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84B1 -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using a rebar assembling system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using a rebar assembl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84B1
KR102336184B1 KR1020200103225A KR20200103225A KR102336184B1 KR 102336184 B1 KR102336184 B1 KR 102336184B1 KR 1020200103225 A KR1020200103225 A KR 1020200103225A KR 20200103225 A KR20200103225 A KR 20200103225A KR 102336184 B1 KR102336184 B1 KR 102336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up
rebar
fixing part
reinforcing ba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철
한병민
Original Assignee
선진정공 주식회사
(주)지산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정공 주식회사, (주)지산개발 filed Critical 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bar assembly system, which enables quick and precise construction of concrete beams by simple, quick, and precise reinforcement and assembly of rebars during concrete beam construction. The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comprises: an assembly system installation step (S10) of installing a rebar assembly system; a stirrup on one side fixing step (S20) of fixing one side of a stirrup to a jig fixing part; a stirrup on the other side fixing step (S30) of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to a movable fixing part after moving the movable fixing part to the stirrup; a main rebar input step (S40) of supplying a main rebar with a rebar supplier and inputting the main rebar into a rebar elevator with a rebar feeder; a main rebar elevating step (S50) of elevating the main rebar to a binding position with the rebar elevator; a main rebar binding step (S60) of binding the elevated main rebar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tirrup; a repeatedly performing step (S70) of continuously and repeatedly performing the main rebar input, elevating, and binding steps;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S80) of removing the assembly system and installing a formwork; a concrete pouring and curing step (S90)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and curing and drying the concrete; and a concrete beam completion step (S100) of removing the formwork to complete the concrete beam.

Description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USING A REBAR ASSEMBLING SYSTEM}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rebar assembly system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USING A REBAR ASSEMBLING SYSTEM}

본 발명은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보 시공시에 철근의 배근 및 조립이 간편하면서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져 콘크리트보의 시공이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concrete using a rebar assembly system that allows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beams to be carried out quickly and simply by making simple, quick and precise reinforcement and assembly of reinforcing bars during concrete beam construction. It is abou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eam.

일반적으로 건축 혹은 토목 공사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골조공사 중 콘크리트보는 콘크리트와 주철근 및 스터럽(늑근)으로 구성되는 부재로 골조 형식의 구조물 공사에서 기둥과 접합하여 휨 모멘트를 받는 부재로서 휨 부재의 특성인 휨과 전단력을 안전하게 저항해야만 하는 특성을 갖는다. In general, during the framing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works, a concrete beam is a member composed of concrete, main reinforcing bars, and stirrups (ribs). It has characteristics that must safely resist bending and shear forces.

이 때문에 콘크리트보에는 휨 모멘트를 저항하는 인장철근(주철근)과 전단력을 저항하는 스터럽으로 철근이 구성된다.For this reason, concrete beams consist of tensile reinforcing bars (main reinforcing bars) that resist bending moment and stirrups resisting shearing forces.

이러한 콘크리트보의 시공은 보를 설치할 교량의 거더 등의 상면에 먼저 스터럽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근하여 고정하고, 그 다음에 주철근을 상기 스터럽의 내측에 배치한 후에 상기 주철근과 스터럽을 스틸와이어로 상호 결속하여 고정하는 것이다.In the construction of such a concrete beam, stirrups are first reinforced and fix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etc. of the bridge where the beam is to be installed, and then the main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side the stirrups, and then the main reinforcing bars and the stirrups are mutually bound with a steel wire. it will be fixed

이와 같이 상기 주철근과 스터럽이 결속 고정되면 스터럽의 둘레로 거프집을 설치한 후에 상기 거푸집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 건조시켜 콘크리트보를 완성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main reinforcing bar and the stirrup are bound and fixed, the concrete beam is complet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inner side of the formwork and curing and drying after installing the guppy around the stirrup.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콘크리트보 시공에서 철근 조립 작업은 대부분 건축 혹은 토목현장에서 다수의 작업인원의 투입을 통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과다한 현장 작업인원의 투입과 중량 구조물의 수작업에 의한 시공은 시공 비용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시공 기간을 길어지게 만드는 요인이 되면서 시공 불량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oncrete beam construction, most of the rebar assembly work is done manually through the input of a large number of workers at the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site. There was a problem that became a factor and a factor that made the construction period longer, and became a factor that caused the construction defect.

나아가 과다한 작업인원의 투입과 수작업에 의한 시공은 공정관리, 인력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등을 취약하게 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m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put of excessive workers and manual construction made the process management, manpower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quality control, etc. weak.

