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582B1 -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582B1
KR102332582B1 KR1020190085076A KR20190085076A KR102332582B1 KR 102332582 B1 KR102332582 B1 KR 102332582B1 KR 1020190085076 A KR1020190085076 A KR 1020190085076A KR 20190085076 A KR20190085076 A KR 20190085076A KR 102332582 B1 KR102332582 B1 KR 102332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lower plate
block modu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663A (ko
Inventor
고재완
선준수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190085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5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및 통신을 위한 어느 하나의 배선 덕트와, 어느 하나의 배선 덕트에서 측면으로 분기되는 또 하나의 배선 덕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 주는 구조를 가지는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 및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제1측판(30-1)으로 이루어지는 제1블록 모듈(1-1)과, 제2상판(20-2)과 제2하판(10-2) 및 제2상판(20-2)과 제2하판(10-2)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제2측판(30-2)으로 이루어지는 제2블록 모듈(1-2); 로 구성되되, 제1상판(10-1)과 제2상판(20-2)의 단부와, 제1하판(20-1)과 제2하판(10-2)의 단부가 서로 조립됨으로써,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등기구용 또는 통신용 케이블이 내장되는 배선 덕트(MD)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고공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공정시간과 설치비용도 감소되며, 용접과 달리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열화로 인한 파괴 염려가 없어 유지보수 및 파손 위험이 없는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Branch box for cable duct}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 및 통신용 배선 덕트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어느 하나의 배선 덕트와, 어느 하나의 배선 덕트에서 측면으로 분기되는 또 하나의 배선 덕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 주는 구조를 가지는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이 사용되는 건축물이나 기타 시설물의 천정에는 조명 전원장치에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배선과 통신용 배선 등이 안전하게 배치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이 내장되는 배선 덕트가 설치된다.
그런데 배선 덕트에 내장되는 배선은 실내 넓은 공간으로 전원이 모두 공급될 수 있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배선 덕트는 일자로만 형성되지 않고 여러 갈래로 분기되는 구역이 생길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배선 덕트에서 분기되는 배선 덕트가 설치되는 형태는 종래에는 용접으로 이루어졌다. 용접을 통한 분기되는 배선 덕트의 설치는 고공에서 용접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자의 위험이 수반되고, 용접 불꽃으로 인한 화재 위험도 있으며, 고공에서 장시간 작업이 필요하므로 공정 시간 및 설치비용의 상당한 증가가 불가피하다. 또한 용접을 통한 분기되는 배선 덕트의 설치는 용접부위가 장시간의 진동과 부식으로 열화 되면 파괴될 우려가 있어 배선 덕트 아래의 사람이나 차량 등에 배선과 배선 덕트가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위험 우려도 있다.
배선 덕트는 거의 모든 건축물이나 구조물에서 이용되는 설비인 만큼 사고 방지를 위해 보다 안전한 설치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설치 공정과 비용의 절약이 도모될 필요 또한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1903호(공개일자: 2009. 07. 29)
이에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배선 덕트에서 분기되는 배선 덕트가 설치될 때 고공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공정시간과 설치비용도 감소되며, 용접과 달리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열화로 인한 파괴 염려가 없어 유지보수 및 파손 위험이 없는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는,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 및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제1측판(30-1)으로 이루어지는 제1블록 모듈(1-1)과, 제2상판(20-2)과 제2하판(10-2) 및 제2상판(20-2)과 제2하판(10-2)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제2측판(30-2)으로 이루어지는 제2블록 모듈(1-2)로 구성되되, 제1상판(10-1)과 제2상판(20-2)의 단부와, 제1하판(20-1)과 제2하판(10-2)의 단부가 서로 조립됨으로써,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등기구용 또는 통신용 케이블이 내장되는 배선 덕트(MD)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1 또는 제2상판(20-2) 중 어느 하나와, 제1 또는 제2하판(10-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나머지 하나를 향해 길게 돌출되는 체결 바(11-1,11-2)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체결 바(11-1,11-2)가 조립되는 체결 홀(21-1,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 바(11-1,11-2)는 바람직하게는 길게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 헤드로 이루어져, 걸림 헤드가 체결 홀(21-1,21-2)에 삽입될 때 체결 홀(21-1,21-2)의 내벽에 걸림 헤드가 걸림으로써 체결 바(11-1,11-2)와 체결 홀(21-1,21-2)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체결 바(11-1,11-2)는 바람직하게는 제1상판(10-1) 및 제2하판(10-2)에 형성되고, 체결 홀(21-1,21-2)은 제1하판(20-1) 및 제2상판(20-2)에 형성되며, 제1상판(10-1)과 제2하판(10-2)은 서로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제작되고, 제1하판(20-1)과 제2상판(20-2)은 서로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제작됨으로써,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은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되, 어느 하나가 상하가 전도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와 조립된다.
