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821B1 -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821B1
KR102332821B1 KR1020150051634A KR20150051634A KR102332821B1 KR 102332821 B1 KR102332821 B1 KR 102332821B1 KR 1020150051634 A KR1020150051634 A KR 1020150051634A KR 20150051634 A KR20150051634 A KR 20150051634A KR 102332821 B1 KR102332821 B1 KR 102332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izer
magnetic field
sheet
delete delete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868A (ko
Inventor
장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5005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8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지타이저에 있어서, 자기펜의 근접시 전자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자기펜의 동작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 패널; 및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 및 상기 휴대단말기 내부의 복수의 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구비되며,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에 의해 상기 디지타이저에서 요구되는 방열 성능을 충족시킴으로써 방열을 위한 별도의 방열시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digitizer and portabl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정보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기펜 정보 입력 장치인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타이저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기가 출시되어 인기를 끌고 있다. 상기 자기펜을 이용한 디지타이저는 약 0.7mm 두께의 선을 그릴 수 있어 3-4mm 두께로 인식되는 정전 용량식 터치패널보다 정교하기 때문에 세밀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기펜을 이용하면 필기 메모가 가능하고,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이미지나 사진을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사용자가 자기펜을 손에 쥐고 쓸 때 실리는 힘의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힘에 따라 글자의 굵기가 달라지고 있어 높은 해상도를 갖는 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지타이저 기능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 패널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자기펜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자기펜이 디지타이저 패널 측에 근접하면 자기펜에 내장된 공진회로를 통해 디지타이저 패널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형이 발생하며, 이를 일측 모서리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실제 자기펜의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타이저 기능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를 채용하고 있는 대화면 태블릿(tablet) PC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타이저를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 본체의 각종회로부품에 의하여 디지타이저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장 차폐시트가 디지타이저 패널과 메인회로기판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4세대 이동통신기술을 구현하는 롱텀에볼루션(LTE)의 전파는 종전의 3G 이동통신방식의 무선 통신단말기보다 휠씬 강한 전파를 사용하고 있어 이러한 강한 전자기장으로부터 디지타이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배제하며, 자기펜과 디지타이저 간의 원활한 자기장 통신을 위해 확실한 자기장 차폐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자기장 차폐시트로는 자성분말이 포함된 폴리머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자성분말이 포함된 폴리머 시트는 요구되는 자기장 차폐율을 만족하기 위해서 시트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어 휴대 단말기기를 박형화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머 시트의 경우 열전도도가 매우 낮아 방열의 효과가 미미하므로, 휴대 단말기기 본체의 각종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방열시트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시트로 열전도율이 좋은 흑연(예컨대 그라파이트)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흑연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흑연은 재료 자체의 열전도율이 좋아 방열효과는 우수하나, 흑연 역시 매우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차폐시트로서 폴리머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원활한 디지타이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머시트가 두꺼운 두께를 가져야만 요구되는 투자율을 만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폴리머시트는 열전도도가 매우 낮아 방열효과가 미미하므로 폴리머시트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방열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흑연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방열부재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휴대단말기의 박형화에 매우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하고 있으며, 생산단가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 및 실험을 반복한 결과,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의 경우, 자기장을 차폐하는 특성은 물론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반복적인 연구 및 실험을 통하여 지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디지타이저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구성함으로써 디지타이저 패널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하고 열원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자기장 차폐시트를 구비함으로써 방열을 위한 별도의 방열시트, 특히 흑연으로 이루어진 방열시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디지타이저 기능에서 요구하는 차폐효과 및 방열효과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지타이저에 있어서, 자기펜의 근접시 전자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자기펜의 동작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 패널; 및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 및 상기 휴대단말기 내부의 복수의 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구비되며,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에 의해 상기 디지타이저에서 요구되는 방열 성능을 충족시킴으로써 방열을 위한 별도의 방열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디지타이저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디지타이저는 방열을 위하여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방열시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고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고 자기펜의 근접시 전자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자기펜의 동작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 패널과,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구비하는 디지타이저; 및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후면에 배치되고 각종 회로부품들이 실장되는 메인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 및 메인 회로기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구비되며,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에 의해 상기 디지타이저에서 요구되는 방열 성능을 충족시킴으로써 방열을 위한 별도의 방열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회로기판과 디지타이저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구성함으로써 디지타이저 패널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메인 회로기판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방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박형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에 적용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100,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타이저 패널(110) 및 자기장 차폐시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은 입력장치, 일례로 자기펜(1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자기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 측으로 자기펜(10)을 근접시킨 후 움직이면 상기 자기펜(10)에 내장된 공진회로(12)를 통해 디지타이저 패널(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변화됨으로써 자기펜(1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은 폴리이미드(PI)나 PET,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성회로기판에 좌표입력패턴(114a,114b)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좌표입력패턴(114a,114b)은 상기 연성회로기판(111)에 동박 등과 같은 전도체를 패터닝하거나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연성회로기판에 인쇄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좌표입력패턴은 복수의 루프 코일이 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한 세트(114a)를 형성하고, 이러한 세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형태의 