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583B1 -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583B1
KR102335583B1 KR1020200074578A KR20200074578A KR102335583B1 KR 102335583 B1 KR102335583 B1 KR 102335583B1 KR 1020200074578 A KR1020200074578 A KR 1020200074578A KR 20200074578 A KR20200074578 A KR 20200074578A KR 102335583 B1 KR102335583 B1 KR 10233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wall
support
liquefied gas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기
임홍일
오훈규
김용태
박천진
허원석
박민규
김동우
이상옥
박성보
안재혁
손영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5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5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3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 F17C2209/232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of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1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 F17C2260/033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by enhancin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6Avoiding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comprises: a wall which includes a primary barrier made of metal for form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liquefied gas, a primary insulating wall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primary barrier, a secondary barri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rimary insulating wall, and a secondary insulating wall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ary barrier, and forms an insulating space between the first barrier and the second barrier, and in the outside of the second barrier; and a dome provided on the wall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o finish the insulating space. The dome includes: an outer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storage space; an upper wall supported by the outer wall and having an inner end connected to the primary barrier; a suppo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wall; and a connection barrier sealing a gap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and the support. The support has a vertical portion which is located on an outer side in comparison to the secondary barrier and parallel to the outer wall.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is provided with a chamfer portion inclined toward the vertical portion at an upper end. In the connection barrier, a lower end is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located in the chamfer portion and an upper end is bent inward compared to the lower end and fixed to the vertical por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sealing to the insulating space.

Description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ship including the same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최근 기술 개발에 따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대체하여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등과 같은 액화가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According to recent technology development, liquefied gas such as liquefied natural gas (LNG) and liquefied petroleum gas (LPG) is widely used to replace gasoline or diesel.

이러한 LNG 등의 액화가스를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운반선,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의 선박 내에는 LNG를 극저온 액체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소위 "화물창"으로 지칭됨)가 설치되어 있다.LNG in ships that transport or store liquefied gas such as LNG at sea, LNG RV (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and LNG FSRU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referred to as a "cargo hold") is installed to store the liquefied gas in a cryogenic liquid state.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에 의해 증발가스(Boil Off Gas; BOG)가 발생될 수 있으며, 단열 설계를 통해 증발 가스의 기화 비율인 자연 기화율(Boil Off Rate; BOR)을 낮추는 것이 액화가스 저장탱크 설계의 핵심 기술이다.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boil off gas (BOG) can be generated by heat intrusion from the outside, and the natural vaporization rate (BOR), which is the vaporization rate of the boil-off gas, is lowered through an adiabatic design. This is the core technology of the design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따라서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적어도 2층의 단열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LNG가 저장된 공간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IBS(Interbarrier Space), IS(Insulation Space)가 마련된다.Accordingly, such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may have at least two layers of insulation space, and an Interbarrier Space (IBS) and an Insulation Space (IS) are provided in the outward direction based on the space in which the LNG is stored.

또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에는 LNG의 로딩/언로딩 등을 위하여 상면에 돔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돔은 IBS와 IS를 실링하면서도 IBS 등의 내부에 질소가스 등을 공급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데, 실링 및 단열을 위한 돔의 효율적인 구조에 있어서,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has a dom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for loading/unloading of LNG. However, the dome can be applied with a structure to secure insulation performance by supplying nitrogen gas to the inside of the IBS while sealing the IBS and IS. In the efficient structure of the dome for sealing and insulation,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is los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벽의 실링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capable of stably sealing a barrier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의 1차 방벽과,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1차 단열벽과, 상기 1차 단열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2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2차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 사이 및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및 상기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상기 벽체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공간을 마감하는 돔을 포함하고, 상기 돔은,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단에 상기 1차 방벽이 연결되는 상벽; 상기 외벽의 내측에서 상기 상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및 상기 2차 방벽과 상기 서포트 사이를 실링하는 연결 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2차 방벽 대비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벽과 평행한 수직부를 갖고, 상기 2차 단열벽은, 상단에 상기 수직부를 향해 경사진 챔퍼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 방벽은, 하단이 상기 챔퍼부에 위치한 상기 2차 방벽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하단 대비 내측으로 휘어져 상기 수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barrier made of a metal material form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liquefied gas, a primary insulating wall disposed outside the primary barrier, and 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A secondary barri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wall and a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dispose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wherein the insul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rimary barrier and the secondary barrier an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a wall that does; and a dome provided on the wall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o close the insulating space, wherein the dome includes: an outer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storage space; an upper wall supported by the outer wall and connected to an inner end of the primary barrier; a support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wall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wall; and a connection barrier sealing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and the support, wherein the support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and has a vertical portion parallel to the outer wall,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is at the top A chamfer inclined toward the vertical portion is provided, and the connecting barrier has a lower end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located in the chamfer portion and an upper end bent inward compared to the lower end to be fixed to the vertical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방벽은, 상기 챔퍼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에서 내측을 향해 예각으로 휘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barrier may be bent at an acute angle inward between the chamfer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수직부의 하단이 상기 2차 단열벽 대비 상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may be dispos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is spaced apart upward compared to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구체적으로, 상기 돔은, 상기 수직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2차 방벽의 내면과 나란한 내면을 갖는 내측 단열재를 가지며, 상기 내측 단열재는, 외면이 상기 서포트의 상기 수직부 및 상기 2차 단열벽의 상기 챔퍼부에 대응하여 수직면 및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dom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portion and has an inner insulation material having an inner surfac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ary barrier, and the inner insulation material has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upport and the secondary insulation wall It may have a vertical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hamf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i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2차 방벽 등에 대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고정을 구현하는 구조를 확보함으로써 단열공간에 대한 실링을 보장할 수 있다.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the ship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sealing of the insulating space by securing a structure that implements efficient and stable fixing to the secondary barrier, etc.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연결 방벽이 2차 방벽, 단열재, 서포트 등의 일측에 연결되어 고정됨으로 인해, 액화가스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the ship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barri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ary barrier, the insulating material, the support, etc. and fix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liquefied ga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되는 선박을 포함한다. 이때 선박은 적어도 액화가스를 추진연료/발전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일 수 있으며, 가스 운반선, 가스가 아닌 화물이나 사람을 운반하는 상선, FSRU, FPSO, Bunkering vessel, 해양플랜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For 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p equipped with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to be described below. At this time, the ship may be a ship that uses at least liquefied gas as a propulsion fuel/power generation fuel, and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gas carriers, merchant ships that transport cargo or people other than gas, FSRUs, FPSOs, bunkering vessels, and offshore plants. .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며, 다만 도 1을 먼저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사항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but with reference to FIG. 1 first, things that the embodiments have in common will be first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선체(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된다.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선체의 격벽 구조가 탱크의 외벽(21)을 이루는 멤브레인형일 수 있고, 또는 선체 내부 공간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인입 설치되는 독립형일 수 있다.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hull (not shown). In this case,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may be of a membrane type in which the bulkhead structure of the hull forms the outer wall 21 of the tank, or may be an independent type in which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is introduced into the hull internal space.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타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또한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선체에 탑재되는 위치(선내 또는 갑판 상부 등의 선외) 역시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내측 방향으로 단열층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ype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is mounted on the hull (inboard or outboard such as the upper deck) is also not limited. However,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eat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in an inner direction.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선체 격벽에 직접 단열층이 시공되는 멤브레인형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독립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 바, 이하에서 선체라는 표현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외체로 대체하여 해석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For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it is a membrane type in which a heat insulating layer is directly constructed on the bulkhead of the hul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may be provided as an independent type, and the expression hull in the following may be interpreted by replacing the outer body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저장공간을 갖는다. 저장공간에는 액화가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는 LNG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화가스가 LNG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에서 액화가스는 LNG 외에도 비등점이 상온보다 낮아 저장을 위해 강제로 액화되며 발열량을 갖는 모든 물질(LPG, 에탄, 수소, 암모니아 등)을 포괄할 수 있다.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has a storage space. Liquefied ga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nd the liquefied gas may be LNG.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liquefied gas is L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efied gas is forced to liquefy for storage because its boiling point is lower than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to LNG, and encompasses all substances (LPG, ethane, hydrogen, ammonia, etc.) can do.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저장공간은 벽체(10)에 의해 둘러싸여 닫힌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액화가스의 유출입을 위해 벽체(10)에는 상면에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개구부에는 돔(20)이 설치된다. 즉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벽체(10)와 돔(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may form a closed space surrounded by the wall (10). However, an opening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10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liquefied gas, and a dome 2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That is,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may include a wall 10 and a dome 20 .

벽체(10)는,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또한 단열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벽체(10)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1차 방벽(11), 1차 단열벽(12), 2차 방벽(13), 2차 단열벽(14)을 갖는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내측은 액화가스가 저장된 공간 내부를 향하는 방향이고 외측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The wall 10 form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iquefied gas and also forms an insulating space. Specifically, the wall 10 has a primary barrier 11 , a primary heat insulating wall 12 , a secondary barrier 13 , and a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For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the inside means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space in which the liquefied gas is stored, and the outside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1차 방벽(11)은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1차 방벽(11)은 저온의 액화가스로 인한 취성 파괴를 억제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SUS, INVAR 등으로 구성된다.The primary barrier 11 form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iquefied gas. The primary barrier 1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suppress brittle fracture caused by low-temperature liquefied gas, and is made of, for example, SUS, INVAR, or the like.