특히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르게 제작됨으로써, 제1상판(10-1)과 제2상판(20-2)이 접하는 지점과 제1하판(20-1)과 제2하판(10-2)이 접하는 지점은 서로 다른 수직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체결 홀(21-1,21-2)은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 헤드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다가 후단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몸체와 단차를 이룸으로써, 걸림 헤드의 상기 수직면이 체결 홀(21-1,21-2)의 내벽에 걸리면서 체결 홀(21-1,21-2)과 걸림 헤드의 조립이 이루어지며, 체결 홀(21-1,21-2)이 형성된 제1하판(20-1)과 제2상판(20-2)의 길이방향 단부 테두리에는 바람직하게는 제1상판(10-1)과 제2하판(10-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의 돌출 단차가 형성되고, 걸림 헤드가 형성된 제1상판(10-1)과 제2하판(10-2)의 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돌출 단차가 삽입되는 후퇴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걸림 헤드가 체결 홀(21-1,21-2)에 밀착되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때 체결 홀(21-1,21-2)이 형성된 제1하판(20-1)의 저면과 제2상판(20-2)의 상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형상의 판 부재와, 판 부재의 단부에 체결 홀(21-1,21-2)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해제 스위치가 제1하판(20-1)의 저면 또는 제2상판(20-2)의 상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변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체결 바(11-1,11-2)와 체결 홀(21-1,21-2)은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으로 두 개가 형성되고, 해제 스위치는 체결 홀(21-1,21-2)이 두 개로 형성되는 것에 대응되도록 단부가 두 갈래로 분기되며 분기된 각각의 단부 마다 체결 홀(21-1,21-2)을 향하는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는 어느 하나의 배선 덕트에서 분기되는 배선덕트가 설치될 때 고공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공정시간과 설치비용도 감소되며, 용접과 달리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열화로 인한 파괴 염려가 없어 유지보수 및 파손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의 설치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란히 배치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 6의 추가 실시예가 적용된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로 구성된다.
제1블록 모듈(1-1)은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 및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제1측판(30-1)으로 이루어져서 전체적으로 'ㄷ' 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제2블록 모듈(1-2)은 제2상판(20-2)과 제2하판(10-2) 및 제2상판(20-2)과 제2하판(10-2)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제2측판(30-2)으로 이루어지며, 제1블록 모듈(1-1)과 유사하게 전체적으로 'ㄷ' 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여기서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판(10-1)과 제2상판(20-2)의 단부와, 제1하판(20-1)과 제2하판(10-2)의 단부가 서로 조립됨으로써,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등기구용 또는 통신용 케이블이 내장되는 배선 덕트(MD)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은 둘 간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체결 부재가 필요 없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상판(20-2) 중 어느 하나와, 제1 또는 제2하판(10-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나머지 하나를 향해 길게 돌출되는 체결 바(11-1,11-2)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체결 바(11-1,11-2)가 조립되는 체결 홀(21-1,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 바(11-1,11-2)는 길게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 헤드로 이루어져, 걸림 헤드가 체결 홀(21-1,21-2)에 삽입될 때 체결 홀(21-1,21-2)의 내벽에 걸림 헤드(111-1)가 걸림으로써 체결 바(11-1,11-2)와 체결 홀(21-1,21-2)의 조립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은 서로 조립 가능한 구성을 자체적으로 가진다.
