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467B1 - 다면 작업대 - Google Patents

다면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467B1
KR102333467B1 KR1020190175946A KR20190175946A KR102333467B1 KR 102333467 B1 KR102333467 B1 KR 102333467B1 KR 1020190175946 A KR1020190175946 A KR 1020190175946A KR 20190175946 A KR20190175946 A KR 20190175946A KR 102333467 B1 KR102333467 B1 KR 102333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fixing
rotating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726A (ko
Inventor
김영욱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7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4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the wires being disposed by hand
    • H01B13/0122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the wires being disposed by hand using a layout boar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판을 설치하여 작업할 수 있는 다면 작업대로서, 상기 작업판이 설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가 결합되는 스탠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작업판이 복수의 개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작업판 보관 공간 및 설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작업대에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공간 효율 향상 및 설비 비용 감소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면 작업대 {MANY SIDES WORKTABEL}
본 발명은 다면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판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면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여러 종류의 전장품이 설치되며, 전장품들은 다수의 배선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다수의 배선들은 차량에 설치되기 전에 작업판에서 경로에 따라 배열되어 테이핑 등의 작업을 통해 공통 성분끼리 묶인 후 와이어링 하네스로 제작된다. 이때, 작업자는 작업대에 작업판을 설치한 후, 작업판 위에 배선을 나열한 후 와이어링 하네스를 제작하게 된다.
이처럼,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제작되는 와이어링 하네스는, 한 대의 차량에서도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사양으로 제작되며,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른 사양을 갖게 된다. 즉, 와이어링 하네스의 사양이 다양해짐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 제작을 위한 작업판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작업대에는 하나의 작업판이 설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다른 사양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양에 맞춰 제작된 작업판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선 수행해야함으로 인해 작업 시간이 증가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판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이를 보관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여러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작업대를 설치해야함에 따라 작업 공간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작업대에 복수의 작업판을 설치할 수 있는 다면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판을 설치하여 작업할 수 있는 다면 작업대로서, 상기 작업판이 설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가 결합되는 스탠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작업판이 복수의 개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스탠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복수의 작업판이 설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 측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회전판; 및 상기 스탠딩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거치부의 양 측에 돌출 형성되는 거치부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스탠딩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판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탠딩부는, 상기 회전판 고정나사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스탠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탠딩부는, 상기 거치부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일측의 외주면에 상기 거치부 회전축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는, 상기 거치부 회전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홀의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맞물리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작업판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해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고정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작업판이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은, 일단은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회전축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앙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 결합핀은,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는 일단의 외주면에, 상기 프레임 결합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는 홀의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맞물리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회전축은, 상기 거치부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회전축은, 상기 거치부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접하여 결합되는 고정면; 상기 고정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작업판에 접하는 지지면; 및 상기 고정면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이드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고정나사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면에서 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하나의 작업대에 다수의 작업판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판 보관 공간 및 설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작업대에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공간 효율 향상 및 설비 비용 감소의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판을 변경하는 방법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작업판 교체 작업이 간편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두께의 작업판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대의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면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치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거치부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거치부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구역 Ⅴ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2의 고정프레임이 회동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프레임 결합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스탠딩부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구역 Ⅸ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거치부에 복수의 작업판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고정프레임이 회동되는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회전프레임이 회동되는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작업대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작업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다면 작업대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거치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스탠딩부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1의 거치부에 복수의 작업판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고정프레임이 회동되는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회전프레임이 회동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작업대는, 작업판(300)을 설치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제작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작업판(300)이 설치되는 거치부(100)와, 거치부(100)가 설치되는 스탠딩부(200)로 구성된다.
거치부(100)는, 복수의 작업판(300)이 설치되어 스탠딩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110), 고정프레임(120), 고정가이드(130), 회전판(140) 및 거치부 회전축(150)으로 구성된다.
