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539B1 - 다운증후군 진단용 후성학적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다운증후군 진단용 후성학적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539B1
KR102332539B1 KR1020200081684A KR20200081684A KR102332539B1 KR 102332539 B1 KR102332539 B1 KR 102332539B1 KR 1020200081684 A KR1020200081684 A KR 1020200081684A KR 20200081684 A KR20200081684 A KR 20200081684A KR 102332539 B1 KR102332539 B1 KR 10233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methylation level
down syndrome
methylation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현미
임지혜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0008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539B1/ko
Priority to EP21832194.1A priority patent/EP4177354A1/en
Priority to JP2022581672A priority patent/JP2023533245A/ja
Priority to PCT/KR2021/005716 priority patent/WO2022005009A1/ko
Priority to US18/003,658 priority patent/US2024002645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69Methods for sequencing
    • C12Q1/6874Methods for sequencing involving nucleic acid arrays, e.g. sequencing by hybrid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4Methylat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MRGPRD,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및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다운증후군을 높은 정확도로 조기 진단이 가능하므로, 다운증후군 진단 분야의 핵심 기술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다운증후군 진단용 후성학적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igenetic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Down syndrome and use thereof}
다운증후군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발명이다.
염색체의 구조 이상에 따른 돌연변이는 비정상적인 발달 및 배아의 사망을 초래한다. 그러나 가장 일반적인 염색체 이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질병의 한 종류인 다운증후군(DS, down syndrome)의 경우 배아가 생존한다. 세계 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발달 장애의 가장 흔한 유전적 원인인 다운증후군의 발병률은 대략적으로 전 세계 1,100 명 중 1 ~ 100 명 사이다. 다운증후군은 정신 지체, 얼굴 구조상 특징, 열악한 근육 발달 및 짧은 키를 포함하는 80 가지 이상의 임상 특징을 나타내며 선천성 심장 질환, 당뇨병, 백혈병 및 기타 질병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종래에는 다운증후군을 진단하는 기술로서, 임신부 혈장에 존재하는 비세포성 DNA 조각인 cfDNA의 양적 차이를 분석하는 방법(NGS based NIPT)이 있고, 이 방법은 다운증후군에 대한 높은 검출 정확성을 나타내어 빠르게 임상에 적용되고 있으나, 고가의 기기와 검사 소모품이 요구되고, 분석 방법 또한 복잡하여 일반 검사실에서 적용하기 어렵고, 고가의 검사비용으로 인해 모든 임산부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SNP를 이용하는 방법 (PCR based NIPT)이 있으나, 이는 검사 정확성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없고, 각 기관에서 제시하는 특수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하므로 범용적 사용에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언급한 염색체 이상 질병에 대하여 유전자 분석을 통해 미리 질병의 여부를 알아낼 수 있는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한국 공개특허 10-2019-0003987),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고가의 검사 기기 또는 특수 알고리즘을 활용할 필요 없이, 유전체의 메틸화 수준의 간단한 측정을 통해 다운증후군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MRGPRD,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운증후군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a)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MRGPRD,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된 메틸화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증후군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MRGPRD,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다운증후군”은 선천성 유전질환의 일종으로, 21번 염색체의 부분 혹은 전체가 정상보다 1개 더 많이 존재하여 나타나는 질병을 의미한다. 다운증후군은 신체적 발달의 지연을 일으키며 안면 기형과 지적 장애를 동반할 수 있다. 다운증후군을 가진 부모의 염색체는 대부분 정상이지만 임신 시 생식세포의 비분리 현상으로 인한 21번 염색체가 1개 더 존재할 수 있다. 발병 빈도는 20세 산모에게서 0.1%를 보이지만 45세 산모의 경우 4%로 급격히 증가하며, 산모의 연령에 따라 발병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다운증후군은 산모가 임신 도중에 태아 산전 진단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출산 후 직접적인 유전자 검사를 통해 판별 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진단”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운증후군 질환의 발병 여부 또는 발병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메틸화(methylation)"는 DNA의 사이토신(cytosine) 잔기의 5번째 탄소에 메틸기가 첨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DNA를 구성하는 염기에 메틸기가 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틸화 여부는 특정 유전자의 특정 CpG 부위의 사이토신 잔기의 다섯 번째 탄소에서 일어나는 메틸화 여부를 의미한다. 메틸화가 일어난 경우 그로 인하여 전사인자의 결합이 방해를 받게 되어 특정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며, 반대로, 비메틸화 또는 저메틸화가 일어나는 경우 특정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포유동물 세포의 게놈 DNA에는 A, C, G 및 T에 더하여, 사이토신 링의 다섯 번째 탄소에 메틸 그룹이 부착된 5-메틸사이토신(5-methylcytosine, 5-mC)이라는 5번째 염기가 존재한다. 5-메틸사이토신의 메틸화는 CpG라고 불리는 CG 디뉴클레오티드(5'-mCG-3')의 C에서 주로 일어나고, CpG의 메틸화는 alu 또는 트랜스포존과 게놈의 반복 서열이 발현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CpG의 5-mC가 자연적으로 탈아미노화하여 티민(T)이 되기 쉽기 때문에, CpG는 포유동물 세포에서 대부분의 후성 유전학적 변화가 자주 일어나는 부위이다.
본 명세서 내 용어, “메틸화 수준 측정”은 다운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다운증후군 관련 유전자 바이오 마커의 메틸화 수준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틸화 수준 측정은 CpG 부위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공지의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가능 하나, 메틸화 특이적인 PCR, 예를 들어 메틸화 특이적 PCR(methylatio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MSP), 실시간 메틸화 특이적 PCR(real time methylatio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메틸화 DNA 특이적 결합 단백질을 이용한 PCR, 정량 PCR, 메틸화 특이적인 PNA를 이용하는 PCR, 또는 melting curve analysis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또는, DNA 칩, 파이로시퀀싱, 바이설파이트 시퀀싱, 및 메틸화 차세대 염기서열 시퀀싱(Methyl-Capture Sequencing, MC-Seq)과 같은 자동염기분석 등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DMC”(차별적으로 메틸화된 CpG 위치, Differentially methylated CpG sites)란 발생 단계, 조직의 종류, 질환의 유무에 따라 상이한 DNA 메틸화 상태를 나타내는 CpG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DMC가 반복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체 내 영역을 “DMR”(차별적으로 메틸화된 CpG 영역, Differentially methylated regions)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DNA 메틸화는 CpG 위치에서 이루어지며, C는 사이토신을, G는 구아닌을 나타내며 p는 사이토신과 구아닌과의 사이에 있는 포스포다이에스테르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정상인의 체세포에서, 상기 하우스키핑 유전자 프로모터 부위의 CpG 섬은 비메틸화되어 있으며, 임프린티드(imprinted) 유전자 및 비활성화 상태의 X 염색체 상의 유전자와 같이 발달과정 동안 발현되지 않는 유전자들은 메틸화되어 있다.