이렇게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배선 덕트(MD)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종래에는 어느 하나의 배선 덕트(MD)의 소정 부위에 또 다른 배선 덕트(MD)를 분기시키는 형태로 설치시키고자 할 때 용접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측판(30-1) 또는 제2측판(30-2)에 분기 배선 덕트(MD)가 통과되는 구멍을 천공시키고, 분기 배선 덕트(MD)를 끼워 넣음으로써 용접 없이도 배선 덕트(MD)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때 분기되는 배선 덕트(MD)와 분기 배선 덕트(MD) 간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분기 배선 덕트(MD)의 단부를 플랜지 형태로 확장시켜 추가적인 볼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분기 박스가 만약 본 발명에서와 같이 두 개의 파트인 제1 및 제2블록 모듈(1-2)로 나누어져 서로 조립 가능하게 형성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다면 분기 박스가 배선 덕트(MD)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배선 덕트(MD)의 일정 부위를 단절 시킨 후에 분기 박스를 배선 덕트(MD)의 단절된 단부로부터 끼워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설치는 특히 기존에 설치된 배선 덕트(MD)에 분기 배선 덕트(MD)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더욱 까다로운 작업이 될 수 있으며, 배선 덕트(MD) 내부의 배선을 설치 공정 동안 빼 내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는 두 개의 파트인 제1 및 제2블록 모듈(1-2)로 나누어지며, 제1 및 제2블록 모듈(1-2)은 별도의 부재 없이도 서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이처럼 분기 박스가 두 개의 파트로 나누어질 경우, 제1블록 모듈(1-1) 및 제2블록 모듈(1-2)이 서로 별도로 제작된다면 두 개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고,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의 부품 수급 균형 문제도 항상 고려되어야 하며, 현장 작업에서는 제1 및 제2블록 모듈(1-2) 중 어느 하나가 재고가 소진되면 나머지 하나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나아가 이러한 문제는 제1 및 제2블록 모듈(1-2) 중 어느 한 쪽만 남게 되어 재고 비용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의 작업은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키면서 항상 어떤 순간에도 최적의 부품 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실질적으로 서로 형상과 크기가 완전히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바(11-1,11-2)는 제1상판(10-1) 및 제2하판(10-2)에 형성되고, 체결 홀(21-1,21-2)은 제1하판(20-1) 및 제2상판(20-2)에 형성됨으로써,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은 서로 완전히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제작되더라도 어느 하나를 나머지 하나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뒤집으면 상호 조립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시킬 경우 서로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서로 동일하게 제작된다면, 사실상 둘 간의 구별이 필요하지 않고, 현장에 어느 하나의 재고가 많이 남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재고가 부족하여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러한 불합리한 재고 비용 문제 또한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금형으로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모두 생산될 수 있어 제작비용도 현저하게 절감되며, 부품 간의 수급과 균형의 문제 또한 신경 쓸 필요가 없어 자재의 조달 과정 전체가 명확하게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사실상 동일한 것이므로 제1상판(10-1)은 제2하판(10-2)과 완전히 동일하고, 제1하판(20-1)은 제2상판(20-2)과 완전히 동일하다. 여기서 '상, 하'라는 개념은 결국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붙여진 것이다.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볼 때 제1블록 모듈(1-1)은 내부가 보이도록 수평 회전된 자세이며, 도 3에서 제2블록 모듈(1-2)은 도 2에서의 제2블록 모듈(1-2)에서 상하가 반전된 자세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1블록 모듈(1-1)을 기준으로 할 때,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제작됨으로써, 제1상판(10-1)과 제2상판(20-2)이 접하는 지점과 제1하판(20-1)과 제2하판(10-2)이 접하는 지점은 서로 다른 수직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서로 결합했을 경우 결합된 분기 박스는 상면과 저면 모두 두 모듈의 결합선이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 박스가 이미 설치된 배선 덕트(MD)에 결합될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배선 덕트(MD)의 설치 과정에서 분기 박스가 배선 덕트(MD)에 결합될 경우에는 한 명의 작업자가 한 손으로는 제1블록 모듈(1-1)을 파지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 제2블록 모듈(1-2)을 파지할 경우 배선 덕트(MD)를 잡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할 경우 제1 및 제2블록의 상판과 하판이 서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MD)를 먼저 파지한 상태에서 배선 덕트(MD)를 도 4에서처럼 제1블록 모듈(1-1)에 내포되게 배치시키면 작업자는 제1블록 모듈(1-1)만 한 손으로 파지하면 배선 덕트(MD)도 함께 파지가 가능하다. 