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988B1 -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드레인방법 - Google Patents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드레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988B1
KR102335988B1 KR1020170161510A KR20170161510A KR102335988B1 KR 102335988 B1 KR102335988 B1 KR 102335988B1 KR 1020170161510 A KR1020170161510 A KR 1020170161510A KR 20170161510 A KR20170161510 A KR 20170161510A KR 102335988 B1 KR102335988 B1 KR 10233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urea
drain hole
bowl
val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882A (ko
Inventor
박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9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26Filtration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는, 상기 드레인 바울의 바닥에 형성되고, 우레아를 드레인하도록 배치된 제1드레인홀; 상기 드레인 바울의 바닥에 형성되고, 수분을 드레인하도록 배치된 제2드레인홀; 상기 제1드레인홀 및 상기 제2드레인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 및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드레인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AINING WATER AND UREA IN FUEL FILTER}
본 발명은 연료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필터의 드레인 바울에 포집되는 수분 및 우레아 등을 개별적으로 드레인할 수 있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그 드레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시스템(fuel injection system)은 엔진의 연소실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탱크의 연료를 고압으로 압축한 후에 커먼레일로 공급하여 축압하고, 커먼레일에서 축압된 연료를 인젝터를 통해 연소실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시스템은 연료가 인젝터에 도달하기 전에 연료를 여과하기 위한 연료 필터를 가질 수 있다. 연료시스템은 불순물에 민감하며, 연료가 너무 오염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불순물은 고체 입자, 기체 또는 액체를 의미할 수 있다.
연료필터는 필터 헤드, 필터 헤드에 부착된 필터 엘리먼트, 필터 엘리먼트에 의해 분리된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을 포집하는 드레인 바울(drain bowl)을 포함한다.
필터 엘리먼트에 의해 분리된 수분이 드레인 바울 내로 포집되고, 드레인 바울에는 수분감지센서가 설치된다.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수분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수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가 ECU를 통해 클러스터에 표시됨으로써 드레인 바울로부터 수분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출된다.
한편, SCR 장치가 설치된 차량은 환원제의 일종인 우레아 수용액(urea solu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우레아'로 지칭한다)이 저장된 우레아 탱크가 장착되어 있다.
연료와 우레아를 혼동하여 주입하는 경우에 우레아가 연료에 혼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료시스템의 인젝터 및 연료라인의 부식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인젝터에 이물질이 고착되어 인젝터가 오작동함으로써 DPF의 재생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인젝터의 내부 회로가 단락(쇼트)할 수 있고, 연료펌프의 내부 구동부에 대한 윤활 부족으로 인한 마모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연료시스템의 부품 이상 및 연소성능 변화에 따른 배기성능이 악화되어 DPF 등과 같은 후처리장치의 수명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료필터의 드레인 바울에 포집되는 수분 및 우레아 등을 포집 매체 별로 분리하여 드레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에 포함된 수분 및 우레아를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시스템, 후처리장치, 엔진 등이 오염되거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그 드레인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연료필터의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수분, 우레아를 개별적으로 드레인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로서,
상기 드레인 바울의 바닥에 형성되고, 우레아를 드레인하도록 배치된 제1드레인홀;
상기 드레인 바울의 바닥에 형성되고, 수분을 드레인하도록 배치된 제2드레인홀;
상기 제1드레인홀 및 상기 제2드레인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 및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가 상기 제1드레인홀 및 상기 제2드레인홀과 선택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폐쇄위치, 제1개방위치, 제2개방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폐쇄위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의해 제1드레인홀 및 제2드레인홀이 폐쇄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1개방위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개구가 상기 제1드레인홀과 소통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개방위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개구가 상기 제2드레인홀과 소통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드레인홀 및 상기 제2드레인홀은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한번의 회전 시에 복수의 스텝으로 나눠져 회전하는 스테핑모터일 수 있다.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폐쇄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바울 내에 포집된 수분 및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 지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센서는 유체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가변되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센서일 수 있다.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드레인 바울에 고인 수분 및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드레인 바울에 고인 수분 및 우레아에 전류를 통전시켜 각 매체의 종류에 따른 저항값 차이를 통해 달라지는 출력신호를 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유입매체의 종류를 판별하고, 포집 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연료필터의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수분, 우레아를 개별적으로 드레인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으로,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키온 상태에서, 검출센서에 의해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수분 및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그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각 포집 매체에 따른 출력 강하값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 강하값을 제1기준값, 제2기준값, 제3기준값과 비교하여 밸브플레이트에 의해 드레인 바울의 제1드레인홀 및 제2드레인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수분 및 우레아를 선택적으로 드레인하며,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제2기준값 보다 작으며,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제3기준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1드레인홀 및 제2드레인홀을 폐쇄할 수 있다.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1기준값 이상이고 제2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1드레인홀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우레아를 우레아 탱크로 수거할 수 있다.
