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480B1 -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480B1
KR102336480B1 KR1020210028606A KR20210028606A KR102336480B1 KR 102336480 B1 KR102336480 B1 KR 102336480B1 KR 1020210028606 A KR1020210028606 A KR 1020210028606A KR 20210028606 A KR20210028606 A KR 20210028606A KR 102336480 B1 KR102336480 B1 KR 102336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segment
image process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수응
나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Priority to KR102021002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480B1/en
Priority to PCT/KR2021/005986 priority patent/WO202218642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7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K9/006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 segment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 segments may comprise: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receiving a photographed image of an arbitrary space; and a control unit segmenting and automatically classifying a plurality of regions wherein designated different types of objects including a place in the received photographed image are included into each region and processing an event for each segment based on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Description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촬영 영상 내의 배경에 포함되는 지정 객체의 세그먼트화를 통해 각 세그먼트에 관련되는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a driving method of th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event related to each segment through segmentation of a specified object included in a background in a captured image, for example. It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a driving method of the apparatus.

최근 들어 공공장소, 사무실, 주택, 우범 지역 등에는 범죄를 예방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은 수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동시에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수의 감시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획득된 각각의 영상정보는 관제실의 내부에 마련된 관제모니터에 표출되게 된다. 이때 관제모니터의 화면은 감시카메라의 수에 대응되게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분할 구성되어 각각의 영상정보가 상호 구분되게 관제모니터에 표출되게 된다.Recently, a large number of surveillance cameras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simultaneously in public places, offices, houses, and crime-prone area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rime and enhancing security. Each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being photographed in real time through such a large number of surveillance cameras is displayed on a control monitor provided inside the control room. At this time, the screen of the control monitor is divided into hardware or software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surveillance cameras, and each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이와 관련해 종래에는 한정된 수의 관제요원들이 모든 CCTV의 카메라 영상을 관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다시 말해 특정 이벤트의 영상만을 관제요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지능형 관제를 수행하거나, 또는 감시 영역에서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고, 관심 영역에 대한 이벤트만을 감시하는 방식으로 관제요원의 관제에 따른 피로감을 줄이는 방식으로 기술이 개선되고 있다.In this regard, in the prior art, since it is impossible for a limited number of control personnel to control all CCTV camera images, intelligent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control personnel can check only the necessary, that is, images of a specific event, or the area of interest (ROI) in the monitoring area. ) and monitoring only the events in the area of interest, the technology is improving in a way that reduces the fatigue caus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personnel.

그런데, 종래 ROI 방식은 이벤트 종류가 많을 경우 반복적인 설정 작업이 많아지므로 설정에 번거로움이 있으며, 지정된 ROI 이외의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감지가 안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벤트 결과 확인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ROI 이외의 영역에서 발생한 복합적인 상황 인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I method, when there are many types of events, repetitive setting tasks are increased, so setting is cumbersome, and when an event occurs in an area other than the designated ROI,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detec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complex situations occurring in areas other than the ROI because the purpose is to confirm the event result.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9977호(2018.08.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9977 (2018.08.1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1747호(2020.06.0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61747 (2020.06.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6733호(2018.05.03)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56733 (2018.05.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28147호(2019.09.26)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8147 (2019.09.2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54610호(2020.09.0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54610 (2020.09.0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8303호(2016.10.17)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68303 (2016.10.1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촬영 영상 내의 배경에 포함되는 지정 객체의 세그먼트화를 통해 각 세그먼트에 관련되는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capable of determining an event related to each segment through segmentation of a specified object included in a background in a captured imag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apparatus, for example.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는, 임의 공간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서 장소를 포함하는 지정된 서로 다른 유형의 객체가 포함되는 복수의 영역을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화(segment)하여 자동 분류하며,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를 근거로 세그먼트별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captured image of an arbitrary space, and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ing designated different types of objects including a place in the received captured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 the segmented area into each area, and processing an event for each segment based on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근거로 상기 임의 공간의 지정 객체에 대한 이벤트를 판단하고, 상기 지정 객체를 제외한 배경 영상을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화하며, 상기 판단한 이벤트를 상기 세그먼트별로 재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n event for a designated object in the arbitrary spac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segment a background image excluding the designated object into each region, and re-determine the determined event for each segment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유형의 객체로서 주택단지, 공장, 축산현장, 건설현장, 상가, 사무실, 도로, 정거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세그먼트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segmentation by detecting at least one of a housing complex, a factory, a livestock farm, a construction site, a shopping mall, an office, a road, and a station as the different types of object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객체와 관련해 판단한 이벤트에 대하여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를 근거로 복합적인 상황을 재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determine a complex situation based on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for the event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designated objec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별로 선택 가능한 이벤트 종류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세그먼트와 관련한 상기 사용자가 탐지하고 싶은 이벤트 및 이벤트 발생 조건을 각각 설정받아 상기 세그먼트별 이벤트 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resent a selectable event type for each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to the user, receive an event that the user wants to detect and an event occurrence condition related to the segment, respectively, and perform an event determination operation for each segment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으로서 객체의 종류, 크기 및 시간 정보를 각각 설정받을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type, size, and time of an object as the event occurrence condition,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영상 내의 임의 객체와 관련해 생성되는 메타 데이터 및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세그먼트별로 발생하는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priority of events occurring for each segment by using metadata and big data generated in relation to an arbitrary object in the captured i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임의 공간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서 장소를 포함하는 지정된 서로 다른 유형의 객체가 포함되는 복수의 영역을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화하여 자동 분류하며,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를 근거로 세그먼트별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driv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receiving a captured image of an arbitrary space; and automatically classifying a plurality of regions including different types of objects by segmenting them into regions, and processing an event for each segment based on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영상을 근거로 상기 임의 공간의 지정 객체에 대한 이벤트를 판단하고, 상기 지정 객체를 제외한 배경 영상을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화하며, 상기 판단한 이벤트를 상기 세그먼트별로 재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includes determining an event for a designated object in the arbitrary spac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segmenting a background image excluding the designated object into each region, and re-judging the determined event for each segment can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유형의 객체로서 주택단지, 공장, 축산현장, 건설현장, 상가, 사무실, 도로, 정거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세그먼트화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ocessing, the segmentation may be performed by detecting at least one of a housing complex, a factory, a livestock site, a construction site, a shopping mall, an office, a road, and a station as the different types of objects.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객체와 관련해 판단한 이벤트에 대하여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를 근거로 복합적인 상황을 재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may include re-judging a complex situation based on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for the event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designated object.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별로 선택 가능한 이벤트 종류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세그먼트와 관련한 상기 사용자가 탐지하고 싶은 이벤트 및 이벤트 발생 조건을 각각 설정받아 상기 세그먼트별 이벤트 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ing may include presenting a selectable event type for each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to the user, receiving an event and event occurrence condition that the user wants to detect in relation to the segment, respectively, and performing an event determination operation for each segment. can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으로서 객체의 종류, 크기 및 시간 정보를 각각 설정받을 수 있다.In the processing, the type, size, and time information of the object may be respectively set as the event occurrence condition.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영상 내의 임의 객체와 관련해 생성되는 메타 데이터 및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세그먼트별로 발생하는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In the processing, the priority of the event occurring for each segment may be adjusted using metadata and big data generated in relation to an arbitrary object in the captured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대상 또는 공간인 세그먼트에 맞는 이벤트를 제시하여 이를 근거로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ent may be presented based on an event suitable for a segment that is an object of interest or a space, and the event may be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벤트 종류가 많아도 단순한 설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이 ROI를 설정하지 않고 전체 영역을 분석하기 때문에 이벤트가 발생한 복합적인 상황 인지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setting operation can be made even if there are many types of events, and since the entire area is analyzed without setting an ROI as in the prior art,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a complex situation in which an event occurs.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추적 객체와 관련한 메타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해서 이벤트 판단시 오탐 및 미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rove false positives and false positives when determining an event by converting metadata related to a tracking object into big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그먼트 분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2의 세그먼트처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egment processing unit of FIG. 2;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그먼트 분류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그먼트 분류시스템(90)은 촬영장치(100), 통신망(110) 및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system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 or includes all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도 1의 통신망(110)이 생략되어 촬영장치(100)와 영상처리장치(12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영상처리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in,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of FIG. 1 is omitted so that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eg, P2P communication), o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Part or all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be integrated into a network device (e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may be configured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everything for the purpose.

