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701B1 -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 Google Patents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701B1
KR102333701B1 KR1020210034169A KR20210034169A KR102333701B1 KR 102333701 B1 KR102333701 B1 KR 102333701B1 KR 1020210034169 A KR1020210034169 A KR 1020210034169A KR 20210034169 A KR20210034169 A KR 20210034169A KR 102333701 B1 KR102333701 B1 KR 102333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uide
steel
wall
ste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갈
박병희
Original Assignee
문제갈
(주)한국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갈, (주)한국이엔지 filed Critical 문제갈
Priority to KR102021003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판넬과 가이드보 및 버팀보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사 기간의 단축과 인건비, 장비 사용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1회성으로 사용되는 소모성 재료비, 환경 오염,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 발생과 처리 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재판넬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강재판넬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지반의 조건에 따라 보강부재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재판넬 사이에 버팀보를 구성함으로써 버팀보의 간격유지부를 조절하여 역사다리꼴 형태로 파낸 지반의 홈의 간격에 따라 강재판넬의 간격을 조절 후 버팀보를 통해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설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 및 작업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Prefabricated guide wall for execution of Undergrounddiaphragm wall}
본 발명은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강재판넬과 가이드보 및 버팀보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사 기간의 단축과 인건비, 장비 사용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1회성으로 사용되는 소모성 재료비, 환경 오염,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 발생과 처리 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연속벽체는 다이아프램 월(diaphragm wall)이라고도 불리며, 이러한 지하연속벽체의 구축은 기존 건물과 인접한 경계면을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하므로 도심지 공사에 유리하다. 또한 지하연속벽체는 기초공사에서 흙막이, 차수벽 및 내력벽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공기 단축과 공사비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공법이어서, 요즈음의 건설현장에 많이 적용되어 진다.
상술한 지하연속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반을 역사다리꼴 형태로 파내 홈을 형성한 후 홈 내부에 철근 배근(1) 및 거푸집(2)을 형성하고, 도 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푸집(2)의 외측과 홈의 양측벽 사이에 콘크리트(3)를 타설하는 과정으로 진행되고, 안내벽 형성후 도 1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또 거푸집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패널은 그 크기에 한계가 있어 이로 인해 공사기간이 지연되고, 안내벽 형성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많은 자재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조립식으로 구성된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이 제안되어 있는 바, 특허문헌 1의 조립식 안내 벽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어도 내측에 시공되는 내측안내 벽(100)이 일정한 길이로 마련되는 다수의 패널(100)과, 이 패널(100)들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하나이상의 패널(10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PS(Pre-Stress)강재(130)와, 이 PS강재(130)의 단부에는 상기 패널(100)에 텐션을 부여할 수 있도록 PS강재의 단부를 인장하여 인장상태로 유지 고정시키는 정착구(14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내측안내 벽(100)와 외측안내 벽(200)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없어 시공시 내측안내 벽(100)와 외측안내 벽(200)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지 못하여 내측안내 벽(100)와 외측안내 벽(200) 사이의 간격을 맞추기 위해 별도의 후공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코너 부분을 시공시 기존과 같이 철근 배근과 거푸집을 이용하여 구축하면서 PS강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강재관통용 파이프를 설치하고, 조립식 안내 벽과 일체로 인장할 수 있도록 하여 내측안내 벽(100)와 외측안내 벽(200)의 구축을 완료하기 때문에 코너 부분에 대한 공사 시간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인건비 및 자재비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911호(2006년 12월 07일 등록)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강재판넬과 가이드보 및 버팀보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사 기간의 단축과 인건비, 장비 사용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1회성으로 사용되는 소모성 재료비, 환경 오염,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 발생과 처리 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강재판넬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강재판넬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지반의 조건에 따라 보강부재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강재판넬 사이에 버팀보를 구성함으로써 버팀보의 간격유지부를 조절하여 역사다리꼴 형태로 파낸 지반의 홈의 간격에 따라 강재판넬의 간격을 조절 후 버팀보를 통해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설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 및 작업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양측으로 이격되고,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며, 벽체의 수직도를 형성하기 위한 강재판넬(20)과; 상기 강재판넬(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보(30)와; 상기 강재판넬(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버팀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상기 강재판넬(20)의 외측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망 형상의 메탈라스(1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상기 