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961B1 -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961B1
KR102336961B1 KR1020200053704A KR20200053704A KR102336961B1 KR 102336961 B1 KR102336961 B1 KR 102336961B1 KR 1020200053704 A KR1020200053704 A KR 1020200053704A KR 20200053704 A KR20200053704 A KR 20200053704A KR 102336961 B1 KR102336961 B1 KR 10233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air battery
electrode layer
current collector
cathod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719A (ko
Inventor
연순화
진창수
신경희
전명석
박세국
김동하
송하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5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96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63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catalytic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8668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5Methods for shaping the electrode into free-standing bodies, like sheets, films or grids, e.g. moulding, hot-pressing, casting without support, extrusion without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96Pressing, rolling,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2Metals o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H01M12/065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with plate-like electrodes or stacks of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89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는 탄소계 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전극층의 제1면에 구비된 것으로 제1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1 집전체층 및 상기 전극층의 제2면에 구비된 것으로 제2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2 집전체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극 구조는 상기 전극층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은 니켈 폼(Ni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Air electrode structure, metal-ai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전극 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격적인 전기자동차 보급에 필요한 약 500 km 이상의 주행거리(1회 충전시 주행거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약 700 Wh/kg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갖는 이차 전지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 시스템으로 금속-공기 전지(metal-air batter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금속-공기 전지는 이온의 흡장 및 방출이 가능한 음극과 공기 중의 산소를 활물질로서 사용하는 양극(공기극)을 포함한다. 공기극(양극)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의 환원 및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음극에서는 금속의 산화 및 환원 반응이 일어나며, 이때 발생하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추출한다. 예를 들어, 금속-공기 전지는 방전시에는 산소를 흡수하고 충전시에는 산소를 방출한다. 이와 같이, 금속-공기 전지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공기 전지는 기존의 리튬 이온 전지보다 수배 이상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금속-공기 전지의 음극에는 리튬, 아연,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 칼슘, 나트륨 등의 활성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리튬은 타 금속 대비 가장 높은 에너지 밀도(이론 밀도: 11,140 Wh/kg)를 가지며, 이는 가솔린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런 이유로, 금속-공기 전지의 음극 부분에서는 소재 개선의 여지가 현재로서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금속-공기 전지의 공기극(양극)의 소재 및 구성은 전지의 용량(capacity) 및 효율 등을 좌우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용량 및 효율 향상에 유리한 구성을 갖는 공기극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공기극의 기계적 특성 향상, 경량화, 저비용화, 공정의 용이성 확보 등 다양한 요건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속-공기 전지의 성능 및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극 구조(air electrode structure)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속-공기 전지의 양극 로딩량(loading level)을 안정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용량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극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공기극 구조 및 금속-공기 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로서, 탄소계 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전극층의 제1면에 구비된 것으로, 제1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1 집전체층; 및 상기 전극층의 제2면에 구비된 것으로, 제2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2 집전체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층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갖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air electrode structure)가 제공된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PTF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그 단독으로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약 100∼500 ㎛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입자의 평균 입경은 약 30∼70 n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 중 적어도 하나는 니켈 폼(Ni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인더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은 니켈 폼(Ni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층은 상기 전극층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의 측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공기극 구조를 갖는 양극부; 상기 양극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부로부터 제공된 금속 이온과 상기 양극부를 통해 제공된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하는 금속-공기 전지(metal-air battery)가 제공된다.
상기 음극부의 상기 금속은 리튬(lithium)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금속-공기 전지는 리튬-공기 전지인 금속-공기 전지일 수 있다.