상기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유전자의 메틸화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제로서, 메틸화된 유전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비메틸화된 사이토신 염기를 변형시키는 화합물 또는 메틸화-특이적 제한효소 (MSRE: Methylation-specific restriction enzyme), 상기 유전자의 메틸화된 서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비메틸화된 서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메틸화된 사이토신 염기를 변형시키는 화합물은 바이설파이트 (bisulfit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듐 바이설파이트이다. 이러한 바이설파이트를 이용하여 비메틸화된 사이토신 잔기를 변형시켜 프로모터의 메틸화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상기 메틸화-특이적 제한효소는 그의 제한 부위의 메틸화 상태에 따라 핵산을 선택적으로 절단하는 효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제한 부위가 메틸화되지 않거나 또는 반메틸화된 경우에 특이적으로 절단하는 제한 효소의 경우, 제한 부위가 메틸화되면 절단은 일어나지 않거나 또는 상당히 감소된 효율 하에 일어날 것이다. 제한 부위가 메틸화된 경우 특이적으로 절단하는 제한 효소의 경우, 제한 부위가 메틸화되지 않으면 절단은 일어나지 않거나 또는 상당히 감소된 효율 하에 일어날 것이다.
상기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및 MRGPRD 유전자는 21번 염색체를 제외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 유전자는 2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및 PRMT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은 정상 태아 또는 모체에 비해 다운증후군 태아에서 과-메틸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어 “과-메틸화 (hyper-methylation)”는 메틸화 수준 측정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메틸화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IGHMBP2, MRGPRD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은 정상 태아 또는 모체에 비해 다운증후군 태아에서 저-메틸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저-메틸화 (hypo-methylation)”는 메틸화 수준 측정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메틸화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MXRA8” 유전자는 매트릭스 리모델링 관련 8 (Matrix remodeling associated 8)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 또는 이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비근침윤성 방광암 진단용 바이오마커로 알려진 바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9552호).
본 명세서 내 용어 “MIB2” 유전자는 E3 유비퀴틴-단백질 리가아제 (MIB2: Mindbomb E3 ubiquitin-protein ligase 2)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 MIB2 는 액틴 단백질 (알파 1)과 상호작용하고, 흑색종 침윤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KIF26B” 유전자는 키네신 패밀리 멤버 26B (KIF26B: Kinesin Family Member 26B)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미세소관을 따라 세포 소기관을 운반하는 세포 내 운동단백질로서, 신장 발달에 필수적이며 일부 유방암 및 대장암에서 상기 단백질의 증가된 수준이 관찰된 바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SP5” 유전자는 Sp5 전사 인자 (Sp5 Transcription Factor)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Wnt-매개 베타 카테닌 신호전달 및 표적 유전자 전사의 조절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ZIC4” 유전자는 Zic 패밀리 멤버 4 (ZIC4: Zic Family Member 4) 단백질, 구체적으로는 C2H2-타입 징크 핑거 단백질의 Zic 패밀리 멤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X-연관 내장이소장애 (X-linked visceral heterotaxy) 및 전전뇌증 타입 5 (holoprosencephaly type 5)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ENPEP” 유전자는 글루타밀 아미노펩티다아제(Glutamyl Aminopeptidase)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ENPEP는 융모암 (Choriocarcinoma) 및 임신융모질환 (Gestational Choriocarcinoma)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PITX2” 유전자는 페어드-라이크 호메오도메인 전사 인자 2 (Paired-like homeodomain transcription factor 2) 또는 뇌하수체 호메오박스 2 (pituitary homeobox 2)로도 알려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악센펠트-리이거 증후군 (Axenfeld-Rieger syndrome), 홍채앞방각발생장애 (iridogoniodysgenesis syndrome)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SH3BP2” 유전자는 4번 염색체에 위치하는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SH3 도메인 결합 단백질 2 (SH3BP2: SH3 domain-binding protein 2)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체루비즘 (cherubism)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SEPP1” 유전자는 셀레노단백질 P (Selenoprotein P)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셀레노단백질은 세포외 당단백질로서, 폴리펩티드당 9개의 Sec 잔기를 함유하는 점에서 흔하지 않고, 세포외 공간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FLJ32255” 유전자는 특성화되지 않은 (uncharacterized) LOC643977로서, IncRNA 클라스와 연관된 RNA 유전자이다.
본 명세서 내 용어 “SHROOM1” 유전자는 SHROOM1 family member 1, SHROOM1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하며, 신경계와 다른 조직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 신장 동안 미세 소관 구조에 관여한다. 다운증후군의 증상 중 선천성 심장 결함 및 관절염에 관여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LINC00574” 유전자는 긴 비암호화 RNA 574(Long Intergenic Non-Protein Coding RNA 574)로서, IncRNA 클라스와 연관된 RNA 유전자이다. LINC00574 유전자는 유방암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LOC154449” 유전자는 특성화되지 않은 (uncharacterized) LOC154449로서, IncRNA 클라스와 연관된 RNA 유전자이다.
본 명세서 내 용어 “PRRT4” 유전자는 프롤린 풍부 막관통 단백질 4 (PRRT4: Proline Rich Transmembrane Protein 4)를 코딩하는 유전자로서, 젤웨거 증후군 (Zellweger Syndrome)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TMEM176B” 유전자는 막관통 단백질 176B (TMEM176B: Transmembrane Protein 176B)를 코딩하는 유전자로서, 수지상 세포의 성숙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MNX1” 유전자는 운동 뉴런 및 췌장 호메오박스 1 (MNX1: Motor neuron and pancreas homeobox 1) 단백질 또는 호메오박스 HB9 (HLXB9: Homeobox HB9)로도 알려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큐라리노 증후군 (Currarino syndrome)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LOC101928483” 유전자는 비번역 RNA (ncRNA: non-coding RNA)로서 NALT1 (NOTCH1 associated lncRNA in T 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1) 유전자로도 불린다.
