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482B1 - 완구 세트 - Google Patents

완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482B1
KR102335482B1 KR1020200002733A KR20200002733A KR102335482B1 KR 102335482 B1 KR102335482 B1 KR 102335482B1 KR 1020200002733 A KR1020200002733 A KR 1020200002733A KR 20200002733 A KR20200002733 A KR 20200002733A KR 102335482 B1 KR102335482 B1 KR 10233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ble
toy
state
model to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503A (ko
Inventor
김선일
이사오 고쿠분
Original Assignee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482B1/ko
Priority to PCT/KR2020/017891 priority patent/WO2021141245A1/ko
Priority to PCT/KR2020/017834 priority patent/WO2021141244A1/ko
Priority to PCT/KR2020/018141 priority patent/WO2021141257A1/ko
Priority to PCT/KR2021/000118 priority patent/WO2021141375A1/ko
Priority to US17/142,713 priority patent/US11679336B2/en
Priority to PCT/KR2021/000163 priority patent/WO2021141394A1/ko
Priority to CN202110019403.0A priority patent/CN113082735B/zh
Priority to CN202120042825.5U priority patent/CN214597220U/zh
Priority to JP2021002041A priority patent/JP7098006B2/ja
Publication of KR2021008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5Other wheeled vehicles with moving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4Coup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2Dolls' houses, furniture or other equipment; Dolls' clothing or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rotation or translation, e.g. of keyhole or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모형 완구와 결합되도록 변형 가능한 변형 완구 및 모형 완구와 변형 완구를포함하는 완구 세트가 제공된다. 변형 완구는 변형체를 포함한다. 변형체는, 모형 완구와 독립되는 제1 상태와 모형 완구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모형 완구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로 변형 가능하다. 변형체는, 프레임부와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포함한다. 프레임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에 대해 회전된다.

Description

완구 세트{TOY SET}
본 개시는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변형 완구, 및 이러한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변형 완구(transformable toy)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변형 완구는 조작 가능한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통상적인 변형 완구의 복수의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변형 완구는 하나의 형태로부터 또 하나의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예컨대, 통상적인 변형 완구로서 변신 로봇 완구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변형 완구는 변형 완구 자체의 변형에만 국한되어 형상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는 한계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통상적인 변형 완구 자체만의 한정적인 변형 형태와는 다른 새로운 변형 형태를 통해, 사용자에게 차별적이고 창의적인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그 자체로 변형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형 완구와 조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는 변형 완구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그 자체로 변형 가능하며 또한 모형 완구와 조합될 수 있는 변형 완구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는 변형체를 포함한다. 변형체는, 모형 완구와 독립되는 제1 상태와 모형 완구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모형 완구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체는, 프레임부와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포함한다. 프레임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프레임부에 대해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두개 이상의 변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프레임부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피 변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제1 방향에서의 프레임부의 부분을 통과하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1 변형부와,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에서의 프레임부의 부분을 통과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2 변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변형부는 제2 상태에서 제1 방향에서의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변형부는 제2 상태에서 제2 방향에서의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변형부 및 제2 변형부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서로 좁혀지며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에서의 프레임부의 부분을 통과하는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3 변형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변형부는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에 의해 덮히는 모형 완구의 부분으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또 하나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부와 제1 변형부 및 제2 변형부는 제1 상태에서 제3 변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변형부 및 제2 변형부는 각각,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제3 변형부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돌출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변형부는,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와,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형 완구의 외형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제3 방향에 반대되는 제4 방향에서의 프레임부의 부분을 통과하는 제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4 변형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대응하는 회전축이 배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지지부에 대응하는 모형 완구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고, 회전부는 제2 상태에서 지지부에 대응하는 모형 완구의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 완구는, 제1 상태에서 변형체의 제1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상태에서 변형체의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또는 모형 완구의 소정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속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하나의 측면은 완구 세트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는, 모형 완구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완구 세트의 모형 완구는 공룡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완구 세트의 변형 완구는 제1 상태에서 운송 기계의 형태를 갖고 제2 상태에서 공룡 형상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는, 모형 완구를 덮으면서 모형 완구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변형되고 모형 완구와 독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특정 형태를 갖도록 변형됨으로써, 사용자는 차별적이고 창의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변형 완구 자체의 변형에 관련되는 재미뿐만 아니라, 변형된 변형 완구를 모형 완구를 덮는 부착물로서 모형 완구에 장착시키는 재미와, 변형되어 부착된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를 보호하는 방어물로서 기능한다고 하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형 완구와 조합되기 전의 변형 완구로부터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와는 다른 형태를 갖고 그러한 다른 형태가 제공하는 특별한 재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는, 간단한 구조 및 간단한 조작 방식으로 모형 완구를 덮도록 또한 모형 완구로부터 제거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는, 모형 완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컴팩트(compact)하게 접히면서도 모형 완구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와 변형 완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전하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후하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에서 서로 분리된 변형체와 부속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가 일 예에 따라 변형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가 모형 완구에 결합되어 형성된 조합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7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변형체와 모형 완구의 결합체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하는 부속체가 도 17에 도시하는 결합체에 결합되어 형성된 조합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와 변형 완구의 조합체 및 변형된 부속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와 부속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도 19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도 2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저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가 일 예에 따라 변형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3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 및 부속체가 모형 완구에 결합되어 형성된 조합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와 모형 완구의 조합체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와 변형 완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사이도이다.
도 36 및 도 37은 도 34에 도시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측면도이다.
도 40은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정면도이다.
도 41은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배면도이다.
도 42는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저면도이다.
도 43 내지 도 4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가 일 예에 따라 변형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4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 및 부속체가 모형 완구에 결합되어 형성된 조합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와 모형 완구의 조합체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0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1 및 도 52는 도 50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가 조작에 의해 변형된 다른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53 및 도 54는 도 50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와 변형 완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55 및 도 56은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57은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평면도이다.
도 58은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측면도이다.
도 59는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정면도이다.
도 60은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배면도이다.
도 61은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저면도이다.
도 6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에서 변형부의 회전부가 회전되는 동작 중의 하나의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3 내지 도 6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가 일 예에 따라 변형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67은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변형체 및 부속체가 모형 완구에 결합되기 위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와 모형 완구의 조합체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방향'은 후술할 프레임부가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를 바라보는 방향(내측 방향)을 가로지르는 무수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내측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양 방향 중 어느 하나는 '제3 방향'으로 정의되고 다른 하나는 '제4 방향'으로 정의된다. 즉, 상기 제2 내지 제4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의된다.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D1), 제2 방향(D2), 제3 방향(D3) 및 제4 방향(D4)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는 본 개시의 이해를 위한 것일 뿐이며, 제1 방향을 어느 방향으로 두느냐에 따라 제2 내지 제4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제1 방향(D1), 제2 방향(D2), 제3 방향(D3) 및 제4 방향(D4)을 각각 '좌측 방향', '우측 방향',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으로 지칭할 수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이해를 위한 것일 뿐이며, 각 방향의 지칭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들은, 변형 완구 및 모형 완구와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에 관련된다. 본 개시에 따른 모형 완구(model toy)는, 주지의 동물, 영화 또는 만화에 등장하는 인물 또는 동물, 또는 가상의 인물 또는 동물을 모방한 것으로서, 금속 재료, 수지 재료 또는 목재를 사용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모형 완구는 당해 분야에서 피규어(figure)일 수 있다. 모형 완구는 움직임이 불가능한 일체형 바디로 형성되거나, 관절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부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변형 완구(transformable toy)는, 상대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부재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그 형태 또는 상태가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변형 완구는 형태가 변형 가능한 변형체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변형 완구는 변형체만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변형체에 제거 가능하게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속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속체는 변형 가능하지 않거나, 변형체와는 독립적으로 변형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는, 모형 완구와 분리되어 독립되는 제1 상태와, 모형 완구에 결합되는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변형 완구는, 제1 상태에서 하나의 특징적 형태(제1 형태)를 가지고 제2 상태에서 또 하나의 특징적 형태(제2 형태)를 가지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변형 완구는 제1 상태의 상기 제1 형태 및 제2 상태의 상기 제2 형태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변형 완구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형태 또는 상기 제2 형태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중간 형태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변형체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형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형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변형 가능하다. 또한, 부속체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소정의 제1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형태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소정의 제2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형태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형태는 운송 기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형태는 차량, 비행기, 우주선, 배, 또는 잠수함과 같은 운송 기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형태는 동물 형상 또는 사람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변형 완구는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형태는 동물 형상 또는 사람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형태는 공룡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룡 형상은, 육상 공룡, 수상 공룡 또는 비행 공룡의 형상이 될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변형체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실시예에 따른 모형 완구의 외표면을 덮으면서 모형 완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형 완구가 변형 완구가 변형되어 형성하는 방어물(갑옷 또는 갑주)을 착용하고 있다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 완구는, 전술한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변형체를 포함한다. 변형 완구(101, 102, 103, 104)는, 모형 완구(201, 202, 203, 204)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변형 가능한 변형체(1001, 1002, 1003, 1004)를 포함한다. 변형체(1001, 1002, 1003, 1004)는 변형을 위해 회전 가능한 부재들이 힌지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조립체일 수 있다. 변형체(1001, 1002, 1003, 1004)는, 모형 완구(201, 202, 203, 204)와 독립되는 제1 상태와, 모형 완구(201, 202, 203, 2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모형 완구(201, 202, 203, 204)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 도 19, 도34 및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체는 모형 완구와 독립되는 제1 상태에 있으며, 도 2, 도 20, 도 35 및 도 53에 도시하는 변형체는 모형 완구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제1 상태와는 다른 제2 상태에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 완구의 변형체는, 변형체의 기초 부분으로 기능하며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프레임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0)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 예컨대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등 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변형체의 기초 또는 척추로서 기능하는 구조 부재일 수 있다. 프레임부(1100)는 운송 기계의 일부로 인식될 수 있는 표면을 갖는 판상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부(1100)는 바(bar) 형상의 샤프트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 완구의 변형체는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변형을 실행시키기 위한 구조 부재일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부(1100)에 결합되어 프레임부(1100)와 함께 변형체를 구성하는 구조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피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피 변형부는 회전 가능한 부재로서 또는 제거 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대응하는 회전축은 프레임부(1100)를 임의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여,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조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프레임부(1100)에 대해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체는 오직 하나의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의 변형 시에,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거나 상기 하나의 변형부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변형부는 모형 완구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체에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두개 이상의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개 이상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프레임부(1100)에 대해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개 이상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로부터 변형체의 제1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두개 이상의 변형부 중 두개의 변형부는, 변형체와 모형 완구 간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위해 모형 완구를 그립(grip)하도록(예를 들어, 모형 완구를 클램핑하거나 모형 완구와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두개의 변형부를 제외한 다른 변형부는,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형 완구를 그립하는 상기 두개의 변형부가 모형 완구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변형부의 프레임부(1100)에 대한 회전 중심은 제1 내지 제4 회전축(R1, R2, R3, R4)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회전축들은, 제1 방향(D1), 제2 방향(D2), 제3 방향(D3), 제4 방향(D4), 또는 인접한 두 개의 방향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변형 완구의 변형체를 통해 연장하는 가상의 축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변형 완구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축 이외에 추가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축은 프레임부(1100)의 각 부분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0)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축의 위치는 제1 내지 제4 방향(D1, D2, D3, D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회전축(R1)은 제1 방향(D1)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할 수 있고, 제2 회전축(R2)은, 제2 방향(D2)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제3 회전축(R3)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과 직교하는 제3 방향(D3)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제4 회전축(R4)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과 교차하는 제4 방향(D4)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은 대략 제3 및 제4 방향(D3, D4)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축이고, 상기 제3 및 제4 회전축은 대략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축이다. 그러나,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축과 상기 제1 내지 제4 방향 관의 대응 관계가 전술한 대응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는, 상기 두개의 변형부로서, 프레임부(1100)에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변형부와, 프레임부(1100)에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는,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 이외에,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는, 상기 제1 내지 제3 변형부 이외에, 제4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 중 제1 및 제2 변형부는 모형 완구를 그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변형부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 중 제3 변형부, 제4 변형부 또는 또 다른 변형부가 모형 완구를 그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변형부가 모형 완구를 그립할 수 있으므로, 제2 상태의 변형체는 용이하게 모형 완구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부가 모형 완구를 그립하는 구성은, 변형부에 제공되는 걸림부와 모형 완구에 제공되고 변형부의 걸림부와 상보적으로 걸림 결합되거나 끼워맞춤되는 대응 걸림부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변형부의 상기 걸림부는, 돌기 또는 핀의 형상의 갖는 수형 걸림부 또는 홈 또는 구멍의 형상을 갖는 암형 걸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의 상기 걸림부가 수형 걸림부인 경우, 모형 완구에 제공되는 상기 대응 걸림부는 암형 걸림부일 수 있다. 변형부의 상기 걸림부가 암형 걸림부인 경우, 모형 완구에 제공되는 상기 대응 걸림부는 수형 걸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부에 제공되는 걸림부는 변형부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고, 모형 완구에 제공되는 대응 걸림부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 또는 다리 연장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변형부, 상기 제2 변형부, 상기 제3 변형부 및 상기 제4 변형부가 각각 좌측 변형부(1201), 우측 변형부(1202), 전방 변형부(1300) 및 후방 변형부(1400)인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변형부가 우측 변형부(1202), 전방 변형부(1300) 및 후방 변형부(1400) 중 어느 하나로 간주될 수도 있고, 상기 제3 변형부가 좌측 변형부(1201), 우측 변형부(1202) 및 후방 변형부(1400) 중 어느 하나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101), 모형 완구(201) 및 완구 세트(11)가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 및 변형 완구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각각 도 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전하방 사시도, 후하방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가 변형하는 예 및 모형 완구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완구 세트(11)는 변형 완구(101)와 모형 완구(201)를 포함한다. 모형 완구(201)는 육상 동물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 예컨대 티라노사우르스(tyrannosaurus)로 불릴 수 있는 공룡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모형 완구(201)로부터 독립된 변형 완구(101)를 도시하고, 도 2는 변형 완구(101)와 모형 완구(201)가 결합되어 만드는 모형 완구 및 변형 완구의 조합체를 도시한다.