상기 금속-공기 전지는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에 구비된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금속-공기 전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형성방법으로서, 탄소계 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전극층을 제1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1 집전체층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집전체층 상에 배치된 상기 전극층 상에 제2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2 집전체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갖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극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극층은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계 물질, 상기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대한 밀링(milling) 및/또는 혼합(mixture)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차례로 수행하여 상기 혼합 용액으로부터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리를 필름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 중 적어도 하나는 니켈 폼(Ni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집전체층 상에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제2 집전체층이 순차로 적층된 적층 구조체를 프레스 장치(press machine)를 이용해서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구조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기극 구조를 갖는 양극부,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부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을 이용해서 상기 공기극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공기 전지의 성능 및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극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공기 전지의 양극 로딩량을 안정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용량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극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air electrode structure)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를 적용한 금속-공기 전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비교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를 적용한 금속-공기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제2 비교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를 적용한 금속-공기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를 적용한 금속-공기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학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air electrode structure)(1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100)는 탄소계 물질(carbon-based material) 및 바인더(binder)를 포함하는 전극층(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100)는 전극층(10)의 제1면(예컨대, 하면)에 구비된 제1 집전체층(20a) 및 전극층(10)의 제2면(예컨대, 상면)에 구비된 제2 집전체층(20b)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집전체층(20a)은 제1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집전체층(20b)은 제2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층(10)은 제1 및 제2 집전체층(20a, 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100)는 전극층(10)이 제1 및 제2 집전체층(20a, 20b)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전극층(10)은 담체 물질층 또는 양극 촉매 물질층이라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집전체층(20a, 20b)은 전기적으로 집전체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기체(gas)를 투과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극층(10)에 포함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 블랙(carbon black)일 수 있고, 상기 카본 블랙은, 예컨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첸 블랙은, 예를 들어, Ketjen black 600JD 일 수 있다. 그러나 케첸 블랙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고, 케첸 블랙이 아닌 다른 카본 블랙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극층(10)에 포함된 상기 바인더는 고분자 물질, 예컨대, 불소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바인더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PTF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소수성을 가질 수 있고, 전극층(10)의 표면에 소수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은 이러한 소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인더의 구체적인 물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극층(10)에서 상기 탄소계 물질과 상기 바인더가 균일하게(대체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극층(10)은 그 단독으로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극층(10)은 그 자체로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일 수 있다. 전극층(10)은 상기 탄소계 물질과 상기 바인더만으로 구성된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이거나, 상기 탄소계 물질 및 상기 바인더를 주요 구성물질로 포함하는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일 수 있다. 전극층(10)을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으로 제조한 후, 이를 제1 및 제2 집전체층(20a, 20b) 사이에 구비시킬 수 있다. 전극층(10)을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으로 제조하는 경우, 전극층(10)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전극층(10)의 제조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의 혼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극층(10)의 특성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전극층(10)의 두께는, 예컨대, 약 100∼500 ㎛ 정도 또는 약 200∼300 ㎛ 정도의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전극층(10)의 두께 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전극층(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한 전극층(10)의 두께 범위는 예시적인 것이고,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극층(10)은 다수의 입자(입자상)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입자의 평균 입경은, 예컨대, 약 30∼70 nm 또는 약 40∼60 nm 정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입자는 상기한 탄소계 물질을 포함하거나, 탄소계 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집전체층(20a)은 제1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집전체층(20b)은 제2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 중 적어도 하나는, 예컨대, 니켈 폼(Ni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은 모두 니켈 폼(Ni foam)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집전체층(20a, 20b)이 모두 니켈 폼(Ni foam)일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 중 적어도 하나는 니켈(Ni)이 아닌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이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100)를 전극층(10)이 제1 및 제2 집전체층(20a, 20b)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로 구성하고, 전극층(10)과 제1 및 제2 집전체층(20a, 20b)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 금속-공기 전지의 성능 및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양극 로딩량(loading level)을 안정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용량 및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양극(공기극)의 비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전지의 충방전 동작시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집전체층(20a, 20b)이 전극층(10)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극(100)의 로딩량을 안정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금속-공기 전지의 용량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100A)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100A)는 전극층(11)이 제1 및 제2 집전체층(21a, 21b)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편의상, 제2 집전체층(21b)이 전극층(11)에서 이격된 행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실제로 제2 집전체층(21b)은 전극층(11)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집전체층(21a, 21b)은 전극층(11)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전극층(11)의 측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극 구조(100A)에서 제1 및 제2 집전체층(21a, 21b)은 전극층(11)을 완전히(혹은, 거의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집전체층(21a)의 가장자리 영역은 전극층(11)의 외측에서 제2 집전체층(21b)의 가장자리 영역과 콘택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극 구조(100A)에서 제1 및 제2 집전체층(21a, 21b)에 의한 집전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전극층(11)과 제1 및 제2 집전체층(21a, 21b) 각각의 물질 구성 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탄소계 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층(12)을 마련할 수 있다. 