등록특허 제0736382호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2007.06.29.)Registered Patent No. 0736382 "Reinforcement body and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June 29, 20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보 시공시에 철근의 배근 및 조립이 간편하면서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져 콘크리트보의 시공이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inforcing bar assembly system in which the reinforcement and assembling of reinforcing bars are made simple, fast and precise during concrete beam construc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beam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imp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은, 고정된 상태로 스터럽의 일측을 끼워서 고정하는 지그고정부와, 상기 지그고정부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되면서 스터럽의 크기에 맞춰 스터럽의 타측을 고정하는 이동고정부와, 상기 지그고정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주철근을 승강시키는 철근승강기와, 상기 지그고정부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그고정부에 고정된 스터럽으로 주철근을 투입하는 철근투입기와, 상기 철근투입기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철근투입기에 주철근을 공급하는 철근공급기를 포함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에 있어서; 교량의 거더의 상면에 콘크리트보를 시공할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지그고정부와 이동고정부 및 철근승강기를 설치하고, 상기 지그고정부의 측면으로 상기 철근투입기와 철근공급기를 설치하는 조립시스템 설치 단계와; 상기 지그고정부에 상호 이격되게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터럽의 일측을 끼워서 고정하는 스터럽 일측고정 단계와; 상기 지그고정부에 일측이 고정된 스터럽의 타측에 밀착되게 상기 이동고정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고정부에 스터럽의 타측을 끼워서 고정하는 스터럽 타측고정 단계와; 상기 철근공급기를 구동시켜 상기 철근투입기에 주철근을 공급하고, 상기 철근투입기를 구동시켜 주철근을 스터럽의 내측으로 투입하며, 이와 같은 공급과 투입을 반복하여 다수의 주철근을 스터럽의 내측으로 투입하는 주철근 투입 단계와; 상기 철근승강기를 구동시켜 스터럽으로 투입된 주철근을 승강하여 스터럽의 둘레로 결속할 위치로 이동시키는 주철근 승강 단계와; 상기 스터럽에 주철근을 스틸와이어로 결속하여 고정하는 주철근 결속 단계와; 상기 주철근 투입 단계, 주철근 승강 단계 및 주철근 결속 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회 반복하여 스터럽의 내측 둘레로 다수의 주철근을 결속 고정하는 반복 수행 단계와; 상기 지그고정부와 이동고정부 및 철근승강기를 해체하고, 주철근이 결속된 스터럽의 외측 둘레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 단계와; 상기 거푸집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 건조시키는 콘크리트 타설양생 단계와;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건조된 후에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여 콘크리트보를 완성하는 콘크리트보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ig fixing part that inserts one side of a stirrup in a fixed state to fix it, and the jig fixing part can be moved forward. A movable fixing part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rrup while being installed and moved, a reinforcing bar elevat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jig fixing part and elevating the main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and the jig In a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inforcing bar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reinforcing bar inserter for inputting the main rebar with a stirrup fixed to the government; An assembly system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jig fixing part, the movable fixing part and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in response to the site where the concrete beam is to be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of the bridge, and installing the rebar inserter and the rebar feeder to th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 a stirrup side fixing step of fixing one side of a plurality of stirrup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jig fixing part; a stirrup fixing step of horizontally moving the movable fixing par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jig fixing part, and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by insert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into the movable fixing part; The rebar feeder is driven to supply the main reinforcing bars to the rebar feeder, the rebar feeder is driven to put the main reinforcing bars inside the stirrup, and the supply and input are repeated to put a plurality of main rebars into the stirrup. step; a main reinforcing bar elevating step of driving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to elevate and move the main reinforcing bars fed into the stirrup to a position to be bound around the stirrup; a main reinforcing bar binding step of binding and fix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to the stirrup with a steel wire; repeating the main rebar input step, the main rebar elevating step, and the main rebar binding step several times in succession to bind and fix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irrup;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of dismantling the jig fixing part, the movable fixing part and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and installing a formwork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irrup to which the main reinforcing bars are bound; a concrete pouring curing step of pouring concrete inside the formwork and curing and drying the concrete; Concrete beam completion step of dismantling the formwork to complete the concrete beam after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and dried;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의 상기 스터럽 일측고정 단계에서, 상기 지그고정부에 스터럽의 일측을 끼우기 전에 상기 지그고정부에 스터럽이 끼워질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마킹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fixing one side of the stirrup in the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inserting one side of the stirrup in the fixing part of the jig, the position at which the stirrup i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of the jig is set at regular intervals. The process of marking and display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의 상기 주철근 투입 단계에서, 상기 철근승강기가 스터럽의 내측 하부에서 주철근을 받아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철근투입기로 주철근을 투입하기 전에 상기 철근승강기를 스터럽의 하단 상면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ain rebar input step of the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bar elevator can receive and support the main reinforcing bars from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tirrup. The process of locating the rebar elevat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tirru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의 상기 지그고정부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고 스터럽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제1 지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고 스터럽의 하단 일측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고정부는, 상기 지그고정부의 전방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선단에 장착되는 선단프레임과, 상기 선단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고 스터럽의 타측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제3 지그와, 상기 선단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고 스터럽의 하단 타측이 지지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하단지지대와, 상기 선단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지그와 하단지지대가 스터럽에 밀착되도록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대차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철근승강기는, 상기 지그고정부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상단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전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가이드와, 상기 상단부재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상단이 장착되는 볼트스크류와, 상기 볼트스크류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볼트스크류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볼트스크류에 나선 결합되고 수평으로 길게 구비되는 너트하우징과, 상기 너트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가이드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너트하우징의 외측에 다수개가 수평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주철근을 받아서 지지하는 철근받침대와, 상기 모터구동부에 연결되고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철근받침대를 승강시킬 수 있는 조작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투입기는, 상기 지그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몸체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구동기와, 상기 이동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무한궤도의 벨트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주철근을 받아서 상기 지그고정부로 투입시킬 수 있는 투입컨베이어와,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공급기는, 상기 철근투입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본체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무한궤도의 벨트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주철근을 받아서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의 벨트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고 주철근을 하나씩 분배할 수 있는 다수의 분배돌기와, 각각의 상기 공급컨베이어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를 연동시키는 연동축과, 상기 연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jig fixing part of the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tical frame and a first jig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stirrup is inserted. And, a horizontal frame mount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and a pair of second jig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so as to fit the lower end of the stirrup; And, the movable fixing part, a cart provid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in front of the jig fixing part, a tip frame mounted on the tip of the cart, and a plurality of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p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to be fitted A third jig having four grooves formed therein; a lower suppor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frame and formed flat to support the other lower end of the stirrup; Including a manipulation handle capable of horizontally moving the bogie by rotating opera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bar,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includes a vertical support installed vertically at the rear of the jig fixing part, and a fro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An upper member installed to protrude into a vertical guide, a vertical guide mounted vertic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a bolt screw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moun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and a bolt mounted to a lower end of the bolt screw A motor driving unit capable of rotating a screw forward or reverse, a nut housing helically coupled to the bolt screw and horizontally provided, and a sliding mounted inside the nut housing and vertically slidably fitted to the vertical guide A member,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mounted to protrude horizontally on the outside of the nut housing and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which are connected to the motor drive and control the motor drive by button operation to elevate the rebar support An operation remote control, including, wherein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is provided with a bas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and horizontally movab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moving body, a moving actuato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capable of moving the moving body horizontally, and a caterpillar belt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receiving the main reinforcing bar and fixing the jig It includes: an input conveyor capable of being put into A frame, a supply conveyo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main body frames and provided with a caterpillar belt rotatably, capable of receiv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and transferring them to one side, and the main reinforcing bars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of the feed conveyor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rotrusions capable of distributing one by one, an interlocking shaft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supply conveyors and interlocking the supply conveyor, and a rotatio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shaft and rotating the interlocking sh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do it with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보 시공시에 철근의 배근 및 조립이 간편하면서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져 콘크리트보의 시공이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과다한 작업인원의 투입과 수작업에 의한 시공이 적절히 방지되면서 공정관리, 인력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등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and assembly of reinforcing bars are simple, quick and precise in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beams, so that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beams is made quickly and simply, and accordingly, the input of excessive workers and manual construction are reduced. It has the effect of stably performing process management, manpower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and quality control while being proper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을 보인 단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철근 조립 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철근 조립 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철근 조립 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8은 도 6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철근 투입 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철근 투입 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철근 투입 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철근투입기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조립 시스템의 철근공급기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면도.
1 is a step diagram showing a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overall plan view of a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overall side view of a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reinforcing bar assembly part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rebar assembly part of the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rebar assembly part of the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FIG. 6;
9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reinforcing bar input portion of the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reinforcing bar input portion of the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reinforcing bar input portion of the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enlarged sid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rebar inserter of a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reinforcing bar feeder of the rebar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을 보인 도면과 이에 이용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1 to 13 are schematic views of a view showing a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bar assembly system used therefor.

