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865B1 -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 - Google Patents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865B1
KR102335865B1 KR1020200027773A KR20200027773A KR102335865B1 KR 102335865 B1 KR102335865 B1 KR 102335865B1 KR 1020200027773 A KR1020200027773 A KR 1020200027773A KR 20200027773 A KR20200027773 A KR 20200027773A KR 102335865 B1 KR102335865 B1 KR 10233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chlorine
module
chlorine concentration
ze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587A (ko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김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원 filed Critical 김시원
Priority to KR102020002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86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1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combined with sampling devices for measuring temperatures of samples of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Specific anions in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에 용해된 염소 농도를 기준으로, 초기 상수에 투입되는 염소량과 농도간 관계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세척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몸통부; 몸통부에 설치되며 영점기준농도가 설정될 수 있는 기준설정부;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수의 염소 농도 또는 세척액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측정부에서 측정되어 영점기준농도 미만의 농도를 나타내는 상수의 초기염소농도와, 기준설정부에 설정된 영점기준농도를 연산하여 초기염소농도와 제1영점농도 간 제1기울기를 추출하는 기울기추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Chlorine Concentration Meter For Zero Adjustment With Tilt Correction}
본 발명은 염소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염소농도 측정장치와 관련된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수에 용해된 염소 농도를 기준으로, 초기 상수에 투입되는 염소와 농도 간 관계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세척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름에 많은 사람들이 식중독 또는 대장균과 같은 질병에 쉽게 걸린다. 이러한 질병은 예방차원으로 채소, 과일 및 주방 식기류 소독을 통해 예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가정 및 식품을 제조하는 공장에서는 음식물 및 식기류 등을 철저하게 소독하고 있다.
현재, 다양한 소독 방법 가운데 물에 염소를 용해하여 음식물 및 식기류 등을 소독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염소소독 방법은 염소가 물에 잔류하며 물에 있는 미생물을 사멸시킨다는 효용성이 높다. 그러나, 전술 한 염소소독의 방법은 물에 염소의 희석농도를 정확히 맞춰야 한다는 문제를 가진다.
사용되고 있는 수돗물은 상수처리과정에서 일정량의 염소가 용해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시, 40ppm의 농도를 띤다. 그리고 자체적으로 포함된 염에 의해 염소를 투입하더라도, 일정 구간까지 염소의 농도가 비선형으로 변화되는 특성을 보인다. 이에, 사용자가 염소를 투입하더라도 초기 구간에서 투입되는 염소와 농도 간 변화가 선형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사용자는 일반적인 수돗물에 염소를 희석하더라도 일정구간까지 염소 투입량과 농도 간 정확한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수돗물에서 초기에 나타나는 농도값 40ppm에서부터 영점으로 설정된 100ppm까지 염소를 직접 염소를 투입하여 영점을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수돗물의 초기 구간 즉, 비선형 구간(40ppm에서 100ppm까지의 구간)에서는 염소가 투입되더라도 농도가 낮아지는 특성에 의해 사용자는 초기구간 동안, 염소 투입량과 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초기구간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염소를 투입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농도를 갖는 세척액을 제조하는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2022호 (2019.01.2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돗물에 용해된 염/염소에 의해 염소를 용해시키더라도 염소의 농도가 비선형적으로 일어나는 구간에서 염소 투입량과 농도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농도를 나타내는 세척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는 상수처리과정에서 염소가 용해되어, 염소를 투입하더라도 제1구간 까지 비선형적으로 염소농도가 변화되는 상수 및 상기 상수에 염소가 용해되며 제조된 세척액의 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며 영점기준농도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영점기준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모듈을 포함하는 기준설정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수의 염소 농도 또는 세척액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어 상기 영점기준농도 미만의 농도를 나타내는 상기 상수의 초기염소농도와,
상기 기준설정부에 설정된 상기 영점기준농도를 연산하여 상기 초기염소농도와 상기 영점기준농도 간 제1기울기를 추출하는 기울기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된 양전극모듈과 음전극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전류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양전극모듈과 상기 음전극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상수의 염소 농도 또는 세척액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고, 온도계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상수 또는 상기 세척액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기울기추출부는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모듈과 상기 연산모듈과 연결되어, 연산된 값을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모듈은 비선형그래프를 추출하는 그래프추출기와, 상기 비선형그래프를 복수 개의 간격으로 분할하는 간격분할기와, 상기 염소투입량에 대한 상기 염소농도 값을 점으로 추출하는 점값추출기와, 상기 점값추출기에서 추출된 복수 개의 점과 영점기준농도 간 차이를 연산하여 y=mx+b와 같은 1차 방정식의 산식을 산출하며 제1기울기를 갖는 추세선을 추출하는 추세선추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추센서추출기는 복수 개의 추세선이 추출되었을 때, 복수 개의 추세선의 기울기의 값을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기울기를 추세선의 기울기로 결정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내부에 다양한 온도에 따라 영점기준농도가 설정된 온도-농도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기준설정부의 영점기준농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는 세척액을 제조하는데 있어 초기 구간 대략 40ppm에서 100ppm까지 구간에서 나타나는 염소 투입량과 농도 간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의 온도에 따라 설정값이 자동 보정되며 온도변화에 따른 희망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설정되는 기본값 즉, 100ppm 이상에서 투입되는 염소와 그에 따른 농도량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농도를 나타내는 세척액과 피부에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는 세척액 및 역한 냄새를 발생시키지 않는 세척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상수에 염소를 투입하며 세척액을 제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정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조정모듈에 포함된 온도-농도데이터이다.