촬영장치(100)는 감시가 필요한 임의 장소에 설치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촬영장치(100)는 고정식 카메라뿐 아니라 팬(Pan), 틸트(Tilt) 및 줌(Zoom) 동작이 가능한 PTZ(Pan-Tilt-Zoom)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장치(100)는 사회 안전(Social Safety), 범죄 예방(Crime Prevention), 사회 문제(suicide issue) 및 공공 감시(Public Surveilance)를 위하여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촬영 영상을 영상처리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장치(100)는 지하철이나 버스정류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건, 사고 등 다양한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며, 다리의 난간이나 외진 곳에서 발생하는 폭력 행위 등도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어린이집 등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통해서도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장치(100)는 영상처리장치(120)가 관제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 관제장치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or Internet Protocol (IP) camera installed at any place requiring monitoring.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TZ (Pan-Tilt-Zoom) camera capable of pan, tilt, and zoom operations as well as a fixed camera.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for social safety, crime prevention, social issue, and public surveillance and conver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20 . can provide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subway or bus stop to monitor various situations such as incidents and accidents, and may also monitor acts of violence occurring on a railing of a bridge or in a remote place. Furthermore, monitoring can be made through CCTV installed in daycare centers and the like. Whe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20 operates as a control device,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mi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interlocked.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Wibro network, etc. is meant to includ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for example, in a cloud computin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can connect to a switching center of a telephone company, etc.,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accesses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to transmit data. or by accessing various repeaters such as a Base Transmissive Station (BTS), NodeB, and e-NodeB to process data.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촬영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촬영장치(10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영상처리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AP). Her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which is often installed in a building. Femto or pico base s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access to the imaging device 100, etc. in the classification of small base stations. Of course,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and the like.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radio frequency (RF) such as ultra high frequency (UHF) and very high frequency (VHF),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may extract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transmit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he access point may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영상처리장치(120)는 가령 서버로서 영상분석장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영상처리장치(120)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장치 또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장치 등 다양하게 명명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영상 자동 세그먼트 분류 동작 이외에도 영상 분석 동작을 수행하거나 관제요원이 관제할 수 있도록 관제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촬영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지정 객체를 검출 및 분류하고, 객체를 추적하며 추적 결과를 근거로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 객체는 사람 객체 또는 사용자가 관심 갖는 관심 객체일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20)는 이러한 지정 객체 및 이벤트에 대하여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도 1의 DB(120a)에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지정 객체와 관련한 속성 정보(예: 모양, 컬러 등)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be, for example, an image analysis apparatus as a server,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regar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be variously named, such as an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pparatus or an image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Of cours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n image analysis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automatic image segment classification operation or operate as a control apparatus so that a controller can control the imag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a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to detect and classify a designated object, track the object, and determine an event based on the tracking result. . Here, the designated object may be a person object or an object of interest in which the user is intereste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generate metadata for these designated objects and events and manage them in the DB 120a of FIG. 1 .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metadata includes attribute information (eg, shape, color, etc.) related to the designated object.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기존과 같이 단순히 객체 추적 결과를 근거로 이벤트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 영사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또는 지정 객체를 제외한 객체들에 대하여 즉 촬영 영상의 배경에서 복수의 영역을 설정한 후 이를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 즉 파편화하여 세그먼트를 분류할 수 있고, 또 분류한 세그먼트별로 이벤트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위의 지정 객체의 이벤트 판단시 세그먼트를 근거로 이벤트의 종합적인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는 사용자가 세그먼트별로 설정한 이벤트에 대하여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장치(120)는 촬영 영상에서 지정 객체를 제외한 후 전경 처리하여 전경 영상에서 특정 대상에 대한 세그먼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세그먼트를 분류한 후 세그먼트별 이벤트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비관심 영역(Non-ROI) 설정을 위한 배경 영역에 대한 세그먼트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Above all,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imply determine an event based on the object tracking result as in the prior art, but rather for the entire area of the shooting projection or for objects other than a designated object. That is, after setting a plurality of areas in the background of the captured image, segments can be classified into segments, or fragments, into each area, and events are set for each classified segment. A comprehensive judgment of the event is made. Alternatively, an event set by the user for each segment may be detected.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performs segmentation on a specific object in the foreground image by performing foreground processing after excluding the specified object from the captured image. And after classifying the segments, you can set events for each segment. For example, segment classification of a background region for setting a non-ROI may be performed.