우선,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철근 조립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에 이용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은 고정된 상태로 스터럽(S)의 일측을 끼워서 고정하는 지그고정부(10)와, 상기 지그고정부(10)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되면서 스터럽(S)의 크기에 맞춰 스터럽(S)의 타측을 고정하는 이동고정부(20)와, 상기 지그고정부(10)의 후방에 설치되고 주철근(W)을 승강시키는 철근승강기(30)와, 상기 지그고정부(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그고정부(10)에 고정된 스터럽(S)으로 주철근(W)을 투입하는 철근투입기(40)와, 상기 철근투입기(4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철근투입기(40)에 주철근(W)을 공급하는 철근공급기(50)를 포함한다.First, the rebar assembly system shown in FIGS. 2 to 13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system used in the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ig fixing part 10 for fixing one side of the stirrup (S) in a fixed state, and the jig fixing part 10 so as to move forward. A movable fixing part 20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rrup (S) while being installed and moved, and a reinforcing bar elevat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jig fixing part 10 and elevating the main reinforcing bar (W) (30), and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4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10 and inputting the main reinforcing bar (W) with the stirrup (S) fixed to the jig fixing part 10, and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 40) and includes a reinforcing bar feeder 50 for supplying the main reinforcing bar (W) to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40).

여기서, 스터럽(S)은 수직으로 구비되는 철근 즉, 늑근을 말하고, 주철근(W)은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기 스터럽(S)의 내측에 수평으로 끼워져 상기 스터럽(S)에 결속되어 고정되는 다소 굵은 수평방향의 철근을 말한다.Here, the stirrup (S) refers to the reinforcing bars provided vertically, that is, the ribs, and the main reinforcing bars (W) are horizontally inserted inside the stirrup (S) in which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are bound to and fixed to the stirrup (S). A rather thick horizontal reinforcing bar.

상기 지그고정부(10)는 고정된 상태에서 스터럽(S)의 일측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지그고정부(10)는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전면에 장착되고 스터럽(S)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제1 지그(12)와,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일측 하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프레임(13)과,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고 스터럽(S)의 하단 일측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지그(14)를 포함한다.The jig fixing part 10 is to allow one side of the stirrup (S) to be fitted and fixed in a fixed state. The jig fixing part 1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vertical frame 11 and a first jig 12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1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stirrup S is fitted. , a horizontal frame 13 mount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1, and a plurality of groove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3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tted with one lower end of the stirrup (S). A pair of second jigs 14 are formed.

상기 수직프레임(11)은 상기 제1 지그(12)가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지그(12)는 선단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홈에 스터럽(S)의 일측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vertical frame 11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first jig 12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and the first jig 12 is formed in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t the tip of the stirrup (S). One side is inserted so that it can be fixed.

상기 수평프레임(13)은 상기 제2 지그(14)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지그(14)는 상단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홈에 스터럽(S)의 일측 하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horizontal frame 13 serves to provide a place for the second jig 14 to be installed, and the second jig 14 has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tirrup (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t the top. so that it can be fixed.

상기 이동고정부(20)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스터럽(S)의 크기에 맞춰 스터럽(S)의 타측단에 밀착되면서 스터럽(S)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movable fixing part 20 is to move horizontall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stirrup 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rrup S to fix the stirrup S.

이와 같은 상기 이동고정부(20)는 상기 지그고정부(10)의 전방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21)와, 상기 대차(21)의 선단에 장착되는 선단프레임(22)과, 상기 선단프레임(22)의 상면에 장착되고 스터럽(S)의 타측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제3 지그(23)와, 상기 선단프레임(22)의 상면에 장착되고 스터럽(S)의 하단 타측이 지지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하단지지대(24)와, 상기 선단프레임(22)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지그(23)와 하단지지대(24)가 스터럽(S)에 밀착되도록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대차(21)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핸들(25)을 포함한다.The movable fixing part 20 includes a cart 21 provid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in front of the jig fixing part 10, and a tip frame 22 mounted on the tip of the cart 21, A third jig 23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ip frame 22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S is fitted, and the stirrup S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ip frame 22 The lower end support 24 is formed to be flat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nd, and the third jig 23 and the lower support 24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frame 22 and rotate so that the third jig 23 and the lower end support 24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irrup (S). and a manipulation handle 25 capable of horizontally moving the bogie 21 by the .

상기 대차(21)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스터럽(S)을 끼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상기 조작핸들(25)을 조작하여 상기 선단프레임(22)과 함께 상기 제3 지그(23)와 하단지지대(24)가 상기 지그고정부(10)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선단프레임(22)은 상기 제3 지그(23)와 하단지지대(24)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cart 21 allows the operator to board and insert the stirrup (S) while manipulating the operation handle 25 while the operator is on board the third jig together with the tip frame 22 (23) and the lower support 24 is to be able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jig fixing portion (10). The tip frame 22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third jig 23 and the lower end support 24 are installed.

상기 제3 지그(23)는 선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에 스터럽(S)의 타측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하단지지대(24)는 스터럽(S)의 하단이 받쳐져 지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third jig 23 is to allow the other end of the stirrup (S) to be fitted and fixed in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lower end supporter 24 is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stirrup (S). It serves to provide a place.

상기 조작핸들(25)은 상기 대차(21)와 연동되어 작업자가 상기 대차(21)에 탑승한 상태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대차(21)가 수평 방향으로 상기 지그고정부(10)를 향해서 또는 상기 지그고정부(10)와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manipulation handle 25 is interlocked with the bogie 21 so that when the operator rotates forward or reversely while riding on the bogie 21, the bogie 21 moves the jig fixing part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to be moved toward or away from the jig fixing part 10 .