이때 나머지 한 손으로 제2블록 모듈(1-2)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블록 모듈(1-2)의 상판과 하판이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면(미도시)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의 상판과 하판은 배선 덕트(MD)의 중심까지만 커버되므로 배선 덕트(MD)를 도 4와 유사하게 제1블록 모듈(1-1)에 끼우더라도 불안정하여 작업자가 나머지 한 손을 제2블록 모듈(1-2)을 파지하는데 쓰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제1 및 제2블록 모듈(1-2)의 상판과 하판이 각각 길이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한 명의 작업자가 쉽게 배선 덕트(MD)에 분기 박스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서로 조립될 수 있게 형성된 기구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체결 홀(21-1,21-2)은 상하로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 헤드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다가 후단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몸체와 단차를 이룸으로써, 걸림 헤드의 수직면이 체결 홀(21-1,21-2)의 내벽에 걸리면서 체결 홀(21-1,21-2)과 걸림 헤드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 홀(21-1,21-2)이 형성된 제1하판(20-1)과 제2상판(20-2)의 길이방향 단부 테두리에는 제1상판(10-1)과 제2하판(10-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의 돌출 단차가 형성되고, 걸림 헤드가 형성된 제1상판(10-1)과 제2하판(10-2)의 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돌출 단차가 삽입되는 후퇴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걸림 헤드가 체결 홀(21-1,21-2)에 밀착되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살펴보면, 제1상판(10-1) 단부에 형성된 제1후퇴 단차와 제2상판(20-2) 단부에 형성된 제2돌출 단차(24-2)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1상판(10-1)에 형성된 제1걸림 헤드(111-1)가 제2체결 홀(21-2)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더라도 제2상판(20-2)이 상부로 들리게 되면 제1상판(10-1)과 제2상판(20-2)은 서로 맥없이 분리된다. 그러나 제1후퇴 단차와 제2돌출 단차(24-2)가 형성되면, 제2상판(20-2)에 형성된 제2돌출 단차(24-2)가 제2돌출 단차(24-2) 상부에 접촉하고 있는 제1후퇴 단차로 인해 제2상판(20-2)이 아예 상부로 들려지는 것 자체가 방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후퇴 단차(25-2)와 제1 및 제2돌출 단차(24-2)가 서로 분리되는 수직 방향과, 제1 및 제2체결 바(11-1,11-2)가 제1 및 제2체결 홀(21-2)에 결합된 후 서로 분리되는 수직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됨으로써,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의 결합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기 박스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또는 제2체결 홀(21-2)에 조립된 제2또는 제1체결 바(11-1,11-2)(11-1)를 원터치로 분리시키는 해제 스위치가 설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체결 바(11-1,11-2)(11-1)의 선단에 형성된 제1걸림 헤드(111-1)는 제2체결 홀(21-2)로 진입하면서 제2걸림 판(22-2)에 걸리면서 하부를 향하여 'S'로 표시된 탄성 가변 거리(S)만큼 하부로 휘어졌다가 제1걸림 헤드(111-1)가 완전하게 제2체결 홀(21-2)로 진입하면 제2걸림 판(22-2)과의 접촉이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상승한다.
이때 보수유지나 기타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분기 박스를 해체시키고자 할 때에는 가장 먼저 제1걸림 헤드(111-1)를 하부를 향하여 탄성 가변 거리(S)만큼 하강시켜야 한다. 그런데 여기서 제2체결 홀(21-2)은 손가락이 완전히 들어가기 힘들 정도로 작을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하였을 경우에는 특히 손가락이 들어가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을 해체시키기 위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은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모두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부의 제1걸림 헤드(111-1)와 하부의 제2걸림 헤드를 모두 누르기 힘들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체결 홀(21-2)과 제1 및 제2체결 바(11-1,11-2)는 결합의 견고함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블록과 제2블록을 해체시키는 작업은 1명의 작업자가 수행하기에는 상당히 까다로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분기 박스에는 도 6 및 도 7에는 해제 스위치가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제2해제 스위치(23-2)는 제1 또는 제2체결 홀(21-2)이 형성된 쪽, 즉 제2상판(20-2) 또는 제1하판(20-1)에 설치된다. 제2해제 스위치(2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의 제2판 부재와, 제2판 부재의 단부에 제2 체결 홀(21-1,21-2)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돌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판 부재는 제2상판(20-2)의 상면에 탄성 가변 가능하게 부착되므로 도 7에 도시된 손가락으로 제2해제 스위치(23-2)를 눌러서 제1체결 판이 제2체결 홀(21-2)로부터 벗어난 후에 손가락을 들어 올리면 원위치로 원상 복귀된다.
