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949B1 -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949B1
KR102334949B1 KR1020190072325A KR20190072325A KR102334949B1 KR 102334949 B1 KR102334949 B1 KR 102334949B1 KR 1020190072325 A KR1020190072325 A KR 1020190072325A KR 20190072325 A KR20190072325 A KR 20190072325A KR 102334949 B1 KR102334949 B1 KR 10233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drive shaft
cooling water
cylind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621A (ko
Inventor
김승수
이범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7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9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15/00175
    • B01F15/00538
    • B01F15/02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driven stirrers
    • B01F23/431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driven stirrers the liquids being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or along the axis of a rotating stirrer, e.g. the stirrer rotating due to the reaction of the introduc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3Mixing liquids with solids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01F3/0857
    • B01F3/088
    • B01F3/1221
    • B01F3/127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제1로터 및 상기 제2로터를 배치하는 제1단계(S100); 제1구동축 및 제1로터를 고정연결하고 제2구동축을 제2로터와 고정연결하는 제2단계(S200); 냉각수투입구홀과 맞닿도록 냉각수투입구를 형성하는 제3단계(S300); 상기 냉각수투입홀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가 되는 냉각수이동관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0); 상기 냉각수토출홀과 맞닿도록 냉각수토출구를 형성하는 제5단계(S500);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에 형성되는 재료투입홀을 맞닿도록 재료투입구를 형성하는 제6단계(S600); 재료이동관을 형성하는 제7단계(S700); 상기 제1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설치하는 제8단계(S800) 및 상기 챔버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로터 및 제2로터의 회전에 의해 분산 또는 유화된 재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재료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가동하는 제9단계(S9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분산 또는 유화가 하나의 공정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여 강력한 전단력효과에 의해 미세입자를 나노입자크기로 분쇄하는 효과 및 또한, 본 발명은 제1로터 및 제2로터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쿨링시스템을 부가하여 실시함으로써 재료 및 임펠러구조의 변성 및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A Method of installment and functioning for a system structure of impeller based on rotator to rotator equipped with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로터-로터방식에 의한 임펠러구조를 이용하여 유체상태의 재료를 냉각시키면서 분쇄, 분산 또는 유화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식품, 화장품, 잉크, 페인트, 접착제, 코팅제, 정밀화학, 의약품, 나노 신소재와 첨단 전자재료 등을 이용하는 기초소재산업에는 재료와 재료를 혼합하여 기초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초재료로 혼합될 재료는 각 입자의 분산 또는 유화에 의한 혼합의 균일성, 세밀성이 완제품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분산(dispersion, homogenization)은 분말이 포함되는 고체가 액체에 또는 액체가 다른 액체에 균질하게 혼합되면서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하여 안정된 상태로 균일하게 존재되도록 하는 것으로, 대상에 따라 "고체"를 "액체"에 섞는 분산(suspension)과 계면이 존재하는 "제1 액체"와 "제2 액체"를 섞는 유화(emulsion)로 나눌 수 있다.
즉, 분산(dispersion, homogenization)은 입자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데 입자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것은 해당 물질에 강한 에너지(구동력)를 인가하여 분쇄, 전단(shearing) 또는 절단하므로 입자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것이다.
전통적인 분산과 유화 장치는 고압식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이며 압력(에너지)을 제트류로 변환하여 혼합할 대상물질(재료, 물질)을 벽에 충돌시키거나 반전시킴으로써 제트류의 운동에너지를 전단에너지로 변환시켜 분산과 유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처리과정에서 반응물(혼합 대상물질) 내에 압력과 속도구배가 존재하여 내용물 안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가 버블(bubble)을 발생시키고, 버블에 의하여 혼합되는 입자가 불균일하게 되며, 재료의 원만한 분산과 유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분산(dispersion)과 대비되는 혼합(mixing)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분산은 물질의 입자를 매우 작게 만들어 입자와 입자가 서로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는 상태이고, 혼합은 분산과 달리 물질(재료)과 물질(재료)을 단순하게 상호 섞는 것을 말한다.
종래기술의 로터-스테이터방식 분산유화장치의 경우 고정된 스테이터와 회전하는 로터로 이루어지고 로터의 회전에 의한 전단효과(shearing effects)에 의해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를 지나가는 대상물질(재료)의 입자를 잘게 부수어 분산유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로터-스테이터 방식이다.
