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394B1 -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394B1
KR102333394B1 KR1020200094417A KR20200094417A KR102333394B1 KR 102333394 B1 KR102333394 B1 KR 102333394B1 KR 1020200094417 A KR1020200094417 A KR 1020200094417A KR 20200094417 A KR20200094417 A KR 20200094417A KR 102333394 B1 KR102333394 B1 KR 10233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material
pack
mask pack
injection unit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래
Original Assignee
조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나래 filed Critical 조나래
Priority to KR102020009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마스크팩을 활용하여 얼굴 화장이 제대로 이루어지면서 얼굴 화장에 소요되는 화장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 팩 화장물질 도포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복수개의 섹터가 모여서 이루어지고, 섹터는 중심에 있는 지주에 연결된 주입부와, 복수개의 섹터 각각에 장착되고 얼굴 화장을 위한 화장물질이 담지된 인젝터 및 인젝터에 담지된 화장물질이 방출되어 도포되는 마스크팩을 수용하는 팩 수용부를 포함하고, 주입부의 외주면에는 수동기어가 배치되고 수동기어는 주입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한다.

Description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Cosmetic material coating device for mask pack according to facial part}
본 발명은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굴 화장을 하기 위하여, 얼굴 부위에 부합하는 화장물질을 적절하게 주입하여 마스크팩에 도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몸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정화, 미화, 매력을 증진시키거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해 인체에 적용되는 물질이다. 화장품은 액체, 크림, 에멀젼, 파우더 및 분산액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얼굴 화장은 대중화되어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마스크팩이 활용되기도 한다. 현재, 마스크팩은 대략 얼굴 형태로 제작되어 세안한 후 얼굴에 일정시간 동안 붙였다 떼어내어, 얼굴 모공에 쌓인 피지나 노폐물을 제거하고 기능성 영양성분을 공급한다. 상기 마스크팩은 일반적으로 부직포 등과 같이 흡수력이 좋은 재질에 적절한 점도의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로 이루어진 화장물질이 함침 또는 도포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현대인은 바쁜 일정의 삶을 살아가고 있지만, 얼굴 화장에 소요되는 화장시간은 예전부터 변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얼굴 화장은 세심하면서도 민감한 작업이므로, 화장시간을 줄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얼굴 화장이 제대로 이루어지면서도 얼굴화장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으며, 최근 많이 사용되는 마스크팩의 활용이 고려될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2051263호와 같이 마스크팩이 담긴 파우치에 화장물질을 주입하는 방법은 제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마스크팩이 얼굴 화장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스크팩을 활용하여 얼굴 화장이 제대로 이루어지면서 얼굴 화장에 소요되는 화장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 팩 화장물질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 팩 화장물질 도포장치는 복수개의 섹터가 모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섹터는 중심에 있는 지주에 연결된 주입부와, 상기 복수개의 섹터 각각에 장착되고, 얼굴 화장을 위한 화장물질이 담지된 인젝터 및 상기 인젝터에 담지된 상기 화장물질이 방출되어 도포되는 마스크팩을 수용하는 팩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입부의 외주면에는 수동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수동기어는 상기 주입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섹터에서 선택된 섹터는 압인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지주는 탄성체가 키워진 거치로드가 장착된 탄성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로드는 상기 섹터에 부착된 로드홀더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드홀더의 상단이 상기 탄성결합부의 상부 측면에 일치하면, 상승하는 이동이 중지된다. 상기 인젝터는 몸통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배플이 내장되고 상기 배플은 버튼의 누름 여부에 의해 팽창하고 수축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누름막대에 의해 눌릴 수 있다. 