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735B1 - Manual Therapy System Using Elevating Bed - Google Patents

Manual Therapy System Using Elevating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735B1
KR102333735B1 KR1020210104496A KR20210104496A KR102333735B1 KR 102333735 B1 KR102333735 B1 KR 102333735B1 KR 1020210104496 A KR1020210104496 A KR 1020210104496A KR 20210104496 A KR20210104496 A KR 20210104496A KR 102333735 B1 KR102333735 B1 KR 10233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seat
head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효성
김정훈
김용건
주화평
김수훈
심국보
장재영
김희정
양우빈
이시우
Original Assignee
이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우 filed Critical 이시우
Priority to KR102021010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7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7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6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therapy system using an elevating bed, wherein by freely adjusting a height of the bed on which a patient is ly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a medical personnel,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in improving a convenience of manual therapy. The manual therapy system using the elevating bed comprises an elevating bed provided for the patient for which he/she lies down to receive the manual therapy.

Description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Manual Therapy System Using Elevating Bed}Manual Therapy System Using Elevating Bed

본 발명은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인의 필요에 따라 환자가 누워 있는 침대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도수 치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treatment system using an elevating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nual treatment by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on which a patient is ly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medical personnel. It is about the treatment system.

일반적으로 도수치료에 사용되는 베드는 환자의 등과 머리가 동시에 지지되기 때문에 경추의 치료가 불가능하고, 요추와 고관절 및 무릎 관절을 굴절시키는 방식으로만 치료가 가능하여 요추와 척추, 고관절과 무릎 및 경추에 대한 견인치료가 불가능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since the bed used for manual therapy supports the patient's back and head at the same time, it is impossible to treat the cervical spine, and it can be treated only by refraction of the lumbar spine, hip joint, and knee join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be effectively treated because traction treatment was impossible.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purpose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1415104호Korean Patent No. 10-1415104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의료인의 필요에 따라 환자가 누워 있는 침대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도수 치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al treatment system using an elevating bed implement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nual therapy by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on which the patient is ly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medical personnel.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은, 환자가 누워서 도수 치료를 받기 위해 구비되는 승강 베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ual treatment system using the lifting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은, 상기 승강 베드에서 치료 중인 환자의 진료 차트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도수 치료를 수행할 의료인이 착석하기 위해 구비되는 의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ual treatment system using an elevating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nitoring device for outputting a medical treatment chart of a patient being treated in the elevating bed; and a chair provided for a medical person to perform manual treatment on to sit on;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베드는, 환자의 등 및 하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시트부;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시트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시트부; 상기 제1 시트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시트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승하강부; 및 상기 제2 시트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시트부를 회동시켜 주는 시트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fting bed, the first seat portion for supporting the back and lower body of the patient; a second sea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at portion to support the patient's head; an elevating unit installed under the first seat unit to raise or lower the first seat unit; and a seat rotation unit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sheet unit to rotate the second sheet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 회동부는, 전방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시트부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시트부를 지지하는 곡선형 지지대; 및 전단이 상기 승하강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승하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전단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승하강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2 시트부의 전단이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곡선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된 상기 제2 시트부의 전단이 다시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부로 삽입되는 지지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 rotation unit, a curved support formed in a circularly bent forward, one end is connected to be rotatably installed below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heet portion to support the second sheet portion; And the front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elevating unit as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elev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uni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support is rotated at the front end exposed to the front of the elevating unit Connected so as to be possible,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eat part supported by the curved support is exposed from the elevating part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eat part supported by the curved support can be raised, and the front end of the raised second seat part supported by the curved support is again It may include a; support driving unit that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unit so as to be lower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입구가 상기 승하강부의 전단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승하강부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파이프;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내측으로 노출되면서 설치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기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구동 기어의 상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렉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driving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 and rear, the inlet is exposed to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section sliding pipe installed below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section; a driving gear installed while exposing the upper part to the inside of the sliding pipe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liding pipe;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gear to rotate the driving gear; A slider that is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sliding pipe, is seated inside the sliding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exposed to the front end of the sliding pip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support is rotatable ; and a rack ge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gear to be instal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선형 지지대는,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의 각 전단 및 후단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전방으로 둥근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최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이 상기 제2 시트부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최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이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시트부를 지지하는 체인형 지지대;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시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의 하단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rved support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rounded curve in the front, and the support block disposed in the frontmost part is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heet part a chain-type support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support block disposed at the rearmost side to the front end of the slider to support the second seat part; a gap support frame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from narrowing; and a gap support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from being widened and at the same time to cushion th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eat part.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길이가 줄어드는 전후 대칭 구조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front-rear symmetric structure in which the front-to-rear length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lower 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은, 전방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홈에 안착되고, 타단이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에 안착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단이 상기 후단 안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헤드;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단이 상기 전단 안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ap support frame is formed to be rounded forward, one end is seated in a rear end seating groov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lock disposed in the front, the other en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block disposed at the rear The frame body to be seated in the front-end seating groove; a first head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body to prevent one end of the frame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end seating groove; and a second hea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body to prevent the other end of the frame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end seating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단 안착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가 삽입 또는 노출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헤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구가 상기 제1 헤드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헤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r end seating groove has an inlet narrow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ead to prevent the first head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frame body is inserted or exposed, and the first head is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ircl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ame body so as to be movab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안착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가 삽입 또는 노출되는 동시에 상기 제2 헤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구가 상기 제2 헤드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헤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ont end seating groove, the entrance is formed narrow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ead to prevent the second head from being separated at the same time the frame body is inserted or exposed, the second head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ircl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ame body so as to be movabl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의료인의 필요에 따라 환자가 누워 있는 침대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도수 치료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환자의 상태나 상황에 적합하도록 하여 도수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onvenience of manual treatment is improved by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on which the patient is ly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medical personnel, thereby improving the effect of manual treatment by making it suitable for the condition or situation of the patient. effec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승강 베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시트 회동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도 3의 지지대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곡선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anual treatment system using an elevating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evating bed of FIG. 1 .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at rotation unit of FIG. 3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driving unit of FIG. 3 of FIG. 4 .
7 is a view showing the curved support of FIG. 4 .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anual treatment system using an elevating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10)은, 승강 베드(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manual treatment system 10 using an elevating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ing bed 100 .