회전프레임(110)은, 스탠딩부(200)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으로서, 다각 기둥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이때, 회전프레임(110)의 옆 면은 고정프레임(120)이 결합되는 곳으로서, 작업판(30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직육면체의 사각 기둥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사각 기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프레임(110)에는 프레임 고정부재(111)와 프레임 결합핀(112)이 형성된다. 프레임 고정부재(111)는, 회전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20)에 함께 결합되어 고정프레임(120)이 회전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결합시킨다. 일 예로, 나사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회전프레임(110)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프레임(120)이 회전프레임(11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고정부재(111)는, 고정프레임(120)의 개수와 같거나 많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프레임 결합핀(112)은 고정프레임(120)이 회전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일 예로, 프레임 결합핀(112)은, 일단은 회전프레임(110)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12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 결합핀(112)의 양 단은 회전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된 후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정프레임(120)이 회전프레임(110)에 결합된 후, 회동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또는, 회전프레임(110) 또는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일 단은 고정되어 결합되고, 타 단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결합핀(1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일단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프레임 결합핀(112')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 결합핀(112')의 일단이 삽입되는 회전프레임(110')의 홀의 내주면에는 프레임 결합핀(11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가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 결합핀(112')의 외주면과 회전프레임(110') 홀의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프레임 결합핀(112')과 회전프레임(110') 홀의 내주면에 요철을 형성할 경우, 고정프레임(120)이 회전될 때, 요철이 맞물리면서 회전을 하게된다. 따라서, 고정프레임(120)의 회전에 소정의 부하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고정프레임(120)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고정프레임(120)의 회전에 부하를 발생시켜, 회전력에 제한을 줌으로써 작업자가 고정프레임(120)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 고정프레임(120)을 지지하기 위해 가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20)이 급하게 회전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프레임(120)은, 작업판(300)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회전프레임(110)의 옆 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프레임(120)은 회전프레임(110)과 같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작업판(300)의 크기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작업판(3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20)은 상기와 같은 프레임 고정부재(111)와 프레임 결합핀(112)에 의해 회전프레임(110)에 결합된다. 고정프레임(120)은 프레임 결합핀(112)에 의해 회전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프레임 고정부재(111)에 의해 회동이 방지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프레임(120)에는, 앞면과 뒷면에 두 개의 작업판(30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결합핀(112)에 의해 회전프레임(11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종류에 맞는 작업판(300)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에 프레임 고정부재(111)가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회동이 방지되어 회전프레임(110)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때, 고정프레임(120)의 회동축은 고정프레임(120)의 중심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할 거치부 회전축(150)과 나란하거나 가로지르는 방향인 것이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프레임 고정부재(111)는 고정프레임(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하단과 우측 상단 과 같이 중심 대칭으로 형성되어 고정프레임(120)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고정가이드(130)는, 고정프레임(120)에 작업판(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프레임(120)의 일측에 복수의 개수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가이드(130)는, 고정면(131), 지지면(132), 가이드홀(133) 및 가이드 고정나사(134)로 구성된다. 고정면(131)과 지지면(132)은 서로 연결되되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정면(131)은 고정프레임(120)에 접하여 결합되며, 지지면(132)은 고정프레임(120)의 일면에 안착된 작업판(300)의 일면에 접하는 것이다. 가이드홀(133)은 고정면(131)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홀로써, 가이드 고정나사(134)가 삽입되어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된다. 즉, 가이드 고정나사(134)가 가이드홀(133)을 관통하여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가이드(130)가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홀(133)은 고정프레임(120)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33)이 길게 형성될 경우, 고정프레임(120)과 지지면(1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작업판(300)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고정가이드(130)는 지지면(132)이 고정프레임(120)의 일면을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것과 고정프레임(120)의 이면을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것이 별도로 구비되어 복수의 개수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작업판(300)을 고정프레임(12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고정프레임(120)에는, 일면에 결합되는 작업판(300)을 고정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고정가이드(130)와 타면에 결합되는 작업판(300)을 고정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고정가이드(130)가 결합된다. 