상기 팩수용부는 진공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팩수용부는 x-y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기기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 팩 화장물질 도포장치에 의하면, 마스크팩에 얼굴 부위에 부합하는 화장물질을 주입하는 주입부를 활용함으로써, 얼굴 화장이 제대로 이루어지면서도 얼굴 화장에 소요되는 화장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도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주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주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팩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도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도포장치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도포장치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스크팩에 얼굴 부위에 부합하는 화장물질을 주입하는 주입부를 활용함으로써, 얼굴 화장이 제대로 이루어지면서 얼굴 화장에 소요되는 화장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얼굴 부위에 따른 화장물질 도포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마스크팩에 화장물질을 주입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도포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얼굴 부위에 부합하도록 마스크팩에 화장물질이 도포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장치가 실생활에 적용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물질 도포장치는 얼굴 화장에 적용된다. 얼굴 화장은 얼굴의 정화, 미화, 매력을 증진시키거나 외모에 변화를 준다. 얼굴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물질은 액상, 크림, 에멀젼, 파우더 또는 분산액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물질은 파운데이션, 립, 액상 아이라이너, 액상 아이브로우, 컨실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장치는 마스크팩을 활용하며, 얼굴 화장은 화장 전체 또는 화장 일부, 예컨대 기초화장, 기초화장 및 색조화장의 조합을 구현한다. 상기 마스크팩은 일반적으로 부직포 등과 같이 흡수력이 좋은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물질은 마스크팩에 일부는 함침되고 일부는 도포된 형태로 얼굴 화장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도포장치(1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제1 도포장치(100)는 프레임(10), 구동부(20), 팩수용부(40) 및 주입부(5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구동부(20) 및 주입부(50)를 지지하고 고정하며, 프레임(10)은 가로대(12)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프레임(10)은 받침대(13)에 의해 지지된다. 가로대(12)는 주입부(50)을 y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며, x축 방향으로는 팩수용부(40)가 주입부(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주입부(50)를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세로대를 더 포함한다. 즉, 팩수용부(40)와 주입부(50)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경우에 따라, 안착대(42)는 x-y 방향으로 움직이는 x-y 플로터와 같은 기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주입부(50)는 가로대(12)를 따라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주입부(50)는 프레임(10)으로부터 연장된 고정축(11)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된다.
구동부(20)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21, 25, 29)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21, 25, 29) 각각에는 제1 구동기어(22), 구동막대(26) 및 제2 구동기어(30)가 부착되어 있다. 제1 구동기어(22)는 봉 형태의 누름막대(23)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누름막대(23)는 인젝터 버튼(69)을 누른다. 누름막대(23)는 막대 프레임(24)에 수용되어 안정된 움직임을 이룬다. 구동막대(26)는 주입부(50)의 섹터(51) 중의 하나를 팩수용부(40) 방향으로 하강시키거나 팩수용부(40) 반대방향으로 상승시킨다. 구동막대(26)는 막대통로(27)에 제한되어 움직이며, 단부에는 압인부(28)를 구비한다. 구동막대(26)에 의해 압인부(28)를 팩수용부(40) 방향으로 움직이면 선택된 섹터(51)를 하강시키고, 압인부(28)를 팩수용부(40)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 압인부(28)는 인젝터 날개(63)에 걸려 선택된 섹터(51)를 상승시킨다.
압인부(28)는 섹터(51)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섹터(51)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역할은 앞에서 제시한 압인부(28)와는 다른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막대(26)의 단부와 섹터(51)에 상호 결합되고 분리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섹터(51)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막대(26)의 단부에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섹터(51)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구비하여, 섹터(51)가 자력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인젝터 날개(63)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압인부(28)의 사례로 걸쇠 형태를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제2 구동기어(30)는 주입부(50)의 수동기어(52)를 회전시켜서, 주입부(5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기어(30)를 회전시키면, 제2 구동기어(30)와 맞물린 수동기어(52)가 회전하여, 주입부(50)가 회전한다. 주입부(50)가 회전하면, 섹터(51)도 회전한다. 섹터(51)가 회전하면, 구동막대(36) 및 누름막대(23) 아래에 놓이는 섹터(51)가 특정된다. 이때, 구동막대(36) 및 누름막대(23)를 동작시키면, 아래에 놓인 특정 섹터(51)에 저장된 화장물질을 마스크팩(M)에 방출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모든 섹터(51)의 화장물질을 마스크팩(M)에 도포시킬 수 있다.