모형 완구(201)는, 동체부(210)와, 동체부(2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목 연장부(220)와, 목 연장부(2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머리 연장부(230)와, 동체부(2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꼬리 연장부(240)와, 동체부(2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 연장부(250)를 가질 수 있다. 동체부(210)는 티라노사우루스의 몸통 형상을 가질수 있다. 또한, 모형 완구(201)는, 동체부(210)에, 변형 완구(101)와 모형 완구(201) 간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위해 기능하는 대응 걸림부(211)를 갖는다. 목 연장부(220)는 티라노사우르스의 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머리 연장부(230)는 티라노사우루스의 머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머리 연장부(230)는 그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턱부(231)를 가질 수 있으며, 턱부(231)는 티라노사우루스의 아래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꼬리 연장부(240)는 티라노사우르스의 꼬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리 연장부(250)는, 티라노사우르스의 뒷다리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뒷다리 연장부(251), 티라노사우르스의 앞다리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앞다리 연장부(252)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변형체(1001)는, 상기 두개의 변형부로서, 프레임부(1100)에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좌측 변형부(1201) 및 우측 변형부(1202)를 포함한다.
좌측 변형부(1201)와 우측 변형부(1202)는, 도 1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도 2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프레임부(1100)에 대해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서의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의 회전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중 하나가 그 대응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부 중 다른 하나가 그 대응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에 관련하여, 좌측 변형부(1201)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 변형부(1202)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도 7 참조). 제2 회전축(R2)은 제1 회전축(R1)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R1)과 평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회전축(R1)과 제2 회전축(R2)은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질 수도 있다.
제1 회전축(R1)은 제1 방향(D1)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하고, 제2 회전축(R2)은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제1 회전축(R1)과 제2 회전축(R2)은 하나의 회전축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회전축이 하나의 회전축인 경우, 프레임부(1100)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100)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1)의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프레임부(1100)에 대해 펼쳐지도록 또한 변형체(1001)의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벌려지며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펼쳐진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서로 좁혀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진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측 변형부(1201)는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제1 방향(D1)에서의 모형 완구의 일부(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좌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우측 변형부(1202)는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제2 방향(D2)에서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일부(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우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1)에서 제1 및 제2 회전축(R1, R2)을 중심으로 서로 벌려지거나 서로 좁혀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벌려져 모형 완구의 동체부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삽입 위치와, 서로 좁혀져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는 덮음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각각 제1 및 제2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및 제2 힌지 조인트는, 프레임부(1100)의 각 측방에 제공된 힌지부(1111)와,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기단에 제공된 대응 힌지부(1211)와, 힌지부(1111)와 대응 힌지부(1211)를 관통하는 힌지 샤프트(1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1100)의 좌측에 제공된 힌지부(1111)가, 제1 회전축(R1)이 통과하는 제1 방향(D1)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이 될 수 있고, 프레임부(1100)의 우측에 제공된 힌지부(1111)가 제2 회전축(R2)이 통과하는 제2 방향(D2)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이 될 수 있다. 각 힌지 샤프트(1112)가 제1 회전축(R1) 및 제2 회전축(R2)에 대응할 수 있다. 힌지 조인트를 구성하는 힌지 샤프트는, 핀, 볼트,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체의 프레임부(1100)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서로를 향하여, 즉 상기 덮음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벌려진 상태로부터 서로 좁혀지도록 가압될 수 있다. 변형 완구의 변형체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변형 완구의 변형체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에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중 하나를 다른 하나를 향해 가압하는 한 쌍의 상기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체(1001)의 프레임부(1100)는,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비틀림 스프링(1113)을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를 향해 좁혀지도록 가압된다. 이에 따라, 변형체(1001)는,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모형 완구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1001)의 회전 가능한 변형부들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힌지 샤프트(1112)가 비틀림 스프링(1113)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비틀림 스프링(1113)이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컨대, 비틀림 스프링(1113)의 일단은 프레임부(1100)의 표면에 걸릴 수 있고, 비틀림 스프링(1113)의 타단은 대응 힌지부(1211)에 걸릴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1113)에 의해 가압되는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내면이 프레임부(1100)의 각 측면에 맞닿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프레임부(1100)의 내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변형 완구의 변형체(1001)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서로 벌리도록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0)에 상기 스프링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상기 조작부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예컨대, 제1 회전축(R1) 또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변형 완구의 변형체는 상기 조작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구성하는 바디를 잡아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조작부(1212)를 포함한다. 각 조작부(1212)는 날개로서 인식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기단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212)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기단으로부터 측방과 상방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집어서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좁히도록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조작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벌려지고 상기 삽입 위치로 회전된다. 한 쌍의 조작부(1212)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벌려진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동체부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조작부(1212)가 해제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좁혀지고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을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말단에서 돌출한 돌기물로서 형성된 걸림부(1213)를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 걸림부(1213)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서로 좁혀진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한다. 또한, 모형 완구는 동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걸림부(1213)에 대응하는 대응 걸림부(211)(도 1 참조)를 갖는다. 대응 걸림부(211)는 동체부의 측방 표면으로부터 오목한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걸림부(1213)가 대응 걸림부(211)에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끼워맞춤된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고 해제 가능하게 그립하면서,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1)가 모형 완구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1)와 모형 완구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는다. 이에 따라,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1)가 모형 완구에 결합되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으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사용자에게 모형 완구를 덮어 보호하는 일종의 방어물(예컨대, 갑옷)의 일부로서 인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 완구의 변형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전방 변형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축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에 직교하는 제3 방향(D3)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한다.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의해 덮히는 모형 완구의 부분으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1)는, 전방 변형부(1300)를 포함한다.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제3 회전축(R3)(도 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회전축(R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직교하는 제3 방향(D3)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프레임부의 전단부)을 통과한다.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가 모형 완구를 덮는 부분(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으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목 연장부 및 머리 연장부)을 덮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 완구의 변형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후방 변형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변형부(1400)는 프레임부(1100)에 제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 회전축은, 제3 방향(D3)과 반대되는 제4 방향(D4)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한다. 일 실시예의 변형 완구는, 전방 변형부(1300) 및 후방 변형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변형 완구는, 전방 및 후방 변형부(1300, 140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후방 변형부(1400)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의해 덮히는 모형 완구의 부분으로부터 제4 방향(D4)으로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후방 변형부(1400)를 포함한다. 후방 변형부(1400)는 프레임부(1100)에 제4 회전축(R4)(도 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4 회전축(R4)은, 제4 방향(D4)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프레임부의 후단부)을 통과한다. 제4 회전축(R4)은 제3 회전축(R3)으로부터 제4 방향(D4)으로 이격되어 있다. 후방 변형부(1400)는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가 모형 완구를 덮는 부분(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으로부터 제4 방향(D4)으로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꼬리 연장부)을 덮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체의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단부는 모형 완구의 외형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말단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말단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를 부분적으로 덮는 외피 변형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제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1310)와, 링크부(1310)의 전단(제3 방향(D3)에서의 링크부(1310)의 단부)에 제5 회전축(R5)(도 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말단부(1320)를 포함한다. 제5 회전축(R5)은 제3 회전축(R3)과 평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링크부(1310)는 모형 완구의 목 연장부(도 1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말단부(1320)는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 및 턱부(도 1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사용자가 투구로서 인식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부(1100)와 링크부(1310)는 제3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3 힌지 조인트는, 프레임부(1100)의 전단에 제공된 힌지부(1121)와, 링크부(1310)의 후단에 제공된 대응 힌지부(1311)와, 힌지부(1121)와 대응 힌지부(1311)를 관통하는 힌지 샤프트(1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1100)의 힌지부(1121)가, 제3 회전축(R3)이 통과하는 제3 방향(D3)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링크부(1310)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상방 및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힌지부(1121)의 전단에는 스토퍼부(1123)가 돌출하여, 링크부(1310)의 하방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대응 힌지부(1311)의 후단면 중 일부가 프레임부(1100)의 전단면에 맞닿아, 링크부(1310)의 상방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링크부(1310)와 말단부(1320)는 제5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5 힌지 조인트는, 말단부(1320)의 기단에 제공된 힌지부(1321)와 링크부(1310)의 전단부와 힌지부(1321)를 관통하는 힌지 샤프트(1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말단부(1320)는 링크부(1310)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져,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링크부(1310)의 내측 공간으로 회전될 수 있다. 힌지부(1321)에는 스토퍼부(1322)가 돌출한다. 스토퍼부(1322)가 링크부(1310)의 전단 엣지에 맞닿아, 말단부(1320)의 상방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0)와 후방 변형부(1400)는 제4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4 힌지 조인트는, 프레임부(1100)의 후단에 제공되는 힌지부(1131)와, 후방 변형부(1400)의 기단에 제공된 대응 힌지부(1410)와, 힌지부(1131)와 대응 힌지부(1410)를 관통하는 힌지 샤프트(1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1100)의 힌지부(1131)가, 제4 회전축(R4)이 통과하는 제4 방향(D4)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후방 변형부(1400)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대응 힌지부(1410)에 인접한 후방 변형부(1400)의 기단이 힌지부(1131)에 접촉하여, 후방 변형부(1400)의 상방 회전 및 후방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후방 변형부(1400)는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프레임부(1100)로 접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부의 상기 지지부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변형부의 메인 바디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변형부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프레임부(1100)와 모형 완구를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변형부와 프레임부 간의 힌지 조인트를 구성하는 부품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의 대응하는 회전축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바(bar)의 형상, 평판의 형상 또는 곡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응하는 모형 완구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변형부에서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변형부의 회전축과는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응하는 상기 모형 완구의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는, 상기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외피 변형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지지부(1220)와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부의 지지부(1220)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변형부의 메인 바디를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변형부의 걸림부(1213)가 제공되고 회전부(12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프레임부(1100)와 모형 완구를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프레임부(1100) 간의 힌지 조인트를 구성하는 부품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220)에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 중심이 되는 대응하는 회전축이 배치된다. 지지부(1220)는 걸림부(1213)와 힌지 조인트를 연결하면서 바(b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지지부(1220)는 걸림부(1213)와 힌지 조인트를 연결하면서 평판 또는 곡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지면에 대략 평행한 위치에 위치하고,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지면에 대략 수직한 직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접혀져 있고 변형체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형될 때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지지부(1220)와 회전부(1230)를 포함한다. 지지부(1220)는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지지부(1220)에 대응하는 모형 완구의 부분(도 1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각 지지부(1220)에 대응 힌지부(1211)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1220)에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즉, 제1 회전축(R1) 및 제2 회전축(R2))이 배치된다.