촬영 영상에서 배경에 대한 세그먼트 자동 분류는 가령 지정 객체 이외의 객체로서 주택단지, 공장, 축산현장, 건설현장, 상가, 사무실, 도로, 정거 등에 대한 세그먼트가 분류될 수 있다. 물론 종국적으로는 이러한 세그먼트 내의 객체들도 사물 객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객체에 대한 이벤트를 판단하기 위하여 특정 도구를 판단하거나 사람 객체가 소지하는 물건(예: 담배, 쓰레기 등) 등을 감지하는 것과는 구별되며, 고정된 객체이고, 기존에 이벤트 판단시 특별히 관심갖지 않는 배경에 불과한 객체라 볼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20)는 분류된 세그먼트별로 사용(혹은 선택) 가능한 이벤트 종류를 제시한다. 이는 사전에 데이터로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시된 이벤트 종류에서 탐지하고 싶은 복수개의 이벤트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of the background in the captured image, for example, segments for housing complexes, factories, livestock sites, construction sites, shopping malls, offices, roads, and stations may be classified as objects other than designated objects. Of course, eventually, objects in these segments may also correspond to thing objects. For example, in order to determine an event for an existing object, it is distinct from determining a specific tool or detecting an object possessed by a human object (eg, cigarettes, garbage, etc.) It can be seen as an object that is merely a background that is not particularly interested in poetr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presents event types that can be used (or selected) for each classified segment. This may be preset as data in advance, and the user may select a plurality of events to be detected from the suggested event type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촬영장치(100)가 특정 장소에 설치된 후 촬영 영상이 수신되면,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 객체를 중심으로 이벤트를 판단하면서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이용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된 영상에서 위에서와 같은 배경 영상 즉 배경 영역에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이 포함되면 해당 영역을 세그먼트화하여 분류하고 가령 관제요원과 같은 사용자에게 해당 세그먼트와 관련하여 설정 가능한 이벤트의 종류를 제시하여 설정받는다. 예를 들어, 건설현장에서 지정 객체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의 종류는 많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중 탐지하고 싶은 이벤트만을 선택할 수 있다. 가령, 건설현장에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가 이벤트로 감지될 수 있고, 또 화재 감지가 이벤트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재 감지에는 별로 관심이 없을 수 있으며, 추락 사고에만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120)는 지정 객체가 건설현장에서 추락 사고와 관련하여 이벤트를 최종적으로 감지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지정 객체와 관련하여 동일한 영상에서 다른 세그먼트는 도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로에서는 지정 객체와 관련하여 다른 이벤트가 감지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로에서는 지정 객체의 교통 사고 등이 이벤트로 감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영상처리장치(120)는 지정 객체를 중심으로 주변의 세그먼트화된 주변 객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이벤트를 감지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hotographed image is received after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determines an event based on a user-specified object and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segm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In the received image, if the background image as above, i.e., a factory or construction site, is included in the background area, the area is segmented and classified, and the types of events that can be set related to the segment are presented to users such as control personnel for example. receive For example, there may be many types of events that may occur in relation to a designated object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only an event to be detected among them. For example, at a construction site, a fall accident of a worker may be detected as an event, and fire detection may be detected as an event. Accordingly, the user may not be very interested in fire detection, but may be only interested in a fall acciden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finally detects an event related to a fall accident of a designated object at a construction site.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a specific object, different segments in the same image may include roads. Accordingly, the road may operate to detect other events in relation to the specified object. On the road, a traffic accident of a specified object may be detected as an event, and as such,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detects different types of ev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surrounding objects segmented around the specified object. it can be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가령 수신된 촬영 영상을 특정 대상에 대하여 세그먼트화를 수행하고, 세그먼트별로 이벤트 종류, 이벤트 발생 조건(예: 객체 종류 등)을 설정하여 이를 근거로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이다. 영상처리장치(120)는 가령 사용자에게 영상에서 탐지하고 싶은 이벤트를 N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벤트 발생 조건으로서 객체 종류, 크기, 유지 시간(혹은 시간 정보) 등을 설정하도록 하며, 그 설정에 따라 영상처리장치(120)는 이벤트 감지 동작을 시작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설정 동작은 인공지능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작업자와 건설현장에서 설정 가능한 이벤트는 특정 이벤트에 한하여 많은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이러한 주변 객체와 관련하여 설정될 수 있는 이벤트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단적으로, 주택 건설현장과 대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는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근거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화재사고를 중시한다면 후자의 경우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중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Of course,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For example, a received captured image is segmented for a specific target, an event type and event occurrence condition (eg, object type, etc.) are set for each segment, and an event is detected based on this.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llows the user to select N events to be detected in the image, and sets the object type, size, holding time (or time information), etc. as event occurrence conditions, and according to the setting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start or perform an event detection operation. Of course, since such a setting operation can be set automatically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or the 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In other words, many events that can be set by workers and construction sites can be monitored only for specific events.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events that can be set in relation to these surrounding objects may be automatically set. In short, the events that can occur at a housing construction site and a large-scale construction site are different. Therefore, it can be automatically se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is because, in the former case, fire accidents are emphasized, and in the latter case, fall accidents of workers can be emphasi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세그먼트 분류 및 세그먼트별 이벤트 설정이 완료되면, 즉 수동 설정이든 자동 설정이든 세그먼트별 이벤트 설정이 완료되면 지정 객체의 추적 결과를 근거로 판단된 이벤트에 대하여 주변 객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이벤트를 재판단하거나 세그먼트별로 발생하는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재선정 즉 조정하는 등 다양한 추가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지정 객체 등과 관련한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한 후 빅데이터를 근거로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등의 추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gment classification and event setting for each segment are completed, that is, when event setting for each segment is completed, whether manual setting or automatic setting, an event determined based on the tracking result of a specified object Various additional actions may be further performed, such as re-judging an event by comprehensively judging the situation of surrounding objects or re-selecting or adjusting the priorities of events occurring for each segment. For example, after generating big data by collecting metadata related to a designated object, an additional operation such as adjusting a priority based on the big data may be performed.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수신한 비디오 프레임에서 사람 객체와 사물 객체들을 검출하고 검출한 객체들의 상호 관계를 근거로 기저장된 룰(rule) 정책에 따라 이벤트를 발생시키거나, 어떠한 경우에는 촬영 영역에서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고, 대표적으로 횡단보도 등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영역에서 이벤트 즉 교통사고 등이 발생할 때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경 영상에서 특정 장소와 같은 세그먼트에 맞는 이벤트를 제시하여 관심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벤트 종류가 많아도 단순하게 설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과 같이 ROI를 설정하지 않고 전체 영역을 분석하기 때문에 이벤트가 발생한 복합적인 상황인지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타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해서 이벤트 탐지의 오탐 및 미탐을 개선할 수 있다.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 정확도는 증가하며, 이는 10개의 데이터를 근거로 결과를 도출하기보다 100개의 데이터를 근거로 이벤트를 도출하는 것이 더 객관성을 담보하고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한 것이라 볼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prior art, a human object and an object object are detected in a received video frame, and an ev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tored rule policy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etected objects, or in some cases, the shooting area. It was common to set a region of interest (ROI), typically set a crosswalk as a region of interest, and generate an event when an event, such as a traffic accident, occurs in the region.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ent of interest can be set by presenting an event suitable for a segment such as a specific place in the background image, and a simple se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if there are many types of events, and the ROI is set as befor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complex situation in which the event occurred because the entire area is analyzed without doing so. In addition, by making metadata into big data, false positives and false positives in event detection can be improved. When learning big data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programs, etc., the accuracy increases, which guarantees objectivity and deriving events based on 100 data rather than deriving results based on 10 data. It can be seen that it is based on the logic that accuracy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앞서 간략히 언급한 바 있지만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이벤트를 판단하고, 관심 영역 이외의 비관심영역에 대하여 세그먼트화하고 최종적으로 이벤트를 판단할 때 세그먼트화한 주변 객체들을 추가로 고려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방법에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앞서의 동작과 비교해 볼 때, 관심 객체인 지정 객체를 설정하거나 관심 영역을 설정한다는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주변 객체 즉 세그먼트화한 영역, 가령 장소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느냐, 또는 지정 객체를 지정하느냐와 같은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Although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briefly mentioned abov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sets an ROI, determines an event based on this, segments a non-interest region other than the ROI, and finally generates an event. When making a decision, it can be applied to a method of generating an event by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segmented surrounding objects. Compared with the previous operation,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erms of setting a specific object, which is an object of interest, or setting a region of interest, but it is common in that a surrounding object, that is, a segmented region, such as a place, can be additionally considered. can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method, such as whether to set the region of interest or whether to designate a designated object.