팩수용부(40)에는 마스크팩(M)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은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를 위해, 팩수용부(40)는 3D 프린팅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맞추어 제작될 수 있다. 팩수용부(40)는 진공펌프(41)에 연결되며, 진공펌프(41)를 가동하면 마스크팩(M)은 팩수용부(40)에 밀착된다. 팩수용부(40)의 입체적인 형상은 추후에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진공펌프(41)는 팩수용부(40)에 탈착되는 방식을 취하거나, 진공펌프(41)를 팩수용부(40)에 내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입부(5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섹터(51)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a)는 섹터(51)가 하강한 상태를 표현하였고, (b)는 섹터(51)가 원위치하는 상태를 표현하였다. 이때, 제1 도포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의하면, 주입부(50)에는 복수개의 섹터(51)가 합해져서 원통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섹터(51)의 외주면에는 제2 구동기어(30)와 맞물리는 수동기어(52)를 포함한다. 즉, 제2 구동기어(3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은 맞물린 수동기어(52)에 전달되어 주입부(50)가 회전한다. 섹터(51)의 개수는 각 섹터(51)에 삽입되는 인젝터(60)의 개수와 동일하며, 인젝터(60)에는 액상, 크림, 에멀젼, 파우더 또는 분산액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인 화장물질이 담지되어 있다. 인젝터(60)의 개수는 제1 도포장치(100)에 의한 얼굴 화장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상기 얼굴 화장은 화장 전체 또는 화장 일부, 예컨대 기초화장, 기초화장 및 색조화장의 조합일 수 있으며, 인젝터(60)는 상기 화장에 부합하는 화장물질이 저장되어 있다. 인젝터(60)는 섹터(51)에 존재하는 인젝터 삽입홀(53)에 삽입된다.
섹터(51)는 주입부(50)의 중심에 위치하는 지주(55)에 연결되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인부(28)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지주(55)의 중심에는 고정축(11)이 삽입되는 고정축 삽입홀(56)에 삽입된다. 고정축(11)이 삽입홀(56)에 삽입되면, 지주(55)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즉, 압인부(28)에 의해 섹터(51)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지주(55)는 움직이지 않는다. 섹터(51) 및 지주(55)는 금속, 고분자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섹터(51)는 얼굴의 형상에 부합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마스크팩(M)에 제대로 적용하기 위함이다. 만일, 섹터(51)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형이라면 원하지 않는 인젝터(60)가 마스크팩(M)에 접촉된다. 예를 들어, 코 부위의 마스크팩(M)에 파운데이션을 압출할 때, 부위는 마스크팩(M)에서 제일 깊은 부분인데, 일체형이라면 볼, 입술, 이마 같은 부위의 마스크팩(M)에 인젝터(60)가 부딪힐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섹터(51) 및 지주(55)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때, 제1 도포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지주(55)에는 탄성체(59)가 끼워진 탄성체 거치로드(58)가 장착된 탄성결합부(57)를 포함한다. 탄성결합부(57)는 패인 형태이며, 탄성체(59)가 끼워진 거치로드(58)가 수용된다. 탄성체(59)는 탄성력을 부여하면 충분하며, 예컨대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섹터(51)에서 탄성결합부(57)를 바라보는 면에는, 거치로드(58)가 삽입되는 로드홀더(54)가 배치된다. 로드홀더(54)의 상단이 탄성결합부(57)의 상부 측벽(57a)과 일치하면, 섹터(51)의 이동이 중지된다. 이에 따라, 상부 측벽(57a)은 로드홀더(54)의 상단과 더불어, 섹터(5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압인부(28)로 섹터(51)를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섹터(51)는 하강하고 탄성체(59)는 압축되면서 인젝터(60)는 마스크팩(M)에 근접한다. 압인부(28)로 인젝터 날개(63)를 올리면, 섹터(51)는 상승하고 탄성체(59)의 압력이 해제되어 이완된다. 이완되는 탄성체(59)에 의해 로드홀더(54)는 상승하고 상부 측벽(57a)에서 멈춘다. 이렇게 되면, 하강된 섹터(51)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젝터(6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때, 제1 도포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인젝터(60)는 화장물질이 담지된 인젝터 몸체(61)를 포함하고, 몸체(61)는 원통 형태가 바람직하다. 몸체(61)의 일측인 상부에는 날개(63)가 형성된 덮개(62)가 있고, 몸체(61)의 타측인 하부에는 화장물질이 압출되는 바늘(65)이 위치한다. 몸체(6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66)이 존재하며, 나사산(66)에 부합되어 인젝터 삽입홀(53) 내부에도 내부나사가 존재한다. 인젝터(60)는 나사산(66) 및 상기 내부나사에 의한 나사 결합을 하면서 인젝터 삽입홀(53)에 삽입된다. 인젝터(60)가 나사 결합을 하면, 인젝터(60)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결합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는다.
