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879B1 - Waist belt of baby carrier having detachable back plate - Google Patents
Waist belt of baby carrier having detachable back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5879B1 KR102335879B1 KR1020200016058A KR20200016058A KR102335879B1 KR 102335879 B1 KR102335879 B1 KR 102335879B1 KR 1020200016058 A KR1020200016058 A KR 1020200016058A KR 20200016058 A KR20200016058 A KR 20200016058A KR 102335879 B1 KR102335879 B1 KR 1023358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support plate
- detachable
- baby
- wai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Abstract
아기를 안을 때에는 결착되고 아기를 업을 때에는 분리하여 사용자 복부에서의 불편과 손상을 방지하는 탈부착 지지판을 가진 아기캐리어 허리벨트를 제시한다. 그 허리벨트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고 분리가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벨트를 포함하는 벨트 및 제1 또는 제2 벨트 중의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탈착부는 아기를 안을 때에는 벨트에 결착하고 아기를 업을 때에는 벨트로부터 분리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Presenting a baby carrier waist belt with a detachable support plate that is fastened when holding a baby and separated when carrying a baby to prevent discomfort and damage to the user's abdomen. The waist belt includes a belt including first and second belts worn on the user's waist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detachable part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belt, and the detachable part is attached to the belt when holding a baby. and a support plate that separates it from the belt when carrying the baby.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기캐리어 허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를 안을 때에는 결착하여 허리를 지지하고 아기를 업을 때에는 분리할 수 있는 탈부착 지지판을 가진 아기캐리어 허리벨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er waist 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carrier waist belt having a detachable support plate that supports the waist by binding when holding a baby and detachable when carrying a baby.
일반적으로 아기를 안거나 업는데 사용하기 위해 기존의 포대기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아기캐리어가 사용되고 있다. 아기캐리어는 아기를 감싸는 상태로 하여 아기의 몸통을 받쳐 주는 등받이 패드와, 등받이 패드의 양측에 형성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메는 멜빵 및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벨트로 구성된다. 아기캐리어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양팔로 유아를 직접 안는 것에 비하여 힘이 적게 들고, 사용자는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가 수면 중일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아기캐리어의 허리벨트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89399호, 국내등록특허 제10-175149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a baby carrier tha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conventional swaddling is used for holding or carrying a baby. The baby carrier is composed of a back pad that supports the body of the baby in a state of wrapping the baby, suspend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 pad to be worn on the user's shoulder, and a waist belt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user. When the baby carrier is used, it takes less force compared to the user holding the infant with both arms directly, the user can freely use both arms, and it can be used even when the infant is sleeping. The waist belt of the baby carrier is disclosed in the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9399 and the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751493.
한편, 종래의 허리벨트는 국내등록특허 제10-1947114호와 같이 허리를 지지하는 백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는 아기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허리를 보호한다. 사용자가 아기를 업을 때에는 상기 백플레이트는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한다. 그런데, 상기 백플레이트가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하면,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초래한다. 특히 사용자가 제왕절개와 같은 수술을 받은 경우에는 복부에 심각한 손상 및 불편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를 업을 때에는 상기 백플레이트는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waist belt, a back plate supporting the waist is fixed a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47114. The back plate protects the user's waist in a situation of holding a baby. When the user carries the baby, the back plate is located on the user's abdomen. However, when the back plate is located on the user's abdomen, i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particular, when a user has undergone a cesarean section, it can cause serious damage and discomfort to the abdomen.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plate be separated when carrying the bab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기를 안을 때에는 결착되고 아기를 업을 때에는 분리하여 사용자 복부에서의 불편과 손상을 방지하는 탈부착 지지판을 가진 아기캐리어 허리벨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carrier waist belt having a detachable support plate that binds when holding a baby and separates when carrying a baby to prevent discomfort and damage to the user's abdomen.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탈부착 지지판을 가진 아기캐리어 허리벨트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고, 분리가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벨트를 포함하는 벨트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벨트 중의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탈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탈착부는 아기를 안을 때에는 상기 벨트에 결착하고, 상기 아기를 업을 때에는 상기 벨트로부터 분리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A baby carrier waist belt having a detachable support plat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belt and the first or second belt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belts that are worn on the user's waist and are separated It includes a detachable part. In this case, the detachable unit includes a support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belt when holding the baby, and is separated from the belt when carrying the baby.