또한, 고정가이드(130)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작업판(3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회전판(140) 및 거치부 회전축(15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프레임(120)이 결합된 회전프레임(110)을 스탠딩부(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거치부(100)의 양 측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회전판(140)은 회전프레임(110)의 양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고정홀(141)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회전판(140)은 회전판(140)의 원주 방향으로 고정홀(141)이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며, 회전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판(140)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고정홀(141)이 이격되는 경로는 원형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회전판(140)에 복수의 개수로 형성된 고정홀(141)에는 후술할 회전판 고정나사(22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스탠딩부(200)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거치부 회전축(150)은 회전판(140)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때, 회전판(140)의 중심은 회전프레임(110)의 중심 축과 동일한 위치여야 한다. 즉, 거치부 회전축(150)은 회전프레임(110)의 중심 축과 동일한 위치에서 회전프레임(110)의 양 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회전프레임(110)의 양 측에 돌출 형성된 거치부 회전축(150)은, 후술할 스탠딩부(200)의 회전축 지지부(21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회전축은 앞서 설명한 프레임 결합핀(112')과 같이, 후술할 회전축 지지부(210)에 결합되는 일단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는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120)은 앞면 및 뒷면에 두 개의 작업판(300)이 결합되어 회전프레임(110)에 결합된다. 또한, 회전프레임(110)의 옆면에는 복수의 고정프레임(120)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거치부(100)에는 두 개 이상의 작업판(30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처럼, 거치부(100)에 복수의 작업판(3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대의 작업대에 복수의 작업판(300)을 설치해 사용할 수 있어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작업판(300) 교체 작업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스탠딩부(200)는, 설명한 바와 같은 거치부(10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지지부(210), 회전판 고정나사(220), 나사고정부(230), 표준부착판(240), 부자재 보관부(250) 및 제품수용부(260)가 구성된다.
회전축 지지부(210)는 거치부 회전축(150)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스탠딩부(200)의 양 측에 형성된다. 이때, 회전축 지지부(210)는, 회전축(15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회전축(150)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회전축 지지부(210)에는 베어링이 결합되어 거치부 회전축(150)이 결합된 후 거치부(10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회전축에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될 경우,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축 지지부(210)의 홀의 내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맞물리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회전축의 외주면과 회전축 지지부의 홀의 내주면에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요철을 형성할 경우, 앞서 설명한 고정프레임(120)과 같이, 회전프레임(110)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회전프레임(110)의 회전에 부하를 발생시켜, 회전력에 제한을 줌으로써 작업자가 회전프레임(110)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 회전프레임(110)을 지지하기 위해 가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프레임(110)이 급하게 회전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축 지지부(210)의 일측에는 나사고정부(230)가 형성되며, 나사고정부(230)에는 회전판 고정나사(22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나사고정부(230)는 회전축 지지부(2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판 고정나사(220)가 결합되는 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나사홀에는 회전판 고정나사(220)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 고정나사(220)는, 나사고정부(230)에 나사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회전판(140)의 고정홀(14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회전판 고정나사(220)가 고정홀(141)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거치부(100)의 회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표준부착판(240)은 스탠딩부(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표준, 작업 안내도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준부착판(240)은 작업자가 작업 중에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눈높이와 비슷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자재 보관부(250)는, 스탠딩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작업에 필요한 부자재를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면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도구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제품수용부(260)는, 스탠딩부(20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거치부(100)보다 아래에 형성된다. 