덮개(62)에는 기판(68)이 탑재되는 기판 탑재부(64)가 위치하고, 기판(68)의 중앙에는 버튼(69) 및 커넥터(70)가 배치된다. 기판(68)에는 몸체(61)에 삽입되는 배플(67)이 부착되어 있다. 버튼(69)을 누르면, 배플(67)은 바늘(65) 방향으로 움직되고, 버튼(69)의 누름을 해제하면 배플(67)은 원위치로 돌아온다. 즉, 배플(67)은 팽창하고 수축한다. 이때, 배플(67)의 움직임은 커넥터(7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버튼(69)의 누름으로 인하여 배플(67)이 움직이면, 화장물질에 압력이 가해져서 바늘(65)로부터 상기 화장물질이 압출된다. 압출되는 화장물질의 양은 배플(67)의 이동정도, 버튼(69)의 누름 회수에 따라 달라진다. 커넥터(70)는 버튼(69)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경우에 따라, 커넥터(70)가 없이 무선방식으로 버튼(69)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팩수용부(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때, 제1 도포장치(100) 및 인젝터(60)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팩수용부(40)에는 마스크팩(M)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은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를 위해, 팩수용부(40)는 3D 프린팅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팩수용부(40)는 진공펌프(41)에 연결되며, 진공펌프(41)를 가동하면 마스크팩(M)은 팩수용부(40)에 밀착된다. 이때, 진공펌프(41)는 팩수용부(40)에 내장될 수 있다. 마스크팩(M)에는 위치의 정렬에 필요한 정렬 포인트(P)가 존재한다. 정렬 포인트(P)는 코의 돌출부위로 정해지며, 바늘(65)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도포장치(2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제2 도포장치(200)는 구동하는 요소의 배치가 달라진 점을 제외하고, 제1 도포장치(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의하면, 제2 도포장치(200)는 제4 및 제5 구동모터(83, 85)를 포함하고, 제4 및 5 구동모터(83, 85) 각각에는 제3 및 제4 구동기어(84, 86)가 부착되어 있다. 제3 구동기어(84)는 압인부(82)가 존재하는 구동막대(81)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고, 제4 구동기어(86)는 누름막대(87)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압인부(82)는 섹터(5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누름막대(87)는 버튼(69)을 누른다. 이때, 압인부(82)는 제1 도포장치(100)의 압인부(28)와 기능 및 역할이 동일하고, 누름막대(87)는 제1 도포장치(100)의 누름막대(23)와 기능 및 역할이 동일하다. 제4 및 제5 구동모터(83, 85), 제3 및 제4 구동기어(84, 86), 구동막대(81)의 일부 및 누름막대(87)의 일부는 케이스(90)에 내장된다. 고정축(80)은 제1 도포장치(100)의 고정축(11)과 같이 지주를 지지하고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장치(100, 200)는 상하로 이동하는 섹터(51)를 포함하는 주입부(50) 및 주입부(50)를 상대적으로 x, y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화장물질은 주입부(50)에 삽입된 인젝터(60)에 의해 팩수용부(40)에 수용된 마스크팩(M)로 방출되어 마스크팩(M)에 도포된다. 상기 화장물질이 마스크팩(M)에 방출되면, 상기 화장물질의 일부는 마스크팩(M)에 함침되고 일부는 도포된다. 인젝터(60)에 담지된 화장물질은 버튼(69)이 동작되어 압출된다. 여기서, 주입부(50)를 상대적으로 x, y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부분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장치를 활용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도포장치를 동작시킨 이후에, 세안 등과 같은 다른 행위를 할 수 있다. 도포장치를 동작시키면, 정해진 순서에 따라 마스크팩(M)에 화장물질이 주입되어 도포된다. 예컨대, 볼이나 이마에는 파운데이션, 입술 부위는 립, 눈 주변은 액상의 아이라이너 등이 도포된다. 화장물질의 도로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마스크팩(M)에 얼굴을 접촉시키고 상기 화장물질을 얼굴로 전이시킨다. 그런 다음, 적절하게 얼굴 화장을 진행한다. 이렇게 되면, 바쁜 일정의 삶을 살아가는 사용자는 얼굴 화장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마스크팩(M)에 주입되는 화장물질의 조합은 외출, 취침, 모임의 종류, 계절 등과 같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외출을 할 때에는 눈, 입술 화장을 하는 화장물질이 도포될 수 있고, 취침을 할 때에는 눈, 입술 화장을 하는 화장물질이 배제되고 로션과 같은 화장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장물질이 담지된 인젝터(60)를 상황에 맞추어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고정축(11, 80)을 프레임(10)으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하여, 상황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입부(50)를 프레임(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200; 제1 및 제2 도포장치
10; 프레임 11, 80; 고정축
12; 가로대 20; 구동부
21, 25, 29, 83, 85; 제1 내지 제5 구동모터
22, 30, 84, 86; 제1 내지 제4 구동기어
23, 87; 누름막대
26, 81; 구동막대
27; 막대통로
28, 82; 압인부
40; 팩수용부 41; 진공펌프
42; 안착대 50; 주입부
51; 섹터 52; 수동기어
53; 인젝터 삽입홀 54; 로드홀더
55; 지주 56; 고정축 삽입홀
57; 탄성결합부 58; 거치로드