강재판넬(20)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격벽(21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공간(212)을 갖는 판넬본체(21)와; 상기 판넬본체(21)의 공간(212)에 설치되고, 상기 판넬본체(2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보강부재(22)와; 상기 판넬본체(21)의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부에 체결홈(231)이 형성되는 돌출부(23)와; 상기 판넬본체(21)의 타측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인접되는 상기 강재판넬(20)의 돌출부(23)와 삽입되는 삽입홈(241)이 형성된 삽입부(24)와; 상기 판넬본체(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보(30)가 삽입되도록 요홈(251)이 형성되며, 상기 판넬본체(21)의 타측 부분에 형성되는 요홈(251)의 상부 끝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24)와 간격을 형성하는 결합부(25)와; 상기 돌출부(23)의 상부에서 회동되어 일측 끝단이 상기 결합부(25)의 간격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부(23)의 체결홈(23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61))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키(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상기 보강부재(22)는 상기 판넬본체(21)의 공간(212) 중심측에 형성되고, 양측에 체결홀(221)이 형성되는 중심소켓(222)과; 상기 중심소켓(22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판넬본체(21)의 공간(212)의 외측에 형성되고, 관통홀(223)이 형성되는 외측블록(224)과; 일측이 상기 중심소켓(222)의 체결홀(221)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외측블록(224)의 관통홀(223)을 관통하여 체결너트(225)와 체결되는 체결볼트(226)와; 상기 중심소켓(222)과 외측블록(22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226)가 관통하는 관통홀(227)이 형성되는 보강판(2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상기 가이드보(30)는 일측에 돌출부(3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인접되는 가이드보(30)의 돌출부(311)가 삽입되도록 삽입홈(312)이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외측 하부에 상기 강재판넬(20)의 결합부(25)의 요홈(251) 상에 삽입되는 삽입단(32)과; 상기 삽입단(32)의 상부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형성되는 상부홈(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상기 가이드보(30)의 몸체(31)는 상부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망 형상의 메탈라스(1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상기 버팀보(40)는 평면을 기준으로 'H'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보(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단(411)을 갖고, 상기 상부단(411)의 일측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강재판넬(20)의 내측에 밀착되는 밀착단(412)을 갖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의 내측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상기 버팀보(40)의 간격유지부(42)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41)의 밀착단(412)에 체결부재(200)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대(421)를 갖고, 타측은 중공(422)이 형성된 수평대(423)를 갖는 고정단(424)과; 상기 고정단(424)의 중공(422)에 삽입되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대(4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상기 강재판넬(20)은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강재판넬(20a)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보(30)는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가이드보(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 의하면, 강재판넬과 가이드보 및 버팀보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사 기간의 단축과 인건비, 장비 사용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1회성으로 사용되는 소모성 재료비, 환경 오염,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 발생과 처리 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강재판넬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강재판넬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지반의 조건에 따라 보강부재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재판넬 사이에 버팀보를 구성함으로써 버팀보의 간격유지부를 조절하여 역사다리꼴 형태로 파낸 지반의 홈의 간격에 따라 강재판넬의 간격을 조절 후 버팀보를 통해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설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 및 작업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강재판넬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강재판넬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강재판넬의 코너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가이드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가이드보의 코너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버팀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서 버팀보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12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10)은 양측으로 이격되고,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며, 벽체의 수직도를 형성하기 위한 강재판넬(20)과, 강재판넬(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보(30)와, 강재판넬(20) 사이에 배치되고,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버팀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강제판넬(20)과 가이드보(30)는 벽체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고, 버팀보(40)는 강재판넬(20) 사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10)에서 강재판넬(20)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설치되되, 일측과 타측은 서로 대칭되어 형성되어 진다.
강재판넬(20)은 지반을 역사다리꼴 형태로 파내 홈에 삽입되는 것으로, 홈의 내부 벽체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강재판넬(20)은 판넬본체(21), 보강부재(22), 돌출부(23), 삽입부(24), 결합부(25), 고정키(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판넬본체(21)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는 격벽(21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공간(212)을 갖는다.