로터-스테이터방식은 강한 회전력을 가진 모터에 의해 수만 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로터의 순간 속도(tip speed)는 약 20 m/sec 에 이르게 한다. 그리고 분산대상물(재료)이 엄청난 속도로 로터-스테이터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간격(clearance) 즉, 로터-스테이터의 갭(gap)은 0.1 mm 정도로서 매우 작은 갭을 이루는데 분산대상물이 강한 회전속도로 좁은 로터/스테이터 사이의 갭을 통과할 때 전단효과(shearing effect)가 발생해 입자의 크기가 순간적으로 매우 작게 전단 또는 잘라지게(shearing) 된다. 이러한 로터-스테이터 방식은 수십 년 전에 개발된 것으로 오랫동안 독일 IKA 사가 그 특허권을 보유하였으며 현재는 특허권 허여 기한이 지나 그 방법이 이미 공개된 상태에 있다. 그러나 혼합될 입자의 크기가 작은 나노입자 수준의 미세입자 분산유화에는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로터와 로터사이에서 유체상태의 재료를 분산 또는 유화시키는 처리를 하나는 경우에도 로터의 고속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나노입자 크기의 대상입자의 분산 또는 유화과정에서 열적으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05108호 "냉각수단이 구비된 분산유화장치" 가 제안되었는바, 이는 챔버 내부에서 작동하면서 분산유화대상물을 처리하는 로터-스테이터 형의 다단구조를 갖는 임펠러가 구조로, 이때 다단의 임펠러를 둘러싸고있는 챔버 내부에 냉각매체를 채워 임펠러의 작동시 발생한 열을 냉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나, 챔버 하단의 투입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은 임펠러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이루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통과하면서 고속 회전 분산유화처리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고열을 외부의 챔버 속의 냉매에 전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데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어왔다.
특히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나노 셀룰로오스의 경우 식물의 세포벽을 이루는 셀룰로오스를 100nm이하로 쪼갰을 때에 나노 셀룰로오스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나노 셀룰로오스의 일종인 셀룰로오스 나노결정체(CNCs 또는 Cellose Nano Crystals)는 높은 강도가 있고 물과의 친한 성질 덕분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하지만, 기존의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 로터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로 인해 분쇄의 대상이 되는 입자가 열적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뿐만 아니라 화장품, 프린터용 잉크 등 다양한 미세한 크기의 입자들을 열적변형없이 분산작업 또는 유화작업을 수행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1-0053204호(2001.08.31.) "실 조립체와, 터빈 로터 및 스테이터 장치와,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반경방향 갭의 밀봉 방법(TURBINE ROTOR-STATOR LEAF SEAL AND RELATED METHOD)"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4-7025991호(2013.01.24.) "하우징, 변위 가능한 스테이터 및 스테이터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로터를 구비한 베인형 펌프(VANE-TYPE PUMP HAVING A HOUSING, HAVING A DISPLACEABLE STATOR, AND HAVING A ROTOR THAT IS ROTATABLE WITHIN THE STATOR)"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노 셀룰로오스와 같은 미세입자들의 열적변형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대상물을 나노입자크기로 분쇄할 수 있는 임펠러구조를 효율적으로 설치 및 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된 챔버 및 실린더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에 효율적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재료인 미세입자들의 열적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각시스템을 이용한 임펠러구조를 설치 및 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된 챔버 및 실린더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하 로터의 외측에 횡으로 넓은 면적에서 각각 효율적으로 방열이 일어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임펠러구조를 설치 및 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챔버, 제1실린더, 제1구동축, 제1로터, 제1모터, 제2실린더, 제2구동축, 제2로터, 제2모터, 냉각기, 재료흡입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용함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제1로터 및 상기 제2로터가 간격을 두고 포개지면서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제1구동축 및 상기 제2구동축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 상부 및 제2실린더의 하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제1로터와 제1로터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2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제2로터와 제2로터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하되, 일단이 상기 제1구동축 및 상기 제2구동축에 형성되는 냉각수투입구홀과 맞닿도록 냉각수투입구를 형성하는 제3단계(S300); 일단은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의 각각의 내측에 관의 형태로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로터몸체 및 상기 제2로터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투입홀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가 되는 냉각수이동관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0); 상기 냉각수이동관을 통해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의 측면에 냉각수토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의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에 상기 냉각수토출홀과 맞닿도록 냉각수토출구를 형성하는 제5단계(S500); 상기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각각의 측면 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 측면의 외측 및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에 형성되는 재료투입홀을 맞닿도록 재료투입구를 형성하는 제6단계(S600); 상기 제1구동축 및 상기 제2구동축의 내부에서 상기 재료투입구와 상기 제1구동축결합홀 및 상기 제2구동축결합홀의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재료가 상기 제1로터톱 및 제2로터톱의 사이로 이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재료이동관을 형성하는 제7단계(S700); 상기 제1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설치하는 제8단계(S800); 및 상기 챔버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로터 및 제2로터의 회전에 의해 분산 또는 유화된 재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재료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가동하는 