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681B1 -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681B1
KR102336681B1 KR1020210008439A KR20210008439A KR102336681B1 KR 102336681 B1 KR102336681 B1 KR 102336681B1 KR 1020210008439 A KR1020210008439 A KR 1020210008439A KR 20210008439 A KR20210008439 A KR 20210008439A KR 102336681 B1 KR102336681 B1 KR 10233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power
lever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21000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B08B1/002
    • B08B1/0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소 접속반(200)으로부터 인버터(300)로 인입되는 케이블(301)별로 각각 설치되는 전류 센서부(310); 상기 전류 센서부(310)에서 측정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통신부(320); 및
상기 전류 데이터를 인버터(300)별로 인입되는 접속반(200)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하고, 인버터별 접속반(200) 전류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태양전지 어레이(100), 접속반(200) 및 인버터(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400)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태양전지 어레이(100)는 직류전류를 출력하여 접속반(200)에 제공하되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100) 근접위치에 제1태양전지 모듈(100a)의 상측 평면을 주기적으로 청소되는 제1태양전지 모듈(100a)의 발전 전력량이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100) 근접위치에 설치되고,
제 2태양전지 모듈(100b)의 상측 평면을 청소하지 않을 제 2태양전지 모듈(100b)의 발전 전력량에 비해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태양전지 어레이(100) 전체 평면을 청소하도록 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Solar panel cleaning robot using Sensor}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시스템을 장착한 제1태양전지 모듈의 청소 후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전력량이 청소하지 않은 제2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전력량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태양전지 어레이 발전소 전체에 시설된 태양전지 어레이를 청소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최근 들어, 지구의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세계적으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권이 하나의 상품화 되어 각 나라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규제정책 및 신, 재생에너지 시설에 대한 장려정책이 제도화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에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최근 몇 년간 주요한 발전시스템으로 권장되면서 많은 시설이 개발되고, 현장에 설치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장치의 특성상 태양광에 직접적인 노출이 확보되는 옥외에 설치되거나, 일조권이 잘 확보될 수 있는 한적한 곳에 설치됨에 따라 운영자에 의한 직접적인 시스템의 모니터링이나 제어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1032489호의 태양광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은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태양전지모듈;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통해 발생되는 발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1센서모듈,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된 위치의 온도 및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기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제 2센서모듈, 상기 발전 전력량 및 상기 기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동작 상태에 상응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청소 여부 또는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태양광발전장치;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력 출력단자와 태양광발전장치가 장착된 접속단자함; 및 상기 태양광발전장치로부터 상기 발전 전력량 및 기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 데이터로써 수집하고 분석하여 상기 태양광발전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는 종합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1센서모듈 또는 상기 제2 센서모듈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더 획득하고, 현재 시점에 획득된 발전 전력량이 이전 시점에 획득된 발전 전력량보다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는 대상 태양전지모듈에
대해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다른 태양전지모듈로부터 현재 시점에 획득된 발전 전력량이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상기 대상 태양전지모듈의 동작 상태를 이상 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청소 또는 데이터 전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하고 있다.
이전 발전량과 현재 발전량을 비교하여 태양전지모듈의 청소 여부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다 보니 날씨가 지속적으로 흘러 일조량이 불규칙 하는 경우 이전 발전량과 현재 발전량의 비교에 있어 정보가 불규칙하여 실뢰할 수 있는 정보가 된다.
그리고 공개번호 10-2020-0109066호의 태양광발전 패널 청소로봇 장치를 살펴보면 태양광발전소 전체를 청소하는 장치로서 설비가 대형시스템으로 장비가 복잡하고 시설 설치비용 등을 감안할 때 현실성이 없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 1태양광 모듈 샘플에 청소시스템을 설치하고, 다른 제 2태양광 모듈 샘플에는 청소시스템을 설치하지 않는다.