본 발명의 허리벨트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벨트에 마련된 후크 수용부 및 상기 지지판에 마련된 제1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1 후크를 상기 후크 수용부에 삽입한 후 상기 제1 후크를 돌려서 상기 벨트에 고정된다. 상기 후크 수용부는 상기 허리에 대한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하도록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제3 벨크로 및 상기 벨트에 고정된 제4 벨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3 벨크로를 상기 제4 벨크로에 결합하여 상기 벨트에 고정된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지지판에 마련되고 H자 형태의 홀(hole)인 밴드결합부 및 상기 벨트에 마련된 결합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결합밴드를 상기 결합밴드를 상기 밴드결합부의 중앙 부위에 삽입하여 상기 벨트에 고정된다. 상기 밴드결합부는 상기 허리에 대한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하도록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벨트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벨크로 밴드 및 상기 지지판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5 벨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5 벨크로를 상기 벨크로 밴드에 부착하여 상기 벨트에 고정할 수 있다.In the waist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portion includes a hook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belt and a first hook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plate includes the first hook after inserting the first hook into the hook receiving portion. It is fixed to the belt by turning it. A plurality of the hook receiving part may be present to adjust the vertical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waist. The detachable part includes a third Velcro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a fourth Velcro fixed to the belt, and the support plate is fixed to the belt by coupling the third Velcro to the fourth Velcro. The detachable part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and includes a band coupling part that is an H-shaped hole and a coupling band provided in the belt, and the support plate inserts the coupling band into the center of the band coupling part. to be fixed to the belt. There may be a plurality of the band coupling portion to adjust the vertical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waist. The detachable part may include at least one Velcro band coupled to the belt and at least one fifth Velcro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plate may be fixed to the belt by attaching the fifth Velcro to the Velcro band. .
본 발명의 바람직한 허리벨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및 제2 벨트가 다중 지퍼로 연결되고, 상기 다중 지퍼는 복수개의 지퍼레일 및 슬라이더의 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지퍼레일은 상기 제1 벨트 또는 제2 벨트 중의 어느 하나의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벨트 또는 상기 제2 벨트 중의 어느 하나의 벨트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복수개의 지퍼레일에 의해 분리되고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지퍼레일을 이루는 각각 지퍼레일과 상기 슬라이더가 결합되면 상기 허리벨트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In a preferred waist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lt and the second belt are connected by multiple zippers, the multiple zipper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zipper rails and a pair of sliders, and the plurality of zipper rails are the first belt or mounted on any one of the second belts, the slider is mounted on any one of the first belt or the second belt, the slider is separated and coupled by the plurality of zipper rails; When each of the zipper rails and the slider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zipper rails are coupled, the length of the waist belt may vary.
이때, 상기 허리벨트의 길이는 상기 사용자의 체형 및 상기 아기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다중 지퍼는 후크 결합부에 의해 덮이며, 상기 후크 결합부는 제2 후크가 수용되는 후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수용부의 길이는 상기 다중 지퍼에 의한 상기 허리벨트의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waist belt varies according to the body type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baby. The multi-zipper may be covered by a hook coupling part, and the hook coupling part may include a hook receiving part in which a second hook is accommodated. The length of the hook receiving part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aist belt due to the multi-zipper.
