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246B1 - 하악 전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악 전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246B1
KR102335246B1 KR1020190121070A KR20190121070A KR102335246B1 KR 102335246 B1 KR102335246 B1 KR 102335246B1 KR 1020190121070 A KR1020190121070 A KR 1020190121070A KR 20190121070 A KR20190121070 A KR 20190121070A KR 102335246 B1 KR102335246 B1 KR 102335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mandibular advancement
seating part
mandi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8209A (ko
Inventor
신현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246B1/ko
Priority to EP20739232.5A priority patent/EP3827791A4/en
Priority to CN202080001400.8A priority patent/CN112996465A/zh
Priority to US16/962,103 priority patent/US11974940B2/en
Priority to PCT/KR2020/004507 priority patent/WO2021066270A1/ko
Priority to AU2020204643A priority patent/AU2020204643B2/en
Publication of KR2021003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윗니 안착부, 상기 사용자의 아랫니가 안착되는 아랫니 안착부, 상기 윗니 안착부 및 상기 아랫니 안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윗니 안착부에 대한 상기 아랫니 안착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강 외부에 배치되는, 하악 전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악 전진 시스템{MANDIBULAR ADBANCEMEN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악 전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 중 기도를 둘러싸고 있는 근육들이 이완되면, 목젖, 편도 및 혀 등이 뒤로 쳐지게 된다. 이로 인해, 깨어 있을 때보다 기도가 약간 좁아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에서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사람에서는 수면 중, 기도가 심하게 좁아져 공기가 기도를 통과하는 것을 막기 때문에 코골이(Snoring)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이 발생한다.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는, 정상보다 턱이 작은 경우, 혀나 편도선이 큰 경우, 목젖이 길게 늘어져 있는 경우처럼 기도가 부분적으로 막혀 있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구강 내 장치 내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좁아진 기도를 넓히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교정시키기 위한 치과 기구(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이며, 이러한 하악 전방 장치(100)는 환자의 상측 인두에서의 기도 유지를 위하여 환자에 착용되는 구강내 치과 기구에 있어서, 환자의 윗턱의 치열에 일치하는 상부 부재(11), 환자의 아래턱 치열에 일치하는 하부 부재(12), 상부 부재(11) 및 이로부터 연장되는 밑면에 단단히 연결되도록 연장된 커넥터(13), 그리고 하부 부재(12)에 평행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슬롯(14)을 구비한다. 커넥터(13)가 슬롯(14)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하부 부재(12)가 상부 부재(11)에 대하여 비교적 돌출된 위치인 앞쪽에 위치하도록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부 부재(11)와 하부 부재(12)를 연결시킨다.
미국등록특허 5,868,138(1999.02.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면 중,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 수면 자세, 호흡음(숨소리), 산소포화도 및 인체의 움직임 등을 이용하여 하악 전진 장치의 이동 여부가 결정되는 하악 전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윗니 안착부, 상기 사용자의 아랫니가 안착되는 아랫니 안착부, 상기 윗니 안착부 및 상기 아랫니 안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윗니 안착부에 대한 상기 아랫니 안착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는, 하악 전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윗니 안착부 또는 상기 아랫니 안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면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윗니 안착부 및 상기 아랫니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호흡 센서, 산소포화도 센서 및 자세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수면 상태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을 상기 윗니 안착부 또는 상기 아랫니 안착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공기를 상기 동력전달부로 주입할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펌프로부터 주입되는 상기 공기가 수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상기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이동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펌프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의 통로인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튜브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아랫니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윗니 안착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악 전진 시스템은 수면 중,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하여, 수면 자세에 따라 하악 전진 장치의 이동 여부를 제공한다. 또한, 하악 전진 시스템은 구동부를 외부에 배치시킴으로써, 하악 전진 장치의 착용으로 인해 유발되는 통증 감소 및 타액 분비를 감소시키고,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해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하악 전진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하악 전진 장치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하악 전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동 형태를 이용한 하악 전진 장치의 윗니 안착부 및 아랫니 안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하악 전진 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구동부가 공기펌프 타입인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구동부가 와이어 타입인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의 네트워크 환경은 하악 전진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서버(4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네트워크 환경은 하나의 예시로서, 하악 전진 장치(100)의 수나 사용자 단말(200)의 수가 도 2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서, 도 2의 네트워크 환경을 사용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10)은 사용자가 하악 전진 장치(100)를 착용하고 수면을 하는 도중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 따라 하악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으로 코골이 또는 무호흡증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100)는 구동부(140)가 구강의 외부에 배치되되 휴대 가능한 바디부(103)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부 장치와의 별도의 연결 없이 사용자가 수면 중에 착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수면에 