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621B1 -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621B1
KR102332621B1 KR1020140163855A KR20140163855A KR102332621B1 KR 102332621 B1 KR102332621 B1 KR 102332621B1 KR 1020140163855 A KR1020140163855 A KR 1020140163855A KR 20140163855 A KR20140163855 A KR 20140163855A KR 102332621 B1 KR102332621 B1 KR 10233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ignal
transmission
recep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228A (ko
Inventor
하민철
박세호
김기현
김지혜
선금종
이우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16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62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62645.0A priority patent/CN107112804A/zh
Priority to AU2015350704A priority patent/AU2015350704B2/en
Priority to US14/944,921 priority patent/US20160149416A1/en
Priority to PCT/KR2015/012393 priority patent/WO2016080752A1/en
Priority to CN202010332571.0A priority patent/CN111682650A/zh
Priority to EP15195564.8A priority patent/EP3024114B1/en
Priority to EP20168073.3A priority patent/EP3694077A1/en
Publication of KR2016006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228A/ko
Priority to US16/272,400 priority patent/US2019017329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4B5/26
    • H04B5/72
    • H04B5/79

Abstract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거나, 지정된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무선 공급된 전력을 정류하거나,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 스위칭 회로와, 상기 신호 변환 스위칭 회로의 스위치 상태를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송수신 제어 모듈, 상기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전력 전송 및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과 관련된다.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기술은 전기 에너지를 전자기파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선 없이 무선으로 에너지를 부하로 전달하는 기술이다. 한 예로서, 자기유도방식은 코일에 유기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송신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인접된 수신 코일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여 부하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무선 전력 전송과 관련하여 다양한 소자들의 배치가 필요하다.
한편,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술은 자기장 통신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식이다. MST 기술의 경우 소매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그네틱 POS(Point of Sale)기기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기반투자 없이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MST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을 위하여 다양한 소자들의 배치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다양한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에 상술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MST 기술의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는 다양한 소자들의 배치가 필요하며, 또한 MST 기술 역시 다양한 소자들의 배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 장치의 경우 크기가 제한적이고, 디자인 등의 목적으로 슬림화가 추구되기 때문에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MST 기술의 채용이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다양한 소자들의 추가로 인하여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MST 기술을 동시 구현할 수 있는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거나, 지정된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무선 공급된 전력을 정류하거나,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 스위칭 회로와, 상기 신호 변환 스위칭 회로의 스위치 상태를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송수신 제어 모듈, 상기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거나, 지정된 신호의 무선 출력을 수행하는 신호 송수신 회로,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제어부의 전원 공급 제어 및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의 신호 수신 또는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전력 수신 또는 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무선 공급된 전력을 정류하거나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 스위칭 회로와 상기 신호 변환 스위칭 회로의 스위치 상태를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송수신 제어 모듈, 상기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 및 MST 기술을 동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편의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단순화된 회로를 통해 세가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실장 면적을 최소화 및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단순화된 회로를 통해 세가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원가를 들여 보다 많은 기능 제공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의 신호 수신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의 MST 실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코일을 운용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코일 운용을 지원하는 송수신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을 운용하는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을 운용하는 송수신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독립된 인버터를 가지는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독립된 인버터 및 송수신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모듈(160), 신호 송수신 회로(200), 전원 제어부(140) 및 배터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2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메모리, 디스플레이, 입출력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200)를 통해 제공되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능 지원과 관련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MST 기능 실행과 관련한 아이콘 등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MST 기능 실행 제어와 관련한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 기능 또는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전력 신호 또는 MST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회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기능 또는 무선 전력 송신 기능 실행과 관련한 UI(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3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30)는 예컨대 2차 전지로 마련되어 전원 제어부(140)가 공급하는 전원을 충전하고, 전원 제어부(140) 제어에 따라 충전된 전력을 방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30)는 신호 송수신 회로(200)와 코일(120)을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30)에 충전된 전력은 신호 송수신 회로(200)와 코일(120)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충전 방식 외에 유선 방식을 통한 배터리 충전을 지원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140)는 배터리(130)에 연결되어, 배터리(130)의 충전 제어 또는 방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제어부(140)는 배터리(130)의 충전 잔량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제어 모듈(1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부(140)는 신호 송수신 회로(2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수신되면 이를 배터리(130)에 전달하여 배터리(130)를 충전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40)는 제어 모듈(16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30)에 충전된 전력을 신호 송수신 회로(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0)의 기능 운용과 관련한 신호 처리 및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60)은 MST 기능, 무선 전력 수신 기능, 무선 전력 송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160)은 상술한 기능 운용과 관련한 메뉴 또는 아이콘 등을 제공하고, 메뉴 또는 아이콘 선택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송신 기능 또는 MST 기능과 관련한 신호 송수신 회로(200)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160)은 사용자 입력 또는 외부 입력(예: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이 송신되는 것을 