본 발명의 탈부착 지지판을 가진 아기캐리어 허리벨트에 의하면, 탈부착이 가능한 지지판을 구비함으로써, 아기를 안을 때에는 결착되고 아기를 업을 때에는 분리하여 사용자 복부에서의 불편과 손상을 방지한다.According to the baby carrier waist belt having a detachable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detachable support plate, it is secured when holding a baby and separated when carrying a baby to prevent discomfort and damage to the user's abdome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기캐리어 제1 허리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허리벨트를 포함한 아기캐리어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아기캐리어 제2 허리벨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기캐리어 제3 허리벨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아기캐리어 제4 허리벨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er first wais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wearing a baby carrier including a first wais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by carrier second wais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waist belt of the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urth waist belt of the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허리벨트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허리벨트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n the other hand, terms indicating positions such as upper, lower, front, etc. are only rela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n practice, the waist belt can be used in any optional orientation, and in actual use, the spatial orient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and rotation of the waist bel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탈부착이 가능한 지지판을 구비함으로써, 아기를 안을 때에는 결착되고 아기를 업을 때에는 분리하여 사용자 복부에서의 불편과 손상을 방지하는 아기캐리어 허리벨트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탈부착이 가능한 지지판이 구비된 허리벨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아기를 안을 때와 업을 때에 지지판을 결착하고 분리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탈부착 지지판이 구비된 허리벨트를 포함하는 모든 아기캐리어를 포함한다. 다만, 편의를 위하여, 힙시트 타입의 아기캐리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carrier waist belt that has a detachable support plate, which is secured when holding a baby and separated when carrying a baby to prevent discomfort and damage to the user's abdomen. To this e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waist belt provided with a detachable support plate,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attaching and separating the support plate when holding and lifting a ba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baby carriers including a waist belt provided with a detachable support plate. However, for convenience,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a hip seat type baby carri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기캐리어 제1 허리벨트(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er
도 1에 의하면, 제1 허리벨트(100)는 제1 벨트(11) 및 제2 벨트(12)로 이루어진 벨트(10)를 포함한다. 제1 벨트(11)와 제2 벨트(12)는 다중 지퍼(50)로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벨트(11)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지지판(21)을 포함하는 제1 탈착부(20)가 마련된다. 제1 탈착부(20)는 지지판(21), 후크 수용부(22) 및 제1 후크(23)를 포함한다. 지지판(21)은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위치하고, 유연성 및 통기를 위하여 다수개의 홀을 갖출 수 있다. 지지판(21)은 제1 벨트(11)에 결합되며 제1 허리벨트(100)를 착용하였을 때, 힙시트(40)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지지판(21)에 가해지는 하중을 제1 허리벨트(100)에 최대한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지지판(21)의 가운데 부위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항아리 형태가 좋다. 지지판(21)의 하부는 사용자의 골반을 고려하여 중앙 부위가 패여 있고, 상부는 지지력을 높이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Referring to FIG. 1 , a