대한 정확한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악 전진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아래턱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구강의 외부에 배치되는 바디부(103)와 구강에 배치되는 윗니 안착부(110) 및 아랫니 안착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악 전진 장치(100)는 구동부(140)가 외부에 배치되되, 구동부(140) 및 전원공급부(150)를 하나의 바디부(103) 내에 배치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휴대성 및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악 전진 장치(100)는 감지부(1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통신망(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400)로 상기 생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악 전진 장치(1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하악 전진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하악 전진 장치(1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생체 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0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망식을 이용하여 통신망(300)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 및/또는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통신망(30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300)은,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하악 전진 장치(100)와 통신망(300)을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4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40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400)에 접속하여 서버(40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40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제공되면,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하악을 언제 이동시킬지 또는 얼마만큼 이동시킬지를 결정하여 하악 전진 장치(100)의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 또는 하악 전진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주기적으로 제공되면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 기준을 학습하고, 판별 기준을 기초로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 또는 하악 전진 장치(100)로 제공한 후, 피드백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별 기준 또는 제어 신호 생성 기준을 재학습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한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부는 서버(400)가 아닌 사용자 단말(200) 또는 하악 전진 장치(1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400)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수면 상태의 판별 기준 및 제어 신호 생성 기준을 학습하고, 판별 기준 및 제어 신호 생성 기준을 하악 전진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하악 전진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직접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판별하고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221)가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하악 전진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도 3 및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시스템(10)은 윗니 안착부(110), 아랫니 안착부(120), 감지부(130), 구동부(140) 및 제어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윗니 안착부(110), 아랫니 안착부(120), 감지부(130) 및 구동부(140)는 사용자 착용 장치인 하악 전진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221)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될 수 있다.
하악 전진 장치(100)는 윗니 안착부(110), 아랫니 안착부(120), 감지부(130) 및 구동부(140)를 구비하며, 바디부(101), 전원공급부(150) 및 통신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윗니 안착부(110)는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될 수 있다. 윗니 안착부(110)는 사용자의 윗니가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윗니 안착부(110)는 윗니가 안착될 때 이물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치열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윗니 안착부(110)는 윗니에 착용될 때 윗니를 감싸며 윗니에 밀착될 수 있다.
아랫니 안착부(120)는 사용자의 아랫니가 안착될 수 있다. 아랫니 안착부(120)는 아랫니 안착부(120)는 아랫니가 안착될 때 이물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치열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아랫니 안착부(120)는 아랫니에 착용될 때 아랫니를 감싸며 아랫니에 밀착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윗니 안착부(110) 및 아랫니 안착부(120)와 연결되어, 윗니 안착부(110)에 대한 아랫니 안착부(120)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동부(14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141)와, 동력부(141)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을 윗니 안착부(110) 또는 아랫니 안착부(12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141)는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동력부(141)는 모터(motor), 액츄에이터(actuator) 및 펌프(pump)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동력부(141)는 전자석 또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동력전달부(145)는 상기 동력부(141)의 종류에 대응한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로서, 동력부(141)가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인 경우, 동력전달부(145)는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로부터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어(gear)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동력부(141)가 펌프인 경우, 동력전달부(145)는 펌프로부터 생성되는 공기의 유동을 전달하기 위한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4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구동부(140)는 사용자 구강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40)는 바디부(103) 내에 수용된 상태로 구강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구강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구강 내 부피의 한계로 인해 구성의 크기에 제한을 받거나, 하악을 전지시키기 위한 충분한 힘을 생성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동부(140)가 구강 외부에 존재하게 되면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동력부(141)를 선택이 보다 자유로우며, 동력전달부(145)에 배치되는 감지부(130) 등의 선택도 자유로어질 수 있다. 선택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감지부(130)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도 적게할 수 있고, 수면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소음을 줄일 수도 있다.