제9단계(S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로터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되 중앙이 관통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로터몸체 및 상기 제1로터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로터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로터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되, 중앙부분이 관통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로터몸체 및 상기 제2로터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로터톱과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터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각수이동관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냉각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1구동축은 상기 제1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 및 상기 제1구동축에 구비되는 구동풀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모터 및 상기 제2구동축은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 및 상기 제2구동축에 구비되는 구동풀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의 각각의 타단에 형성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어링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의 상면 및 상기 제2실린더의 하면에 각각 결합하는 풀리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를 흡입하여 상기 재료흡입구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흡입펌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제1로터 및 제2로터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시예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로 제1로터와 제2로터로 이루어지는 임펠러구조를 구성하여 대상물질이 되는 재료가 임펠러를 거쳐 통과되면서 분산 또는 유화가 하나의 공정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여 강력한 전단력효과에 의해 미세입자를 나노입자크기로 분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로터 및 제2로터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쿨링시스템을 부가하여 실시함으로써 재료 및 임펠러구조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밀폐된 챔버 및 실린더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하 로터의 외측에 횡으로 넓은 면적에서 각각 효율적으로 열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절차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2의 A-A'의 제2구동축 및 제2실린더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사용하는 제1로터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하는 제1로터, 제1로터고정브래킷 및 제1구동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의 부분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고려하여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히 기능 및 구조의 설명을 통하여 의미를 설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절차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2의 A-A'의 제2구동축 및 제2실린더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사용하는 제1로터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하는 제1로터, 제1로터고정브래킷 및 제1구동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의 부분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챔버, 제1실린더, 제1구동축, 제1로터, 제1모터, 제2실린더, 제2구동축, 제2로터, 제2모터, 냉각기, 재료흡입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용함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로터(400) 및 상기 제2로터(700)가 간격을 두고 포개지면서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200) 상부 및 제2실린더(300)의 하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구동축(500)의 타단은 상기 제1로터(400)와 제1로터고정브래킷(600)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2구동축(800)의 타단은 상기 제2로터(700)와 제2로터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하되, 일단이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에 각가 형성되는 냉각수투입구홀(240, 340)과 맞닿도록 냉각수투입구(1000)를 형성하는 제3단계(S300); 일단은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제2구동축(800)의 각각의 내측에 관의 형태로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로터몸체(420) 및 상기 제2로터몸체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투입홀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가 되는 냉각수이동관(1100)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0); 상기 냉각수이동관(1100)을 통해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의 측면에 냉각수토출홀(240, 340)을 형성하고,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의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에 상기 냉각수토출홀과 맞닿도록 냉각수토출구(1200)를 형성하는 제5단계(S500); 상기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각각의 측면 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 측면의 외측 및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에 형성되는 재료투입홀을 맞닿도록 재료투입구(1300)를 형성하는 제6단계(S600);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의 내부에서 상기 재료투입구(1300)와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 각각의 재료투입홀(260,360)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재료가 상기 제1로터톱 및 제2로터톱의 사이로 이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재료이동관(1400)을 형성하는 제7단계(S700); 상기 제1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500) 및 상기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1600)를 설치하는 제8단계(S800); 및 상기 챔버(100)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의 회전에 의해 분산 또는 유화된 재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재료토출구(1700)를 형성하고 상기 제1모터(1500) 및 제2모터(1600)를 가동하는 제9단계(S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로터(400)는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중앙이 