상기 철근승강기(30)는 상기 지그고정부(1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터럽(S)의 내측에 투입된 다수개의 주철근(W)을 받아서 스터럽(S)과의 결속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rebar elevator 3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jig fixing part 10, so that it can receive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W) put into the inside of the stirrup (S) and elevate it to the binding position with the stirrup (S). will do

여기서, 스터럽(S)의 둘레로 결속 위치로 승강된 주철근(W)은 작업자의 스틸와이어 결속 작업에 의해 상기 스터럽(S)과 스틸와이어, 즉 철사로 하나씩 결속되어 견고히 고정된다.Here, the main reinforcing bar (W) raised to the binding position around the stirrup (S) is firmly fixed by binding one by one with the stirrup (S) and the steel wire, that is, the wire by the worker's steel wire binding operation.

이와 같은 상기 철근승강기(30)는 상기 지그고정부(10)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31)와, 상기 수직지지대(31)의 상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상단부재(32)와, 상기 수직지지대(31)의 전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가이드(33)와, 상기 상단부재(32)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상단이 장착되는 볼트스크류(34)와, 상기 볼트스크류(34)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볼트스크류(3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구동부(35)와, 상기 볼트스크류(34)에 나선 결합되고 수평으로 길게 구비되는 너트하우징(36)과, 상기 너트하우징(36)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가이드(33)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부재(37)와, 상기 너트하우징(36)의 외측에 다수개가 수평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주철근(W)을 받아서 지지하는 철근받침대(38)와, 상기 모터구동부(35)에 연결되고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부(35)를 제어하여 상기 철근받침대(38)를 승강시킬 수 있는 조작리모컨(39)을 포함한다.As such,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30 includes a vertical support 31 installed vertically at the rear of the jig fixing unit 10, and an upper member 32 that is install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31. And, a vertical guide 33 mounted vertic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31, a bolt screw 34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32, and the bolt screw 34 )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tor driving part 35 capable of rotating the bolt screw 34 forward or reverse, and a nut housing 36 that is spirally coupled to the bolt screw 34 and is horizontally long; A sliding member 37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nut housing 36 and vertically slidably fitted to the vertical guide 33, and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nut housing 36 to protrude horizontally (W) a reinforcing bar support 38 that receives and supports, and a remote control that is connected to the motor drive unit 35 and can raise and lower the rebar support 38 by controlling the motor drive unit 35 by button operation ( 39).

상기 수직지지대(31)는 상기 상단부재(32)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상단부재(32)는 상기 볼트스크류(34)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vertical support 31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various parts including the upper member 32 are installed and supported, and the upper member 32 is a rotatable upper end of the bolt screw 34 . It serves to provide a place for installation.

상기 수직가이드(33)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7)가 끼워져 상기 너트하우징(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볼트스크류(34)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봉으로, 그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하우징(36)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vertical guide 33 serves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nut housing 36 through which the sliding member 37 is fitted. Alternatively, the nut housing 36 is moved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reverse rotation.

상기 모터구동부(35)는 전원의 공급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볼트스크류(3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너트하우징(36)은 상기 볼트스크류(34)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트스크류(34)의 회전과 함께 상기 볼트스크류(34)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역할을 한다.The motor driving unit 35 serves to rotate the bolt screw 34 forward or reverse while being driven by the supply of power. The nut housing 36 is screwed to the bolt screw 34 and serves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bolt screw 34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bolt screw 34 .

상기 슬라이딩부재(37)는 상기 수직가이드(33)에 끼워져 상기 너트하우징(36)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철근받침대(38)는 수평으로 평평하게 구비되어 그 상면에 다수개의 주철근(W)이 올려져 배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리모컨(39)은 작업자가 버튼 조작으로 상기 모터구동부(35)를 제어하여 상기 철근받침대(38)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liding member 37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uide 33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nut housing 36 . The reinforcing bar support 38 is provided horizontally and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W)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operation remote control 39 allows the operator to control the motor driving unit 35 by operating a button to move the reinforcing bar support 38 up and down.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철근승강기(30)는 작업자가 버튼 조작으로 상기 조작리모컨(39)을 조작하면 상기 모터구동부(35)가 구동되면서 상기 볼트스크류(34)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너트하우징(36)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너트하우징(36)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너트하우징(36)에 장착된 상기 철근받침대(38)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그 상면에 올려진 주철근(W)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30 configured in this way,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operation remote control 39 with a button operation, the motor driving unit 35 is driven while the bolt screw 34 is rotated, and accordingly, the nut housing ( 36) is moved up or down. As described above, as the nut housing 36 is moved upward or downward, the reinforcing bar support 38 mounted on the nut housing 36 moves upward or downward, and the main reinforcing bar (W)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ut housing 36 moves upward or downward. will be transferred to

상기 철근투입기(40)는 상기 지그고정부(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그고정부(10)와 이동고정부(20)에 의해 고정된 스터럽(S)의 내측으로 상기 철근승강기(30)에 주철근(W)을 자동으로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The rebar inserter 4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10, and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S) inside the stirrup (S) fixed by the jig fixing part 10 and the moving fixing part 20 ( 30) to automatically insert the main reinforcing bar (W).

이와 같은 상기 철근투입기(40)는 상기 지그고정부(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41)와, 상기 베이스(41)의 상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몸체(42)와, 상기 베이스(4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몸체(42)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구동기(43)와, 상기 이동몸체(42)의 상면에 설치되고 무한궤도의 벨트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주철근(W)을 받아서 상기 지그고정부(10)로 투입시킬 수 있는 투입컨베이어(44)와, 상기 투입컨베이어(44)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44)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5)를 포함한다.Such a reinforcing bar inserter 40 includes a base 4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10, a movable body 42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1, and the A movement actuator 43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1 and capable of moving the movable body 42 horizontally, and a belt of an endless track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ody 42 are rotatably provided, An input conveyor 44 that can receive the main reinforcing bar (W) and put it into the jig fixing part 10, and a drive motor 45 that is installed on the input conveyor 44 and rotates the input conveyor 44 do.

상기 베이스(41)는 상기 이동몸체(42)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이동구동기(43)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몸체(42)는 상기 투입컨베이어(44)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투입컨베이어(44)와 함께 수평으로 이동되어 주철근(W)의 투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base 41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movable body 42 is horizontally movable while providing a place where the movable actuator 43 is installed. The movable body 42 is to be moved horizontally together with the input conveyor 44 while providing a place where the input conveyor 44 is installed to adjust the input position of the main reinforcing bar (W).

상기 이동구동기(43)는 상기 이동몸체(42)를 수평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이동구동기(43)는 모터구동 및 공유압작동기 등 다양한 구동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he moving actuator 43 serves to automatically move the moving body 42 horizontally. As the moving actuator 43, various driving means such as motor driving and hydraulic actuators may be used.

