픽 처리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효과에 대한 설명은 앞선 도1 및 도2와 함께 살펴본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때, 실행화면은, 영상 콘텐츠의 전체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또는 타임 라인(time line, 7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실행화면은, 상기 실행화면에 표시된 프레임이 속한 영상의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또는 타임 라인(time line, 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또는 타임 라인(time line, 720)을 통해, 실행화면 상에 출력되는 프레임(710)을 변경해가면서,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 어느 하나의 프레임(예를 들어, 복수의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포함된 일 프레임, 710)에 대해, 그래픽 처리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프레임(710)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상기 프레임(710)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710)이 속한 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모두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공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영상에 대해 통일감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710)이 속한 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모두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공통적으로 수행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에 대하여 기 선택된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에 대한 추가적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편집의 대상이되는 영상들에 대하여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 생성 방법은 시스템은, 편집의 대상이되는 영상들에 대한 그래픽 처리 뿐만 아니라, 사운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완성도 있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운드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테마에 매칭된 음악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즉, 저장부(130) 또는 외부 저장소에는, 복수의 테마 각각에 매칭된 음악 데이터가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영상 콘텐츠 생성시, 선택된 테마에 매칭된 영상 콘텐츠의 음악으로서,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영상과 음악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b) 및 도 7b의 (a)에서와 같이, 복수의 테마 중 제1 테마(예를 들어, “액티브(active)” 테마, 421 참조)에는 제1 음악 데이터(예를 들어, “여행을 떠나요”라는 제목을 갖는 음악데이터)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의 (b)에서와 같이, 복수의 테마 중 제2 테마(예를 들어, “센티멘탈(sentimental)” 테마, 422 참조)에는, 제2 음악 데이터(예를 들어, “별이 진다네”라는 제목을 갖는 음악 데이터)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편집의 대상이되는 영상에 대해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영상과, 기 선택된 테마에 매칭된 음악 데이터를,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 콘텐츠에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음악 데이터와 합성되는 영상의 재생시간이, 음악 데이터의 재생시간보다 짧은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영상의 재생시간에 맞추어, 음악 데이터의 재생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음악 데이터의 재생시간이 상기 영상의 재생시간과 동일하도록, 음악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삭제하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악 데이터에서 어느 부분이 삭제되고, 어느 부분이 유지될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영상에, 기 선택된 테마에 기 매칭된 음악 데이터가 아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음악 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 도 7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영상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50)는, 도 7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행화면 중 음악 데이터의 제목이 포함되는 일 영역(73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되는 경우, 도 7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악 데이터를 선택받기 위한 실행화면(74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화면(740) 상에는 서로 다른 음악 데이터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이러한 실행화면(740)을 통해 어느 하나의 항목(741)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음악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영상과 합성할 음악 데이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도 7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영상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데이터를 합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기 선택된 테마에 연계된 음악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데이터를 영상과 합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영상에 대해 특정 테마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통일성 및 완성도 있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테마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음으로써, 위에서 살펴본 특정 테마가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테마 각각에는, 기 결정된 그래픽 처리 방법이 존재하며,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테마가 결정되는 경우, 이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텐츠의 테마를 선택하는 것 만으로도, 선택된 복수의 영상들에 대해, 특정 테마에 매칭된 그래픽 처리의 수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통일성 및 완성도 높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의 유형이, 정적인 영상(static image)인 경우, 이를 동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영상의 유형에 관계없이 복수의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의 유형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영상에 합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위에서 살펴본 그래픽 객체가 합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별도로 제작하기 위한 작업 과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의 생성과 함께, 자신의 생각을 반영한 썸네일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15)