전극층(12)은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층(12)을 형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극층(12)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계 물질과 상기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대한 밀링(milling)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차례로 수행하여 상기 혼합 용액으로부터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리를 필름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본 블랙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첸 블랙은, 예를 들어, Ketjen black 600JD 일 수 있다. 상기 케첸 블랙은 우수한 도전성을 가질 수 있고, 메조포어(mesopore)를 갖는 메조포러스(mesoporous)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케첸 블랙은, 예컨대, 약 50 nm 정도의 입자 사이즈(평균 입경)를 갖는 입자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인더는, 예컨대, 불소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소수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바인더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은, 예컨대, 약 300 nm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 판상 입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 분산된 용액에 IPA(isopropyl alcohol)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첨가하여 상기 혼합 용액을 제조할 수 있고, 행성 볼밀(planetary ball mill) 또는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해서 상기 혼합 용액에 대한 밀링(milling) 및/또는 혼합(mixture) 공정을 수행한 다음, 이를 별도의 용기에 옮겨 건조 공정을 통해 IPA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함으로서, 상기 슬러리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러리를 프레싱 롤러(pressing roller)를 이용해서 적절한 두께의 필름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 형태의 전극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개시한 전극층(12)의 형성방법은 예시적인 것이고, 이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층(12)을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으로 제조하는 경우, 전극층(12)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전극층(12)의 제조시, 다양한 첨가제의 혼합이 용이하므로 전극층(12)의 특성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전극층(12)의 두께는, 예컨대, 약 100∼500 ㎛ 정도 또는 약 200∼300 ㎛ 정도의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전극층(12)은 다수의 입자(입자상)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다수의 입자의 평균 입경은, 예컨대, 약 30∼70 nm 또는 약 40∼60 nm 정도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극층(12)을 제1 집전체층(22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제1 집전체층(22a)은 제1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 폼(metal foam)은, 예컨대, 니켈 폼(Ni foam)일 수 있다. 이 경우, NiOx를 제거하지 않은 니켈 폼(Ni foam) 또는 NiOx를 제거한 니켈 폼(Ni foam) 으로 구성된 제1 집전체층(22a) 상에 적절한 사이즈로 컷팅된 전극층(12)을 배치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집전체층(22a) 상에 배치된 전극층(12) 상에 제2 집전체층(22b)을 배치할 수 있다. 제2 집전체층(22b)은 제2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 폼(metal foam)은, 예컨대, 니켈 폼(Ni foam)일 수 있다.
전극층(12) 상에 제2 집전체층(22b)을 배치한 다음,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체에 대한 프레싱(pressing)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집전체층(22a) 상에 전극층(12) 및 제2 집전체층(22b)이 순차로 적층된 적층 구조체를 소정의 프레스 장치(press machine)를 이용해서 압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싱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필요한 경우, 소정의 가열 공정을 추가적으로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싱 공정 후, 상기 적층 구조체에 대한 소정의 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공정은, 예컨대, 상온 내지 상온 보다 높은 온도(예컨대, 약 70℃ ~ 100℃)에서 수 시간 이내로 진행할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건조 공정의 조건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및 이로부터 변형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100, 100A)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a 내지 도 3d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해서, 전극층(15)이 제1 및 제2 집전체층(25a, 25b)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갖는 공기극 구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를 적용한 금속-공기 전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는 양극부(cathode portion)(100) 및 양극부(100)와 이격된 음극부(anode portion)(200)를 포함할 수 있고, 양극부(100)와 음극부(200)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층(electrolyte layer)(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공기 전지는 양극부(100)와 음극부(200) 사이에 분리막(separator)(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막(170)을 통과하여 전해질층(150)의 전해질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금속-공기 전지는 양극/전해질/분리막/전해질/음극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양극부(100)는 공기 중의 산소(O2)를 활물질로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극 구조,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기극 구조(100, 100A)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양극부(100)는 탄소계 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층(10)이 제1 및 제2 집전체층(20a, 20b)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극부(100)는 별도의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음극부(200)는 금속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Li), 나트륨(Na), 아연(Zn),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알루미늄(Al) 또는 이들 중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극부(200)는 리튬(Li)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극부(200)는 리튬, 리튬 기반의 합금, 리튬 삽입 화합물(lithium intercalating compou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극부(200)가 리튬을 포함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는 "리튬-공기 전지"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극부(200)에 접촉된 음극집전체(anode current collecto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극집전체와 전해질층(150) 사이에 음극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극집전체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SUS)을 포함하거나, 그 밖에 다른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집전체는 음극부(200)에 포함된 것으로 여길 수도 있다.