도 2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3은 도 2의 세그먼트처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egment processing unit of FIG. 2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처리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세그먼트처리부(220) 및 저장부(2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 a control unit 210 , a segment processing unit 220 , and a portion of the storage unit 230 . or all inclusive.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2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영상처리장치(120)가 구성되거나, 세그먼트처리부(2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2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230 are omitted to configu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ar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10 . It means that it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and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촬영장치(100)와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변/복조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장치(100)는 임의 공간이나 임의 장소의 촬영시에 영상 내의 촬영 객체와 관련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촬영 영상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통상 3D 카메라의 경우에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200 communicates wit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of FIG. 1 .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and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encoding/decoding and muxing/demuxing.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may generate metadata related to a photographing object in an image when photographing an arbitrary space or an arbitrary place, and such metadata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photographed image. In general, in the case of a 3D camera, meta data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s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form.

제어부(210)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120)를 구성하는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세그먼트처리부(220) 및 저장부(2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2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에서 제공되는 촬영 영상을 저장부(230)에 저장한 후 불러내어 세그먼트처리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세그먼트처리부(220)에서 촬영 영상의 분석 결과를 지정 포맷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우 이를 도 1의 DB(12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시킨다.The control unit 210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and the storage unit 230 of FIG. 2 constituting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of FIG. 1 . Typically, the control unit 210 may store the captured image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0 in the storage unit 230 , then retrieve it and provide it to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 In addition, when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generates and provid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captured image in a specified format, the control unit 210 systematically classifies it and stores it in the DB 120a of FIG. 1 .

세그먼트처리부(220)는 가령 촬영 영상의 분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엇보다 세그먼트처리부(2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정 객체 혹은 관심 객체의 주변에서 세그먼트화되는 복수의 영역, 물론 해당 영역은 이벤트와 관련되는 장소나 해당 장소의 건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그먼트별로 설정된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처리부(220)는 객체 추적을 위한 지정 객체가 설정되면, 이를 근거로 주변의 주변 객체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자동 분류하고 분류한 세그먼트별로 사용 가능한 이벤트 종류를 사용자 혹은 관리자 등에게 제시하여 영상에서 탐지하고 싶은 N개의 이벤트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는 앞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처리부(220)는 지정 객체 및 주변의 세그먼트화한 주변 객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되는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may perform, for example, an analysis operation of the captured image. Above all,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segmented around a designated object or an object of inte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course, the corresponding area may include a place related to an event or a building of the place.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event set for each segment. For example, when a designated object for object tracking is set,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automatically classifies a segment including a surrounding object based on this, and presents an event type that can be used for each classified segment to a user or an administrator. Thus, N events to be detected in the image can be selected. This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may determine an event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specified object and the surrounding segmented surrounding objects.