한편,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판넬본체(21)는 대칭되어 설치되어 지고, 길이는 1m ~ 6m가 바람직하지만, 현장 조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보강부재(22)는 판넬본체(21)의 공간(212)에 설치되고, 판넬본체(2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판넬본체(21)의 공간(212) 중심측에 형성되고, 양측에 체결홀(221)이 형성되는 중심소켓(222)과, 중심소켓(222)으로부터 이격되어 판넬본체(21)의 공간(212)의 외측에 형성되고, 관통홀(223)이 형성되는 외측블록(224)과, 일측이 중심소켓(222)의 체결홀(221)에 체결되고, 타측이 외측블록(224)의 관통홀(223)을 관통하여 체결너트(225)와 체결되는 체결볼트(226)와, 중심소켓(222)과 외측블록(224) 사이에 형성되고, 체결볼트(226)가 관통하는 관통홀(227)이 형성되는 보강판(228)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이때, 체결볼트(226)는 평면을 기준으로 중심소켓(222)으로부터 외측블록(224)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진다. 이는 토사가 판넬본체(21)의 외측에서 흘러내릴 경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보강판(228)의 관통홀(227)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개방된 일측은 판넬본체(21)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판넬본체(21)가 충격을 받을 시 체결볼트(226)가 수직방향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기 때문이다.
돌출부(23)는 판넬본체(21)의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부에 체결홈(231)이 형성되고, 삽입부(24)는 판넬본체(21)의 타측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인접되는 강재판넬(20)의 돌출부(23)와 삽입되는 삽입홈(241)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돌출부(23)는 '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부(24)의 삽입홈(241)은 돌출부(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돌출부(23)가 삽입홈(241)에 삽입되도록 한다.
결합부(25)는 판넬본체(21)의 상부에 형성되고, 가이드보(30)가 삽입되도록 요홈(251)이 형성되며, 판넬본체(21)의 타측 부분에 형성되는 요홈(251)의 상부 끝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삽입부(24)와 간격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부(25)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는 견인홀(252)이 형성되어 이 견인홀(252) 상에 견인장치의 견인고리가 삽입되어 강재판넬(2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정키(26)는 돌출부(23)의 상부에서 회동되어 일측 끝단이 결합부(25)의 간격에 위치되고, 돌출부(23)의 체결홈(23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61)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체결볼트(261)가 관통되는 관통홀(262)을 갖고, 일측이 타측에 비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볼트(261)에 의해 돌출부(23)의 체결홈(231)에 체결시 회동하여 돌출된 일측이 결합부(25)의 간격에 위치되어 인접되는 강재판넬(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강재판넬(20)의 외측에는 메탈라스(100)가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강재판넬(20)은 직선으로 설치시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복수개로 인접되어 설치되고, 코너에 설치시에는 도 8a 및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결합되는 코너강재판넬(20a)을 설치하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강재판넬(20a)을 설명하면, 제1코너강재판넬(20')과 제2코너강재판넬(20")이 체결볼트(27)에 의해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진다.
제1코너강재판넬(20')은 상술한 강재판넬(20)의 판넬본체(21), 보강부재(22), 삽입부(24), 결합부(25)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술한 돌출부(23) 부분에 핀홀(281)이 형성된 돌출구(28)가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진다.
제2코너강재판넬(20")은 상술한 강재판넬(20)의 판넬본체(21), 보강부재(22), 돌출부(23), 결합부(25)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술한 삽입부(24) 부분에 핀홀(291)이 형성된 돌출구(29)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진다. 이때, 돌출구(29)는 제1코너강재판넬(20')의 이격된 돌출구(28) 사이에 위치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코너강재판넬(20')과 제2코너강재판넬(20")은 돌출구(28, 29)에 형성된 핀홀(281, 291)에 체결볼트(27)가 삽입되어 너트(271)에 의해 힌지 방식으로 체결되어 진다. 이때, 제1코너강재판넬(20')과 제2코너강재판넬(20")의 힌지 결합된 돌출구(28)와 돌출구(29) 사이는 간격이 형성되는데, 여기에 핀홀(282)이 형성된 슬리브(283)가 위치되어 진다.