59; 탄성체 60; 인젝터
61; 몸체 62; 덮개
63; 날개 64; 기판 탑재부
65; 바늘 66; 나사산
67; 배플 68; 기판
69; 버튼 70; 커넥터

Claims (8)

  1. 복수개의 섹터가 모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섹터는 중심에 있는 지주에 연결된 주입부;
    상기 복수개의 섹터 각각에 장착되고, 얼굴 화장을 위한 화장물질이 담지된 인젝터; 및
    상기 인젝터에 담지된 상기 화장물질이 방출되어 도포되는 마스크팩을 수용하는 팩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의 외주면에는 수동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수동기어는 상기 주입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고,
    상기 지주는 탄성체가 키워진 거치로드가 장착된 탄성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로드는 상기 섹터에 부착된 로드홀더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섹터에서 선택된 섹터는 압인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홀더의 상단이 상기 탄성결합부의 상부 측면에 일치하면, 상승하는 이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배플이 내장되고 상기 배플은 버튼의 누름 여부에 의해 팽창하고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누름막대에 의해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수용부는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수용부는 x-y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기기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KR1020200094417A 2020-07-29 2020-07-29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KR10233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17A KR102333394B1 (ko) 2020-07-29 2020-07-29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17A KR102333394B1 (ko) 2020-07-29 2020-07-29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394B1 true KR102333394B1 (ko) 2021-12-01

Family

ID=7893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17A KR102333394B1 (ko) 2020-07-29 2020-07-29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500A (ko) * 2016-07-13 2018-01-23 (주)아모레퍼시픽 개인용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KR101984688B1 (ko) * 2017-11-24 2019-05-31 (주)뷰티화장품 3d 프린팅 하이드로겔 시트를 포함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051263B1 (ko) * 2019-07-15 2019-12-02 김정대 마스크팩 화장액 주입장치
KR20190138546A (ko) * 2018-06-05 2019-12-13 희엽 정 화장품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500A (ko) * 2016-07-13 2018-01-23 (주)아모레퍼시픽 개인용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KR101984688B1 (ko) * 2017-11-24 2019-05-31 (주)뷰티화장품 3d 프린팅 하이드로겔 시트를 포함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8546A (ko) * 2018-06-05 2019-12-13 희엽 정 화장품 디스펜서
KR102051263B1 (ko) * 2019-07-15 2019-12-02 김정대 마스크팩 화장액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2112B2 (ja) 収容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US70408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nd/or packaging a product
US6890115B2 (en) Applicator assembly, applicator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applicator assembly
KR200456829Y1 (ko)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저장부가 설치된 퍼프
KR20090104593A (ko) 화장품 용기
CN109996582B (zh) 皮肤用手动式注射器
US20150126937A1 (en) Self-injection mechanism for use on skin
EP1574148B1 (en) Compact
CN111770701A (zh) 化妆品容器
KR102333394B1 (ko) 얼굴 부위에 따른 마스크팩 화장물질 도포장치
US20190133634A1 (en) Micro-Needling System
KR102016559B1 (ko) 피부용 약물 주입기
CN202377148U (zh) 美容用喷雾器
KR101672495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19399A (ko) 마이크로 니들 피부미용기기
KR102570143B1 (ko) 화장용 콤팩트
CN113662837B (zh) 一种除皱仪
KR101964630B1 (ko) 휴대용 초미립자 음이온 미스트 발생장치
KR101684050B1 (ko) 화장용 도구
CN2279174Y (zh) 点穴镇痛药笔
JP3218942U (ja) ローラー型流体注入装置
CN210407493U (zh) 化妆盒
JP3218898U (ja) スタンプ型流体注入装置
KR20200059958A (ko)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CN211608464U (zh) 一种电动养发按摩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