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729B1 -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729B1
KR102335729B1 KR1020190141500A KR20190141500A KR102335729B1 KR 102335729 B1 KR102335729 B1 KR 102335729B1 KR 1020190141500 A KR1020190141500 A KR 1020190141500A KR 20190141500 A KR20190141500 A KR 20190141500A KR 102335729 B1 KR102335729 B1 KR 10233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value
position coordinat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256A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주) 더 네이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 네이버스 filed Critical (주) 더 네이버스
Priority to KR102019014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7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하는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구간 동안 미수신되면, 이미 수신된 위치정보와 미수신 이후 새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수신된 예상 위치에 대한 가상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가상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분석에 요구되는 기초 데이터의 부족을 보완할 수 있으며, 가상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통해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CALIBRATED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하는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구간 동안 미수신되면, 이미 수신된 위치정보와 미수신 이후 새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수신된 예상 위치에 대한 가상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로기준법은 근로자가 법정근무시간 외 연장/심야/휴일근로를 하는 경우 그에 따른 근무수당을 지불할 것을 사업주에게 명하고 있으나 현장에서 준수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해당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자신의 정당한 근무수당을 청구하기 위해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근로자 자신의 연장/심야/휴일근로 사실을 주장 및 입증하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출퇴근기록부를 작성 또는 구비하지 않거나 근로자의 출퇴근기록부 열람을 제한하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근로자 A가 특정년도 특정연월일 밤 10시부터 12시까지 야간연장근로를 한 경우로 추후 상기 A가 회사 측을 상대로 상기 근로에 대한 수당청구소송을 제기한 경우 당사자인 A가 이를 입증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설령 A가 상기 특정 시간대에 회사 사무실에 위치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하더라도, 회사측 법률대리인은 A가 주장하는 근무시간 동안 회사 사무실 내에 지속적으로 근무하였다고 볼 근거가 없다는 점 등의 항변을 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근로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정당한 근로에 대한 대가인 수당청구의 입증에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88013호(발명의 명칭: 위치정보의 교차검증을 이용한 근무수당 예상금액 산출 애플리케이션 및 그 운영시스템)에는 근로자가 소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단말에서 획득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가 특정시점까지 근로를 수행했음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GPS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있는데, 이러한 GPS 신호에 의한 위치정보는 기후/주변환경/지형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GPS 신호의 수신이 어렵고, 미수신된 GPS 신호는 운영 서버에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수신된 GPS 신호로 인해 좌표값 계산과 위치정보의 확인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수신된 GPS 신호로 인한 위치정보의 결측값 증가는, GPS 신호를 기반으로 한 행동분석 또는 예측을 위한 기초 데이터(Raw data)가 부족하게 되어 사용자의 행동 패턴 분석에 어려움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88013호(발명의 명칭: 위치정보의 교차검증을 이용한 근무수당 예상금액 산출 애플리케이션 및 그 운영시스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하는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구간 동안 미수신되면, 이미 수신된 위치정보와 미수신 이후 새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수신된 예상 위치에 대한 가상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단위 시간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은 일부 위치정보에 대한 미수신이 감지되면,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 사이의 임시 위치 좌표값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은 산출된 임시 위치 좌표값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r)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이동 패턴에 기반한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은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단위 시간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을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미수신된 위치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정보 처리부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 사이의 임시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모듈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산출된 임시 위치 좌표값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r)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추출하여 이동 패턴에 기반한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관리모듈에서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임시 위치 좌표값은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의 중간 위치 좌표값 또는 상기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 좌표값 사이에서 추출되는 과거 위치 좌표값의 평균 위치 좌표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반경(r) 범위는 수신된 단위 시간과 위치 좌표값의 변동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속도정보 중 최댓값을 미수신된 위치정보 구간의 시간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 좌표값은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을 조합하여 산출한 보정 위치 좌표값,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미리 설정된 보정 상수를 계산하여 산출한 보정 위치 좌표값 또는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기반한 수식으로부터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 좌표값은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의 합을 추출된 좌표값의 개수로 나눈 평균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단위 시간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일부 위치정보에 대한 미수신이 감지됨에 따라,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X1)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X3) 사이의 임시 위치 좌표값(X2)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산출된 임시 위치 좌표값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r)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을 분석하여 이동 패턴에 기반한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e) 상기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임시 위치 좌표값(X2)은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의 중간 위치 좌표값 또는 상기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 좌표값 사이에서 추출되는 과거 위치 좌표값들의 평균 위치 좌표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 좌표값은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을 조합하여 산출한 보정 위치 좌표값,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미리 설정된 보정 상수를 계산하여 산출한 보정 위치 좌표값 