상기 투입컨베이어(44)는 벨트가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것으로, 벨트의 상면에 주철근(W)을 올려놓고 상기 지그고정부(10)측으로 밀어 넣어 스터럽(S)의 사이로 상기 철근받침대(38)의 상면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모터(45)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투입컨베이어(44)의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공지의 것이다.The input conveyor 44 is that the belt rotates in an endless track, and the main reinforcing bar (W)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and pushed toward the jig fixing part 10 side between the stirrups (S)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38). It plays a role of automatically inserting into the upper surface. The drive motor 45 is a known one for rotating the belt of the input conveyor 44 by the supply of pow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철근투입기(40)는 상기 이동구동기(43)와 구동모터(45)가 무선리모컨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무선리모컨을 조작함으로써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by the operator 43 and the driving motor 45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 by operating the wireless remote control.

상기 철근공급기(50)는 상기 철근투입기(4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철급투입기의 상기 투입컨베이어(44)에 주철근(W)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reinforcing bar feeder 5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40, and serves to automatically supply the main rebar W to the input conveyor 44 of the rebar feeder.

이와 같은 상기 철근공급기(50)는 상기 철근투입기(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본체프레임(51)과, 각각의 상기 본체프레임(51)의 상면에 설치되고 무한궤도의 벨트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주철근(W)을 받아서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급컨베이어(52)와, 상기 공급컨베이어(52)의 벨트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고 주철근(W)을 하나씩 분배할 수 있는 다수의 분배돌기(53)와, 각각의 상기 공급컨베이어(5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52)를 연동시키는 연동축(54)과, 상기 연동축(54)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축(54)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55)를 포함한다.The reinforcing bar feeder 5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feeder 40 and provided on a plurality of body frames 51 that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body frames 51 and is a caterpillar track. A belt of rotatably provided with a supply conveyor 52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port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W) to one side,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of the supply conveyor 52 at regular intervals, and distribut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W) one by one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rotrusions 53 that can be, and an interlocking shaft 54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supply conveyors 52 and interlocking the supply conveyor 52, and the interlocking shaft 54 are connected and and a rotation driving unit 55 for rotating the interlocking shaft 54 .

상기 본체프레임(51)은 상기 공급컨베이어(52)가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52)는 그 벨트의 상면에 주철근(W)이 올려진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투입컨베이어(44)의 상면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main frame 51 serves to provide a place for the supply conveyor 52 to be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top, and the supply conveyor 52 is a state in which the main reinforcing bar (W)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It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erve to supp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conveyor (44).

상기 분배돌기(53)는 주철근(W)이 하나씩 분배된 상태로 상기 투입컨베이어(44)의 벨트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주철근(W)이 상기 철근투입기(40)에 하나씩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동축(54)은 다수의 상기 공급컨베이어(52)가 일체로 연결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회전구동부(55)는 모터구동 등에 의해 상기 연동축(54)을 회전시켜 상기 공급컨베이어(52)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distribution protrusion 53 allows the main reinforcing bars W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of the input conveyor 44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reinforcing bars W are distributed one by one, so that the main reinforcing bars W are su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40 one by one. will do The interlocking shaft 54 is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supply conveyors 52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interlocked,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55 rotates the interlocking shaft 54 by driving a motor, etc. to supply the supply. The conveyor 52 is to be driven.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철근공급기(50)는 상기 회전구동부(55)가 무선리모컨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무선리모컨을 조작함으로써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bar feeder 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by the rotary driving unit 55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nd operating by the operator operating the wireless remote control.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철근 조립 시스템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은 교량의 거더의 상면에 콘크리트보를 시공할 부위에 지그고정부와 이동고정부와 철근승강부와 철근투입기 및 철근공급기를 포함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을 설치하는 조립시스템 설치 단계(S10)와, 상기 지그고정부에 스터럽의 일측을 고정하는 스터럽 일측고정 단계(S20)와, 상기 이동고정부를 스터럽에 맞게 이동시킨 후에 상기 이동고정부로 상기 스터럽의 타측을 고정하는 스터럽 타측고정 단계(S30)와, 상기 철근공급기로 주철근을 공급하고 상기 철근투입기로 상기 철근승강기에 주철근을 투입하는 주철근 투입 단계(S40)와, 상기 철근승강기로 주철근을 결속 위치로 승강시키는 주철근 승강 단계(S50)와, 승강된 주철근을 스터럽의 둘레에 결속시키는 주철근 결속 단계(S60)와, 주철근 투입과 승강 및 결속 단계들을 연속하여 반복 수행하는 반복 수행 단계(S70)와, 상기 조립 시스템을 해체하고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 단계(S80)와,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 건조시키는 콘크리트 타설양생 단계(S90)와,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여 콘크리트보를 완성하는 콘크리트보 완성 단계(S100)를 포함한다.The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with reference to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FIGS. and an assembly system installation step (S10) of installing a rebar assembly system including a moving fixing unit, a rebar lifting unit, a rebar inserter and a rebar feeder, and a stirrup side fixing step (S20) of fixing one side of the stirrup to the jig fixing unit (S20) And, after moving the moving fixing part to fit the stirrup,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by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with the moving fixing part (S30); The main rebar input step (S40) of putting in the main rebar, the main rebar elevating step (S50) of elevating the main rebar to the binding position with the rebar elevator, the main rebar binding step (S60) of binding the elevated main rebar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tirrup, and the main reinforcing bar A repeating step (S70) of continuously and repeatedly performing the input, elevating, and binding steps,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S80) of dismantling the assembly system and installing a formwork, and pouring concrete inside the formwork and curing and drying It includes a concrete pouring curing step (S90) and a concrete beam completion step (S100) of dismantling the formwork to complete the concrete beam.

상기 조립시스템 설치 단계(S10)는 교량의 거더의 상면에 콘크리트보를 시공할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지그고정부와 이동고정부 및 철근승강기를 설치하고 상기 지그고정부의 측면으로 상기 철근투입기와 철근공급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철근 조립 시스템을 설치하여 공정의 자동화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assembly system installation step (S10), the jig fixing part, the movable fixing part and the rebar elevator are instal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art to be constructed of the concrete bea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of the bridge, and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and the rebar feeder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steps to install This step is to install a rebar assembly system to ensure automation of the process.