지지판(21)은 사용자의 허리와 부드럽게 밀착되고 충격흡수가 용이하도록, 점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21)은 밀착력이 증가하여 허리를 보호할 수 있고, 하중이 사용자의 몸통이나 골반의 상단에 전달되며 반대방향의 힙시트(40)가 중력방향으로 향하는 하중을 골반과 허리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판(21)이 고정되는 제1 벨트(11)에 X 밴드와 같은 구조물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X 밴드를 조이면, 지지판(21)에 상부 방향으로 올리는 힘을 부여하여 실질적으로 하중을 들어올리는 효과를 제공하여 무게 분산 효과를 더욱 높인다. The
후크 수용부(22)는 제1 벨트(11)에 마련되고, 제1 후크(23)는 지지판(21)에 마련된다. 후크 수용부(22)는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으나, 허리에 대한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리에 대한 상하 위치를 낮추려면 제1 후크(23)는 아래쪽의 후크 수용부(62)에 체결하고, 높이려면 위쪽의 후크 수용부(22)에 체결한다. 후크 수용부(22)는 좌우 마진(margin)을 두어 허리에 대한 좌우 위치가 조절된다. 제1 후크(23)는 하나일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를 두어 보다 안정적으로 제1 벨트(11)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후크(23)를 후크 수용부(22)에 삽입한 후, 제1 후크(23)를 돌리면 제1 후크(23)는 후크 수용부(22)에 고정된다. The
제1 탈착부(20)의 지지판(21)은 사용자가 아기를 안고 있을 때에만 제1 벨트(11)에 결착한다. 만일, 사용자가 아기를 업고 있을 때에는 제1 탈착부(20)를 해체한다. 아기를 업을 때에는 제1 후크(23)를 후크 수용부(22)로부터 벗어나게 한 후, 지지판(21)을 떼어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탈착부(20)는 아기의 위치, 즉 아기를 안을 때와 업을 때에 따라 탈부착이 이루어진다. The
경우에 따라, 제1 허리벨트(100)는 다중 지퍼(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지퍼(50)는 복수개의 지퍼레일(51, 52, 53) 및 지퍼레일(51, 52, 53)과 결합되고 분리시키는 슬라이더(54)가 짝을 이루어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3개의 지퍼레일(51, 52, 53)을 표현하였으나,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 형태 등을 고려하여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슬라이더(54)는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을 표현하였다. In some cases, the
슬라이더(54)가 지퍼레일(51)에 결합될 때의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 지퍼레일(52)에 결합될 때의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 및 지퍼레일(53)에 결합될 때의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는 서로 달라진다. 지퍼레일(53)에 결합될 때의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가 가장 길고, 지퍼레일(51)에 결합될 때의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가 가장 짧다. 다시 말해, 다중 지퍼(50)는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는 제1 벨트(11)에 복수개의 지퍼레일(51, 52, 53)이 장착되고 제2 벨트(12)에 슬라이더(54)가 장착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제1 벨트(11)에 슬라이더(54)가 장착되고 제2 벨트(12)에 복수개의 지퍼레일(51, 52, 53)이 장착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종래의 허리벨트는 길이가 일정하다. 길이가 일정하면, 사용자의 체형, 아기를 안거나 업는 위치 등의 상황에 따라 허리벨트가 제대로 착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벨트의 길이가 동일하다면, 체형 또는 아기의 위치에 따라 일부 사용자에게는 허리벨트가 느슨하거나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허리벨트(100)는 다중 지퍼(50)를 활용함으로써,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가 조절되면, 사용자의 체형 또는 아기의 위치에 따라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정되게 고정한다. 예컨대, 제1 허리벨트(100)가 느슨하면 슬라이더(54)를 지퍼레일(51)에 결합하고, 제1 허리벨트(100)가 짧으면 슬라이더(54)를 지퍼레일(53)에 결합한다.A conventional waist belt has a constant length. If the length is constant, the waist belt may not be properly worn depending on the user's body type and the position of holding or carrying the baby.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waist belt is the same, the waist belt may be loose or short for some users depending on the body type or the position of the baby. The