본 명세서 내 용어 “EGFL7” 유전자는 EGF-유사 도메인-함유 단백질 7 (EGF-like domain-containing protein 7)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발현은 생리학적 조건에서 내피세포-특이적이나, 인간 암에서 종양 세포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NACC2” 유전자는 NACC 패밀리 멤버 2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측벽 심근경색 (Lateral Myocardial Infarction) 및 간세포 심근염(Interstitial Myocarditis)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C9orf69” 유전자는 막관통 단백질 250 (Transmembrane 250)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하며, TMEM250로도 불리운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세포 주기에서 S기로의 진행을 촉진하여, 세포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TLX1” 유전자는 T 세포 백혈병 호메오박스 단백질 1 (TLX1: T-cell leukemia homeobox protein 1)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하며, HOX11로도 불리운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PPP1CC (Serine/threonine-protein phosphatase PP1-gamma catalytic subunit), PPP2CB (Serine/threonine-protein phosphatase 2A catalytic subunit beta isoform), 및 PPP2CA (Serine/threonine-protein phosphatase 2A catalytic subunit alpha isoform)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FGF8” 유전자는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8 (FGF8: Fibroblast growth factor 8)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유선 종양 세포의 안드로겐 및 앵커리지 독립적 성장을 지지하고, 이 유전자의 과발현은 종양 성장 및 혈관 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TACC2” 유전자는 변형된 산성 코일드-코일-함유 단백질 2 (TACC2: Transforming acidic coiled-coil-containing protein 2)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세포 주기에 걸쳐 중심체에 농축되는 단백질을 코딩하고, 상기 유전자는 종양 형성과 연관된 염색체 영역 내에 존재한다. 상기 유전자의 발현은 유방 종양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CPXM2” 유전자는 카복시펩티다아제 X, M14 패밀리 멤버 2 (CPXM2: Carboxypeptidase X, M14 family member 2)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NKX6-2” 유전자는 NK6 호메오박스 2 (NKX6-2)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강직성 운동실조증 (Spastic Ataxia), 및 상염색체 열성 질환 (Autosomal Recessive)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TLX1NB” 유전자는 TLX1 이웃 (TNX1 Neighbor) RNA 유전자로서, IncRNA 클라스에 속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IQSEC3” 유전자는 IQ 모티프 및 Sec7 도메인 3으로 알려진 인간 유전자를 의미하며, KIAA1110으로도 불린다. 상기 유전자는 뇌에서, 특히 편도체 (amygdala)에서 높게 발현하여,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PCDH8” 유전자는 프로토카데린-8 (PCDH8: Protocadherin-8)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CNS-특이적인 방식으로 세포 부착에서 기능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내재성 막 단백질을 코딩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F7” 유전자는 지혈에 필수적인 비타민 K-의존적인 인자인 응고인자 VII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VII인자 결핍증 (Factor Vii Deficiency) 및 심근 경색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SOX9” 유전자는 전사인자 SOX-9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골격 기형 증후군 (skeletal malformation syndrome) 및 굴지 이형성증 (campomelic dysplasia)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PNMAL2” 유전자는 PNMA 패밀리 멤버 8B (PNMA8B: PNMA Family Member 8B)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하며, 상기 유전자의 중요한 이원체 (paralog)는 PNMA8A이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방종양성 항원-유사 단백질 8B (Paraneoplastic antigen-like protein 8B)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THBD” 유전자는 트롬보모둘린 (Thrombomodulin)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혈관의 내피세포에서 유래되는 단백질로서 다른 인자와 협동하여 혈관 내 혈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MAPK8IP2” 유전자는 C-jun-아미노-말단 키나아제-상호작용 단백질 2 (C-jun-amino-terminal kinase-interacting protein 2)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하며, IB2 (Islet-Brain-2)로도 불린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뇌에서 높게 발현되고, 펠란-맥더미드 증후군 (Phelan-McDermid syndrome)에서는 거의 항상 결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KLHDC7B” 유전자는 켈치 도메인 함유 7B (Kelch Domain Containing 7B)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클라미디아 폐렴 (Chlamydia Pneumonia)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GPR143” 유전자는 G-단백질 공역 수용체 143 (G-protein coupled receptor 143)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소안구증 (Microphthalmia)-연관 전사 인자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IGHMBP2” 유전자는 면역글로불린 헬리카제 μ-결합 단백질 2 (IGHMBP2: immunoglobulin helicase μ-binding protein 2), 또는 심장 전사 인자 1 (CATF1: cardiac transcription factor 1), 또는 DNA-결합 단백질 SMUBP-2로 알려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말초 척추 근위축증 타입 1 (Distal spinal muscular atrophy type 1)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MRGPRD” 유전자는 Mas-관련 G-단백질 결합 수용체 멤버 D (Mas-rela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member D)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대퇴부 암 (Femoral Cancer) 및 간 횡문근육종 (Liver Rhabdomyosarcoma)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CHODL” 유전자는 콘드로렉틴 (Chondrolectin)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의 정확한 기능은 알려진 바 없고, 마우스에서 빠른 운동 뉴런의 마커인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NCAM2” 유전자는 신경 세포 부착 분자 2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2)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프라이온 병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CYYR1” 유전자는 시토신 및 티로신-풍부 단백질 1 (CYYR1: Cysteine and tyrosine-rich protein 1)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의 기능은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 없다.
본 명세서 내 용어 “GRIK1” 유전자는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이온성, 카이닌산 1 (GRIK1: Glutamate receptor, ionotropic, kainate 1)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리간드-게이트 이온 채널로서 기능하는 많은 이온성 클루타메이트 수용체 (GluR) 서브유닛 중 하나를 코딩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OLIG2” 유전자는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전사 인자 (Oligodendrocyte transcription factor)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발현은 주로 중추 신경계에 제한되고, 발달의 다른 단계에서 항-신경원 및 신경원성 인자 모두로 작용하고, 상기 유전자는 주로 뇌 종양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CLIC6” 유전자는 클로라이드 세포 내 채널 단백질 6 (Chloride intracellular channel protein 6)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도파민 수용체 D3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SIM2” 유전자는 일-편 동족체 2 (Single-minded homolog 2)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얼굴과 머리의 구성뿐만 아니라 중추 신경계 정중선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HLCS” 유전자는 완전카르복시라아제 합성효소 (Holocarboxylase synthetase)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달걀 노른자, 우유와 같은 식품에서 발견되는 비타민 B (비오틴)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의 생산 및 분해를 포함한 많은 중요한 세포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MX2” 유전자는 인터페론-유도 GTP-결합 단백질 Mx2 (Interferon-induced GTP-binding protein Mx2)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인터페론-알파에 의해 상향-조절되나, 유사한 믹소바이러스 내성 단백질 1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MX1” 유전자는 인터페론-유도 GTP-결합 단백질 Mx1 (Interferon-induced GTP-binding protein Mx1)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마우스에서 인터페론-유도성 Mx 단백질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정 항바이러스 상태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TMPRSS2” 유전자는 막관통 프로테아제, 세린 2 (Transmembrane protease, serine 2)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세린 프로테아제는 많은 생리적 및 병리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 유전자는 전립선 암 세포에서 안드로겐 호르몬에 의해 상향-조절되고, 안드로겐 비의존성 전립선 암 조직에서는 하향-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상기 유전자의 구체적인 생물학적 기능은 알려진 바 없다.
본 명세서 내 용어 “SLC37A1” 유전자는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교환체 SLC37A1 (Glucose-6-phosphate exchanger SLC37A1)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SLC37A4 단백질과 달리 혈당 항상성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젖소의 우유에서 인산염 수준을 조절하고, 생산되는 우유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PDE9A” 유전자는 고 친화성 cGMP-특이적 3',5'-고리형 포스포디에스테라제 9A (High affinity cGMP-specific 3',5'-cyclic phosphodiesterase 9A)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cAMP 및 cGMP의 세포 내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신호 전달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CBS” 유전자는 시스타티오닌 베타-합성효소 (Cystathionine Beta-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결함은 시스타티오닌 베타-합성효소 결핍증 (CBSD: cystathionine beta-synthase deficiency)을 유발하여, 호모시스틴요증 (homocystinuria)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CRYAA” 유전자는 알파-크리스탈린 A 사슬 (Alpha-crystallin A chain)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결함은 상염색체 우성 선천성 백내장(autosomal dominant congenital cataract)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C21orf2” 유전자는 섬모 및 편모 연관 단백질 410 (CFAP410: Cilia And Flagella Associated Protein 410)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망막 영양실조 (Retinal Dystrophy) 및 척추골간단 이형성증 (Spondylometaphyseal Dysplasia)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TRPM2” 유전자는 일시적 수용체 전위 양이온성 채널, 서브패밀리 M, 멤버 2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tion channel, subfamily M, member 2)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생리학적 기능은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TSPEAR” 유전자는 트롬보스폰딘 타입 라미닌 G 도메인 및 EAR 반복 (Thrombospondin Type Laminin G Domain And EAR Repeats)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난청 (Deafness) 및 외배엽 이형성증 (Ectodermal Dysplasia)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LINC00162” 유전자는 P38 저해된 피부편평세포암종 연관 LincRNA (PICSAR: P38 Inhibited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Associated LincRNA)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기면증 (Narcolepsy) 및 배아 고환 암종 (Embryonal Testis Carcinoma)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SSR4P1” 유전자는 신호 서열 수용체 서브유닛 4 위유전자 1 (Signal Sequence Receptor Subunit 4 Pseudogene 1)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기능에 대하여 정확히 알려진 바 없다.