회전부(1230)는 제6 회전축(R6)(도 7 참조)을 중심으로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1230)는,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지지부(1220)에 대응하는 모형 완구의 부분(도 1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으로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도 1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회전부(1230)의 말단부는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의 발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제6 회전축(R6)은 제5 회전축(R5)과 평행할 수 있다. 회전부(1230)는,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지면에 대략 평행한 위치에 주행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지면에 대략 수직한 직립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220)와 회전부(1230)는, 지지부(1220)의 후단으로부터 하방 및 측방으로 돌출한 힌지부(1221)와, 회전부(1230)의 기단 부근에서 회전부(1230)를 관통해 힌지부(1221)에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1222)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6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힌지부(1221)에는 스토퍼부가 제공될 수 있고, 회전부(1230)의 내면에는 이러한 스토퍼부가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홈이 제공될 수 있다. 힌지부(1221)의 스토퍼부가 회전부(1230)의 홈에 접촉되어, 회전부(1230)를 직립 위치에 규제할 수 있다.
회전부(1230)의 엣지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끼워맞춤 돌기(1231)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변형부(1300)의 링크부(1310)는 그 측방 표면에 끼워맞춤 돌기(1231)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구멍(1313)을 갖는다.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끼워맞춤 돌기(1231)가 끼워맞춤 구멍(1313)에 끼워맞춤되어, 회전부(1230)를 지면에 평행한 주행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20)는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1223)를 가지며, 돌출부(1223)는 모형 완구의 앞다리 연장부(252)(도 1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전방 변형부(1300) 및 후방 변형부(1400)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형체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될 때, 변형체의 전방 변형부(1300) 및/또는 후방 변형부(1400)는 프레임부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한정 하는 공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변형체는 제1 상태에서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전술한 걸림부(1213)을 포함하는 경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수용하는 전방 변형부(1300) 및/또는 후방 변형부(1400)를 그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부(1213)는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수용된 전방 변형부(1300) 및/또는 후방 변형부(140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돌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변형체는 제1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는, 프레임부(1100)의 하면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내면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부(1140)를 갖는다. 변형체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될 때, 후방 변형부(1400)는 수용부(1140) 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변형부(1300)의 말단부(1320)는 후방 변형부(1400)를 덮으면서 수용부(1140) 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변형부(1400)와 전방 변형부(1300)의 말단부(1320)가 수용부(11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지지부(1220)로부터 돌출한 걸림부(1213)가 말단부(1320)의 하방에 위치하여 말단부(1320)를 그립할 수 있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가압되므로, 걸림부(1213)는 전방 변형부(1300)와 후방 변형부(1400)가 수용부(1140)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체(1001)는 제1 상태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 완구는, 변형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속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속체는, 모형 완구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속체는, 운송 기계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부속체는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의 제1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속체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변형체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속체는 변형체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소정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속체는 변형체와는 독립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변형 완구(101)는 변형체(1001)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속체(1501)를 포함한다. 부속체(1501)는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1001)의 제1 위치(예컨대, 제3 방향(D3)에서의 변형체의 일부)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속체(1501)는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예컨대, 제4 방향(D4)에서의 변형체의 일부)에서 변형체(1001)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속체(1501)는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1001)의 전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예로, 부속체(1501)는, 앞바퀴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측 부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부속체(1501)의 상면의 일부는 조종석을 덮는 캐노피(canopy)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속체(1501)는 전방 변형부(130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 및 11을 참조하면, 링크부(1310)는 전단 엣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복수의 끼워맞춤 돌기(1314)를 갖고, 부속체(1501)는 각 끼워맞춤 돌기(1314)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구멍(1511)을 갖는다.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끼워맞춤 돌기(1314)가 끼워맞춤 구멍(1511)에 끼워맞춤되어, 부속체(1501)가 전방 변형부(1300)의 링크부(131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0)는 후단 부근에서의 상면에 끼워맞춤 구멍(1151)을 갖고, 부속체(1501)는 하방으로 돌출한 끼워맞춤 돌기(1512)를 갖는다.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부속체(1501)는 끼워맞춤 돌기(1512)와 끼워맞춤 구멍(1151) 간의 끼워맞춤을 통해 프레임부(1100)의 후단 부근의 상면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변형체(1001)는 제1 상태에서 모형 완구(201)의 외형과는 상이한 형태를 취한다. 이 실시예의 변형체(1001)의 제1 상태는 차량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도 1 참조)를 갖는다. 변형체(1001)의 차량 형태를 위해, 변형체(1001)는 제1 상태에서 지면 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1)는, 부속체(15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161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부(1230)의 후단 엣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바퀴(1620)를 포함한다. 변형체(1001)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되면, 앞바퀴(1610)와 뒷바퀴(1620)가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회전부(1230)가 지면에 평행한 주행 위치로 회전되고 부속체(1501)가 전방 변형부(1300)에 결합되므로, 앞바퀴(1610)와 뒷바퀴(1620)가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하는 예 및 변형 완구와 모형 완구의 결합 예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에서 부속체(1501)가 변형체(1001)로부터 분리된다. 부속체(1501)는 변형체(1001)의 제2 상태에서 변형체(1001)에 결합되도록 대기된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조작부(1212)를 서로 좁히는 방향으로 외력이 조작부(1212)에 가해지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으로(즉, 프레임부(110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삽입 위치로 회전되어 서로 벌려진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 의해 그립된 말단부(1320)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로부터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말단부(1320)가 전방 방향으로 회전되고, 링크부(1310)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전방 변형부(1300)가 변형체의 제2 상태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후방 변형부(1400)가 후방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형체의 제2 상태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부(1230)가 상기 주행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직립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변형체(1001)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서로 벌려져 있고, 전방 변형부(1300), 후방 변형부(1400) 및 회전부(1230)가 전개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작부(1212)에 의해 삽입 위치로 벌려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즉, 서로 벌려진 걸림부들의 사이로), 모형 완구(201)의 동체부(210)를 삽입시킨다. 사용자가 조작부(1212)를 해제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좁혀지도록 덮음 위치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변형체(1001)는 모형 완구(201)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 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걸림부(1213)가 동체부(210)의 대응 걸림부(211)에 걸림 결합되도록, 변형체(1001)와 모형 완구(201)가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걸림부(1213)와 동체부(210)의 대응 걸림부(211) 간의 결합을 한번에 실행하는 경우, 변형체(1001)와 모형 완구(201) 간의 상대 이동은 필요하지 않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걸림부(1213)가 대응 걸림부(211)에 걸림 결합되면,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1)를 모형 완구(201)에 장착하는 것이 완료될 수 있고, 변형체(1001)는 모형 완구(201)를 덮으면서 모형 완구(201)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로 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동체부(210)를 그립한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 및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210)를 덮고 있고, 전방 변형부(1300)가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를 덮고 있고, 후방 변형부(1400)가 모형 완구의 꼬리 연장부를 덮고 있으며, 회전부(1230)가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를 덮고 있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1)가 모형 완구(201)에 장착된 상태에서, 부속체(1501)가 프레임부(1100)의 후단 부근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변형체(1001)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되는 수순은, 전술한 수순과는 반대로 될 수 있다. 변형체(1001)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되면, 변형체(1001)는 도 1에 도시하는 차량 형상의 형태를 취한다. 변형체(1001)의 차량 형상의 형태로부터, 사용자는, 모형 완구와 조합되기 전의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와는 다른 차량 형태를 취하고 주행 가능하다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변형체(1001)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가역적으로 변형할 때, 사용자는 조작부(1212)를 집는 동작을 통해 용이하게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서로 벌려지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모형 완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모형 완구를 덮도록 제2 상태로 변형되거나 모형 완구와는 독립되는 제1 상태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변형체(1001)는 간단한 구조 및 조작 방식으로, 모형 완구(201)에 장착되도록 또한 모형 완구(201)로부터 탈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1)가 모형 완구(201)를 덮는 제2 상태 및 변형 완구의 제2 형태에서, 사용자는 모형 완구(201)와 변형 완구(101)의 조합체로부터, 모형 완구(201)가 프레임부(1100),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부(1230), 전방 변형부(1300) 및 후방 변형부(1400)에 의해 모형 완구(201)가 일종의 방어물(예컨대, 갑주)을 착용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형 완구(101)와 모형 완구(201)의 조합체로부터, 이들이 분리된 형태로부터 가지는 재미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재미, 즉, 차량의 형태를 갖는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의 갑주로 되도록 변형되고 모형 완구가 변형 완구에 의해 만들어지는 갑주를 착용하고 있다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변형체(1001)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변형체(1001)의 두가지의 특징적 상태이다. 변형체(1001)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가역적으로 변형하는 도중 취하는 중간 형태는, 모형 완구(201)의 형상에 부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러한 중간 형태에 있는 변형 완구(101)로부터 또 다른 재미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9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102), 모형 완구(202) 및 완구 세트(12)가 설명된다. 도 19 및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 및 변형 완구를 도시한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체 및 부속체를 도시한다. 도 22 및 도 23은 도 19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8은 각각 도 21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가 변형하는 예 및 모형 완구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하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고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으며, 설명이 생략된 제2 실시예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12)는, 변형 완구(102)와 모형 완구(202)를 포함한다. 모형 완구(202)는 육상 동물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 예컨대 랩터(raptor)로 불릴 수 있는 공룡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는다.
모형 완구(20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모형 완구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모형 완구(202)는 각 뒷다리 연장부(251)의 외측면에 끼워맞춤 홈으로서 형성된 대응 걸림부(253)를 갖는다. 대응 걸림부(253)는 모형 완구(202)와 변형 완구(102) 간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위해 기능한다. 또한, 동체부(210)의 상면에는 끼워맞춤 구멍(212)이 형성되어 있고 꼬리 연장부(240)의 상면에는 끼워맞춤 구멍(241)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212)과 끼워맞춤 구멍(241)은 변형 완구(102)의 일부와 모형 완구(202) 간의 결합을 위해 기능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102)는 모형 완구(202)와 독립되어 있다. 변형 완구(102)는 모형 완구(202)를 덮도록 변형 가능하며, 변형된 상태에서 모형 완구(202)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변형 완구(102)는, 변형되어 모형 완구(202)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변형체(1002)와, 변형체(100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형 완구(202)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부속체(1502)를 포함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변형 완구(102)의 변형체(1002) 및 부속체(1502)의 일부가 모형 완구(202)와 결합되어, 변형 완구 및 모형 완구의 조합체를 만든다. 따라서, 변형체(1002)는, 모형 완구(202)와 독립되는 제1 상태(도 19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상태)와, 모형 완구(20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모형 완구(202)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도 20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상태)로 변형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2)는 제1 상태에서 부속체(1502)와 결합되며, 서로 결합되는 변형체(1002)와 부속체(1502)는 차량 형상, 예컨대 모터바이크(motorbike)로 인식될 수 있는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변형체(1002)는, 변형체(1002)의 기초 또는 척추로서 기능하는 프레임부(11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0)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도 19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등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프레임부(1100)는 그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한 끼워맞춤 돌기(1152)를 갖는다. 제2 상태의 변형체(1002)가 모형 완구에 결합될 때, 끼워맞춤 돌기(115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212)(도 19 참조)에 끼워맞춤되어, 프레임부(1100)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변형체(1002)는,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포함한다. 변형체(100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변형을 실행시키기 위한 구조 부재이며, 프레임부(1100)에 결합되어 프레임부(1100)와 함께 변형체(1002)를 구성하는 구조 부재이다. 변형체(10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2)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거나 프레임부(1100)에 대하여 접혀짐으로써,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조작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변형체(10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구성하는 두개의 변형부로서, 프레임부(1100)에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좌측 변형부(1201) 및 우측 변형부(1202)를 포함한다.