제1 벨트(11)에는 제1 벨크로(30) 및 제2 벨트(12)에는 제2 벨크로(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허리벨트(100)의 제1 및 제2 벨트(11, 12)를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면, 제1 및 제2 벨크로(30, 31)가 서로 결합되어 제1 허리벨트(100)가 고정된다. 이때, 제1 및 제2 벨트(11, 12)의 두께 및 폭과 동일하게 제작함으로써, 제1 및 제2 벨트(11, 12)를 다중 지퍼(50)로 체결하였을 때, 제1 및 제2 벨트(11, 12)가 하나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허리벨트는 아기를 재운 후 아기를 눕히기 위해 허리벨트를 푸는 과정에서 벨크로, 버클 특유의 소음으로 인해 잠든 아기가 잠에서 깨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난다. 본 발명의 제1 허리벨트(100)는 제1 및 제2 벨크로(30, 31)를 분리하지 않고 버클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다중 지퍼(5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벨트(11, 12)를 분리하면, 상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아기가 잠에서 깨지 않는다. The
한편, 다중 지퍼(50)의 분리가 일어나더라도, 제1 및 제2 벨트(11, 12)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 결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결합부(60)는 베이스(61), 후크 수용부(62) 및 제2 후크(63)를 포함한다. 후크 결합부(60)는 다중 지퍼(50)를 덮으면서, 다중 지퍼(50)가 분리되더라도 제1 및 제2 벨트(11, 1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베이스(61)는 제2 벨트(12)에 고정되고 후크 수용부(62)를 포함한다. 제2 후크(63)는 제1 벨트(11)에 장착된다. 제2 후크(63)를 후크 수용부(62)에 삽입한 후, 제2 후크(63)를 돌리면 제2 후크(63)는 후크 수용부(62)에 고정된다. 후크 수용부(62)의 길이는 다중 지퍼(50)에 의한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후크 결합부(60)로 제1 및 제2 벨트(11, 12)를 고정하므로, 다중 지퍼(50)가 임의로 열려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separation of the multi-zipper 50 occurs, the first and
제2 벨트(12)의 일부에는 아기가 앉을 수 있는 힙시트(40)가 장착된다. 힙시트(40)는 아기가 앉았을 때, 아기의 무게를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힙시트(40)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아기가 제대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예컨대 논슬립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힙시트(4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A part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허리벨트(100)를 포함한 아기캐리어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제1 허리벨트(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wearing a baby carrier including the
도 2에 의하면, 아기캐리어(BC)는 제2 벨트(12)에 연결된 힙시트(40), 사용자의 어깨에 걸 수 있게 형성된 멜빵(SP)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아기를 안을 때에는 제1 탈착부(20)를 형성하고, 아기를 업을 때는 제1 탈착부(20)를 해체한다. 아기를 업을 때에는 제1 후크(23)를 후크 수용부(22)로부터 벗어나게 한 후, 지지판(21)을 떼어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탈착부(20)는 아기의 위치, 즉 아기를 안을 때와 업을 때에 따라 탈부착을 수행한다. According to FIG. 2 , the baby carrier BC includes a
한편,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아기를 안거나 업을 수 있다. 제1 허리벨트(100)는 다중 지퍼(50)에 의해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중 지퍼(50)에 의한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는 사용자의 체형, 아기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체형의 크면 다중 지퍼(50)로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를 늘이고, 작으면 상기 길이를 줄인다. 아기를 안고 있거나 업을 때에 사용자는 편안한 상태로 착용되도록 상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중 지퍼(50)로 제1 허리벨트(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아기를 안거나 업는다. 아기가 잠이 들어 다른 장소에 재우려고 할 때, 다중 지퍼(50)의 결합을 해제하여 아기를 다른 장소에 눕게 한다. 다중 지퍼(50)로 결합을 해제하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소음에 기인하여 아기가 잠에서 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may hold or carry the baby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기캐리어 제2 허리벨트(2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2 허리벨트(200)의 일부를 표현하였다. 이때, 제2 허리벨트(200)는 제2 탈착부(70)를 제외하고 제1 허리벨트(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by carrier