본 명세서 내 용어 “SLC19A1” 유전자는 엽산 운반체 1 (Folate transporter 1)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세포 내 엽산의 농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LOC100129027” 유전자는 PCBP3 안티센스 RNA 1 (PCBP3-AS1: PCBP3 Antisense RNA 1)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의 구체적인 생물학적 기능은 알려진 바 없다.
본 명세서 내 용어 “MCM3AP” 유전자는 80 kDa MCM3-연관 단백질 (80 kDa MCM3-associated protein)을 코딩하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MCM3 결합 단백질로서, 이는 인산화-의존적인 DNA-프리메이즈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YBEY” 유전자는 YbeY 메탈로엔도리보뉴클레아제 (YbeY Metalloendoribonuclease)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장간막 림프절염 (Mesenteric Lymphadenitis)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PRMT2” 유전자는 단백질 아르기긴 N-메틸트랜스퍼라제 2 (Protein arginine N-methyltransferase 2)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ITSN1” 유전자는 인터섹틴-1 (Intersectin-1)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종두증 (Vaccinia) 및 조현병 (Schizophrenia 1)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운증후군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칩 키트, DNA 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는 광범위하게 당해 분야에 인지된 바와 같은 "DNA 마이크로어레이" 및 "DNA 칩(들)" 둘 다를 말하며, 모든 당해 분야에 공지된 고체 지지체를 포함하고, 그에 핵산 분자를 고착시키거나 또는 그 위에 핵산을 합성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마이크로어레이 키트는,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가 프로브로 부착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하고 기판은 정량 대조구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전자를 이용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마이크로어레이를 제작하기 위해서, 상기 탐색된 마커를 탐침 DNA 분자로 이용하여 DNA 칩의 기판상에 고정화시키기 위해 파이조일렉트릭 (piezoelectric) 방식을 이용한 마이크로피펫팅 (micropipetting)법 또는 핀 (pin) 형태의 스폿터 (spotter)를 이용한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 칩의 기판은 아미노-실란(amino-silane), 폴리-L-라이신(poly-Llysine) 및 알데히드 (aldehy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활성기가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슬라이드 글래스, 플라스틱, 금속, 실리콘, 나일론 막 및 니트로셀룰로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a)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MRGPRD,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된 메틸화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증후군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생물학적 시료"는 태아의 체외로 분리된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뇨와 같은 시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포핵 내에 존재하지 않고 혈액 내에 유리된 DNA인 세포유리 DN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태반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어 ”태반”은 태아와 모체 사이에서 태아의 성장과 생존에 필요한 물질교환을 매개하는 구조물로써, 태아를 밖에서 싸고 있는 장막의 일부가 모체의 자궁내막에 접착하여 형성된다. 상기 태반은 융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융모막”은 자궁 내에서 양수를 싸고 있는 막인 탈락막, 융모막, 양막 중 중간층에 해당한다. 융모막은 수정란에서 발생하여 난막의 일부를 구성하며 앞면에는 무수한 돌기인 융모막 융모가 밀생하여 자궁 내벽에 수정란을 침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융모막 융모세포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융모막 융모세포에서 유래된 모체 혈액 내 세포 유리 DNA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태아"는 다운증후군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거나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고자 하는 태아를 의미한다. 상기 태아는 다운증후군이 발병할 수 있는 동물이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포유동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인간(Homo sapiens)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측정된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측정된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및 PRMT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경우, 다운증후군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측정된 IGHMBP2, MGRPRD 또는 ISTN1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경우, 다운증후군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틸화 수준 측정 방법은 PCR, 메틸화 특이 PCR(methylation specific PCR), 실시간 메틸화 특이 PCR(real time methylation specific PCR), 메틸화 DNA 특이적 결합 단백질을 이용한 PCR, 정량 PCR, 메틸화 특이적인 PNA를 이용하는 PCR, melting curve analysis, DNA 칩, 파이로시퀀싱, 바이설파이트 시퀀싱, 및 메틸화 차세대 염기서열 시퀀싱(Methyl-Capture Sequencing, MC-Seq)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측정된 메틸화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에서의 메틸화 수준이 정상 대조군 시료의 수준보다 높거나 낮으면, 상기 태아는 다운증후군이 발병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틸화 수준의 변화는 태아의 메틸화 수준이 정상 대조군 또는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유사한 수준 또는 1%, 2%, 3%, 4%, 5%,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및 1000% 이상 증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다운증후군 진단용 바이오마커 유전자는 메틸화 수준의 차이를 통해, 다운증후군을 On-off 형태의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다운증후군 특이적 바이오마커인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의 DNA 메틸화 수준을 측정한 결과, 조직 특이적으로 정상 모체 혈액과 정상 태아 태반 사이에 10% 이상의 메틸화 수준 차이가 있으며, 질환 특이적으로 정상 태아 태반과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은 10% 이상의 메틸화 수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1번 염색체를 제외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는 다운증후군 특이적 바이오마커인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및 MRGPRD의 DNA 메틸화 수준을 측정한 결과, 조직 특이적으로 정상 모체 혈액과 정상 태아 태반은 10% 이상의 메틸화 수준의 차이가 있으며, 질환 특이적으로 정상 태아 태반과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은 30% 이상의 메틸화 수준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MRGPRD,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다운증후군 진단용 키트, 및 방법에 의하면,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다운증후군을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정상 모체 혈액 (NB), 정상 태아 태반 조직 (NT),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 조직 (T21T)에 대한 염색체 21번의 메틸화 수준 분석을 통한 65종 바이오마커의 그룹 간 평균 메틸화 수준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정상 모체 혈액 (NB), 정상 태아 태반 조직 (NT),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 조직 (T21T)에 대한 유전체의 메틸화 수준 분석을 통한 33종의 바이오마커의 그룹간 메틸화 수준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체 혈액과 태반 조직에서의 DNA 분리
제일병원 임상 시험 심사위원회로부터 승인 하에 실시되었다(# CGH-IRB-2016-5). 2015 년 6 월부터 2017 년 5 월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부인과 진료를 받은 단태 임신부를 대상으로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IRB의 승인을 받은 모든 환자로부터 서면 동의서가 작성되었다.
태반 조직은 융모막 융모 검사에 이용된 융모막 융모 세포로 임신 초기(임신 12 내지 13주)에 채취되었으며 분석될 때까지 액체 질소에 저장되었다. 각 태아의 임신 연령은 초음파 검사에 의해 결정되었다. 태아 융모막 융모 세포의 핵형을 결정하기 위해 GTG 밴딩 방법을 사용한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DS(down syndrome, 다운증후군)군의 태반 조직은 HSA21(47, XX, +21 또는 47, XY, +21)의 완전한 추가 사본(extra copy)이었으며, 모든 대조군(normal, N)군의 태반 조직은 정상 핵형(46, XX 또는 46, XY)을 나타냈다. 태아의 성별 비율은 실험군(다운증후군 태아군)과 대조군(정상 태아군)을 일치시켰다.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QIAamp DNA 미니 키트(Qiagen, 카탈로그 번호 51304)를 사용하여 융모막 융모 세포로부터 각 샘플의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모체 혈액은 융모막 융모 검사 전 채혈 된 후 즉시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QIAamp DNA 미니 키트(Qiagen, 카탈로그 번호 51304)를 사용하여 게놈 DNA를 추출하고 분석될 때까지 초저온냉동고에 저장되었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융모막 융모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모체 연령, 임신 연령, 반투명도 및 태아의 성별 비율과 관련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0.05).
