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868B1 -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868B1
KR102335868B1 KR1020210093286A KR20210093286A KR102335868B1 KR 102335868 B1 KR102335868 B1 KR 102335868B1 KR 1020210093286 A KR1020210093286 A KR 1020210093286A KR 20210093286 A KR20210093286 A KR 20210093286A KR 102335868 B1 KR102335868 B1 KR 10233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joint
support
holder
slid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이수
김진태
강근택
조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토클램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토클램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토클램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21009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는, 접철 가능한 적어도 3개의 다리를 가져 지면에 대해 3점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하부지지체, 하부지지체 상단에 배치되며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제1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제1지지판, 제1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계측기홀더, 제1지지판과 교차 배치되며 제1슬라이딩 레일과 교차하는 제2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제2지지판, 제2지지판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되 하단부가 제2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지지판을 따라 평행 이동하는 수직지지바, 및 수직지지바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Multipurpose measurement instrument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측정기와 같은 계측기를 이용한 계측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밀한 계측은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하다. 각종 설비가 제작되는 산업현장에서부터 학문적 목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소에 이르기까지 오차를 줄이고 정확한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여러 형태로 계측작업이 진행된다. 적절한 계측기가 있는 경우 계측작업은 보다 손쉽게 진행될 수 있다.
계측기는 측정대상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시설 등에 설치하여 고정식으로 사용하는 계측기도 있을 수 있으나 휴대하여 실외에서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계측기도 다수 존재한다.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측정기 등이 그러한 예이며 휴대식 소음측정기는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다(예, 대한민국 특허 10-2062161등). 특히 소음의 측정은 소음관련 문제가 일상적으로 나타나면서 더욱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소음은 이웃 간에도 문제가 되지만, 집회와 같이 다수가 한꺼번에 모이는 상황에서 더욱 큰 문제를 야기하므로 그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더욱 정밀한 계측이 요구되기도 한다.
그러나 특정요건을 충족하는 정밀한 계측 시에는 다수의 측정장비가 필요하고, 장시간 계측이 요구되며, 장시간 계측에도 측정장비의 위치, 측정방향 등을 정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집시법(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 시위현장을 단속하는 경찰공무원들은, 시위현장에서의 소음 및 풍속을 보고해야 하는데, 구체적으로 소음측정기 2대, 풍속계 1대의 각 계측 화면을 매 시간별로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제출 및 보고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이에 따라, 시위시 경찰공무원들은 소음측정기 2대, 풍속계 1대, 카메라 1대와, 이를 각각 지지하는 삼각대 총 4대를 가지고 시위현장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62161호, (2020. 01. 03 공고)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측정기와 같은 계측기를 이용한 계측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집시법(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 소음기준에 의한 소음측정을 원활하게 진행하고, 시위 현장의 소음 및 풍속에 대한 원활하게 데이터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는, 접철 가능한 적어도 3개의 다리를 가져 상기 다리로 지면에 대해 3점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하부지지체, 상기 하부지지체 상단에 배치되며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제1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제1지지판, 상기 하부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판을 연결하며 제1볼관절과, 상기 제1볼관절의 회전에 따라 정렬상태가 바뀌는 2개의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축을 갖는 제1축관절 및 제2축관절을 포함하는 제1관절부; 상기 제1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 개의 계측기홀더; 상기 제1지지판과 교차 배치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 레일과 교차하는 제2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제2지지판; 상기 제2지지판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되 하단부가 상기 제2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판을 따라 평행 이동하는 수직지지바; 상기 수직지지바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홀더; 및 상기 수직지지바와 상기 카메라홀더를 연결하며 제2볼관절과, 상기 수직지지바와 평행한 축으로 회전하는 제3축관절을 포함하는 제2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관절부는 상기 제1지지판의 무게중심점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판은 상기 제1지지판과 무게중심점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은 면대면 결합하며 상기 제2지지판의 말단이 상기 제1지지판의 