관통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로터몸체(420) 및 상기 제1로터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로터톱(4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로터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되, 중앙부분이 관통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로터몸체 및 상기 제2로터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로터톱과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터톱을 포함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를 배치하는 제1단계(S100), 제1구동축(500) 및 제2구동축(800)을 고정 및 배치하는 제2단계(S200), 냉각수투입구(1000)를 형성하는 제3단계(S300), 냉각수이동관(1100)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0), 냉각수토출구(1200)를 형성하는 제5단계(S400), 재료투입구(1300)를 형성하는 제6단계(S600), 재료이동관(1400)을 형성하는 제7단계(S700), 제1모터(1500) 및 제2모터(1600)를 연결하고 가동하는 제8단계(S800)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냉각기(1800) 또는 재료흡입펌프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챔버(100)는 도 2와 같이, 원반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의 각각의 몸체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분쇄, 분산 또는 유화가 일어나는 구성요소로서 실시조건에 따라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100)를 외부와 밀폐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시조건에 따라 상기 제1구동축 및 상기 제2구동축이 챔버와 접하는 부분을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정도에서 재료가 외부로 새어나가기 않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실린더(200)는 도 2와 같이 상기 챔버상부에 제1실린더의 하부가 밀착결합하고, 제2실린더(300)는 상기 챔버(100)의 하부에 제2실린더(300)의 상부와 밀착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챔버와 제1실린더는 제1구동축이 첨부된 도 2와 같이 베어링(20)에 의해 회전 가능한 정도로 결합하는 것 외에는 재료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챔버(100)와 제2실린더(30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단계(S100)는 유체상태의 재료를 분산 또는 유화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상기 제1로터와 상기 제2로터가 간격을 두고 포개지면서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로터(400)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하여 실시하되, 중앙이 관통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로터몸체(420), 상기 제1로터몸체 전면(450)에 돌출형성되는 제1로터톱(440)으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로터몸체의 후면(455)은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발열기능이 좋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로터(700)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로터몸체와 상기 제2로터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로터톱과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터톱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제2로터는 제1로터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2로터몸체 및 제2로터톱의 도면번호미도시.)
상기 제2단계(S200)는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200) 상부 및 제2실린더(300)의 하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구동축(500)의 타단은 상기 제1로터(400)와 제1로터고정브래킷(600)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2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제2로터와 제2로터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구동축(500)은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제1구동축의 일단(520)을 상기 제1실린더 상부를 관통하여 연장시키고, 상기 제1구동축의 타단(540)은 상기 제1실린더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챔버(10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구동축(500)과 제1로터와의 결합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제1로터몸체와 측부결합하는 제1로터고정브래킷 날개(620) 및 상기 제1구동축의 타단과 결합하는 제1구동축결합홀(640)로 구성되는 제1로터고정브래킷(6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구동축결합홀(640)을 제1로터의 결합공(460)에 볼트체결에 의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첨부된 도 2 및 8과 같이, 제1구동축(500)을 제1모터(1500)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구동축(500)에 일종의 도르래의 역할을 하는 구동풀리(580)를 구비하여 제1모터(1500)와 구동벨트(1520)로 연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구동축(800)을 제2모터(1600)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구동축에도 구동풀리를 구비하여 제2모터(1600)와 구동벨트(1620)로 연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모터(1500) 및 상기 제1구동축(500)은 상기 제1모터(15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1520)) 및 상기 제1구동축에 구비되는 구동풀리(58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모터(16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은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1620) 및 상기 제2구동축에 구비되는 구동풀리(880)에 의해 연결되도록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제2구동축(800)의 각각의 타단에 베어링(1900) 및 상기 베어링(1900)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어링하우징(2020)을 구비하여 상기 제1실린더의 상면 및 상기 제2실린더의 하면에 각각 결합하는 풀리하우징(2000)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풀리하우징(2000)은 각각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와 고정함으로써 제1구동축(500) 및 제2구동축(80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구동축은 첨부된 도 3 및 7과 같이, 제2구동축의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300)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제2로터고정브래킷(도면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제2로터와 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첨부된 도 5의 제1로터(400) 및 제1로터고정브래킷(600)과의 결합과 동일하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단계(S300)는 