그 후 청소시스템을 장착한 제 1태양전지 모듈의 청소 후 상기 제 1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전력량이 청소하지 않은 제 2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전력량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태양전지 어레이 발전소 전체에 시설된 태양전지 어레이를 청소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태양전지 어레이(100) 근접위치에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의 상측 평면을 주기적으로 청소되는 상기 제 1태양전지 모듈(100a)과. 상기 제 1태양전지 모듈
(100a)과 전력생산량을 비교하는 비교대상의 제 2태양전지 모듈(100b)으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비가 내리면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100a)로부터 빗물이 흘러내려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100a)의 경사면 하단에 취합되도록 하는 빗물받이(600)를 형성하고 상기 빗물받이(600)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수로(610)와;
상기 수로(610) 일측에 상기 수로(610)로 흘러내리는 빗물에 간섭을 받으면 움직이거나 하강하는 동작부(620)를 위치하되
비(눈이 녹은 날 포함)가 내리는 날에만 움직여 동작하는 상기 동작부(620)는 상기 동작부(620)에 레버(621)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레버(621) 타측은 중량물(622)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 중심부는 힌지(623)로 연결된 레버장치(624)와;
상기 레버장치(624) 상측내지는 하측에 상기 레버장치(624)에 간섭을 받아
전원이 온/오프되는 스위치(630)와;
상기 스위치(630)가 온/오프 되면 태양전지 모듈에서 충전된 배터리(700)의 전력을 제어부(500d)을 통해 인가받거나 차단받아 동작하는 구동모터(500)와
상기 구동모터(500)의 구동부에 브러시(520)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520) 타측 길이 방향은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의 평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수로(610)로 흘러내리는 빗물에 간섭을 받아 동작부(620)가 하강하면
상기 레버(621) 일측에 형성한 중량물(622)이 상기 힌지(6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스위치(630)를 온'시키면 상기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5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브러시(520)가 상기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의 표면을 청소 한 다음
상기 청소한 제1태양광 모듈(100a)의 발전 전력량과
삭제
삭제
삭제
청소하지 않은 비교대상의 제2태양광 모듈(100b)의 발전 전력량을 제어부(100a,b)를 통해 서로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태양광모듈 전체 평면을 청소하도록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청소시스템을 장착한 제 1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전력량이 청소시스템 장치가 없는 제 2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전력량에 비해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태양전지 어레이 발전소 전체에 시설된 태양전지 어레이를 청소하도록 하는 모니터링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태양전지 발전소를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다.
특히, 비가 오는 날 그 빗물을 이용하여 제 1태양전지 모듈을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여 시설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발전소의 모니터링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가 부설된 태양전지 어레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흐름도,
도 7은 도 5에서 동작부의 형상이 다른 상태에서 실시예의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태양전지 어레이(100)는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어레이로 구성되어 직류전류를 출력하여 접속반(200)에 제공할 수 있다. 태양전지 어레이(100)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이 직렬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접속반에 복수개의 태양전지 어레이가 연결될 수 있다.
접속반(200)에는 복수개의 태양전지 어레이(100)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반(200)은 태양전지 어레이(100)와 인버터(300)를 연결하여 태양전지 어레이(100)에서 발생되는 직류 전력을 직/병렬로 연결하여 집합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는 퓨즈 및 역전류 방지를 위한 다이오드가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인버터에는 복수개의 접속반이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300)는 접속반(200)에서 직류 형태로 제공되는 발전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켜 부하단(미도시)에 공급할 수 있다. 인버터(300)는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인버터(300)는 복수개의 접속반(200)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직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 모니터링 장치는 인버터(300)로 인입되는 케이블(301)에 설치되는 전류 센서부(310), 인버터함 또는 전기실함 내부에 장착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20) 및 통신부(320)로부터 전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태양광발전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전류 센서부(310)는 태양광 발전소 접속반으로부터 인버터(300)로 인입되는 케이블(301)별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류 센서부(310)는 예를 들면 인버터(300)에 인입되는 케이블(301) 각각에 설치되는 고리 형태의 변류기 일 수 있다. 전류 센서부(310)는 인버터(300)로 인입되는 케이블(301)별로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 데이터를 통신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홀 소자 또는 퓨즈 소자를 이용하여 인버터(300)에 인입되는 케이블(301) 각각에 설치되어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전류 센서부(310)에서 측정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인버터(300)를 수용하고 있는 함체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함체 내부로 인입되는 접속반(200)과 인버터(300)를 연결하는 케이블(301)에 설치된 전류 센서부(310)에서 계측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링부(400)로 전송할 수있다.