바디부(101)는 하악 전진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윗니 안착부(110) 또는 아랫닛 안착부(12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면(A1)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부(101)는 사용자가 하악 전진 장치(1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입 부분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면(A1)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일면(A1)은 사용자 얼굴 형태, 구체적으로 입 부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바디부(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일면(A1)에 대향되는 타면 또한, 일면(A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1)는 바디부(101)의 외부에 배치되는 윗니 안착부(110) 및 아랫니 안착부(120)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145)를 별도로 내부에 수용하는 돌출바디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바디부(103)는 동력전달부(145)를 내부에 수용하는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구강 또는 입술로부터 상기 일면(A1)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술 또는 피부에 일면(A1)이 부딪히는 불편감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1)는 일면(A1)에 감지부(130) 중 산소포화도 센서(131)의 감지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관통홀(105)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05)은 사용자가 하악 전진 장치(100)를 착용하였을 때, 코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돌출바디부(103)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수면 여부, 자세,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과 같은 수면 상태를 결정짓기 위한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130)는 호흡호흡 센서(132), 산소포화도 센서(131) 및 자세 센서(133, 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호흡호흡 센서(132)는 코골이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음향 센서이거나, 코 또는 입으로 흡입/배출되는 사용자의 호흡을 감지하는 공기흐름센서일 수 있다. 산소포화도 센서(131)는 산소포화도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호흡호흡 센서(132) 및 산소포화도 센서(131)는 사용자의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과 같은 수면 상태를 결정짓기 위한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 센서(133, 134)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결정짓기 위한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자세 센서(133, 134)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종류의 센서들이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세 센서(133, 134)는 3축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3축 센서(133)는 요(yaw) 축, 피치(pitch) 축 및 롤(roll) 축의 변동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3축 센서(133)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3축과 다른 개수의 축의 변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감지부(130)는 구강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강의 외부인 바디부(101)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생체 정보는 바디부(101)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통신모듈(16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160)은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MISC(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1) 내부에는 전원공급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50)는 교체식 또는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하악 전진 장치(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면 중에도 배선 등의 간섭없이 자유로운 수면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및 제2 통신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제2 통신모듈(26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4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제2 통신모듈(26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제어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1)를 통해 사용자의 하악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20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면동안 기록된 사용자의 수면 상태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시스템(10)을 통해 하악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하악 전진 장치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하악 전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21)는 감지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생체 정보(도 8의 S1)를 기초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판단하고(S2), 수면 상태에 따라 구동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1)는 호흡 센서(132) 또는 산소포화도 센서(131)로부터 감지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먼저 사용자가 실제 수면에 돌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21)는 자세 센서(133, 134)로부터 제공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면 자세는 사용자가 수면 중에 몸 전체를 움직이는 자세를 의미할 수 있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수면 자세란 중력 공간 내에서 기도의 내부 구조가 상대적으로 변하는 고개의 자세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면 중 사용자의 몸(body)가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거나, 옆으로 눕더라도 사용자의 고개는 이러한 자세를 단순히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 몸과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젖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몸은 바로 누운 자세라고 할지라도 고개가 기울어지는 것에 의해 호흡의 통로인 기도 공간이 확보되지 않게 되고,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시스템은 바디부(103)에 배치되는 자세 센서(133, 134)를 통해 사용자의 몸(body)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호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용자의 고개의 움직임을 수면 자세로서 감지하고 상기 수면자세에 대응하여 하악을 이동시킬 수 있다.
수면 자세는 적어도 제1 수면 자세 및 제1 수면 자세와 다른 제2 수면 자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수면 자세라고 판단되는 경우, 하악을 제1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수면 자세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거리와 다른 제2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반드시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반대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면자세는 양와위, 측와위 및 배와위 중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고개의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1)는 사용자의 수면 장애 정도에 따라 특정한 수면자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수면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이 발생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랫니 안착부(120)가 하악이 돌출되도록 전진 이동 될 수 있다. 제어부(221)는 호흡 센서(132) 또는 산소포화도 센서(131)로부터 감지된 생체정보를 통해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판단되면, 자세 센서(133, 13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면자세에 따라 하악을 이동시키는 거리 또는 정도가 달라지는바, 제어부(221)는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이 판단되면, 자세 센서(133, 134)를 구동시켜 수면 자세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생체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1)는 양와위, 측와위, 배와위 및 특정 수면 자세를 감지하고, 수면 자세에 따라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서와 같이, 단계 S1단계에서 하악 전진 장치(10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가 감지될 수 있다. S2단계에서 하악 전진 장치(100)에 위치한 감지부(130)를 통해 수면 자세가 판단될 수 있다. S31단계에서 수면 자세가 앙와위로 판단되면, 하악 전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1단계에서 하악이 전진된 상태이면, 하악 전진이 유지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S42단계에서 구동부(140)를 구동하여 하악이 전진될 수 있다. S32단계는 수면 자세가 측와위 또는 배와위로 판단되면, 하악 전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3단계에서 하악이 전진된 상태이면, 구동부를 구동하여 하악이 복귀될 수 있다. S44단계에서 하악이 복귀된 상태이면, 하악은 복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1)는 양와위 수면 자세라고 판단되면(도 8의 S31), 구동부(140)는 동력부(141)를 통해 아랫니 안착부(120)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도 8의 S42). 아랫니 안착부(120)가 전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측와위 또는 배와위로 변경하지 않는 한, 그 전진된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도 8의 S41). 전진 이동된 아랫니 안착부(120)에 의해 인두 부근의 기도를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기도를 확장시킴으로써, 기도 내의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수면 자세와 관계없이 아랫니가 전진 이동되어 턱관절 또는 치아의 불편함이 유발되는 경우와 달리, 사용자의 수면자세에 따라 하악의 전진 여부를 달리할 수 있다.