한편, 제1코너강재판넬(20')과 제2코너강재판넬(20")은 90° 내지 180°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부분에서는 돌출부(23)와 삽입부(24)가 형성된 판넬본체(21)를 포함하는 강재판넬(20)이 설치되고, 코너 부분에서는 제1코너강재판넬(20')과 제2코너강재판넬(20")이 강재판넬(20)과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연속적으로 할수 있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단축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보(30)는 강재판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돌출부(3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인접되는 가이드보(30)의 돌출부(311)가 삽입되도록 삽입홈(312)이 형성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외측 하부에 강재판넬(20)의 결합부(25)의 요홈(251) 상에 삽입되는 삽입단(32)과, 삽입단(32)의 상부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형성되는 상부홈(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보(30)의 몸체(31)는 상부에 견인을 위한 견인홀(313)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부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망 형상의 메탈라스(100)가 설치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이드보(30)의 삽입단(32)과 상부홈(33)에는 관통홀(321, 331)이 형성되어 체결볼트(200) 및 너트(201)에 의해 강재판넬(20)의 결합부(25)의 요홈(251)에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가이드보(30)는 직선으로 설치시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복수개로 인접되어 설치되고, 코너에 설치시에는 도 10a 및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결합되는 코너가이드보(30a)를 설치하도록 한다.
도 10a는 코너 부분 중에서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보를 도시한 도면으로, 코너가이드보(30a)는 제1코너가이드보(30')와 제2코너가이드보(30")포함하여 체결볼트(34) 및 너트(341)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진다.
제1코너가이드보(30')는 상술한 가이드보(30)의 삽입단(32), 상부홈(33)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몸체(31)는 일측에 돌출부(311)가 형성되고, 타측에 핀홀(351)이 형성된 돌출구(35)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진다.
제2코너가이드보(30")는 상술한 가이드보(30)의 삽입단(32), 상부홈(33)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몸체(31)는 일측에 핀홀(361)이 형성된 돌출구(36)가 형성되고, 타측에 삽입홈(33)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돌출구(36)는 제1코너가이드보(30')의 이격된 돌출구(35) 사이에 위치되어 진다.
한편, 제1코너가이드보(30')와 제2코너가이드보(30")의 돌출구(35, 36)는 몸체(31)의 타측에서 외측에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코너가이드보(30')와 제2코너가이드보(30")는 돌출구(35, 36)에 형성된 핀홀(251, 361)에 체결볼트(34)가 삽입되어 너트(341)에 의해 힌지 방식으로 체결되어 진다.
도 10b는 코너 부분 중에서 외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보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코너가이드보 (30')와 제2코너가이드보(30")는 체결볼트(34)에 의해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진다.
제1코너가이드보(30')와 제2코너가이드보(30")는 도 1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핀홀(351, 361)이 형성된 돌출구(35, 36)는 몸체(31)의 일측에서 내측에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돌출구(35, 36)가 형성된 모서리 부분에는 보강용 가이드보(37)가 끼움 설치되어 진다.
버팀보(40)는 강재판넬(20) 사이에 배치되고,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41)와, 간격유지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41)는 평면을 기준으로 'H'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가이드보(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단(411)을 갖고, 상부단(411)의 일측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이격되어 형성된 강재판넬(20)의 내측에 밀착되는 밀착단(412)을 갖는다.
상부단(411)에는 가이드보(30)의 삽입단(32)과 상부홈(33)에 형성되는 관통홀(321, 33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홀(412)이 형성되고, 체결볼트(200) 및 너트(201)에 의해 강재판넬(20)의 결합부(25)의 요홈(251)에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밀착단(412)에는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홀(413)이 형성되고, 최상부에는 견인을 위한 견인홀(414)이 형성되어 진다.