다른 세트(114b)가 중복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좌표입력패턴(114a,114b)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자기펜(10)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펜(10)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좌표입력패턴은 입력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되며, 발생된 자기장은 자기펜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펜은 흡수한 자기장을 다시 방출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펜(10)에 의하여 방출된 자기장은 상기 좌표입력패턴에 의하여 흡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기펜(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회로(12) 등이 내장되고, 상기 공진회로(12)의 작동을 통해 전자기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자기펜(10)이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에 근접하면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에서 출력되는 자기장과 상기 자기펜(10)의 공진회로(12)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고, 자기장의 변화가 감지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좌표입력패턴(114a,114b)을 통해 자기펜(10)의 X,Y 좌표를 검출함으로써 자기펜의 동작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기펜(10)의 감도를 높이고 오작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로부터 생성되는 자기장(이하, '제1자기장'이라고 명명함)이 디지타이저 패널(110)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특히, 디지타이저(100,100')가 휴대단말기(200,200')와 같은 전자기기에 내장되고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회로기판(220)과 근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메인회로기판(220)에 실장된 회로 또는 그 주변 회로가 상호 간섭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
이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에서 생성된 제1자기장이 상기 메인회로기판(220)에 실장된 도전성 회로 및 각종 부품 측으로 전달되면 상기 도전성 회로 및 각종 부품으로부터 와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와전류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에서 방출되는 제1자기장과 반대방향으로 제2자기장을 생성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1자기장은 제2자기장에 의한 상쇄간섭에 의해 그 세기가 감소하게 된다. 더불어 제2자기장에 의한 제1자기장의 왜곡현상을 발생시켜 자기펜(10)의 공진회로(12)와 제1자기장 간의 상호 작용을 방해하여 상기 좌표입력패턴을 통한 자기펜(10)의 정확한 위치 검출을 방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 측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하면, 공진회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자기펜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는 최대거리가 짧아지므로 오작동할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상기 자기펜의 접근 방향으로 방출되는 자기장의 집속도가 약해지므로 자기펜의 감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자기펜의 감도를 향상시키고 오작동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의 일면에는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가 배치된다.
특히 전자기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된 메인회로기판(220)이 디지타이저 패널(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과 상기 메인회로기판(220) 사이에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에서 생성되어 디지타이저 패널(110)을 통과한 제1자기장의 대부분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를 통해 유기되어 상기 메인회로기판(220) 측으로 도달하는 것이 차단된다.
이로 인해,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로부터 방출된 제1자기장 중 메인회로기판(220) 측으로 도달하는 잔여자기장의 세기가 감소됨으로써 메인회로기판(220)에 실장된 도전성 회로 및 각종 부품으로부터 와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즉, 상기 잔여자기장에 의해 생성되는 와전류를 최소화하여 와전류에 의한 제2자기장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제1자기장이 제2자기장에 의해 감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자기펜의 감도를 높이고 자기장의 왜곡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기장 차폐시트(12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박판의 자성시트가 단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자성시트(121,122,123)가 적층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자기장 차폐시트(12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12)을 매개로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의 일측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 및/또는 메인회로기판(220)을 포함하는 각종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은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고려할 때 Fe계 자성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은 3원소 합금 또는 5원소 합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3원소 합금은 Fe, Si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5원소 합금은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는 두께가 15 ~ 30㎛범위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400 Wb/(A·m) 이상의 투자율을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가 폴리머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폴리머 시트는 15 ~ 30㎛범위의 매우 얇은 두께에서는 100 Wb/(A·m) 이상의 투자율은 만족하지 못하며, 100 Wb/(A·m) 이상의 투자율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50㎛이상의 두께를 가져야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머 시트는 방열문제를 차치하더라도 박형화를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복수 개의 리본시트(121,122,123)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기장을 차폐하기 위한 자기 투자율의 극대화가 이루어지고, 미세 조각들로 분리 형성되어 표면적을 줄여줌에 따라 반자장이 증가되어 자기 포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더불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가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됨에 따라 교류 자기장에 의해 생성되는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하고, 와전류에 기인한 발열문제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 투자율을 갖는 자기장 차폐시트(120)가 디지타이저 패널(110)의 일면에 구비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s)나 RFID와 같은 부가 기능을 실행할 때 발생되는 교류 자기장에 의해 디지타이저 패널(110)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함과 동시에, 자기펜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흡수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 즉 자속의 전달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기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가 복수 개의 시트층(121,122,123)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각각의 시트층(121,122,123)이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시트층(121,122,123) 사이에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착층(124)이 배치되어 서로 적층되는 한 쌍의 시트층 사이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시트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124)은 각각의 시트층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124)은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가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됨으로써 디지타이저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방열효과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자들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를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의 경우 자기장을 차폐하는 특성은 물론 디지타이저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반복적인 연구 및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방열을 위하여 별도의 방열시트를 적층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디지타이저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방열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총 두께를 120㎛이하, 심지어 65㎛이하의 두께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의 일면에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방열시트(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방열시트(130)는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의 일면에 접착층(132)을 매개로 배치되어 디지타이저(100') 및 메인회로기판(2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조방열시트(13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 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방열시트(130)는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의 