중앙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판의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판고정홀더에 제2지지판의 일단이 고정되어, 제2지지판의 타단이 캔틸레버 형태의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판은 홈구조가 형성되어, 지지판고정홀더의 상기 홈구조를 붙잡아 고정하는 클러와 결합하고, 상기 제1지지판의 하부에 상기 제1관절부와 결합하는 결합블록, 및 상기 결합블록에서 상기 제1지지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2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로딩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홀더는, 일 면이 계측기에 결합되고 양 측부에 홈이 형성된 고정블록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양 측에서 서로를 향해 움직여 상기 홈과 요철 결합하는 한 쌍의 무빙클러, 상기 무빙클러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나사산으로 상기 무빙클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볼트, 및 상기 무빙클러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서 지렛대 작용으로 상기 무빙클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레버조절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상기 계측기홀더에 2개의 소음측정기와, 풍속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계측기를 한꺼번에 탑재하고, 상기 카메라홀더를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홀더에 장착된 카메라 시선방향을 상기 계측기 측으로 향하게 하여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3축관절은 상기 제2볼관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볼관절의 정렬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계측기홀더는 상기 제1지지판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각각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계측장비를 이용한 계측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계측장비를 한꺼번에 사용하거나 카메라까지 동원한 계측, 장시간 계측, 계측방향의 정확한 설정 및 안정된 계측과 같은 여러 가지 계측과 관련된 문제를 본 발명을 통해 일시에 해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집회 등에서 채증 등을 위해 진행하는 소음의 정밀계측(예, 집시법(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 소음기준에 의한 소음측정) 등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매우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음측정기 2대, 풍속계 1대 그리고 카메라 등 다수의 기기를 한꺼번에 탑재하고 높이, 방향, 기기간 상대위치 및 정렬상태 등을 매우 입체적으로 조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경찰공무원이 시위현장의 소음 및 풍속에 대한 데이터를 간편하게 확보하고, 확보된 데이터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의 회전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관절구조를 이용한 조정동작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1의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계측기홀더를 확대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뒷받침하여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1)는 3점 지지구조로 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체(10)와, 하부지지체(10) 위에 형성된 서로 교차하는 슬라이딩 구조가 복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구조는 제1지지판(20) 및 제2지지판(30)을 포함하는 서로 교차 배치된 판상의 구조물로 형성되며 그러한 슬라이딩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계측기와 카메라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3 및 도 4참조). 따라서 카메라의 화각, 초점거리, 시야 등이 제한되어 있더라도 계측기와의 상호 배치와 거리를 바꾸어가며 원하는 대로 배치하여 계측기 및 주변을 명확하게 탐색하고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측기와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하는 계측작업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구조 외에도 계측기 전체의 회전과 카메라의 회전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관절구조(제1관절부 및 제2관절부)가 카메라 측과 계측기 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지지체(10)를 이용한 안정된 지지상태에서 매우 다양한 방향으로 원활하게 계측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카메라 역시 매우 다양한 방향으로 원활하게 탐색하고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계측기와 카메라를 동시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복수의 계측기와 카메라를 한꺼번에 사용하는 정밀한 계측작업(예, 채증 등 법적 요건 등을 충족하기 위해 보다 강화된 조건으로 진행하는 계측작업-집시법(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 소음기준에 의한 소음측정 등)에서도 인력과 기자재 등을 낭비하지 않는 효율적인 진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1)는, 접철 가능한 적어도 3개의 다리(110)를 가져 다리(110)로 지면에 대해 3점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하부지지체(10), 하부지지체(10) 상단에 배치되며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제1슬라이딩 레일(201)을 포함하는 제1지지판(20), 제1슬라이딩 레일(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계측기홀더(210), 제1지지판(20)과 교차 배치되며 제1슬라이딩 레일(201)과 교차하는 제2슬라이딩 레일(301)을 갖는 제2지지판(30), 제2지지판(30)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되 하단부가 제2슬라이딩 레일(3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지지판(30)을 따라 평행 이동하는 수직지지바(40), 및 수직지지바(4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홀더(4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1)는, 하부지지체(10)와 제1지지판(20)을 연결하며 제1볼관절(141)이 포함된 제1관절부(140), 및 수직지지바(40)와 카메라홀더(410)를 연결하며 제2볼관절(421)이 포함된 제2관절부(420)를 더 포함하며, 제1관절부(140)는, 제1볼관절(141)의 회전에 따라 정렬상태가 바뀌는 