감지)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의 실행을 위한 신호 송수신 회로(200)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전자 장치(100)의 무선 전력 전송 기능 및 MST 기능 실행과 관련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제어 모듈(160)의 제어 또는 외부 입력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전원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제어 모듈(160) 제어에 대응하여 전원 제어부(140)가 전달한 배터리(130) 전력을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MST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신호 송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송수신 제어 모듈(150), MST 모듈(110) 및 코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ST 모듈(110)은 예컨대, 커패시터, 저항 등의 소자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송수신 제어 모듈(15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지정된 형태의 신호로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MST 모듈(110)은 송수신 제어 모듈(150)이 전달한 일정 전력 신호를 지정된 일정 크기로 변환하여 코일(120)에 전달함으로써, 코일(120)을 통해 지정된 펄스 형태의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MST 모듈(110)은 송수신 제어 모듈(150)뿐만 아니라 제어 모듈(160) 제어에 대응하여 신호 송출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코일(120)은 MST 모듈(110) 및 송수신 제어 모듈(1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120)은 MST 기능을 지원하면서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코일(120)은 복수개가 마련되어 MST 모듈(110)과 연결되는 코일과, 송수신 제어 모듈(150)에 연결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들은 MST 기능 지원을 위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코일과,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외부 전자 장치가 송출하는 신호(예: 전류가 흐르는 외부 전자 장치의 코일에 의한 자기장 신호)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을 송수신 제어 모듈(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송수신 제어 모듈(150)이 전달한 전류에 따른 자기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은 MST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MST 모듈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일정 펄스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제어 모듈(150)은 제어 모듈(160)과 전원 제어부(140)에 연결되어, 무선 전력 수신 기능과, 무선 전력 송신 기능 및 MST 기능 실행 중 신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송수신 제어 모듈(150)은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수신된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제어 모듈(150)은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전원 제어부(140)가 전달한 DC 신호를 AC 신호로 변환하여 코일(120)에 전달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150)은 MST 기능 수행 동안 제어 모듈(160)의 제어에 대응하여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MST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송수신 제어 모듈(150)은 드라이버(151), 스위칭 회로(153) 및 신호 변환 스위칭 회로(예: 인버터(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55)는 복수개의 스위치 예컨대, 4개의 스위치가 브리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인버터(155)는 드라이버(151)와 스위칭 회로(153)에 연결되며, 추가적으로 코일(120) 또는 선택적으로 MST 모듈(110)가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155)는 코일(120)이 수신한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155)는 스위칭 회로(153)를 통해 전달된 전원 제어부(140)의 DC 신호를 AC 신호로 변환하여 코일(120) 또는 MST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153)는 전원 제어부(140)와 인버터(155) 사이에 배치되어 송수신 제어 모듈(150)의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칭 회로(153)는 무선 전력 송신 상태와 무선 전력 수신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회로(153)는 예컨대, 제어 모듈(160)의 제어에 따라 일정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151)는 인버터(155)에 포함된 스위치들의 스위치 상태를 제어하여 인버터(155)의 신호 변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드라이버(151)는 무선 전력 수신 상태인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된 AC 신호가 스위칭 회로(153)를 통해 전원 제어부(140)에 전달되도록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151)는 MST 기능 수행 상태인 경우 스위치들의 상태 제어를 통해 지정된 신호가 MST 모듈(11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60)은 외부 전자 장치(100)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전력 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 회로(153)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 상태를 위한 수신 경로가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60)은 드라이버(151)에 일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인버터(155)의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수신된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160)은 사용자 입력(예: 무선 전력 송신 기능 실행과 관련한 입력)이 발생하면, 스위칭 회로(153)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송신 상태를 수행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60)은 인버터(155)를 제어하여 전원 제어부(140)가 제공한 배터리(130)의 DC 전력을 AC 전력을 변환하여 코일(12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160)은 사용자 입력(예: MST 기능 실행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나, 아이콘 선택 또는 지정된 키 버튼 선택 등)이 발생하면, 스위칭 회로(153)를 제어하여 신호 송출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가 되도록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60)은 인버터(155)의 스위치들의 게이트 개폐 타이밍을 제어하여 지정된 일정 형태의 신호가 MST 모듈(110)을 거쳐 코일(12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60)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상태인 경우, 현재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30)를 충전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화면 UI 또는 오디오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60)은 배터리(130)의 잔량 혹인 및 그에 따른 정보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60)은 무선 전력 송신 상태인 경우, 현재 무선 전력을 출력하고 있음을 안내하고, 그에 대응하여 배터리(130) 잔량 체크 및 잔량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거나, 지정된 신호의 무선 출력을 수행하는 신호 송수신 회로,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제어부의 전원 공급 제어 및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의 신호 수신 또는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전력 수신 또는 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무선 공급된 전력을 정류하거나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변환하는 스위칭 회로와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스위치 상태를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송수신 제어 모듈, 상기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무선으로 공급된 전력을 충전하거나, 상기 신호 출력에 이용되는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는 상기 필터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회로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필터의 용량보다 지정된 크기 이하의 용량 크기(예: 50배 이하 작은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는 상기 필터와 상기 스위칭 회로의 선택적 연결을 제어하는 상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스위치는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은 상기 지정된 신호 출력을 위한 제1 코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제1 코일 운용과 관련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송출 제어 회로와 제1 제어 회로, 상기 제2 코일 운용과 관련한 신호 송수신을 제어하는 상기 제1 제어 회로와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제2 코일 운용과 관련한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와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공용 회로로 이용하며 상기 송신 제어 모듈이 제공하는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필터에 전달하는 신호 송출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 스위칭 회로는 복수개의 스위치들이 캐스코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드라이버(151), 인버터(155), MST 모듈(110), 코일(120), 제1 커패시터(121), 전력 처리 모듈(예: LDO(154) 또는 벅, 부스터 등, 이하 설명에서는 LDO로 예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55)는 예컨대, 제1 스위치(S1), 제2 스위치(S2), 제3 스위치(S3), 제4 