일면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방열시트(130)는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면서도 방사율을 높여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박막의 시트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박형화의 요구에 걸림돌이 되는 흑연(일례로, 그라파이트)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박막의 시트로 이루어진 보조방열시트(130)를 통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의 방열을 보조할 수 있음으로써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전체적인 방열특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방열시트(130)를 구성하는 금속재질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u 및/또는 Al 등을 포함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100,100')는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200,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디지타이저(100,100'), 메인회로기판(220) 및 케이스(230a,230b)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200,200')는 상부면에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LCD, LED 또는 아몰레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구비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별도의 터치스크린 패널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일례로,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바로 위에 증착되는 '온셀(On-Cell)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나 자기펜과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하나의 터치에 의한 연속적인 움직임(일례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100,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 및 메인회로기판(2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디지타이저(100,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 측으로 자기펜의 근접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자기펜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자기펜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타이저(100,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110) 및 자기장 차폐시트(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타이저(100,100')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230a,230b)는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디지타이저 패널(110) 및 메인회로기판(22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전방케이스 및 후방케이스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 디지타이저 패널(110) 및 메인회로기판(22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함체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30a)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보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표시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23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회로기판(220)의 하부측에는 별도의 프레임(240)이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 디지타이저 패널(110) 및 메인회로기판(220)을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스(230a,230b)의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30a,230b)의 내부에 별도의 프레임(240)이 배치되는 경우, 특히 상기 프레임(240)이 도전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프레임(240)에 의한 디지타이저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의 일면에 별도의 보조자기장차폐시트(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100' : 디지타이저 110 : 디지타이저 패널
112 : 접착층 120,121,122,123 : 자기장 차폐시트
124 : 접착층 130 : 보조방열시트
132 : 접착층 200,200' : 휴대단말기
210 : 디스플레이 패널 220 : 메인회로기판
230a,230b : 케이스 232 : 투명창
240 : 프레임

Claims (22)

  1.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지타이저에 있어서,
    자기펜의 근접시 전자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자기펜의 동작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 패널; 및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 및 상기 휴대단말기 내부의 복수의 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구비되며,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에 의해 상기 디지타이저에서 요구되는 방열 성능을 충족시킴으로써 방열을 위한 별도의 방열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디지타이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방열을 위하여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방열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디지타이저.
  3. 삭제
  4.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고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고 자기펜의 근접시 전자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자기펜의 동작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 패널과,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구비하는 디지타이저; 및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후면에 배치되고 각종 회로부품들이 실장되는 메인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 및 메인 회로기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구비되며,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에 의해 상기 디지타이저에서 요구되는 방열 성능을 충족시킴으로써 방열을 위한 별도의 방열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휴대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051634A 2015-04-13 2015-04-13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KR102332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34A KR102332821B1 (ko) 2015-04-13 2015-04-13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34A KR102332821B1 (ko) 2015-04-13 2015-04-13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68A KR20160121868A (ko) 2016-10-21
KR102332821B1 true KR102332821B1 (ko) 2021-11-30

Family

ID=5725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34A KR102332821B1 (ko) 2015-04-13 2015-04-13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141A (ko) * 2021-07-02 2023-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폐 부재 및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17034A (ko) * 2021-07-27 2023-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35178A1 (ko) * 2022-08-12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92B1 (ko) * 2013-05-28 2014-09-22 주식회사 아모센스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774B2 (en) * 2013-03-05 2017-11-07 Amosense Co., Ltd. Composite sheet for shielding magnetic field and electromagnetic wave, and antenna module compris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92B1 (ko) * 2013-05-28 2014-09-22 주식회사 아모센스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68A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7998B2 (en) Interface and communication device
JP5664823B2 (ja) 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5666289B2 (ja) 電子機器
KR102027246B1 (ko) 디지타이저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97969A1 (ja) インタフェースユニット及びコンピュータ
JP2011002947A (ja) アンテナ付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2023519601A (ja) 無線電力伝送用の磁気リレー構造を有するアクセサリ
KR20150089753A (ko) 터치 윈도우
KR102332821B1 (ko) 디지타이저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WO2016084667A1 (ja) 通信装置、表示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4097970A1 (ja) 情報端末装置
KR20180003290A (ko) Emi 차폐용 복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JP2011034465A (ja) リーダライタ装置
JPWO2017017800A1 (ja) 座標入力装置
CN103336559A (zh) 触控模块及便携式电子装置
KR102260916B1 (ko) 동 메쉬를 이용한 정전용량방식 및 전자기유도 방식을 사용하는 터치 센서
JP5806921B2 (ja) 静電誘導式タッチシートおよびrfid装置
JP6183185B2 (ja) 静電容量結合方式スイッチのパターン
TWI475464B (zh) 結合磁感應天線的觸控裝置
WO2019227959A1 (zh) 电磁式触控装置及电子阅读器
WO2013183193A1 (ja) 携帯端末装置
JP6015952B2 (ja) 電子機器
CN203573250U (zh) 电容式蓝牙键盘
KR102084392B1 (ko) 모바일 통신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70002172A (ko) 전자차폐층을 갖는 좌표입력장치용 센싱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