또한 1차 방벽(11)에는 슬로싱을 대비하기 위해 주름 또는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방벽(11)은 서로 겹배치되어 용접 등으로 실링됨에 따라 저장공간 전체(돔(20) 부분을 제외)를 닫힌 공간으로 만들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pare for sloshing in the primary barrier 11, a corrugated or uneven structure may be formed. As these primary barriers 11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sealed by welding or the like, the entire storage space (except the dome 20 part) is made into a closed space.

1차 방벽(11)은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벽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후술할 2차 방벽(13) 역시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벽이 되므로, 본 발명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적어도 2중으로 누출 방지를 구현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primary barrier 11 has a function as a barrier to prevent leakage of liquefied gas. In addition, since the secondary barrier 13 to be described later also serves as a barrier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liquefied gas,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at least doubles the leakage prevention.

1차 단열벽(12)은, 1차 방벽(11)의 외측에 배치되며 1차 단열기능을 구현한다. 1차 단열벽(12)은 플라이우드(121), 단열블록(122)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라이우드(121)는 1차 단열벽(12)에서 내측에 구비되며, 플라이우드(121)에 앵커링유닛(도시하지 않음)이 고정된다. 앵커링유닛은 1차 방벽(11)의 겹침 용접을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1차 방벽(11)과 동일/유사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wall 12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primary barrier 11 and implements 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function. 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may have a form in which a plywood 121 and an insulating block 122 are stacked. The plywood 121 is provided on the inside in the primary heat insulating wall 12, and an anchoring unit (not shown) is fixed to the plywood 121 . The anchoring unit is a configuration provided for overlap welding of the primary barrier 11 and may be made of the same/similar metal material as the primary barrier 11 .

단열블록(122)은 1차 단열벽(12)에서 외측에 구비되며 단열성을 갖는다. 단열블록(122)은 폴리우레탄폼 블록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열재가 수용된 박스 블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열블록(122)은 후술할 2차 방벽(13)에 본딩 등을 통해 접합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선체 등에 볼팅 등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insulating block 122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and has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The insulating block 122 may be made of a polyurethane foam block, or a box block in which the insulating material is accommodated. The insulating block 122 may be bonded and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to be described later by bonding or the like, or it may be fixed to the hull by bolting or the like.

1차 단열벽(12)은 1차 방벽(11)과 2차 방벽(13) 사이의 닫힌 공간 내에 배치되는데, 1차 단열벽(12)이 배치되는 공간은 단열공간을 이룰 수 있고, 1차 단열벽(12)이 배치된 단열공간은 IBS(Interbarrier Space)로 지칭될 수 있다.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is disposed in the closed space between the primary barrier 11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space in which 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is arranged may form an insulating space, The insulating space in which the insulating wall 12 is disposed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rbarrier Space (IBS).

가장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1차 단열벽(12)은 후술할 돔 코밍(20a)의 상벽(22)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돔 코밍(20a)의 상벽(22)과 2차 방벽(13) 사이의 실링을 위해 연결 방벽(24)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provided at the highest position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wall 22 of the dome coaming 20a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because the connection barrier 24 must be constructed for sealing between the upper wall 22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of the dome coaming 20a.

즉 시공 순서에 따를 때, 2차 단열벽(14) 상에 2차 방벽(13)이 마련되고 2차 방벽(13)에 1차 단열벽(12)이 마련되는데, 최상단의 1차 단열벽(12)은 상벽(22) 대비 하방에 위치하면서 2차 방벽(13) 일부를 노출시키게 된다. 이때 노출된 2차 방벽(13)과 상벽(22) 사이에서 연결 방벽(24)이 설치되면서 돔 코밍(20a)과 2차 방벽(13)이 상호 실링 연결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equence, the secondary barrier 13 is provided on the secondary thermal insulation wall 14 and 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wall 12 is provided in the secondary barrier 13, the uppermost primary thermal insulation wall ( 12)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wall 22 to expose a portion of the secondary barrier 13. At this time, as the connecting barrier 24 is installed between the exposed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upper wall 22 , the dome coaming 20a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are mutually sealed and connected.

이후 최상단의 1차 단열벽(12)과 돔 코밍(20a)의 상벽(22) 사이의 갭에 마감 단열벽(12a)이 채워져서 연결 방벽(24)을 커버할 수 있다. 마감 단열벽(12a)은 1차 단열벽(12)과 동일/유사하게 플라이우드(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단열블록(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reafter, the finished insulating wall 12a may be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uppermost primary insulating wall 12 and the upper wall 22 of the dome coaming 20a to cover the connection barrier 24 . The finished insulating wall 12a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plywood (not shown) and an insulating block (not shown) in the same/similar manner to 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

1차 단열벽(12)과 마감 단열벽(12a)의 내면은 상호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고, 1차 단열벽(12)의 내면과 마감 단열벽(12a)의 내면 상에 1차 방벽(11)이 설치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s of 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and the finished insulating wall 12a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and the primary barrier 1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and the finishing insulating wall 12a. ) can be installed.

2차 방벽(13)은, 1차 단열벽(12)의 외측에 마련된다. 2차 방벽(13)은 1차 방벽(11)과 함께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 기능을 가지며, 2차 방벽(13)은 1차 방벽(11)의 파손 시 액화가스의 누출을 2차로 방지하게 된다.The secondary barrier 13 is provided outside the primary heat insulating wall 12 . The secondary barrier 13 has a sealing function to prevent leakage of liquefied gas together with the primary barrier 11,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prevents leakage of liquefied gas when the primary barrier 11 is damaged. will prevent

2차 방벽(13)은 1차 방벽(11)과 동일/유사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1차 방벽(11)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2차 방벽(13)은 금속시트 양면에 유리섬유시트 등이 적층된 복합시트 또는 반대로 유리섬유시트 양면에 금속시트가 적층된 복합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2차 방벽(13)는 SUS, INVAR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econdary barrier 13 may be made of the same/similar metal material as the primary barrier 11 ,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imary barrier 11 . For example, the secondary barrier 13 may be formed of a composite sheet in which a glass fiber sheet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metal sheet or, conversely, a composite sheet in which a metal sheet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glass fiber sheet. Alternatively, the secondary barrier 13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US or INVAR.

2차 방벽(13)은 2차 단열벽(14) 상에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2차 단열벽(14)들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기 위해, 별도의 2차 방벽(13)이 적층되는데, 2차 단열벽(14) 상의 2차 방벽(13)은 상대적 강성 재질로 마련되고, 2차 단열벽(14)들 사이의 2차 방벽(13)은 수축 팽창을 대비하여 상대적 유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ary barrier 13 may be laminated on the secondary thermal insulation wall 14 . However, in order to seal the gap between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s 14, a separate secondary barrier 13 is stacked,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on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is made of a relatively rigid material and , the secondary barrier 13 between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s 14 may be made of a relatively flexible material in preparation for contraction and expansion.

2차 단열벽(14)은, 2차 방벽(13)의 외측에 배치된다. 2차 단열벽(14)은 1차 단열벽(12)과 마찬가지로 단열 기능을 가지며, 1차 단열벽(12)과 동일/유사하게 플라이우드(141), 단열블록(142)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is arrange|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ary barrier 13. As shown in FIG. The secondary thermal insulation wall 14 has a thermal insulation function like 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wall 12,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lywood 141 and the thermal insulation block 142 are laminated in the same/similar manner to 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wall 12. is done

다만 2차 단열벽(14)의 플라이우드(141)와 단열블록(142)의 적층 순서는, 1차 단열벽(12)과 반대될 수 있다. 1차 단열벽(12)은 1차 방벽(11)의 용접 고정을 위해 앵커링유닛이 마련되는 플라이우드(121)가 내면에 마련되는 반면, 2차 단열벽(14)은 선체 측에 고정하기 위해 플라이우드(141)가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However, the stacking order of the plywood 141 and the insulating block 142 of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may be opposite to that of 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 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lywood 121 provided with an anchoring unit for welding fixing of the primary barrier 11, while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is for fixing to the hull side. The plywood 14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2차 단열벽(14)은 선체 내면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마스틱(143)을 이용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마스틱(143)은 접착제로서 2차 단열벽(14)의 플라이우드(141)를 선체에 고정한다.The secondary heat insulation wall 14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ull using a bolt (not shown), and may also be fixed using a mastic 143 . The mastic 143 is an adhesive and fixes the plywood 141 of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to the hull.

2차 단열벽(14)은 2차 방벽(13)과 선체 사이의 닫힌 공간 내에 배치되며, 2차 단열벽(14)이 배치된 공간은 2차 단열공간으로서 IS(Insulation Space)로 지칭될 수 있다.The secondary thermal insulation wall 14 is disposed within the closed space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hull, and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ary thermal insulation wall 14 is arranged may be referred to as an IS (Insulation Space) as a secondary thermal insulation space. have.

즉 벽체(1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1차 방벽(11) - IBS(1차 단열벽(12)) - 2차 방벽(13) - IS(2차 단열벽(14)) - 선체 순으로 적층되도록 마련되며, IBS와 IS인 단열공간은 후술하는 돔(20)에 의해 마감된다.That is, the wall 10 go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 the order of the primary barrier 11 - IBS (primary insulating wall 12) - secondary barrier 13 - IS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 hull. It is provided to be laminated, and the insulating space of IBS and IS is closed by a dome 20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2중의 방벽 및 2중의 단열벽(단열공간)을 갖는 벽체(10)에 의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벽체(10)는 평면 또는 곡면이나 경사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다양한 형상의 저장공간을 이룬다.As such, the storage space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can be formed by the wall 10 having the double barrier and the double insulating wall (insulation space). The wall 10 is made up of a flat surface, a curved surface, an inclined surface, etc. to form a storage space of various shapes.