승강 베드(100)는, 환자가 누워서 도수 치료를 받기 위해 구비된다.The lifting bed 100 is provided for a patient to lie down and receive manual treatmen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10)은, 모니터링 장치(200) 및 의자(300)를 포함한다.The manual treatment system 10 using an elevating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monitoring device 200 and a chair 300 .

모니터링 장치(200)는, LED 또는 LCD 모니터 등을 구비하여 승강 베드(100)에서 치료 중인 환자의 진료 차트 등의 정보를 출력한다.The monitoring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n LED or LCD monitor and outputs information such as a medical treatment chart of a patient being treated in the elevating bed 100 .

의자(300)는, 도수 치료를 수행할 의료인이 착석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chair 300 is provided to seat a medical person who will perform manual treatmen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10)은, 의료인의 필요에 따라 환자가 누워 있는 침대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도수 치료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환자의 상태나 상황에 적합하도록 하여 도수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nual treatment system 10 using an elevating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mproves the convenience of manual treatment by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on which the patient is ly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medical personnel.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ect of manual therapy by making it suitable for the patient's condition or situation.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승강 베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evating bed of FIG. 1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베드(100)는, 제1 시트부(110), 제2 시트부(120), 승하강부(130) 및 시트 회동부(400)를 포함한다.2 and 3 , the lifting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eat unit 110 , a second seat unit 120 , an elevating unit 130 , and a seat rotation unit 400 . include

제1 시트부(110)는, 환자의 등 및 하체를 지지하며, 전단에 제2 시트부(1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에 승하강부(130)가 설치된다.The first seat unit 110 supports the back and lower body of the patient, and the second seat unit 1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the elevating unit 130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제2 시트부(120)는,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제1 시트부(110)의 전단에 시트 회동부(40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second seat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at unit 110 to support the patient's head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seat rotating unit 400 .

일 실시예에서, 제2 시트부(120)는, 환자가 도수 치료 도중에 안면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감싼 얼굴 안착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eat unit 120 may have a face seating hole 121 wrapped in a soft material so that the patient can seat his or her face during manual treatment.

승하강부(130)는, 제1 시트부(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시트부(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The elevat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at unit 110 to raise or lower the first seat unit 110 .