스위치(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1)와 제4 스위치(S4)는 동일 제어 상태를 가지며, 제2 스위치(S2) 및 제3 스위치(S3)역시 동일 제어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는 서로 다른 제어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위치(S1)와 제4 스위치(S4)가 턴-온 상태인 경우 제2 스위치(S2)와 제3 스위치(S3)는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스위치(S1)와 제4 스위치(S4)가 턴-오프 상태인 경우, 제2 스위치(S2)와 제3 스위치(S3)는 턴-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1, S2, S3, S4)은 N타입 MOSF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MST 모듈(110)은 예컨대, 제1 상태 스위치(111)와 MST 펄스 형성 필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태 스위치(111)는 제어 모듈(160) 또는 상기 드라이버(151)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MST 기능 수행 요청이 발생하는 동안 턴-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별도의 MST 기능 실행이 없는 경우 제1 상태 스위치(111)는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MST 모듈(110)은 제1 커패시터(121)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코일(120)은 MST 모듈(110)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코일(120)의 일단은 인버터(155)의 제1 스위치(S1)의 드레인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4 스위치(S4)의 소스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120)과 제1 스위치(S1)의 드레인 사이에는 제1 커패시터(121)가 배치될 수 있다. MST 펄스 형성 필터(113) 내부에도 커패시터가 배치될 수 있다. MST 펄스 형성 필터(113)에 포함된 커패시터는 용량이 제1 커패시터(121)에 지정된 크기 이상(예: 50배 이상)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서 제1 상태 스위치(111)가 턴-온되면, 외부에서 코일(120)을 바라는 보는 경우 MST 펄스 형성 필터(113)의 커패시터가 제1 커패시터(121)에 비하여 상당히 큰 용량 값을 가지기 때문에 제1 커패시터(121)의 영향 없이 MST 모듈(110)만 코일(120)에 연결된 형태와 등가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태 스위치(111)가 턴-오프가 되면, MST 펄스 형성 필터(113)는 코일(120)에 대하여 플로팅 상태가 됨으로써, MST 펄스 형성 필터(113)에 포함된 커패시터는 실질적으로 제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코일(120)을 통해 수신된 AC 신호는 제1 커패시터(121)를 통하여 인버터(155)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55)의 제1 스위치(S1)의 소스와 제2 스위치(S2)의 소스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위치(S3)의 드레인과 제4 스위치(S4)는 서로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치(S1)의 소스와 제2 스위치(S2)의 소스는 백투백(Back to Back) LDO(154)(Low-drop-out)에 연결된다. LDO(154)는 인버터(155)를 통해 DC화된 전력을 배터리(130)에 충전시킬 수 있을 정도로 처리하여 전원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의 신호 수신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충전 상태와 관련하여,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이 전송되면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코일(120)의 일단에 AC 신호의 정극이 형성되고, 타단에 AC 신호의 부극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120) 등에 별도로 마련된 센서를 통해 일정 크기 이상의 신호 흐름이 발생하는 것이 감지되면, 드라이버(151)는 제1 스위치(S1) 및 제4 스위치(S4)를 턴-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2 스위치(S2) 및 제3 스위치(S3)를 턴-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120)에 형성된 신호는 제1 커패시터(121)가 배치된 신호 라인을 따라 제1 스위치(S1)의 드레인 방향으로 흐르고, 턴-온 상태의 제1 스위치(S1)를 통하여 LDO(154)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LDO(154)는 공급된 신호를 DC-DC 변환하여 전원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LDO(154)와 공통 접지되는 제4 스위치(S4)를 통하여 해당 신호는 코일(120)로 복귀함으로써 제1 스위치(S1) 및 제4 스위치(S4)를 통한 AC 신호의 1/2 주기가 완료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전력은 AC 신호 특성에 따라 나머지 1/2 주기 동안 특성이 변경되어 제공됨에 따라 코일(120)의 일단에 AC 신호의 부극이 형성되고, 타단에 AC 신호의 정극이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151)는 제1 스위치(S1) 및 제4 스위치(S4)를 턴-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제2 스위치(S2) 및 제3 스위치(S3)를 턴-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120)에 형성된 신호는 턴-온 상태인 제2 스위치(S2)를 통하여 LDO(154)에 전달되고, 공통 접지로 연결된 제3 스위치(S3)를 거쳐 제1 커패시터(121)가 배치된 신호 라인을 통해 회귀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과정에서, 인버터(155)에 포함되는 각각의 스위치들은 AC 신호를 정류하여 DC 신호로 변환하여 LDO(154)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무선 전력 수신 동작과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60)은 코일(120)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160)은 신호 송수신 회로(200)가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스위치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의 MST 실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상태와 관련하여,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전원 제어부(140)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LDO(154)를 통해 전달받고, 이를 인버터(155)에 전달하여 코일(120) 방향으로 흐르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드라이버(151)는 제1 스위치(S1) 및 제4 스위치(S4)를 턴-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2 스위치(S2) 및 제3 스위치(S3)를 턴-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턴-온 상태의 제1 스위치(S1), 제1 커패시터(121)를 포함하는 신호 라인, 코일(120), 제4 스위치(S4) 및 접지부를 포함하는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LDO(154)를 통해 출력된 DC 신호는 인버터(155)의 스위치들을 거치면서 AC 형태로 변환되어 코일(120)을 흐를 수 있다.
AC 신호의 1/2 주기가 경과하면, 드라이버(151)는 제1 스위치(S1) 및 제4 스위치(S4)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치(S2) 및 제3 스위치(S3)를 턴-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DO(154)를 통해 출력된 DC 신호는 턴-온 상태의 제2 스위치(S2), 제4 스위치(S4)의 소스, 코일(120), 제1 커패시터(121)가 배치된 신호 라인, 제1 스위치(S1)의 드레인, 제3 스위치(S3) 및 접지부를 포함하는 패스를 따라 이동하면서 코일(120)에 AC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160)은 입력 모듈 또는 입력 기능의 디스플레이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160)은 무선 전력 송신 기능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160)은 상술한 무선 전력 송신 기능 활성화와 관련한 입력 신호나 메시지 수신 또는 사용자 입력 제어에 따라 전원 제어부(140)를 제어하여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을 신호 송수신 회로(2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송수신 제어 모듈(150)의 드라이버(151)를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치들의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드라이버(351), 인버터(355), MST 모듈(310), 코일(320), 제1 커패시터(C1), 제1 상태 스위치(311), 제2 상태 스위치(353) 및 LDO(35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태 스위치(353)는 수신 모드와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형태의 스위치이다. 제2 상태 스위치(353)가 Rx mode로 동작할 때는 NMOS Synchronous Rectifier에서 정류된 DC 전력이 LDO(357)로 인가되어 일정한 크기의 DC 전원을 생성하게 되며, 제2 상태 스위치(353)가 Tx mode로 동작할 경우 LDO(357)로부터 인가 받은 DC 전원을 AC전력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200)에서 인버터(355)는 브리지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스위치(S1), 제2 스위치(S2), 제3 스위치(S3), 제4 스위치(S4)를 포함하며, 제3 스위치(S3)와 제4 스위치(S4)는 공통 접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치(S1)의 드레인은 제1 커패시터(C1)를 거쳐 코일(3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제2 스위치(S2)의 드레인(또는 제4 스위치의 소스)은 코일)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태 스위치(311)와 MST 펄스 형성 필터(313)를 포함하는 MST 모듈(310)은 제1 커패시터(C1)에 병렬 연결되며, 제1 커패시터(C1)의 일단은 코일(32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1)의 소스와 제2 스위치(S2)의 소스는 제2 상태 스위치(353)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상태 스위치(353)는 드라이버(351) 또는 제어 모듈(16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상태, 무선 전력 송신 상태 등에 따라 선택 채널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LDO(357)는 제2 상태 스위치(353)에 연결되어 제2 상태 스위치(353)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제2 상태 스위치(353)를 제외하고 기타 구성은 앞서 설명한 도 2a의 신호 송수신 회로(2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제2 상태 스위치(353)가 LDO(357)의 Rx 모드로 결선되어,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도 