돔(20)은,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벽체(10)에 마련된다. 저장공간을 형성한 벽체(10)는 액화가스나 증발가스의 유출입을 위해 상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에는 돔(20)이 설치되어 마감된다.The dome 20 is provided on the wall 10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e wall 10 forming the storage space has an open upper surface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liquefied gas or boil-off gas, and a dome 20 is installed in the opened portion to finish.

이때 저장공간 상면을 이루는 벽체(10)는 개구된 부분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돌출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고, 돌출부의 상단에 돔(20)이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ll 10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may be provided to protrude up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pened portion to form a protrusion (not shown), and a dome 2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돔(20)은 벽체(10)에 형성된 단열공간을 마감한다. 단열공간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벽체(10)에서 2차 방벽(13)의 내측과 외측에 마련되며, 돔(20)은 각각의 단열공간을 상호 분리되도록 마감할 수 있다.The dome 20 closes the insulating space formed in the wall 10 . The insulating space is provid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condary barrier 13 in the wall 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dome 20 can be closed to separate each insulating space from each other.

돔(20)은 저장공간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벽체(10)에 고정 설치되는 돔 코밍(20a)을 포함한다. 돔 코밍(20a)은 중공의 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일례로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ome 20 includes a dome coaming 20a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10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e dome coaming 20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column and may have, for example, a square column shape.

돔 코밍(20a)은 후술하는 구체적 구조를 통해, IBS와 IS가 상호 분리되면서 닫힌 공간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돔 코밍(20a)에는 질소라인(도시하지 않음) 등이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단열공간 내 질소의 유출입을 구현할 수 있다.The dome coaming 20a can be a closed space while the IBS and the I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a specific structure to be described later. of inflow and outflow can be implemented.

돔 코밍(20a)의 상측에는 돔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돔 커버에는 액화가스나 증발가스 등이 유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인이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돔 커버에 펌프타워(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이 고정 설치된다.A dome co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bove the dome coaming 20a. The dome cover may be disposed such that a line through which liquefied gas or boil-off gas can flow in and out, and the upper end of the pump tower (not shown) is fixedly installed on the dome cover.

이하에서는 도 2 등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의 돔(20)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돔(20)의 구조는 돔 코밍(20a)의 구조임을 알려둔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dome 20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lik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dome 20 described below is the structure of the dome coaming 20a.

참고로 제2 실시예 이하에 대한 설명 시, 해당 실시예가 앞선 내용 대비 달라지는 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함을 알려둔다.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to be mainly described that the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ontent, and the omitted part is replaced with the previous content.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8을 각각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2 to 8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2 to 8 show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respectively.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돔(20)은, 외벽(21), 상벽(22), 서포트(23), 연결 방벽(24)을 포함한다.2, the dome 20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wall 21, an upper wall 22, a support 23, and a connection barrier 24. include

외벽(21)은, 저장공간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다. 외벽(21)은 돌출부의 외면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선체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선체 일부가 외벽(21)을 대체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uter wall 21 has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storage space. The outer wall 21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may be integrally fixed with the hull. It is also possible that a portion of the hull is provided to replace the outer wall 21 .

외벽(21)은 다각 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측면에 라인들이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단열공간으로의 질소 공급/단열공간에서의 질소 배출을 위한 라인이 각각 돔 코밍(20a)에서 서로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wall 2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column, and may be provided so that lines pass through each side thereof. However, lines for supplying nitrogen to the insulating space/discharging nitrogen from the insulating space may be provided opposite each other in the dome coaming 20a.

외벽(21)의 외측에는 수평의 보강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외벽(21)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에 따라, 외벽(21)의 외측 둘레에 보강재(211)를 부가함으로써 돔 코밍(20a)의 구조 강도를 확보하게 된다.A horizontal reinforcement 211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21 . According to the height at which the outer wall 21 extends upward,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dome coaming 20a is secured by adding a reinforcing material 211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wall 21 .

이때 보강재(211)는 선체의 트렁크 데크와 상벽(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트렁크 데크와 상벽(22)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벽(21)의 높이가 높지 않을 경우 보강재(211)는 생략 가능하며, 트렁크 데크가 보강재(211)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inforcement 21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runk deck and the upper wall 22 of the hull. Of course, when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21 extending between the trunk deck and the upper wall 22 is not high, the reinforcing material 211 may be omitted, and the trunk deck may serve as the reinforcing material 211 .

상벽(22)은, 외벽(21)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일부에 돔 커버가 안착된다. 상벽(22)은 외벽(21)의 상단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수평하게 마련되어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벽체(10)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wall 22 is supported by the outer wall 21 and at least a part of the dome cover is seated thereon. The upper wall 22 may be configured to be vertical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21 , and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and parallel to the wall 10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상벽(22)은 외벽(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내측에는 돔 커버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벽(22)의 폭은 적어도 벽체(10)의 두께 이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벽체(10)의 단열공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The upper wall 22 may be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21 , and a dome cover may be inserted therein.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upper wall 22 may be provided to be at leas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all 10 , thereby covering the insulating spaces of the wall 10 .

상벽(22)의 외측단은 외벽(21) 대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벽(22)과 보강재(211) 사이에는 수직의 웹부재(부호 도시하지 않음) 등이 마련되어 구조 강도를 높일 수 있다.The outer end of the upper wall 22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compared to the outer wall 21, and a vertical web member (not shown), etc.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wall 22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211 to increase structural strength. .

상벽(22)의 내측에는 1차 방벽(11)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벽(22)의 내측단에는 1차 단차해소수단(221)이 구비된다. 1차 단차해소수단(221)은 상면과 하면 및 그 사이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ㄷ자 형태를 갖는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면이 상벽(22)의 내측단에 겹쳐져 고정될 수 있다.A primary barrier 11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wall 22 . To this end, a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is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the upper wall 22 .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may be a structure having a U-shape consisting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vertical surface therebetween,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superimposed on the inner end of the upper wall 22 and fixed.

다만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높이는 상벽(22)의 두께보다 클 수 있으므로, 상벽(22)의 내측단에 1차 단차해소수단(221)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단(222)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단(222)은 상벽(22)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상면 및 하면이 모두 상벽(2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height of the primary step removing means 221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wall 22, the fixing end 222 is provided to firmly fix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to the inner end of the upper wall 22. can be used The fixed end 222 extends down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upper wall 22 , so that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are fixed to the upper wall 22 .

서포트(23)는, 외벽(21)외 내측에서 상벽(2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서포트(23)는 상벽(22)을 통해 단열공간들을 커버할 때, 2차 방벽(13)의 내측 단열공간(IBS)과 2차 방벽(13)의 외측 단열공간(IS)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support 23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22 outside the outer wall 21 and inside. The support 23 is used to separate the inner insulation space IBS of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outer insulation space IS of the secondary barrier 13 when covering the insulation spaces through the upper wall 22 . can

서포트(23)는 후술할 연결 방벽(24)을 통해 2차 방벽(13)과 연결되어, 2차 방벽(13)의 외측 단열공간은 서포트(23)의 외측과 연통되고 2차 방벽(13)의 내측 단열공간은 서포트(23)의 내측과 연통된다. 다만 서포트(23)는 상단이 상벽(22)에 고정되므로, 서포트(23)는 내외 방향으로 단열공간을 구분하게 된다.The support 23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through a connection barrier 2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uter insulating space of the secondary barrier 13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The inner insulation space of the is communicated with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23). However, sinc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3 is fixed to the upper wall 22 , the support 23 divides the insulating space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서포트(23)는 수직부(231)와 경사부(232)를 갖는다. 수직부(231)는 상벽(2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수직부(231)는 2차 방벽(13) 대비 외측에서 2차 방벽(13)과 평행하게 마련되며 또한 외벽(21) 대비 내측에서 외벽(21)과 평행하게 마련된다.The support 23 has a vertical portion 231 and an inclined portion 232 . The vertical portion 231 is provid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 . At this time, the vertical portion 231 is provided parallel to the secondary barrier 13 from the outside compar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is provided parallel to the outer wall 21 from the inside compared to the outer wall 21 .

각종 라인이 관통하는 돔 커버가 돔 코밍(20a)에 안착될 때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 서포트(23)는 2차 방벽(13)보다 외측 지점에서 상벽(22)으로부터 하방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23)와 2차 방벽(13)을 상호 연결하여 2차 방벽(13) 외측 단열공간을 실링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서포트(23)에 경사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secure a stable structure when the dome cover through which various lines pass is seated on the dome coaming 20a , the support 23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22 at a point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13 . At this time, in order to seal the outer insulating space of the secondary barrier 13 by interconnecting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32 on the support 23 .

경사부(232)는 서포트(23)의 하부에 마련되며 예각으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경사부(232)는 수직부(23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며 경사 각도는 수직부(231)를 더 연장하는 경우 대비 예각을 형성한다.The inclined portion 232 is provided under the support 23 and inclined at an acute angle. Specifically, the inclined portion 232 is provided to be inclined i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231 downward, and the inclination angle forms an acute angl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vertical portion 231 is further extended.