거치부(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품수용부(260)는, 작업판(300)에서 작업중인 배선 등의 부자재가 이탈되어 낙하될 경우, 작업장 바닥으로 추락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품수용부(260)는 천과 같이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어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한 표준부착판(240), 부자재 보관부(250) 및 제품수용부(260)는 모두 스탠딩부(200)의 앞 뒤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다면 작업대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작업판(300)이 설치됨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다면 작업대에는, 두 개 이상의 작업판(300)이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110)이 사각 기둥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경우, 옆면이 네 개 형성된다. 그리고, 각 옆 면에는 두 개의 작업판(310, 320)이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20)이 결합되므로, 회전프레임(110)에는 총 여덟 개의 작업판(310 ~ 380)이 설치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110)의 형상은 사각 기둥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다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삼각 기둥의 회전프레임(110)은 세 개의 고정프레임(120)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여섯 개의 작업판(300)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오각 기둥의 회전프레임(110)에는 다섯 개의 고정프레임(120)이 결합되어, 열 개의 작업판(300)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한 대의 작업대에 다수의 작업판(3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판(300)의 보관이 용이해질 뿐더러, 작업판(300)을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공간 및 설비가 불필요해 비용 절감 및 작업 공간 축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수의 작업판(300)이 설치된 거치부(100)는, 작업자가 고정프레임(120)을 회동시켜 다른 작업판(300)으로 변경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프레임 고정부재(111)를 해제하여 고정프레임(1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20)의 일면에 결합된 작업판(310) 또는 이면에 결합된 작업판(320)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작업판(300)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 고정나사(220)를 회전판(140)에서 분리하여 회전프레임(11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즉, 다른 위치에 설치된 작업판(300)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회전판 고정나사(220)를 분리하여 회전프레임(11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한 후, 회동시켜 복수의 작업판(310~380) 중 필요한 작업판으로 변경시킨 후, 다시 회전판 고정나사(220)를 고정홀(141)에 결합시켜 회전프레임(1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회전프레임(110) 또는 고정프레임(120)을 필요에 따라 회동시키고 고정시킴으로써, 작업판(30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자는 하나의 작업대에서 다양한 작업판(300)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작업대에 다수의 작업판(310~380)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프레임(110) 또는 고정프레임(120)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작업판(300)을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판(300) 교체 작업에 따른 작업 공수가 간략해지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작업대에서 두 명의 작업자가 함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공간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즉, 두 명의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때, 두 대의 작업대가 아닌 하나의 작업대만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가 점유하는 작업 공간이 축소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 공간의 효율성이 향상되며, 설비 구비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더욱이,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고 있을 때, 회전프레임(110)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20)만 회동시켜 작업판(300)을 변경할 수 있다. 즉, 한 대의 작업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판(300)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한 명의 작업자가 작업판(300)을 변경할 때, 다른 작업자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면 작업대는, 복수의 작업판(300)을 설치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사양에 따라 회전프레임(110) 또는 고정프레임(120)을 회동시켜 작업판(300)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다수의 작업판(300) 보관을 위한 공간 및 설비가 불필요하고, 작업자의 교체 작업 축소하고 작업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작업자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작업판(300)을 변경하여 작업을 이어서 수행할 수 있으며, 용이한 방법으로 작업판(300)을 변경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되며, 피로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보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거치부 110 : 회전프레임
111 : 프레임 고정부재 112 : 프레임 결합핀
120 : 고정프레임 130 : 고정가이드
131 : 고정면 132 : 지지면
133 : 가이드홀 134 : 가이드 고정나사
140 : 회전판 141 : 고정홀
150 : 거치부 회전축 200 : 스탠딩부
210 : 회전축 지지부 220 : 회전판 고정나사
230 : 나사고정부 240 : 표준부착판
250 : 부자재 보관부 260 : 제품수용부

Claims (14)

  1. 작업판(300)을 설치하여 작업할 수 있는 다면 작업대로서,
    복수 개의 상기 작업판(300)이 설치된 거치부(100); 및
    상기 거치부(100)가 결합되는 스탠딩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100)는,
    상기 스탠딩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프레임(110)
    상기 작업판(300)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프레임(120); 및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고정가이드(13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가이드(130)는,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접하여 결합되는 고정면(131);