즉, 하악 전진 장치(100)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양와위 자세에서 측와위 또는 배와위 자세로 수면 자세를 변경하게 되면(도 8의 S32) 아랫니 안착부(120)는 윗니 안착부(110)에 대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도 8의 S43). 이로써, 사용자가 측와위 또는 배와위 수면 자세로 수면 시, 아랫니 안착부(120) 또는 윗니 안착부(110)에 강제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아, 사용자의 턱관절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하악 전진 장치(100)가 작동하는 경우, 아랫니 안착부(120)가 전진 상태를 상시 유지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일정 시간 이상 자세 변화가 없더라도 일정 시간 간격으로는 하악을 후퇴시켜줄 수 있다. 이는 수면을 취하는 동안 하악이 상시 전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로감 및 고통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일정 시간 간격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시간일 수 있다. 또는, 일정 시간 간격은 제어부(221)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학습하여 도출된 결과값일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하악 전진 시스템(10)을 제공하는 자가 사용자가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간을 미리 입력한 갑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동안 아랫니 안착부(120)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후퇴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수면 자세가 측와위인 경우에도 사용자의 몸 상태에 따라 코골이가 심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호흡 센서(132)에서 감지되는 코골이 소리를 통해 하악 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센서들 간 우선순위가 정해져 하악 전진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각각의 센서들에서 감지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하악 전진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하악 전진 장치(100) 작동 조건은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되거나, 딥러닝 기반으로 학습된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사람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개개인에 최적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구동 형태를 이용한 하악 전진 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동 형태를 이용한 하악 전진 장치의 윗니 안착부 및 아랫니 안착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하악 전진 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구동부가 공기펌프 타입인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구동부가 와이어 타이인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부(140)의 동력부(141)는 공기를 동력전달부(145)로 주입할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하고, 동력전달부(145)는 펌프로부터 주입되는 공기가 수용되는 실린더(122) 및 실린더(122) 내부에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이동가능한 피스톤(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윗니 안착부(110)는 피스톤로드(111)를 통해 피스톤(113)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111)의 일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윗니 안착부(110)와 연결될 수 있고, 피스톤(113)의 일단에는 밀폐부재(114)가 연결될 수 있다. 밀폐부재(114)는 고무의 재질로된 마개일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부(145)는 피스톤(113)과 실린더(122) 사이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112)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피스톤로드(111)의 형상은 탄성부재(112)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윗니 안착부(110)와 연결된 피스톤(113)은 동력부(141)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윗니 안착부(11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구강의 상부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구강의 하부측이 전진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아랫니 안착부(120)는 실린더(122)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122)는 동력부(141)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아랫니 안착부(120)가 전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실린더(122)가 전진하면서 피스톤로드(11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112)가 압출될 수 있다. 탄성부재(112)가 압축됨에 따라 실린더(122)가 중립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된 탄성부재(112)는 동력부(141)에 의해 제공되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실린더(122)를 중립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기펌프 타입의 경우, 동력전달부(145)는 펌프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의 통로인 튜브(147)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147)는 동력부(141)로부터 제공되는 힘에 의해 공기가 실린더(122)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튜브(147)를 통해 실린더(122) 내로 공기를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아랫니 안착부(120)가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 실린더(122) 내부에 주입되었던 공기가 제거되어야 중립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튜브(147)에 밸브(143)가 배치될 수 있다. 