좌측 변형부(1201)와 우측 변형부(1202)는, 도 19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도 20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프레임부(1100)에 대해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즉, 프레임부(1100)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즉, 제1 회전축(R1) 및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서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에 관련하여, 좌측 변형부(1201)는 제1 회전축(R1)(도 24 참조)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 변형부(1202)는 제2 회전축(R2)(도 24 참조)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축(R2)은 제1 회전축(R1)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R1)과 평행하거나 제1 회전축(R1)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축(R1)은 제1 방향(D1)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하고, 제2 회전축(R2)은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제1 회전축(R1)과 제2 회전축(R2)은 하나의 회전축을 구성할 수도 있고, 프레임부(1100)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펼쳐지도록 또한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벌려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펼쳐진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좁혀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진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다. 좌측 변형부(1201)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제1 방향(D1)에서의 모형 완구의 일부(도 19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좌측면 및 뒷다리 연장부의 좌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우측 변형부(1202)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제2 방향(D2)에서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일부(도 19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우측면 및 뒷다리 연장부의 우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2)에서 제1 및 제2 회전축(R1, R2)을 중심으로 서로 벌려지거나 서로 좁혀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벌려져 모형 완구의 동체부 및 뒷다리 연장부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삽입 위치와, 서로 좁혀져 모형 완구의 동체부 및 뒷다리 연장부를 덮는 덮음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각각 전술한 제1 및 제2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프레임부(1100)의 좌측에 제공된 힌지부(1111)가, 제1 회전축(R1)이 통과하는 제1 방향(D1)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이 되고, 프레임부(1100)의 우측에 제공된 힌지부(1111)가 제2 회전축(R2)이 통과하는 제2 방향(D2)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이 된다. 각 힌지 샤프트(1112)가 제1 회전축(R1) 및 제2 회전축(R2)에 대응한다.
변형체(1002)의 프레임부(1100)는,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상기 덮음 위치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1113)을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를 향해 좁혀지도록 가압된다. 이에 따라, 변형체(1002)는,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모형 완구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1002)의 회전 가능한 변형부들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변형체(1002)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틀림 스프링(1113)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에 배치되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중 하나를 다른 하나를 향해 가압한다. 힌지 샤프트(1112)가 비틀림 스프링(1113)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비틀림 스프링(1113)이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컨대, 비틀림 스프링(1113)의 일단은 프레임부(1100)의 표면에 걸릴 수 있고, 비틀림 스프링(1113)의 타단은 대응 힌지부(1211)에 걸릴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1113)에 의해 가압되는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내면이 프레임부(1100)의 각 측면에 맞닿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프레임부(1100)의 내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조작부(1212)를 포함한다. 각 조작부(1212)는 날개로서 인식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기단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212)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기단으로부터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과 상방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조작부(121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조작부(1212)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예컨대, 제1 회전축(R1) 또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집어서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좁히도록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조작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벌려지고 상기 삽입 위치로 회전된다. 한 쌍의 조작부(1212)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벌려진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동체부 및 뒷다리 연장부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조작부(1212)가 해제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좁혀지고 모형 완구의 동체부 및 뒷다리 연장부를 덮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모형 완구를 그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형 완구를 그립하는 것에 관련하여,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말단에서 돌출하며, 돌기 또는 핀과 같은 돌기물을 포함하는 수형 걸림부로서 형성된 걸림부(1213)를 포함한다. 또한, 모형 완구는 뒷다리 연장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걸림부(1213)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대응 걸림부(253)(도 19 참조)를 포함한다. 대응 걸림부(253)는 오목한 홈과 같은 암형 걸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걸림부(1213)가 대응 걸림부(253)에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끼워맞춤된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고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를 해제 가능하게 그립하면서,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2)가 모형 완구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2)와 모형 완구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모형 완구의 동체부 및 뒷다리 연장부의 일부를 덮는다. 이에 따라,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2)가 모형 완구에 결합되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으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사용자에게 모형 완구를 덮는 일종의 방어물(갑옷)의 일부로서 인식될 수 있다.
변형체(10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전방 변형부(1300)를 포함한다.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 즉, 제3 회전축(R3)(도 24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회전축(R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직교하는 제3 방향(D3)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프레임부의 전단부)을 통과한다.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가 모형 완구를 덮는 부분(예컨대, 도 19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으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예컨대, 도 19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목 연장부 및 머리 연장부)을 덮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제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1310)와, 링크부(1310)의 전단 부근에 제5 회전축(R5)(도 24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말단부(1320)를 포함한다. 링크부(1310)는 모형 완구의 목 연장부(도 19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말단부(1320)는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와 턱부(도 19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사용자가 머리 연장부를 덮는 투구로서 인식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부(1100)와 링크부(1310)는, 프레임부(1100)의 전단에 제공된 힌지부(1121)와, 링크부(1310)의 후단에 제공된 대응 힌지부(1311)와, 힌지부(1121)와 대응 힌지부(1311)를 관통하는 힌지 샤프트(1122)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3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링크부(1310)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상방 및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대응 힌지부(1311) 부근의 링크부(1310)의 후단면이 프레임부(1100)부의 전단면에 맞닿아, 링크부(1310)의 하방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대응 힌지부(1311)의 후단면 중 일부가 프레임부(1100)의 전단 부근의 상면에 맞닿아, 링크부(1310)의 상방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링크부(1310)는 그 후단부에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부(1315)를 갖는다. 각 연장부(1315)는 모형 완구의 앞다리 연장부(도 19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며, 그 일부의 상면에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전방 표면과 접촉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1315)의 각각에는 끼워맞춤 구멍(1316)이 형성되어 있다.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부속체(1502)와 변형체(1002)가 결합될 때, 부속체(1502)의 일부가 끼워맞춤 구멍(1316)에 끼워맞춤 된다.
말단부(1320)는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한 쌍의 연장부(1315)의 사이로 회전되어 삽입될 수 있다. 링크부(1310)와 말단부(1320)는, 말단부(1320)의 후단에 제공된 힌지부(1321)와 링크부(1310)의 전단부와 힌지부(1321)를 관통하는 힌지 샤프트(1312)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술한 제5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지지부(1220)와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230)를 포함한다.
지지부(1220)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메인 바디를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회전부(12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프레임부(1100)와 모형 완구를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측면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220)에는 대응 힌지부(1211)가 제공되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즉, 제1 회전축(R1) 또는 제2 회전축(R2))이 지지부(1220)에 배치된다. 회전부(1230)는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도 19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회전부(1230)는 지면에 대략 평행하고 부속체(1502)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지면에 대략 수직한 직립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부(1230)는 제6 회전축(R6)(도 27 참조)을 중심으로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1230)의 말단부는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의 발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1230)의 말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끼워맞춤 돌기(1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끼워맞춤 돌기(1232)는 회전부(1230)의 결합 위치에서 부속체(1502)의 일부에 끼워맞춤된다. 지지부(1220)와 회전부(1230)는, 지지부(1220)의 후단으로부터 하방 및 측방으로 돌출한 힌지부(1221)와, 회전부(1230)의 기단 부근에서 회전부(1230)를 관통해 힌지부(1221)에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1222)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술한 제6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힌지부(1221)의 부근에는 스토퍼부(1224)가 돌출하고, 회전부(1230)에는 스토퍼부(1224)가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홈(1233)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1224)가 홈(1233)의 일단에 접촉하여, 회전부(1230)를 지면에 수직한 직립 위치로 규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속체(1502)는, 부속 변형체(1520)와 부속 외피부(1530)를 포함한다. 부속 변형체(1520)는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1002)의 제1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며, 변형체(1002)와는 독립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속 외피부(1530)는 부속 변형체(152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며, 변형체(1002)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 상세하게는 모형 완구의 꼬리 연장부(도 19 참조)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어 꼬리 연장부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부속 변형체(1520)는, 사용자가 차량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상, 예컨대 모터바이크(motorbike)로 인식할 수 있는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부속 변형체(1520)는 한 쌍의 앞바퀴(1521)와 하나의 뒷바퀴(1522)를 갖는다. 변형체(1002)가 제1 상태에서 부속 변형체(1520)와 결합되므로, 결합되는 변형체(1002)와 부속 변형체(1520)는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모터바이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앞바퀴(1521)와 뒷바퀴(1522)가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도록,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회전부(1230)는 결합 위치로 회전된다.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회전부(1230)는 지면에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어, 앞바퀴(1521)와 뒷바퀴(1522)가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부속 변형체(1520)는 각 측면에 끼워맞춤 구멍(1523)을 가지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걸림부(1213)가 끼워맞춤 구멍(1523)에 해제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이에 따라, 부속 변형체(1520)는,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서로 좁혀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서로 좁혀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부속 변형체(1520)를 그립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부속 변형체(1520)는 각 측면에 끼워맞춤 구멍(1524)을 가지며, 변형체(1002)의 회전부(1230)의 끼워맞춤 돌기(1232)가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끼워맞춤 구멍(1524)에 끼워맞춤된다.
부속 변형체(1520)는 사용자가 운전석으로 인식할 수 있는 리세스부(1525)를 상측에 갖는다. 또한, 부속 변형체(1520)는 그 전단부에 한 쌍의 전방 아암(1526)과 그 하단부에 한 쌍의 후방 아암(1527)을 갖는다. 한 쌍의 전방 아암(1526)은 볼-소켓 결합 방식으로 부속 변형체(152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전방 아암(1526)은 부속 변형체(1520)에 대하여 서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회전 가능하며, 각 전방 아암의 축선을 중심으로 부속 변형체(15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각 전방 아암(1526)에는 끼워맞춤 돌기(1528)가 형성되어 있으며,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끼워맞춤 돌기(1528)는 링크부(1310)의 끼워맞춤 구멍(1316)에 끼워맞춤된다.
부속 변형체(1520)의 앞바퀴(1521)는 각 전방 아암(1526)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부속 변형체(1520)의 뒷바퀴(1522)는 각 후방 아암(1527)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각 후방 아암(1527)은 서로 연결되어, 부속 변형체(1520)에 대하여 뒷바퀴(1522)를 협지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바퀴(1521)와 뒷바퀴(1522)가 지면에 평행하게 회전되도록 부속 변형체가 변형되면, 부속 변형체(1520)는 사용자에게 부속 변형체(1520)가 비행 가능한 운송 기계로 변형될 수 있는 재미를 줄 수 있다. 부속 변형체(1520)의 전단 부근에는 끼워맞춤 구멍(1529)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부(1100)의 끼워맞춤 돌기(1152)가 끼워맞춤 구멍(1529)에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부속 변형체(1520)가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에 결합될 때, 부속 변형체(1520)는 변형체의 프레임부(1100)에 고정될 수 있다.
부속 외피부(1530)는 부속 변형체(1520)의 후단 상부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맞춤될 수 있다. 부속 외피부(1530)는 그 전단에 끼워맞춤 돌기(1531)를 갖는다. 끼워맞춤 돌기(1531)가 모형 완구의 꼬리 연장부의 끼워맞춤 구멍(241)(도 19 참조)에 끼워맞춤 됨으로써, 부속 외피부(1530)는 꼬리 연장부를 덮도록 꼬리 연장부에 결합될 수 있다. 부속 외피부(1530)는 힌지 조인트로 연결되는 두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개의 부재는 서로에게 접혀진 상태에서 부속 변형체(1520)의 후단 상부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하는 예 및 변형 완구와 모형 완구의 결합 예를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부속체(1502)가 변형체(1002)로부터 분리된다. 예컨대, 조작부(1212)의 조작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부속체(1502)를 해제함으로써, 부속체(1502)가 변형체(10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부속체(1502)의 부속 변형체(1520)가 변형체(1002)로부터 분리되고, 부속 외피부(1530)가 부속 변형체(1520)로부터 분리된다. 부속 변형체(1520)로부터 분리된 부속 외피부(1530)는 모형 완구의 꼬리 연장부와의 결합을 위해 대기된다. 또한, 변형체(1002)로부터 분리된 부속 변형체(1520)는, 도 20에 도시하는, 비행 가능한 운송 기계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9를 참조하면, 부속체가 분리된 변형체(1002)에서, 조작부(1212)를 서로 좁히는 방향으로 외력이 조작부(1212)에 가해지면(즉, 사용자가 조작부(1212)를 집는 동작을 하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 위치로 회전되어 서로 벌려진다.