도 7은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의 기울기측정부에서 나타내는 세척액 및 순수 물의 염소 투입량과 농도량 간 관계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기울기측정부의 작동하며 제1구간에서 나타나는 비선형그래프로부터 선형기울기를 추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가 실리콘스푼에 끼워져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임을 밝혀 둔다.
따라서, 하기 실시 예가 본 발명의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 범위는 오로지 청구항에 의해서만 정의될 수 있다.
단지, 본 명세서 상에서의 도면은 도면의 참조에 의한 설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도시된 도면은 다소 과장되게 도시 되어있다. 이에, 본 명세서 상의 도면과 실제 본 발명의 실제품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명확하게 간결해질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 후, 도 3 내지 도 14와 설명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특징 그리고 본 발명의 작동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사용자가 상수에 염소를 투입하며 세척액을 제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이하, 염소농도측정기)는 상수처리과정에서 염소(B)가 용해된 상수(上水, A)에 용해된 염소 농도를 기준으로, 상수(A)에 투입되는 초기의 염소량과 농도 간 관계를 산출한다. 이때, 측정되는 상수(A)는 녹아 있는 염 및 염소에 의해 일정값 이상의 농도 일례로 40ppm 농도를 띨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염소농도측정기(1)는 전술 한 특성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를 띠는 세척액을 제조하는데, 과도한 염소가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세척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염소농도측정기(1)는 세척액에 용해된 염소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측정부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조정모듈에 포함된 온도-농도데이터이다.
이러한 염소농도측정기(1)는 몸통부(10), 기준설정부(20), 측정부(30) 및 기울기추출부(4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몸통부(10)는 염소농도측정기(1)의 몸통이 된다. 이러한 몸통부(10)는 사용자(H)가 손가락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외형 그리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C)를 수용하고,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C)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커버(60)로 닫힐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일례로, 종단면이 역삼각형 형상이 되는 형성되고, 상단에 커버(60)가 닫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통부(10)에는 배터리(C)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모듈(110), 기준설정부(20) 및 측정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모듈(110)은 배터리(C)와 측정부(30)간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전원모듈(110)은 사용자에 의해 턴-온 되면 배터리(C)로부터 측정부(30)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턴-오프 되면 배터리(C)에서 측정부(30)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즉, 전원모듈(110)은 배터리(C)와 측정부(30)간 전류 경로를 연결(close) 또는 개방(open)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준설정부(20)는 몸통부(10)의 내측 및 외측에 형성되어, 재1영점기준농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영점기준농도는 사용자에 의해 100p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설정부(20)는 조정모듈(210)을 포함하여 몸통부(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기준설정부(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며 영점기준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10)의 내측에 측정부(30)와 연결되어, 측정부(30)에 측정된 온도데이터에 대응해 영점기준농도가 변경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설정부(20)는 조정모듈(210)이 도 6에 도시된 온도-농도데이터를 포함하여, 측정부(30)에서 측정된 상수의 온도가 25℃일 때, 영점기준농도를 100ppm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수의 온도가 15℃일 때, 영점기준농도를 98ppm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수의 온도가 35℃ 일 때, 영점기준농도를 102ppm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기준설정부(20)는 상수의 온도에 대응해 영점기준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측정부(30)는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수의 