  1. 전자기기 상에서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 콘텐츠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해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된 제1 파트;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편집 속성과 다른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된 된 제2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의 수행은,
    상기 나머지 영상에 포함된 영상에서,
    홀수번째 배열된 영상에 대해서는 상기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제1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고, 짝수번째 배열된 영상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와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을 가지며 상기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제2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의 수행은,
    상기 전자기기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오버랩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콘텐츠에서 상기 제1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가 오버랩된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의 수행은,
    상기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나머지 영상에 오버랩하는 그래픽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를 각각 오버랩하는 그래픽 처리의 수행이 완료된 후,
    상기 나머지 영상에 포함된 영상들간의 배열순서에 대한 변경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나머지 영상에 포함된 영상들간의 배열순서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나머지 영상에 대해 기 그래픽 처리된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들의 오버랩 상태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어느 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1 파트의 생성을 위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지 여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선택받는 단계를 통해 특정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 간의 배열 순서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에 해당하는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은,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제1 번째 배열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정적인 영상이 포함된 경우,
    상기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정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는 동적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적인 영상에 대해 상기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중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초과하는 재생시간 초과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생시간 초과 영상의 재생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도록, 상기 재생시간 시간 초과 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영상 편집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삭제된 상기 재생시간 초과 영상에 대하여 상기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은 정적인 영상(static image) 및 동적인 영상(video)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12. 전자기기 상에서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영상들 중 가장 첫번째 배열된 제1 영상에 대해, 상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제1 그래픽 처리;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에 대하여 상기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제2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제2 그래픽 처리의 수행은,
    상기 나머지 영상에 포함된 영상에서,
    홀수번째 배열된 영상에 대해서는 상기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제1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고, 짝수번째 배열된 영상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와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을 가지며 상기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제2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제1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어느 하나의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15. 전자기기 상에서 테마를 갖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편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을 선택받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하여 특정 테마에 연계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그래픽 처리가 수행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테마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 콘텐츠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해 제1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된 제1 파트;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편집 속성과 다른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된 된 제2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편집 속성에 따른 그래픽 처리의 수행은,
    상기 나머지 영상에 포함된 영상에서,
    홀수번째 배열된 영상에 대해서는 상기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제1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고, 짝수번째 배열된 영상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와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을 가지며 상기 특정 테마에 매칭된 제2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


KR1020200031148A 2020-03-13 2020-03-13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33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148A KR102337498B1 (ko) 2020-03-13 2020-03-13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72420A KR102618205B1 (ko) 2020-03-13 2021-12-03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148A KR102337498B1 (ko) 2020-03-13 2020-03-13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420A Division KR102618205B1 (ko) 2020-03-13 2021-12-03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408A KR20210115408A (ko) 2021-09-27
KR102337498B1 true KR102337498B1 (ko) 2021-12-08

Family

ID=779254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148A KR102337498B1 (ko) 2020-03-13 2020-03-13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72420A KR102618205B1 (ko) 2020-03-13 2021-12-03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420A KR102618205B1 (ko) 2020-03-13 2021-12-03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74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85B1 (ko) * 2000-11-09 2003-07-22 전자부품연구원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메시징 방법 및장치
KR20170032760A (ko) * 2015-09-15 201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8072A (ko) * 2017-02-24 2018-09-03 네모유엑스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상기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408A (ko) 2021-09-27
KR20210149678A (ko) 2021-12-09
KR102618205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4666B2 (en) Content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across multiple displays
WO2022048478A1 (zh) 多媒体数据的处理方法、生成方法及相关设备
US201703250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udiovisual media items
CN111970571B (zh) 视频制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2003035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visual presentation of data
US11716300B2 (en) Techniques for optimizing the display of videos
KR20170026274A (ko)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JP2005051703A (ja) 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放送方法、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放送装置、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放送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放送方法及び放送装置
CN105025378A (zh) 字幕添加系统和方法
WO2020150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ersonalized videos with customized text messages
EP3379379A1 (en) Virtual reality system and method
US9721321B1 (en) Automated interactive dynamic audio/visual performance with integrated data assembly system and methods
KR20210154957A (ko)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KR102337498B1 (ko) 테마를 갖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029604B1 (ko) 실시간 방송 편집 시스템 및 편집 방법
JP4129162B2 (ja) コンテンツ作成実演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作成実演方法
KR20180023864A (ko) 이미지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0973654B1 (ko) 리치미디어 서버와 리치미디어 전송 시스템 및 리치미디어전송 방법
JP7277635B2 (ja) イメージに対する音声合成に基づいて映像コンテンツ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90032754A (ko) 디바이스 크기와 무관하게 동일 좌표 간격을 이용하여 화면이 동일하게 표시되는 레이어 공유 시스템
US11095848B1 (en) Method for creating vertically oriented video
JP2011091725A (ja) サーバ装置、携帯電話および合成動画作成システム
KR101664947B1 (ko) 레이어 공유 시스템
KR101562670B1 (ko)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20168483A1 (zh) 多媒体文件播放方法、柔性电子装置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