또는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기반한 수식으로부터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 좌표값은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의 합을 추출된 좌표값의 개수로 나눈 평균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하는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구간 동안 미수신되면, 이미 수신된 위치정보와 미수신 이후 새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수신된 예상 위치에 대한 가상 위치정보를 산출함으로써, 패턴 분석에 요구되는 기초 데이터의 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통해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의 운영서버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의 GPS 신호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의 보정 좌표 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을 이용한 산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중 '모듈(Module)'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를 위해 HTML, PHP, C언어 및 JAVA Script 등의 코딩 언어를 통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설계된 하드웨어적 구성요소를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의 운영서버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의 GPS 신호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의 보정 좌표 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과, 운영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노트북 PC(Personal Computer) 및 데스크탑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된 형태를 갖는 단말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에게 임의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한 임의의 단말을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GPS 칩을 통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위치 측정값의 정확도를 위해 GPS 신호를 위치 측정 정보로 사용하지만 그에 준하는 위성 기반 위치 측정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고, 지역 구분 정보를 제공하는 기지국 기반 방식과, 기지국의 거리 관계 및 전파 상태 측정값을 추가하여 복합적으로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혼합 측위 방식과 혼용된 A-GPS 방식을 사용하여 위치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 내지 사용자 단말 n(100a)으로부터 일정 단위 시간의 위치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수신한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200)는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을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210)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도/경도 상의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200)는 일부 위치정보에 대한 미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정보 처리부(210)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된 유효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유효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을 전송받아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관리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모듈(22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되, 상기 위치정보는 일정 단위 시간(예를 들면, 10분 단위)에 대한 위치정보를 분석한다.
도 3과 같이, 일정 단위 시간 't' 시간 동안 수신된 위치정보 중에서 일부 시간구간인 't2' 시간동안 위치정보가 미수신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가 수신된 't1' 시간 구간과 't3' 시간 구간에서는 유효 위치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관리모듈(200)은 't2' 시간 구간에서 위치정보가 미수신되면, 정보 처리부(210)로부터 't1' 시간에 마지막으로 수신된 유효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도/경도 상의 위치 좌표값(X1)과, 미수신 시간 구간인 't2' 이후 't3' 시간 구간에서 최초로 수신된 유효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도/경도 상의 위치 좌표값(X3)을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관리모듈(220)은 전송받은 위치 좌표값 'X1'과 'X3'를 이용하여 위치정보가 미수신된 't2' 시간동안의 위치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임시 위치 좌표값(X2)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임시 위치 좌표값은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 간의 중간 위치 좌표값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중간 위치 좌표값은 하기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14239116-pat00001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된 중간 위치 좌표값 산출식을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송받은 위치 좌표값 'X1'과 'X3' 사이에서 추출되는 과거 위치 좌표값들에 기반한 평균 위치 좌표값들을 임시 좌표값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평소 이동속도와 미수신된 구간에서 이동체의 속도차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마지막 수신된 위치정보의 시간 구간과 미수신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의 시간 구간은 위치정보가 미수신된 시간구간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값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관리모듈(220)은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상기 산출된 임시 위치 좌표값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r)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추출하여 이동 패턴에 기반한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한다.
상기 반경(r) 범위는 수신된 단위 시간인 't' 또는 't1', 't2', 't3'의 시간과, 위치 좌표값의 변동 즉 일정시간동안 이동한 거리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도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관리모듈(220)은 산출된 속도정보 중 최댓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댓값을 미수신된 위치정보 구간의 시간으로 나눈 값을 반경(r) 범위로 설정한다.
즉, 위치정보가 미수신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최대 거리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관리모듈(220)은 산출된 중간 위치 좌표값(X2)을 중심으로 상기 반경(r) 범위 내에서 동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수신한다.
즉, 도 4와 같이 중간 위치 좌표값(X2)을 중심으로 반경(r) 범위내에 위치한 과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P1, P2, P3, P4, …, Pn-1, Pn)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관리모듈(220)은 상기 반경(r) 범위 내에서 과거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이동 패턴정보에 기반한 보정 위치 좌표값(T)을 산출한다.
상기 보정 위치 좌표값(T)은 추출된 복수의 과거 위치 좌표값들의 합을 추출된 좌표값의 개수로 나눈 평균 좌표값으로써, 상기 보정 위치 좌표값(T)은 하기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Figure 112019114239116-pat00002
여기서, a는 추출된 좌표값들의 개수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된 수식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조합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미리 설정된 보정 상수를 계산하는 연산을 통해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기반으로 하는 수식으로부터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모듈(220)은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T)을 데이터베이스(230)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200)는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T)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230)는 관리모듈(220)에서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T)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위치정보 산출 과정을 설명한다.