2b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DC 신호를 전원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제2 상태 스위치(353)가 LDO(357)의 Tx 모드로 결선되어,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도 2c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DC 신호를 인버터를 통해 코일(3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코일을 운용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모듈(460), 송수신 제어 모듈(450), MST 모듈(410), 제1 커패시터(421), 코일(420), 전원 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460)은 송수신 제어 모듈(450)에 MST 기능 활성화 신호(MST_EN), 무선 전력 송신 기능 활성화 신호(TX_EN), 무선 전력 수신 기능 활성화 신호(RX_EN)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460)은 사용자 입력 또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 수행에 따라 상술한 활성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송수신 제어 모듈(4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송수신 제어 모듈(450)은 외부 입력 발생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기능 활성화 신호(RX_EN)를 제어 모듈(4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모듈(460)은 GPIO 포트에 연결된 신호 라인들을 따라, MST 모듈(410)의 제1 상태 스위치(411)를 제어하거나, 전원 제어부(44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 모듈(460)은 전원 제어부(4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GPIO 포트로 수신하여 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460)은 송수신 제어 모듈(450)에 포함된 드라이버 제어와 관련하여 필요한 제어 신호들(AP_D+, AP_D-)을 송수신 제어 모듈(450)의 데이터 포트들(D+, D-)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제어 모듈(450)에 포함된 LDO(B2B LDO)는 전원 제어부(440)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된 전력 신호를 전원 제어부(440)에 전달하거나, 전원 제어부(440)가 전달한 전력 신호를 코일(420)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421)는 MST 모듈(410)에 병렬 연결되며, 코일(420)은 제1 커패시터(421)의 일단 및 MST 모듈(41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자 장치(100)는 제어 모듈(460)은 제1 상태 스위치(411) 제어에 따라 MST 모듈(410)의 운용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상태 스위치(411)가 턴-온 상태이면, 제1 커패시터(421)에 비하여 지정된 크기 이상의 용량(예: 제1 커패시터(421)의 50배)을 가지는 MST 펄스 형성 필터(413)의 커패시터가 코일(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DO(B@B LDO)를 통해 출력된 후 인버터의 스위칭에 의해 변형된 신호는 MST 펄스 형성 필터(413)를 거치면서 지정된 특정 펄스 신호로서 코일(42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코일(420)은 무선 전력 수신 기능, 무선 전력 송신 기능, MST 기능 등을 혼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코일(420)은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200)가 무선 전력 수신 기능, 무선 전력 송신 기능, MST 기능 중 어느 하나로 운용되는 동안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코일 운용을 지원하는 송수신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송수신 제어 모듈(450)과, MST 모듈(410) 및 코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MST 모듈(410)은 제1 커패시터(421)에 병렬 연결되며, 직렬로 배치된 제1 상태 스위치(411)와 커패시터(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421)와 코일(420) 사이에는 제1 노드(401), 제1 커패시터(421)와 송수신 제어 모듈(450) 사이에는 제2 노드(40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제어 모듈(450)은 제1 제어 회로(510), 제2 제어 회로(520), LDO(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DO(530)의 출력단(예: 무선 전력 수신 기능 측면에서) Vrect와 입력단(예: 무선 전력 송신 기능 측면에서) Vout에는 안정기 역할을 수행하는 커패시터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회로(510)는 예컨대, 직렬로 연결된 제1 전단 스위치(H1), 제2 전단 스위치(L1), 제1 제어 노드(511)를 포함하고, 제2 전단 스위치(L1)와 연결되는 제2 제어 노드(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노드(511)는 제1 전단 스위치(H1) 및 제2 전단 스위치(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제어 노드(512)는 제1 전단 스위치(H1)와 제2 제어 회로(520) 사이 또는 제1 전단 스위치(H1)와 LDO(5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회로(520)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1 후단 스위치(H2) 및 제2 후단 스위치(L2)를 포함하고, 제3 제어 노드(5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 노드(521)는 제1 후단 스위치(H2)와 제2 후단 스위치(L2) 사이의 지점일 수 있다. 제3 제어 노드(521)는 코일(42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420)을 통해 수신되는 정극성 주기 신호(AC1)은 제1 제어 노드(511)에 전달되고, 턴-온 상태의 제1 전단 스위치(H1)와 제2 제어 노드(512)를 거쳐 LDO(53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420)을 통해 수신되는 부극성 주기 신호(AC2)는 제3 제어 노드(521)에 전달되고, 턴-온 상태의 제1 후단 스위치(H2), 제2 제어 노드(512)를 통해 LDO(530)에 전달될 수 있다.
무슨 전력 수신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상태에서 제1 상태 스위치(411)는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상태 스위치(411)가 턴-온 상태가 되면, LDO(530)를 통해 출력된 DC 신호가 제1 제어 회로(510) 및 제2 제어 회로(520)를 통해 AC 신호로 변환되고, 해당 신호는 제1 상태 스위치(411) 및 MST 펄스 형성 필터에 해당하는 커패시터를 통해 코일(42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을 운용하는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모듈(660), 송수신 제어 모듈(650), 전원 제어부(640), 제1 코일(620a), 제2 코일(620b), 제1 커패시터(621), MST 커패시터(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660)은 I2C_M 포트를 통해 송수신 제어 모듈(650)의 I2C_S와 통신하여 MST 기능 활성화 신호(MST_EN), 무선 전력 송신 활성화 신호(TX_EN)가 송수신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650)은 INT 포트를 통하여 제어 모듈(660)을 깨울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650)은 제2 코일(620b) 등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지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 발생을 감지하면, 해당 감지 신호를 INT 포트를 통해 제어 모듈(660)에 전달하여 제어 모듈(660)을 깨우고,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무선 전력 수신 활성화 신호(RX_EN)가 송수신 제어 모듈(650)과 제어 모듈(660)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6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620a) 및 제2 코일(620b)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620a)의 일단은 MST 커패시터(613)를 통해 송수신 제어 모듈(6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620a)은 MST 기능 수행 동안 이용될 수 있다. 제2 코일(620b)의 일단은 제1 코일(620a)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2 코일(620b)의 타단은 제1 커패시터(621)를 통해 송수신 제어 모듈(650)에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650)은 AC0 포트, AC1 포트를 통해 제1 코일(620a)의 운용에 필요한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AC1 포트 및 AC2 포트를 통해 제2 코일(620b)의 운용에 필요한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650)의 B2B LDO는 전원 제어부(64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제어부(640)는 배터리(130) 및 제어 모듈(640)에 연결되고, 제어 모듈(640)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기능, MST 기능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640)는 제어 모듈(640) 제어 등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코일(620a)과 제2 코일(620b)은 701 상태에서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620a)은 중심에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거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이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일(620b)은 제1 코일(620a)의 중앙에 배치되데, 중심에서부터 일정 크기 이하의 거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이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제1 코일(620a)과 제2 코일(620b)이 각각 두 개의 폐곡선이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폐곡선의 개수는 실장 영역에 따라 보다 다양한 개수로 확보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제1 코일(620a) 및 제2 코일(620b)의 폐곡선들이 서로 결선되지 않도록 도시하였으나, 폐곡선들은 송수신 제어 모듈(650)의 AC0 포트, AC1 포트, AC2 포트 등에 공통으로 연결되거나 상호 간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코일(620a)과 제2 코일(620b)은 703 상태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MST 기능을 지원하는 제1 코일(620a)은 복수개의 폐곡선이 동일 중심점을 기준으로 이격되는 거리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제2 코일(620b)은 제1 코일(620a)과 다른 위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이 