2개의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축을 갖는 제1축관절(142) 및 제2축관절(143)을 더 포함하고, 제2관절부(420)는, 수직지지바(40)와 평행한 축으로 회전하는 제3축관절(422)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초로 본 발명을 구성 및 작용효과 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지지체(10)는 접철 가능한 다리(110)를 적어도 3개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리(110)를 이용하여 하부지지체(10)는 지면에 대해 안정된 3점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하부지지체(10)는 다리(110)와 힌지(121) 결합하는 힌지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다리(110)는 힌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길이 자체를 접철 방식으로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1) 전체의 높이도 매우 편리하게 바꾸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리(110)의 접철구조(또는 신축구조)는 특정 구조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신축시켜 원하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가 빈 봉이나 바를 다단으로 결합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한 접철구조 등으로 다리(110)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지지체(10)의 상단에는 제1지지판(20)과 연결되는 제1관절부(140)가 형성되며, 수직지지바(40)의 상단에는 카메라홀더(410)와 연결되는 제2관절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절구조는 하부지지체(10)와 수직지지바(40) 각각에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지지판(20)과 카메라홀더(410) 양자의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바꾸어 줄 수 있다(도 5 및 도 6참조). 제1관절부(140) 및 제2관절부(420) 각각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지지체(10)의 일 측에는 핸들(146)을 배치하여 방향전환 등 조작 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20)은 하부지지체(10) 상단에 배치된다. 제1지지판(20)은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제1슬라이딩 레일(201)을 포함하여 제1슬라이딩 레일(201)을 따라 계측기홀더(2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계측기홀더(210)는 계측기 등을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1슬라이딩 레일(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지지판(30)은 제1지지판(20)과 교차 배치되며 제1슬라이딩 레일(201)과 교차하는 제2슬라이딩 레일(301)을 포함한다. 제2슬라이딩 레일(301)에는 예를 들어, 수직지지바(40)의 하단부와 결합하며 제2슬라이딩 레일(3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고정홀더(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제1지지판(20)과 제2지지판(30)을 이용하여 계측기홀더(210)와 지지판고정홀더(220)에 결합된 수직지지바(40)를 서로 교차시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1지지판(20) 및 제2지지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상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 레일(201) 및 제2슬라이딩 레일(301)은 예를 들어, 제1지지판(20) 및 제2지지판(30)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슬라이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교차하는 일직선 상의 슬라이딩 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판(20) 및 제2지지판(30)은 각각 적절한 두께를 가져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지지판(20) 및 제2지지판(30)은 높이는 다를 수 있으나 서로 평행한 가상의 평면 상에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평면 상에서 각각의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계측기와 카메라를 상호 이동시키며 상대적인 위치를 다양하게 바꾸어 줄 수 있다. 제1슬라이딩 레일(201)과 제2슬라이딩 레일(301)은 서로 직교할 수 있으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서로 교차하되 직교하지 않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제1지지판(20)에는 제2지지판(30)을 고정하는 지지판고정홀더(22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고정홀더(220)는 제1지지판(20)의 무게중심점에 배치되어 제2지지판(30)을 고정하며 제1지지판(20)이 하부지지체(10)와 결합하는 위치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하부지지체(10)는 상단에 제1관절부(140)가 형성되어 제1관절부(140)가 제1지지판(20)과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절부(140)는 제1지지판(20)의 무게중심점에 결합되고, 제2지지판(30)은 제1지지판(20)과 무게중심점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지지판(20)과 제2지지판(30)은 면대면 결합하며 제2지지판(30)의 말단이 제1지지판(20)의 중앙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지지판(20)의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판고정홀더(220)에 제2지지판(30)의 일단이 고정됨으로써 제2지지판(30)의 타단이 캔틸레버와 같은 형태의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면대면 결합한다는 것은 면대면으로 마주보고 결합하는 것으로 반드시 서로 맞닿아 결합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1지지판(20)과 제2지지판(30)은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구조이므로 각각의 무게중심점은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지지판(20)은 그러한 무게중심점을 하부지지체(10)로 지지하지만 제2지지판(30)은 무게중심점이 외측으로 빠져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 제2지지판(30)이 제1지지판(20) 바깥으로 빠져나와 카메라의 거리를 계측기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구현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른 지지력의 보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20)의 하부에 하부지지체(10)의 제1관절부(140)와 결합하는 결합블록(230)을 형성하고(제1관절부 상단의 결합홀더(144)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블록(230)에서 제1지지판(20)을 관통하여 제2지지판(30)에 결합되어 제2지지판(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이를 테면, 로딩볼트(240)를 형성해 줄 수 있다. 