경사부(232)는 2차 방벽(13)과 인접한 지점까지 연장되며, 다만 경사부(232)의 하단과 2차 단열벽(14) 사이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설치 시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부(232)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정도는 후술하는 연결 방벽(24)의 재질(특히 휘어질 수 있는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232 extends to a point adjacent to the secondary barrier 13, bu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32 and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during installation. can be prevented The extent to which the inclined portion 232 extends downwar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particularly, the degree to which it can be bent)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to be described later.

경사부(232)의 내면에는 연결 방벽(24)이 고정되고 또한 내측 단열재(26)가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경사부(232)의 외면에는 외측 단열재(25)가 마련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32 , and an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may be fixed thereto. Conversely,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32 is provided with an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를 실링하여 2차 방벽(13) 내외의 단열공간을 구분한다.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동일/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2차 단열벽(14) 상에 마련되는 2차 방벽(13) 대비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barrier 24 separates the insulating space inside an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13 by sealing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support 23 .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made of the same/similar material as the secondary barrier 13 , but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ompar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provided on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

연결 방벽(24)은 설치 시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연결 방벽(24)은 금속시트의 양면에 유리섬유시트가 적층된 복합시트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during installation, and for example,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made of a composite sheet in which glass fiber sheets a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metal sheet.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하단 대비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경사부(232)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는 연결 방벽(24)의 하단을 먼저 2차 방벽(13)에 고정한 뒤, 상단을 외측으로 접어서 경사부(232)에 본딩 등으로 부착 고정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 and the upper end may be bent outwardly compared to the lower end and fixed to the inclined portion 232 . For example, the operator may first fix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to the secondary barrier 13 , then fold the upper end to the outside to attach and fix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to the inclined portion 232 by bonding or the like.

연결 방벽(24)의 하단은 1차 단열벽(12)의 높이보다 상단에 위치하여, 1차 단열벽(12)이 연결 방벽(24)의 시공 전에 2차 방벽(13)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1차 단열벽(12) 보다 상방에 시공되는 연결 방벽(24)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감 단열벽(12a)이 시공되어 마감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located above the height of 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wall 12 , so that 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wall 12 can be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before construction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 . Of course, the end insulation wall 12a may be constructed and finished on the connection barrier 24 constructed above the primary insulation wall 12 as described above.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휘어진다는 표현은 꼭지점을 형성하지 않고 곡면을 형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임을 알려둔다.For refere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xpression "ben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not only forming a curved surface without forming a vertex, but also bending to form a vertex.

연결 방벽(24)은 비교적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휨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지만, 연결 방벽(24)의 휘어진 정도가 직각에 이르면 연결 방벽(24)의 휘어진 코너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방벽(24) 자체가 찢어질 우려 또한 발생한다. 더욱이 돔 코밍(20a)이 다각 기둥을 이룰 때, 코너 부분에서 연결 방벽(24)을 접합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Although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made of a relatively flexible material and can be provided to be bent, when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reaches a right angle, stress may be concentrated at the curved corner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 In addition, there is also a risk that the connection barrier 24 itself is torn. Moreover, when the dome coaming 20a forms a polygonal column,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join the connecting barrier 24 at the corner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서포트(23)가 경사부(232)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연결 방벽(24)의 휘어지는 정도가 직각에 이르지 않고 예각을 형성하도록 하여, 연결 방벽(24)에서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23 is provided with the inclined portion 232, so that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does not reach a right angle but forms an acute angle, and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part in the connection barrier 24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본 실시예에서 서포트(23)의 경사부(232) 하단과 2차 단열벽(14) 사이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경사부(232)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외측을 향해 예각으로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32 of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may be spaced apart, and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inclined portion 232 . ) may be provided to be bent at an acute angle toward the outside in the spaced apart space between.

이때 연결 방벽(24)이 휘어진 부분의 외측에는 외측 단열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단열재(25)에서 연결 방벽(24)과 마주한 내면은 연결 방벽(24)이 절곡 없이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도록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연결 방벽(24)의 휘어진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facing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barrier 24 can be smoothly bent without bending to support the curved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

외측 단열재(25)가 마련되는 공간은 2차 방벽(13)의 외측 단열공간으로서 질소 등과 같은 비폭발성 기체가 채워질 수 있다. 참고로 내압은 IS > 저장공간 > IBS 순으로 세팅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pace in which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is provided is an outer insulating space of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may be filled with a non-explosive gas such as nitrogen. For reference, the internal pressure may be set in the order of IS > storage > IB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외측 단열재(25)는, 외벽(21)과 서포트(23) 사이에 채워진다. 외측 단열재(25)는 적어도 일부가 2차 단열벽(14)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2차 단열벽(14)과 함께 2차 단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외측 단열재(25)는 2차 단열벽(14)과 동일/유사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외측 단열재(25)는 글라스울, 강화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25 is filled between the outer wall 21 and the support 23 .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ary thermal insulation wall 14 , and may implement a secondary thermal insulation function together with the secondary thermal insulation wall 14 . However, the outer insulation 25 may be made of the same/similar material or a different material as the secondary insulation wall 14, for example, the outer insulation 25 may be made of glass wool, reinforced polyurethane foam, or the like.

외측 단열재(25)는 서포트(23)와 외벽(21) 사이 공간에 채워지며, 상벽(22)으로부터 서포트(23) 하단까지 연장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외측 단열재(25)의 하단은 경사부(232)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2차 단열벽(14)에 맞닿을 수 있다.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23 and the outer wall 21 , and may have a height extending from the upper wall 22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23 .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25 may be positioned below the inclined portion 232 to contact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

이러한 외측 단열재(25)는 시공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 구비되고 시공 후 일체화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외측 단열재(25) 중 서포트(24) 외측 부분은 글라스울 등으로 마련되고 외측 단열재(25) 중 서포트(24) 하측 부분은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in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efficiency, etc., may be integrated after construction, and may be partially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outer portion of the support 24 of the outer insulation 25 may be provided with glass woo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4 of the outer insulation 25 may be provided with polyurethane foam or the like.

외측 단열재(25) 중 서포트(24) 외측 부분의 내면은, 서포트(23)에 대응하여 수직면 및 경사면을 갖는다. 즉 외측 단열재(25)에서 서포트(23)의 수직부(231)와 마주하는 내면의 일부는 수직면 형태로 구비되고, 서포트(23)의 경사부(232)와 마주하는 내면의 일부는 경사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rt of the support 24 of 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25 has a vertical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23 . That is,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vertical portion 231 of the support 23 in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vertical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inclined portion 232 of the support 23 is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can be provided.

또한 외측 단열재(25)에서 경사부(232) 하단과 2차 단열벽(14) 사이에 위치한 부분은 직사각 형태를 갖는 외측 부분과 내면이 연결 방벽(24)의 휘어진 부분을 지지하도록 곡면을 갖는 내측 부분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이 이격된 부분에서 외측 단열재(25)는, 연결 방벽(24)의 휘어지는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부(232) 대비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시공의 효율성 등을 위해 둘 이상으로 분할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 th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32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has a rectangular outer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having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inner surface supports the curved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 The parts may be formed in a combined form. That is, in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insulation wall 14 are spaced apart, the outer insulation 25 has a shape that protrudes inward compared to the inclined portion 232 so as to support the bent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 It may have,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fficiency of construction, etc.

내측 단열재(26)는, 수직부(231)의 내측에 고정되며 2차 방벽(13) 또는 연결 방벽(24)의 내면과 나란한 내면을 갖는다. 내측 단열재(26)는 서포트(23)의 수직부(231)가 2차 방벽(13) 대비 외측으로 치우쳐 마련된 것을 보상하여, 마감 단열벽(12a)의 설치를 위한 평면 확보를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has an inner surfac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ary barrier 13 or the connecting barrier 24 .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may be provided to ensure a flat surface for installation of the finished heat insulating wall 12a by compensating for the vertical portion 231 of the support 23 being biased outward compar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

내측 단열재(26)는 우드가 다층으로 겹쳐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2차 단열벽(14)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직부(231)에 마스틱(261)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마스틱(261)은 수직부(231) 및 경사부(232)에 적용될 수 있다.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may be made of a material in which wood is overlapped in multiple layers, and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portion 231 with a mastic 261 as described for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 The mastic 261 may be applied to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the inclined portion 232 .

또한 내측 단열재(26)의 견고한 위치 고정을 위해서, 수직부(231)에는 내측 방향으로 스터드(23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내측 단열재(26)는 스터드(2311)가 관통되고 스터드(2311)에 고정되는 고정구(262)(너트 등)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firmly, the vertical portion 231 may be provided with a stud 2311 in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has the stud 2311 through and on the stud 2311. A fixture 262 (such as a nut) to be fixed may be used.