모니터링부(400)는 통신부(320)로부터 전송받은 전류 데이터를 인버터(300)별로 인입되는 접속반(200)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하고, 인버터별 접속반 전류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태양전지 어레이, 접속반 및 인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400)는 인버터(300)별로 인입되는 접속반에 따라 분류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400)는 복수개의 인버터를 수용하고 있는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전기실 외부의 관리실, 상황실 등에 구현될 수 있다.
다음 구성을 살펴본다.
태양광 발전소 접속반(200)으로부터 인버터(300)로 인입되는 케이블(301)별로 각각 설치되는 전류 센서부(310); 상기 전류 센서부(310)에서 측정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통신부(320); 및
상기 전류 데이터를 인버터(300)별로 인입되는 접속반(200)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하고, 인버터별 접속반(200) 전류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태양전지 어레이(100), 접속반(200) 및 인버터(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400)를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태양전지 어레이(100)는 직류전류를 출력하여 접속반(200)에 제공하되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100) 근접위치에 제1태양전지 모듈(100a)의 상측 평면을 주기적으로 청소되는 제1태양전지 모듈(100a)의 발전 전력량이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100) 근접위치에 설치되고,
제 2태양전지 모듈(100b)의 상측 평면을 청소하지 않은 상기 제 2태양전지 모듈(100b)의 발전 전력량에 비해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태양전지 어레이(100) 전체 평면을 청소하도록 하는 모니터링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100) 하단에 빗물받이(태양전지 어레이가 될 수 있음)를 형성하고 상기 빗물받이(600)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모아 일측으로 배출되도록하는 수로(610)와; 상기 수로(610)일측에 상기 수로(610)로 흘러내리는 빗물에 간섭을 받으면 움직이거나 하강하는 동작부(620)와;
상기 동작부(620)에 레버(621)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레버(621) 타측은 중량물(622)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 중심부은 힌지(623)로 연결된 레버장치(624)와;
상기 레버장치 상측내지는 하측에 상기 레버장치(624)에 간섭을 받아
전원이 온/오프되는 스위치(630)와;
상기 스위치(630)가 온/오프되면 태양전지 모듈에서 충전된 배터리(700)의 전력을 제어부(500d)을 통해 인가받거나 차단받아 동작하는 구동모터(500)와
상기 구동모터(500)의 구동부에 브러시(520)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520) 타측 길이방향은 제1태양전지 모듈(100a)의 평면에 밀착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 비가 내리면 경사지게 설치된 제1태양전지 모듈(100a)로부터 비물이 흘러내려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100a)의 경사면 하단에 있는 수로(610)로 취합되어 상기 수로(610) 일측 하단에 위치된 동작부(620)에 낙하한다. 그 낙하하는 물의 수압에 타격을 받으면 동작부(620)가 일정거리 하강한다.
그로 인해 도시와 같이 레버장치(624)가 힌지(623)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 상기 레버장치(624)의 중량물(622)이 상승하여 상기 중량물 상측에 있는 스위치(630)를 간섭하여 상기 스위치(730)를 온 시킨다. 그러면 제어부를 통해 배터리(700)의 전력이 구동모터(500)에 인가 된다.
이 전력 인가로 구동모터가 설정된 제어신호에 따라 브러시(620)를 회전시키거나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시키면서 제 1태양전지 모듈(100a) 평면을 청소한다.