상기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를 각각 관통하면서 일단이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에 형성되는 냉각수투입구홀(220)과 맞닿도록 냉각수투입구(10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투입구(1000)는 첨부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를 각각 관통하여 형성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냉각수투입구(1000)의 일단이 상기 제1구동축 및 상기 제2구동축에 형성되는 냉각수투입홀(220)과 맞닿도록 구성하고 상기 냉각수투입구(1000)의 타단은 상기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의 외부와 연결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냉각수투입구(1000)는 후술하는 냉각기(180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냉각수투입홀(220을 통해 냉각수이동관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은 각각 제1모터(1500) 및 제2모터(1600)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므로 냉각수투입홀(220, 320)은 360도로 1회전을 할 때마다 1번씩 상기 냉각수투입구(1000)와 만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의 회전에 의해 음압이 발생하게 되고 냉각수투입홀(220, 320)과 상기 냉각수투입구(1000)가 접합는 순간에 냉각수가 냉각수투입구(1000)에서 냉각수투입홀(220, 32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4단계(S400)는 상기 냉각수이동관(1100)의 일단은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제2구동축(800)의 각각의 내측에 관의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이동관의 타단은 상기 제1로터몸체 및 상기 제2로터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냉각수투입홀(220,320)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가 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이동관(1100)은 첨부된 도 2 및 도 6과 같이 냉각수수이동관(1100)의 일단을 제1구동축(500) 및 제2구동축(800)의 각각의 내측에 관의 형태로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냉각수투입홀(220)과 연결하고, 상기 냉각수이동관(1100)의 타단은 상기 냉각수투입홀(220)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이동관(1100)의 구조 또는 형태는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냉각수가 냉각기(1800)에서 나와 냉각수투입구(1000). 냉각수투입홀(220, 320) 및 냉각수이동관(110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수이동관(1100)에 냉각수를 구동력에 의해 공급하는 냉각기(1800)를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5단계는 상기 냉각수이동관(1100)을 통해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의 측면에 냉각수토출홀(240, 340)을 형성하고,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의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에 상기 냉각수토출홀(240, 340)과 맞닿도록 냉각수토출구(12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각수토출구(1200)는 첨부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의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냉각수토출구(1200)의 일단은 상기 냉각수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냉각수토출홀(240)과 맞닿고, 상기 냉각수토출구(1200)의 타단을 상기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의 외부와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은 각각 제1모터(1500) 및 제2모터(1600)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므로 냉각수토출홀(240, 340)은 360도로 1회전을 할 때마다 1번씩 상기 냉각수토출구(1200)와 만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토출홀(240, 340)과 상기 냉각수토출구(1200)가 접합는 순간에 냉각수가 냉각수토출홀(240, 340)에서 냉각수토출구(120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각각의 측면 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 측면의 외측 및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에 형성되는 재료투입홀을 맞닿도록 재료투입구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재료투입구(1300)는 분쇄, 분산 또는 유화의 대상이 되는 유체상태의 재료를 제1구동축(500) 또는 제2구동축(800)의 내부를 통해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로 보내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와 같이 상기 재료투입구(1300)를 상기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의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실린더 측면의 외측 및 내측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는 재료투입홀(360))과 맞닿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은 각각 제1모터(1500) 및 제2모터(1600)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므로 재료투입홀((360)은 360도로 1회전을 할 때마다 1번씩 상기 재료투입구(1300)와 만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의 회전에 의해 음압이 발생하면서 상기 재료투입홀(360)과 상기 재료투입구(1300)가 접합는 순간에 재료가 재료투입구(1300)에서 재료투입홀(36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재료투입홀(360)에 투입되는 재료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유체상태의 재료를 흡입하여 상기 재료흡입구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흡입펌프(도면미도시)를 포함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7단계는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의 내부에서 상기 재료투입구(1300)와 상기 제1구동축결합홀 및 상기 제2구동축결합홀의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재료가 상기 제1로터톱 및 제2로터톱의 사이로 이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재료이동관(14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1구동축(400) 및 상기 제2구동축(600)의 내부에서 상기 재료투입구와 상기 제1구동축결합홀(560) 및 상기 제2구동축결합홀(760)의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재료투입구(1100)를 통해 유입되는 재료가 상기 제1로터톱(540) 및 제2로터톱(740)의 사이로 이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재료이동관(1400)은 첨부된 도 3 및 도 7과 같이 상기 제1구동축(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의 내부에서 상기 재료투입구(1300)를 통해 유입되는 재료가 상기 제1로터(400) 및 제2로터톱(700)의 사이로 이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8단계(800)는 상기 제1구동축(500)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5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16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구동축(40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1300) 