내측 단열재(26)는 외면이 서포트(23)에 대응하여 수직면 및 경사면을 가진다. 즉 내측 단열재(26)는 2차 방벽(13)의 내면에 적층 설치되는 1차 단열벽(12)의 외면을 상방으로 연장하였을 때 연장된 외면과 서포트(23)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을 메우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has a vertical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23). That is,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fills the space provided between the extended outer surface and the support 23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primary heat insulation wall 12 laminat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ary barrier 13 is extended upward. can have

또한 내측 단열재(26)는, 1차 단차해소수단(221)과 서포트(23)의 수직부(231) 사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마감 단열벽(12a)을 설치하기 위해 상벽(22)의 하단 부분과 서포트(23)의 내측 부분을 사각 형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서포트(23)의 수직부(231)와 경사부(232)에 고정되는 내측 단열재(26)는 고정력 확보를 위해 우드 재질로 마련되고, 상벽(22)의 하면에 고정되는 내측 단열재(26)는 단열 효과를 위해 폴리우레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may be applied between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and the vertical portion 231 of the support 23 , and the like.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to make the lower end of the upper wall 22 and the inner portion of the support 23 in a rectangular shape to install the finished heat insulating wall 12a, and may be partially made of different materials. can For example, the inner insulation 26 fixed to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the inclined portion 232 of the support 23 is provided with a wood material to secure fixing force, and the inner insulation 26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 . ) may be made of a polyurethane material for insulation effect.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돔 코밍(20a)에서 상벽(22)의 하단에 서포트(23)를 두고 2차 방벽(13) 내외의 단열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연결 방벽(24)으로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를 실링하되, 연결 방벽(24)이 서포트(23)에 예각으로 휘어져 접합 고정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연결 방벽(24)의 내구성, 기밀성(gas-tight) 및 실링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As such, in this embodiment, in the dome coaming 20a, the support 23 is plac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wall 22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support 23, but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bent at an acute angle to the support 23 and fixed by bonding, the durability, gas-tight and sealing function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can guarantee

또한 연결 방벽(24)이 직각에 못미치는 예각으로만 휘어지도록 하여 직각으로 휘어지는 경우와 대비할 때 접착 구간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실링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bent only at an acute angle less than a right angle, more bonding sections can be secured in comparison with a case where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bent at a right angle,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sealing.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경사를 적용하되, 서포트(23)가 아닌 2차 단열벽(14)에 경사가 마련된다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same inclination as described in FIG. 2 , but is inclined to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rather than the support 23 .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is prepared.

본 실시예의 서포트(23)는, 수직부(231)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며, 경사부(232) 등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2차 단열벽(14)은 서포트(23)와 마주하는 상단에 챔퍼부(146)가 마련된다.The support 2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include the vertical portion 231 , and the inclined portion 232 may not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is provided with a chamfer portion 146 at the upper end facing the support 23 .

챔퍼부(146)는 2차 단열벽(14)의 상단에서 수직부(231)를 향해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2차 단열벽(14)의 단열블록(142)의 모서리가 깎여나간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chamfer part 146 is provided to be inclined toward the vertical part 231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and forms a shape in which the corner of the insulating block 142 of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is cut out. can

이때 챔퍼부(146)의 상단은 서포트(23)의 수직부(231)와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나란한 위치에 놓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2차 단열벽(14)에 구비되는 2차 방벽(13)은 챔퍼부(146)의 적어도 일부까지 덮도록 구비된다.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chamfer part 146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relatively parallel to the vertical part 231 of the support 23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provided in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 The silver is provid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mfer portion 146 .

물론 이와 달리, 2차 방벽(13)은 챔퍼부(146)에 마련되지 않고 2차 단열벽(14)에서 수직한 내면에만 마련되고, 연결 방벽(24)의 상단은 서포트(23)에 고정되고 하단은 2차 단열벽(14)의 수직한 내면까지 연장되어,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챔퍼부(146)를 모두 커버하면서 챔퍼부(146)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2차 방벽(13)에 실링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연결 방벽(24)은 둘 이상으로 구분되고 상호 실링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f course, unlike this, the secondary barrier 13 is not provided on the chamfer part 146, but only on the inner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fixed to the support 23 and The lower end extends to the vertical inner surface of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is bent inward between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and covers the chamfered part 146 while covering the chamfered part 146. It is also possible to be seal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by b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 this case,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and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ealing.

본 실시예에서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챔퍼부(146)에 위치한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하단 대비 내측으로 휘어져 수직부(231)에 고정된다. 반대로 말하면 연결 방벽(24)은 수직부(231)의 내면에 상단이 고정되며, 하단은 내측으로 휘어져 챔퍼부(146)에 안착됨으로써 2차 방벽(13)과 연결되어 실링을 구현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barrier 24 is fixed to the vertical portion 231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located in the chamfered portion 146 and curved inwardly compared to the lower end. In other words,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231 , and the lower end is bent inward and seated on the chamfer portion 146 ,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to implement sealing.

이때 2차 단열벽(14)의 챔퍼부(146)는 모서리가 사선으로 절단된 챔퍼(chamfer) 형태를 갖게 되므로, 연결 방벽(24)은 챔퍼부(146)와 수직부(231) 사이에서 내측을 향해 예각으로 휘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chamfer portion 146 of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has a chamfer shape in which the edge is cut diagonally,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formed between the chamfer portion 146 and the vertical portion 231 on the inside. can be bent at an acute angle toward

물론 챔퍼부(146)는 사선을 대신하여 적어도 일부가 곡선을 이루도록 절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의 휘어짐을 예각으로 제한함으로써 연결 방벽(24)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실링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Of course, the chamfer 146 may be cut so that at least a part of it forms a curved line instead of an oblique line.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function can be ensured while securing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by limiting the bending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to an acute angle.

서포트(23)의 수직부(231) 하단은 2차 단열벽(14) 대비 상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다만 수직부(231)와 2차 단열벽(14) 사이는 앞서 도 2에서 경사부와 2차 단열벽(14) 사이와 마찬가지로 빈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외측 단열재(25)가 채워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231 of the support 23 may be spaced apart upward compared to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but between the vertical part 231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is an inclined part in FIG. It may be provided as an empty space between the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uter insulation 25 is filled.

외측 단열재(25)는 수직부(231)와 외벽(21) 사이에 채워지도록 마련되며, 본 실시예의 서포트(23) 형상을 고려할 때 외측 단열재(25)는 형상이 단순한 직육면체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outer insulator 25 is provided to be filled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the outer wall 21, an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support 23 of this embodiment, the outer insulator 25 may be provided as a simple rectangular parallelepiped, etc. .

내측 단열재(26)는 서포트(23)의 수직부(231) 내측에 구비된다. 내측 단열재(26)는 외면이 서포트(23)의 수직부(231)에 마련된 스터드(2311)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마스틱(261)을 이용해 수직부(231)에 본딩될 수 있다.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is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portion 231 of the support 23 .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may be fixed through studs 2311 having an outer surface provided on the vertical portion 231 of the support 23 , and may also be bonded to the vertical portion 231 using a mastic 261 .

내측 단열재(26)는 서포트(23)의 수직부(231)에 대응하여 수직면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내측 단열재(26)는, 서포트(23)의 수직부(231)에 대응한 수직면과 2차 단열벽(14)의 챔퍼부(146)에 대응한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may have a vertic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portion 231 of the support 23 . Furthermore,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may be provided to have a vertic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portion 231 of the support 23 and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hamfered portion 146 of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

이러한 내측 단열재(26)는 도 2에서와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내측 단열재(26)의 내측에는 마감 단열벽(12a)이 적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연결 방벽(24)은 이미 내측 단열재(26)에 의해 커버되며, 마감 단열벽(12a)은 내측 단열재(26)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heat insulator 26 may be provided similarly to that in FIG. 2 , and a finished heat insulating wall 12a may be stacked on the inside of the inner heat insulator 26 . However, the connection barrier 24 of this embodiment is already covered by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 and the finished heat insulating wall 12a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2차 단열벽(14)에 챔퍼부(146)를 두어 연결 방벽(24)이 예각으로만 휘어져 실링을 구현하게 하여, 서포트(23)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작업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실링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방벽(24)이 2차 방벽(13) 및 서포트(23)의 상단을 연결하여, 가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chamfer portion 146 is placed on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so that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bent only at an acute angle to implement sealing,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23 and improving workability. It can guarantee a high and stable sealing func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barrier 24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support 23 to maintain gas tightness.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돔 코밍(20a)은, 서포트(23)가 수직부(231) 및 절곡부(233)를 갖는다. 수직부(231)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2차 방벽(13) 대비 외측에 위치하며 외벽(21)과 평행하게 구비된다.In the dome coaming 20a of this embodiment, the support 23 has a vertical portion 231 and a bent portion 233 . The vertical portion 231 is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13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is provided parallel to the outer wall 21 .

다만 본 실시예는 도 2의 경사부(232) 대신 절곡부(233)를 구비하며, 절곡부(233)는 서포트(23)의 하부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되도록 마련된다. 절곡부(233)는 수직부(23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수직부(231)와 절곡부(233)를 포함한 서포트(23)는 ㄴ자 등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bent portion 233 is provided instead of the inclined portion 232 of FIG. 2 , and the bent portion 233 is provided to be bent inward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3 . The bent portion 233 is bent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231 , and the support 23 including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the bent portion 233 may form an L-shape.

절곡부(233)는 수직부(231)가 더 연장되는 경우와 대비할 때 수직부(231)에서 적어도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절곡부(233)는 수직부(231)로부터 90도로 절곡되도록 마련되어 내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절곡부(233)의 내외 방향 길이는 내측단이 2차 방벽(13)보다 내측에 위치할 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233 may be bent at least at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portion 231 in comparison with a case in which the vertical portion 231 is further extended. For example, the bent portion 233 is provided to be bent at 90 degrees from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is extended in the inward direction. In this case, the length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bent portion 233 may be provid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inner end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ary barrier 13 .

상벽(22)에 수평한 절곡부(233)의 하단과 2차 단열벽(14) 사이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이격된 틈에는 외측 단열재(25)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이 이격되는 위치에서, 연결 방벽(24)은 내측을 향해 휘어질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233 horizontal to the upper wall 22 and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may be filled in the spaced gap. In addition, at a position where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are spaced apart,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bent inwardly.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하단 대비 내측으로 휘어져서 절곡부(233)에 고정된다. 이때 연결 방벽(24)의 상단은, 절곡부(233)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Connection barrier 24,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the upper end is bent inward compared to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bent portion (233).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33 .