로딩볼트(240)는 제2지지판(30)의 무게중심점(즉, 중앙부)에 보다 가깝게 결합하는 다른 볼트결합구조와 합해져 제2지지판(30)의 구조적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볼트결합구조는 예를 들어, 지지판고정홀더(22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지지판고정홀더(220)에서 제1지지판(20)을 관통하여 하부의 결합블록(230)에 결합하는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구조를 통해 무게중심이 서로 불일치하는 제1지지판(20)과 제2지지판(30)의 구조적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수직지지바(40)는 제2지지판(30)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되 하단부가 제2슬라이딩 레일(3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지지판(30)을 따라 평행 이동할 수 있다. 수직지지바(40) 상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홀더(410)가 형성된다. 수직지지바(40)의 하단부에는 전술한 제2슬라이딩 레일(3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고정홀더(220)와 결합하여 고정되는 하단블록(4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블록(440)은 홈구조(441)를 가져 지지바고정홀더(220)에 형성된 클러 등의 가압구조와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제2지지판(30)과 지지판고정홀더(220) 사이에도 동등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지지판(30)에도 홈구조(302)가 형성되어 지지판고정홀더(220)에 형성된 클러 등의 가압구조와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수직지지바(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판(30) 수직하게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평행이동하며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딩 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슬라이딩 구조의 회전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슬라이딩 구조는 전술한 제1지지판(20)과 제2지지판(30)의 교차에 의해 만들어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교차하는 제1슬라이딩 레일(201)과 제2슬라이딩 레일(301)을 따라서 계측기홀더(210) 및 카메라홀더(410)(또는, 그와 동등하게 카메라홀더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바)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계측기홀더(210)와 카메라홀더(410)의 슬라이딩은 서로 교차하는 다른 레일 상에서 이루어지므로 각각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되더라도 상호 위치는 입체적으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위치에 계측기(A)와 카메라(B)를 배치하고 위치와 거리 등을 원하는 대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러한 슬라이딩 이동은 도 3에서 도 4와 같이 슬라이딩 구조 전체를 회전시키며 정렬상태를 바꾸어 가면서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위치를 바꾸면서 계측기(A)와 카메라(B)간 상대거리, 배치상태 등을 원하는 대로 조정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기(A)가 소음 등을 측정하는 소음측정기인 경우 소음원을 향해 회전시켜 계측기(A)의 방향을 일차적으로 결정하고, 계측기홀더(21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계측기(A) 위치를 소음원과 보다 가깝게 위치시키고, 카메라(B)의 화각, 시야, 초점거리 등을 고려하여 계측기(A)에 대한 상대거리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한 상태로 카메라홀더(410)를 회전시켜 카메라(B) 시선방향을 계측기(A)를 향하게 하거나 필요에 따라 또 다른 방향을 향하게 하며 계측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구조로 계측기(A)와 카메라(B)간 상대적인 배열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절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1)는 상술한 슬라이딩 구조와 결합하여 더욱 다양하게 배치상태를 조정하는 관절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지지체(10)와 제1지지판(20)을 연결하며 제1볼관절(141)이 포함된 제1관절부(140)와, 수직지지바(40)와 카메라홀더(410)를 연결하며 제2볼관절(421)이 포함된 제2관절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관절부(140)는 제1볼관절(141)의 회전에 따라 정렬상태가 바뀌는 2개의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축을 갖는 제1축관절(142) 및 제2축관절(143)을 더 포함하고, 제2관절부(420)는 수직지지바(40)와 평행한 축으로 회전하는 제3축관절(4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볼관절과 축관절이 복합된 복합관절로 전술한 슬라이딩 구조와 함께 장치 전체 또는 그에 따른 계측기와 카메라간 배열을 3차원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지형이나 상황에 대응하여 보다 자유롭게 계측기와 카메라를 배치하고 계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관절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지지체(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볼관절(141)은 전술한 힌지결합부(120)의 상단에 배치되며 힌지결합부(120)와는 신축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볼관절(141)과 힌지결합부(120) 사이에 제1신축조절부(도 5 및 도 6의 130 함께 참조)와 신축컬럼(도 5 및 도 6의 131 함꼐 참조)을 배치하여 다리(110)의 접철구조와 선택적 또는 복합적으로 장치 전체의 높이를 바꾸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컬럼(131)은 슬라이딩 가능한 바와 같은 구조일 수 있고, 제1신축조절부(130)는 회전조작으로 신축컬럼(131) 둘레의 가압구조를 작동시켜 신축컬럼(131)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제1볼관절(141)은 신축컬럼(131)의 상단에 회전하는 볼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볼관절(141)의 일 측에는 수평계(145) 등을 배치하여 회전조작 시 수평기준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축관절(142) 및 제2축관절(143)은 제1볼관절(141)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볼관절(141)은 볼을 중심으로 입체적인 회전이 가능하므로 그에 따라 제1축관절(142)과 제2축관절(143)의 정렬상태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제1축관절(142)과 제2축관절(143) 상호간의 축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 변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축관절(143)은 신축컬럼(131)과 평행한 방향(예를 들어, 도 2의 z방향)의 축을 가질 수 있고 제1축관절(142)은 그와 수직한 방향(예를 들어, 도 2의 y방향)의 축을 가질 수 있다. 