좀더 구체적으로 세그먼트처리부(220)는 지정 객체의 배경 영역에서 물론 전체 영상일 수도 있지만, 배경 영상을 근거로 하는 경우 전경을 세그먼트화하고 즉 복수의 영역을 각 영역으로 파편화 혹은 쪼개고, 이를 분류하여 세그먼트별로 이벤트의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촬영 영상에서 2개의 세그먼트가 분석되었다면 각 세그먼트에 대하여 이벤트 등을 설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처리부(220)는 세그먼트별로 사용 가능한 이벤트 종류를 제시하여 탐지하고 싶은 N개의 이벤트를 선택받는다. 그리고 이벤트 발생 조건을 추가로 설정하도록 한다. 이벤트 종류의 설정 후에 이벤트 발생 조건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벤트 발생 조건에는 객체 종류, 크기, 유지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그먼트를 고려한 이벤트 종류 및 발생 조건이 설정되면 이를 근거로 이벤트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may be the entire image in the background region of the specified object, but if the background image is based on the background image,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segments the foreground, that is, fragments or splits a plurality of regions into each region, and classifies it to segment Executes event setting operation for each event. For example, if two segments are analyzed in the captured image, an event may be set for each segment. As described above,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selects N events to be detected by presenting the types of available events for each segment. And set the event occurrence condition additionally. It is to enable additional setting of event occurrence conditions after setting the event type. The event occurrence condition may include object type, size, and holding time. When an event type and occurrence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such a segment are set, event detec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this.

상기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세그먼트에 맞는 이벤트를 제시할 수 있고, 이벤트 종류가 많아도 단순하게 설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이 ROI를 설정하지 않고 전체 영역을 분석하므로 이벤트가 발생한 복합적인 상황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정에 따라 메타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는 경우 이벤트의 오탐이나 미탐 즉 미탐지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지정 객체에 대한 속성 등을 반영하고 있다면, 빅데이터는 시간 변화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생성된다고 볼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abov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sent an event suitable for a segment, and can simply perform a setting operation even if there are many types of events, without setting an ROI as in the past. By analyzing the entire domain, it may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complex circumstances in which the event occurred. In addition, when meta data is generated as big data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and is used, it is possible to improve false positives or false positives, that is, non-detection of events. Here, if the metadata reflects the properties of a specified object, it can be considered that big data is generated by collecting metadata according to time change.

도 2의 세그먼트처리부(220)는 가령 도 3에서와 같은 세그먼트처리부(220')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그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S/W 모듈, H/W 모듈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of FIG. 2 may have,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 as in FIG. 3 . Of course, the configuration may be made in various ways, and this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by a S/W module, a H/W modul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in such a configuration.

도 3에서 볼 때, 영상분석부(300)는 수신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프레임에서 지정 객체를 검출 및 분류하고 객체를 추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객체 검출 및 분류를 위하여 객체 검출기 및 객체 분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객체 검출 및 분류를 위하여 DCNN 객체검출 및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객체의 오검출 등이 감소될 수 있다. 객체 추적은 다수의 비디오 프레임에서 지정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영상 분석부(300)는 영상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객체 검출 이외에 배경 영상에서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수행할 수도 있다. 가령 전경 영상을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 즉 세그먼트화하고, 세그먼트화할 때 기설정된 특정 객체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세그먼트화할 수 있다. 그 세그먼트화의 대상은 기설정된 대로 건축현장, 도로, 주차장 등으로 제한될 수 있다. 세그먼트화의 대상은 장소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그먼트화는 지정 객체의 이벤트를 판단할 때 세그먼트에 맞는 이벤트가 감지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는 전경 영상이나 배경 영상을 세그먼트화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촬영 영상을 전체를 세그먼트화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3 , the image analysis unit 300 may analyze the received captured image and output an analysis result. For example, an operation of detecting and classifying a specified object in a video frame and tracking the object may be performed. An object detector and an object classifier may be included for obj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and DCNN obj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may be performed for such obj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Accordingly, erroneous detection of an object, etc. may be reduced. Object tracking can be viewed as tracking the movement of a specific object in multiple video frames. Of course, the image analyzer 300 may perform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on the background image in addition to object detection in the process of image analysis. For example, the foreground imag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in a matrix form, that is, segmented, and segmented by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pecific object is included during segmentation. The target of the segmentation may be limited to a construction site, a road, a parking lot, etc. as preset. The object of segmentation may be a place. In other words, segmentation can be used to ensure that events that fit the segment are detected when determining the events of a given object. Although the segmentation of the foreground image or the background image has been exemplified above, since it is possible to segment the entire captured imag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form.

또한, 세그먼트 설정부(310)는 가령 사용자나 관리자, 또는 프로그래머 등에 의해 세그먼트와 관련해 이루어지는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영상 분석부(300)는 자동 분류된 세그먼트에 대하여 이벤트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영상에서 탐지하고 싶은 N개의 이벤트를 설정받을 수 있다. 또한 N개의 이벤트가 선택된 경우에는 객체 종류나 크기 등의 이벤트 발생 조건을 설정받을 수 있다.Also, the segment setting unit 310 performs a setting operation performed in relation to a segment by, for example, a user, an administrator, or a programmer. For example, the image analysis unit 300 may set N events to be detected in the image by presenting the type of event to the user for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In addition, when N events are selected, event occurrence conditions such as object type or size may be set.