번호 핵형 재태기간(주) 태아성별 모체연령 목투명대(mm)
N1 46, XY 12+1 35 4.4
N2 46, XY 12+1 38 1.9
N3 46, XX 12+6 39 2.5
N4 46, XY 12+1 37 2.8
N5 46, XX 12+1 37 2.8
D1 47, XX, +21 12+4 35 3.9
D2 47, XY, +21 12+1 39 2.9
D3 47, XY, +21 12+3 39 4.6
D4 47, XX, +21 12+1 41 4.9
D5 47, XY, +21 13+1 33 9.1
실시예 2: MC-seq를 사용한 고효율 메틸롬 프로파일링(methylome profiling)
실시예 1에서 채취한 정상 모체 혈액, 정상 태아 태반 조직,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 조직의 DNA 샘플을 기초로, MC-seq를 사용하여 다양한 CpG 부위에서 DNA 메틸화를 정량화하고 메틸롬 프로파일링을 실시하였다.
표준 DNA 메틸화 영역 포획 라이브러리는 3 μg 게놈 DNA를 갖는 페어드-엔드 시퀀싱 라이브러리(ver. B.3, 2015 년 6 월; Illumina)에 대한 SureSelect Methyl-Seq Target Enrichment 프로토콜 (Agilent)을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SureSelect Human Methyl-Seq 프로브 세트 (Agilent, 카탈로그 번호 5190-4662)를 사용하였다. DNA의 정량 및 DNA 품질은 각각 PicoGreen 분석 키트 (Thermo Fisher Scientific, 카탈로그 번호 P7589) 및 Nanodrop 분광 광도계 (NanoDrop Technologies, 카탈로그 번호 ND-2000)로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3μg의 게놈은 초음파 분쇄장치 (AFA; Covaris, 카탈로그 번호 500219)을 사용하여 DNA 150-200 bp의 표적 크기로 단편화되었다. 간략하게, 8 개의 마이크로 튜브 스트립을 초음파기의 튜브 홀더에 로딩하고 다음 설정을 사용하여 DNA를 전단시켰다: 모드, 주파수 스위핑; 듀티 사이클, 10 %; 강도, 5; 버스트 당 사이클 수, 200; 지속 시간, 60 초 × 6 사이클; 온도, 4 ℃ ~ 7 ℃. 단편화 된 DNA가 수리되고, 'A'가 3'말단에 연결되고, SureSelect Methyl-Seq Methylated Adapter가 단편에 연결되었다. 결찰이 평가되면, 어댑터 결찰된 생성물을 PCR로 증폭시켰다.
이어서 메틸화 된 어댑터-결찰된 DNA와 같은 최종 정제된 생성물을 qPCR 정량화 프로토콜 가이드에 따라 정량화하고 TapeStation DNA 스크린 테이프 D1000 (Agilent, 카탈로그 번호 5067-5582)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DNA 메틸화 영역 캡처의 경우, 표준 SureSelect Methyl-Seq Target Enrichment 프로토콜 (Agilent)에 따라 350ng의 DNA 라이브러리를 하이브리드화 버퍼, 블로킹 믹스, RNase 블록 및 5μl의 SureSelect All DNA 메틸화 영역 캡처 라이브러리와 혼합했다. 캡처 베이트에 대한 혼성화는 PCR 기계를 사용하여 105 ℃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된 열 사이클러 리드 옵션을 사용하여 65 ℃에서 수행하였다. 표적 캡처된 DNA를 EZ DNA 메틸화-골드 키트(Zymo Research, 카탈로그 번호 D5005)를 사용하여 바이설파이트로 처리하고, 어댑터 첨가 단편을 풍부화하기 위한 8 개의 PCR 사이클 및 다중화 바코드를 추가하기 위한 6 개의 PCR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포획된 DNA를 증폭시켰다. 최종 정제된 생성물을 상기 언급된 qPCR 정량화 프로토콜 가이드를 사용하여 정량화하고 TapeStation DNA 스크린 테이프 D1000(Agilent, 카탈로그 번호 5067-582)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시퀀싱은 HiSeq ™ 2500 플랫폼 (Illumina, 카탈로그 번호 SY-401-2501)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3: 데이터 가공 및 메틸화 프로파일
실시예 2에서 메틸화된 최종 생성물에 대한 데이터 가공 및 메틸화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퀀싱에서 생성된 페어드 엔드 데이터(paired end raw reads)의 품질을 FastQC 소프트웨어 (버전 0.11.5)를 사용하여 확인했다. 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Trimmomatic (버전 0.32)을 사용하여 최종 데이터에서 기본 품질이 3 이하인 어댑터 시퀀스 및 염기를 제거했다. 또한 슬라이딩 윈도우 트림 방법을 사용하여 윈도우 크기 = 4, 평균 품질 = 15를 만족하지 않는 염기를 제거했다. 정리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최소 길이가 36 bp 인 데이터가 제거되었다. 세척된 판독물은 단방향 올리고 정렬 프로그램(SOAP)을 기반으로 하는 바이 설파이트 시퀀싱 MAPping 프로그램 (BSMAP; 버전 2.90 매개 변수 set-n 1 -r 0)을 사용하여 호모 사피엔스 게놈 (UCSC hg19)에 정렬되었으며, 이는 독특하게 데이터에 맵핑될 수 있었다. SAM 파일 형식의 매핑된 데이터는 SAMtools (버전 1.2)를 사용하여 정렬 및 인덱싱되었다. sambamba (버전 0.5.9)로 PCR 복제물을 제거했다. 메틸화 수준은 BSMAP 프로그램에서 methratio.py 특징으로 측정되었다. Agilent SureSelect 타겟 영역에 위치한 모든 단일 시토신의 10 CT 수보다 높은 메틸화 비율은 일반적인 메틸화가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판독 쌍의 양 말단으로 덮인 영역의 경우, 메틸화를 호출하기 위해 단 하나의 판독만이 사용되었다. 결과 적용 범위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 of C / 세 시퀀스 컨텍스트 각각에 대한 실질적인 CT 수 (CG, CHG 및 CHH).
메틸화 수준을 판독한 후, DMCs와 DMRs을 식별하기 위해 CpG의 각 염기에서의 메틸화 수준을 중간 스케일링 표준화로 표준화하였다. 5 개의 비교 쌍에 대해 두 그룹 간의 메틸화 차이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독립적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P 값은 Benjamini와 Hochberg FDR (False Discovery Rate) 방법을 사용 및 수정하여 여러 테스트에서 오탐지 결과를 제어했다. 주요 성분 분석은 이전 연구와 같이 질병 상태(정상 또는 DS)를 기반으로 하지만 태아의 성별에 근거하지 않은 샘플의 분리를 보여주었다. DMC는 |delta_mean|≥ 0.1, 독립적인 T- 검정 p- 값 <0.05 및 FDR <0.05와 관련된 각 영역을 필터링하여 결정되었다. DMR은 ≥ 3 DMC를 함유하는 임의의 길이의 연속 영역으로 정의되었다. 계층적 군집 분석은 또한 하나 이상의 비교 쌍을 만족하는 유의한 CpG에 대한 샘플의 메틸화 수준을 표시하기 위한 유사성의 척도로서 완전한 연결 및 유클리드 거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히트맵은 유사성 메트릭의 중심 절대 상관을 사용하여 중심 연결에 의해 자동으로 플로팅되었다. 차별적으로 메틸화된 결과의 모든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는 R 3.3.1 (www.r-project.org) 및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12.0 (SPSS Inc.)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실시예 4: 다운증후군 태아의 태반에서 특이적인 후성학적 마커 발굴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정상 태아를 가진 모체의 혈액, 정상 태아의 태반, 다운증후군 태아의 태반 각각 5개의 샘플로부터, 실시예 2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체 메틸화 양상을 CpG site 수준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경우, 각 CpG site의 메틸화 수준 (%)은 0 내지 100으로 표현되며, 0은 비메틸화, 100은 완전한 메틸화를 의미한다. 비교 분석된 메틸화 수준의 차이에 따라 과메틸화되거나 저메틸화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였다.