상기 스터럽 일측고정 단계(S20)는 상기 지그고정부에 상호 이격되게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터럽의 일측을 끼워서 고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다수개의 스터럽의 일측을 한꺼번에 지그에 고정하여 철근 조립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철근 조립의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tep of fixing one side of the stirrup (S20) refers to a step of fixing one side of a plurality of stirrups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stirru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jig fixing part. In this step, one side of a plurality of stirrups is fixed to a jig at once, thereby reducing the rebar assembly time and improving the precision of rebar assembly.

이와 같은 상기 스터럽 일측고정 단계(S20)에서 상기 지그고정부에 스터럽의 일측을 끼우기 전에 상기 지그고정부에 스터럽이 끼워질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마킹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데, 이는 스터럽의 설치 부위를 표시하여 스터럽이 보다 정밀하게 배치되면서 시공의 정밀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tep of fixing one side of the stirrup as described above (S20) further includes the process of marking and marking positions at which the stirrup is to be fitted on the jig fixing part at regular intervals before fitting one side of the stirrup to the jig fixing part, which is installed in the stirrup. This is to mark the site so that the stirrup is more precisely placed and the precision of construction is improved.

상기 스터럽 타측고정 단계(S30)는 상기 지그고정부에 일측이 고정된 스터럽의 타측에 밀착되게 상기 이동고정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고정부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이동고정부에 스터럽의 타측을 끼워서 고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상기 지그고정부에 의해 일측이 고정된 다수개의 스터럽의 크기에 맞춰 스터럽의 타측에 상기 이동고정부를 밀착시킨 후에 스터럽의 타측을 한꺼번에 지그로 완전히 고정하여 철근 조립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철근 조립의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In the step of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S30), the moving fixing part is horizontally mov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jig fixing part, and after the movement of the moving fixing part is completed,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is attached to the moving fixing part. It refers to the step of inserting and fixing the In this step, the moving fixing par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stirrups, one side of which is fixed by the jig fixing part, and then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is completely fixed with a jig at once to shorten the rebar assembly time while 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s It serves to improve the precision of

상기 주철근 투입 단계(S40)는 상기 철근공급기를 구동시켜 상기 철근투입기에 주철근을 공급하고 상기 철근투입기를 구동시켜 주철근을 스터럽의 내측으로 투입하며 이와 같은 공급과 투입을 반복하여 다수의 주철근을 스터럽의 내측으로 투입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중량이면서 길이가 길어 작업자가 취급하기 어려운 주철근을 상기 철근공급기와 철근투입기를 통해 스터럽의 내측으로 상기 철근승강기에 자동으로 투입함으로써, 철근 조립을 위한 인력의 투입을 극소화시키면서 철근 조립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main rebar input step (S40) is to drive the reinforcing bar feeder to supply the main rebar to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drive the rebar feeder to insert the main rebar into the stirrup, and repeat this supply and input to add a plurality of main rebars to the stirrup. It refers to the step of putting inward. In this step, the rebar assembly time is minimized while minimizing the input of manpower for rebar assembly by automatically inserting the heavy and long main rebar, which is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handle, into the rebar elevator inside the stirrup through the rebar feeder and rebar inserter. It significantly shortens it.

이와 같은 상기 주철근 투입 단계(S40)에서 상기 철근투입기로 주철근을 투입하기 전에 상기 철근승강기를 스터럽의 하단 상면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철근승강기의 철근받침대를 기준 위치인 스터럽의 내측 하부로 세팅하여 상기 철근승강기가 스터럽의 내측 하부에서 주철근을 받아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터럽의 둘레의 주출근의 결속 위치로 주철근의 이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positioning the rebar elevat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tirrup before inputt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into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in the main rebar input step (S40),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stirrup, where the rebar support of the rebar lift is the reference position. By setting it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can receive and support the main reinforcing bars from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tirrup, the main rebar can be moved more quickly to the binding position of the main reinforcing bars around the stirrup.

상기 주철근 승강 단계(S50)는 상기 철근승강기를 구동시켜 스터럽으로 투입된 주철근을 승강하여 스터럽의 둘레로 결속할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다수개이고 중량인 주철근을 결속 위치로 신속하게 승강시켜 철근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면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step of elevating the main rebar (S50) refers to a step of driving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to elevate the main rebar input with the stirrup and move it to a position to be bound around the stirrup. This step is to quickly elevate the main reinforcing bars, which are many and heavy, to the binding position, thereby shortening the rebar assembly time and making assembly easier.

상기 주철근 결속 단계(S60)는 상기 스터럽에 주철근을 스틸와이어로 결속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작업자가 주철근을 스터럽에 스틸와이어 즉, 철사로 결속함으로써, 주철근과 스터럽을 일체화하여 철근의 조립을 완성하는 것이다.The main rebar binding step (S60) refers to a step of binding and fix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to the stirrup with a steel wire. In this step, the operator binds the main reinforcing bar to the stirrup with a steel wire, that is, a wire, thereby unifying the main reinforcing bar and the stirrup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reinforcing bar.

상기 반복 수행 단계(S70)는 상기 주철근 투입 단계(S40), 주철근 승강 단계(S50) 및 주철근 결속 단계(S60)를 연속적으로 수회 반복하여 스터럽의 내측 둘레로 다수의 주철근을 결속 고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스터럽의 필요하거나 요구되는 위치 전체에 주철근을 투입 결속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repeating step (S70) is a step of bundl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main rebars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irrup by repeating the main rebar input step (S40), the main rebar elevating step (S50), and the main rebar binding step (S60) several times in succession. . This step serves to feed and secure the main rebar throughout the required or required positions of the stirrup.

상기 거푸집 설치 단계(S80)는 상기 지그고정부와 이동고정부 및 철근승강기를 해체하고 주철근이 결속된 스터럽의 외측 둘레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상기 거푸집을 통해 스터럽과 주철근으로 이루어진 철근조립체의 외측 둘레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콘크리트보의 성형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S80) refers to a step of dismantling the jig fixing part, the movable fixing part, and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and installing the formwork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irrup to which the main reinforcing bars are bound. This step serves to form the forming frame of the concrete beam while forming an enclosed space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made of the stirrup and the main rebar through the formwork.

상기 콘크리트 타설양생 단계(S90)는 상기 거푸집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 건조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철근조립체와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콘크리트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crete pouring and curing step (S90) refers to a step of pouring concrete inside the formwork and curing and drying the concrete. In this step, the rebar assembly and concrete are integrated to form a concrete beam.