염소 농도 또는 세척액의 염소 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부(30)는 양전극모듈(310)과 음전극모듈(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온도계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전극모듈(310)은 배터리의 양전극과 연결되고, 음전극모듈(320)은 배터리의 음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측정부(30)는 양전극모듈(210)과 음전극모듈(220)을 통해, 양전극모듈(210)과 음전극모듈(220) 사이에 흐르는 상수(A) 및 세척액에 전류를 인가하며 상수(A) 또는 세척액(F)에 희석된 염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30)는 상수(A) 또는 세척액에 희석된 염소에 의해 양전극모듈(310)과 음전극모듈(320) 간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이를 염소의 희석농도로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부(30)는 염소의 희석농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양전극모듈(310)과 음전극모듈(320)이 백금(白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측정부(30)는 분해능 1ppm 단위로 희석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측정부(30)는 온도계모듈(330)을 통해 상수의 온도 및 세척액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부(30)는 1℃ ~ 100℃까지 넓은 범위의 온도를 측정하며 1℃ 차이까지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측정부(30)는 측정된 희석농도 데이터와 온도 데이터를 기울기추출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기울기추출부(4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 Unit) 즉,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모듈이 된다. 이러한 기울기추출부(40)는 몸통부의 일면에 노출되는 출력모듈(420) 그리고 출력모듈(420)과 연결되며 몸통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측정부(3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모듈(4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모듈(420)은 어두운 실내 공간에서도 출력되는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백 라이트가 탑재된 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모듈(410)은 그래프추출기(411), 간격분할기(412), 점값추출기(413), 추세선추출기(414)를 포함하여, 상수의 초기 염소농도에서 나타나는 비선형그래프로부터 선형의 그래프를 추출하고, 선형의 그래프로부터 제1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연산모듈에 포함된 장치 구성요소를 통해, 비선형그래프로부터 선형의 그래프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각 장치의 구성요소의 특징과 함께 후술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기울기추출부가 제1기울기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기울기추출부가 제1기울기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물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통상, 순수물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소가 투입되면 그에 대응되는 전도도 즉, 농도를 나타낸다. 일례로, 많은 양의 염소가 투입되면 큰 농도를 띤다. 그리고 적은 양의 염소가 투입되면 작은 농도를 띤다. 즉, 순수물은 투입되는 염소량과 농도 간 선형적인 관계를 보인다. 그러나, 실제 세척액의 기저가 되는 물 즉, 상수처리과정을 거쳐 가정 및 식당 등에 공급되는 물(실제 사용되는 물)은 상수처리과정에서 일정 량의 염소 및 염이 용해되어 공급된다. 이에, 염소를 투입하지 않아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의 농도를 띤다. 아울러, 실제 사용되는 물은 용해되어 있는 염소와 염에 의해, 일정 구간까지 염소가 투입되더라도 비선형적으로 농도를 띠는 경향을 나타낸다.
기울기추출부(40)는 실제 사용되는 물에 염소를 투입하더라도 일정구간까지 나타나는 비선형적으로 농도를 띠는 구간에 대한 염소 투입과 농도의 상관관계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기울기추출부(40)는 그래프추출기(411), 간격분할기(412), 점값추출기(413), 추세선추출기(414)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래프추출기(411)는 상수(A)에 염소가 투입되었을 때, 투입되는 염소에 대응하여 농도에 대해 나타나는 곡선 및 직선 등으로부터 곡선 즉, 비선형그래프를 추출할 수 있다. 즉, 그래프추출기(411)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간까지 나타나는 염소와 농도 간 그래프를 추출할 수 있다.
간격분할기(412)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형그래프를 복수 개의 간격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점값추출기(413)는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각각의 간격으로부터 하나의 염소투입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염소투입값에 대응하는 염소 농도값을 추출한다. 그러면서 점값을 추출한다.