4-1. 21번 염색체에서의 메틸화 수준 비교
다운증후군의 목적 염색체인 21번 염색체를 기준으로 동일한 형태의 후성학적 특성이 연속적으로 3개 이상 있는 부위로서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TRPM2, C21orf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 유전자 영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65개 유전자 영역의 구체적인 정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기호 Region
Functional part bp CG 개수 Seq.
CHODL UTR5 72 6 chr21-19617176-19617247
71 13 chr21-19617336-19617406
intronic 80 9 chr21-19617673-19617752
NCAM2 upstream 36 5 chr21-22370043-22370078
CYYR1 intronic 176 4 chr21-27944498-27944673
GRIK1 intronic 52 3 chr21-31311263-31311314
125 11 chr21-31311387-31311511
OLIG2 intergenic 235 14 chr21-34391993-34392227
17 4 chr21-34392448-34392476
173 7 chr21-34392696-34392868
42 4 chr21-34395135-34395176
75 5 chr21-34395490-34395566
90 6 chr21-34395876-34395965
50 3 chr21-34396297-34396346
269 16 chr21-34396460-34396728
117 9 chr21-34397003-34397119
exonic 71 12 chr21-34399292-34399362
103 12 chr21-34399427-34399529
34 4 chr21-34399681-34399714
56 8 chr21-34399848-34399903
UTR3 68 10 chr21-34400145-34400212
275 9 chr21-34400714-34400988
14 3 chr21-34401366-34401379
downstream 236 11 chr21-34401534-34401769
CLIC6 exonic 32 6 chr21-36042254-36042285
203 25 chr21-36042533-36042735
SIM2 intergenic 81 4 chr21-38067964-38068044
389 29 chr21-38068418-38068806
173 15 chr21-38069018-38069190
1206 87 chr21-38069475-38070680
intronic 13 3 chr21-38072494-38072506
44 5 chr21-38073032-38073075
66 8 chr21-38073463-38073528
57 3 chr21-38073992-38074050
31 3 chr21-38074152-38074184
181 6 chr21-38074992-38075172
343 30 chr21-38076769-38077111
193 12 chr21-38077206-38077398
197 8 chr21-38078262-38078458
232 7 chr21-38079128-38079359
39 4 chr21-38079924-38079962
191 18 chr21-38079988-38080178
55 7 chr21-38081200-38081254
62 7 chr21-38081394-38081455
17 4 chr21-38083112-38083128
HLCS intronic 76 8 chr21-38352985-38353060
UTR5 65 4 chr21-38353193-38353257
MX2 intronic 177 14 chr21-42741677-42741853
MX1 intronic 154 13 chr21-42798695-42798848
TMPRSS2 intronic 90 3 chr21-42878480-42878569
SLC37A1, PDE9A intergenic 46 3 chr21-44011221-44011266
CBS UTR3 97 4 chr21-44473401-44473497
CRYAA upstream 137 13 chr21-44588388-44588457
C21orf2,TRPM2 intergenic 88 12 chr21-45769923-45770010
TSPEAR intronic 167 8 chr21-46126022-46126188
210 17 chr21-46126891-46127100
179 10 chr21-46128800-46128978
531 39 chr21-46129159-46129689
LINC00162,
SSR4P1
intergenic 27 3 chr21-46439211-46439237
SLC19A1,LOC100129027 intergenic 23 3 chr21-47062136-47062158
MCM3AP exonic 33 4 chr21-47704178-47704210
YBEY downstream 25 4 chr21-47717843-47717867
93 13 chr21-47717931-47718023
PRMT2, NONE intergenic 76 11 chr21-48087183-48087258
ITSN1 intronic 63 4 chr21-35246628-35246690
정상 모체 혈액, 정상 태아 태반 및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에서 상기 선정된 유전자 영역의 메틸화 정도 (메틸화 수준 (%)을 100으로 나눈 값)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후성학적 특성 Gene symbol 메틸화 정도
정상 모체 혈액 정상 태아 태반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
과메틸화
(Hyper)
CHODL 0.05 0.31 0.44
0.04 0.26 0.37
0.01 0.15 0.30
NCAM2 0.02 0.23 0.34
CYYR1 0.04 0.29 0.39
GRIK1 0.14 0.29 0.46
0.09 0.27 0.40
OLIG2 0.02 0.18 0.34
0.03 0.15 0.29
0.03 0.28 0.43
0.03 0.19 0.31
0.02 0.12 0.25
0.02 0.23 0.34
0.04 0.18 0.31
0.11 0.24 0.40
0.10 0.23 0.38
0.06 0.25 0.36
0.06 0.19 0.32
0.04 0.20 0.30
0.03 0.13 0.27
0.06 0.21 0.37
0.06 0.28 0.40
0.03 0.20 0.31
0.04 0.24 0.34
CLIC6 0.01 0.13 0.24
0.02 0.16 0.33
SIM2 0.12 0.22 0.34
0.11 0.25 0.35
0.08 0.19 0.29
0.05 0.26 0.38
0.04 0.30 0.40
0.03 0.22 0.32
0.04 0.22 0.33
0.04 0.20 0.32
0.04 0.19 0.30
0.12 0.32 0.45
0.04 0.23 0.39
0.08 0.31 0.42
0.11 0.34 0.44
0.09 0.33 0.44
0.09 0.31 0.45
0.08 0.30 0.43
0.04 0.25 0.37
0.04 0.24 0.35
0.06 0.29 0.39
HLCS 0.04 0.57 0.71
0.03 0.50 0.66
MX2 0.26 0.62 0.74
MX1 0.05 0.30 0.45
TMPRSS2 0.33 0.54 0.64
SLC37A1,PDE9A 0.08 0.31 0.42
CBS 0.21 0.67 0.77
CRYAA 0.43 0.61 0.71
C21orf2,TRPM2 0.15 0.41 0.54
TSPEAR 0.12 0.60 0.73
0.16 0.57 0.72
0.09 0.46 0.62
0.05 0.46 0.62
LINC00162,
SSR4P1
0.23 0.48 0.59
SLC19A1,LOC100129027 0.24 0.46 0.57
MCM3AP 0.16 0.44 0.55
YBEY 0.06 0.49 0.67
0.11 0.48 0.64
PRMT2,NONE 0.01 0.34 0.44
저메틸화
(Hypo)
ITSN1 0.92 0.66 0.36
정상 태아 태반과 모체 혈액 세포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 및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과 정상 태아 태반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3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TRPM2, C21orf2, TSPEAR, SSR4P1, LINC00162, MCM3AP, YBEY, 및 PRMT2 (NONE) 유전자 영역에서 태아 태반, 특히 다운증후군 태아의 태반에서 과메틸화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들의 정상 태아 태반과 모체 혈액 세포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는 10 내지 55로, 모체 혈액에 비해 태아 태반에서 과메틸화되어, 조직 (태반) 특이적인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유전자들의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과 정상 태아 태반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는 10 내지 20으로, 정상 태아에 비해 다운증후군 태아에서 과메틸화된 바이오마커로서 질환 (다운증후군) 특이적인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하였다.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과 다른 두 그룹 (정상 태아 태반 및 모체 혈액)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 < 0.05).