상기 콘크리트보 완성 단계(S100)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건조된 후에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여 콘크리트보를 완성하는 단계를 말한다.The concrete beam completion step (S100) refers to the step of dismantling the formwork after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and dried to complete the concrete beam.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은 그 공정이 계속 반복되면서 교량의 거더의 상면에 다수개의 콘크리트보를 신속하면서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enable the rapid and precise construction of a plurality of concrete beam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of the bridge while the process is continuously repea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지그고정부
11 : 수직프레임 12 : 제1 지그
13 : 수평프레임 14 : 제2 지그
20 : 이동고정부
21 : 대차 22 : 선단프레임
23 : 제3 지그 24 : 하단지지대
25 : 조작핸들
30 : 철근승강기
31 : 수직지지대 32 : 상단부재
33 : 수직가이드 34 : 볼트스크류
35 : 모터구동부 36 : 너트하우징
37 : 슬라이딩부재 38 : 철근받침대
39 : 조작리모컨
40 : 철근투입기
41 : 베이스 42 : 이동몸체
43 : 이동구동기 44 : 투입컨베이어
45 : 구동모터
50 : 철근공급기
51 : 본체프레임 52 : 공급컨베이어
53 : 분배돌기 54 : 연동축
55 : 회전구동부
S : 스터럽
W : 주철근
10: jig fixing part
11: vertical frame 12: first jig
13: horizontal frame 14: second jig
20: moving fixed part
21: bogie 22: front end frame
23: third jig 24: lower support
25: control handle
30: rebar elevator
31: vertical support 32: upper member
33: vertical guide 34: bolt screw
35: motor driving part 36: nut housing
37: sliding member 38: reinforcing bar support
39: operation remote control
40: rebar inserter
41: base 42: movable body
43: moving actuator 44: input conveyor
45: drive motor
50: rebar feeder
51: body frame 52: supply conveyor
53: distribution projection 54: interlocking shaft
55: rotation driving part
S: stirrup
W : cast rebar

Claims (4)

고정된 상태로 스터럽의 일측을 끼워서 고정하는 지그고정부와, 상기 지그고정부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되면서 스터럽의 크기에 맞춰 스터럽의 타측을 고정하는 이동고정부와, 상기 지그고정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주철근을 승강시키는 철근승강기와, 상기 지그고정부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그고정부에 고정된 스터럽으로 주철근을 투입하는 철근투입기와, 상기 철근투입기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철근투입기에 주철근을 공급하는 철근공급기를 포함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에 있어서;
교량의 거더의 상면에 콘크리트보를 시공할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지그고정부와 이동고정부 및 철근승강기를 설치하고, 상기 지그고정부의 측면으로 상기 철근투입기와 철근공급기를 설치하는 조립시스템 설치 단계와;
상기 지그고정부에 상호 이격되게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터럽의 일측을 끼워서 고정하는 스터럽 일측고정 단계와;
상기 지그고정부에 일측이 고정된 스터럽의 타측에 밀착되게 상기 이동고정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고정부에 스터럽의 타측을 끼워서 고정하는 스터럽 타측고정 단계와;
상기 철근공급기를 구동시켜 상기 철근투입기에 주철근을 공급하고, 상기 철근투입기를 구동시켜 주철근을 스터럽의 내측으로 투입하며, 이와 같은 공급과 투입을 반복하여 다수의 주철근을 스터럽의 내측으로 투입하는 주철근 투입 단계와;
상기 철근승강기를 구동시켜 스터럽으로 투입된 주철근을 승강하여 스터럽의 둘레로 결속할 위치로 이동시키는 주철근 승강 단계와;
상기 스터럽에 주철근을 스틸와이어로 결속하여 고정하는 주철근 결속 단계와;
상기 주철근 투입 단계, 주철근 승강 단계 및 주철근 결속 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회 반복하여 스터럽의 내측 둘레로 다수의 주철근을 결속 고정하는 반복 수행 단계와;
상기 지그고정부와 이동고정부 및 철근승강기를 해체하고, 주철근이 결속된 스터럽의 외측 둘레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 단계와;
상기 거푸집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 건조시키는 콘크리트 타설양생 단계와;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건조된 후에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여 콘크리트보를 완성하는 콘크리트보 완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고정부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고 스터럽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제1 지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고 스터럽의 하단 일측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고정부는,
상기 지그고정부의 전방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선단에 장착되는 선단프레임과, 상기 선단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고 스터럽의 타측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제3 지그와, 상기 선단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고 스터럽의 하단 타측이 지지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하단지지대와, 상기 선단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지그와 하단지지대가 스터럽에 밀착되도록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대차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철근승강기는,
상기 지그고정부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상단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전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가이드와, 상기 상단부재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상단이 장착되는 볼트스크류와, 상기 볼트스크류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볼트스크류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볼트스크류에 나선 결합되고 수평으로 길게 구비되는 너트하우징과, 상기 너트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가이드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너트하우징의 외측에 다수개가 수평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주철근을 받아서 지지하는 철근받침대와, 상기 모터구동부에 연결되고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철근받침대를 승강시킬 수 있는 조작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투입기는,
상기 지그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몸체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구동기와, 상기 이동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무한궤도의 벨트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주철근을 받아서 상기 지그고정부로 투입시킬 수 있는 투입컨베이어와,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공급기는,
상기 철근투입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본체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무한궤도의 벨트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주철근을 받아서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의 벨트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고 주철근을 하나씩 분배할 수 있는 다수의 분배돌기와, 각각의 상기 공급컨베이어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를 연동시키는 연동축과, 상기 연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
A jig fixing part for fixing one side of the stirrup by inserting it in a fixed state, a moving fixing part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irrup while being movably installed and moving in front of the jig fixing part, and the jig fixing part A reinforcing bar elevat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and elevating the main reinforcing bar, a reinforcing bar insert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and inputting the main rebar with a stirrup fixed to the jig fixing part, and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installed in front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In the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inforcing bar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einforcing bar feeder for supply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An assembly system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jig fixing part, the movable fixing part and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in response to the site where the concrete beam is to be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of the bridge, and installing the rebar inserter and the rebar feeder to th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
a stirrup side fixing step of fixing one side of a plurality of stirrup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jig fixing part;
a stirrup fixing step of horizontally moving the movable fixing par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jig fixing part, and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by inserting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into the movable fixing part;
The rebar feeder is driven to supply the main reinforcing bars to the rebar feeder, the rebar feeder is driven to put the main reinforcing bars inside the stirrup, and the supply and input are repeated to put a plurality of main rebars into the stirrup. step;
a main reinforcing bar elevating step of driving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to elevate the main reinforcing bar input with the stirrup and move it to a position to be bound around the stirrup;
a main reinforcing bar binding step of binding and fix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to the stirrup with a steel wire;
repeating the main reinforcing bar input step, the main rebar elevating step and the main rebar binding step several times in succession to bind and fix the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irrup;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of dismantling the jig fixing part, the movable fixing part and the reinforcing bar elevator, and installing a formwork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irrup to which the main reinforcing bars are bound;
a concrete pouring curing step of pouring concrete inside the formwork and curing and drying the concrete;
Concrete beam completion step of dismantling the formwork to complete the concrete beam after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and dried; including,
The jig fixing part,
A vertical frame, a first jig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stirrup is inserted, a horizontal frame mount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 pair of second jig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tirrup is fitted;
The moving fixing unit,
A bogie provided horizontally movably in front of the jig fixing part, a front frame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bogie, and a third groov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p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to fit the other side of the stirrup A jig, a bottom support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ip frame and formed flat to support the other lower end of the stirrup, and a rotation operation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ip frame so that the third jig and the bottom suppor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irrup It includes an operation handle capable of moving the bogie horizontally,
The rebar elevator is
A vertical support installed vertically at the rear of the jig fixing part, an upper member installed to protrude forwar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a vertical guide mounted vertic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A bolt screw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mounted to a bolt screw, a motor driving unit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bolt screw and capable of rotating the bolt screw forward or reverse, and a nut housing that is spirally coupled to the bolt screw and provided horizontally And, a sliding membe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nut housing and slidably fitted vertically to the vertical gui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mounted to protrude horizontally on the outside of the nut housing and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the motor; It includes an operation remote control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reinforcing bar support by controlling the motor driving unit by operation of a button,
The reinforcing bar inserter,
A bas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jig fixing part, a movable body provid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movable actuato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capable of horizontally moving the movable body; An input conveyo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and provided with a rotatable belt of a caterpillar and capable of receiving a main reinforcing bar and putting it into the jig fixing part, and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input conveyor and rotating the input conveyor, including and
The reinforcing bar feeder,
A plurality of body frame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bar inserter and provided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each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rame and provided with a caterpillar belt rotatably. A conveyor,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rotrusions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of the supply conveyor and capable of distribut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one by one, and an interlocking shaft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supply conveyors and interlocking the supply conveyors;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inforcing bar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shaft and rotating the interlocking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일측고정 단계에서, 상기 지그고정부에 스터럽의 일측을 끼우기 전에 상기 지그고정부에 스터럽이 끼워질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마킹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fixing one side of the stirrup, before inserting one side of the stirrup into the fixing part of the jig, the process of marking and marking the positions where the stirrup is to be fitted in the fixing part of the jig at regular intervals;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bar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철근 투입 단계에서, 상기 철근승강기가 스터럽의 내측 하부에서 주철근을 받아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철근투입기로 주철근을 투입하기 전에 상기 철근승강기를 스터럽의 하단 상면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rebar input step, the rebar elevator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tirrup before inputting the main rebar so that the rebar elevator can receive and support the main rebar from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tirrup,
Concrete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bar assemb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KR1020200103225A 2020-08-18 2020-08-18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using a rebar assembling system KR1023361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25A KR102336184B1 (en) 2020-08-18 2020-08-18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using a rebar assemb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25A KR102336184B1 (en) 2020-08-18 2020-08-18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using a rebar assembl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184B1 true KR102336184B1 (en) 2021-12-08