시트 회동부(400)는, 제2 시트부(12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제2 시트부(120)를 회동시켜 준다.The seat rotating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eat unit 120 to rotate the second seat unit 12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베드(100)는, 의료인이 도수 치료 도중 또는 의자(3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승하강부(130) 또는 시트 회동부(4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50)을 구비할 수 있다.The elevating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levating unit 130 or the seat rotating unit 400 while the medical personnel is seated in the chair 300 or during manual treatment.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50 for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시트 회동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at rotation unit of FIG. 3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회동부(400)는, 곡선형 지지대(410) 및 지지대 구동부(420)를 포함한다.4 and 5 , the seat rotat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urved support 410 and a support driving unit 420 .

곡선형 지지대(410)는, 전방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일단이 제2 시트부(120)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시트부(120)를 지지하고, 타단이 지지대 구동부(42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지지대 구동부(42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2 시트부(120)의 전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The curved support 410 is formed to be curved forward, and one end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y below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eat part 120 to support the second seat part 120 , and the other end is the support drive part 420 . )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as the support driving unit 420 sl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raises or lowers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eat unit 120 .

지지대 구동부(420)는, 전단이 승하강부(130)의 전방으로 노출되면서 승하강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승하강부(130)의 전단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전단이 승하강부(13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곡선형 지지대(410)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지지대(410)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시트부(120)의 전단이 상승될 수 있도록 승하강부(130)로부터 노출되고, 곡선형 지지대(410)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된 제2 시트부(120)의 전단이 다시 하강될 수 있도록 승하강부(130)로 삽입된다.The support driving unit 42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levating unit 130 while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elevating unit 130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unit 130 , and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unit 130 . The other end of the curved support 4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exposed to the front, and as shown in FIG. 5 ,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heet part 120 supported by the curved support 410 rises. It is exposed from the elevating unit 130 so that it can be, and the front end of the raised second seat unit 120 supported by the curved support 410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unit 130 so that it can be lowered agai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회동부(400)는, 환자의 머리 부분이 안착되는 제2 시트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도수 치료에 대응하여 제2 시트부(12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제2 시트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The seat rotation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tably supports the second seat unit 120 on which the patient's head is seated, as well as the second seat in response to manual treatment. The angle of the part 120 can be freely adjusted, and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by buffering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eat part 120 .

도 6은 도 4 및 도 3의 지지대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driving unit of FIGS. 4 and 3 .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 구동부(420)는, 슬라이딩 파이프(421), 구동 기어(422), 구동 모터(423), 슬라이더(424) 및 렉 기어(42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support driving unit 420 includes a sliding pipe 421 , a driving gear 422 , a driving motor 423 , a slider 424 , and a rack gear 425 .

슬라이딩 파이프(421)는, 내측에 슬라이더(424)가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입구가 승하강부(130)의 전단으로 노출되면서 승하강부(130)의 전단 하측에 설치된다.The sliding pipe 4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tub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lider 424 is seated on the inside to sl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entrance is exposed to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unit 130 while elevating It is installed below the front end of the steel portion (130).

구동 기어(422)는, 슬라이딩 파이프(421)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부(421a)를 통해 상부가 슬라이딩 파이프(421)의 내측으로 노출되면서 설치되어 슬라이더(424)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구동 모터(423)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슬라이더(424)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준다.The driving gear 422 is installed while the upper part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liding pipe 421 through the opening 421a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liding pipe 421, is engaged with the slider 424,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driving motor ( 423) moves the slider 424 forward or backward as it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구동 모터(423)는, 구동 기어(42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 기어(422)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술한 컨트롤 패널(150)로부터 전달되는 제2 시트부(120)의 회동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된다.The driving motor 42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gear 422 to rotate the driving gear 422 , and responds to the rota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seat unit 120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panel 150 described above. driven in response.

슬라이더(424)는, 슬라이딩 파이프(4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파이프(421)의 내측에 안착되며, 슬라이딩 파이프(421)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전단(424a)에 곡선형 지지대(410)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렉 기어(425)가 설치된다.The slider 424 is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sliding pipe 421 and is seated inside the sliding pipe 421 , and the front end 424a exposed as the front end of the sliding pipe 421 . The other end of the curved support 410 is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rack gear 425 is installed along the lower side.