우레아를 우레아 탱크로 수거한 이후에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2드레인홀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바울에 잔존하는 우레아 및 연료 잔유량를 배출할 수 있다.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이고 제3기준값 보다 낮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2드레인홀을 개방함으로써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수분을 배출한 이후에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2드레인홀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바울에 잔존하는 수분 및 연료 잔유량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필터의 드레인 바울에 포집되는 수분 및 우레아 등을 포집 매체 별로 분리하여 드레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에 포함된 수분 및 우레아를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시스템, 후처리장치, 엔진 등이 오염되거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우레아를 우레아탱크로 수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우레아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의 밸브플레이트가 폐쇄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의 밸브플레이트가 제1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의 밸브플레이트가 제2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10)는 필터 헤드(11)와, 필터 헤드(11)에 부착된 필터 엘리먼트(12, filter element)와, 필터 엘리먼트(12)에 의해 분리된 수분, 우레아, 기타 이물질 등을 포집하는 드레인 바울(13, drain bowl)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헤드(11)는 연료가 유입되는 인렛통로(11a) 및 연료가 배출되는 아웃렛통로(11b)를 가질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12)는 필터 헤드(11)의 인렛통로(11a)를 통해 유입된 연료를 여과함으로써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을 분리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12)에 의해 분리된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자중으로 드레인 바울(13) 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한편, 유저 또는 작업자 등이 오인하여 연료 내에 우레아를 혼입하면 필터 엘리먼트(12)에 의해 우레아 또한 수분, 기타 이물질 등과 함께 드레인 바울(13) 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드레인 바울(13)은 필터 엘리먼트(12)의 아래에 부착될 수 있고, 이에 필터 엘리먼트(12)에 의해 분리된 수분, 우레아, 기타 이물질 등이 드레인 바울(13)에 고일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연료도 드레인 바울(13) 내에 고일 수 있고, 드레인 바울(13) 내에는 연료, 수분 및 우레아를 포함한 포집 매체가 2층으로 나눠질 수 있다. 드레인 바울(13)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도 2와 같이 작업자 또는 유저는 드레인 바울(13)에 고인 연료층(1)과, 수분 및 우레아 등을 포함한 포집 매체층(2)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20)는, 드레인 바울(13)의 바닥(13a)에 형성된 제1드레인홀(21) 및 제2드레인홀(22)과, 제1드레인홀(21) 및 제2드레인홀(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23)와, 밸브플레이트(23)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4)와, 드레인 바울(13) 내에 포집된 연료, 수분 및 우레아 등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 지를 검출하는 검출센서(25)와, 검출센서(25)에 접속된 제어기(27,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드레인홀(21)은 드레인 바울(13)에 고인 우레아를 드레인하도록 일정 직경을 가진다. 제1드레인홀(21)은 우레아 수거관(21a)을 통해 우레아 탱크(미도시)의 주입구의 필터망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드레인홀(21)을 통해 드레인되는 우레아가 우레아 수거관(21a)을 통해 우레아 탱크(미도시)로 수거될 수 있다.