도 3에 의하면, 제2 탈착부(70)는 지지판(21)에 고정된 제3 벨크로(71) 및 제1 벨트(11)에 고정된 제4 벨크로(72)를 포함한다. 아기를 안을 때에는, 제3 및 제4 벨크로(71, 72)를 서로 결합하여 지지판(21)을 제1 벨트(11)에 고정시킨다. 아기를 업을 때에는, 제3 벨크로(71)를 제4 벨크로(72)로부터 분리하여, 지지판(21)을 제1 벨트(11)로부터 떼어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탈착부(70)는 아기의 위치, 즉 아기를 안을 때와 업을 때에 따라 탈부착된다. 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기캐리어 제3 허리벨트(3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3 허리벨트(300)의 일부를 표현하였다. 이때, 제3 허리벨트(300)는 제3 탈착부(80)를 제외하고 제1 허리벨트(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4에 의하면, 제3 탈착부(80)는 지지판(81)에 형성된 밴드결합부(82)를 포함한다. 밴드결합부(82)는 제1 벨트(11)에 장착된 결합밴드(83)에 탈부착되며, 제1 벨트(11)의 두께 방향으로 제1 및 제2 밴드결합부(82a)와 같이 복수개를 둘 수 있다. 밴드결합부(82) 각각은 H자 형태의 홀(hole)이며, 결합밴드(83)를 상기 H자의 중앙 부위를 통하여 삽입되거나 이탈시켜 탈부착을 실시한다. 제1 및 제2 밴드 결합부(82a, 82b)는 결합밴드(83)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허리에 대한 상하 위치가 달라진다. 제1 및 제2 밴드결합부(82a, 82b) 각각은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적어도 2개 이상이어서, 결합밴드(83)에 보다 강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밴드결합부(82a, 82b) 각각이 2개, 즉 한 쌍을 이루는 사례를 표현하였다. According to FIG. 4 , the third
결합밴드(83)는 제1 벨트(11)의 내측에 설치되며, 밴드결합부(82)를 통하여 지지판(81)이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경우에 따라, 지지판(81)의 중심부에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판(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탈착부(80)의 완충판(84)은 제1 및 제2 탈착부(20, 7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아기를 안을 때에는, 밴드결합부(82)와 결합밴드(83)를 서로 결합하여 지지판(81)을 제1 벨트(11)에 고정시킨다. 아기를 업을 때에는, 밴드결합부(82)를 결합밴드(83)로부터 분리하여, 지지판(81)을 제1 벨트(11)로부터 떼어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탈착부(80)는 아기의 위치, 즉 아기를 안을 때와 업을 때에 따라 탈부착된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기캐리어 제4 허리벨트(4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3 허리벨트(400)의 일부를 표현하였다. 이때, 제4 허리벨트(400)는 제3 탈착부(90)를 제외하고 제1 허리벨트(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by carrier
도 5에 의하면, 제4 탈착부(90)는 지지판(21)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벨크로 밴드(91) 및 지지판(2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5 벨크로(92)를 포함한다. 아기를 안을 때에는, 제5 벨크로(92)를 서로 결합하여 지지판(21)을 제1 벨트(11)에 고정시킨다. 아기를 업을 때에는, 제5 벨크로(92)를 벨크로 밴드(91)로부터 분리하여, 지지판(21)을 제1 벨트(11)로부터 떼어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탈착부(90)는 아기의 위치, 즉 아기를 안을 때와 업을 때에 따라 탈부착된다. 벨크로 밴드(91) 및 제5 벨크로(9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제4 허리벨트(400)의 구조, 예상되는 하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ccording to FIG. 5 , the four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내지 제4 탈착부(20, 70, 80, 90)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지지판(21, 81)을 제1 벨트(11)에 마련되어 탈부착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제1 내지 제4 탈착부(20, 70, 80, 90)가 제1 벨트(11)에 마련되는 사례를 설명하였으나, 허리벨트의 형상에 따라, 제1 내지 제4 탈착부(20, 70, 80, 90)는 제2 벨트(12)에 탈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제3 탈착부(20, 70, 80)의 제1 벨트(11)에의 탈부착은 설명의 편의상 선택된 것이다. 즉, 제1 내지 제4 탈착부(20, 70, 80, 90)는 제1 또는 제2 벨트(10, 11) 중의 어느 하나에 마련된다.The first to fourth
제1 벨트(11)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제1 내지 제4 탈착부(20, 70, 80, 90)는 제1 벨트(11)에 탈부착되는 관점에서는 동일하나, 각각은 허리벨트의 용도, 종류 등의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허리에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허리벨트는 제2 탈착부(70)보다는 제1 및 제3 탈착부(20, 80) 또는 제4 탈착부(9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탈착부(20, 70, 80, 90)는 서로 별개의 기술적 특성을 가진다. 즉, 서로 별개의 기술적 특성이란, 서로 치환하면 동일한 기능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특정한 형태의 허리벨트에는 제1 탈착부(20)의 기능 및 효과보다 제3 탈착부(80)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o fourth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와이어를 당기는 화스너를 부가하여 허리벨트의 조이고 푸는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ible. For example, a wire pulling fastener can be added to assist in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waist belt.