렉 기어(425)는, 구동 기어(422)의 상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424)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rack gear 425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424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engagemen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gear 422 .

도 7은 도 4의 곡선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curved support of FIG. 4 .

도 7을 참조하면, 곡선형 지지대(410)는, 체인형 지지대(411), 간격 지지 프레임(412) 및 간격 지지 스프링(41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curved support 410 includes a chain support 411 , a gap support frame 412 , and a gap support spring 413 .

체인형 지지대(411)는, 다수 개의 지지 블록(4111-1 내지 4-11-3)들의 각 전단 및 후단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각각의 지지 블록(4111-1 내지 411-3)들이 간격 지지 프레임(412) 및 간격 지지 스프링(413)에 의해 지지되면서 도 5의 곡선형 지지대(410)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둥근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최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4111)이 제2 시트부(120)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최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4111)이 슬라이더(424)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시트부(120)를 지지한다.The chain-type support 411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respectiv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4111-1 to 4-11-3 can rotate with each other, and each support block 4111-1 to 411-3. As they are supported by the gap support frame 412 and the gap support spring 413, as shown by the curved support 410 of FIG. A support block 4111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front end of the second seat unit 120 and disposed at the rearmost side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lider 424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eat unit 120 . support

일 실시예에서, 지지 블록(41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길이가 줄어드는 전후 대칭 구조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 block 4111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front-rear symmetric structure in which the front-to-rear leng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 7 .

간격 지지 프레임(412)은, 다수 개의 지지 블록(4111)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 개의 지지 블록(4111)들 사이 사이에 설치된다.The gap support frame 412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4111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4111 from being narrowed.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프레임(412)은, 프레임 본체(4121), 제1 헤드(4122) 및 제2 헤드(4123)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gap support frame 412 may include a frame body 4121 , a first head 4122 , and a second head 4123 .

프레임 본체(4121)는, 전방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4111-1)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홈(4112)에 안착되고, 타단이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4111-2)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4113)에 안착되며, 일단에 제1 헤드(4122)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 헤드(4123)가 형성된다.The frame body 4121 is formed to be rounded forward, and one end is seated in a rear end seating groove 4112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lock 4111-1 disposed in the front, and the other end is a support block disposed at the rear. It is seated in the front end seating groove 4113 formed at the front end of 4111-2, the first head 4122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second head 4123 is formed at the other end.

제1 헤드(4122)는, 프레임 본체(4121)의 일단이 후단 안착홈(41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4121)의 일단에 형성된다.The first head 412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body 4121 to prevent one end of the frame body 412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end seating groove 4112 .

제2 헤드(4123)는, 프레임 본체(4121)의 타단이 전단 안착홈(411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4121)의 타단에 형성된다.The second head 4123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body 4121 to prevent the other end of the frame body 412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end seating groove 4113 .

일 실시예에서, 후단 안착홈(4112)은, 프레임 본체(4121)가 삽입 또는 노출되는 동시에 제1 헤드(412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구가 제1 헤드(4122)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1 헤드(4122)가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412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r end seating groove 4112 has an inlet narrow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ead 4122 so as to prevent the first head 4122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frame body 4121 is inserted or exposed. is formed,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ircl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ame body 4121 so that the first head 4122 can move.

일 실시예에서, 전단 안착홈(4113)은, 프레임 본체(4121)가 삽입 또는 노출되는 동시에 제2 헤드(412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구가 제2 헤드(4123)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2 헤드(4123)가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412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ont end seating groove 4113 has an inlet narrow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ead 4123 so as to prevent the second head 4123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frame body 4121 is inserted or exposed. formed,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ircl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ame body 4121 so that the second head 4123 can move.