다음으로, 도 30을 참조하면, 말단부(1320)가 전방으로 회전되고, 링크부(1310)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전방 변형부(1300)가 변형체(1002)의 제2 상태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 31을 참조하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부(1230)가 직립 위치로, 즉 변형체의 제2 상태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전방 변형부(1300) 및 회전부(1230)가 전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삽입 위치로 벌려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즉, 서로 벌려진 걸림부들의 사이로), 모형 완구(202)의 동체부 및 뒷다리 연장부를 삽입시킨다. 사용자가 조작부(1212)를 해제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좁혀지도록 덮음 위치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변형체(1002)는 모형 완구(202)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걸림부(1213)가 대응 걸림부(253)에 걸림 결합되면, 변형체(1002)를 모형 완구(202)에 장착하는 것이 완료될 수 있고, 변형체(1002)는 모형 완구(202)를 덮으면서 모형 완구(202)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로 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뒷다리 연장부를 그립한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고 있고, 전방 변형부(1300)가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를 덮고 있으며, 회전부(1230)가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를 덮고 있다. 변형체(1002)가 모형 완구(202)에 장착된 상태에서, 부속 외피부(1530)는 접혀진 상태로부터 펼쳐지고, 모형 완구(202)의 꼬리 연장부를 덮도록 꼬리 연장부에 결합된다.
변형체(1002)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되는 수순은, 전술한 수순과는 반대로 될 수 있다. 변형체(1002)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되고 제1 상태의 변형체(1002)와 부속체(1502)가 결합되면, 변형체(1002)를 포함하는 변형 완구(102)는 도 19에 도시하는 차량 형상(모터바이크 형상)의 형태를 취한다. 변형 완구(102)의 모터바이크 형상의 형태로부터, 사용자는, 모형 완구와 조합되기 전의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와는 다른 차량 형태를 취하고 주행 가능하다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부속 변형체(1520)가 변형체(1002)와는 독립된 별개의 변형체로 되어 있고 부속 변형체(1520)가 비행 가능한 차량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고 하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도 20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2)가 모형 완구(202)를 덮는 제2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형 완구(202)와 변형체(1002)의 조합체로부터, 모형 완구(202)가 프레임부(1100),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부(1230), 및 전방 변형부(1300)에 의해 일종의 방어물(예컨대, 갑주)를 착용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량의 형태를 갖는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의 갑주로 되도록 변형되고 모형 완구가 변형 완구에 의해 만들어지는 갑주를 착용하고 있다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4 내지 도 4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103), 모형 완구(203) 및 완구 세트(13)가 설명된다. 도 34 및 도 3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 및 변형 완구를 도시한다. 도 36 및 도 37은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 내지 도 42는 각각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3 내지 도 4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가 변형하는 예 및 모형 완구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하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고 그에 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며, 설명이 생략된 제3 실시예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13)는, 변형 완구(103)와 모형 완구(203)를 포함한다. 모형 완구(203)는 육상 동물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 예컨대 트리케라톱스(triceratops)로 불릴 수 있는 공룡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는다.
모형 완구(203)의 다리 연장부(250)는 동체부(210)로부터 지면에 닿도록 연장하는 뒷다리 연장부(251) 및 앞다리 연장부(252)를 가질 수 있다. 뒷다리 연장부(251)는 트리케라톱스의 뒷다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앞다리 연장부(252)는 트리케라톱스의 앞다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형 완구(203)는 머리 연장부(230)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232) 및 한 쌍의 제2 돌기(233)를 가질 수 있다. 제1 돌기(232)는 머리 연장부(230)의 전단 부근에 제공되어 있고, 제2 돌기(233)는 머리 연장부(230)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다. 제1 돌기(232)는 트리케라톱스의 코 부근에 형성되는 뿔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돌기(233)는 트리케라톱스의 머리의 상부에 형성되는 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동체부(2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대응 걸림부(211)가 끼워맞춤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대응 걸림부(211)는 모형 완구(203)와 변형 완구(103) 간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위해 기능한다.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103)는 모형 완구(203)와 독립되어 있다. 변형 완구(103)는 모형 완구(203)를 덮도록 변형 가능하며, 변형된 상태에서 모형 완구(203)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변형 완구(103)는, 변형되어 모형 완구(203)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변형체(1003)와, 변형체(1003)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형 완구(203)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부속체(1503)를 포함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변형 완구(103)의 변형체(1003) 및 부속체(1503)가 모형 완구(203)와 결합되어, 변형 완구 및 모형 완구의 조합체를 만든다. 따라서, 변형체(1003)는, 모형 완구(203)와 독립되는 제1 상태(도 34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상태)와, 모형 완구(20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모형 완구(203)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도 35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상태)로 변형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3)는 제1 상태에서 차량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변형체(1003)는, 변형체(1003)의 기초 또는 척추로서 기능하는 프레임부(11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0)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도 34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등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부(1100)는 전단 부근에 상방으로 돌출한 돌출부(1162)를 가지며, 돌출부(1162)는 조종석을 덮는 캐노피(canopy)로서 인식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변형체(1003)는,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포함한다. 변형체(1003)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변형을 실행시키기 위한 구조 부재이며, 프레임부(1100)에 결합되어 프레임부(1100)와 함께 변형체(1003)를 구성하는 구조 부재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전방 변형부(1300), 및 후방 변형부(140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후방 변형부(1400)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를 덮지 않는다.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변형부들(1201, 1202, 1300, 1400)은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변형부들(1201, 1202, 1300, 1400)은 변형체(1003)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변형부들(1201, 1202, 1300, 1400)은 변형체(1003)의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변형부들(1201, 1202, 1300, 1400)은,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거나 프레임부(1100)에 대하여 접혀짐으로써,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조작될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변형체(100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구성하는 두개의 변형부로서, 프레임부(1100)에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좌측 변형부(1201) 및 우측 변형부(1202)를 포함한다.
좌측 변형부(1201)와 우측 변형부(1202)는, 도 34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도 35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프레임부(1100)에 대해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즉, 프레임부(1100)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즉, 제1 회전축(R1) 및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서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에 관련하여, 좌측 변형부(1201)는 제1 회전축(R1)(도 38 참조)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 변형부(1202)는 제2 회전축(R2)(도 38 참조)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축(R2)은 제1 회전축(R1)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R1)과 평행하거나 제1 회전축(R1)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축(R1)은 제1 방향(D1)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하고, 제2 회전축(R2)은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제1 회전축(R1)과 제2 회전축(R2)은 하나의 회전축을 구성할 수도 있고, 프레임부(1100)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펼쳐지도록 또한 변형체(1002)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벌려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펼쳐진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서로 좁혀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진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좌측 변형부(1201)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제1 방향(D1)에서의 모형 완구의 일부(도 34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좌측면)를 덮도록 구성된다. 우측 변형부(1202)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제2 방향(D2)에서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일부(도 34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우측면)를 덮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3)에서 제1 및 제2 회전축(R1, R2)을 중심으로 서로 벌려지거나 서로 좁혀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벌려져 모형 완구의 동체부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삽입 위치와, 서로 좁혀져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는 덮음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각각 전술한 제1 및 제2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프레임부(1100)의 좌측에 제공된 힌지부(1111)가, 제1 회전축(R1)이 통과하는 제1 방향(D1)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이 되고, 프레임부(1100)의 우측에 제공된 힌지부(1111)가 제2 회전축(R2)이 통과하는 제2 방향(D2)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이 된다. 각 힌지 샤프트(1112)가 제1 회전축(R1) 및 제2 회전축(R2)에 대응한다.
변형체의 프레임부(1100)는,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상기 덮음 위치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1113)을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를 향해 좁혀지도록 가압된다. 이에 따라, 변형체(1003)는,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모형 완구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1003)의 회전 가능한 변형부들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변형체(1003)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틀림 스프링(1113)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에 배치되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중 하나를 다른 하나를 향해 가압한다. 힌지 샤프트(1112)가 비틀림 스프링(1113)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비틀림 스프링(1113)이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에 배치된다. 비틀림 스프링(1113)은 대응 힌지부(1211)에 제공된 슬리브부(1214)에 끼워맞춤된다. 비틀림 스프링(1113)의 일단은 프레임부(1100)의 표면에 걸리고, 비틀림 스프링(1113)의 타단은 대응 힌지부(1211)에 걸린다. 비틀림 스프링(1113)에 의해 가압되는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내면이 프레임부(1100)의 각 측면에 맞닿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프레임부(1100)의 내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조작부(1212)를 포함한다. 각 조작부(1212)는 날개로서 인식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기단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212)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기단으로부터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과 상방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조작부(121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조작부(1212)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예컨대, 제1 회전축(R1) 또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집어서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좁히도록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조작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벌려지고 상기 삽입 위치로 회전된다. 한 쌍의 조작부(1212)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벌려진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동체부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조작부(1212)가 해제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좁혀지고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을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모형 완구를 그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형 완구를 그립하는 것에 관련하여,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말단에 상기한 수형 걸림부로서 형성되는 걸림부(1213)를 포함한다. 또한, 모형 완구는 동체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걸림부(112)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대응 걸림부(211)(도 34 참조)를 포함한다. 대응 걸림부(211)는 오목한 홈 또는 구멍과 같은 암형 걸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걸림부(1213)가 대응 걸림부(211)에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끼워맞춤된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고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해제 가능하게 그립하면서,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3)가 모형 완구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3)와 모형 완구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일부를 덮는다. 이에 따라,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3)가 모형 완구에 결합되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으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사용자에게 모형 완구를 덮는 일종의 방어물(갑옷)의 일부로서 인식될 수 있다.
변형 완구(103)는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1003)에 제1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소정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속체(1503)를 포함한다.
부속체(1503)는,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의 부속 외피부로서 기능한다. 부속체(1503)는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도 34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사용자가 투구로서 인식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부속체(1503)에는 제1 개구(1541) 및 제2 개구(1542)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의 제1 돌기(232)(도 35 참조)가 제1 개구(1541)에 삽입된다.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의 제2 돌기(233)(도 35 참조)가 제2 개구(1542)에 삽입된다. 즉,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속체(1503)는, 제1 돌기(232)가 제1 개구(1541)에 삽입되고 제2 돌기(233)가 제2 개구(1542)에 삽입된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소정 위치, 즉,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230)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전방 변형부(1300)를 포함한다.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 즉, 제3 회전축(R3)(도 38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회전축(R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직교하는 제3 방향(D3)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프레임부의 전단부)을 통과한다.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3)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형될 때, 제4 방향(D4)으로 프레임부(1100)로 회전된다. 또한, 전방 변형부(1300)는 부속체(1503)를 변형체(1003)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상방 및 하방으로 제3 회전축(R3)(도 38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1331)와, 링크부(1331)에 제5 회전축(R5)(도 38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말단부(1332)를 포함한다. 부속체(1503)는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말단부(1332) 및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1331) 및 말단부(1332)는 모형 완구를 덮지 않는다.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링크부(1331)는 하방으로 회전된다.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말단부(1332)는 그 상면이 돌출부(1162)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링크부(1331)는 프레임부(1100)에 제3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3 힌지 조인트는, 프레임부(1100)의 전단에 제공된 힌지부(1121)와, 링크부(1331)의 후단에 제공된 대응 힌지부(1333)와, 힌지부(1121)와 대응 힌지부(1333)를 관통하는 힌지 샤프트(1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말단부(1332)는 링크부(1331)에 제5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5 힌지 조인트는, 링크부(1331)의 전단에 제공된 힌지부(1334)와, 말단부(1332)의 후단에 제공된 대응 힌지부(1335)와, 힌지부(1334)와 대응 힌지부(1335)를 관통하는 힌지 샤프트(13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말단부(1332)의 양 측단에는 한 쌍의 위치설정 돌기(1337)가 돌출한다. 위치설정 돌기(1337)에 대응하는 끼워맞춤 홈(1543)이 부속체(1503)의 각 측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위치설정 돌기(1337)가 끼워맞춤 홈(1543)에 끼워맞춤되도록, 부속체(1503)가 말단부(133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부속체(1503)가 변형체(1003)의 하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설정 돌기(1337)와 끼워맞춤 홈(1543)이 위치한다. 또한, 부속체(1503)는 각 측단에 끼워맞춤 돌기(1544)를 가지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그 전단 부근의 내면에 끼워맞춤 돌기(1544)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구멍(1225)를 갖는다.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부속체(1503)의 일부는 말단부(1332) 내에 위치되고, 부속체(1503)의 나머지 일부는 서로 좁혀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부속체의 끼워맞춤 돌기(1544)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끼워맞춤 구멍(1225)에 끼워맞춤되므로, 부속체(1503)는 서로 좁혀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 의해 그립될 수 있다.