10; 벨트
11, 12; 제1 및 제2 벨트
20, 70, 80, 90; 제1 내지 제4 탈착부
21, 81; 지지판
22, 62; 후크 수용부
23, 63; 제1 및 제2 후크
30, 31, 71, 72, 92; 제1 내지 제5 벨크로
40; 힙시트 50; 다중 지퍼
51, 52, 53; 지퍼레일
54; 슬라이더 60; 후크 결합부
61; 베이스
82; 밴드 결합부 83; 결합밴드
84; 완충판 91; 벨크로 밴드10; belt
11, 12; first and second belts
20, 70, 80, 90; First to fourth detachable parts
21, 81; support plate
22, 62; hook receptacle
23, 63; first and second hooks
30, 31, 71, 72, 92; 1st to 5th Velcro
40;
51, 52, 53; zip rail
54;
61; Base
82;
84;
Claims (11)
상기 제1 또는 제2 벨트 중의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는 아기를 안을 때에는 상기 벨트에 결착하고, 상기 아기를 업을 때에는 상기 벨트로부터 분리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는 상기 지지판에 마련되고 H자 형태의 홀(hole)인 밴드결합부 및 상기 벨트에 마련된 결합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결합밴드를 상기 결합밴드를 상기 밴드결합부의 중앙 부위에 삽입하여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지지판을 가진 아기캐리어 허리벨트.a belt that is worn on the user's waist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belt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cluding a detachable part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belt,
The detachable part includes a support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belt when holding a baby, and separates from the belt when carrying the baby,
The detachable part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and includes a band coupling part that is an H-shaped hole and a coupling band provided in the belt, and the support plate inserts the coupling band into the center of the band coupling part. A baby carrier waist belt having a detachable suppor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bel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6058A KR102335879B1 (en) | 2020-02-11 | 2020-02-11 | Waist belt of baby carrier having detachable back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6058A KR102335879B1 (en) | 2020-02-11 | 2020-02-11 | Waist belt of baby carrier having detachable back pla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1745A KR20210101745A (en) | 2021-08-19 |
KR102335879B1 true KR102335879B1 (en) | 2021-12-07 |
Family
ID=7749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6058A KR102335879B1 (en) | 2020-02-11 | 2020-02-11 | Waist belt of baby carrier having detachable back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587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3245B2 (en) * | 1992-12-22 | 2001-03-07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Imaging device, photometric method therefor, focusing control method therefor, and imaging method |
KR101386713B1 (en) * | 2013-10-04 | 2014-04-18 | 홍정완 | Waist protecting band |
KR101947114B1 (en) * | 2018-10-04 | 2019-02-13 | 유디텔주식회사 | Baby carri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3245U (en) * | 2008-03-12 | 2008-07-17 | 株式会社ポニーベビー | Baby carrier |
-
2020
- 2020-02-11 KR KR1020200016058A patent/KR1023358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3245B2 (en) * | 1992-12-22 | 2001-03-07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Imaging device, photometric method therefor, focusing control method therefor, and imaging method |
KR101386713B1 (en) * | 2013-10-04 | 2014-04-18 | 홍정완 | Waist protecting band |
KR101947114B1 (en) * | 2018-10-04 | 2019-02-13 | 유디텔주식회사 | Baby carr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1745A (en) | 2021-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17567B2 (en) |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transport orientations | |
US10743678B2 (en) | Wrap carrier | |
US9949575B2 (en) | Child carrier | |
US10045634B2 (en) |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 |
US4986458A (en) | Infant carrier | |
US5934528A (en) | Waist bag usable as a baby holder | |
US8166587B2 (en) | Portable breastfeeding and nursing pillow | |
US9038868B2 (en) | Twin baby carrier | |
US8490844B2 (en) | Front infant carrier | |
US20030178452A1 (en) | Infant carrier | |
JP4170894B2 (en) | Support material and baby carrier | |
JP2001070107A (en) | Baby carrier with pad | |
JP2012524602A (en) | Baby carrier with means to make it easier to lift the child in and out | |
CN104825013B (en) | Carrying device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
KR200473475Y1 (en) | Baby hip seat carrier | |
CA1332928C (en) | Baby carrier | |
CN108272279B (en) | Baby holding belt | |
JP6931638B2 (en) | Baby carrier | |
KR102335879B1 (en) | Waist belt of baby carrier having detachable back plate | |
KR200467949Y1 (en) | A waded baby wrapper having hip-seat | |
KR200320194Y1 (en) | Quilt for little children | |
JP3029567B2 (en) | Baby holder combined use waist bag | |
JP3725610B2 (en) | Baby bag combined with waist bag | |
KR20000017395U (en) | A shoulder belt for baby | |
CA2357614A1 (en) | Infant sling c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