간격 지지 스프링(413)은, 다수 개의 지지 블록(4111)들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2 시트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지지 블록(4111)들의 하단 사이 사이에 설치된다.The gap support spring 413 is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4111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4111 from being widened and at the same time to buffer th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eat unit 120 . are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m.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스프링(413)은, 일단이 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4111-1)의 후단 하측에 형성되는 후단 체결돌기(4114)와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4111-2)의 전단 하측에 형성되는 전단 체결돌기(4115)와 사이에 일단 및 타단이 설치되어 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4111-1)과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4111-2) 간의 간격을 지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ap support spring 413 has a rear end fastening protrusion 4114 formed below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lock 4111-1 having one end disposed in the front and the support block 4111-2 disposed at the rear.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end fastening protrusion 4115 formed on the lower front end of the have.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pertain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
100: 승강 베드
200: 모니터링 장치
300: 의자
400: 시트 회동부
10: Manual treatment system using an elevating bed
100: elevating bed
200: monitoring device
300: chair
400: sheet rotating part

Claims (3)

환자가 누워서 도수 치료를 받기 위해 구비되는 승강 베드;
상기 승강 베드에서 치료 중인 환자의 진료 차트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도수 치료를 수행할 의료인이 착석하기 위해 구비되는 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베드는,
환자의 등 및 하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시트부;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시트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시트부;
상기 제1 시트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시트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승하강부; 및
상기 제2 시트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시트부를 회동시켜 주는 시트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회동부는,
전방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시트부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시트부를 지지하는 곡선형 지지대; 및
전단이 상기 승하강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승하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전단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승하강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2 시트부의 전단이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부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곡선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승된 상기 제2 시트부의 전단이 다시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부로 삽입되는 지지대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입구가 상기 승하강부의 전단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승하강부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파이프;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내측으로 노출되면서 설치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기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상기 곡선형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구동 기어의 상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렉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형 지지대는,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의 각 전단 및 후단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전방으로 둥근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최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이 상기 제2 시트부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최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이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시트부를 지지하는 체인형 지지대;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시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들의 하단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지지 블록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길이가 줄어드는 전후 대칭 구조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은,
전방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홈에 안착되고, 타단이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에 안착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단이 상기 후단 안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헤드;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단이 상기 전단 안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후단 안착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가 삽입 또는 노출되는 동시에 상기 제1 헤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구가 상기 제1 헤드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헤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단 안착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가 삽입 또는 노출되는 동시에 상기 제2 헤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구가 상기 제2 헤드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헤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연장 형성되는,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
an elevating bed provided for a patient to lie down and receive manual treatment;
a monitoring device for outputting a medical treatment chart of a patient being treated in the lifting bed; and
Including; a chair provided for a medical person to perform manual treatment to sit on;
The lifting bed,
a first sea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atient's back and lower body;
a second sea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at portion to support the patient's head;
an elevating unit installed under the first seat unit to raise or lower the first seat unit; and
and a seat rotation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eat part to rotate the second seat part;
The seat rotation unit,
a curved support formed by being bent forwar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rotatably low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heet unit to support the second sheet unit; and
As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elevating uni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uni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eat part supported by the curved support is exposed from the elevating part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eat part supported by the curved support can be raised, and the front edge of the raised second seat part supported by the curved support is again lowered. Including; and a support driving unit that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unit to be able to be
The support drive unit,
a sliding pip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tub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let being exposed to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unit, and installed below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unit;
a driving gear installed while the upper part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liding pipe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liding pipe;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gear to rotate the driving gear;
A slider that is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sliding pipe, is seated inside the sliding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exposed to the front end of the sliding pip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support is rotatable ; and
and a rack ge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so as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gear.
The curved support is,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and formed into a round curved shape in the front. a chain-type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cond seat part by connecting the provided support block to the front end of the slider so as to be rotatable;
an interval support frame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from narrowing; and
A gap support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from being widened and at the same time to cushion th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eat part; and ,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It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an anterior-posterior symmetrical structure tha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The gap support frame,
The frame body is formed to be bent forward, one end is seated in the rear end seating groov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lock disposed in the front, and the other end is seated in the front end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block disposed at the rear;
a first head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body to prevent one end of the frame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end seating groove; and
a second hea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body to prevent the other end of the frame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end seating groove;
The rear end mounting groove,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head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frame body is inserted or exposed, the inlet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ead, and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ame body so that the first head can move It is formed in an elongated circle,
The front end seating groove,
The inlet is formed narrow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ead to prevent the second head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frame body is inserted or exposed at the same time, and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ame body so that the second head can move A manual treatment system using an elevating bed, which is formed to extend in a round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04496A 2021-08-09 2021-08-09 Manual Therapy System Using Elevating Bed KR102333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496A KR102333735B1 (en) 2021-08-09 2021-08-09 Manual Therapy System Using Elevating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496A KR102333735B1 (en) 2021-08-09 2021-08-09 Manual Therapy System Using Elevating B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735B1 true KR102333735B1 (en) 2021-12-03