제1축관절(142)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1지지판(20)과 제2지지판(30)을 포함하는 상부구조 전체의 경사가 바뀔 수 있으며(도 6참조), 제2축관절(143)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전술한 도 4의 회전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예시된 축방향 및 회전방향은 도 2의 정렬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제1볼관절(141)이 회전하여 제1축관절(142)과 제2축관절(143)의 정렬상태가 바뀌면 더욱 다양한 방향의 회전동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관절부(140)를 이용하여 상부구조 전체의 경사와 회전위치를 바꿀 수 있다. 제1볼관절(141), 제1축관절(142), 제2축관절(143) 각각은 외부에 배치된 고정노브(147)를 조작하여 필요한 각도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관절부(140)는 상단에 결합홀더(144)가 형성되어 제1지지판(20)과 결합할 수 있다. 제1지지판(20)의 하부에는 전술한 결합블록(230)이 형성되어 결합블록(230)이 결합홀더(14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블록(230)은 결합홀더(144)와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은 블록 외면과 홀더 내면에 서로 맞닿아 밀착되는 경사면을 이용한 지지구조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홀더(144) 외측에도 돌기 등으로 결합블록(230)의 배출을 막는 고정버튼(148) 등을 형성해 줄 수 있다. 또한 그 외 다른 면에도 추가적으로 노브를 형성하여 노브의 조작으로 보다 견고히 결합블록(230)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관절부(420)는 수직지지바(4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관절부(140)가 상부구조 전체의 경사와 회전위치를 바꿀 수 있는 데 반해 제2관절부(420)는 상부구조 자체에서 카메라홀더(410)의 경사와 회전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볼관절(421)은 카메라홀더(4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카메라홀더(140)를 향해 돌출된 일종의 넥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볼관절(421)은 넥구조의 가동을 가동을 방해하지 않는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홈이 형성된 홀더에 넥구조를 갖는 볼이 삽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축관절(422)은 수직지지바(40)와 평행한 축(예를 들어, 도 2 상의 z축)으로 회전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볼관절(42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3축관절(422)는 제2볼관절(421)과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볼관절(421)의 정렬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홀더(410) 역시 관절구조에 의해 매우 입체적으로 회전하며 카메라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예시된 축방향은 도 2의 정렬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상부구조 전체가 회전하여 수직지지바(40)의 경사 등이 바뀌는 경우에는 더욱 다양한 방향의 회전동작이 가능하다. 제2볼관절(421) 및 제3축관절(422) 역시 외측에 배치된 고정노브(423)를 조작함으로써 필요한 각도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수직지지바(40)에는 전술한 제1신축조절부(130)와 대응되는 제2신축조절부(430)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관절부(420)와 그에 연결된 카메라홀더(410) 전체를 수직지지바(40)의 위쪽으로 승하강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도 5 및 도 6참조). 예를 들어 제2관절부(420)의 하부에 수직지지바(40)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신축봉(도 5 및 도 6의 431참조)을 형성하고 이를 제2신축조절부(430)로 조절하여 신축시킬 수 있다. 제2신축조절부(430) 역시 전술한 제1신축조절부(130)와 같이 제2신축조절부(430)의 회전동작으로 신축봉(431) 둘레의 가압구조를 작동시키고 신축봉(431)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관절구조를 이용한 조정동작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이와 같이 볼관절과 축관절이 결합된 관절구조가 상부구조와,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하부지지체(10)와 상부구조의 연결부위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절구조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우 입체적인 조작이 가능하며, 그러한 조작을 전술한 슬라이딩 동작과 병행하여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관절부(140)의 제1볼관절(141)을 이용하여 도 5와 같이 정면 상에서 제1지지판(20) 등 상부구조의 경사를 좌우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인바 제1볼관절(141)의 가동범위 내에서 이러한 동작을 포함하는 더욱 다양한 경사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상부구조 전체의 경사를 입체적으로 바꾸어 줄 수 있다. 지면이 경사져 있거나 불규칙한 경우 등에 이와 같은 조작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며, 수평을 맞추거나 또는 오히려 경사를 주어 계측기(A)가 경사지게 지향되도록 하는 등의 경우에도 이러한 조작을 해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관절부(140)의 제1축관절(142)을 이용하여, 도 6과 같이 측면 상에서 제1볼관절(141)을 움직이지 않고도 또 다른 방향으로 상부구조의 경사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도 6의 동작은 제1볼관절(141)의 동작과 독립된 것이므로 예를 들어, 도 5와 도 6의 동작 등을 복합하여 보다 다양한 각도로 정렬상태를 바꾸어 줄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상태로 다시 제2축관절(143)을 이용하여 신축컬럼(131)과 평행한 축 둘레로 상부구조 전체를 회전시켜 방향을 변경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관절구조로 경사와 회전방향을 조절하면서, 전술한 슬라이딩 동작을 병행할 수 있다. 