이벤트 판단부(320)는 세그먼트 설정부(310)에서 설정한 세그먼트 설정정보를 근거로, 그리고 영상분석부(300)에서 제공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분석부(300)에서는 다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객체 검출 및 분류, 그리고 추적이 이루어진다면, 이벤트 판단부(320)는 사용자 등이 세그먼트 설정부(310)에서 설정한 대로 세그먼트별로 이벤트를 판단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세그먼트 영역이 건축현장이면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한다. 또한, 주차장이면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종류를 설정하고 객체의 유형도 설정하였으므로 건축현장에서 감독관이 아니라 작업자에 대해서만 이벤트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event determination unit 320 may determine an event based on the segment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segment setting unit 310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provided by the image analysis unit 300 . In the image analysis unit 300 , if object detection, classification, and tracking are performed for a plurality of object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an event for each segment as set by the user or the like in the segment setting unit 310 . can see. In other words, if the segment area is a construction site, an event set in this regard is detected. In addition, if it is a parking lot, an event set in this regard is detected. For example, since the event type is set and the object type is also set, it is possible to detect an event only for the operator, not the supervisor, at the construction site.

또한, 이벤트 판단부(320)는 가령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관심 객체가 지정되는 경우에는 지정 객체에 대하여 룰 기반으로 이벤트를 판단하고, 또 세그먼트 설정부(310)의 설정 정보를 근거로 기판단된 이벤트를 재확인할 수도 있다. 이의 과정에서 이벤트 판단부(320)는 세그먼트별로 발생하는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 즉 재선정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적으로 이벤트 판단부(320)는 지정 객체의 추적 결과를 근거로 A 이벤트를 판단하였지만, 세그먼트를 고려하여 즉 주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B 이벤트로 재판단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전체 영상이나 배경 영역에서 장소와 같은 부위의 세그먼트화를 통해 지정 객체에 대한 이벤트를 판단 또는 종합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Also, when an object of interest is designated a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determining unit 320 determines an event based on a rule for the designated object, and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segment setting unit 310 , It is also possible to reconfirm the event judged by In this proces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320 may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adjusting the priority of the event occurring for each segment, that is, reselecting it. In short,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the event A based on the tracking result of the specified object, but may determine the event B as the event B in consideration of the segment, that is, the surrounding situation comprehensively. Above all, si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or comprehensively determines an event for a specified object through segmentation of a portion such as a place in the entire image or background area, it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form.

한편, 도 2의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제공되는 촬영 영상을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세그먼트처리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세그먼트처리부(220)에서 처리된 세그먼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정 포맷의 영상 분석 결과를 임시 저장한 후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도 1의 DB(12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230 of FIG. 2 may sequentially store the captured images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in a memory and then retrieve them and provide them to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30 temporarily stores the image analysis result in a specified format including the segment data processed by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and systematically classifies it in the DB 120a of FIG.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 You can print it out to be sav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2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영상처리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세그먼트처리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10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chip.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arithmetic unit (ALU), a command interpreter and a registry, and the memory may include a RAM. The control circui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performs an operation operation of binary bi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ion interpretation unit converts a high-level language into a machine language and a machine language into a high-level language, including an interpreter or compiler. , the registry may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 program stored in the segment processing unit 220 is copied, loaded into a memory, that is, a RAM, and then executed, thereby rapidly increasing the data operation processing speed. can do i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임의 공간의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S400). 물론 여기서, 촬영 영상은 반드시 카메라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이 아니라, USB 등의 저장 매체나 DVR 등의 서버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영상이어도 무관하다.Referring to FIG. 4 together with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aptured image in an arbitrary space (S400). Of course, here, the captured image is not necessarily an image provided by a camera, etc., but may be an image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USB or a server such as a DVR and provided.

또한, 영상처리장치(120)는 수신한 촬영 영상에서 장소를 포함하는 지정된 서로 다른 유형의 객체(예: 건설현장, 주차장 등)가 포함되는 복수의 영역을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화하여 자동 분류하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를 근거로 세그먼트별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S410).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utomatically classifies by segmenting a plurality of areas including designated different types of objects (eg, construction sites, parking lots, etc.) including places in the received captured image into each area, An event for each segment may be processed based on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S410).

예를 들어, 영상처리장치(120)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지정 객체를 기준으로 룰 기반, 혹은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반으로 이벤트를 판단한 후, 세그먼트를 고려하여, 또는 세그먼트와 관련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근거로 판단한 이벤트를 재조정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정 객체에 대한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이벤트를 판단하므로 이벤트 판단의 정확도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an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determines an event based on a rule based on a specified object or based on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n considers the segment or sets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gment. An operation such as re-adjusting the event determined based on the basis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since the even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for the designated object, the accuracy of event determination may be increased.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전체 영상 또는 배경에 세그먼트화를 처리한 후, 각 세그먼트별로 설정된 이벤트의 종류, 또 이벤트의 발생 조건을 근거로 이벤트를 감지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동작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주택단지에서는 어떠한 이벤트를 확인하고 싶고, 또 정거장과 관련해서는 어떠한 이벤트를 확인하고 싶다고 이벤트 종류 및 이벤트 발생 조건을 설정하였으므로 그에 따라 영상처리장치(120)가 영상 분석 및 세그먼트 처리를 수행하여 이벤트를 감지한 후, 해당 이벤트가 감지될 때 이벤트를 통지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egmentation on the entire image or background as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nd then determines the type of event set for each segment and the event occurrence condition. Since the event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basi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operation form. In other words, since the user has set the event type and event occurrence condition that he wants to check what event in the housing complex and what event he wants to check in relation to the statio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20 performs image analysis and segment processing accordingly. After detecting an event by performing it, the event may be notified when the corresponding event is detected.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since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those contents will be replac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촬영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을 근거로 세그먼트별로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00 ~ S525).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 1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operation for setting an event for each segment based on the captured image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 It can be performed (S500 ~ S525).