및 상기 제2구동축(600)을 상기 제1구동축(40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모터(1400)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제1모터와 제2모터의 회전력은 실시조건이 되는 분산 또는 유화의 대상물인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100)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로터 (400)및 제2로터(700)의 회전에 의해 분산 또는 유화된 재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재료토출구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재료토출구(1700)는 도 2과 같이 상기 챔버(10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의 회전에 의해 분쇄, 분산 또는 유화된 재료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재료의 종류 및 본 발명의 실시목적에 따라 제1로터몸체 및 제2로터몸체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제1로터 및 제2로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재료는 챔버의 내부에 쌓이게 되고 후술하는 흡입펌프의 압력에 의해 챔버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게 되므로 상기 재료토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재료를 상기 재료토출구(170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배출펌프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출펌프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펌프를 이용하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상기 제1모터(1500) 및 상기 제1구동축(500)은 상기 제1모터(15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1520)) 및 상기 제1구동축에 구비되는 구동풀리(58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모터(160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은 상기 제2모터(16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1620) 및 상기 제2구동축(800)에 구비되는 구동풀리(88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의 각각의 타단에 형성되는 베어링(1900) 및 상기 베어링(1900)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어링홀더(20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200)의 상면 및 상기 제2실린더(300)의 하면에 각각 결합하는 풀리하우징(2000)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제1로터 및 제2로터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도면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의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온도가 비이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하고 제1로터(400)의 제2로터(700)의 작동을 멈추게 하거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조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재료는 화장품원료, 식재료, 프린터용 잉크 등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가 뜨거워진 제1로터 및 제2로터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흡입펌프를 이용하여 유체상태의 재료를 제1실린더(200) 및 제2실린더(3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재료는 재료투입구(1300)를 지나 재료투입홀(220, 320)을 통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500) 및 제2구동축(800)의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재료이동관(1400)을 통해 챔버(100)로 이동한다.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된 재료는 제1로터(400)와 제2로터(700)의 중앙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로터톱(440) 및 제2로터톱은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각각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재료는 상기 제1로터톱과 제2로터톱을 사이를 지나면서 분쇄, 분산 및 유화의 과정을 거친다. 이때 재료의 이동방향은 제1로터몸체(420) 및 제2로터몸체의 중앙부에서 테두리방향으로 원심력에 이끌려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챔버(100)에서 재료토출구(1700)를 통해 배출되게 것이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하여 냉각기(1800)가 작동한다. 냉각기(1800)를 통해 제공된 냉각수는 냉각수투입구(1000)를 지나 냉각수투입홀(220, 320)을 통해 냉각수이동관(1100)으로 이용한다. 냉각수는 냉각수이동관(1100)을 따라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를 각각 거치면서 제1로터(400) 및 제2로터(70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열을 내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온도가 올라간 냉각수는 냉각수토출홀(240, 340) 및 냉각토출구(1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 하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베어링
100; 챔버
200; 제1실린더
220; 냉각수투입홀
240; 냉각수토출홀]
360; 재료투입홀
300; 제2실린더
320; 냉각수투입홀
340; 냉각수토출홀
360; 재료투입홀
400; 제1로터
420; 제1로터몸체
440; 제1로터톱
460; 결합공
450; 제1로터몸체 전면
455; 제1로터몸체 후면
460; 결합공
500; 제1구동축
520; 제1구동축일단
540; 제1구동축타단
600; 제1로터고정브래킷
620; 제1로터고정브래킷날개
640; 제1구동축결합홀
700; 제2로터
800; 제2구동축
840; 제2구동축타단
900; 제2로터고정브래킷
1000; 냉각수투입구
1100; 냉각수이동관
1200; 냉각수토출구
1300; 재료투입구
1400; 재료이동관
1500; 제1모터
1600; 제2모터
1700; 재료토출구
1800; 냉각기
1900; 베어링
2000; 풀리하우징
2020; 베어링하우징
2200; 배수구

Claims (6)

  1. 챔버, 제1실린더, 제1구동축, 제1로터, 제1모터, 제2실린더, 제2구동축, 제2로터, 제2모터, 냉각기, 재료흡입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용함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제1로터 및 상기 제2로터가 간격을 두고 포개지면서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제1구동축 및 상기 제2구동축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 상부 및 제2실린더의 하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제1로터와 제1로터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2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제2로터와 제2로터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하되, 일단이 상기 제1구동축 및 상기 제2구동축에 형성되는 냉각수투입홀과 맞닿도록 냉각수투입구를 형성하는 제3단계(S300);
    일단은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의 각각의 내측에 관의 형태로 구비되고, 타단은 제1로터몸체 및 제2로터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투입홀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가 되는 냉각수이동관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0);