밸브(143)를 통해 튜브(147) 내로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전진 장치(100)가 공기펌프 타입인 경우, 하악 전진 장치(100)는 튜브(147) 내의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펌프 타입의 경우, 동력부(141)가 작동함에 따라 튜브(147) 내의 공기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고, 공기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실린더(122) 내부로 공기가 많이 유입될 수 있고, 실린더(122) 내부로 공기가 많이 유입됨에 따라 실린더(122)가 더 많이 전진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147)에 압력 센서가 배치되어 튜브 내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221)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즉, 하악이 필요한 만큼 전진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튜브(147) 내의 압력이 높아진 경우 동력부(141)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고, 튜브(147)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1)는 호흡 센서(132) 등을 통해 코골이가 감소한 것을 파악하거나 하악이 원래대로 복귀될 필요성이 있는 경우 밸브(143)를 개방하여, 튜브(147) 내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한편, 공기펌프 타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동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순서만으로 작동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한 범위에서 필요한 단계들이 적절히 각 순서의 사이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구동부(140)가 작동할 수 있다. 구동부(140)가 작동한다는 의미는 동력부(141)에 전력이 공급되어 튜브(147) 내의 공기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공기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실린더(122)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공기가 주입되면서 실린더(122) 내부압력으로 인해 내부공간이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압력의 힘은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 부분을 제외한 전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밀폐부재(114)가 부착된 피스톤(113)에 연결된 윗니 안착부(110)는 치아 전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윗니 안착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랫니 안착부(120)가 전진될 수 있다. 아랫니 안착부(120)가 전진 이동하면서 탄성부재(112)를 압축시킬 수 있다. 하악이 다시 중립의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밸브(143)를 열어 공기를 배출하여 실린더(122)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실린더(122)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탄성부재(112)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실린더(122) 및 아랫니 안착부(120)가 중립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구동부(140)가 와이어 타입의 경우, 동력전달부(145)는 튜브(147) 대신 와이어(148)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48)를 통해 동력부(141)와 실린더(122)가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타입의 경우 구동부(140)의 동력부(141)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145)는 와이어(148)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30)가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221)로 신호를 보내면, 앙와위 자세 등 하악이 전진될 필요가 있는 경우 와이어(148)는 동력부(141) 쪽으로 진행될 수 있따. 반면, 측와위 등 하악이 다시 중립의 위치로 이동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측으로 와이어가 진행될 수 있다.
동력부(141)가 와이어(148)를 밀어 하악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윗니 안착부(110)가 탄성부재(112)를 보유하여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악 전진 시스템은 수면 중,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하여, 수면 자세에 따라 하악 전진 장치의 이동 여부를 제공한다. 또한, 하악 전진 시스템은 구동부를 외부에 배치시킴으로써, 하악 전진 장치의 착용으로 인해 유발되는 통증 감소 및 타액 분비를 감소시키고,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해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악 전진 시스템
100 : 하악 전진 장치
110 : 윗니 안착부
120 : 아랫니 안착부
130 : 감지부
140 : 구동부
200 : 사용자 단말
400 : 서버

Claims (11)

  1.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윗니 안착부;
    상기 사용자의 아랫니가 안착되는 아랫니 안착부;
    상기 윗니 안착부 및 상기 아랫니 안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윗니 안착부에 대한 상기 아랫니 안착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센서를 통해 감지된 수면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윗니 안착부 또는 상기 아랫니 안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일면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윗니 안착부 및 상기 아랫니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하악 전진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위치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호흡 센서 및 산소포화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수면 상태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을 상기 윗니 안착부 또는 상기 아랫니 안착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공기를 상기 동력전달부로 주입할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펌프로부터 주입되는 상기 공기가 수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상기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이동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펌프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의 통로인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튜브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아랫니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윗니 안착부와 연결되는, 하악 전진 시스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하악 전진 시스템.