전해질층(150)은 수계 전해질(aqueous electrolyte) 및/또는 비수계 전해질(non-aqueous electrolyt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질층(150)은 액체 전해질 및/또는 고체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층(150)의 전해질은 투수성의 분리막(즉, 170)이나 매트릭스층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전해질층(150)은 유리 섬유 분리막(glass fiber separator) 및 이에 함유된 소정의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전해질층(15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인 금속-공기 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은 어느 것이든 전해질층(150)에 적용될 수 있다.
음극부(200)로부터 금속 이온이 제공될 수 있고, 양극부(100)를 통해서 공기 중의 산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이온과 산소가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면서 전지 특성이 발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방전시에는, 음극부(200)의 금속이 전자(e-)를 내놓으면서(산화) 금속 이온이 되어 전해질층(150)을 통해서 양극부(100)로 이동하여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금속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충전시에는, 상기 금속산화물이 분해되어 산소는 양극부(100)를 통해 방출될 수 있고, 금속 이온은 음극부(200)로 이동하여 환원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금속-공기 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기극 구조(양극부)의 형성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전지의 제조방법은 공기극 구조를 갖는 양극부,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부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또는 전해질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공기극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를 기초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배제한다.
도 6은 제1 비교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를 적용한 금속-공기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상기 제1 비교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는 니켈 폼(Ni foam) 집전체 상에 프리-스탠딩 전극(즉, 도 3a의 12)을 올려놓고 프레싱(pressing)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 경우, 공기극 구조는 샌드위치 형태를 갖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100, 100A)에서 한쪽 집전체층(ex, 20b, 21b)이 배제된 것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도 7은 제2 비교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를 적용한 금속-공기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상기 제2 비교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는 니켈 폼(Ni foam)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용 슬러리를 도포(coating)한 후, 건조함으로써 제조한 것이다. 즉, 프리-스탠딩 전극(즉, 도 3a의 12)을 사용하지 않고, 슬러리 코팅 방법을 이용해서 니켈 폼(Ni foam) 집전체 상에 전극층을 형성한 경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를 적용한 금속-공기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의 평가에 적용된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층이 제1 및 제2 집전체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갖는다.
도 6 내지 도 8의 테스트에서 공기극의 두께는 약 0.5 mm 였고, 전류 밀도가 10 mA/g, 전압 윈도우(voltage window)가 2.0∼4.2V인 기준에서 풀 깊이(full depth) 테스트 분위기에 변화를 주어 충방전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때, 금속-공기 전지(리튬-공기 전지) 시스템에 사용된 활물질 가스 분위기는 수분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은 O2 분위기였다.
도 6 내지 도 8의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제1 비교예의 경우, 첫번째 사이클에서 약 5584 mAh/g으로 많은 용량을 나타냈지만, full depth charge-discharge의 경우 1회 사이클에서 종료가 되었고, 충전 곡선(curve)도 불안한 양상을 보였다.
도 7의 제2 비교예의 경우, 첫번째 사이클의 용량은 약 2442 mAh/g으로 높은 용량을 나타냈지만, 충전에 있어서 불안정한 양상을 보였으며, 두 번의 사이클 후 테스트가 종료되었다.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충전 곡선에 있어서 안정적인 양상을 보이고,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용량 저하가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테스트 범위 내에서 수회(적어도 5회) 이상의 사이클까지 안정적으로 작동하였다. 이로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비교예에 따른 샘플에 비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샘플이 셀 저항 및 효율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향후 안정적인 충방전 효율 및 사이클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공기 전지의 성능 및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극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금속-공기 전지의 양극 로딩량을 안정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용량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극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극 구조를 적용한 금속-공기 전지는 전기자동차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11, 12 : 전극층
20a, 21a, 22a : 제1 집전체층
20b, 21b, 22b : 제2 집전체층
100, 100A : 공기극 구조(양극부)
150 : 전해질층
170 : 분리막
200 : 음극부

Claims (22)

  1.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로서,
    탄소계 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전극층의 제1면에 구비된 것으로, 제1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1 집전체층; 및
    상기 전극층의 제2면에 구비된 것으로, 제2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2 집전체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층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극층은 그 단독으로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층은 상기 전극층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전극층의 측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구조를 갖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air electrode structur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carbon black)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PTFE)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
  5. 삭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100∼500 ㎛의 두께를 갖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다수의 입자의 평균 입경은 30∼70 nm인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 중 적어도 하나는 니켈 폼(Ni foam)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은 니켈 폼(Ni foam)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
  10. 삭제
  11. 청구항 1 내지 4 및 청구항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극 구조를 갖는 양극부;