예를 들어, 촬영 영상이 수신되면, 영상처리장치(120)는 전체 영상이어도 무관하지만 전경 영상 또는 배경 영역의 세그먼트화를 수행한 후 자동 분류하고, 세그먼트별로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세그먼트가 건축현장일 때 세그먼트별로 사용 가능한 이벤트 종류를 시스템에서 즉 프로그램적으로 제시하면 사용자는 탐지하고 싶은 N개의 이벤트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이벤트와 관련하여 이벤트 발생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무실일 때 시스템은 즉 기설치된 프로그램은 사무실과 관련한 선택 가능한 이벤트 종류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관심있는 이벤트를 선택받고, 위에서와 같이 이벤트 발생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aptured image is receive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perform segmentation of a foreground image or a background area, although it may be the entire image, and then automatically classify the image and set an event for each segment. For example, when a segment is a construction site, if the system presents the available event types for each segment programmatically, the user can select N events to detect and set the event occurrence conditions in relation to the selected ev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office, the system, that is, a pre-installed program may select an event of interest by presenting a selectable event type related to the office to the user, and may set the event occurrence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세그먼트별 설정 동작이 완료되면 영상처리장치(120)는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이벤트를 감지해 낼 수 있다(S530 ~ S560). 단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수신한 촬영 영상에 이벤트가 설정된 복수의 세그먼트가 있다면 복수의 이벤트를 동시에 감지하여 통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tting operation for each segment is complete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detect an event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S530 to S560). In other words, if there are a plurality of segments in which events are set in the received captured imag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imultaneously detect and notify the plurality of events.

또한, 영상처리장치(120)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관심 있는 지정 객체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객체 검출, 분류 및 추적을 통해 룰 기반이나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반으로 이벤트를 판단한 후, 위에서와 같이 세그먼트별로 사용자 설정한 정보를 근거로 최종적으로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가 감지되어 통지해야 하지만, 주변의 세그먼트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에는 관심없는 이벤트라면 해당 이벤트의 통지를 취소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determines an event based on rule-based or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through object detection, classification, and tracking with respect to a designated object of interest to the user, and then, as above, An event can be finally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for each segment. For example, if an event is detected and notified, but the event is not interest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in relation to the surrounding segment, the not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event may be cancelled.

나아가 영상처리장치(120)는 시간 변화를 근거로 이벤트가 발생한 객체와 관련하여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를 이벤트 판단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S570), 이와 같이 메타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가공한 후 세그먼트별 발생하는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재선정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시점에서는 통계를 기반으로 이벤트 목록에 순위가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시간이 변화하면 해당 순위는 빅데이터를 근거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Furthermo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generate big data by collecting metadata related to an object in which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ime change. Accordingly, big data can be used for event determination ( S570 ), and after processing the metadata into big data, operations such as re-selection of priorities of events occurring for each segment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list of events may be ranked based on statistic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based on big data. And, if time changes, the corresponding ranking can be adjusted based on big data.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since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those contents will be replac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but a part or all of each component is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촬영장치 110: 통신망
120: 영상처리장치 2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제어부 220, 220': 세그먼트처리부
230: 저장부 300: 영상분석부
310: 세그먼트 설정부 320: 이벤트 판단부
100: photographing device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image processing device 2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10: control unit 220, 220': segment processing unit
230: storage unit 300: image analysis unit
310: segment setting unit 320: event determination unit

Claims (8)

임의 공간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서 사람 및 장소의 서로 다른 유형의 객체가 포함되는 복수의 영역을, 기설정된 지정 객체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지정 객체를 미포함하는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화(segment)하고, 세그먼트와 관련해 사용자, 관리자 또는 프로그래머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 분류를 위한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세그먼트를 자동 분류하며,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별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 관리자 또는 프로그래머에 의해 설정된 이벤트 종류 및 이벤트 발생 조건의 기설정 정보를 근거로 판단해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근거로 상기 임의 공간과 관련해 사용자가 기설정한 상기 지정 객체에 대한 이벤트를 판단하고, 상기 지정 객체를 제외한 배경 영상을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화하며, 상기 판단한 이벤트를 상기 세그먼트별로 재판단하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photographed image of an arbitrary space; and
Segmentation of a plurality of regions including objects of different types of people and places in the received captured image into regions that do not include the specified objec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by determining whether a preset specified object is included ( segment) and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segment when the setting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performed by a user, manager, or programmer in relation to the segment is completed, and sets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event for each segment to the event type set by the user, manager, or programmer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nd processes the event based on preset information of the event occurrence condition;
The controller determines an event for the designated object preset by the user in relation to the arbitrary spac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segments a background image excluding the designated object into each region, and records the determined event Image processing device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that judges by segm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객체 이외의 상기 서로 다른 유형의 객체로서 주택단지, 공장, 축산현장, 건설현장, 상가, 사무실, 도로, 정거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세그먼트화를 수행하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detects at least one of a housing complex, a factory, a livestock site, a construction site, a shopping mall, an office, a road, and a station as the different types of objects other than the designated object and performs the segmentation automatically. image processing device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객체와 관련해 판단한 이벤트에 대하여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를 근거로 복합적인 상황을 재판단하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for re-judging a complex situation based on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with respect to the event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specified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별로 선택 가능한 이벤트 종류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세그먼트와 관련한 상기 사용자가 탐지하고 싶은 이벤트 및 이벤트 발생 조건을 각각 설정받아 상기 세그먼트별 이벤트 판단 동작을 수행하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presents an event type that can be selected for each automatically classified segment to the user, receives an event that the user wants to detect and an event occurrence condition related to the segment, respectively, and performs an event determination operation for each segment Image processing device for classific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으로서 객체의 종류, 크기 및 시간 정보를 각각 설정받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i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that receives the type, size, and time information of an object as the event occurrence conditions,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영상 내의 상기 지정 객체 및 상기 지정 객체의 주변 객체와 관련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메타 데이터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세그먼트별로 발생하는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prioritizes the events occurring for each segment using metadata generated including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ed object in the captured image and surrounding objects of the specified object and big data generated by collecting the metadata Image processing device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that adjusts the ranking.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임의 공간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서 사람 및 장소의 서로 다른 유형의 객체가 포함되는 복수의 영역을, 기설정된 지정 객체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지정 객체를 미포함하는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화하고, 세그먼트와 관련해 사용자, 관리자 또는 프로그래머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 분류를 위한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세그먼트를 자동 분류하며, 상기 자동 분류한 세그먼트별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 관리자 또는 프로그래머에 의해 설정된 이벤트 종류 및 이벤트 발생 조건의 기설정 이벤트 정보를 근거로 판단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촬영 영상을 근거로 상기 임의 공간과 관련해 사용자가 기설정한 상기 지정 객체에 대한 이벤트를 판단하고, 상기 지정 객체를 제외한 배경 영상을 각 영역으로 세그먼트화하며, 상기 판단한 이벤트를 상기 세그먼트별로 재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세그먼트 분류를 위한 영상처리장치의 구동방법.
A method of driv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a control unit,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 photographed image of an arbitrary space;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plurality of regions including objects of different types of people and places in the received captured image include a preset designated object, and each region that does not include the designated objec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segment when the setting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performed by a user, administrator, or programmer in relation to the segment is completed, and sets the automatically classified event by segment to an event set by the user, administrator, or programmer Determining and processing based on the preset event information of the type and event occurrence con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n event for the specified object preset by the user in relation to the arbitrary spac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segments a background image excluding the specified object into each region, and records the determined event judging by segment;
A method of driving a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including
KR1020210028606A 2021-03-04 2021-03-04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36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606A KR102336480B1 (en) 2021-03-04 2021-03-04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PCT/KR2021/005986 WO2022186426A1 (en) 2021-03-04 2021-05-13 Image processing device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method for driving sam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606A KR102336480B1 (en) 2021-03-04 2021-03-04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480B1 true KR102336480B1 (en) 2021-12-07