즉 도 5와 도 6 등으로 예시된 경사조절 및 회전동작 후 제1지지판(20)과 제2지지판(30) 상에서 계측기홀더(210) 및 수직지지바(40)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상호간 거리 및 위치 등을 면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관절부(420)의 제2볼관절(421)을 이용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홀더(410)의 방향도 입체적으로 바꾸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볼관절(421)에 전술한 넥구조 등이 있어 홈이 있는 특정 방향으로 가동범위가 커지는 등의 상황이라도, 제2볼관절(421) 하부의 제3축관절(422)로 제2볼관절(421) 전체의 회전위치를 바꿀 수 있으므로 제2볼관절(421) 자체를 회전시키면서 제2볼관절(421)의 볼의 가동범위 내에서 카메라홀더(410)를 입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B)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부구조가 경사를 이루더라도 시선방향을 계측기(A)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에는 제1신축조절부(130)를 이용한 신축컬럼(131)의 신축을 통해 하부지지체(10)의 높이를 바꾸거나, 제2신축조절부(430)를 이용한 신축봉(431)의 신축을 통해 경사진 상태에서 수직지지바(40)의 길이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부지지체(10)의 다리(110) 자체를 신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으므로 최상단의 카메라홀더(410)의 높이도 원하는 대로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구조, 관절구조, 및 신축구조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장치 전체의 정렬상태, 계측기(A)의 정렬상태, 및 카메라(B)의 정렬상태를 다양하게 바꾸어가며 계측작업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계측기홀더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의 계측기홀더를 확대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계측기홀더(210)는 복수 개가 제1지지판(20)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계측기홀더(210)를 제1지지판(20)의 제1슬라이딩 레일(201) 상에 각각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계측기(A1, A2)를 복수의 계측기홀더(210)에 결합하여 다수의 계측기구를 한꺼번에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기(A1, A2)는 적어도 2개의 소음측정기(A1)와, 계측지역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계(A2)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제1지지판(20)의 길이 등을 늘릴 수 있고, 계측기홀더(210)의 개수도 대응하여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동시에 탑재 가능한 기기의 수도 얼마든지 증가시킬 수 있다. 각각의 계측기홀더(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각각을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계측기홀더(210)는 각각 착탈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개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계측기홀더(210)의 개수를 줄여 슬라이딩 가능한 구간을 늘릴 수도 있다. 계측기홀더(210)는 나사결합과 같은 착탈 가능한 결합방식으로 제1지지판(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계측기홀더(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클러(211)를 이용하여 고정블록(5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기홀더(210)는, 일 면이 계측기(A)에 결합되고 양 측부에 홈(51)이 형성된 고정블록(50)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홈(210a), 및 수용홈(210a)의 양 측에서 서로를 향해 움직여 홈(51)과 요철 결합하는 한 쌍의 무빙클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홈(51)을 클러로 붙잡아 매우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측기홀더(210)는 무빙클러(21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나사산으로 무빙클러(211)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볼트(212), 및 무빙클러(211)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서 지렛대 작용으로 무빙클러(211)의 간격을 조절하는 레버조절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클러(211)는 수용홈(210a)의 양 측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와 같이 조절볼트(212)를 회전시켜 조작하는 경우, 무빙클러(211) 중 그와 결합된 측은 나사산(도시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조절볼트가 무빙클러를 관통하는 관통부에 형성될 수 있다)에 의해 보다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와 같이 레버조절부(213)를 회전시켜 조작하는 경우, 무빙클러(211) 중 그와 맞닿는 측은 지렛대 작용으로 보다 간격이 크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조절볼트(212)로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해 놓고, 레버조절부(213)를 움직여 고정블록(50) 등을 보다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다. 무빙클러(211) 중 레버조절부(213)와 맞닿는 측은 예를 들어, 탄성체 등에 의해 레버조절부(213)와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레버조절부(213)가 회전하는 동안 레버조절부(213)의 회전축이 일종의 받침점으로, 레버조절부(213)와 무빙클러(211)가 맞닿는 부분이 일종의 작용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레버조절부(213)는 무빙클러(211)와 맞닿는 부분이 회전축에 대해 거리가 변동되는 일종의 캠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버조절부(213)의 회전운동을 무빙클러(211)의 직선운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계측기홀더(210)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블록(50)은 양 측부에 홈(51)을 가지며 일 면에 결합나사(52) 등이 형성되어 계측기(A)와 결합할 수 있다. 계측기(A) 측에는 결합나사(52)와 결합하는 나사구멍 등이 형성된 지지체를 부착하거나 계측기(A) 측에 결합나사(52)를 직접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와 같이 고정블록(50)을 계측기(A)에 결합하여 놓고, 고정블록(50)을 계측기홀더(210)에 착탈시키며 사용할 수 있다. 