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781B1 -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781B1
KR102331781B1 KR1020190165799A KR20190165799A KR102331781B1 KR 102331781 B1 KR102331781 B1 KR 102331781B1 KR 1020190165799 A KR1020190165799 A KR 1020190165799A KR 20190165799 A KR20190165799 A KR 20190165799A KR 102331781 B1 KR102331781 B1 KR 10233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ssing
tank
primary
filler
ammo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759A (ko
Inventor
임태형
박성균
김준
이재영
선지윤
정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에너지
Priority to KR102019016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7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06Multiple stage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8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5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by removing ammoniacal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탈기조를 포함하여 별도의 동력 없이 오염수 내부의 암모니아를 복수회 탈기시킬 수 있는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APPARATUS FOR AMMONIA STRIPPING WITH MULTI STAGE}
본 발명은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탈기조를 포함하여 별도의 동력 없이 오염수 내부의 암모니아를 복수회 탈기시킬 수 있는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암모니아는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과 같은 축산비료 및 비료 등이 분해될 때 발생되며 공장 배출수와 기타 하수에도 다량 함유되어 방출되고 있다. 수중 암모니아 농도는 수질오염의 지표로 작용하며, 수중 암모니아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수중의 질소화합물은 그 자체가 오염물질로써 수중 생태계 파괴 및 수자원 가치 상실의 원인일 뿐만 아니라, 부영양화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수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암모니아는 pH에 따라 암모늄 이온 (NH4+)과 암모니아 기체(NH3)로 존재하는데 pH 7보다 높으면 암모니아 기체가 많고 낮으면 암모늄 이온이 많이 존재한다. 이 중 암모니아 기체는 혐기성 소화 효율의 주된 저해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상수 중에 포함된 암모니아 기체는 정수처리공정에서 염소요구량을 증가시키고 악취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암모니아성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함유 폐수는 주로 암모니아 스트리핑 방법에 의해 처리되고, 저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 함유 폐수는 주로 생물학적 질산화-탈질반응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 개발된 암모니아 탈기 장치에 경우, 암모니아 탈기를 위해 폐수에 알카리 약품을 첨가한 후 공기와 접촉시키는 에어 스트리핑 기술이 사용된다. 이때, 공기와 폐수간 접촉비를 늘려서 탈기효율을 높이는 기술들이 다수 존재한다. 허나, 이러한 공기와 폐수간 접촉비를 높이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충전재나 회전축 노즐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기술들은 폐수 속 이물질이 충전재 및 노즐에 축적되어 장치의 수명을 줄이고 탈기 효율을 낮추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90476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진재 및 다공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를 병렬 구성함으로써, 본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폐수의 접촉비를 늘리는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에 폐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각 탈기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는 서로 유체 연통되는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본체부 하부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부; 및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를 통과한 물을 배수시키거나 또는 상기 물공급부로 순환시키는 배수처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는 내부에 충진재 및 다공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위아래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1차 탈기조는, 상기 배수처리부와 파이프로 연결되고 상기 1차 탈기조에서 처리된 물이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배수처리부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1차 탈기조는, 상기 처리된 물이 상기 파이프와 연결된 부분으로 이동되도록 바닥면이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는, 상부에 노즐이 위치되고 하부에 충진재 및 다공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위치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이 상기 충진재 및 다공판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로 공급된 물은, 상기 충진재 및 다공판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접촉된 후 상기 본체부 하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처리부는, 상기 본체부 최하단부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진재 및 다공판은, 복수의 개구(hol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충진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판형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처리부는, 상기 물공급부와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보내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공기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후처리하는 흡수탑;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진재 및 다공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를 병렬 구성함으로써, 본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폐수의 접촉비를 늘리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에 폐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각 탈기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의 충진재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거나, 어떤 구조와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거나 다른 구조와 형상을 배제한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 구조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제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의 의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100)는 본체부(110), 물공급부(120), 공기주입부(130), 배수처리부(140) 및 흡수탑(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내부에 폐수 및 암모니아 탈기를 위한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장치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부(110)는 내부에 서로 유체 연통되는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부(110)는 하측의 양측부에 각각 공기주입부(130) 및 배수처리부(140)가 위치될 수 있다고 하측의 내폭이 상측보다 