운영서버(2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일정 단위 시간의 위치정보를 일정 주기로 수신(S100)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S100단계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GPS 신호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치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신호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상기 운영서버(200)가 S100단계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미수신된 위치정보가 감지되는지 판단(S110)한다.
상기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일부 위치정보에 대한 미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위치정보가 미수신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도/경도 상의 위치 좌표값(X1)과, 위치정보의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도/경도 상의 위치 좌표값(X3)을 산출(S120)한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S120단계에서 산출된 위치 좌표값 'X1'과, 'X3'을 기반으로 임시 위치 좌표값(X2)을 산출(S130)한다.
상기 S130 단계의 임시 위치 좌표값(X2)은 S120단계에서 산출된 위치 좌표값 'X1'과, 'X3'을 더한 값을 나누어 중간 위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된 중간 위치 좌표값을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송받은 위치 좌표값 'X1'과 'X3' 사이에서 추출되는 과거 위치 좌표값들에 기반한 평균 위치 좌표값을 임시 좌표값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운영서버(200)는 S130 단계에서 산출된 임시 위치 좌표값(X2)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r) 범위 내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도/경도 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산출(S140)한다.
상기 S140 단계에서, 운영서버(200)는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한 단위 시간과, 위치 좌표값의 변동을 이용하여 다수의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속도정보 중에서 최댓값을 미수신된 위치정보 구간의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반경(r) 범위를 설정한다.
상기 S140 단계에서 산출된 위도/경도 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분석하여 상기 운영서버(200)가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기반한 보정 위치 좌표값(T)을 산출(S150)할 수 있다.
상기 S150 단계의 보정 위치 좌표값(T)은 추출된 복수의 위도/경도 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들의 합을 추출된 위치 좌표값의 개수로 나눈 평균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보정 위치 좌표값(T)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평균 좌표값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조합하거나 또는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미리 설정된 보정 상수를 계산하는 연산을 통해 보정 위치 좌표값(T)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기반으로 하는 수식으로부터 보정 위치 좌표값(T)을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S160 단계에서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T)을 데이터베이스(S230)에 저장(S160)함으로써, 위치정보의 망실구간에서도 패턴 분석을 통해 실효적인 예상 위치정보(또는 GPS)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당 1회씩 약1,500,000회 이상 연속적인 GPS 신호를 보내온 경우, 약 20분 이내의 미수신 구간에서, 실외 기준 약 50m, 실내 기준 약 20m 이내의 오차를 보내는 경우가 많아, 보정 위치정보(또는 보정 GPS)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 보정 위치정보의 오차율이 더 작은 이유는 실내 이동시 사용자 단말의 구간별 속도 차가 구간 별로 더 작게 측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하는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구간 동안 미수신되면, 이미 수신된 위치정보와 미수신 이후 새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수신된 예상 위치에 대한 가상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산출된 가상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분석에 요구되는 기초 데이터의 부족을 보완할 수 있고, 가상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통해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100a : 사용자 단말 n
200 : 운영서버
210 : 정보 처리부
220 : 관리모듈
23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일정 단위 시간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되,
    일부 위치정보에 대한 미수신이 감지되면,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위치정보의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 사이에 임시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임시 위치 좌표값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r)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이동한 거리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속도정보가 반영된 이동 패턴에 기반하여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운영서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일정 단위 시간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을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210);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미수신된 위치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정보 처리부(210)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 사이의 임시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상기 산출된 임시 위치 좌표값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r)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추출하여 이동 패턴에 기반한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는 관리모듈(22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관리모듈(220)에서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패턴에 기반한 보정 위치 좌표값은 하기식
    Figure 112021110374766-pat00008

    -여기서 T는 보정 위치 좌표값이고, X,Y는 좌표이고, a는 추출된 좌표값들의 개수 - 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위치 좌표값은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의 중간 위치 좌표값 또는 상기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 좌표값 사이에서 추출되는 과거 위치 좌표값의 평균 위치 좌표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r) 범위는 수신된 단위 시간과 위치 좌표값의 변동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속도정보 중 최댓값을 미수신된 위치정보 구간의 시간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위치 좌표값은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을 조합하여 산출한 보정 위치 좌표값,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미리 설정된 보정 상수를 계산하여 산출한 보정 위치 좌표값 또는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기반한 수식으로부터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위치 좌표값은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의 합을 추출된 좌표값의 개수로 나눈 평균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7. a) 