즉 서포트(23)가 ㄴ자 형태로 마련되고, 연결 방벽(24)은 ㄱ자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연결 방벽(24)의 하단을 2차 방벽(13)에 본딩한 뒤,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절곡부(233)의 하면과 겹쳐지도록 연결 방벽(24)을 휘어지게 한 후, 연결 방벽(24)의 상단과 절곡부(233)의 하면을 본딩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23 is provided in a L-shape, and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provided in a L-shape. Therefore, after the operator bond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arrier 24 to the secondary barrier 13 ,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barrier 24 bends the connecting barrier 24 so that it overlap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ent part 233 . , it is possible to bo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barrier 2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33 .

연결 방벽(24)의 하단은 1차 단열벽(12) 대비 상방에 위치하여 1차 단열벽(12)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2차 방벽(13)에 연결 방벽(24)이 시공될 수 있으며, 2차 단열벽(14) 및 절곡부(233)의 하면 사이에는 마감 단열벽(12a)의 마련되어 연결 방벽(24)을 커버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located above 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wall 12, and the connection barrier 24 can be constructed on the secondary barrier 13 that is not covered by the primary thermal insulation wall 12, A finishing heat insulating wall 12a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33 to cover the connection barrier 24 .

외측 단열재(25)는, 외벽(21)과 서포트(23) 사이에 일부분이 채워지며,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포트(23)의 절곡부(233)의 하단은 2차 단열벽(14)의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이 이격된 틈에는 외측 단열재(25)가 채워질 수 있다.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is partially filled between the outer wall 21 and the support 23 , and may have a shape protruding inward between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233 of the support 23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there is an outer insulating material in the gap between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25) can be filled.

다만 외측 단열재(25)에서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 간의 틈에 채워지는 부분은, 내면이 2차 방벽(13)이나 2차 단열벽(14)과 나란할 수 있으며, 2차 방벽(13) 대비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in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the portion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the inner surface may be parallel to the secondary barrier 13 or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2 It may not protrude inward compared to the car barrier 13 .

또는 틈에 채워지는 외측 단열재(25)의 일부분은, 2차 방벽(13)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되 2차 방벽(13)의 휘어진 부분을 가이드하기 위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 portion of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filled in the gap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for guiding the curved portion of the secondary barrier 13 to protrude inward than the secondary barrier 13 .

내측 단열재(26)는 서포트(23)의 수직부(23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수직부(231)와 절곡부(233) 사이의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절곡부(233)의 내측단이 2차 방벽(13)보다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마감 단열벽(12a)은 절곡부(233)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고,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 마련된 내측 단열재(26)가 절곡부(233)와 상벽(22) 사이의 공간 및 절곡부(233)의 내측단과 1차 방벽 사이의 공간을 각각 채우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insulating material 26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portion 231 of the support 23 , and may be filled in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the bent portion 233 .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ner end of the bent portion 233 extends inward than the secondary barrier 13, the finished insulating wall 12a may be installed under the bent portion 233, and at least two The inner insulating material 26 divid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bent portion 233 and the upper wall 22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bent portion 233 and the primary barrier,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2차 방벽(13)과 서포트(23)를 연결해 2차 방벽(13) 내외 단열공간을 구획하되, 연결 방벽(24)이 내측으로 휘어져 서포트(23)의 하면에 부착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연결 방벽(24)의 실링 안정성(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support 23 are connected to partition the insulating space inside an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13, but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bent inward and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23 The sealing stability (airtightness)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can be ensured by applying 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서포트(23)가 수직부(231)와 돌출부(234)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23 may be provided to have a vertical portion 231 and a protrusion 234 .

수직부(231)는 2차 방벽(13) 대비 외측에 위치하며 외벽(21)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수직부(231)는 경사부(232)나 절곡부(233)가 구비되는 경우와 대비할 때 하단이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돌출부(234)가 수직부(231)의 하단이 아니라 일 지점(하단에서 일정 높이만큼 상방)에 마련되기 때문이며, 수직부(231)의 하단 내측과 돌출부(234)의 하측에는 블록재(2341)가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231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is provided parallel to the outer wall 21 . The vertical portion 23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ding lower end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232 or the bent portion 233 is provided. This is because the protrusion 234 is provided not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231 but at a point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end), and a block material 2341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234 . ) may be provided.

돌출부(234)는, 수직부(231)의 일 지점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234)와 수직부(231)는 ㅓ 또는 T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다만 돌출부(234)의 돌출 각도는 수직부(231) 기준으로 직각이거나 또는 예각 등일 수 있다.The protrusion 234 is provided to protrude inward from one point of the vertical part 231 . The protrusion 234 and the vertical portion 231 may have a ⅓ or T shape, but the protrusion angle of the protrusion 234 may be a right angle or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rtion 231 .

돌출부(234)의 내측단은 2차 방벽(13)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돌출부(234)의 상면에는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본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에 고정된 하단과 돌출부(234)에 고정된 상단 사이에서 블록재(2341)를 커버하도록 마련된다.The inner end of the protrusion 234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13 ,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34 by bonding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provided to cover the block material 2341 between the lower end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upper end fixed to the protrusion 234 .

수직부(231)의 내측 및 수직부(231)의 하측 사이에 공간에는 블록재(2341)가 안착된다. 블록재(2341)는 내측 단열재(26)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딩 등을 통해 수직부(231) 등에 연결될 수 있다.A block material 2341 is se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231 . The block material 234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ner insulating material 26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portion 231 or the like through bonding or the like.

블록재(2341)는 2차 단열벽(14)과 맞물리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2차 단열벽(14)은 서포트(23)에 인접한 상단에 단차부(144)가 마련될 수 있으며, 블록재(2341)는 수직부(23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크기를 가져서 하단이 단차부(144)에 안착될 수 있다.The block material 2341 may have a structure engaged with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 To this e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may have a step portion 144 provided at the upper end adjacent to the support 23 , and the block material 2341 has a size extending downward of the vertical portion 231 so that the lower end is It may be seated on the step portion 144 .

블록재(2341)에서 연결 방벽(24)이 접하는 내면은 2차 방벽(13)과 나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방벽(24)이 블록재(2341)의 내면에 접하면서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를 실링할 때 2차 방벽(13)과 블록재(2341) 사이에서 연결 방벽(24)이 불필요하게 절곡되거나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In the block material 2341 ,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provided to be parallel to the secondary barrier 13 .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material 2341 and seals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support 23, the connection barrier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block material 2341 ( 24) may not be bent or bent unnecessarily.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중앙 부분이 블록재(2341)의 내면에 접하며 상단이 하단 대비 외측으로 휘어져 돌출부(234)에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재(2341)의 내면과 2차 방벽(13)은 나란하며, 다만 블록재(2341)의 내면 대비 돌출부(234)의 내측단이 외측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블록재(2341) 사이에서는 평평하게 구비되고, 블록재(2341)와 돌출부(234) 사이에서 휘어지게 된다.Connection barrier 24,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the central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material 2341, the upper end is bent outward compared to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protrusion (234).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material 2341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are side by side, but since the inner end of the protrusion 234 is biased outward compa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material 2341,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It is provided flat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block material 2341 and is bent between the block material 2341 and the protrusion 234 .

이때 블록재(2341)는 연결 방벽(24)에서 휘어지는 부분에 대해 응력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 연결 방벽(24)이 접하는 부분을 곡면 또는 경사면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블록재(2341)는 2차 방벽(13)과 돌출부(234)의 내측단 사이의 내외 방향 편차를 해소하는 형태의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block material 2341 may form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arrier 24 as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etc. in order to relieve stress concentration on a bent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 For example, the block material 2341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in the form of resolving the deviation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inner end of the protrusion 234 .

블록재(2341)와 돌출부(234) 사이에서 연결 방벽(24)이 휘어진 부분의 외측은 비어있는 공간이 될 수 있지만, 연결 방벽(24)의 지지를 위하여 글라스울이나 폴리우레탄폼 등의 단열 재료가 채워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outsid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rier 24 between the block material 2341 and the protrusion 234 may be an empty space, but in order to support the connecting barrier 24,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wool or polyurethane foam It is also possible to fill

연결 방벽(24)은, 블록재(2341)와 돌출부(234) 사이에서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상단이 돌출부(234)의 상면과 겹쳐지면서 본딩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bent outwardly at a right angle between the block material 2341 and the protrusion 234 , and the upper end may be fixed by bonding or welding while overlapp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34 .

연결 방벽(24)의 상단과 상벽(22) 사이에는 적절한 형상/재질의 내측 단열재(2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 방벽(24)의 내면에는 마감 단열벽(12a)이 시공되어 커버되며, 마감 단열벽(12a)의 내면 상에 1차 방벽(11)이 설치될 수 있다.An inner insulation 26 of an appropriate shape/material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and the upper wall 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covered with a finished insulation wall 12a, A primary barrier 11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ished insulating wall 12a.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서포트(23)에 수평한 돌출부(234)를 갖고 돌출부(234)와 2차 방벽(13) 사이를 연결 방벽(24)으로 실링하되, 블록재(2341)를 두어 2차 방벽(13)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방벽(24)은 서포트(23), 블록재(2341) 및 2차 방벽(13)의 상면에 겹쳐짐으로 인해, 가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As such, this embodiment has a horizontal protrusion 234 on the support 23 and seals between the protrusion 234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with a connecting barrier 24, but by placing a block material 2341 2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ar barrier 13 .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barrier 24 overlap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3 , the block material 2341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 it is possible to maintain gas tightness.