추세선추출기(414)는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값추출기(413)에서 추출된 복수 개의 점으로 추세선을 추출한다. 아울러, 추세선추출기(414)는 복수 개의 추세선이 추출되었을 때, 복수 개의 추세선의 기울기의 값을 평균으로 산출하여, 평균 값을 갖는 추세선 즉, 제1기울기를 갖는 추세선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제1기울기를 갖는 추세선은 도 10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의 일정구간 즉, 제1구간에서 염소를 투입하였을 때, 농도가 커지는 구간(+ 구간) 그리고 염소를 투입하였을 때 농도가 작아지는 구간(- 구간)의 평균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수를 세척액으로 제조하기 위해, 염소를 투입하는 초기과정에서 염소 투입량과 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초기구간 즉, 제1구간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염소를 투입하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구간은 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의 초기상태 즉, 사용자가 염소를 전혀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설정부(20)에 설정된 영점기준농도까지의 구간으로 정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기본값 즉, 100ppm 이상에서 투입되는 염소와 그에 따른 농도량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농도를 나타내는 세척액 그리고 피부에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는 세척액 및 역한 냄새를 발생시키지 않는 세척액 등을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따른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가 실리콘스푼에 끼워져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염소농도측정기(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E)안에 담긴 세척액(F)의 염소 농도 즉, 염소가 일정량 함유된 상수의 염소 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세척액(F)은 사용자(D)에 의해 상수에 일정량의 염소가 희석된 액체가 될 수 있다.
염소농도측정기(1)는 과일을 소독하는 세척액(F) 뿐 아니라, 식기재를 소독하는 세척액까지 희석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염소농도측정기(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액의 희석농도 및 세척액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염소농도측정기(1)는 전술한 구성요소를 통해 50ppm ~ 300ppm까지 넓은 범위의 유효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염소농도측정기(1)는 채소 및 과일을 세척하기에 적합한 세척액(유효농도가 되는 100ppm 농도의 액체) 및 칼, 도마 등 주방용 기구류를 세척하기에 적합한 세척액(유효농도가 되는 200ppm 농도의 액체)를 사용자가 무리 없이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염소농도측정기(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0)의 일측에 설치된 스피커모듈(50)을 통해, 유효농도의 측정이 완료되며 측정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염소농도측정기(1)는 스피커모듈(50)을 통해 측정시작에 대응하는 소리 및 측정 완료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소리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세척액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것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염소농도측정기(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스푼(E)을 하나의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염소농도측정기(1)는 실리콘스푼(I)의 일측에 삽입되어, 실리콘스푼(I)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F)의 염소 농도를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염소농도측정기(1)는 세척액의 유효농도를 정확하게 맞춤으로써, 세척 대상의 적정 염소 농도 이상의 세척액 또는 미만의 세척액을 통한 부작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
10: 몸통부 110: 전원모듈
20: 기준설정부
210: 조정모듈 220: 초기화버튼
30: 측정부
310: 양전극모듈 320: 음전극모듈
330: 온도계모듈 40: 기울기추출부
410: 연산모듈 420: 출력모듈
411: 그래프추출기 412: 간격분할기
413: 점값추출기 414: 추세선추출기
50: 스피커모듈 60: 커버
A: 상수 B: 염소
C: 배터리 D: 온도-농도데이터
E: 용기 F: 세척액
G: 과일 H: 사용자
I: 실리콘스푼

Claims (7)

  1. 상수처리과정에서 염소가 용해되어, 염소를 투입하더라도 제1구간 까지 비선형적으로 염소농도가 변화되는 상수 및 상기 상수에 염소가 용해되며 제조된 세척액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에 있어서,
    몸통부(10);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며 영점기준농도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영점기준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모듈(210)을 포함하는 기준설정부(20);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수의 염소 농도 또는 세척액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30); 및
    상기 측정부(30)에서 측정되어 상기 영점기준농도 미만의 농도를 나타내는 상기 상수의 초기염소농도와,
    상기 기준설정부(20)에 설정된 상기 영점기준농도를 연산하여 상기 초기염소농도와
    상기 영점기준농도 간 제1기울기를 추출하는 기울기추출부(40)를 포함하 ,
    상기 몸통부(1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C)를 수용하며 상기 배터리(C)로부터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모듈(110)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30)는,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된 양전극모듈(310)과 음전극모듈(320)을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C)에서 전류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양전극모듈(310)과 상기 음전극모듈(320) 사이에 위치하는 상수의 염소 농도 또는 세척액의 염소 농도를 측정하고,