중심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일(620a)과 제2 코일(620b)은 상호 중첩되는 영역이 없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620a)의 일단과 제2 코일(620b)의 타단은 AC1 포트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 AC0 포트 및 AC2 포트에 구분되어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코일(620a)과 제2 코일(620b)은 705 상태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중심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이 일정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어 배치된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620a)과 제2 코일(620b)을 외곽에서 감싸는 폐곡선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코일(620a)과 제2 코일(620b)은 외곽에서 감싸는 폐곡선이 AC1 포트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각기 다른 중심점을 기준으로 배치된 폐곡선들이 각각 AC0 포트 또는 AC2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을 운용하는 송수신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송수신 제어 모듈(850), 송수신 제어 모듈(850)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코일(820a), 제2 코일(820b), 제1 코일(820a)과 송수신 제어 모듈(850) 사이에 배치되는 MST 커패시터(813), 제2 코일(820b)과 송수신 제어 모듈(85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커패시터(8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 회로(200)는 제1 코일(820a)과 제2 코일(820b)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노드(81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850)은 신호 송출 제어 회로(830), 제1 제어 회로(835), 제2 제어 회로(840), LDO(860), 드라이버(851)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송출 제어 회로(830)는 직렬로 연결된 상측 제어 스위치(830a), 하측 제어 스위치(830b)가 마련되고, 상측 제어 스위치(830a) 및 하측 제어 스위치(830b) 사이에는 MST 노드(831)가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제어 스위치(830a) 또는 하측 제어 스위치(830b)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 방지를 위하여 AC 신호의 클램핑 기능을 수행하도록 복수개의 스위치들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측 제어 스위치(830a)는 제1 상측 제어 스위치(H81)와 제2 상측 제어 스위치(H82)가 직렬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어 스위치(830b)는 제1 하측 제어 스위치(L81)와 제2 하측 제어 스위치(L82)가 직렬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제어 스위치(830b)의 일단은 접지되고, 상측 제어 스위치(830a)의 상단은 LDO(860)와 연결되는 LDO 노드(832)에 연결될 수 있다. MST 노드(831)는 MST 커패시터(8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835)는 제1 코일(820a) 이용 시에 운용될 수 있다. MST 노드(831)는 도 6에서 설명한 AC0 포트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835)는 제1 전단 스위치(H10) 및 제2 전단 스위치(L10)가 직렬로 연결되고, 제1 전단 스위치(H10)와 제2 전단 스위치(L10) 사이에 제1 전단 노드(84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단 노드(842)는 코일 노드(815)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단 노드(842)는 도 6에서 설명한 AC1 포트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전단 스위치(H10)의 상단은 제1 제어 회로(835)가 연결되는 제2 전단 노드(83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단 스위치(L10) 하단은 접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어 회로(835)는 제1 코일(820a) 및 제2 코일(820b)에 대하여 공통 회로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 회로(835)는 제1 코일(820a) 운용 시 상태 제어가 수행되고 또한 제2 코일(820b) 운용 시에도 상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제어 회로(840)는 제1 후단 스위치(H20) 및 제2 후단 스위치(L20)가 직렬로 배치되며, 제1 후단 스위치(H20)와 제2 후단 스위치(L20) 사이에 후단 노드(841)가 배치될 수 있다. 후단 노드(841)는 제1 커패시터(811)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후단 노드(841)는 도 6에서 설명한 AC2 포트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제어 회로(840)는 제2 코일(820b) 이용 시에 운용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850)의 LDO(860)는 B2B(Back to Back)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LDO(860)의 일단(Vrect)에 안정기 역할을 수행하는 커패시터(801)가 배치되고, 타단(Vout)에 안정기 역할을 수행하는 커패시터(80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드라이버(851)는 채널 선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드라이버(851)는 제1 제어 회로(835)에 포함된 스위치들, 제2 제어 회로(840)에 포함된 스위치들, 제2 제어 회로(840)에 포함된 스위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 기능, 무선 전력 송신 기능, MST 기능이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코일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면, 제1 코일(820a)은 MST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물성을 가지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 이상의 테두리를 가지는 개방된 곡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일(820a)의 일단은 송수신 제어 모듈(850)의 AC0 포트에 연결되고, 제1 코일(820a)의 타단은 송수신 제어 모듈의 AC1 포트에 연결되어, 송수신 제어 모듈(850)이 출력하는 MST 기능과 관련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코일(820b)은 제1 코일(820a)과 중심점이 다른 위치에 배치되데 제1 코일(820a)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이 배치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일(820b)의 일단은 송수신 제어 모듈(850)의 AC1 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수신 제어 모듈(850)의 AC2 포트에 연결되어 무선 전력 송신과 관련하여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무선 전력 수신 기능에 따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독립된 인버터를 가지는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제어 모듈(1060), 송수신 제어 모듈(1050), 전원 제어부(1040), 제1 코일(1020a), 제2 코일(1020b), MST 커패시터(1013), 제1 커패시터(1021), MST 인버터(10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60)과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은 MST 기능 활성화 신호(MST_EN), 무선 전력 송신 활성화 신호(TX_EN), 무선 전력 수신 활성화 신호(RX_EN) 등을 송수신하고,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060)은 전원 제어부(1040)의 전원을 공급받고, 전원 제어부(1040)의 전원 충전 또는 방전 등에 관한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은 제1 코일(1020a)과 제2 코일(1020b) 제어에 필요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은 제어 모듈(1060)의 제어에 대응하여 전원 제어부(1040)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 기능 처를 위해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된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전원 제어부(1040)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은 MST 기능 처리와 관련한 신호를 MST 인버터(1070)에 전달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은 제1 코일(1020a) 및 제2 코일(1020b)과 연결되는 AC1 포트와 AC2 포트를 포함하고, MST 인버터(1070)와 연결되는 Vrect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MST 인버터(1070)는 MST 기능 처리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MST 인버터(1070)는 제어 모듈(1060) 제어에 따라 기능 수행 상태 또는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MST 인버터(1070)는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이 전달한 신호를 스위칭하여 MST 펄스 형성 필터를 통해 제1 코일(1020a)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MST 인버터(1070)는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의 Vrect 포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AC0 포트를 통해 MST 커패시터(1013)를 거쳐 제1 코일(1020a)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코일(1020a)의 일단은 MST 커패시터(1013)를 통해 MST 인버터(1070)의 AC0 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의 AC1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1020a)은 예컨대, MST 기능 운용을 위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코일(1020b)의 일단은 제1 코일(1020a)과 동일하게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의 AC1 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커패시터(1021)를 거쳐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의 AC2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코일(1020b)은 무선 전력 전송 기능 운용을 위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전원 제어부(1040)는 송수신 제어 모듈(105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전원 