Family

ID=7886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496A KR102333735B1 (en) 2021-08-09 2021-08-09 Manual Therapy System Using Elevating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7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104B1 (en) * 2022-02-15 2022-05-25 차정일 Dental Care System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814A (en) * 2001-11-24 2003-06-02 홍성진 Auto flexion-traction machine for physiotherapy
JP2005124796A (en) * 2003-10-23 2005-05-19 Sml Ltd Headrest device and medical chair and medical bed equipped with the same
KR20090130457A (en) * 2008-06-16 2009-12-24 유진곤 Auto flexion-traction apparatus with massage therapy function
KR100942968B1 (en) * 2009-07-31 2010-02-26 주식회사 카이스트종합메디칼 A movement machine for rehabilitation medical cure
KR20130101285A (en) * 2012-03-05 2013-09-13 (주)엔텍 Table for physiotherapy
KR20140073832A (en) * 2012-12-07 2014-06-17 주식회사 카스피 Lumbar and cervical vertebrae traction bed
KR101498430B1 (en) * 2014-10-14 2015-03-03 김재겸 Apparatus for exercising vertebra by towing
KR101650106B1 (en) * 2015-10-02 2016-08-23 박호준 Chiropractic Tables
KR102066170B1 (en) * 2019-11-18 2020-01-14 이희민 Physiotherapy bed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814A (en) * 2001-11-24 2003-06-02 홍성진 Auto flexion-traction machine for physiotherapy
JP2005124796A (en) * 2003-10-23 2005-05-19 Sml Ltd Headrest device and medical chair and medical bed equipped with the same
KR20090130457A (en) * 2008-06-16 2009-12-24 유진곤 Auto flexion-traction apparatus with massage therapy function
KR100942968B1 (en) * 2009-07-31 2010-02-26 주식회사 카이스트종합메디칼 A movement machine for rehabilitation medical cure
KR20130101285A (en) * 2012-03-05 2013-09-13 (주)엔텍 Table for physiotherapy
KR101415104B1 (en) 2012-03-05 2014-07-04 주식회사 씨에스테크놀로지 Table for physiotherapy
KR20140073832A (en) * 2012-12-07 2014-06-17 주식회사 카스피 Lumbar and cervical vertebrae traction bed
KR101498430B1 (en) * 2014-10-14 2015-03-03 김재겸 Apparatus for exercising vertebra by towing
KR101650106B1 (en) * 2015-10-02 2016-08-23 박호준 Chiropractic Tables
KR102066170B1 (en) * 2019-11-18 2020-01-14 이희민 Physiotherapy 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104B1 (en) * 2022-02-15 2022-05-25 차정일 Dental Car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955B2 (en) Dual-track tilt mechanism
US6626494B2 (en) Chair and method for correcting an improper alignment of spinal vertebrae
KR102333735B1 (en) Manual Therapy System Using Elevating Bed
KR20150043674A (en) Spinal traction device
KR20160125825A (en)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Gout et al. Giant cell arteritis and Vernet's syndrome
KR101498430B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vertebra by towing
KR20180064752A (en) Chair for correcting turtle neck
JP2000139977A (en) Lumbago therapeutic chair
EA02295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on and treatment of spinal column
CA2531821C (en) Bed surface with improved structure
JPH11221257A (en) Chair for treating lumbago
KR200216138Y1 (en) Chair for correcting the spine
JP2006101957A (en) Cervical traction therapy apparatus
KR102051794B1 (en) Traction therapy device for chuna manual therapy
KR100371610B1 (en) A spine correcting method of using the chair
JPH05253258A (en) Multifunctional traction bed
JP6225307B1 (en) Electric reclining bed
JP3229852B2 (en) Device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back pain
US6375631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spinal therapy
DE10060306A1 (en) Treatment couch for vibration therapy has top surface of couch sectionalized to provide treatment facilities for fibula, spinal column and head
CN208626142U (en) Backbone postoperative patient early ambulant auxiliary device
RU2297209C1 (en) Orthopedic medical recovery chair
KR200361702Y1 (en) Backbone correction equipment
JPS61203974A (en) Table for correcting sac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