Family

ID=7886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606A KR102336480B1 (en) 2021-03-04 2021-03-04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6480B1 (en)
WO (1) WO2022186426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32B1 (en) * 2021-12-20 2022-09-22 김승모 Object detection system in image and method thereof
WO2024080543A1 (en)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video summary,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856A (en) * 2011-09-23 2013-04-02 광주과학기술원 A method for monitoring a video and an apparatus using it
KR101668303B1 (en) 2015-05-15 2016-10-24 (주)클로버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vent image
KR101856733B1 (en) 2017-05-19 2018-05-10 주식회사 미디어테크 Real time monitoring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motion event
KR20180089977A (en) 2017-02-02 2018-08-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egmentation based on events
KR102028147B1 (en) 2018-10-12 2019-10-04 (주)파슨텍 Integrated control system, video analysis device and local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event
KR102033903B1 (en) * 2018-06-25 2019-10-18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Monitering System for Secuir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00061747A (en) 2018-11-26 2020-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events in sports video
KR102139582B1 (en) * 2019-12-05 2020-07-29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Apparatus for CCTV Video Analytics Based on Multiple ROIs and an Object Detection DCN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54610B1 (en) 2020-04-10 2020-09-10 주식회사 넥스트케이 Image Device Capable of Calculating Location of Event Occurren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6662B2 (en) * 2015-03-17 2018-03-13 Lyrical Labs Video Compression Technology, LLC Foreground detection using fractal dimensional measures
KR101804383B1 (en) * 2014-01-14 2017-12-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browsing summary image
US9443316B1 (en) * 2015-07-21 2016-09-13 Sony Corporation Semi-automatic image segmentatio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2856A (en) * 2011-09-23 2013-04-02 광주과학기술원 A method for monitoring a video and an apparatus using it
KR101668303B1 (en) 2015-05-15 2016-10-24 (주)클로버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vent image
KR20180089977A (en) 2017-02-02 2018-08-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egmentation based on events
KR101856733B1 (en) 2017-05-19 2018-05-10 주식회사 미디어테크 Real time monitoring image output system according to motion event
KR102033903B1 (en) * 2018-06-25 2019-10-18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Monitering System for Secuir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28147B1 (en) 2018-10-12 2019-10-04 (주)파슨텍 Integrated control system, video analysis device and local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event
KR20200061747A (en) 2018-11-26 2020-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events in sports video
KR102139582B1 (en) * 2019-12-05 2020-07-29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Apparatus for CCTV Video Analytics Based on Multiple ROIs and an Object Detection DCN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54610B1 (en) 2020-04-10 2020-09-10 주식회사 넥스트케이 Image Device Capable of Calculating Location of Event Occurren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32B1 (en) * 2021-12-20 2022-09-22 김승모 Object detection system in image and method thereof
WO2024080543A1 (en)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video summary,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6426A1 (en)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68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Smartl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39582B1 (en) Apparatus for CCTV Video Analytics Based on Multiple ROIs and an Object Detection DCNN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2795600B1 (en) Cloud-based video surveillance management system
CN109766779B (en) Loitering person identification method and related product
KR102119721B1 (en) Intellectual Edge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3648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gment Classif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70122000A1 (en) Detection of stationary objects in video
US20220406065A1 (en) Tracking system capable of tracking a movement path of an object
US107334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in real-time one or more potential threats in video surveillance
KR101462855B1 (en) Automatic regulation system for detecting of irregular stopping and parking vehicle,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the same
US10373015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moving objects
KR102260123B1 (en) Apparatus for Sensing Event on Region of Interes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0543803A (en) Monitoring metho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KR20120015998A (en)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integrated platform architecture
CN113971782B (en) Comprehensive monitor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2022030990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enforcing dynamic thresholds of social distancing rules
WO2019099321A1 (en) Collaborative media collection analysis
EP430915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mask usage
KR10195471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Ev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10042940A1 (en) Digital twi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2116396B1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Second-class Citize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847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rowd Risk Management by Supporting Under and Over Crowded Environments
US10922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viation from a motion pattern in a video
KR102033903B1 (en) Monitering System for Secuir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21205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I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