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960B1 - 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960B1
KR102335960B1 KR1020200015032A KR20200015032A KR102335960B1 KR 102335960 B1 KR102335960 B1 KR 102335960B1 KR 1020200015032 A KR1020200015032 A KR 1020200015032A KR 20200015032 A KR20200015032 A KR 20200015032A KR 102335960 B1 KR102335960 B1 KR 102335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main body
air
neck prot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982A (ko
Inventor
김명현
현소영
최승동
Original Assignee
(재) 한국전기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한국전기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재) 한국전기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1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9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말발굽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도록 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본체(10)가 부풀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공기 공급장치(20); 및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하면 개방되어 상기 공기를 사용자 신체에 제공하도록 하는 밸브 장치(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 보호대{Neck protector}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고, 고개를 들고 작업할 때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하여 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개를 들어 올리고 작업하는 직업, 예를 들면 전신주 전선을 관리하거나, 과수원에서 과일을 수확하거나, 포도, 다래 등의 작물 농사를 짓거나, 천장에 전등을 매달거나, 천장에 도배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앞서 나열한 다양한 작업은, 목에 부담을 주고, 목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더 발전된 형태로 어깨, 팔, 손바닥 등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팔을 들어 올리기 힘들어할 수 있다.
한편으로, 앞서 나열한 다양한 작업은, 고개를 들고 있기도 하지만, 작업의 형태에 따라 고개를 이리저리 기웃거리거나 돌리는 등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목 보호대는, 사고를 당했거나 목 디스크가 발병한 상태에서 목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하여 착용한다.
종래에 알려진 목 보호대는, 튜브 형태로 제공되고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거나 수동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형태가 알려져 있고, 이러한 형태의 목 보호대는 내부에 압력이 형성되면 표면이 팽팽한 상태가 된다.
즉, 종래에 알려진 튜브 형태의 목 보호대는 표면이 팽팽한 상태이므로 단순하게 고개를 젖히거나 돌리는 동작으로 누르기 어렵다.
한편으로, 종래에 알려진 튜브 형태의 목 보호대는 공기 압력을 다소 낮추어 눌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머리 또는 목을 기대더라도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어야 하는데, 누르는 힘이 작용할 때 곧바로 눌러지면 작업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목 보호대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목 또는 머리를 기대더라도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어야 하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목을 젖힐 때 젖히는 방향에서 눌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른 한편으로, 목 보호대를 착용하고 작업하면, 몸에서 체온이 오를 수 있고, 사용자는 체온을 낮추기 위하여 목 보호대를 풀어내며, 목 보호대가 없으면 사용자는 피로가 더욱 강하게 누적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KR 20-1995-0010411 Y1 KR 10-1792058 B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목 보호대에 목 또는 머리를 기대더라도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좀 더 강한 힘으로 고개를 숙이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할 때, 그 동작을 이행하는 데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목 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 보호대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 목 주변에 계속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어 목 주변과 머리 주변에 쾌적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목 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말발굽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도록 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본체(10)가 부풀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공기 공급장치(20); 및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하면 개방되어 상기 공기를 사용자 신체에 제공하도록 하는 밸브 장치(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의 상기 밸브 장치(30)는, 상기 본체(10)에 부착되고 제1 홀(33)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하우징(32); 상기 하우징(32)에 체결되고 제2 홀(35)을 통해 상기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도록 하는 캡(34);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홀(33)을 개폐하는 플러그(36); 및 상기 캡(34)과 상기 플러그(36)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36)가 상기 하우징(32)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체(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상기 하우징(32)에서 상기 캡(34)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체(38)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의 상기 플러그(36)는, 제3 홀(37)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홀(37)을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상기 밸브 장치(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상기 공기 공급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0); 및 상기 공기 공급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상기 본체(10)의 양쪽 끝에 형성된 제1, 2 끝부분(11, 12); 및 상기 제1 끝부분(11)과 상기 제2 끝부분(12)이 벌어지지 않도록 결속하는 결속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의 상기 결속 장치(50)는, 상기 제1, 2 끝부분(11, 12)에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고리(52); 및 상기 복수의 고리(52)에 걸쳐진 밴드(54)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54)는, 탄성을 갖는 탄력 밴드(55)와 탄성이 없는 비탄력 밴드(56)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평소에 적정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목 보호대에 목 또는 머리를 기대더라도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고, 사용자의 의지로 목 보호대에 좀 더 강한 힘으로 고개를 숙이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할 때 눌러질 수 있어 소망하는 동작을 쉽게 이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목 보호대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 목 주변에 계속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고, 이로써 체온을 낮출 수 있으며, 땀을 증발시켜 끈적임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 목 주변과 머리 주변에 쾌적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에서 밸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에서 결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부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에서 밸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에서 결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본체(10), 공기 공급장치(20) 및 밸브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말발굽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는 양쪽 끝부분이 벌어질 수 있어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는 데에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하는 튜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층으로 구성하여 적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장치(2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본체(10)가 부풀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장치(20)는 전동 모터의 동력으로 팬을 작동시켜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10) 내부로 불어 넣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장치(20)는 별도의 압력 용기에 압축 공기를 충전하고, 압축 공기를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압력 용기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써 상용 전원을 연결할 수 없거나 발전기를 연결할 수 없는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장치(3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하면 개방되어 상기 공기를 사용자 신체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본체(10)에 공기 공급장치(20)로 공기를 공급하여 본체(1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목 또는 머리를 기댈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고, 목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한편으로, 사용자의 의지로 고개를 숙이거나 임의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고개를 움직이고, 고개를 움직임에 따라 본체(10)가 눌린다. 본체(10)가 눌리면 본체(10)의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고, 밸브 장치(30)는 설정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하면 개방되어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면서 본체(10)가 쉽게 눌러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평소에 적정한 강성을 유지하여 목 보호대에 목 또는 머리를 기대더라도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고, 사용자의 의지로 목 보호대에 좀 더 강한 힘으로 고개를 숙이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할 때 눌러질 수 있어 소망하는 동작을 쉽게 이행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장치(30)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밸브 장치(30)는 하우징(32), 캡(34), 플러그(36) 및 탄성체(3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본체(10)에 부착되고 제1 홀(33)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공기가 유통될 수 있다.