    상기 냉각수이동관을 통해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의 측면에 냉각수토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의 각각의 측면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에 상기 냉각수토출홀과 맞닿도록 냉각수토출구를 형성하는 제5단계(S500);
    상기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각각의 측면 상부 및 측면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측면의 외측 및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에 형성되는 재료투입홀을 맞닿도록 재료투입구를 형성하는 제6단계(S600);
    상기 제1구동축 및 상기 제2구동축의 내부에서 상기 재료투입구와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 각각의 재료투입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재료가 제1로터톱 및 제2로터톱의 사이로 이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재료이동관을 형성하는 제7단계(S700);
    상기 제1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설치하는 제8단계(S800); 및
    상기 챔버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로터 및 제2로터의 회전에 의해 분산 또는 유화된 재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재료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가동하는 제9단계(S9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로터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되 중앙이 관통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로터몸체 및 상기 제1로터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로터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로터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되, 중앙부분이 관통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로터몸체 및 상기 제2로터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로터톱과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터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2. 제 1항에서,
    상기 냉각수이동관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냉각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1구동축은 상기 제1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 및 상기 제1구동축에 구비되는 구동풀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모터 및 상기 제2구동축은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 및 상기 제2구동축에 구비되는 구동풀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제1구동축 및 제2구동축의 각각의 타단에 형성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어링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의 상면 및 상기 제2실린더의 하면에 각각 결합하는 풀리하우징;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5. 제 1항 또는 제2항에서,
    재료를 흡입하여 상기 재료투입구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흡입펌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제1로터 및 제2로터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KR1020190072325A 2019-06-18 2019-06-18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KR102334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325A KR102334949B1 (ko) 2019-06-18 2019-06-18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325A KR102334949B1 (ko) 2019-06-18 2019-06-18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21A KR20200144621A (ko) 2020-12-30
KR102334949B1 true KR102334949B1 (ko) 2021-12-28

Family

ID=7408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325A KR102334949B1 (ko) 2019-06-18 2019-06-18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9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7274B2 (en) 2000-12-13 2003-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ine rotor-stator leaf seal and related method
WO2012111218A1 (ja) * 2011-02-17 2012-08-23 新東工業株式会社 タンク装置、循環式分散システム、及び分散方法
DE102012204424A1 (de) 2012-03-20 2013-09-26 Robert Bosch Gmbh Flügelzellenpumpe mit einem Gehäuse, einem verschiebbaren Stator, und einem innerhalb von dem Stator drehbaren Rotor
KR101780329B1 (ko) * 2015-05-06 2017-09-2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
KR101809526B1 (ko) * 2015-12-15 2018-01-18 무진기공주식회사 에멀션 연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21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0840A (en) Rotors and stators for mixers and emulsifiers
JP3159870B2 (ja) 材料の微粉砕および超微粉砕を行うために連続的に作動する撹拌装置ボールミル
KR101658410B1 (ko) 고점도 유체 분산유화장치
US20240033695A1 (en) Mixing apparatus with flush line and method
US10137420B2 (en) Mixing apparatus with stator and method
US7883041B2 (en) Media mixing mill
CN108698000B (zh) 用于混合尤其是分散的装置和方法
US20010042803A1 (en) Pipeline beads mill and dispersing system having the pipeline beads mill
JP4886993B2 (ja) メディア攪拌型湿式分散機
KR102334949B1 (ko) 냉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방법
KR101245869B1 (ko) 미디어 교반형 습식 분산기
KR102601457B1 (ko) 분산 분쇄 장치
CN113710354A (zh) 搅拌机
KR102334946B1 (ko) 쿨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NO20161286A1 (en) Mixing apparatus with stator and method
KR101755562B1 (ko) 분쇄분산기용 분리기
JP5794564B2 (ja) 攪拌装置
KR101707814B1 (ko) 저점도 유체 분산유화장치
JP2002525200A (ja) マルチバレルメディアミルおよび破砕方法
KR20140073023A (ko) 원 패스 타입 분산유화장치
KR100911760B1 (ko) 나노 분산기
JP3772280B2 (ja) 超臨界場を用いた媒体分散方法及び媒体分散装置
JP2005246316A (ja) メディア攪拌型湿式粉砕機
TW201338858A (zh) 單程式分散及乳化裝置
KR102226886B1 (ko)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