잠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결합구조는 카메라홀더(410) 등에도 동등하게 적용하여 카메라(B)를 착탈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고정블록(50)은 카메라(도 1의 B참조)에도 고정될 수 있으며 카메라홀더(410) 역시 상술한 계측기홀더(210)와 동등한 무빙클러를 가져 일 측에 형성된 가압볼트(411) 등으로 클러를 조작하여 고정블록(5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지지판고정홀더(220) 및 지지바고정홀더(220) 등도 각각 제2지지판(30)에 형성된 홈구조(302) 및 수직지지바(40)의 하단블록(440)에 형성된 홈구조(441)를 붙잡아 고정하는 클러를 포함하고 조절나사나 레버조절부 등이 계측기홀더(210)와 동등하게 형성되어 대등한 고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견고하게 착탈되는 고정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발명은 계측기홀더(210)와 같은 견고하면서도 착탈이 쉬운 고정구조로 계측기(A)나 카메라(B) 등을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 후에는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슬라이딩 구조로 계측기(A)와 카메라(B) 상호간의 배치와 간격을 면밀히 조정할 수 있으며, 관절구조로 경사와 회전방향 등도 매우 다양하게 바꾸는 것이 가능하므로, 평평하거나 굴곡이 있거나 경사진 다양한 지형에서, 또는 계측지점이 높거나 낮은 다양한 상황에서 매우 적합하게 계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계측기홀더(210)로 다수의 계측장비나 카메라 등을 한꺼번에 장착하여 계측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계측장비 등이 필요한 계측작업 등도 참여인력이나 부속 기자재 등을 줄이면서 매우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기기나 장비 등을 지지하는 데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용도도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10: 하부지지체 20: 제1지지판
30: 제2지지판 40: 수직지지바
50: 고정블록 51: 홈
52: 결합나사 110: 다리
120: 힌지결합부 121: 힌지
130: 제1신축조절부 131: 신축컬럼
140: 제1관절부 141: 제1볼관절
142: 제1축관절 143: 제2축관절
144: 결합홀더 145: 수평계
146: 핸들 147, 423: 고정노브
148: 고정버튼 201: 제1슬라이딩 레일
210: 계측기홀더 210a: 수용홈
211: 무빙클러 212: 조절볼트
213: 레버조절부 220: 지지판고정홀더
230: 결합블록 240: 로딩볼트
301: 제2슬라이딩 레일 302, 441: 홈구조
310: 지지바고정홀더 410: 카메라홀더
411: 가압볼트 420: 제2관절부
421: 제2볼관절 422: 제3축관절
430: 제2신축조절부 431: 신축봉
440: 하단블록
A, A1, A2: 계측기 B: 카메라

Claims (10)

  1. 접철 가능한 적어도 3개의 다리(110)를 가져 상기 다리(110)로 지면에 대해 3점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하부지지체(10);
    상기 하부지지체(10) 상단에 배치되며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제1슬라이딩 레일(201)을 포함하는 제1지지판(20);
    상기 하부지지체(10)와 상기 제1지지판(20)을 연결하며 제1볼관절(141)과, 상기 제1볼관절(141)의 회전에 따라 정렬상태가 바뀌는 2개의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축을 갖는 제1축관절(142) 및 제2축관절(143)을 포함하는 제1관절부(140);
    상기 제1슬라이딩 레일(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 개의 계측기홀더(210);
    상기 제1지지판(20)과 교차 배치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 레일(201)과 교차하는 제2슬라이딩 레일(301)을 포함하는 제2지지판(30);
    상기 제2지지판(30)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되 하단부가 상기 제2슬라이딩 레일(3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판(30)을 따라 평행 이동하는 수직지지바(40);
    상기 수직지지바(4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홀더(410); 및
    상기 수직지지바(40)와 상기 카메라홀더(410)를 연결하며 제2볼관절(421)과, 상기 수직지지바(40)와 평행한 축으로 회전하는 제3축관절(422)을 포함하는 제2관절부(4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관절부(140)는 상기 제1지지판(20)의 무게중심점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판(30)은 상기 제1지지판(20)과 무게중심점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판(20)과 상기 제2지지판(30)은 면대면 결합하며 상기 제2지지판(30)의 말단이 상기 제1지지판(20)의 중앙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판(20)의 중앙에 위치하는 지지판고정홀더(220)에 제2지지판(30)의 일단이 고정되어, 제2지지판(30)의 타단이 캔틸레버 형태의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판(30)은 홈구조(302)가 형성되어, 지지판고정홀더(220)의 상기 홈구조(302)를 붙잡아 고정하는 클러와 결합하고,
    상기 제1지지판(20)의 하부에 상기 제1관절부(140)와 결합하는 결합블록(230), 및 상기 결합블록(230)에서 상기 제1지지판(20)을 관통하여 상기 제2지지판(30)에 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판(30)의 하중을 지지하는 로딩볼트(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홀더(210)는, 일 면이 계측기에 결합되고 양 측부에 홈이 형성된 고정블록(50)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홈(210a), 상기 수용홈(210a)의 양 측에서 서로를 향해 움직여 상기 홈과 요철 결합하는 한 쌍의 무빙클러(211), 상기 무빙클러(21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나사산으로 상기 무빙클러(211)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볼트(212), 및 상기 무빙클러(211)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서 지렛대 작용으로 상기 무빙클러(211)의 간격을 조절하는 레버조절부(213)를 포함하여,
    복수의 상기 계측기홀더(210)에 2개의 소음측정기와, 풍속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계측기를 한꺼번에 탑재하고, 상기 카메라홀더(410)를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홀더(410)에 장착된 카메라 시선방향을 상기 계측기 측으로 향하게 하여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축관절(422)은,
    상기 제2볼관절(4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볼관절(421)의 정렬상태를 변경시키는,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홀더(210)는,