제2드레인홀(22)은 드레인 바울(13)에 고인 수분을 드레인하도록 일정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드레인홀(22)에는 수분 드레인관(22a)이 연결될 수 있다.
제1드레인홀(21)과 제2드레인홀(22)은 드레인 바울(13)의 바닥(13a)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예컨대 제1드레인홀(21)과 제2드레인홀(22)은 밸브플레이트(23)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드레인홀(21)의 직경과 제2드레인홀(22)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밸브플레이트(23)는 샤프트(23a)를 가질 수 있고, 밸브플레이트(23)는 구동모터(24)에 의해 샤프트(23a)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23a)는 드레인 바울(13)의 바닥(13a) 중심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밸브플레이트(23)는 부채꼴(sector)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밸브플레이트(23)는 제1드레인홀(21) 및 제2드레인홀(22)과 선택적으로 소통가능한 개구(23b)를 가질 수 있다.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b)는 제1드레인홀(21)의 직경 및 제2드레인홀(2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밸브플레이트(23)가 회전함에 따라 개구(23b)가 제1드레인홀(21) 또는 제2드레인홀(22)과 선택적으로 소통하면, 제1드레인홀(21) 또는 제2드레인홀(22)을 통해 수분 또는 우레아가 드레인 바울(13)로부터 드레인될 수 있다.
구동모터(24)는 밸브플레이트(23)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24)의 출력축(24a)이 밸브플레이트(23)의 샤프트(23a)에 결합됨으로써 구모터(24)의 동력에 의해 밸브플레이트(23)가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24)는 밸브플레이트(23)를 폐쇄위치(CP), 제1개방위치(OP1), 제2개방위치(OP2)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모터(24)는 한번의 회전 시에 복수의 스텝(step)으로 나눠져 회전하는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로 구성될 수 있다.
폐쇄위치(CP, 도 3 참조)는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제1드레인홀(21) 및 제2드레인홀(22)와 소통하지 않음에 따라 밸브플레이트(23)가 제1드레인홀(21) 및 제2드레인홀(22)을 함께 폐쇄하는 위치이고, 제1개방위치(OP1, 도 4 참조)는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제1드레인홀(21)과 소통함에 따라 제1드레인홀(21)을 개방하는 위치이며, 제2개방위치(OP2, 도 5 참조)는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제2드레인홀(22)과 소통함에 따라 제2드레인홀(22)을 개방하는 위치일 수 있다.
밸브플레이트(23)의 일측에는 복귀스프링(26)이 연결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26)의 일단이 밸브플레이트(23)의 일측에 고정되고, 복귀스프링(26)의 타단은 드레인 바울(13)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24)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밸브플레이트(23)는 복귀 스프링(26)의 스프링력에 의해 폐쇄위치(CP)로 복귀할 수 있다.
검출센서(25)는 드레인 바울(13)에 포집된 연료, 수분, 우레아 등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드레인 바울(13)에 포집된 연료, 수분, 우레아에 전류를 통전시켜 각 매체의 종류에 따른 저항값 차이를 통해 달라지는 출력신호(예컨대, 출력전류 강하값)를 제어기(27)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제어기(27)는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포집 매체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어기(27)는 구동모터(24)를 제어함으로써 밸브플레이트(23)는 폐쇄위치(CP), 제1개방위치(OP1), 제2개방위치(OP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이 1.5V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기(27)는 수분 및 우레아를 포함한 포집 매체층(2)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제어기(27)는 밸브플레이트(23)가 폐쇄위치(CP)로 이동하도록 구동모터(24)를 제어할 수 있다.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이 1.5~2.5V의 범위에 해당하면 제어기(27)는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제어기(27)는 밸브플레이트(23)가 제1개방위치(OP1)로 이동하도록 구동모터(24)를 제어할 수 있다.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이 2.5~4.5V의 범위에 해당하면 제어기(27)는 수분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제어기(27)는 밸브플레이트(23)가 제2개방위치(OP2)로 이동하도록 구동모터(24)를 제어할 수 있다.