그리고 제2돌기의 돌출 두께는 앞서 설명된 제1체결 헤드가 탄성 가변 거리(S)만큼 하부로 하강될 정도의 길이만큼 형성되거나 그보다 조금 더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체결 바(11-1,11-2)와 체결 홀(21-1,21-2)은 폭 방향으로 두 개가 형성되고, 해제 스위치는 체결 홀(21-1,21-2)이 두 개로 형성되는 것에 대응되도록 단부가 두 갈래로 분기되며 분기된 각각의 단부 마다 체결 홀(21-1,21-2)을 향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는 분기되는 형태는 아니더라도 한 손가락으로 눌렸을 때 나란히 형성된 두 개의 체결 홀(21-1,21-2) 모두에 체결된 체결 바(11-1,11-2)를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참고로, 본 설명에서 '제1'라고 표현된 것은 '제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역도 성립된다. 왜냐하면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1'이나 '제2'라는 표현이 없더라도 '제1'과 '제2'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MD : 배선 덕트 S : 탄성 가변 거리
1-1 : 제1블록 모듈 1-2 : 제2블록 모듈
10-1 : 제1상판 10-2 : 제2하판
11-1 : 제1체결 바 11-2 : 제2체결 바
20-1 : 제1하판 20-2 : 제2상판
21-1 : 제1체결 홀 21-2 : 제2체결 홀
22-1 : 제1걸림 판 22-2 : 제2걸림 판
23-2 : 제2해제 스위치 24-1 : 제1돌출 단차
24-2 : 제2돌출 단차 25-2 : 제2후퇴 단차
30-1 : 제1측판 30-2 : 제2측판
31-1 : 제1분기 덕트 가이드 홀 31-2 : 제2분기 덕트 가이드 홀
111-1 : 제1걸림 헤드 112-1 : 제1몸체
231-2 : 제2판 부재 232-2 : 제2돌기

Claims (7)

  1.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 및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제1측판(30-1)으로 이루어지는 제1블록 모듈(1-1)과;
    제2상판(20-2)과 제2하판(10-2) 및 제2상판(20-2)과 제2하판(10-2)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제2측판(30-2)으로 이루어지는 제2블록 모듈(1-2); 로 구성되되,
    상기 제1상판(10-1)과 제2상판(20-2)의 단부와, 제1하판(20-1)과 제2하판(10-2)의 단부가 서로 조립됨으로써,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이 등기구용 또는 통신용 케이블이 내장되는 배선 덕트(MD)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상판(20-2) 중 어느 하나와, 제1 또는 제2하판(10-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나머지 하나를 향해 길게 돌출되는 체결 바(11-1,11-2)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체결 바(11-1,11-2)가 조립되는 체결 홀(21-1,21-2)이 형성되되,
    체결 바(11-1,11-2)는 길게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 헤드로 이루어져, 걸림 헤드가 체결 홀(21-1,21-2)에 삽입될 때 체결 홀(21-1,21-2)의 내벽에 걸림 헤드가 걸림으로써 체결 바(11-1,11-2)와 체결 홀(21-1,21-2)의 조립이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 바(11-1,11-2)는 제1상판(10-1) 및 제2하판(10-2)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21-1,21-2)은 제1하판(20-1) 및 제2상판(20-2)에 형성되며, 제1상판(10-1)과 제2하판(10-2)은 서로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제작되고, 제1하판(20-1)과 제2상판(20-2)은 서로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제작됨으로써,
    상기 제1블록 모듈(1-1)과 제2블록 모듈(1-2)은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되, 어느 하나가 상하가 전도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와 조립되고,
    상기 제1상판(10-1)과 제1하판(20-1)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제작됨으로써, 제1상판(10-1)과 제2상판(20-2)이 접하는 지점과 제1하판(20-1)과 제2하판(10-2)이 접하는 지점은 서로 다른 수직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홀(21-1,21-2)은 상하로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 헤드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다가 후단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몸체와 단차를 이룸으로써, 걸림 헤드의 상기 수직면이 체결 홀(21-1,21-2)의 내벽에 걸리면서 체결 홀(21-1,21-2)과 걸림 헤드의 조립이 이루어지며,
    체결 홀(21-1,21-2)이 형성된 제1하판(20-1)과 제2상판(20-2)의 길이방향 단부 테두리에는 제1상판(10-1)과 제2하판(10-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의 돌출 단차가 형성되고,
    걸림 헤드가 형성된 제1상판(10-1)과 제2하판(10-2)의 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돌출 단차가 삽입되는 후퇴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걸림 헤드가 체결 홀(21-1,21-2)에 밀착되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홀(21-1,21-2)이 형성된 제1하판(20-1)의 저면과 제2상판(20-2)의 상면에는 일정한 형상의 판 부재와, 판 부재의 단부에 체결 홀(21-1,21-2)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해제 스위치가 제1하판(20-1)의 저면 또는 제2상판(20-2)의 상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변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바(11-1,11-2)와 체결 홀(21-1,21-2)은 폭 방향으로 두 개가 형성되고,