추가로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이 2차 단열벽(14)과 서포트(23) 사이를 직접 실링하는 대신 2차 단열벽(14)보다 열팽창계수가 더 낮은 블록재(2341)를 부가함으로써, 연결 방벽(24)에 걸리는 열응력을 감소시켜 열응력으로 인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a block material 2341 having a lowe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than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is added instea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directly sealing between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and the support 23 .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amage due to thermal stress by reducing the thermal stress applied to the connection barrier 24 .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서포트(23)가 아닌 상벽(22)에 고정되어, 2차 방벽(13)과 돔(2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6,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fixed to the upper wall 22 instead of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barrier ( 13) and the dome 20 may be seal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하단 대비 내측으로 휘어져 상벽(22)의 내측단에 고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have a lower end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an upper end bent inward relative to the lower end to be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upper wall 22 .

상벽(22)의 내측단에는 1차 단차해소수단(221)이 구비될 수 있고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내면에 1차 방벽(11)이 고정될 수 있는데, 연결 방벽(24)의 상단은 상벽(22)에 마련된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A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may be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the upper wall 22 , and the first barrier 11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 The upper end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provided on the upper wall 22 .

본 실시예에서 서포트(23)는 수직부(231)와 절곡부(233)를 구비하여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곡부(233)의 내측단은 도 4에서와 달리 2차 방벽(13)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2차 방벽(13) 내외의 단열공간은 서포트(23)에 의해 구획되지 않으며, 서포트(23)는 2차 방벽(13) 외측의 단열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23 may have a L-shape by having a vertical portion 231 and a bent portion 233 , and the inner end of the bent portion 233 has a secondary barrier 13 unlike in FIG. 4 . It may be disposed more outside. In this case, the insulating space inside an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13 is not partitioned by the support 23 , and the support 23 may be disposed in the insulating space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13 .

이때 본 실시예는, 절곡부(233)와 2차 단열벽(14)이 상하 이격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서포트(23)와 외벽(21) 사이에 고정되는 외측 단열재(25)는,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 채워진 외측 단열재(25) 부분의 내면은 2차 방벽(13)과 나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bent portion 233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are vertically spaced apar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fixed between the support 23 and the outer wall 21 is the support ( 23)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may have a shape protruding inwardly. However,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filled between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may be parallel to the secondary barrier 13 .

본 실시예는 2차 방벽(13)과 1차 단차해소수단(221) 사이의 연결 방벽(24)을 지지하기 위해, 내측 단열재(26)가 사용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수직부(231)의 내측에 배치되고 수직부(231)/절곡부(233)를 통해 고정되며, 내면이 절곡부(233)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upport the connection barrier 24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primary step removing means 221, the inner insulation 26 may be used.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is disposed inside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is fixed through the vertical portion 231/bent portion 233 , and the inner surface may be located inside the bent portion 233 .

내측 단열재(26)는 2차 방벽(13)과 나란한 내면 및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하면과 나란한 하면을 갖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2차 방벽(13)과 나란한 내면을 갖는 부분과,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하면과 나란한 하면을 갖는 부분은 동일/상이한 재질로 제작되어 별도로 구비되었다가 돔 코밍(20a)의 상벽(22)에 설치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다.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may be formed in a L-shape having an inner surface parallel to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a lower surface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mary step removing means 221 . Of course, the part having the inner surface parallel to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part having the lower surface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are made of the same / different material and separately provided, and then the upper wall of the dome coaming 20a It can be installed in (22) to form one body.

이와 같은 ㄱ자 형태의 내측 단열재(26)는, 2차 방벽(1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 방벽(24)의 수직 부분을 지지하면서, 1차 단차해소수단(221)에 고정되는 연결 방벽(24)의 수평 부분과 맞닿을 수 있다. 이때 연결 방벽(24)은 내측 단열재(26)의 단차 부위에서 휘어지도록 마련되며, 내측 단열재(26)의 단차 부위는 직각 또는 곡면 등의 형태를 갖는다.The L-shaped inner insulation 26 is, while supporting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rier 24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ary barrier 13, the connecting barrier 24 fixed to the primary step removing means 221 ) can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art of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provided to be bent at the step portion of the inner heat insulator 26 , and the step portion of the inner heat insulator 26 has a shape such as a right angle or a curved surface.

연결 방벽(24)의 내면에는 1차 방벽(11)의 시공을 위해 마감 단열벽(12a)이 마련될 수 있는데, 마감 단열벽(12a)은 연결 방벽(24)에서 휘어진 부분과 마주한 부분이 연결 방벽(2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이나 경사면 등의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A finishing insulating wall 12a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rimary barrier 11 . It may be processed in the form of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arrier 24 .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2차 방벽(13)의 내외 단열공간을 마감하기 위해 서포트(23)가 아닌 상벽(22)의 내측단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구조 강도 관점에서 서포트(23)의 형상을 보다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이 1차 단차해소수단(221), 내측 단열재(26), 외측 단열재(25) 및 2차 방벽(13)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가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As such, in this embodiment, by utilizing the inner end structure of the upper wall 22, not the support 23, to close the inner and outer insulation space of the secondary barrier 13, the shape of the support 23 in terms of structural strength is reduced. You can design more freely.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connected from one side of the first step difference canceling means 221 ,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 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25 , and the second barrier 13 , so that the gas tightness can be maintained. .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서포트(23)가 외벽(21)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23 may extend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outer wall 21 .

다만 본 실시예의 서포트(23)는 수직부(231)를 마련하지 않을 수 있고, 연결 방벽(24)의 상단은 하단 대비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서포트(23)의 수평부(235)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However, the support 23 of this embodiment may not provide the vertical portion 231,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235 of the support 23 while being bent outward compared to the lower end. have.

구체적으로, 서포트(23)는 외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35)를 가지며, 수평부(235)는 2차 단열벽(14) 대비 상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부(235)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는 블록재(2341)가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support 23 may have a horizontal portion 235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uter wall 21 , and the horizontal portion 23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14 upwardly. At this time, a block material 2341 is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235 and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

블록재(2341)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부(235)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 구비되면서, 수평부(235)의 내측단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블록재(2341)에서 수평부(235)의 내측단을 감싸는 부분의 내면은 곡면 형태로 구비되어, 연결 방벽(24)의 휘어짐을 가이드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block material 2341 is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235 and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 and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35 . In particular,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35 in the block material 2341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to guide the bending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

즉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이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에서 휘어지도록 변형될 때, 연결 방벽(24)의 변형 부위를 블록재(2341)가 가이드하도록 하여 연결 방벽(24)의 구조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nnecting barrier 24 is deformed to be bent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support 23, the block material 2341 guides the deformed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rier 24 to connect it.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barrier 24 may be supplemented.

또한 블록재(2341)가 수평부(235)의 내측단을 곡면이나 경사면 등으로 마감하여 수평부(235)의 내측단에 의해 연결 방벽(24)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재(2341)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부(235)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 배치되며 수평부(235)의 두께에 대응되는 단차 부위를 갖는 ㄴ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블록재(2341)는 상단이 수평부(235)의 상면 이하의 높이로 마련되어, 블록재(2341)의 곡면에 의해 휘어지는 연결 방벽(24)이 수평부(235)에 원활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7에는 블록재(2341)가 곡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수평부(235)의 내측단은 블록재(2341)로 구성되지 않고 빈 공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lock material 2341 may finish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35 with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to prevent the connection barrier 24 from being damaged by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35 . At least a portion of the block material 2341 is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235 and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and may have an L-shape having a ste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orizontal portion 235 .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block material 2341 is provided at a height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235 , so that the connection barrier 24 bent by the curved surface of the block material 2341 is smoothly fixed to the horizontal portion 235 . Meanwhile, although the block material 2341 is shown as a curved surface in FIG. 7 ,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35 is not formed of the block material 2341 but may be formed of an empty space.

서포트(23)의 수평부(235)와 상벽(22) 사이에는, 외측 단열재(2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단열재(25)와 1차 단차해소수단(221) 사이에는 내측 단열재(26)가 설치된다. 이후 외측 단열재(25), 연결 방벽(24) 등을 커버하도록 마감 단열벽(12a)이 적층되고, 마감 단열벽(12a)과 1차 단열벽(12)의 내면에 1차 방벽(11)이 설치될 수 있다.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235 and the upper wall 22 of the support 23, the outer insulation 25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an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25 and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 Thereafter, the finished insulating wall 12a is laminated to cover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the connection barrier 24, etc., and the primary barrier 1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ished insulating wall 12a and the primary insulating wall 12. can be install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서포트(23)가 수평부(235)로 구비되고, 블록재(2341)를 이용해 수평부(235)의 내측단을 곡면으로 감싸도록 하여, 서포트(23)와 2차 방벽(13) 사이에서 ㄱ자로 휘어지는 연결 방벽(24)에 대해 휘어지는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23 is provided as a horizontal portion 235 , and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35 is wrapped with a curved surface using a block material 2341 , and the support 23 and the secondary Between the barriers 13,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ben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barrier 24 bent in the L-shape.