제어부(1040)는 제어 모듈(1060) 제어에 대응하여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을 방전시켜 송수신 제어 모듈(10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1040)는 MST 기능 수행과 관련한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독립된 인버터 및 송수신 제어 모듈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시된 신호 송수신 회로(200)에서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은 MST 인버터(1070)가 별도로 독립된 형태로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 도 9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 독립된 MST 인버터(1070)는 예컨대, 상측 제어 스위치(1070a)와 하측 제어 스위치(107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어 스위치(1070a)와 하측 제어 스위치(1070b)는 전기적 특성 개선을 위하여 캐스코드 형태로 스위치들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측 제어 스위치(1070a)는 제1 상측 제어 스위치(H91), 제2 상측 제어 스위치(H92)가 직렬 연결되고, 하측 제어 스위치(1070b)는 제1 하측 제어 스위치(L91) 및 제2 하측 제어 스위치(L92)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측 제어 스위치(1070a) 및 하측 제어 스위치(1070b)는 하나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MST 인버터(1070)는 AC0 포트 역할을 수행하는 MST 노드(1071)가 마련되며, MST 노드(1071)는 상측 제어 스위치(1070a)와 하측 제어 스위치(107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MST 노드(1071)는 MST 커패시터(1013)에 연결될 수 있다. MST 인버터(1070)의 상단 예컨대, 상측 제어 스위치(1070a)의 상단은 도 10의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의 Vrect 포트에 배치된 포트 노드(11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은 제1 제어 회로(1110) 및 제2 제어 회로(1120), LDO(1130), 드라이버(1051)를 포함할 수 잇다.
제1 제어 회로(1110)는 제1 전단 스위치(H11), 제2 전단 스위치(L11), 제1 전단 스위치(H11)와 제2 전단 스위치(L11) 사이의 제1 전단 노드(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노드(1111)는 AC1 포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코일(1020a)과 제2 코일(1020b) 사이에 배치된 코일 노드(1015)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1110)는 제1 코일(1020a) 운용 및 제2 코일(1020b) 운용을 위해 공통으로 이용되는 공용 회로일 수 있다. 제1 전단 스위치(H11) 상단에는 제2 전단 노드(1112)가 배치되고, 제2 전단 노드(1112)는 LDO(1130)의 일단에 마련된 LDO 노드(11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제어 회로(1120)는 제1 후단 스위치(H21), 제2 후단 스위치(L21), 후단 노드(1121)를 포함할 수 있다. 후단 노드(1121)는 AC2 포트 역할을 수행하며, 제1 커패시터(1021)에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 제어 모듈(1050)의 입출력단 예컨대, Vrect 및 Vout에는 안정기 역할을 수행하는 커패시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코일들은 예컨대, 전자 장치(100)의 후면 등에 배치되거나,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커버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에 코일이 배치되는 경우, 배터리 커버 일측에 전기적 접점이 마련되고, 해당 전기적 접점은 배터리 커버의 장착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의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신호 송수신 회로(200)에서 언급된 제어 스위치들은 N타입 MOSFET 스위치일 수 있다. 각 제어 스위치들은 드라이버 또는 제어 모듈(1060)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되어 신호 변환(예: DC 변환 또는 AC 변환) 또는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 및 MST 시스템의 신호 송신,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신호 송수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송수신 회로는 무선 전력 수신기 기능의 NMOS Synchronous Rectifier와 무선 전력 송신기 및 MST 송신기 기능의 NMOS Full Bridge Inverter를 같은 NMOS Transistor로 구현되고, 하나의 코일(또는 복수의 코일)을 송수신 코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송수신 회로는 상태(또는 모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상태, 무선 전력 송신 상태, MST 시스템 송신 상태로 동작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회로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거나, 지정된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무선 공급된 전력을 정류하거나,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변환하는 스위칭 회로와,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스위치 상태를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송수신 제어 모듈, 상기 외부로 출력할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 제어 모듈은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거나 상기 전원 제어부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상기 스위칭 회로에 전달하는 LDO 또는 상기 스위칭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기능 또는 무선 전력 송신 기능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제어를 수행하는 제2 상태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송수신 회로;
    입력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는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후면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코일;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의 스위치들의 상태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LDO(low dropout)를 포함하는 전력 처리 모듈을 가지는 송수신 제어 회로;
    상기 코일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을 통해 특정 MST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통신 신호를 상기 특정 MST 신호로 변환하는데 이용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제어 회로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제어 회로는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위해 상기 코일을 통해 무선으로 획득된 전력을 평활화하고, 상기 코일을 통해 무선으로 외부 전자 장치 충전을 위한 전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에 의해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의 기능의 수행과 관련한 메뉴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의 선택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를 통해 상기 송수신 제어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처리 모듈의 LDO를 거쳐 상기 전원 제어부로부터 공급된 배터리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배터리 전력을 출력하도록 상기 수신된 배터리 전력을 상기 인버터에 전달하고 - 상기 LDO를 거쳐 출력되는 배터리의 직류 전력은 상기 인버터들의 스위치들을 통해 교류 전력을 변화되어 코일에 흐름 -,
    상기 배터리에 의해 공급된 상기 배터리 전력이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의 실행에 따라 무선으로 출력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신호 송수신 회로가 통신 전송 상태일 때, 상기 필터에 상기 통신 신호를 전달하도록 설정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드에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는 물리 버튼을 할당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전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배터리의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의 레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레벨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의 레벨에 대응하는 정보에 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전자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기능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입력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을 위한 요청 생성을 위한 메시지 수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송수신 제어 회로에 연결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코일 내에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기능 수행 동안 상기 제1 코일 또는 제2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운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 기능 수행 중에 상기 제1 코일 및 제2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운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63855A 2014-11-21 2014-11-21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3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855A KR102332621B1 (ko) 2014-11-21 2014-11-21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U2015350704A AU2015350704B2 (en) 2014-11-21 2015-11-18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4/944,921 US20160149416A1 (en) 2014-11-21 2015-11-18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15/012393 WO2016080752A1 (en) 2014-11-21 2015-11-18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580062645.0A CN107112804A (zh) 2014-11-21 2015-11-18 信号接收和发送电路及包括信号接收和发送电路的电子装置