또한, ITSN1 유전자 영역은 다운증후군 태아의 태반에서 저메틸화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모체 혈액 세포에서 ITSN1 유전자 영역의 메틸화 수준은 90 이상이고, 정상 태아 태반에서의 메틸화 수준은 65 이상으로 과메틸화된 반면에,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에서의 메틸화 수준은 40 이하로 저메틸화됨을 확인하였다. 그룹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는 25 이상이었다. 이 경우에도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과 다른 두 그룹 (정상 태아 태반 및 모체 혈액)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 < 0.05).
4-2. 21번 염색체를 제외한, 다른 염색체에서의 메틸화 수준 비교
동일한 형태의 후성학적 특성이 연속적으로 2개 이상 있는 부위로서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및 MRGPRD 유전자 내 영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33개 유전자 영역의 구체적인 정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염색체 유전자 기호 Region
Funtional part bp Seq.
1 MXRA8 exonic 4 chr1-1290330-1290333
1 MIB2 exonic 14 chr1-1564776-1564789
1 KIF26B exonic 383 chr1-245851435-245851817
2 SP5 exonic 21 chr2-171573145-171573165
3 ZIC4 exonic 57 chr3-147113849-147113905
4 ENPEP,PITX2 intergenic 21 chr4-111532737-111532757
4 SH3BP2 intronic 39 chr4-2800726-2800764
5 SEPP1,FLJ32255 intergenic 78 chr5-42950062-42950139
5 SHROOM1 exonic 83 chr5-132158665-132158747
intronic 91 chr5-132158828-132158918
exonic 16 chr5-132158969-132158984
6 LINC00574,
LOC154449
intergenic 269 chr6-170338448-170338716
7 PRRT4 exonic 12 chr7-127991715-127991726
7 TMEM176B intronic 6 chr7-150497697-150497702
7 MNX1 downstream 9 chr7-156796810-156796818
9 LOC101928483,EGFL7 intergenic 29634 chr9-139482774-139512407
9 NACC2, C9orf69 intergenic 20 chr9-139001913-139001932
10 TLX1 intronic 1074 chr10-102893888-102894961
10 FGF8 intronic 4 chr10-103535480-103535483
10 TACC2 UTR5 32 chr10-123923354-123923385
10 CPXM2 exonic 20 chr10-125651146-125651165
10 NKX6-2 downstream 176 chr10-134598133-134598308
10 TLX1NB intronic 18 chr10-102881237-102881254
12 IQSEC3 intronic 19 chr12-187057-187075
13 PCDH8 exonic 4 chr13-53422171-53422174
13 F7 intronic 413 chr13-113764089-113764501
17 SOX9 UTR5 19 chr17-70117397-70117415
19 PNMAL2 exonic 1237 chr19-46996868-46998096
20 THBD exonic 83 chr20-23028442-23028524
22 MAPK8IP2 exonic 76 chr22-51042807-51042882
22 KLHDC7B exonic 444 chr22-50986907-50987350
X GPR143 exonic 114 chrX-9733732-9733845
11 IGHMBP2,MRGPRD intergenic 914 chr11-68709935-68710848
정상 모체 혈액, 정상 태아 태반 및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에서 상기 선정된 유전자 영역의 메틸화 정도 (메틸화 수준 (%)을 100으로 나눈 값) 를 하기 표 5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후성학적 특성 염색체 유전자 메틸화 정도
정상 모체 혈액 정상 태아 태반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
과메틸화
(Hyper)
1 MXRA8 0.12 0.42 0.78
1 MIB2 0.17 0.49 0.85
1 KIF26B 0.16 0.37 0.79
2 SP5 0.08 0.31 0.79
3 ZIC4 0.00 0.29 0.68
4 ENPEP,PITX2 0.03 0.45 0.74
4 SH3BP2 0.02 0.33 0.71
5 SEPP1,FLJ32255 0.01 0.33 0.70
5 SHROOM1 0.08 0.40 0.77
0.05 0.30 0.70
0.07 0.34 0.73
6 LINC00574,
LOC154449
0.13 0.34 0.77
7 PRRT4 0.09 0.19 0.67
7 TMEM176B 0.03 0.29 0.73
7 MNX1 0.00 0.12 0.61
9 LOC101928483,EGFL7 0.21 0.31 0.80
9 NACC2, C9orf69 0.00 0.39 0.70
10 TLX1 0.02 0.36 0.72
10 FGF8 0.03 0.22 0.70
10 TACC2 0.02 0.26 0.66
10 CPXM2 0.01 0.51 0.79
10 NKX6-2 0.05 0.28 0.69
10 TLX1NB 0.01 0.36 0.71
12 IQSEC3 0.03 0.18 0.64
13 PCDH8 0.10 0.31 0.77
13 F7 0.06 0.24 0.68
17 SOX9 0.03 0.25 0.64
19 PNMAL2 0.03 0.42 0.78
20 THBD 0.21 0.39 0.83
22 MAPK8IP2 0.14 0.27 0.73
22 KLHDC7B 0.03 0.55 0.84
X GPR143 0.13 0.33 0.73
저메틸화
(Hypo)
11 IGHMBP2,
MRGPRD
0.81 0.78 0.14
정상 태아 태반과 모체 혈액 세포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 및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과 정상 태아 태반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5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EGFL7, LOC101928483,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및 GPR143 유전자 영역에서 태아 태반, 특히 다운증후군 태아의 태반에서 과메틸화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들의 정상 태아 태반과 모체 혈액 세포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는 10 내지 50으로, 모체 혈액에 비해 태아 태반에서 과메틸화되어, 조직 (태반) 특이적인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유전자들의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과 정상 태아 태반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는 25 내지 50으로, 정상 태아에 비해 다운증후군 태아에서 과메틸화된 바이오마커로서 질환 특이적임을 확인하였다.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과 다른 두 그룹 (정상 태아 태반 및 모체 혈액)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 < 0.05).
또한, IGHMBP2 및 MRGPRD 유전자 영역에서 다운증후군 태아의 태반에서 저메틸화됨을 확인하였다. 정상 태아 태반 및 모체 혈액 세포에서 IGHMBP2 및 MRGPRD 유전자 영역의 메틸화 수준은 75 이상으로 과메틸화된 반면에,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에서의 메틸화 수준은 15 이하로 저메틸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경우에도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과 다른 두 그룹 (정상 태아 태반 및 모체 혈액) 간의 메틸화 수준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 < 0.05).