넓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10)는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부(110)는 하측의 양측부에 각각 공기주입부(130) 및 배수처리부(140)가 위치될 수 있다고 하측의 내폭이 상측보다 넓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공기배출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배출부(113)는 본체부(110)로 공급된 암모니아 탈기를 위한 공기에 폐수 속에서 탈기된 암모니아 기체가 혼합된 공기가 본체부(110)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배출부(113)는 본체부(110)의 최상단부에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별도의 동력 없이 암모니아 탈기 반응으로 인해 생성된 암모니아 기체를 포함한 공기를 본체부(110) 외부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배출부(113)는 후술되는 흡수탑(150)으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흡수탑(150)과 일정한 파이프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배출부(113)는 흡수탑(150)의 하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수탑(150)의 하부 일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는 본원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폐수 및 암모니아 탈기를 위한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폐수 및 공기가 서로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구조물이라면, 본원발명의 본체부(110)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는 내부에 폐수 및 암모니아 탈기를 위한 공기가 서로 접촉하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장치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는 후술되는 물공급부(120) 및 공기주입부(130)를 통해 내부로 폐수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암모니아 탈기 반응은 폐수와 공기간의 접촉비에 따라 그 효율이 결정된다. 이러한 암모니아 탈기 반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는 복수의 개구(hole)를 포함하는 충진재(10) 및 다공판(20)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에 폐수 및 공기가 유입될 경우, 충진재(10) 및 다공판(20)는 폐수와 접촉되어 복수의 개구를 통해 폐수 입자를 쪼갤 수 있다. 쪼개어진 폐수의 입자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거나 혹은 시간이 증가됨으로써 폐수 내부의 암모니아가 효율적으로 탈기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는 본체부(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위아래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수는 상부에 위치한 1차 탈기조(111)에서 하부에 위치한 2차 탈기조(112)로 이동되고, 암모니아 탈기를 위한 공기는 반대로 2차 탈기조(112)에서 1차 탈기조(111)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폐수와 공기의 이동은 중력에 의한 것으로, 별도의 동력 없이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로 폐수와 공기가 이동되게 하여 암모니아 탈기 반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1차 탈기조(111)는 1차 탈기조(111)에서 처리된 폐수가 후술되는 배수처리부(140)로 이동되도록 배수처리부(140)와 파이프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1차 탈기조(111)는 처리된 폐수가 배수처리부(140)와 연결된 부분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바닥면이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탈기조(111)에서 처리된 폐수는 하측에 위치된 2차 탈기조(112)로 이동될 수도 있고, 배수처리부(140)와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배수처리부(140)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 탈기조(112)의 보수 및 정비를 위해 1차 탈기조(111)와 2차 탈기조(112)의 연결부를 막고 1차 탈기조(111)에서 처리된 물은 바로 배수처리부(14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2차 탈기조(112)의 보수 및 정비를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물공급부(120)는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물공급부(120)는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와 각각 파이프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공급부(120)는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의 상부에 위치한 노즐과 연결되어 폐수가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의 상부에서 분사된 폐수는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의 하부에 위치된 충진재(10) 및 다공판(2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접촉된 후 배수될 수 있다.
또한, 물공급부(120)는 밸브와 같은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에 선택적으로 폐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탈기조(111)의 보수 및 정비를 위해 2차 탈기조(112)에만 폐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많은 양의 폐수를 암모니아 탈기 처리하기 위해 1차 탈기조(111)와 2차 탈기조(112)에 동시에 폐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기주입부(130)는 본체부(110)의 하부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주입부(130)는 모터를 통해 구동되는 팬(fa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체부(110)의 하부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주입부(50)는 상술된 역할을 수행하면 충분하며 특별한 구성의 제한이 있지 않음을 유의한다.
배수처리부(140)는 본체부(110) 내부의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에서 처리된 물을 최종적으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배수처리부(140)는 본체부(110)의 최하단부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부(110)의 최하단부는 배수처리부(140)로 처리된 폐수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배수처리부(140)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처리부(140)는 본체부(110)에서 처리된 물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배수처리부(140)는 물공급부(120)와 파이프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본체부(101)를 통과한 물을 다시 물공급부(120)로 보낼 수 있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수처리부(140)는 배수펌프를 통해 순환된 물은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암모니아 탈기 반응이 이루어질 때까지 반복해서 순환될 수 있고, 원하는 수준으로 암모니아 탈기가 완료된 물을 밸브와 같은 제어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흡수탑(150)은 본체부(110)에서 탈기 반응으로 배출된 암모니아 기체를 후처리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흡수탑(150)은 원통형 본체부의 상부에 인산이 포함된 약품을 분사하는 약품공급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탑(150)은 공기배출부(113)에서 배출된 암모니아 기체가 하부에서 공급되고 흡수탑(150)의 상부에 위치된 약품공급부(151)에서 분사된 인산이 암모니아 기체와 반응하여 인산암모늄(NH4H2PO4 또는 (NH4)2H2PO4) 액체를 생성함으로써, 암모니아 기체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흡수탑(150)은 내부에 충진재(10) 및 다공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탑(150)은 내부의 충진재(10) 및 다공판(20)를 이용하여 약품의 입자를 쪼갤 수 있다. 