Family

ID=7886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225A KR102336184B1 (en) 2020-08-18 2020-08-18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using a rebar assembl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747A (en) * 1999-03-05 2000-09-19 Okumura Corp REINFORCING BAR PREASSEMBLY OF OUTER SHELL PCa COLUMN AND ASSEMBLING DEVICE
JP3344354B2 (en) * 1999-03-19 2002-11-11 鹿島建設株式会社 Reinforced concrete column horizontal assembly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KR100736382B1 (en) 2006-01-16 2007-07-06 김두희 Reinforcement bars and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JP2011220085A (en) * 2010-04-06 2011-11-04 Yukio Sato Manufacturing device of reinforcement cage for cast-in-place concrete pi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747A (en) * 1999-03-05 2000-09-19 Okumura Corp REINFORCING BAR PREASSEMBLY OF OUTER SHELL PCa COLUMN AND ASSEMBLING DEVICE
JP3344354B2 (en) * 1999-03-19 2002-11-11 鹿島建設株式会社 Reinforced concrete column horizontal assembly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KR100736382B1 (en) 2006-01-16 2007-07-06 김두희 Reinforcement bars and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JP2011220085A (en) * 2010-04-06 2011-11-04 Yukio Sato Manufacturing device of reinforcement cage for cast-in-place concrete pi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2043B2 (en) Climbing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concrete placement of high vertical walls
KR101473441B1 (en) Truss Girder Auto Welding Apparatus
KR101681544B1 (en) Automated system for constructin a concrete structure
EP4012137A1 (en) Structure construction apparatus
KR101657994B1 (en) Form travel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195689B1 (en) Forging-processing device for connecting part of concrete reinforcements and Forging-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710536B1 (en) Roof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ed him
KR101043920B1 (en) Form elevating apparatus
KR10233618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s using a rebar assembling system
KR100795209B1 (en) A form lifting unit
CN104879142A (en) Jacking rod device for tunnel wide-width waterproof plate mounting platform
CN114770015A (en) Reinforcement cage welding auxiliary device and welding method using same
JP4233097B2 (en) Precast concrete product manufacturing system
KR102294219B1 (en) Automatic concrete form lif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nd automatic concrete form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409421B1 (en) Rebar assembling system for constructing concrete beams
JP2005188203A (en) Moving work vehicle for overhang floor slab
JP2017214738A (en) Demolition system and demolition method for high-rise building
CN115749285A (en) Concrete on-site automatic pour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0975861U (en) Prefabricated bed-jig of deep basal pit structure roof beam framework of steel reinforcement
CN113530223A (en) Frame single-column integral cast-in-place structure and method
KR102219607B1 (en) 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for automatic production of shear reinforced slab structures
JPH0931921A (en) Transfer device for floor slab concrete placement form
KR100911827B1 (en) A Fixing-Device For A Building-Panel
KR101015879B1 (en) Auto suppying apparatus for a base plate of a deckplate
CN218952840U (en) Be applied to automatic laying device of wire net among multilayer reinforcing bar net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