그러나 빗물이 없을 경우 빗물에 타격을 받지 않아 동작부가 원위치 된다. 이때는 스위치(630)가 오프된다.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100)가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100)가 물받이가 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620)에 레버(621)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레버(621) 타측은 중량물(622)이 설치되며 상기 레버(621) 중심부는 힌지(623)로 구조물(제1태양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연결하되 상기 중량물(622)은 상기 레버(621) 타측 방향에서 상기 힌지(623)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강수량에 따라 중량물(622)을 상기 레버(6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 강수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중량물(622)을 힌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량물의 자중력을 낮추고 강수량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중량물의 자중력을 높인다.
이처럼 하는 이유는, 강수량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만 수로(610)로 낙하하는 물의 수압에 타격을 받아 동작부(620)가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슬비가 내리는 경우까지 작동하게 되면 불필요한 작동에 해당하여 기기들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된다.
특히, 겨울철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에 쌓인 눈이 녹아 수로를 통해 흘러내리는
약한 수압에 의해 동작부(620)가 하강하는 경우 불필요한 작동이 된다.
만약 약한 수압에 위해 구동모터 작동으로 브러시가 눈을 쓸어내리지 못할 경우 구동모터에 부하가 발생하여 화재로 이어진다.
이를 감안하여 약한 수압에 동작부(620)가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하강하지 않도록 중량물(622)을 레버(621)의 타측 끝단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중량물(622)을 상기 동작부(620)와 중량을 비교할 경우 그 중량이 더 무겁게 함으로써 동작부(620)가 상승한 위치에 있다.
상기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의 일측에 구동모터(500)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500)의 구동부(510)에 브러시(520)를 설치하며,
상기 제 1태양전지 모듈(100a) 일측에 일시적으로 빗물을 받아 두는 수조(530)와, 상기 수조(530) 내부에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표(540)가 있는 부력수위센서(540a)와, 상기 부력수위센서(540)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500)가 구동하면 상기 구동부(510)에 연결된 브러시가 움직여 상기 제 1태양전지 판넬(100a) 평면을 청소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100)이 어레이로 구성된 태양전지 어레이(100)에 해당하는 태양전지 모듈(100) 일측에 상기 제 1태양전지 판넬(100a)에 장착한 브러시(520)와 같이 브러시를 장착하여 청소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대한 실시예, 수조(530)에 물이 유입되면 수위와 함께 부표(540)가 상승하여 부력수위센서(540a)의 스위치가 온 되어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에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동모터(500)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러면 구동모터(500)가 브러시(520)를 동작하여 태양정지 모듈을 청소한다.
상기 부표(540)는 수위가 상승할 경우에만 상승하여 스위치(540b)를 온 하고 수위가 없을 경우 부표가 하강하여 스위치(540b)는 오프된다.
그러므로 수위가 지속되는 경우 구동모터(500)가 지속적으로 작동함으로 이를 정지시키기 위해 제어부에 타이머(미도시)를 구성하여 일정시간 구동모터(500)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후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측정용 제 1태양전지 모듈(100a) 청소는 비오는 날에만 하더라도 비교대상인 제 1태양전지 모듈(100a)과, 비교대상인 제 2태양전지 모듈(100b)과 비교가 가능하다.
즉, 매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간혹 분기별로 비교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청소시기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비가 오는 날 청소하기 때문에 수조(530)에 인위적으로 물을 채워둘 필요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비가 내리면 작은 수조(530)에 물이 채워지고 그로 인해 수위가 부표(540)와 함께 상승하여 스위치(540b)를 온 한다.
그로인해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500)가 동작하면 구동부(510)와 연결시킨 브러시(520)가 좌우나 상하로 움직여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의 평면을 청소한다.
이와 같이 청소한 제1태양전지 모듈(100a)과 청소하지 않은 제2태양전지 모듈(100b)은 전력생산에 있어 차이점이 발생된다.
즉,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의 발전 전력량이 청소시스템 장치가 없는 제2태양전지 모듈(100b)의 발전 전력량에 비해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태양전지 어레이 발전소 전체에 시설된 태양전지 어레이를 청소하도록 모니터링하여 관리자측에 전송한다.