    상기 제1지지판(20)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각각 착탈이 가능한,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93286A 2021-07-16 2021-07-16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KR10233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86A KR102335868B1 (ko) 2021-07-16 2021-07-16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86A KR102335868B1 (ko) 2021-07-16 2021-07-16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868B1 true KR102335868B1 (ko) 2021-12-06

Family

ID=7893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286A KR102335868B1 (ko) 2021-07-16 2021-07-16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8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1548A (zh) * 2022-03-08 2022-05-24 博盛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市政基础设施智能监控系统
KR102439936B1 (ko) * 2022-05-26 2022-09-02 서병원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
KR102528733B1 (ko) * 2022-08-11 2023-05-04 (주)글로벌시스템스 영상감시장치 광학계의 광학 메커니즘 정렬용 테스트 지그 장치 및 휴대형 테스트 장치
CN116067351A (zh) * 2023-04-06 2023-05-05 山东富源勘察测绘设计有限公司 一种城乡规划用距离测量仪
CN116379302A (zh) * 2023-04-11 2023-07-04 广东宏图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保定分公司 一种测绘仪定位设备及其定位方法
CN116642527A (zh) * 2023-07-27 2023-08-25 深圳市美莱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美容仪检测台
CN117404565A (zh) * 2023-10-26 2024-01-16 山东省煤田地质局第三勘探队 一种可多角度放置的地质测绘设备
CN117890624A (zh) * 2024-01-26 2024-04-16 浙江诚德检测研究有限公司 一种消防检测用高空排烟口风速测试仪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96B1 (ko) * 2014-06-05 2015-08-20 (주)앤미디어 다시점 촬영용 리그
WO2019196892A1 (en) * 2018-04-11 2019-10-17 Concept Audio Co., Ltd. Track system
KR102062161B1 (ko) 2019-08-27 2020-01-03 주식회사 대현환경 이동식 소음진동 측정장치
US20210123561A1 (en) * 2019-10-25 2021-04-29 Cade Smith Trip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96B1 (ko) * 2014-06-05 2015-08-20 (주)앤미디어 다시점 촬영용 리그
WO2019196892A1 (en) * 2018-04-11 2019-10-17 Concept Audio Co., Ltd. Track system
KR102062161B1 (ko) 2019-08-27 2020-01-03 주식회사 대현환경 이동식 소음진동 측정장치
US20210123561A1 (en) * 2019-10-25 2021-04-29 Cade Smith Tripod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1548B (zh) * 2022-03-08 2023-10-13 博盛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市政基础设施智能监控系统
CN114531548A (zh) * 2022-03-08 2022-05-24 博盛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市政基础设施智能监控系统
KR102439936B1 (ko) * 2022-05-26 2022-09-02 서병원 대기질 연속자동통합측정장비의 설치용 랙 장치
KR102528733B1 (ko) * 2022-08-11 2023-05-04 (주)글로벌시스템스 영상감시장치 광학계의 광학 메커니즘 정렬용 테스트 지그 장치 및 휴대형 테스트 장치
CN116067351A (zh) * 2023-04-06 2023-05-05 山东富源勘察测绘设计有限公司 一种城乡规划用距离测量仪
CN116067351B (zh) * 2023-04-06 2023-06-16 山东富源勘察测绘设计有限公司 一种城乡规划用距离测量仪
CN116379302B (zh) * 2023-04-11 2023-10-20 广东宏图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保定分公司 一种测绘仪定位设备及其定位方法
CN116379302A (zh) * 2023-04-11 2023-07-04 广东宏图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保定分公司 一种测绘仪定位设备及其定位方法
CN116642527B (zh) * 2023-07-27 2023-09-22 深圳市美莱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美容仪检测台
CN116642527A (zh) * 2023-07-27 2023-08-25 深圳市美莱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美容仪检测台
CN117404565A (zh) * 2023-10-26 2024-01-16 山东省煤田地质局第三勘探队 一种可多角度放置的地质测绘设备
CN117404565B (zh) * 2023-10-26 2024-03-19 山东省煤田地质局第三勘探队 一种可多角度放置的地质测绘设备
CN117890624A (zh) * 2024-01-26 2024-04-16 浙江诚德检测研究有限公司 一种消防检测用高空排烟口风速测试仪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868B1 (ko) 다목적 계측기 지지장치
US7810248B2 (en) Coordinate positioning machine
US2815697A (en) Microscope manipulators or dissection manipulators
CN101994895A (zh) 支撑架
KR101565123B1 (ko) 곡면측정기의 베이스 블럭
US3297291A (en) Articulate support arm assembly for optical devices
CN213780534U (zh) 一种可调节的光学仪器定位装置
DE10145197A1 (de) Entkoppelter Gewchtsausgleich für eine Kamera-Balance-Vorrichtung
CN108548068A (zh) 一种投影仪支撑装置
CN110566772A (zh) 一种基于双目立体视觉技术的相机支撑结构
CN201935683U (zh) 经纬仪激光对中装置
CN103453485A (zh) 一种灯具及其三脚架装置
CN213422198U (zh) 新型对中杆
CN212456139U (zh) 一种用于微观表面形貌数据测量的装置
US7255499B2 (en) Cardanic suspension device for a camera balance device
CN208251400U (zh) 一种具有伸缩结构的幕墙立柱夹持装置
US10845678B2 (en) Imaging apparatus
CN100524539C (zh) 光学准直快速定位紧钉装置
CN215491575U (zh) 一种可调节式棱镜比较测角仪
CN107656365B (zh) 一种用于显微镜的仪器检测旋转工作台
CN219453547U (zh) 可使红外线全高自由升降的组合式支架装置
CN111637338A (zh) 一种用于微观表面形貌数据测量的装置
CN214010216U (zh) 测试装置
CN214407971U (zh) 一种可调节棱镜检测夹具
ITPC20000020A1 (it) Supporto regolabile per apparecchiature di visione, macro fotografia e/o ripresa video di soggetti di piccole dimensio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