    온도계모듈(330)을 포함하여 상기 상수 또는 상기 세척액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기울기추출부(40)는,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3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모듈(410)과 상기 연산모듈(410)과 연결되어, 연산된 값을 출력하는 출력모듈(420)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모듈(410)은,
    비선형그래프를 추출하는 그래프추출기(411)와,
    상기 비선형그래프를 복수 개의 간격으로 분할하는 간격분할기(412)와,
    상기 염소투입량에 대한 상기 염소농도 값을 점으로 추출하는 점값추출기(413)와,
    상기 점값추출기(413)에서 추출된 복수 개의 점과 영점기준농도 간 차이를 연산하여 y=mx+b와 같은 1차 방정식의 산식을 산출하며 제1기울기를 갖는 추세선을 추출하는 추세선추출기(414)를 포함하고,
    상기 추센서추출기(414)는,
    복수 개의 추세선이 추출되었을 때, 복수 개의 추세선의 기울기의 값을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기울기를 추세선의 기울기로 결정하고,
    상기 조정모듈(210)은 내부에 다양한 온도에 따라 영점기준농도가 설정된 온도-농도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기준설정부의 영점기준농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27773A 2020-03-05 2020-03-05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 KR10233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73A KR102335865B1 (ko) 2020-03-05 2020-03-05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73A KR102335865B1 (ko) 2020-03-05 2020-03-05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587A KR20210112587A (ko) 2021-09-15
KR102335865B1 true KR102335865B1 (ko) 2021-12-03

Family

ID=7779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773A KR102335865B1 (ko) 2020-03-05 2020-03-05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8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669A (ja) 2000-09-26 2002-04-05 Hoshizaki Electric Co Ltd 塩素濃度測定方法
US20050103626A1 (en) 2003-10-22 2005-05-19 Tanita Corporation Residual chlorine meter
JP2006023148A (ja) 2004-07-07 2006-01-26 Dkk Toa Corp 塩素要求量測定装置、水質管理システム、塩素要求量測定方法、及び水質管理方法
JP2006053019A (ja) * 2004-08-11 2006-02-23 Tanita Corp 電気化学式測定装置
KR101942022B1 (ko) * 2018-07-05 2019-01-24 김시원 염소농도측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669A (ja) 2000-09-26 2002-04-05 Hoshizaki Electric Co Ltd 塩素濃度測定方法
US20050103626A1 (en) 2003-10-22 2005-05-19 Tanita Corporation Residual chlorine meter
JP2006023148A (ja) 2004-07-07 2006-01-26 Dkk Toa Corp 塩素要求量測定装置、水質管理システム、塩素要求量測定方法、及び水質管理方法
JP2006053019A (ja) * 2004-08-11 2006-02-23 Tanita Corp 電気化学式測定装置
KR101942022B1 (ko) * 2018-07-05 2019-01-24 김시원 염소농도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587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8281B2 (ja) 塩素濃度測定器
US972404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acing signal artifacts in a glucose sensor data stream
US6501384B2 (en) Electronic candy and oil thermometer
AU2006236079B2 (en) Electronic thermometer with progress indicator
JP5876082B2 (ja) モニタを備えた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システム
KR102335865B1 (ko) 기울기 보정을 통해 영점을 조정하는 염소농도측정기
EP3415059B1 (en) Waffle maker capable of displaying waffle crispness and control system thereof
CN101352314B (zh) 一种电热器具清洗提示方法及装置
KR102229262B1 (ko) 재연성을 보장하는 염소농도측정기
KR20080097012A (ko) 온도보정기능을 갖는 시료 측정 장치
KR20130061601A (ko) 살균 저울 도마
CA3079009C (en) Electric pressure canner with digital control
JP2005231977A (ja) オゾンくん蒸システムにおけるオゾン発生器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方法を用いたオゾン発生器
ES2300864T3 (es) Metodo y dispositivo de control para interrumpir el encendido accidental de una freidora que no esta llena de aceite.
JP2009029792A (ja) 殺菌用の残留有効塩素含有水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2024001444A (ja) 過酢酸系消毒液の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方法
EP0726050A1 (en) Pressure cooker control arrangement
TH5863A3 (th) อุปกรณ์ควบคุมการจ่ายน้ำเกลือสำหรับผู้ป่วยแบบตั้งค่าได้
SI24648A (sl) Gospodinjski pripomoček z vgrajenim zvočnim alarm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