상기 캡(34)은 상기 하우징(32)에 체결되고 제2 홀(35)을 통해 상기 공기가 외부와 유통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36)는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홀(33)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8)는 상기 캡(34)과 상기 플러그(36)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36)가 상기 하우징(32)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8)는 복원력보다 큰 힘이 작용하면 수축할 수 있고, 상기 복원력은 설정 압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즉, 본체(10)의 내부에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으면 공기 압력은 플러그(36)를 밀어내고 탄성체(38)는 압축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36)가 밀려나면서 상기 제1 홀(33)이 개방되고, 제1 홀(33)이 개방되면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제1 홀(33)과 제2 홀(35)을 통하여 배기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본체(10)에 기대더라도 상기 탄성체(38)에 설정된 긴장, 즉 설정 압력 이하이면 본체(10)는 무너지지 않고 지탱할 수 있고, 이로써 목 또는 머리를 기댈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의지로 본체(10)에 좀 더 강한 힘으로 누르면 본체(10)의 내부에 설정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형성되면서 밸브 장치(30)를 통하여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눌러지고,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소망하는 자세로 동작을 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하우징(32)에서 상기 캡(34)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체(38)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2)과 캡(34)은 나사 결합하여 체결할 수 있고, 이로써 캡(34)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캡(34)을 하우징(32)의 깊숙한 위치로 조립하면 탄성체(38)에 긴장을 증가시켜 압력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캡(34)을 하우징(32)에 느슨하게 조립하면 탄성체(38)는 이완되어 압력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캡(34)을 조이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성체(38)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어느 정도의 누르는 힘을 작용할 때까지 본체(10)가 무너지지 않고 버틸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플러그(3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홀(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홀(37)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상기 밸브 장치(3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본체(10)의 내부 압력 변화와 관계없이 상기 플러그(36)의 제3 홀(37)을 통하여 공기를 사용자 신체에 계속 불어 넣을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의 체온을 낮추는데 이바지할 수 있으며, 땀을 증발시켜 끈적임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 목 주변과 머리 주변에 쾌적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40)와 배터리 팩(60)을 갖출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공기 공급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60)은 상기 공기 공급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동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60)은 사용 전원을 이용할 수 없거나 발전기를 이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상, 과수원, 집수리 중인 집 등의 환경에서 공기 공급장치(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본체(10)에 결속 장치(50)를 갖출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말굽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본체(10)의 양쪽 끝에 제1, 2 끝부분(11, 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 장치(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끝부분(11)과 상기 제2 끝부분(12)이 벌어지지 않도록 결속할 수 있다.