또한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이 서포트(23), 블록재(2341) 및 2차 방벽(13)의 상단을 감싸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가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잡한 방벽 마감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작업 공기를 단축함은 물론이고, 연결 방벽(24)의 접착 부위를 충분히 확보해 실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connected in a way that surrounds the support 23 , the block material 234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ary barrier 13 , it is possible to maintain gas tightness.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not only shorten the working period by simply improving the complex barrier finishing structure, but also maximize the sealing effect by sufficiently securing the bonding site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연결 방벽(24)이 상벽(22)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서포트(23)가 생략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8 , in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barrier 24 may be fixed to the upper wall 22 .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23 described in the other embodiments above can be omitt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돔(20) 사이를 실링하기 위해,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하단 대비 내측으로 휘어져 상벽(2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onnection barrier 24 of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eal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dome 20,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and the upper end is bent inward compared to the lower end to the upper wall 22 ) can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상벽(22)에는 내측단에 1차 단차해소수단(221)이 구비될 수 있는데, 연결 방벽(24)은 상단이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외측에서 상벽(22)의 하면에 고정된다. 즉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하면에 고정되는 도 6 대비,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이 1차 단차해소수단(221)과 무관하게 상벽(22)에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wall 22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at the inner end, and the connection barrier 24 has an upper e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 . That is, in contrast to FIG. 6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barrier 24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barrier 24 is the upper wall 22 regardless of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 ) can be fixed.

이때 상벽(22)과 2차 단열벽(14) 사이에는 외측 단열재(2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 단열재(25)는 내면이 2차 방벽(13)과 나란하게 마련되어 연결 방벽(24)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외측 단열재(25)의 내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외측 단열재(25)의 상측 위치에서 내측으로 휘어져서 상벽(2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2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wall 22 and the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14 , and 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25 has an inner surface parallel to the secondary barrier 13 to form a connection barrier 24 . can support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eat insulator 25 , and is bent inward at a position above the outer heat insulator 25 to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 .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이 상벽(22)의 하면에 직접 연결됨에 따라, 연결 방벽(24)은 상단이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하면 대비 상방에 놓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the connecting barrier 24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 , the connecting barrier 24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plac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

이때 내외 방향으로 연결 방벽(24)과 1차 단차해소수단(221) 사이에는 적절한 형상 및 재질을 갖는 내측 단열재(26)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측 단열재(26)의 하방 및 연결 방벽(24)의 내면에는 마감 단열벽(12a)이 시공되어 연결 방벽(24)이 커버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having an appropriate shape and material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barrier 24 and the first step removing means 221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an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26 and the connecting barrier 24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insulation wall (12a) is constructed, the connection barrier (24) can be cover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2차 방벽(13)에 고정된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상벽(22)의 하면에 직접 고정되도록 하여, 내외 방향으로 연결 방벽(24)과 외벽(21) 사이에서 상벽(22)의 하면에 별도의 서포트(23)를 생략하여 구조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arrier 24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13 is direct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 and between the connecting barrier 24 and the outer wall 21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By omitting the separate support 23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2 in the structure can be greatly simplifi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결 방벽(24)은 상벽(22), 외측 단열재(25) 및 2차 방벽(13)을 연결하여 설치되므로, 가스 기밀을 유지하는데 용이하며, 구조 단순화를 통한 작업 공기 단축, 보온 재료의 충분한 설치를 통한 보온 효율 증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barrier 24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upper wall 22, the outer insulating material 25, and the secondary barrier 13, so it is easy to maintain gas tightness, and the working period is shortened through structural simplific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effects such as an increase in thermal insulation efficiency through sufficient installation of thermal insulation materials.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조합이나,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들의 조합을 추가적인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one or more embodiments and known techniqu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r more embodiments, as additional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액화가스 저장탱크 10: 벽체
11: 1차 방벽 12: 1차 단열벽
121: 플라이우드 122: 단열블록
12a: 마감 단열벽 13: 2차 방벽
14: 2차 단열벽 141: 플라이우드
142: 단열블록 143: 마스틱
144: 단차부 146: 챔퍼부
20: 돔 20a: 돔 코밍
21: 외벽 211: 보강재
22: 상벽 221: 1차 단차해소수단
222: 고정단 23: 서포트
231: 수직부 2311: 스터드
232: 경사부 233: 절곡부
234: 돌출부 2341: 블록재
235: 수평부 236: 2차 단차해소수단
237: 고정단 24: 연결 방벽
25: 외측 단열재 26: 내측 단열재
261: 마스틱 262: 고정구
1: liquefied gas storage tank 10: wall
11: primary barrier 12: primary insulation wall
121: plywood 122: insulation block
12a: finishing insulation wall 13: secondary barrier
14: secondary insulation wall 141: plywood
142: insulation block 143: mastic
144: step portion 146: chamfer portion
20: dome 20a: dome coaming
21: exterior wall 211: stiffener
22: upper wall 221: 1st step gap resolution means
222: fixed end 23: support
231: vertical part 2311: stud
232: inclined portion 233: bent portion
234: protrusion 2341: block material
235: horizontal part 236: second step resolution means
237: fixed end 24: connection barrier
25: outer insulation material 26: inner insulation material
261: mastic 262: fixture

Claims (5)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의 1차 방벽과,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1차 단열벽과, 상기 1차 단열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2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2차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 사이 및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및
상기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상기 벽체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공간을 마감하는 돔을 포함하고,
상기 돔은,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단에 상기 1차 방벽이 연결되는 상벽;
상기 외벽의 내측에서 상기 상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및
상기 2차 방벽과 상기 서포트 사이를 실링하는 연결 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2차 방벽 대비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벽과 평행한 수직부를 갖고,
상기 2차 단열벽은, 상단에 상기 수직부를 향해 경사진 챔퍼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 방벽은, 하단이 상기 챔퍼부에 위치한 상기 2차 방벽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하단 대비 내측으로 휘어져 상기 수직부에 고정되며, 상기 챔퍼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에서 내측을 향해 예각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A metal primary barrier form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liquefied gas, a primary insulating wall disposed outside the primary barrier, a secondary barrier provided outside the primary insulating wall; a wall including a secondary heat insulating wall disposed outside the primary barrier, the wall forming an insulating space between the primary barrier and the secondary barrier an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and
and a dome provided on the wall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o close the insulating space,
The dome is
an outer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storage space;
an upper wall supported by the outer wall and connected to an inner end of the primary barrier;
a support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wall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wall; and
a connection barrier sealing between the secondary barrier and the support;
The support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ary barrier and has a vertical portion parallel to the outer wall,
The secondary heat insulation wall is provided with a chamfer inclined toward the vertical portion at an upper end,
The connection barrier has a lower end fixed to the secondary barrier located in the chamfer portion, and an upper end is bent inwardly relative to the lower end to be fixed to the vertical portion, and is bent at an acute angle inward between the chamfer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수직부의 하단이 상기 2차 단열벽 대비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is spaced apart upward compared to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은, 상기 수직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2차 방벽의 내면과 나란한 내면을 갖는 내측 단열재를 가지며,
상기 내측 단열재는, 외면이 상기 서포트의 상기 수직부 및 상기 2차 단열벽의 상기 챔퍼부에 대응하여 수직면 및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dom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part and has an inner insulation material having an inner surfac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ary barrier,
The inner insulating material,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has a vertical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upport and the chamfered portion of the secondary insulating wall.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A ship comprising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of any one of claims 1, 3 to 4.
KR1020200074578A 2020-06-18 2020-06-18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355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578A KR102335583B1 (en) 2020-06-18 2020-06-18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578A KR102335583B1 (en) 2020-06-18 2020-06-18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583B1 true KR102335583B1 (en) 2021-12-03

Family

ID=7886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578A KR102335583B1 (en) 2020-06-18 2020-06-18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58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121A (en) * 2013-07-19 2016-03-25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Corner Structure For An Installating And Tight Tank
KR20160141780A (en) * 2014-04-08 2016-12-09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Sealed, heat-insulated vessel housed in a buoyant structure
KR101959391B1 (en) * 2013-02-22 2019-03-19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Tank wall comprising a through-element
KR101966963B1 (en) * 2012-11-16 2019-08-13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sealed and thermally insulated tank wall
KR20200012633A (en) * 2018-07-27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ing floa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63B1 (en) * 2012-11-16 2019-08-13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sealed and thermally insulated tank wall
KR101959391B1 (en) * 2013-02-22 2019-03-19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Tank wall comprising a through-element
KR20160033121A (en) * 2013-07-19 2016-03-25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Corner Structure For An Installating And Tight Tank
KR20160141780A (en) * 2014-04-08 2016-12-09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Sealed, heat-insulated vessel housed in a buoyant structure
KR20200012633A (en) * 2018-07-27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ing float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265B1 (en) Sealed, thermally insulating vessel comprising a corner part
KR102082501B1 (en) Liquid cargo storage tank and marin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20200123157A (en) Fluid-tight vessel wall with sealing membrane including reinforcement zones
KR102459477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vessel comprising the same
KR20220125329A (en) Liquefied gas storage facility
KR102335583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35584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35582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35577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50341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75112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23467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35581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35580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35578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75111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23470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553165B1 (en) testing apparatus for liquefied gas storage tank
KR102513638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183946B1 (en) Insulation System of Liquefied Gas Hold
KR20210081916A (en) Insulation System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KR102640528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438791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US20230415856A1 (en) Corner structure and liquefied gas storage tank having same
KR20200026223A (en) Liquid cargo storage tank and marin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