운영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일정 단위 시간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일부 위치정보에 대한 미수신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200)가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X1)과, 위치정보의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X3) 사이에 임시 위치 좌표값(X2)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운영서버(200)가 산출된 임시 위치 좌표값(X2)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r)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거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운영서버(200)가 산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을 분석하여 일정 시간동안 이동한 거리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속도정보가 반영된 이동 패턴에 기반하여 보정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위치 좌표값은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을 조합하여 산출한 보정 위치 좌표값,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미리 설정된 보정 상수를 계산하여 산출한 보정 위치 좌표값 또는 상기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에 기반한 수식으로부터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정 위치 좌표값은 추출된 과거 위치 좌표값들의 합을 추출된 좌표값의 개수로 나눈 평균 좌표값이고,
    상기 보정 위치 좌표값은 하기식
    Figure 112021110374766-pat00009

    -여기서 T는 보정 위치 좌표값이고, X,Y는 좌표이고, a는 추출된 좌표값들의 개수 - 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e) 상기 산출된 보정 위치 좌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위치 좌표값(X2)은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값의 중간 위치 좌표값 또는 상기 마지막으로 수신된 위치 좌표값과 미수신 이후 최초로 수신된 위치 좌표값 사이에서 추출되는 과거 위치 좌표값들의 평균 위치 좌표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위치정보 산출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41500A 2019-11-07 2019-11-07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 KR10233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00A KR102335729B1 (ko) 2019-11-07 2019-11-07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00A KR102335729B1 (ko) 2019-11-07 2019-11-07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256A KR20210055256A (ko) 2021-05-17
KR102335729B1 true KR102335729B1 (ko) 2021-12-06

Family

ID=7615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500A KR102335729B1 (ko) 2019-11-07 2019-11-07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7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4559B1 (ja) * 2018-08-17 2018-12-26 株式会社パークランド アイテム離間位置検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2572A (ja) * 1983-12-29 1985-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屈撓性パネルに張力を与える張力負荷装置
KR101753349B1 (ko) * 2015-03-19 2017-07-19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사물인식 센서와 연동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물리좌표 연산을 활용한 사용자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내에서의 비상대피경로 안내 및 정보전달 시스템
KR101888013B1 (ko) 2016-07-22 2018-09-06 박기범 위치정보의 교차검증을 이용한 근무수당 예상금액 산출 애플리케이션 및 그 운영시스템
KR101874974B1 (ko) * 2016-09-22 2018-07-05 주식회사 피피솔 Dgnss 의사거리 보정정보 생성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4559B1 (ja) * 2018-08-17 2018-12-26 株式会社パークランド アイテム離間位置検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256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1593B2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spatial resolution of a weather forecast
Næsset Estimating above-ground biomass in young forests with airborne laser scanning
Ganguli et al. US power production at risk from water stress in a changing climate
US79255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luing a derivative involving a multiplicative index
Gould et al. A tool for simulating and communicating uncertainty when modelling species distributions under future climates
CN103645631B (zh) 一种远距离时频实验室之间时间频率校准方法及服务系统
US201503023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a workforce management system
US11523248B2 (en) Inference of logistical relationships from device location data
KR101793625B1 (ko) 기후변화를 고려한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에서의 확률강우량 산출방법 및 그 시스템
Ariza López et al. Analysis of some positional accuracy assessment methodologies
Farmer et al. Fundamental limits to the accuracy of deuterium isotopes for identifying the spatial origin of migratory animals
Bierman et al. Bayesian image restoration models for combining expert knowledge on recording activity with species distribution data
Gil de la Vega et al. Models for positional accuracy assessment of linear features: 2D and 3D cases
KR102335729B1 (ko) 보정 위치정보 산출시스템 및 방법
Scheuber Potentials and limits of the k-nearest-neighbour method for regionalising sample-based data in forestry
Delhome et al. Travel time statistical modeling with the Halphen distribution family
US20140011476A1 (en) Communication of position data via text message
Mozas-Calvache et al. Accuracy of contour lines using 3D bands
Mozas-Calvache et al. Adapting 2D positional control methodologies based on linear elements to 3D
Sefercik et al. Area-based quality control of airborne laser scanning 3D models for different land classes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sample survey in Houston, USA
Medina et al. Designing bryophyte surveys for an optimal coverage of diversity gradients
EP2889582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biyemi et al. Critical issues in economic risks consideration by commercial property investors and valuers in Nigeria: the case of Lagos
Fullhart et al. Temporally downscaling precipitation intensity factors for Köppen climate regions in the United States
FI129092B (en) Data processing device, software and storage medium for handling the navigation of a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