검출센서(25)는 유체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가변되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센서(resistance measurement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저항 측정센서는 WIF(water in fuel)센서일 수 있다. 이에, 검출센서(25)는 드레인 바울(13)에 고인 연료층(1)과, 수분 및 우레아 등이 포함된 포집 매체층(2)에 전류를 통전시킴에 따라 각 매체의 종류에 따른 저항값이 달라지고, 이러한 저항값의 차이에 의해 검출센서(25)는 포집 매체의 종류에 따라 출력신호를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센서(25)는 2개의 전극을 가질 수 있고, 이에 2개의 전극 사이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출력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센서(25)는 1개의 전극과 그라운드(ground)를 가질 수 있고, 이에 1개의 전극과 그라운드 사이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출력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27)는 검출센서(25)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으며,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포집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고, 구동모터(25)를 적절히 제어하도록 구동시키는 회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기(207)는 차량용 ECU(미도시)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차량용 ECU에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기(27)는 차량용 ECU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차량용 ECU(미도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키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 여기서, 차량의 정차 상태는 검출센서(25)가 정상이고, 차속이 1 km 이하이며, 차량이 중립이고, 클러치가 온되며, 가속페달이 오프되고, 엔진의 시동이 온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키온 상태는 검출센서(25)가 정상이고, 엔진의 시동이 오프되며, 키(key)가 온되어 차량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컨대,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0.5~4.5V의 범위에 해당하면 검출센서(25)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키온 상태가 아니면 밸브플레이트(23)는 복원스프링(26)에 의해 폐쇄위치(CP)를 유지한다(S1-1).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키온 상태이면 검출센서(25)의 측정이 진행된다(S2). 여기서, 검출센서(25)는 드레인 바울(13)에 포집된 연료, 수분 및 우레아 등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그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각 포집 매체(수분 및 우레아 등)에 따른 출력전압 강하값(Vs)을 출력한다.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보다 낮은지를 판단하고(S3),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보다 낮으면(V<V1) 제어기(27)에 의해 구동모터(2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복원스프링(26)은 밸브플레이트(23)를 폐쇄위치(CP)로 이동시킨다(S4). 이에,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제1드레인홀(21) 및 제2드레인홀(22)과 소통하지 않음으로써 제1드레인홀(21) 및 제2드레인홀(22)이 폐쇄된다. 예컨대, 제1기준값(V1)은 1.5V일 수 있다.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이상이고 제2기준값(V2) 보다 낮으면(V1≤Vs<V2)(S5), 제어기(27)는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어기(27)에 의해 구동모터(24)는 밸브플레이트(23)를 제1개방위치(OP1)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S6). 이에,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제1드레인홀(21)과 소통함으로써 제1드레인홀(21)이 개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레인 바울(13) 내의 우레아가 우레아 수거관(21a)을 통해 우레아 탱크(미도시) 내로 수거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7)는 그 검출신호를 차량용 ECU(미도시)에 전송하고, 이에 우레아가 드레인 바울(13)의 설정된 수위에 도달함을 차량용 클러스트의 경고등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기준값(V2)은 2.5V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레인 바울(13)의 우레아가 우레아 수거관(21a)을 통해 우레아 탱크(미도시) 내로 수거된 후에 S2단계의 검출센서(25)의 측정단계로 리턴한다.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2기준값(V2) 이상이고 제3기준값(V3) 보다 낮으면(V2≤Vs<V3)(S7), 제어기(27)는 수분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어기(27)에 의해 구동모터(24)는 밸브플레이트(23)를 제2개방위치(OP2)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S8). 