CN202010332571.0A CN111682650A (zh) 2014-11-21 2015-11-18 便携电子设备
EP15195564.8A EP3024114B1 (en) 2014-11-21 2015-11-20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0168073.3A EP3694077A1 (en) 2014-11-21 2015-11-20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b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fer for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battery
US16/272,400 US20190173290A1 (en) 2014-11-21 2019-02-11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855A KR102332621B1 (ko) 2014-11-21 2014-11-21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228A KR20160061228A (ko) 2016-05-31
KR102332621B1 true KR102332621B1 (ko) 2021-12-01

Family

ID=5477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855A KR102332621B1 (ko) 2014-11-21 2014-11-21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60149416A1 (ko)
EP (2) EP3694077A1 (ko)
KR (1) KR102332621B1 (ko)
CN (2) CN111682650A (ko)
AU (1) AU2015350704B2 (ko)
WO (1) WO2016080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58A1 (ko) * 2022-02-07 2023-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6566B2 (en) 2009-03-09 2022-10-18 Nucurrent, Inc. Multi-layer-multi-turn structure for high efficiency wireless communication
US9022286B2 (en) 2013-03-15 2015-05-05 Virtual Electric, Inc. Multi-functional credit card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5956747A (zh) * 2015-03-03 2023-04-14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内置有电池的便携式终端用外壳
US11205848B2 (en) 2015-08-07 2021-12-21 Nucurrent, Inc.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having a unitary body constru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0636563B2 (en) 2015-08-07 2020-04-28 Nucurrent, Inc. Method of fabric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0063100B2 (en) 2015-08-07 2018-08-28 Nucurrent, Inc. Electrical system incorpor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0658847B2 (en) 2015-08-07 2020-05-19 Nucurrent, Inc.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0985465B2 (en) 2015-08-19 2021-04-20 Nucurrent, Inc. Multi-mode wireless antenna configurations
KR102350491B1 (ko) 2015-11-18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91814B1 (ko) * 2016-08-01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보안 전송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시스템
US20180062434A1 (en) 2016-08-26 2018-03-01 Nucurrent, Inc. Wireless Connector Receiver Module Circuit
US10360485B2 (en) 2016-08-29 2019-07-2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Circuits and systems for low power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KR102583254B1 (ko) 2016-10-27 202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집적 회로, 그것의 동작 방법,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91604B1 (ko) 2016-11-24 2018-08-24 주식회사 토비스 무선 전력 수신 기능 및 무선 신호 송신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0432032B2 (en) 2016-12-09 2019-10-01 Nucurrent, Inc. Wireless system having a substrate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0903688B2 (en) 2017-02-13 2021-01-26 Nucurrent, Inc.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with repeater
KR102374467B1 (ko) * 2017-03-06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8736719B (zh) * 2017-04-14 2020-08-07 瑞尼斯股份有限公司 提高mst驱动器传输效率的方法及用于其的驱动器装置
KR102052968B1 (ko) * 2017-04-14 2019-12-09 주식회사 지니틱스 Mst 드라이버의 전송효율을 높이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드라이버 장치
US11152151B2 (en) 2017-05-26 2021-10-19 Nucurrent, Inc. Crossover coil structure for wireless transmission
KR102395069B1 (ko) * 2017-06-19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Mst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579916B2 (en) 2017-07-07 2020-03-0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Low power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system
KR102414689B1 (ko) * 2017-11-15 2022-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루프 안테나에 급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35021B1 (ko) * 2017-12-05 2022-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스트된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23273B2 (en) * 2017-12-21 2021-02-16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Coil design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102647156B1 (ko) 2018-10-15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US11115084B2 (en) * 2018-11-27 2021-09-07 Allegro Microsystems, Llc Isolated data transfer system
US11303154B2 (en) 2019-01-03 2022-04-12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Half-half-bridge pulse width modulation low power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systems
KR102595231B1 (ko) * 2019-02-08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71430B2 (en) 2019-07-19 2022-03-08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extended wireless charging range
US11227712B2 (en) 2019-07-19 2022-01-18 Nucurrent, Inc. Preemptive thermal mitig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US11056922B1 (en) 2020-01-03 2021-07-06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imultaneous transfer to multiple devices
US11283303B2 (en) 2020-07-24 2022-03-22 Nucurrent, Inc. Area-apportioned wireless power antenna for maximized charging volume
US11881716B2 (en) 2020-12-22 2024-01-23 Nucurrent, Inc. Ruggedized communic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in multi-device environments
US11876386B2 (en) 2020-12-22 2024-01-16 Nucurrent, Inc.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in large charging volume applications
US11695302B2 (en) 2021-02-01 2023-07-04 Nucurrent, Inc. Segmented shielding for wide are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630169B1 (en) 2022-01-17 2023-04-18 Allegro Microsystems, Llc Fabricating a coil above and below a magnetoresistance element
US11782105B2 (en) 2022-01-17 2023-10-10 Allegro Microsystems, Llc Fabricating planarized coil layer in contact with magnetoresistance element
US11831174B2 (en) 2022-03-01 2023-11-28 Nucurrent, Inc. Cross talk and interference mitigation in du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4213A1 (en) * 2003-11-05 2005-06-23 Tsutomu Takagi Contact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US20150109096A1 (en) 2013-10-23 2015-04-23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000B2 (en) * 2003-04-09 2014-03-25 Visible Assets, Inc. Low frequency inductive tagging for lifecycle management
KR100965323B1 (ko) * 2003-09-08 2010-06-2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회로, 비접촉 ic 시스템 및 단말 장치
WO2011044695A1 (en) * 2009-10-13 2011-04-21 Cynetic Designs Ltd. An inductively coupled power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US8947041B2 (en) * 2008-09-02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B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2010288431A (ja) * 2009-06-15 2010-12-24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内蔵機器と充電台