    상기 양극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부로부터 제공된 금속 이온과 상기 양극부를 통해 제공된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하는 금속-공기 전지(metal-air battery).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부의 상기 금속은 리튬(lithium)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공기 전지는 리튬-공기 전지인 금속-공기 전지.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공기 전지는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에 구비된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14. 제 11 항에 따른 상기 금속-공기 전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15.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형성방법으로서,
    탄소계 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전극층을 제1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1 집전체층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집전체층 상에 배치된 상기 전극층 상에 제2 금속 폼(metal foam)을 포함하는 제2 집전체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극층은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층은 상기 전극층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전극층의 측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구조를 갖도록 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형성방법.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계 물질, 상기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대한 밀링(milling) 및/또는 혼합(mixture)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차례로 수행하여 상기 혼합 용액으로부터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리를 필름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형성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은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optionally), 상기 카본 블랙(carbon black)은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형성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형성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폼(metal foam) 중 적어도 하나는 니켈 폼(Ni foam)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형성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체층 상에 상기 전극층 및 상기 제2 집전체층이 순차로 적층된 적층 구조체를 프레스 장치(press machine)를 이용해서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구조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용 공기극 구조의 형성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공기극 구조를 갖는 양극부,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부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5 및 청구항 17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해서 상기 공기극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의 제조방법.
KR1020200053704A 2020-05-06 2020-05-06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33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04A KR102336961B1 (ko) 2020-05-06 2020-05-06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04A KR102336961B1 (ko) 2020-05-06 2020-05-06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19A KR20210135719A (ko) 2021-11-16
KR102336961B1 true KR102336961B1 (ko) 2021-12-14

Family

ID=7871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704A KR102336961B1 (ko) 2020-05-06 2020-05-06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9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4383A (ja) * 2012-04-02 2013-10-17 Sony Corp 空気電池、空気電池の使用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8500751A (ja) 2015-01-21 2018-01-1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リチウム空気電池
JP2020038801A (ja) * 2018-09-05 2020-03-12 スズキ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735A (ko) * 2012-08-14 2014-02-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공기전지(Li-Air battery)용 공기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공기 전지(Li-Air battery)
KR102654517B1 (ko) * 2018-07-23 2024-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우치형 금속공기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4383A (ja) * 2012-04-02 2013-10-17 Sony Corp 空気電池、空気電池の使用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8500751A (ja) 2015-01-21 2018-01-1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リチウム空気電池
JP2020038801A (ja) * 2018-09-05 2020-03-12 スズキ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19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7987B2 (en)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CN104752661B (zh) 用于锂-硫二次电池的隔膜
US20100261061A1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pla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WO2017046915A1 (ja) 二次電池用複合電解質、二次電池及び電池パック
US11476522B2 (en) Metal-air battery
JP5864563B2 (ja) マグネシウム系電池
KR20150057260A (ko) 리튬 공기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공기 전지
JPWO2017046917A1 (ja) 二次電池用複合電解質、二次電池及び電池パック
WO2019097830A1 (ja) 空気電池用正極及び空気電池
US10608259B2 (en) Lithium-ai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aengkaew et al. Self-standing porous carbon electrodes for lithium–oxygen batteries under lean electrolyte and high areal capacity conditions
US20180254439A1 (en) A lithium-ion button cell
JP7117662B2 (ja) 空気電池用正極及び空気電池
KR20200031444A (ko) 금속-공기 전지
US20180183069A1 (en) Cathode for lithium air battery having improved capacity
KR102173937B1 (ko) 가역적 나트륨 공기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6961B1 (ko) 공기극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0521040B (zh) 空气电池用正极和空气电池
US9843080B2 (en) Magnesium-base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KR20220009280A (ko)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87700A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39183B1 (ko) 양극 재료와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655802B1 (ko)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3421B1 (ko) 리튬 공기 전지의 양극용 촉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공기 전지
US20230067263A1 (en) Separator coating layer for lithium metal battery, separator for lithium metal battery, and lithium metal battery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