    상기 해제 스위치는 체결 홀(21-1,21-2)이 두 개로 형성되는 것에 대응되도록 단부가 두 갈래로 분기되며 분기된 각각의 단부 마다 체결 홀(21-1,21-2)을 향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KR1020190085076A 2019-07-15 2019-07-15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KR10233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076A KR102332582B1 (ko) 2019-07-15 2019-07-15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076A KR102332582B1 (ko) 2019-07-15 2019-07-15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663A KR20210008663A (ko) 2021-01-25
KR102332582B1 true KR102332582B1 (ko) 2021-11-30

Family

ID=7423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076A KR102332582B1 (ko) 2019-07-15 2019-07-15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5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86Y1 (ko) * 2000-12-11 2001-05-15 세홍산업주식회사 건물배선용 플러그와 리셉터클
KR100824342B1 (ko) 2008-01-14 2008-04-22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건축물용 전기 배선 분배용 버스 덕트
KR100863265B1 (ko) * 2007-01-19 2008-10-15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200457894Y1 (ko) 2010-05-24 2012-01-12 주식회사 디엠에스 배선 보호 덕트
US20190203861A1 (en) 2018-01-04 2019-07-04 Robert Bosch Gmbh Connectors for Cable Duc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9718A (ja) * 1996-04-23 1997-11-04 Panduit Corp 配線ダクト分岐インサート
KR100653330B1 (ko) * 2004-11-24 2006-12-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단위 모듈별 접속 구조
KR20090081903A (ko) 2008-01-25 2009-07-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수평 분기형 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버스덕트
KR101090977B1 (ko) * 2009-07-06 2011-12-08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케이블 덕트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86Y1 (ko) * 2000-12-11 2001-05-15 세홍산업주식회사 건물배선용 플러그와 리셉터클
KR100863265B1 (ko) * 2007-01-19 2008-10-15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100824342B1 (ko) 2008-01-14 2008-04-22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건축물용 전기 배선 분배용 버스 덕트
KR200457894Y1 (ko) 2010-05-24 2012-01-12 주식회사 디엠에스 배선 보호 덕트
US20190203861A1 (en) 2018-01-04 2019-07-04 Robert Bosch Gmbh Connectors for Cable 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663A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900B1 (ko) 목재데크시스템
US7935887B2 (en) Device cover and cutting guide and method for use
CN101275622B (zh) 线缆保护导引装置
US20150047286A1 (en) Modular assembly for covering a floor
KR102332582B1 (ko) 배선 덕트용 분기 박스
KR101612088B1 (ko) 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알루미늄 거푸집
KR101509714B1 (ko) 조립식 배선 닥트
KR200449849Y1 (ko) 등기구의 smps 체결구조
TWM568022U (zh) 理線組件及其理線單元
ES2239882B1 (es) Conjunto de acoplamiento para bandejas portacables.
JP6830870B2 (ja) 配線・配管材の多段配設装置、および配線・配管材の多段配設構造
KR200430668Y1 (ko) 배선 분배함
SE425757B (sv) Elektriskt installationssystem
KR20140003753U (ko)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KR200239521Y1 (ko) 조립식 바닥부재
US7331148B2 (en) Stud for concrete forms and forms using such studs
KR100745433B1 (ko) 건축물의 전기배선 분배용 버스덕트
JP5795901B2 (ja) 配線ボックス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ES2739708T3 (es) Dispositivo y método para el anclaje de un elemento saliente a una construcción
KR102311617B1 (ko) 단열 갱폼
KR102117648B1 (ko)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100539052B1 (ko) 커버 고정레일
KR200351728Y1 (ko) 교량용 상부 슬라브의 거푸집 받침부재
JP4384257B1 (ja) 外皮材保持部材及び外皮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