상기 수조(530)는 상측으로부터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되 상기 수조(530) 상측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거름망(550)과;
상기 수조(530) 내부에 수위에 의해 상승하는 부표(540)와;
상기 부표(540)와 연결되어 상기 부표(540)가 상승하면 동작하여 전온이 온/오프하는 스위치(540b)와, 상기 스위치(540b)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500)가 동작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모터(500)는 태양전지 모듈(100a)에서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수조(530) 하단에 배수구(560)를 형성하되 수조(530)상측으로 유입되는 물(빗물 포함) 유입량보다 상기 배수구(560)로 배출되는 배출량이 적을 경우에 수조(530)에 수위가 상승하도록 하여 그 상승된 수위에 의해 부표(540)가 상승되는 구조이다.
상기처럼 하는 이유는, 물이 지속적으로 수조에 유입되지 않을 경우 수조(530)를 비워두기 위함이다. 비워두지 않을 경우 동파가 발생할 수 있고 수조로 유입된 이물질이 쌓일 수 있고, 유입된 이물질이 있더라도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 이물질과 같이 함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수조(530) 상측의 물 유입구는 크고, 상기 수조(530) 하단의 배수구(560)는 상기 물유입구 보다 작다.
상기 부력수위센서(540a)를 부표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는 이유는 겨울철 부표 등 동작 부분이 얼게 되는데 이때 구동모터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습도센서를 적용할 경우 눈이 내리는 날 구동모터(500) 구동부(510) 등이 얼어 있어도 습도가 감지되면 구동모터가 동작할 수 있다.
특히 폭설이 내리면 브러시는 그 눈을 쓸어내릴 수 없어 구동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그 구동모터가 과열된다.
그러면 구동모터(500)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가 가열되어 화재로 이어질 수 있고, 이슬에 의한 수분에도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제어부에 복잡한 기능을 추가하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비용면에서 비현실적이다.
상기 브러시는 도시와 같이 구동부(510)에 일측이 연결되어 구동모터가 회전을 하면 브러시 타측이 회전하면서 제 1태양전지 모듈을 청소할 수 있고 구동부가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면 좌우운동을 반복하면서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부력수위센서(540a)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스위치 수위센서로서 부표가 상승하면 스위치가 온 되도록 구성된 제품이다.
즉 스위치와 한 몸체이다.
상기 수위센서는 구글, 다음, 네이버 등에서 '스위치수위센서'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그 기능도 확인할 수 있다.
100 : 태양전지 어레이
200 : 접속반
300 : 인버터
301 : 케이블
310 : 전류 센서부
320 : 통신부
400 : 모니터링부
500 : 구동모터
510 : 구동부
520 : 브러시
530 : 수조
540 : 부표

Claims (2)

  1. 태양전지 어레이(100) 근접위치에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의 상측 평면을 주기적으로 청소되는 상기 제 1태양전지 모듈(100a)과. 상기 제 1태양전지 모듈
    (100a)과 전력생산량을 비교하는 비교대상의 제 2태양전지 모듈(100b)으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비가 내리면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100a)로부터 빗물이 흘러내려 상기 제1태양전지 모듈(100a)의 경사면 하단에 취합되도록 하는 빗물받이(600)를 형성하고 상기 빗물받이(600)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수로(610)와;
    상기 수로(610) 일측에 상기 수로(610)로 흘러내리는 빗물에 간섭을 받으면 움직이거나 하강하는 동작부(620)를 위치하되

    비(눈이 녹은 날 포함)가 내리는 날에만 움직여 동작하는 상기 동작부(620)는 상기 동작부(620)에 레버(621)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레버(621) 타측은 중량물(622)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 중심부는 힌지(623)로 연결된 레버장치(624)와;
    상기 레버장치(624) 상측내지는 하측에 상기 레버장치(624)에 간섭을 받아
    전원이 온/오프되는 스위치(630)와;

    상기 스위치(630)가 온/오프 되면 태양전지 모듈에서 충전된 배터리(700)의 전력을 제어부(500d)을 통해 인가받거나 차단받아 동작하는 구동모터(500)와
    상기 구동모터(500)의 구동부에 브러시(520)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520) 타측 길이 방향은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의 평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수로(610)로 흘러내리는 빗물에 간섭을 받아 동작부(620)가 하강하면
    상기 레버(621) 일측에 형성한 중량물(622)이 상기 힌지(62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스위치(630)를 온'시키면 상기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5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브러시(520)가 상기 제 1태양전지 모듈(100a)의 표면을 청소 한 다음