또한, 말단부(1332)의 대응 힌지부(1335)에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1338)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전단에는 끼워맞춤 돌기(1338)에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홈(1226)이 형성되어 있다.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서로 좁혀지면, 끼워맞춤 돌기(1338)가 끼워맞춤 홈(1226)에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에서 끼워맞춤된다. 이에 따라,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서로 좁혀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이에 결합되는 말단부(1332)에 의해, 부속체(1503)는 변형체(1003)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서로 좁혀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말단부(1332)를 끼워맞춤 돌기(1338) 및 끼워맞춤 홈(1226)에 의해 그립하고 말단부(1332)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 그립된 부속체(1503)를 통해 고정되므로,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말단부(1332)가 고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후방 변형부(1400)를 포함한다. 후방 변형부(1400)는 프레임부(1100)에 제4 회전축(R4)(도 38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방 변형부(1400)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가 모형 완구를 덮는 부분(예컨대, 도 34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으로부터 제4 방향(D4)으로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예컨대, 도 34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꼬리 연장부)을 덮도록 구성된다.
프레임부(1100)와 후방 변형부(1400)는, 프레임부(1100)의 후단에 제공되는 힌지부(1131)와, 후방 변형부(1400)의 기단에 제공된 대응 힌지부(1410)와, 힌지부(1131)와 대응 힌지부(1410)를 관통하는 힌지 샤프트(1132)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4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후방 변형부(1400)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대응 힌지부(1410)에 인접한 후방 변형부(1400)의 기단이 힌지부(1131)에 접촉하여, 후방 변형부(1400)의 후방 회전 및 상방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후방 변형부(1400)는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프레임부(1100)로 접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지지부(1220)와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230)를 포함한다.
지지부(1220)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메인 바디를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회전부(12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프레임부(1100)와 모형 완구를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지지부(1220)에 대응하는 모형 완구의 부분(도 34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측면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220)에는 대응 힌지부(1211)가 제공되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즉, 제1 회전축(R1) 또는 제2 회전축(R2))이 지지부(1220)에 배치된다. 회전부(1230)는,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지지부(1220)에 대응하는 모형 완구의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도 34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다리 연장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회전부(1230)는,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지면에 대략 평행한 주행 위치(도 39 참조)에 위치할 수 있고, 변형체(1003)의 제2 상태에서 지면에 대략 수직한 직립 위치(도 35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부(1230)는 제1 회전부(1240) 및 제2 회전부(1250)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1240)는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후단 부근에 배치되며,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제2 회전부(1250)는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전단 부근에 배치되며, 모형 완구의 앞다리 연장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제1 회전부(1240)는 제6 회전축(R6)(도 38 참조)을 중심으로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회전부(1240)의 말단부는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의 발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220)와 제1 회전부(1240)는 제6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6 힌지 조인트는, 지지부(1220)의 후단으로부터 하방 및 측방으로 돌출한 힌지부(1221)와, 제1 회전부(1240)의 기단 부근에서 제1 회전부(1240)를 관통해 힌지부(1221)에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1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부(1240)는 기단에 돌출한 스토퍼부(1241)를 갖는다. 스토퍼부(1241)는 힌지부(1221)의 후단 엣지와 접촉하여 제1 회전부(1240)를 직립 위치에 규제한다.
제2 회전부(1250)는 제7 회전축(R7)(도 38 참조)을 중심으로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부(1250)의 말단부는 모형 완구의 앞다리 연장부의 발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220)와 제2 회전부(1250)는 제7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7 힌지 조인트는, 지지부(1220)의 전단으로부터 하방 및 측방으로 돌출한 힌지부(1223)와, 제2 회전부(1250)의 기단 부근에서 제2 회전부(1250)를 관통해 힌지부(1223)에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12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부(1250)에는 힌지부(1223)의 전단 엣지와 접촉하여 제2 회전부(1250)를 직립 위치에 규제하는 스토퍼부(1251)가 제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회전부(1240)와 제2 회전부(1250)는, 변형체(1003)의 제1 상태 및 상기 주행 위치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위치한다. 이와 관련하여, 힌지부(1223)는 힌지부(1221)보다 내측으로, 즉, 힌지부(1221)보다 제1 회전축(R1) 또는 제2 회전축(R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1250)의 외면에는 오목부(1252)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252)는 제1 회전부(1240)의 말단부 및 이에 인접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9 및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240)와 제2 회전부(1250)가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변형체(1003)는 제1 상태에서 감소된 폭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의 제1 상태에서 후방 변형부(14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는, 프레임부(1100)의 하면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내면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부(1140)를 갖는다. 변형체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될 때, 후방 변형부(1400)는 수용부(1140) 내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변형체(1003)는 제1 상태에서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변형부(1400)가 수용부(11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지지부(1220)로부터 돌출한 걸림부(1213)가 후방 변형부(1400)의 하방에 위치하여 후방 변형부(1400)를 그립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가압되므로, 걸림부(1213)는 후방 변형부(1400)가 수용부(1140)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체(1001)는 제1 상태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변형체(1003)의 제1 상태는, 모형 완구(203)의 외형과는 상이한 형태를 취한다. 변형체(1003)의 제1 상태는 차량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도 34 참조)를 갖는다. 변형체(1003)의 차량 형태를 위해, 변형체(1003)는 제1 상태에서 지면 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3)는, 말단부(13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161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제1 회전부(1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뒷바퀴(1620)를 포함한다.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앞바퀴(1610)와 뒷바퀴(1620)가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도록, 변형체(1003)는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 제1 회전부(1240)와 제2 회전부(1250)는 지면에 평행한 주행 위치에 유지되어, 앞바퀴(1610)와 뒷바퀴(1620)가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49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하는 예 및 변형 완구와 모형 완구의 결합 예를 설명한다.
도 43을 참조하면, 변형체(1003)에서, 조작부(1212)를 서로 좁히는 방향으로 외력이 조작부(1212)에 가해지면(즉, 사용자가 조작부(1212)를 집는 동작을 하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 위치로 회전되어 서로 벌려진다.
다음으로, 도 44를 참조하면, 벌려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서, 부속체(1503)가 말단부(1332) 및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로부터 제거되고, 부속체(1503)는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를 덮도록 대기된다.
다음으로, 도 45를 참조하면, 후방 변형부(1400)가 프레임부(1100)로부터 후방으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 46을 참조하면,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서, 제2 회전부(1250)가 직립 위치로 회전되고, 그 후 제1 회전부(1240)가 직립 위치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 47을 참조하면, 전방 변형부(1300)의 링크부(1331)가 프레임부(1100)에 대하여 하방으로 회전되고, 말단부(1332)는 변형체(1003)의 제1 상태에서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말단부(1332)가 프레임부(1100)의 상면을 향해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면, 후방 변형부(1400), 제2 회전부(1250), 제1 회전부(1240)가 전개되고 말단부(1332)가 프레임부(1100)의 상면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삽입 위치로 벌려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즉, 서로 벌려진 걸림부들의 사이로), 모형 완구(203)의 동체부(210)를 삽입시킨다. 사용자가 조작부(1212)를 해제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좁혀지도록 덮음 위치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변형체(1003)는 모형 완구(203)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걸림부(1213)가 대응 걸림부(211)에 걸림 결합되면,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3)를 모형 완구(203)에 장착하는 것이 완료될 수 있고, 변형체(1003)는 모형 완구(203)를 덮으면서 모형 완구(203)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로 된다. 변형체(1003)가 모형 완구(203)에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고 있고, 후방 변형부(1400)가 모형 완구의 꼬리 연장부를 덮고 있고, 제1 회전부(1240)가 모형 완구의 뒷다리 연장부를 덮고 있으며, 제2 회전부(1250)가 모형 완구의 앞다리 연장부를 덮고 있다. 변형체(1003)가 모형 완구(203)에 장착된 상태에서, 부속체(1503)가 모형 완구(203)의 머리 연장부를 덮도록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에 결합된다.
변형체(1003)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되는 수순은, 전술한 수순과는 반대로 될 수 있다. 변형체(1003)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되고 부속체(1503)가 제1 상태의 변형체(1003)에 결합되면, 변형체(1003)를 포함하는 변형 완구(103)는 도 34에 도시하는 차량 형상의 형태를 취한다. 변형 완구(103)의 차량 형상의 형태로부터, 사용자는, 모형 완구와 조합되기 전의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와는 다른 차량 형태를 취하고 주행 가능하다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도 35 및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상태의 변형체(1003)가 모형 완구(203)를 덮고 부속체(1503)가 모형 완구(203)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형 완구(203)와 변형 완구(1003)의 조합체로부터, 모형 완구(203)가 일종의 방어물(예컨대, 갑주)을 착용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량의 형태를 갖는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의 갑주로 되도록 변형되고 모형 완구가 변형 완구에 의해 만들어지는 갑주를 착용하고 있다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50 내지 도 6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104), 모형 완구(204) 및 완구 세트(14)가 설명된다. 도 50, 도 53 및 도 5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 및 변형 완구를 도시한다. 도 51 및 도 5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형 완구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다. 도 55 및 도 56은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7 내지 도 61은 각각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에서 회전부가 회전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3 내지 도 6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가 변형하는 예 및 모형 완구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하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고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으며, 설명이 생략된 제4 실시예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완구 세트(14)는, 변형 완구(104)와 모형 완구(204)를 포함한다. 모형 완구(204)는 비행 동물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 예컨대 프테라노돈(pteranodon)으로 불릴 수 있는 공룡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모형 완구(204)에 있어서, 동체부(2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대응 걸림부(211)가 끼워맞춤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대응 걸림부(211)는 모형 완구(204)와 변형 완구(104) 간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위해 기능한다. 모형 완구(204)는 동체부(210)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다리 연장부(260)를 가질 수 있으며, 한 쌍의 다리 연장부(260)는 프테라노돈의 다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0 내지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형 완구(204)는 동체부(210)로부터 각 측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 연장부(270)를 포함한다. 날개 연장부(270)는 프테라노돈의 날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날개 연장부(270)는 동체부(210)에 힌지 조인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날개 연장부(270)는 동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각 날개 연장부(270)는, 동체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날개 연장부(271)와, 제1 날개 연장부(27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제2 날개 연장부(27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51 및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개 연장부(270)의 제1 및 제2 날개 연장부(271, 272)는 접힌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부(210)의 하면에는 끼워맞춤 구멍(213)과 끼워맞춤 구멍(214)이 형성되어 있고, 머리 연장부(230)의 하면에는 끼워맞춤 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213), 끼워맞춤 구멍(214) 및 끼워맞춤 구멍(234)은, 변형 완구(104)의 부속체와 모형 완구(204)간의 결합을 위해 기능한다.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 완구(104)는 모형 완구(204)와 독립되어 있다. 변형 완구(104)는 모형 완구(204)를 덮도록 변형 가능하며, 변형된 상태에서 모형 완구(204)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변형 완구(104)는, 변형되어 모형 완구(204)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변형체(1004)를 포함한다. 도 54를 참조하면, 변형 완구(104)는, 변형체(1004)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형 완구(204)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부속체(1504)를 포함한다.
도 53 및 도 54를 참조하면, 변형 완구(104)의 변형체(1004) 및 부속체(1504)가 모형 완구(204)와 결합되어, 변형 완구 및 모형 완구의 조합체를 만든다. 따라서, 변형체(1004)는, 모형 완구(204)와 독립되는 제1 상태(도 50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상태)와, 모형 완구(2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모형 완구(204)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도 53 및 도 54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상태)로 변형하도록 구성된다.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변형체(1004)는, 변형체(1004)의 기초 또는 척추로서 기능하는 프레임부(11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0)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도 50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등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프레임부(1100)는 후단에 상방으로 돌출한 돌출부(1163)를 가지며, 돌출부(1163)는 조종석을 덮는 캐노피(canopy)로서 인식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변형체(1004)는,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포함한다. 변형체(1004)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변형을 실행시키기 위한 구조 부재이며, 프레임부(1100)에 결합되어 프레임부(1100)와 함께 변형체(1004)를 구성하는 구조 부재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거나 프레임부(1100)에 대하여 접혀짐으로써,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조작될 수 있다.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변형체(100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를 구성하는 두개의 변형부로서, 프레임부(1100)에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좌측 변형부(1201) 및 우측 변형부(1202)를 포함한다.