이로써 결속 장치(50)를 이용하여 목 보호대가 신체에서 임의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속 장치(50)는, 복수의 고리(52)와 밴드(5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리(52)는 상기 제1, 2 끝부분(11, 12)에 돌출되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54)는 상기 복수의 고리(52)에 걸쳐서 결속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의지에 따라 밴드(54)를 어느 한쪽 고리(52)에서 벗길 수 있으며, 이로써 목 보호대를 신체에서 벗거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상기 밴드(54)는, 탄성을 갖는 탄력 밴드(55)와 탄성이 없는 비탄력 밴드(5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비탄력 밴드(56)는 탄력 밴드(55)가 늘어난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밴드(54)를 늘리는 방향으로 당기면 비탄력 밴드(56)에 장력이 형성되기 전까지 늘어날 수 있고, 비탄력 밴드(56)에 장력이 형성되면 더는 늘어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밴드(54)가 탄력 밴드(55)의 탄력으로 제1, 2 끝부분(11, 12)이 모이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여 목 보호대가 임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알 수 없는 이유로 목 보호대가 벗겨지려고 할 때 비탄력 밴드(56)는 밴드(54)가 더는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여 목 보호대가 임의로 벗겨지는 것을 좀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 보호대는,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여 목과 머리를 기댈 수 있게 하여 목을 보호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본체 11, 12: 제1, 2 끝부분
20: 공기 공급장치
30: 밸브 장치 32: 하우징
33, 35, 37: 제1, 2, 3 홀 34: 캡
36: 플러그 38: 탄성체
40: 스위치
50: 결속 장치 52: 고리
54: 밴드 55: 탄력 밴드
56: 비탄력 밴드 60: 배터리 팩

Claims (7)

  1. 말발굽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도록 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본체(10)가 부풀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공기 공급장치(20); 및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하면 개방되어 상기 공기를 사용자 신체에 제공하도록 하는 밸브 장치(30);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장치(30)는,
    상기 본체(10)에 부착되고 제1 홀(33)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하우징(32);
    상기 하우징(32)에 체결되고 제2 홀(35)을 통해 상기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도록 하는 캡(34);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홀(33)을 개폐하는 플러그(36); 및
    상기 캡(34)과 상기 플러그(36)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36)가 상기 하우징(32)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체(38);
    를 포함하는 목 보호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2)에서 상기 캡(34)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체(38)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
    을 포함하는 목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36)는 제3 홀(37)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홀(37)을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상기 밸브 장치(3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목 보호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0); 및
    상기 공기 공급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60)
    을 포함하는 목 보호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양쪽 끝에 형성된 제1, 2 끝부분(11, 12); 및
    상기 제1 끝부분(11)과 상기 제2 끝부분(12)이 벌어지지 않도록 결속하는 결속 장치(50);
    를 포함하는 목 보호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장치(50)는,
    상기 제1, 2 끝부분(11, 12)에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고리(52); 및
    상기 복수의 고리(52)에 걸쳐진 밴드(54)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54)는, 탄성을 갖는 탄력 밴드(55)와 탄성이 없는 비탄력 밴드(56)
    를 포함하는 목 보호대.
KR1020200015032A 2020-02-07 2020-02-07 목 보호대 KR102335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032A KR102335960B1 (ko) 2020-02-07 2020-02-07 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032A KR102335960B1 (ko) 2020-02-07 2020-02-07 목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82A KR20210100982A (ko) 2021-08-18
KR102335960B1 true KR102335960B1 (ko) 2021-12-06

Family

ID=7746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032A KR102335960B1 (ko) 2020-02-07 2020-02-07 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78B1 (ko) 2022-11-08 2023-06-28 (재) 한국전기산업연구원 목 보호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9235B2 (ja) * 1997-05-22 2001-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1640091B1 (ko) * 2015-04-14 2016-07-18 (주)씨에스이 다기능 목 견인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411U (ko) 1993-09-08 1995-04-24 수신감도 개선회로
JP3129235U (ja) * 2006-08-01 2007-02-15 秀剛 蓬山 冷房用衣服のエアーベストを提供する。
KR101792058B1 (ko) 2017-09-15 2017-11-01 박영환 에어펌프가 장착된 공기주입식 휴대용 목쿠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9235B2 (ja) * 1997-05-22 2001-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1640091B1 (ko) * 2015-04-14 2016-07-18 (주)씨에스이 다기능 목 견인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78B1 (ko) 2022-11-08 2023-06-28 (재) 한국전기산업연구원 목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82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155B2 (en) Headwear with interwoven gripping fibers
US5875488A (en) Headgear with ponytail pull-through
US20090151048A1 (en) Hair sleeve
KR102335960B1 (ko) 목 보호대
US9763507B2 (en) User-adjustable headban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080034473A1 (en) Elastic cap
JP2013529727A (ja) ヘルメット用自動調整式保持システム
JP2020200579A (ja) ヘルメット
US10798981B2 (en) Wig base and wig
US20170071273A1 (en) Adjustable hair band
US20060288467A1 (en) Dread cap
CN113303975B (zh) 一种温热透气式护眼纱布
KR20210023390A (ko) 손목보호대
CN210868089U (zh) 一种具有防滑落便于收纳的蓝牙耳机
CN205726266U (zh) 一种调节头戴设备夹持力的螺纹结构及耳机
JP2001299791A (ja) 顎バンド
CN204541134U (zh) 反重力肩带
CN208823374U (zh) 一种角度可调防划伤的挠痒器
CN209059915U (zh) 一种人体工学头带
CN209518294U (zh) 一种用于防护飞虫的头部用具
KR102270166B1 (ko) 진동벨트
CN214156324U (zh) 一种舞蹈表演激光手套
KR200450535Y1 (ko) 안면 마사지기
US20210120903A1 (en) Headwear Retainer
US20170065008A1 (en) Textured thumb co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