    상기 고정면(131)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된 상기 작업판(300)에 접하는 지지면(132);
    상기 고정면(13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가이드 고정나사(134); 및
    상기 고정나사(134)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홀(1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110)의 양 측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고정홀(141)이 형성되는 회전판(140); 및
    상기 스탠딩부(200)에 결합되도록 상기 거치부(100)의 양 측에 돌출 형성되는 거치부 회전축(150);
    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부(200)는,
    상기 고정홀(141)에 삽입되도록 상기 스탠딩부(200)의 일 측에 결합되는 회전판 고정나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부(200)는,
    상기 회전판 고정나사(220)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스탠딩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고정부(2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부(200)는,
    상기 거치부 회전축(150)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지지부(2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일측의 외주면에 상기 거치부 회전축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는, 상기 거치부 회전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홀의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맞물리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110)은,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20)을 해제 및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부재(1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프레임(120)은,
    복수의 상기 작업판(300)이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110)은,
    일단이 상기 회전프레임(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핀(112);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회전축은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중앙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핀은,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는 일단의 외주면에, 상기 프레임 결합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결합핀의 일단이 결합되는 홀의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맞물리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회전축은, 상기 거치부 회전축(150)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회전축은, 상기 거치부 회전축(15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133)은,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일면에서 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 작업대.
KR1020190175946A 2019-12-27 2019-12-27 다면 작업대 KR102333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946A KR102333467B1 (ko) 2019-12-27 2019-12-27 다면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946A KR102333467B1 (ko) 2019-12-27 2019-12-27 다면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726A KR20210084726A (ko) 2021-07-08
KR102333467B1 true KR102333467B1 (ko) 2021-12-03

Family

ID=7689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946A KR102333467B1 (ko) 2019-12-27 2019-12-27 다면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4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6311A (ja) * 2010-09-21 2012-04-05 Yazaki Ind Chem Co Ltd 作業平面が回転する作業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858Y1 (en) * 1986-02-17 1989-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justable apparatus for rotation angle
WO2006037427A1 (de) * 2004-10-06 2006-04-13 Schaeffler Kg Unrunde rotationsscheibe für einen steuertrieb
KR20120061706A (ko) * 2010-12-03 2012-06-13 김재호 목공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6311A (ja) * 2010-09-21 2012-04-05 Yazaki Ind Chem Co Ltd 作業平面が回転する作業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726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8281B2 (en) Clamping mechanism
US20150030397A1 (en) Tool for the turning/turn broaching of workpieces
JP6320894B2 (ja) 背負式電源装置
US20210154877A1 (en) Accessory for Oscillating Power Tool
KR102333467B1 (ko) 다면 작업대
US20140041181A1 (en) Jig used for repairing pin-coupling component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00209751A1 (en) Battery pack and electrical device with three-dimensional coding means
KR101374534B1 (ko) 다종 공구 수납 호환성을 향상시킨 공구 수납대
JP4326982B2 (ja) 加工治具
TWM541923U (zh) 鏈條式傳動機構
KR101672042B1 (ko) 가공부품의 가공홀 자동면취장치
US5992837A (en) Workpiece holding assembly
JP3231421U (ja) 装着位置調整可能なアングルヘッド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位置決め装置
KR20120004310U (ko) 바이스
EP3012063B1 (en) Tool positioning and holding mechanism
CN211841057U (zh) 一种用于机械制造的多功能夹具
KR101166366B1 (ko) 고정구
KR102267869B1 (ko) 케이블 내장형 로봇
KR102024923B1 (ko) 플렉시블 척 죠가 마련된 선반.
CN219226055U (zh) 一种变压器定位治具及变压器生产线
KR102622566B1 (ko) 공작 기계용 특수 공구 어셈블리
CN217930052U (zh) 转向节检具
JP3237925U (ja) 加工機用テーブル
CN209887567U (zh) 围板箱倾斜器具
JP3205437U (ja) 小型固定子の巻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