좌측 변형부(1201)와 우측 변형부(1202)는, 도 50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제1 상태 및 도 53에 도시하는 변형체의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프레임부(1100)에 대해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즉, 프레임부(1100)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즉, 제1 회전축(R1) 및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서로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프레임부(1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에 관련하여, 좌측 변형부(1201)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 변형부(1202)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프레임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도 57 참조). 제2 회전축(R2)은 제1 회전축(R1)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R1)과 평행하거나 제1 회전축(R1)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축(R1)은 제1 방향(D1)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하고, 제2 회전축(R2)은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을 통과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제1 회전축(R1)과 제2 회전축(R2)은 하나의 회전축을 구성할 수도 있고, 프레임부(1100)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펼쳐지도록 또한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벌려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펼쳐진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프레임부(1100)에 대해 좁혀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대해 접혀진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다. 좌측 변형부(1201)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제1 방향(D1)에서의 모형 완구의 일부(도 50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좌측면)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측 변형부(1202)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제2 방향(D2)에서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일부(도 50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우측면)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변형체(1002)에서 제1 및 제2 회전축(R1, R2)을 중심으로 서로 벌려지거나 서로 좁혀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벌려져 모형 완구의 동체부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삽입 위치와, 서로 좁혀져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덮는 덮음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각각 전술한 제1 및 제2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프레임부(1100)의 좌측에 제공된 힌지부(1111)가, 제1 회전축(R1)이 통과하는 제1 방향(D1)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이 되고, 프레임부(1100)의 우측에 제공된 힌지부(1111)가 제2 회전축(R2)이 통과하는 제2 방향(D2)에서의 프레임부(1100)의 부분이 된다. 각 힌지 샤프트(1112)가 제1 회전축(R1) 및 제2 회전축(R2)에 대응한다.
변형체의 프레임부(1100)는,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상기 덮음 위치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1113)을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를 향해 좁혀지도록 가압된다. 이에 따라, 변형체(1004)는,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모형 완구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1004)의 회전 가능한 변형부들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변형체(1004)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틀림 스프링(1113)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에 배치되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중 하나를 다른 하나를 향해 가압한다. 힌지 샤프트(1112)가 비틀림 스프링(1113)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비틀림 스프링(1113)이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컨대, 비틀림 스프링(1113)의 일단은 프레임부(1100)의 표면에 걸릴 수 있고, 비틀림 스프링(1113)의 타단은 대응 힌지부(1211)에 걸릴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1113)에 의해 가압되는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내면이 프레임부(1100)의 각 측면에 맞닿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프레임부(1100)의 내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조작부(1212)를 포함한다. 각 조작부(1212)는 날개로서 인식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기단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212)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기단으로부터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과 상방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조작부(121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를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조작부(1212)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예컨대, 제1 회전축(R1) 또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집어서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좁히도록 한 쌍의 조작부(1212)를 조작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벌려지고 상기 삽입 위치로 회전된다. 한 쌍의 조작부(1212)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벌려진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동체부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조작부(1212)가 해제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비틀림 스프링(1113)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좁혀지고 모형 완구의 동체부 및 뒷다리 연장부를 덮을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모형 완구를 그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말단에서 돌출하며, 돌기 또는 핀과 같은 돌기물을 포함하는 수형 걸림부로서 형성되는 걸림부(1213)를 포함한다. 또한, 모형 완구는 동체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걸림부(112)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대응 걸림부(211)(도 50 참조)를 포함한다. 대응 걸림부(211)는 오목한 홈과 같은 암형 걸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걸림부(1213)가 대응 걸림부(211)에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끼워맞춤된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부분적으로 덮고 모형 완구의 동체부를 해제 가능하게 그립하면서,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4)가 모형 완구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4)와 모형 완구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제2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4)가 모형 완구에 결합되면,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으므로, 프레임부(1100)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사용자에게 모형 완구를 덮는 일종의 방어물(갑옷)의 일부로서 인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부로서, 전방 변형부(1300)를 포함한다.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그에 대응하는 회전축, 즉, 제3 회전축(R3)(도 5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 변형부(1300)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가 모형 완구를 덮는 부분(예컨대, 도 50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으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예컨대, 도 50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을 덮도록 구성된다.
전방 변형부(1300)는, 프레임부(1100)에 제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1310)와, 링크부(1310)의 전단 부근에 제5 회전축(R5)(도 5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말단부(1320)를 포함한다. 말단부(1320)는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말단부(1320)는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의 외형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 예컨대 사용자가 머리 연장부를 덮는 투구로서 인식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부(1100)와 링크부(1310)는 전술한 제3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이 실시예의 링크부(1310)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프레임부(1100)에 형성된 리세스부(1171)에 삽입될 수 있고, 변형체(1004)에 제2 상태에서, 리세스부(1171)로부터 프레임부(1100)의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링크부(1310)가 프레임부(1100)의 전단에 접촉되어, 링크부(1310)의 하방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링크부(1310)와 말단부(1320)는 전술한 제5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말단부(1320)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그 후단이 돌출부(1163)와 접촉하도록 회전된다. 말단부(1320)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의 말단부(1320)의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지지부(1220)와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230)를 포함한다.
지지부(1220)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메인 바디를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회전부(12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프레임부(1100)와 모형 완구를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지지부(1220)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측면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1220)에는 대응 힌지부(1211)가 제공되므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자의 대응하는 회전축(즉, 제1 회전축(R1) 또는 제2 회전축(R2))이 지지부(1220)에 배치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부(1230)는 지지부(1220)에 대응하는 모형 완구의 부분(도 50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으로부터 연장하는 모형 완구의 또 하나의 부분(도 50에 도시하는 모형 완구의 날개 연장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상기 회전부는,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부(1260)와, 제1 회전부(12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부(1270)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1260)와 제2 회전부(1270)로 구성되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회전부(1230)는, 도 57에 도시하는 접힘 위치와 도 53에 도시하는 펼침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접힘 위치에서, 제1 회전부(1260)와 제2 회전부(1270)는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서로 포개지며, 대략 제1 회전축(R1) 또는 제2 회전축(R2)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펼침 위치에서, 도 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260)는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지지부(1220)에 대하여 돌출하고 제2 회전부(1270)는 제1 회전부(1260)의 돌출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회전부(1260)와 제2 회전부(1270)가 상기 펼침 위치로 회전될 때, 사용자는 제1 회전부(1260)와 제2 회전부(1270)가 날개를 펼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회전부(1260)는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전단에 배치되며, 모형 완구의 제1 날개 연장부(도 50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회전부(1270)는 제1 회전부(1260)의 말단에 배치되며, 모형 완구의 제2 날개 연장부(도 50 참조)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제1 회전부(1260)는 제8 회전축(R8)(도 58 참조)을 중심으로 지지부(1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1220)와 제1 회전부(1260)는 제8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8 힌지 조인트는, 지지부(1220)의 전단에 제공된 힌지부(1227)와, 제1 회전부(1260)의 기단에 제공된 대응 힌지부(1261)와, 힌지부(1227)와 대응 힌지부(1251)에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122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220)에는,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스토퍼부(1229)가 제공되어 있다. 스토퍼부(1229)에 제1 회전부(1260)의 후단이 접촉되어, 제1 회전부(1260)의 후방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대응 힌지부(1261)에는 스토퍼부(1262)가 제공되어 있으며, 스토퍼부(1262)가 지지부(1220)의 내면에 접촉되어, 제1 회전부(1260)의 전방 회전이 규제될 수 있다.
제2 회전부(1270)는 제9 회전축(R9)(도 58 참조)을 중심으로 제1 회전부(12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부(1270)와 제1 회전부(1260)는 제9 힌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제9 힌지 조인트는, 제1 회전부(1260)의 말단에 제공된 힌지부(1263)와, 제2 회전부(1270)의 기단에 제공된 대응 힌지부(1271)와, 힌지부(1263)와 대응 힌지부(1271)에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12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1263)에는 스토퍼부(1265)가 제공되어 있으며, 스토퍼부(1265)가 제2 회전부(1270)의 기단 부근의 엣지에 접촉되어, 제2 회전부(1270)의 전방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제2 회전부(1270)의 내측 엣지에는, 리세스부(1272)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세스부(1272)는 지지부(1220)의 전단 엣지와 측단 엣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다. 이에 따라, 제2 회전부(1270)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지지부(1220)의 전단 엣지와 측단 엣지를 수용하면서 상기 접힘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변형체(1004)는 제1 상태에서 감소된 폭 치수를 가질 수 있고, 더욱 컴팩트하게 제1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변형 완구(104)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변형체(1004)에 제1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소정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속체(1504)를 포함한다.
부속체(1504)는,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모형 완구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부속체(1504)는 제1 부속 외피부(1550)와 제2 부속 외피부(1560)를 포함한다.
제1 부속 외피부(1550)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배 부분(도 54 참조)과 모형 완구의 다리 연장부의 하면(도 54 참조)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1 부속 외피부(1550)는 그 상면에 끼워맞춤 돌기(1551)와 끼워맞춤 돌기(1552)를 갖는다. 끼워맞춤 돌기(1551)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213)(도 52 참조)에 끼워맞춤 된다. 끼워맞춤 돌기(1552)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214)(도 52 참조)에 끼워맞춤 된다. 이에 따라, 변형체(1004)의 제2 상태에서, 제1 부속 외피부(1550)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하부 및 모형 완구의 다리 연장부를 덮도록 모형 완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속 외피부(1550)는 모형 완구의 배와 다리를 덮는 방어물(갑옷)로서 인식될 수 있다.
제2 부속 외피부(1560)는,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의 하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제2 부속 외피부(1560)는 그 상면에 끼워맞춤 돌기(1561)를 갖는다. 끼워맞춤 돌기(1561)는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234)(도 52 참조)에 끼워맞춤된다. 이에 따라, 제2 부속 외피부(1560)는, 모형 완구의 머리의 하부를 덮는 투구의 일부로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속 외피부(1560)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제1 부속 외피부(155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말단부(1320)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2 부속 외피부(1560)의 하면에는 끼워맞춤 구멍(15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부속 외피부(1550)의 끼워맞춤 돌기(1551)가 끼워맞춤 구멍(1562)에 끼워맞춤 된다. 이에 따라, 제2 부속 외피부(1560)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제1 부속 외피부(1550)에 결합되어 변형체(1004)에 유지된다.
부속체(1504)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서로 좁혀진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와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부속 외피부(1550)는, 후단 부근의 하면에 한 쌍의 끼워맞춤 홈(1553)(도 61 참조)을 갖고, 전단에서의 상면에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1554)(도 55 참조)를 갖는다. 도 6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각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걸림부(1213)가 끼워맞춤 홈(1553)에 걸림결합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제1 회전부(1260)는 끼워맞춤 돌기(1554)에 각각 대응하는 끼워맞춤 구멍(1266)(도 56 및 도 61 참조)을 갖는다.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제1 부속 외피부(1550)의 끼워맞춤 돌기(1554)가 제1 회전부(1260)의 끼워맞춤 구멍(1266)에 끼워맞춤 된다. 이에 따라, 부속체(1504)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걸림부(1213)와 끼워맞춤 홈(1553) 간의 걸림과 끼워맞춤 구멍(1266)과 끼워맞춤 돌기(1554) 간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좁혀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변형체(1004)의 제1 상태는, 모형 완구(204)의 외형과는 상이한 형태를 취한다. 변형체(1004)의 제1 상태는 비행기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도 50 참조)를 갖는다. 또한, 변형체(1004)는 제1 상태에서 지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변형체(1004)의 이동 가능한 형태를 위해, 변형체(1004)는 제1 상태에서 지면 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체(1004)는, 제1 부속 외피부(1550)의 각 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1630)를 포함한다.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바퀴(1630)가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도록, 부속체(1504)가 제1 상태로 변형된 변형체(1004)에 결합될 수 있다. 변형체(1004)의 다른 예로서, 변형체(1004)는 그 전방 부분에 바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변형체(1004)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상기 회전부에 바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3 내지 도 68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따른 변형 완구의 변형하는 예 및 변형 완구와 모형 완구의 결합 예를 설명한다.
도 63 및 도 64를 참조하면,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 조작부(1212)를 서로 좁히는 방향으로 외력이 조작부(1212)에 가해지면(즉, 사용자가 조작부(1212)를 집는 동작을 하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삽입 위치로 회전되어 서로 벌려진다. 또한, 벌려진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로부터 부속체(1504)가 제거된다. 또한, 부속체(1504)에서, 제2 부속 외피부(1560)가 제1 부속 외피부(1550)로부터 탈착된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로부터 제거된 부속체(1504)는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배부분과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의 하부를 덮도록 대기된다.