    상기 청소한 제1태양광 모듈(100a)의 발전 전력량과
    청소하지 않은 비교대상의 제2태양광 모듈(100b)의 발전 전력량을 제어부(100a,b)를 통해 서로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 차이가 있으면 태양광모듈 전체 평면을 청소하도록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KR1020210008439A 2021-01-21 2021-01-21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 KR102336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39A KR102336681B1 (ko) 2021-01-21 2021-01-21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39A KR102336681B1 (ko) 2021-01-21 2021-01-21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681B1 true KR102336681B1 (ko) 2021-12-06

Family

ID=7893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39A KR102336681B1 (ko) 2021-01-21 2021-01-21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6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443U (ja) * 1981-07-18 1983-01-2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太陽熱集熱器の透光板清掃装置
KR20120136737A (ko) * 2011-06-10 2012-12-20 쓰리로드주식회사 청소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기
KR20150100106A (ko) * 2014-02-24 2015-09-02 편도현 간단한 구조의 태양전지판 청소장치
JP2016082763A (ja) * 2014-10-20 2016-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太陽光パネル洗浄システム
KR101682398B1 (ko) * 2016-05-27 2016-12-05 (주)주원에프이 태양전지판의 오염진단 및 세척기능을 갖는 태양광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443U (ja) * 1981-07-18 1983-01-2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太陽熱集熱器の透光板清掃装置
KR20120136737A (ko) * 2011-06-10 2012-12-20 쓰리로드주식회사 청소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기
KR20150100106A (ko) * 2014-02-24 2015-09-02 편도현 간단한 구조의 태양전지판 청소장치
JP2016082763A (ja) * 2014-10-20 2016-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太陽光パネル洗浄システム
KR101682398B1 (ko) * 2016-05-27 2016-12-05 (주)주원에프이 태양전지판의 오염진단 및 세척기능을 갖는 태양광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1495B2 (en) System for the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remote autonomously powered lighting installations
CA2874770C (en) System for the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remote autonomously powered lighting installations
KR101221933B1 (ko) 영상분석에 의한 이물질 모니터링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65840A1 (en) Solar panel efficiency estimator
CN108599705A (zh) 一种光伏智能运维机器人
KR102336678B1 (ko)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장치
JP6231714B1 (ja) 異物積層防止装置
CN106226357A (zh) 一种光伏组件表面积灰检测装置及方法
CN104457905A (zh) 水位监测预警装置和方法
KR20130088345A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세척 및 냉각 시스템
KR101965812B1 (ko) 태양광 패널 냉각 시스템
KR102336681B1 (ko)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장치
KR101870300B1 (ko)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고장진단방법
CN210669971U (zh) 光伏跟踪的防雪保护装置及防雪光伏跟踪机构
CN208656708U (zh) 一种光伏智能运维机器人
KR102293988B1 (ko)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청소로봇을 이용한 태양전지 패널 청소시스템
KR20210084844A (ko) 태양광 패널 이물질 제거 시스템
KR20220145185A (ko) 태양광 발전소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시스템
CN213093883U (zh) 光伏发电储能系统的多功能自动切换装置
KR100943033B1 (ko)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설비 수용 시스템
TWI788513B (zh) 太陽能模組
KR102397092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열복합을 이용한 히트펌프 냉난방 시스템을 위한 스마트 그리드 모니터링방법
CN110601335A (zh) 一种能自动除雪除尘的太阳能发电装置
KR102535597B1 (ko) 태양광 전력생성 효율 상승을 위한 불량부품 검출 및 우회작동 시스템
KR20220145159A (ko) 태양전지 모듈의 최적 경사각과 방위각 선정 알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