이에,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제2드레인홀(22)과 소통함으로써 제2드레인홀(22)이 개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레인 바울(13) 내의 수분이 수분 드레인관(22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7)는 그 검출신호를 차량용 ECU(미도시)에 전송하고, 이에 수분이 드레인 바울(13)의 설정된 수위에 도달함을 차량용 클러스트의 경고등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3기준값(V3)은 4.5V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레인 바울(13)의 수분이 수분드레인관(22a)을 통해 배출된 후에 S2단계의 검출센서(25)의 측정단계로 리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기준값(V1)은 제2기준값(V2) 보다 낮고, 제2기준값(V2)은 제3기준값(V3) 보다 낮으며, 제1기준값(V1)은 연료와 우레아를 구별하는 기준값일 수 있고, 제2기준값(V2)은 우레아와 수분을 구별하는 기준값일 수 있으며, 제3기준값(V3)은 검출센서(25)의 최대출력값으로 검출센서(25)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차량용 ECU(미도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키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1). 여기서, 차량의 정차 상태는 검출센서(25)가 정상이고, 차속이 1 km 이하이며, 차량이 중립이고, 클러치가 온되며, 가속페달이 오프되고, 엔진의 시동이 온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키온 상태는 검출센서(25)가 정상이고, 엔진의 시동이 오프되며, 키(key)가 온되어 차량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컨대,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0.5~4.5V의 범위에 해당하면 검출센서(25)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키온 상태가 아니면 밸브플레이트(23)는 복원스프링(26)에 의해 폐쇄위치(CP)를 유지한다(S11-1).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키온 상태이면 검출센서(25)의 측정이 진행된다(S12). 여기서, 드레인 바울(13)에 포집된 연료, 수분 및 우레아 등의 저항이 측정됨으로써 검출센서(25)는 출력전압 강하값(Vs)을 출력한다.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보다 낮은지를 판단하고(S13),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보다 낮으면(V<V1) 제어기(27)에 의해 구동모터(2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복원스프링(26)이 밸브플레이트(23)를 폐쇄위치(CP)로 이동시킨다(S14). 이에,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제1드레인홀(21) 및 제2드레인홀(22)과 소통하지 않음으로써 제1드레인홀(21) 및 제2드레인홀(22)이 폐쇄된다. 예컨대, 제1기준값(V1)은 1.5V일 수 있다.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이상이고 제2기준값(V2) 보다 낮으면(V1≤V<V2)(S15), 제어기(27)는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어기(27)에 의해 구동모터(24)는 밸브플레이트(23)를 제1개방위치(OP1)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S16). 이에,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제1드레인홀(21)과 소통함으로써 제1드레인홀(21)이 개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레인 바울(13) 내의 우레아가 우레아 수거관(21a)을 통해 우레아 탱크(미도시) 내로 수거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7)는 그 검출신호를 차량용 ECU(미도시)에 전송하고, 이에 우레아가 드레인 바울(13)의 설정된 수위에 도달함을 차량용 클러스트의 경고등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기준값(V2)은 2.5V일 수 있다.
드레인 바울(13)의 우레아가 우레아 수거관(21a)을 통해 우레아 탱크 내로 수거된 이후에,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17).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보다 작으면 제어기(27)에 의해 구동모터(24)는 밸브플레이트(23)를 제2개방위치(OP2)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S19).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일정시간 동안 제2드레인홀(22)과 소통함으로써 제2드레인홀(22)이 개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레인 바울(13) 내의 우레아 및 연료 잔유량이 수분 드레인관(22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레아가 우레아 탱크로 수거된 이후에 드레인 바울(13)에 잔존한 우레아 및 연료 잔유량을 완전히 배출함으로써 우레아의 드레인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 다음에, S2단계의 검출센서(25)의 측정단계로 리턴한다.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2기준값(V2) 이상이고 제3기준값(V3) 보다 작으면(V2≤V<V3)(S19), 제어기(27)는 수분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어기(27)에 의해 구동모터(24)는 밸브플레이트(23)를 제2개방위치(OP2)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S20). 이에,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제2드레인홀(22)과 소통함으로써 제2드레인홀(22)이 개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레인 바울(13) 내의 수분이 수분 드레인관(22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7)는 그 검출신호를 차량용 ECU(미도시)에 전송하고, 이에 수분이 드레인 바울(13)의 설정된 수위에 도달함을 차량용 클러스트의 경고등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3기준값(V3)은 4.5V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레인 바울(13)의 수분이 수분 드레인관(22a)을 통해 배출된 이후에,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21).