다음으로, 도 65 및 도 66을 참조하면, 일측의 변형부의 제1 회전부(1260)와 제2 회전부(1270)가 순차적으로 펼침 위치로 회전되고, 타측의 변형부의 제1 회전부(1260)와 제2 회전부(1270)가 순차적으로 펼침 위치로 회전되다.
다음으로, 도 67 및 도 6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회전부(1260, 1270)가 펼침 위치로 전개되고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가 벌려진 상태에서, 모형 완구(204)의 동체부(210)가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사이로(즉, 서로 벌려진 걸림부들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 때, 펼침 위치로 전개된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제1 회전부(1260) 및 제2 회전부(1270)가 모형 완구(204)의 날개 연장부(270)를 덮는다. 사용자가 조작부(1212)를 해제하면,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는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좁혀지도록 덮음 위치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변형체(1004)는 모형 완구(204)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각 걸림부(1213)가 모형 완구(204)의 대응 걸림부(211)에 걸림 결합되면, 변형체(1004)는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에 의해 동체부(210)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링크부(1310)가 프레임부(1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회전되어, 말단부(1320)는 변형체(1004)의 제1 상태에서의 말단부(1320)보다 전방에 위치되면서 모형 완구(204)의 머리 연장부를 덮는다. 말단부(1320)가 머리 연장부(230)를 덮으면, 변형체(1004)는, 프레임부(1100),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제1 및 제2 회전부(1260, 1270) 및 말단부(1320)에 의해 모형 완구(204)를 덮으면서 모형 완구(20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로 되고 모형 완구(204)에 장착될 수 있다. 변형체(1004)가 모형 완구(204)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부속 외피부(1550)가 모형 완구(204)의 동체부(210)에 하방으로부터 결합되고, 제2 부속 외피부(1560)가 모형 완구(204)의 머리 연장부(230)에 하방으로부터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변형 완구(104)는 모형 완구(204)를 덮으면서 모형 완구(20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부속 외피부(1550)와 제2 부속 외피부(1560)가 모형 완구(204)로부터 제거되고 변형체(1004)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되는 수순은, 전술한 수순과는 반대로 될 수 있다. 변형체(1004)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되고 제1 상태의 변형체(1004)와 부속체(1504)가 결합되면, 변형체(1004)와 부속체(1504)를 포함하는 변형 완구(104)는 주행 가능한 비행기 형상의 형태를 취한다. 변형 완구(104)의 주행 가능한 비행기 형상의 형태로부터, 사용자는, 모형 완구와 조합되기 전의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와는 다른 형태를 취하고 비행 또는 주행 가능하다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도 53, 도 54 및 도 6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상태의 변형체(1004)가 프레임부(1100),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 좌측 및 우측 변형부(1201, 1202)의 제1 및 제2 회전부(1260, 1270), 및 전방 변형부(1300)에 의해 모형 완구(204)를 덮고 부속체(1504)가 모형 완구(204)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형 완구(204)와 변형 완구(104)의 조합체로부터, 모형 완구(204)가 변형 완구(1004)에 의해 만들어지는 일종의 방어물(예컨대, 갑주)을 착용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행 가능한 비행기의 형태를 갖는 변형 완구가 모형 완구의 갑주로 되도록 변형되고 모형 완구가 변형 완구에 의해 만들어지는 갑주를 착용하고 있다는 재미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 12, 13, 14: 완구 세트, 101, 102, 103, 104: 변형 완구, 1001, 1002, 1003, 1004: 변형체, 1100: 프레임부, 1201: 좌측 변형부(제1 변형부), 1202: 우측 변형부(제2 변형부), 1220: 지지부, 1230: 회전부, 1240: 제1 회전부, 1250: 제2 회전부, 1260: 제1 회전부, 1270: 제2 회전부, 1300: 전방 변형부(제3 변형부), 1310: 링크부, 1320: 말단부, 1331: 링크부, 1332: 말단부, 1400: 후방 변형부(제4 변형부), 1501, 1502, 1503, 1504: 부속체, 201, 202, 203, 204: 모형 완구, R1: 제1 회전축, R2: 제2 회전축, R3: 제3 회전축, R4: 제4 회전축,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D4: 제4 방향

Claims (18)

  1. 공룡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는 모형 완구와,
    상기 모형 완구에 결합 가능한 변형 완구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완구는, 상기 모형 완구와 독립되고 운송 기계의 형태를 갖는 제1 상태와 상기 공룡 형상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모형 완구를 부분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방어물로 변형되며 상기 모형 완구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변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체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형 완구의 동체부의 등 부분을 덮도록 구성되는 프레임부와,
    제1 방향에서의 상기 프레임부의 부분을 통과하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동체부의 좌측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좌측 변형부와,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에서의 상기 프레임부의 부분을 통과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동체부의 우측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우측 변형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또 하나의 방향에서의 상기 프레임부의 부분을 통과하는 또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동체부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모형 완구의 머리 연장부 또는 꼬리 연장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또 하나의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변형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서로 좁혀지고 상기 또 하나의 변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서로 좁혀지고 상기 모형 완구를 해제 가능하게 그립하도록 구성되는,
    완구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변형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서로 다른 두개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완구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변형부는,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의 변형을 위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완구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체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형 완구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피 변형부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변형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형을 위해 서로 좁혀지며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완구 세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또 하나의 변형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에서의 상기 프레임부의 부분을 통과하는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전방 변형부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변형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동체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머리 연장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완구 세트.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변형부는 각각,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또 하나의 변형부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돌출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형 완구의 대응 걸림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변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머리 연장부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말단부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또 하나의 변형부는, 상기 제3 방향에 반대되는 제4 방향에서의 상기 프레임부의 부분을 통과하는 제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후방 변형부를 더 포함하는,
    완구 세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변형부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이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동체부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동체부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모형 완구의 다리 연장부 또는 날개 연장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완구 세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변형체의 제1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변형체의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또는 상기 모형 완구의 소정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속체를 더 포함하는,
    완구 세트.
  17. 삭제
  18. 삭제
KR1020200002733A 2020-01-08 2020-01-08 완구 세트 KR10233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733A KR102335482B1 (ko) 2020-01-08 2020-01-08 완구 세트
PCT/KR2020/017891 WO2021141245A1 (ko) 2020-01-08 2020-12-09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PCT/KR2020/017834 WO2021141244A1 (ko) 2020-01-08 2020-12-09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PCT/KR2020/018141 WO2021141257A1 (ko) 2020-01-08 2020-12-11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PCT/KR2021/000118 WO2021141375A1 (ko) 2020-01-08 2021-01-06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US17/142,713 US11679336B2 (en) 2020-01-08 2021-01-06 Toy set
PCT/KR2021/000163 WO2021141394A1 (ko) 2020-01-08 2021-01-07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CN202110019403.0A CN113082735B (zh) 2020-01-08 2021-01-07 可变形玩具和包括可变形玩具的玩具套件
CN202120042825.5U CN214597220U (zh) 2020-01-08 2021-01-07 可变形玩具和包括可变形玩具的玩具套件
JP2021002041A JP7098006B2 (ja) 2020-01-08 2021-01-08 玩具セ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733A KR102335482B1 (ko) 2020-01-08 2020-01-08 완구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503A KR20210089503A (ko) 2021-07-16
KR102335482B1 true KR102335482B1 (ko) 2021-12-07

Family

ID=7665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733A KR102335482B1 (ko) 2020-01-08 2020-01-08 완구 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79336B2 (ko)
JP (1) JP7098006B2 (ko)
KR (1) KR102335482B1 (ko)
CN (2) CN214597220U (ko)
WO (1) WO2021141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482B1 (ko) * 2020-01-08 2021-12-07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완구 세트
USD1029137S1 (en) * 2022-06-06 2024-05-28 Yuyang WANG Toy dinosaur
JP7293478B1 (ja) * 2022-09-28 2023-06-19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玩具
CN115804954A (zh) * 2023-01-20 2023-03-17 汕头市儿超喜智能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由多种恐龙形变组合成太空站的玩具及其形变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253A (ja) 2004-01-14 2005-08-25 Konami Co Ltd 形態変形玩具
JP2010131367A (ja) * 2008-11-04 2010-06-17 Sega Toys:Kk 変形玩具
US20150352457A1 (en) 2014-06-05 2015-12-10 Ing21 Co., Ltd. Combinable transformable to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840A (en) * 1978-02-24 1979-10-16 Takara Co., Ltd. Toy vehicle doll assembly
JPS60253481A (ja) * 1984-05-30 1985-12-14 株式会社 タカラ 形態変化玩具
JPH0626987U (ja) * 1991-06-05 1994-04-12 株式会社タカラ 合体変形玩具
JP2001191276A (ja) * 1999-10-29 2001-07-17 Sony Corp 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外装
JP3863502B2 (ja) * 2003-05-19 2006-12-27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形態変形玩具
US7568965B2 (en) 2004-01-14 2009-08-04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Transformable toy and leg structure for toys
US20060270314A1 (en) * 2005-05-24 2006-11-30 Fraser Campbell Reconfigurable toy extreme sport jumper
US7722429B2 (en) * 2005-05-24 2010-05-25 Mattel, Inc. Transformation toy and related products
US7722426B2 (en) * 2005-05-24 2010-05-25 Mattel, Inc. Reconfigurable toy extreme sport hang glider
JP4908623B1 (ja) 2010-12-01 2012-04-04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US9272739B2 (en) * 2012-02-13 2016-03-01 RoadIX Urban Transportation Ltd. Urban vehicle
KR101327305B1 (ko) * 2012-02-24 2013-11-11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1400980B1 (ko) * 2013-04-03 2014-05-29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JP6198607B2 (ja) * 2014-01-10 2017-09-2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形態変化玩具
CN104353243B (zh) * 2014-10-28 2016-09-14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夹持玩具物的翻转变形玩具车
CA2983099C (en) 2015-05-12 2020-01-14 Jong-Ill CHOI Transforming toy
CN109562801B (zh) * 2016-05-19 2021-04-16 勇敢机器人技术株式会社 形态变形机器人
KR101880988B1 (ko) 2017-06-21 2018-07-24 주식회사 영실업 변신 자동차 완구
KR102335482B1 (ko) * 2020-01-08 2021-12-07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완구 세트
KR102368906B1 (ko) * 2020-01-08 2022-03-03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253A (ja) 2004-01-14 2005-08-25 Konami Co Ltd 形態変形玩具
JP2010131367A (ja) * 2008-11-04 2010-06-17 Sega Toys:Kk 変形玩具
US20150352457A1 (en) 2014-06-05 2015-12-10 Ing21 Co., Ltd. Combinable transformable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1375A1 (ko) 2021-07-15
JP7098006B2 (ja) 2022-07-08
CN214597220U (zh) 2021-11-05
CN113082735A (zh) 2021-07-09
JP2021109109A (ja) 2021-08-02
US11679336B2 (en) 2023-06-20
KR20210089503A (ko) 2021-07-16
US20210205725A1 (en) 2021-07-08
CN113082735B (zh)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482B1 (ko) 완구 세트
KR102368906B1 (ko)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US4307533A (en) Insect simulating mobile toy having flappable wings
JP3863501B2 (ja) 形態変形玩具
JPH0316713Y2 (ko)
JPS649876B2 (ko)
KR102368855B1 (ko) 완구 세트
KR102365315B1 (ko) 완구 세트
KR102335487B1 (ko) 완구 세트
KR102455899B1 (ko) 완구 세트
US20020086609A1 (en) Toy action figures with manipulating stem and selectably articulatable joints
CN111974007B (zh) 列车变形玩具和列车组合玩具
WO2021141245A1 (ko)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JPH0417075B2 (ko)
CN212731042U (zh) 变形玩具
WO2021141394A1 (ko)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KR20230030701A (ko) 힌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인체에 착용 가능한 트랜스포밍 완구
JPH0434873Y2 (ko)
JPH0522238Y2 (ko)
TWM602936U (zh) 變形玩具
JPH0235340Y2 (ko)
JPH041981Y2 (ko)
JPH0357276Y2 (ko)
JPH0420478Y2 (ko)
JPH032279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