상기 실시예 4의 결과를 종합하면,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MRGPRD; 및 21번 염색체 내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ITSN1 유전자는 모체 및 정상 태아와 비교하여 다운증후군 태아에서 유의적인 후성학적 특징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다운증후군 특이적 바이오마커의 DNA 메틸화 수준은 “정상 모체 혈액: 정상 태아 태반: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 = 0 내지 10: 20: 40”으로, 질환에 따른 메틸화 수준의 차이는 약 20%이고, 21번 목적 염색체의 수적 증가율(1.5배)를 반영하면 최종적으로 메틸화 수준의 차이는 약 30%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1번 염색체를 제외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는 다운증후군 특이적 바이오마커의 DNA 메틸화 수준은 “정상 모체 혈액: 정상 태아 태반: 다운증후군 태아 태반 = 0 내지 10: 30: 70”으로, 질환에 따른 메틸화 정도의 차이는 약 40%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결과를 통해, 상기 바이오마커 유전자의 DNA 메틸화 수준의 측정으로 다운증후군 태아를 진단할 수 있는, 모체 또는 정상 태아의 DNA 메틸화 수준과의 구체적인 비교 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MRGPRD,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로서,
    상기 제제는 모체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 및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고,
    상기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은 측정하려는 유전자의 하기 표 2 또는 표 4의 염기서열(Seq.)의 메틸화 수준인 것인, 조성물.
    [표 2]
    Figure 112021101377118-pat00003

    Figure 112021101377118-pat00004

    [표 4]
    Figure 112021101377118-pat00005
    .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및 MRGPRD 유전자는 21번 염색체를 제외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는 것인,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 유전자는 2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것인,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및 PRMT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은 정상 태아 또는 모체 혈액에 비해 다운증후군 태아에서 과-메틸화된 것인,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GHMBP2, MRGPRD,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은 정상 태아 또는 모체 혈액에 비해 다운증후군 태아에서 저-메틸화된 것인 다운증후군 진단용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다운증후군 진단용 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칩 키트, DNA 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다운증후군 진단용 키트.
  8. (a)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IGHMBP2, MRGPRD,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PRMT2,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의 측정은 모체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 및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고,
    상기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은 측정하려는 유전자의 상기 청구항 1의 표 2 또는 표 4의 염기서열(Seq.)의 메틸화 수준인 것인 단계; 및
    (b) 상기 측정된 모체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 및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의 메틸화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다운증후군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는 태반으로부터 유래된 조직, 세포, 또는 세포 유리 DNA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모체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시료는 혈액 세포, 또는 세포 유리 DNA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측정된 MXRA8, MIB2, KIF26B, SP5, ZIC4, ENPEP, PITX2, SH3BP2, SEPP1, FLJ32255, SHROOM1, LINC00574, LOC154449, PRRT4, TMEM176B, MNX1, LOC101928483, EGFL7, NACC2, C9orf69, TLX1, FGF8, TACC2, CPXM2, NKX6-2, TLX1NB, IQSEC3, PCDH8, F7, SOX9, PNMAL2, THBD, MAPK8IP2, KLHDC7B, GPR143, CHODL, NCAM2, CYYR1, GRIK1, OLIG2, CLIC6, SIM2, HLCS, MX2, MX1, TMPRSS2, SLC37A1, PDE9A, CBS, CRYAA, C21orf2, TRPM2, TSPEAR, LINC00162, SSR4P1, SLC19A1, LOC100129027, MCM3AP, YBEY, 및 PRMT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경우, 다운증후군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태아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측정된 IGHMBP2, MRGPRD, 및 ITSN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경우, 다운증후군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PCR, 메틸화 특이 PCR(methylation specific PCR), 실시간 메틸화 특이 PCR(real time methylation specific PCR), 메틸화 DNA 특이적 결합 단백질을 이용한 PCR, 정량 PCR, 메틸화 특이적인 PNA를 이용하는 PCR, melting curve analysis, DNA 칩, 파이로시퀀싱, 바이설파이트 시퀀싱, 및 메틸화 차세대 염기서열 시퀀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KR1020200081684A 2020-07-02 2020-07-02 다운증후군 진단용 후성학적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32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684A KR102332539B1 (ko) 2020-07-02 2020-07-02 다운증후군 진단용 후성학적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21832194.1A EP4177354A1 (en) 2020-07-02 2021-05-07 Epigenetic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down syndrome, and use thereof
JP2022581672A JP2023533245A (ja) 2020-07-02 2021-05-07 ダウン症候群診断用後成的バイオマーカー組成物及びその用途
PCT/KR2021/005716 WO2022005009A1 (ko) 2020-07-02 2021-05-07 다운증후군 진단용 후성학적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18/003,658 US20240026451A1 (en) 2020-07-02 2021-05-07 Epigenetic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down syndrome,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684A KR102332539B1 (ko) 2020-07-02 2020-07-02 다운증후군 진단용 후성학적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539B1 true KR102332539B1 (ko) 2021-11-29

Family

ID=7869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684A KR102332539B1 (ko) 2020-07-02 2020-07-02 다운증후군 진단용 후성학적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26451A1 (ko)
EP (1) EP4177354A1 (ko)
JP (1) JP2023533245A (ko)
KR (1) KR102332539B1 (ko)
WO (1) WO2022005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51959B (zh) * 2022-12-30 2024-04-12 武汉艾米森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食管鳞状细胞癌及癌前病变的诊断或辅助诊断的试剂及检测试剂盒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26570A1 (en) * 2014-10-17 2017-08-10 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Dna methylation markers for overgrowth syndromes
CA3022606A1 (en) 2016-05-03 2017-11-09 University Health Network Methods of capturing cell-free methylated dna and uses of same
KR102029775B1 (ko) 2018-01-23 2019-10-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근침윤성 방광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ical Epigenetics (2019) 11:180 *
PLoS Genetics (2010) 6(11):e1001212(1-13) *
PLoS Genetics (2013) 9(6):e1003515(1-9)* *
Prenatal Diagnosis (2011) 31:207-214 *
RBM Online (20007) 15(2):227-235 *
임지혜, "Epigenome-wide base-resolution profiling of DNA methylation in chorionic villi of Down syndrome fetuses by methyl-capture sequencing",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9.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26451A1 (en) 2024-01-25
EP4177354A1 (en) 2023-05-10
JP2023533245A (ja) 2023-08-02
WO2022005009A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7977B2 (en) Marker for prenatal diagnosis and monitoring
JP5992338B2 (ja) エピジェネティックパターン及びクロマチン構造に基づいて細胞の型及び/又は状況を決定するアッセイ
JP5789605B2 (ja) 染色体異数性の検出方法
KR102307424B1 (ko) 혈장으로부터 태아 또는 종양 메틸롬의 비침습적 결정
JP2021003138A (ja) 非侵襲性の出生前診断のために有用な、母体サンプル由来の胎児核酸のメチル化に基づく濃縮の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組成物
AU2004274724B2 (en) Methods and kits useful for detecting an alteration in a locus copy number
US20140193817A1 (en) Methods and kits useful for detecting an alteration in a locus copy number
AU2012300196A1 (en) DNA methylation in colorectal and breast cancer diagnostic methods
KR102549013B1 (ko) 췌장암 진단을 위한 메틸화 마커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2332539B1 (ko) 다운증후군 진단용 후성학적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32540B1 (ko) 다운증후군 특이적인 후성학적 마커를 이용한 다운증후군 진단 방법
EP3368690B1 (en) A method for prenatal diagnosis using digital pcr.
KR102268666B1 (ko) 다운증후군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12076B1 (ko) 조산 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한 CpG 메틸화 마커 ITGA11 및/또는 THBS2, 및 이의 이용
WO2020119626A1 (zh) 一种无创产前检测胎儿是否患有遗传疾病的方法
KR101695347B1 (ko) 유전자의 CpG 메틸화 변화를 이용한 조산 위험성 예측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