검출센서(25)의 출력전압 강하값(Vs)이 제1기준값(V1) 보다 작으면 제어기(27)에 의해 구동모터(24)는 밸브플레이트(23)를 제2개방위치(OP2)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S22). 밸브플레이트(23)의 개구(23a)가 일정시간 동안 제2드레인홀(22)과 소통함으로써 제2드레인홀(22)이 개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레인 바울(13) 내의 수분 및 연료 잔유량이 수분 드레인관(22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이 배출된 이후에 드레인 바울(13)에 잔존한 수분 및 연료 잔유량을 완전히 배출함으로써 수분의 드레인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 다음에, S2단계의 검출센서(25)의 측정단계로 리턴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분을 포함한 우레아의 유입상태를 차량용 클러스터의 경고등을 통해 경고함으로써 수분 및 우레아의 유입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수분 배출 또는 우레아의 수거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수분 배출 또는 우레아의 수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차량용 클러스터의 경고등이 지속적으로 경고함으로써 엔진의 문제 발생 시에 그 원인에 대한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레아를 혼동하여 주입할 경우에도, 운전자의 정기적인 수분 및 우레아의 확인 점검, 수분 및 우레아의 수작업에 의한 분리 배출 등이 불필요하고, 엔진(또는 연료시스템)이 이상연료로부터 오염 내지 파손됨을 자동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연료필터 11: 필터 헤드
12: 필터 엘리먼트 13: 드레인 바울
20: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21: 제1드레인홀 22: 제2드레인홀
23: 밸브플레이트 23b: 개구
24: 구동모터 25: 검출센서
26: 복귀스프링 27: 제어기

Claims (15)

  1. 연료필터의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수분, 우레아를 개별적으로 드레인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로서,
    상기 드레인 바울의 바닥에 형성되고, 우레아를 드레인하도록 배치된 제1드레인홀;
    상기 드레인 바울의 바닥에 형성되고, 수분을 드레인하도록 배치된 제2드레인홀;
    상기 제1드레인홀 및 상기 제2드레인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 및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가 상기 제1드레인홀 및 상기 제2드레인홀과 선택적으로 소통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폐쇄위치, 제1개방위치, 제2개방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폐쇄위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의해 제1드레인홀 및 제2드레인홀이 폐쇄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1개방위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개구가 상기 제1드레인홀과 소통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개방위치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개구가 상기 제2드레인홀과 소통하는 위치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드레인홀 및 상기 제2드레인홀은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한번의 회전 시에 복수의 스텝으로 나눠져 회전하는 스테핑모터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폐쇄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바울 내에 포집된 수분 및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 지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는 유체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가변되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센서인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드레인 바울에 고인 수분 및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드레인 바울에 고인 수분 및 우레아에 전류를 통전시켜 각 매체의 종류에 따른 저항값 차이를 통해 달라지는 출력신호를 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유입매체의 종류를 판별하고, 포집 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10. 연료필터의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수분, 우레아를 개별적으로 드레인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으로,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키온 상태에서, 검출센서에 의해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수분 및 우레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그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각 포집 매체에 따른 출력 강하값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 강하값을 제1기준값, 제2기준값, 제3기준값과 비교하여 밸브플레이트에 의해 드레인 바울의 제1드레인홀 및 제2드레인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수분 및 우레아를 선택적으로 드레인하며,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제2기준값 보다 작으며,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제3기준값 보다 작은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1드레인홀 및 제2드레인홀을 폐쇄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1기준값 이상이고 제2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1드레인홀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우레아를 우레아 탱크로 수거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우레아를 우레아 탱크로 수거한 이후에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2드레인홀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바울에 잔존하는 우레아 및 연료 잔유량를 배출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2기준값 이상이고 제3기준값 보다 낮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2드레인홀을 개방함으로써 드레인 바울에 포집된 수분을 배출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수분을 배출한 이후에 출력전압 강하값이 제1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드레인 바울의 제2드레인홀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바울에 잔존하는 수분 및 연료 잔유량를 배출하는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방법.