KR1020190121070A 2019-09-30 2019-09-30 하악 전진 시스템 KR102335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70A KR102335246B1 (ko) 2019-09-30 2019-09-30 하악 전진 시스템
EP20739232.5A EP3827791A4 (en) 2019-09-30 2020-04-02 LOWER JAW FEEDING SYSTEM
CN202080001400.8A CN112996465A (zh) 2019-09-30 2020-04-02 下颚前移系统
US16/962,103 US11974940B2 (en) 2019-09-30 2020-04-02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PCT/KR2020/004507 WO2021066270A1 (ko) 2019-09-30 2020-04-02 하악 전진 시스템
AU2020204643A AU2020204643B2 (en) 2019-09-30 2020-04-02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70A KR102335246B1 (ko) 2019-09-30 2019-09-30 하악 전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209A KR20210038209A (ko) 2021-04-07
KR102335246B1 true KR102335246B1 (ko) 2021-12-03

Family

ID=7533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70A KR102335246B1 (ko) 2019-09-30 2019-09-30 하악 전진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74940B2 (ko)
EP (1) EP3827791A4 (ko)
KR (1) KR102335246B1 (ko)
CN (1) CN112996465A (ko)
AU (1) AU2020204643B2 (ko)
WO (1) WO2021066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7652S1 (en) * 2020-07-15 2023-02-07 Peacefulsleep Pty Ltd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2641938B1 (ko) * 2021-08-23 2024-02-28 전남대학교병원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완화 장치 및 방법
KR20230132188A (ko) * 2022-03-08 2023-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시스템
CN114869698B (zh) * 2022-06-07 2023-05-23 浙江大学 一种面瘫患者口周肌肉锻炼装置
KR20240055439A (ko) * 2022-10-20 2024-04-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호흡장애 완화장치 및 수면호흡장애 완화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8698A (ja) * 2009-06-05 2012-11-15 ゼットエス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下顎突出関連適用のための装具および方法
KR101784416B1 (ko) * 2016-12-15 201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8138A (en) 1993-04-13 1999-02-09 Silent Knight Ventures, Inc.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5826579A (en) 1995-11-01 1998-10-27 University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Remote-controlled mandibular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device
FR2831427B1 (fr) * 2001-10-26 2004-08-20 Philippe Mousselon Orthese intra-orale anti-ronflement
ES2365003B2 (es) * 2009-10-22 2012-02-13 Laboratorio Ortoplus, S.L. Dispositivo intra-oral de avance mandibular regulable, aplicable para evitar el ronquido y la apnea del sueño.
KR20120103527A (ko) * 2012-08-04 2012-09-19 정지영 코골이방지장치
CN105142583B (zh) * 2013-03-14 2019-01-08 Zst控股股份有限公司 用于提供用于口腔矫治器疗法的自动滴定的系统和方法
WO2015187949A1 (en) 2014-06-04 2015-12-10 Giridharagopalan Subhalakshmi System and method for sensor driven intelligent oral appliance
US10537463B2 (en) * 2015-01-13 2020-01-21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 patient's mandible in response to sleep apnea status
CN104825268A (zh) * 2015-06-05 2015-08-12 吴东轶 一种抑制打鼾的口腔设备
KR101722640B1 (ko) *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US10251774B2 (en) * 2015-12-18 2019-04-09 Real 3D Polymers Group Llc Sleep apnea and anti-snoring system
KR101911279B1 (ko) * 2016-08-30 2018-10-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CN110099602A (zh) * 2016-12-20 2019-08-0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患者监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8698A (ja) * 2009-06-05 2012-11-15 ゼットエス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下顎突出関連適用のための装具および方法
KR101784416B1 (ko) * 2016-12-15 201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04643A1 (en) 2021-04-15
EP3827791A1 (en) 2021-06-02
KR20210038209A (ko) 2021-04-07
US11974940B2 (en) 2024-05-07
CN112996465A (zh) 2021-06-18
US20210401614A1 (en) 2021-12-30
WO2021066270A1 (ko) 2021-04-08
EP3827791A4 (en) 2021-11-03
AU2020204643B2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246B1 (ko) 하악 전진 시스템
US11684733B2 (en) Electrically stimulated respiratory assistance components
US11246744B2 (en) Device for moving lower jaw forward
US10376202B2 (en) Sleep apnea and anti-snoring system
US200803081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noring and/or Sleep Apnea of Sleeping Person
EP3547915A1 (en) Oral appliance monitoring
JP7477513B2 (ja) 下顎前方固定及び睡眠体位療法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470571B (zh) 用于呼吸治疗中经改进的顺应性的系统和方法
JP2017510362A5 (ko)
CN105392514B (zh) 具有接口管通气的重症监护通气机
KR102371569B1 (ko) 혀 유지 장치
KR102445156B1 (ko) 수면 장애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20331065A1 (en) Sleep apnea and anti-snoring system
US202200163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providing personalized pap therapy recommendations for a patient
KR102324850B1 (ko) 하악 전진 장치
KR102324851B1 (ko) 하악 전진 장치
KR102324852B1 (ko) 하악 전진 장치
TW201904510A (zh) 感測設備
EP4072407A1 (en) Accessories for a mandible advanc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