간격유지부(42)는 고정부(41)의 내측 사이에 결합되어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간격유지부(42)는 일측이 고정부(41)의 밀착단(412)에 형성되는 체결홀(413)에 체결부재(200)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대(421)를 갖고, 타측은 중공(422)이 형성된 수평대(423)를 갖는 고정단(424)과, 고정단(424)의 중공(422)에 삽입되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대(4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대(423)와 지지대(425)는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홀(426, 427))이 형성되어 체결부재(200)에 의해 체결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에 의하면, 강재판넬과 가이드보 및 버팀보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사 기간의 단축과 인건비, 장비 사용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1회성으로 사용되는 소모성 재료비, 환경 오염,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 발생과 처리 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강재판넬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강재판넬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지반의 조건에 따라 보강부재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재판넬 사이에 버팀보를 구성함으로써 버팀보의 간격유지부를 조절하여 역사다리꼴 형태로 파낸 지반의 홈의 간격에 따라 강재판넬의 간격을 조절 후 버팀보를 통해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설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 및 작업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을 이용하여 지하연속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지상에서 강재판넬(20)과 버팀보(40)를 가조립 하여 터파기한 면에 설치하고, 강재판넬(40)을 연결 조립 체결 후 버팀보(40)를 분리 및 가이드보(30)의 조립을 병행하여 실시하도록 한다. 직선구간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하고, 코너구간에서는 코너강재판넬(20a)와 코너가이드보(30a)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후, 안내벽 내측 사이 공간을 굴착 작업을 수행하며 지반의 붕괴를 방지 할수 있도록 벤토나이트인 안정액을 주입하여 굴착 완료후 그속에 철근망 건입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속적으로 지하연속벽체인 슬러리-월 완료 후 조립식 안내 벽을 해체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20 : 강재판넬
21 : 판넬본체 211 : 격벽
212 : 공간 22 : 보강부재
221: 체결홀 222 : 중심소켓
223 : 관통홀 224 : 외측블록
225 : 체결너트 226 : 체결볼트
227 : 관통홀 228 : 보강판
23 : 돌출부 231 : 체결홈
24 : 삽입부 241 : 삽입홈
25 : 결합부 251 : 요홈
26 : 고정키 261 : 체결볼트
30 : 가이드보
31 : 몸체 311 : 골출부
312 : 삽입홈 32 : 삽입단
33 : 상부홈
40 : 버팀보
41 : 고정부 411 : 상부단
412 : 밀착단 42 : 간격유지부
421 : 고정대 422 : 중공
423 : 수평대 424 : 고정단
425 : 지지대
100 : 메탈라스

Claims (9)

  1. 양측으로 이격되고,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며, 벽체의 수직도를 형성하기 위한 강재판넬(20)과;
    상기 강재판넬(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보(30)와;
    상기 강재판넬(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버팀보(40)를 포함하되;
    상기 강재판넬(20)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격벽(21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공간(212)을 갖는 판넬본체(21)와, 상기 판넬본체(21)의 공간(212)에 설치되고, 상기 판넬본체(2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보강부재(22)와, 상기 판넬본체(21)의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부에 체결홈(231)이 형성되는 돌출부(23)와, 상기 판넬본체(21)의 타측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인접되는 상기 강재판넬(20)의 돌출부(23)와 삽입되는 삽입홈(241)이 형성된 삽입부(24)와, 상기 판넬본체(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보(30)가 삽입되도록 요홈(251)이 형성되며, 상기 판넬본체(21)의 타측 부분에 형성되는 요홈(251)의 상부 끝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24)와 간격을 형성하는 결합부(25)와, 상기 돌출부(23)의 상부에서 회동되어 일측 끝단이 상기 결합부(25)의 간격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부(23)의 체결홈(23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61))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키(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판넬(20)의 외측에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망 형상의 메탈라스(1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2)는 상기 판넬본체(21)의 공간(212) 중심측에 형성되고, 양측에 체결홀(221)이 형성되는 중심소켓(222)과;
    상기 중심소켓(22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판넬본체(21)의 공간(212)의 외측에 형성되고, 관통홀(223)이 형성되는 외측블록(224)과;
    일측이 상기 중심소켓(222)의 체결홀(221)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외측블록(224)의 관통홀(223)을 관통하여 체결너트(225)와 체결되는 체결볼트(226)와;
    상기 중심소켓(222)과 외측블록(22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226)가 관통하는 관통홀(227)이 형성되는 보강판(2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보(30)는 일측에 돌출부(3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인접되는 가이드보(30)의 돌출부(311)가 삽입되도록 삽입홈(312)이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외측 하부에 상기 강재판넬(20)의 결합부(25)의 요홈(251) 상에 삽입되는 삽입단(32)과;