BR112012007473A2 (pt) * 2009-10-02 2019-05-07 Foamix Ltd composições tópicas de tetraciclina e respectivo método de uso
US9787364B2 (en) * 2011-01-20 2017-10-10 Triune Ip, Llc Multi-use wireless power and data system
US9561730B2 (en) * 2010-04-08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electric vehicles
JP5499913B2 (ja) * 2010-06-02 2014-05-2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8482250B2 (en) * 2010-08-06 2013-07-09 Cynetic Designs Ltd. Inductive transmission of power and data through ceramic armor panels
US20120104997A1 (en) * 2010-11-01 2012-05-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US8983374B2 (en) * 2010-12-13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functionalities
US8901875B2 (en) * 2011-03-09 2014-12-0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Bi-directional wireless charger
US20130057079A1 (en) * 2011-09-07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1327049B1 (ko) * 2011-09-22 2013-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CN103918192A (zh) * 2011-11-02 2014-07-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接触无线通信线圈、传输线圈、以及便携式无线终端
US9030051B2 (en) * 2011-12-13 2015-05-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improved modulation ripple
US9270342B2 (en) * 2011-12-16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low los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1986169B1 (ko) * 2012-01-10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326406A (zh) * 2012-03-21 2013-09-25 东莞万士达液晶显示器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9837203B2 (en) * 2012-03-29 2017-12-05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for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and related method
KR101890625B1 (ko) * 2012-04-24 2018-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709686A (zh) * 2012-05-14 2012-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天线模块和移动终端设备
JP6158478B2 (ja) * 2012-05-16 2017-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携帯情報端末の非接触充電構造
US9136729B2 (en) * 2012-06-18 2015-09-15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battery pack wireless charger
KR20140011955A (ko) * 2012-07-18 2014-01-29 주식회사 아모텍 휴대 단말용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US9859744B2 (en) * 2012-08-03 2018-01-02 Mediatek Singapore Pte. Ltd. Dual-mode wireless power receiver
KR101973406B1 (ko) * 2012-08-28 2019-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JP5743983B2 (ja) * 2012-08-31 2015-07-01 株式会社東芝 送受切替回路、無線装置および送受切替方法
TWI580146B (zh) * 2012-09-07 2017-04-21 通路實業集團國際公司 雙向無線電力傳輸之系統與方法
KR102145903B1 (ko) * 2012-11-26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9793740B2 (en) * 2012-11-26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e control in wireless charging system
US9685994B2 (en) * 2012-12-04 2017-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4885298B (zh) * 2012-12-12 2017-12-26 Ls电线有限公司 无线电力用天线以及具备该无线电力用天线的双模天线
US9983243B2 (en) * 2012-12-18 2018-05-29 Nucleus Scientific Inc. Nonlinear system identification for object detection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20140086000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JP6201380B2 (ja) * 2013-04-03 2017-09-27 船井電機株式会社 非接触通信コイル、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受電装置
KR20140121200A (ko) * 2013-04-05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장치
US10320234B2 (en) * 2013-08-02 2019-06-11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ultimode wireless power receivers and related methods
EP3072212A4 (en) * 2013-11-11 2017-04-26 PowerbyProxi Limited Contact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195109B1 (ko) * 2013-11-20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US9755423B2 (en) * 2014-03-13 2017-09-05 Infineon Technologies Ag Overvoltage protection for a synchronous power rectifier
US9923384B2 (en) * 2014-05-20 2018-03-20 Mediatek Inc. Method for performing efficiency optimiz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US10122220B2 (en) * 2014-06-18 2018-11-06 WIPQTUS Inc. Wireless power system for portable devices under rotational misalignment
US9831684B2 (en) * 2014-08-08 2017-11-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aptive rectifier and method of operation
US10411762B2 (en) * 2014-09-22 2019-09-1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US9762135B2 (en) * 2014-11-05 2017-09-12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econdary side control of resonant DC/DC convert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4213A1 (en) * 2003-11-05 2005-06-23 Tsutomu Takagi Contact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US20150109096A1 (en) 2013-10-23 2015-04-23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58A1 (ko) * 2022-02-07 2023-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4114A1 (en) 2016-05-25
AU2015350704A1 (en) 2017-03-30
AU2015350704B2 (en) 2018-03-08
US20190173290A1 (en) 2019-06-06
US20160149416A1 (en) 2016-05-26
WO2016080752A1 (en) 2016-05-26
EP3024114B1 (en) 2020-05-20
CN111682650A (zh) 2020-09-18
EP3694077A1 (en) 2020-08-12
CN107112804A (zh) 2017-08-29
KR20160061228A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621B1 (ko)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337010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191075B2 (en) Wireless power contro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a wakeup signal to prevent standby power consumption
US9142999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device wireless charging modes
EP2885880B1 (en) Wireless power system with capacitive proximity sensing
US20170126071A1 (en) Multimode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related methods
CN105379054B (zh) 用于实现通用后盖无线充电解决方案的系统和方法
US957093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5379053B (zh) 用于扩展无线充电器的电力能力的系统和方法
EP3661001A1 (en) Device and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KR102187437B1 (ko) 무선전력 전송 장치를 구비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CN104094500A (zh) 无线电力发送器、无线电力接收器及其控制方法
JP2014516243A (ja) 無線電力送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受信器間の双方向通信を遂行する方法、その送信器及び受信器
US11271442B2 (en) Wireless charging prompt method and device, wireless charging system
US11296556B2 (en) Power relay device and system
WO2021082907A1 (zh) 无线充电系统、充电线缆、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方法
CN105634143B (zh) 无线供电与受电装置与其操作方法
CN209805437U (zh) 充电系统和电子设备
US10749380B2 (en)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generating wireless status indications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JP2010284066A (ja) 通信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180106217A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전자 단말기, 보조 배터리 및 전자단말 보조기기
KR101999520B1 (ko) 무선충전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합 제어장치
KR20160061837A (ko) 전자기 유도방식 무선전력 전송 상태 모니터링 장치
US9762080B2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of
CN204168012U (zh) 无线电源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