KR1020170161510A 2017-11-29 2017-11-29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드레인방법 KR10233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510A KR102335988B1 (ko) 2017-11-29 2017-11-29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드레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510A KR102335988B1 (ko) 2017-11-29 2017-11-29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드레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882A KR20190062882A (ko) 2019-06-07
KR102335988B1 true KR102335988B1 (ko) 2021-12-07

Family

ID=6684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510A KR102335988B1 (ko) 2017-11-29 2017-11-29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드레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9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723A (ja) 1999-10-05 2001-05-22 Fleetguard Inc 燃料フィルタ水分離器用ドレインバルブ
JP2001514955A (ja) 1997-08-19 2001-09-18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バルブ装置、流体レベル指示器を含む流体フィルタ装置とその方法
JP2013240796A (ja) 2004-11-05 2013-12-05 Donaldson Co Inc 濾材
JP2016191348A (ja) 2015-03-31 2016-11-10 京三電機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用水位センサ、水分離器および燃料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4955A (ja) 1997-08-19 2001-09-18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バルブ装置、流体レベル指示器を含む流体フィルタ装置とその方法
JP2001140723A (ja) 1999-10-05 2001-05-22 Fleetguard Inc 燃料フィルタ水分離器用ドレインバルブ
JP2013240796A (ja) 2004-11-05 2013-12-05 Donaldson Co Inc 濾材
JP2016191348A (ja) 2015-03-31 2016-11-10 京三電機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用水位センサ、水分離器および燃料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882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0199B (zh) 入口旁路流动管理系统和方法
US9790885B2 (en) Crankcase integrity breach detection
JP3856827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における漏れを検出するための検出装置
CN105275690B (zh) 燃料过滤器异常检测装置
CN102678396B (zh) 炭罐流量的诊断方法
GB2065336A (en) Automatic level control system for an oil contaminant
EP2321507B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atfähigen kraftfahrzeugs sowie watfähiges kraftfahrzeug
CN107060968A (zh) 一种判断尿素泵管路堵塞或漏气的方法和系统
EP2304216A1 (en) A liquid drain system
CN103459819B (zh) 一种阀门
DE102004050692B4 (de) Diagnoseeinrichtung für ein Kraftstoffdampf-Spülsystem und zugehöriges Verfahren
JP5935814B2 (ja) 燃料フィルタ異常検出装置
EP3108128A1 (en) A method for removing leaked crankcase fluid from a crankcase and a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CN109236517B (zh) 一种发动机的燃油滤清器、燃油系统及故障检测装置
CN109209707A (zh) 具有自动放水功能的燃油滤清器及自动放水方法
US201801336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ing a fluid filtration system
KR102335988B1 (ko) 연료필터의 수분 및 우레아 드레인장치 및 드레인방법
DE19859913A1 (de) Kraftstoffzufuhr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KR101856013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블리드 밸브를 위한 진단 방법 및 장치
CN107636294B (zh) 箱通风设备和用于诊断箱通风设备的方法
CN104343597A (zh) 汽车的油水分离系统、汽车及排水方法
JP5973055B2 (ja) 燃料フィルタの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CN106990723A (zh) 一种高压清洗机及其无水检测方法
CN114174656A (zh) 用于监测内燃机的燃料供应系统的方法和用于执行这样的方法的内燃机
KR20080053601A (ko) 수분 과다 혼입 연료로 인한 디젤 엔진 고장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