    상기 삽입단(32)의 상부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형성되는 상부홈(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보(30)의 몸체(31)는 상부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망 형상의 메탈라스(1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보(40)는 평면을 기준으로 'H'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보(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단(411)을 갖고, 상기 상부단(411)의 일측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강재판넬(20)의 내측에 밀착되는 밀착단(412)을 갖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의 내측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보(40)의 간격유지부(42)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41)의 밀착단(412)에 체결부재(200)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대(421)를 갖고, 타측은 중공(422)이 형성된 수평대(423)를 갖는 고정단(424)과;
    상기 고정단(424)의 중공(422)에 삽입되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강재판넬(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대(4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판넬(20)은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강재판넬(20a)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보(30)는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가이드보(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KR1020210034169A 2021-03-16 2021-03-16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KR102333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69A KR102333701B1 (ko) 2021-03-16 2021-03-16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69A KR102333701B1 (ko) 2021-03-16 2021-03-16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701B1 true KR102333701B1 (ko) 2021-12-02

Family

ID=7886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169A KR102333701B1 (ko) 2021-03-16 2021-03-16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205B1 (ko) 2022-09-23 2023-07-11 문제모 지하 연속벽 조인트 연결공법
CN116791592A (zh) * 2023-06-21 2023-09-22 中铁一局集团(广州)建设工程有限公司 适用于大吨位装配式地连墙的导墙施工结构及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267Y1 (ko) * 2005-04-14 2005-07-07 (주)한국에어로테크 박스형 흙막이 장치
KR200433911Y1 (ko) 2006-09-29 2006-12-13 (주)대경씨앤이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KR100659727B1 (ko) * 2006-09-12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용 흙막이 구조
KR20130085776A (ko) * 2012-01-20 2013-07-30 정진덕 저심도 지하 연속 구조물 시공을 위한 흙막이 구조
KR20140097749A (ko) *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돔앤큐브 조립식 큐브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267Y1 (ko) * 2005-04-14 2005-07-07 (주)한국에어로테크 박스형 흙막이 장치
KR100659727B1 (ko) * 2006-09-12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용 흙막이 구조
KR200433911Y1 (ko) 2006-09-29 2006-12-13 (주)대경씨앤이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KR20130085776A (ko) * 2012-01-20 2013-07-30 정진덕 저심도 지하 연속 구조물 시공을 위한 흙막이 구조
KR20140097749A (ko) *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돔앤큐브 조립식 큐브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205B1 (ko) 2022-09-23 2023-07-11 문제모 지하 연속벽 조인트 연결공법
CN116791592A (zh) * 2023-06-21 2023-09-22 中铁一局集团(广州)建设工程有限公司 适用于大吨位装配式地连墙的导墙施工结构及施工方法
CN116791592B (zh) * 2023-06-21 2024-01-30 中铁一局集团(广州)建设工程有限公司 适用于大吨位装配式地连墙的导墙施工结构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701B1 (ko)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조립식 안내 벽
KR102162467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KR101094827B1 (ko)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KR101161332B1 (ko) 지하터널의 시공방법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0977206B1 (ko)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CN209704181U (zh) 一种装配式临时围墙
KR100736393B1 (ko) 클램프를 이용한 판넬 조립 구조물
KR20050006598A (ko) 건축물의 기초 기둥 구축용 조립식 콘크리트 거푸집
KR102362257B1 (ko)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20060096706A (ko) 데크 현수식 지하 구조물 역타설공법
KR20220063797A (ko) 인장 응력이 적용된 h형강을 이용한 지하옹벽 철거 공법
KR20090101993A (ko) 흙막이 구조물 설치방법
KR100662524B1 (ko) 수평 뼈대구조와 이를 이용한 지하 흙막이 버팀 공법
KR20080025219A (ko)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CN212316935U (zh) 免拆支撑杆件及基坑支护系统
KR200390421Y1 (ko) 데크 현수식 역타설 지하 구조물
JP3644606B2 (ja) 逆打工法における型枠支保工の設置方法
KR20210098162A (ko) 주열식 강관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09554B1 (ko) 키락블록과 쉬트파일체를 이용한 구조물
JP2769937B2 (ja) 地下逆打工法における鋼管コンクリート柱
JP3208100U (ja) 地中構造物構築用の足場装置
KR102330771B1 (ko) 브라켓을 이용한 더블 거더 역타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