쪼개어진 약품의 입자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거나 혹은 시간이 증가됨으로써, 효율적으로 공기 중에서 암모니아 기체를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탑(150)은 상부에서 낙하되면서 인산암모늄이 포함된 약품을 흡수탑의 하부로 모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흡수탑(150)은 하부에 일정 약품이 누적될 경우, 밸브와 같은 제어 장치를 통해 외부로 인산암모늄이 포함된 약품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는 내부에 충진재(10) 및 다공판(20)이 탈기조의 배열 순서에 상관없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1차 탈기조(111) 및 2차 탈기조(112)는 내부에 모두 충진재(10) 및 다공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100)의 충진재(10)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충진재(10)는 본체부(110)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된 원통형 부재(11) 및 원통형 부재(11)의 내부에 위치된 판형 날개(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진재(10)는 중심부에 판형 날개(12)가 형성된 회전축이 존재할 수 있고 회전축과 원통형 부재(11)가 연결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진재(10)는 상부에서 낙하되는 폐수의 수압으로 판형 날개(12)가 회전될 수 있고, 판형 날개(12)의 회전력에 의해 원통형 부재(11)가 별도의 동력 없이 회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판형 날개(12)는 상부에서 낙하되는 폐수의 수압에 회전될 수 있도록 스크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10)는 무동력 회전을 통해 충진재(10)와 접촉한 폐수 입자를 세밀하게 쪼갤 수 있고, 쪼개어진 폐수의 입자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거나 혹은 시간이 증가됨으로써 폐수 내부의 암모니아가 효율적으로 탈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110: 본체부
111: 1차 탈기조
112: 2차 탈기조
113: 공기배출부
120: 물공급부
130: 공기주입부
140: 배수처리부
150: 흡수탑
151: 약품공급부
10: 충진재
11: 원통형 부재
12: 판형 날개
20: 다공판

Claims (10)

  1. 서로 유체 연통되고 내부에 충진재 및 다공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와 상부에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와 각각 파이프를 통해 연결된 물공급부;
    상기 본체부 하부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부; 및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를 통과한 물을 배수시키거나 또는 상기 물공급부로 순환시키는 배수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1차 탈기조는,
    상기 배수처리부와 하부 일측에 위치된 파이프로 연결되며 상기 파이프와 연결된 부분으로 상기 1차 탈기조에서 처리된 물이 이동되도록 바닥면이 경사진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1차 탈기조에서 처리된 물이 밸브를 통해 상기 2차 탈기조 및 상기 배수처리부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공기배출부는, 내부에 인산이 포함된 약품이 분사되는 흡수탑과 연결되며,
    상기 흡수탑은 상기 본체부에서 배출된 공기 중 암모니아 기체를 상기 약품을 통해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되어 위아래로 유체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탈기조 및 2차 탈기조는,
    상부에 노즐이 위치되고 하부에 충진재 및 다공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위치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이 상기 충진재 및 다공판을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 및 다공판은,
    복수의 개구(hol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판형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처리부는,
    상기 물공급부와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보내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65799A 2019-12-12 2019-12-12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KR10233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99A KR102331781B1 (ko) 2019-12-12 2019-12-12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99A KR102331781B1 (ko) 2019-12-12 2019-12-12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759A KR20210074759A (ko) 2021-06-22
KR102331781B1 true KR102331781B1 (ko) 2021-11-29

Family

ID=7660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799A KR102331781B1 (ko) 2019-12-12 2019-12-12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532B1 (ko) 2022-12-06 2024-03-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액분사형 탈기장치를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2638519B1 (ko) * 2023-06-14 2024-02-20 주식회사 블루텍 차량용 요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0714A (zh) * 2016-01-27 2016-05-04 山东金昊三扬环保机械股份有限公司 回流氨氮吹脱污水处理塔
JP2019166481A (ja) * 2018-03-23 2019-10-03 月島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酸性成分及びアンモニアを含有する廃水のアンモニアストリッピング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476B1 (ko) 2017-08-17 2017-11-21 이노엔비텍(주) 오염공기 탈취장치용 드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0714A (zh) * 2016-01-27 2016-05-04 山东金昊三扬环保机械股份有限公司 回流氨氮吹脱污水处理塔
JP2019166481A (ja) * 2018-03-23 2019-10-03 月島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酸性成分及びアンモニアを含有する廃水のアンモニアストリッピング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759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781B1 (ko) 다단 암모니아 탈기 장치
US20090250396A1 (en) Drainage water-treating method and drainage water-treating apparatus
US8057676B2 (en) Drainage water-treating method
US6423228B2 (en) Treating fluorine waste water containing organic matter, phosphor and hydrogen peroxide
KR101766411B1 (ko) 복합악취 제거설비
KR20170092510A (ko) 복합악취 제거설비
KR102013740B1 (ko) 암모니아 함유 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4604014B2 (ja) 生物脱臭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生物脱臭装置
JP2015196119A (ja) 脱臭装置
KR101012725B1 (ko) 벤튜리효과를 이용한 탈취수분무식 탈취시스템
US20120086136A1 (en) Aeration apparatus and seawater flue gas desulphuriz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246493B1 (ko) 하.폐수 처리장치
JP2015196121A (ja) 浄化システム及び被処理気体中の臭気を除去する方法
JP2014094322A (ja) 多段階の有機廃水処理システム
KR20130016769A (ko) 수중 펌프를 이용한 하 폐수 내 질소·인 고도처리장치
EP224272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waste water with the sequence of accumulating container, three biological reactors and apparatus for the afterpurification
KR101868046B1 (ko) 포기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악취제거설비
KR20200043704A (ko) 무동력을 이용한 이중 회전 암모니아 탈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102642532B1 (ko) 기액분사형 탈기장치를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003268B1 (ko) 폐수의 암모니아 처리장치
KR101570440B1 (ko) 고농도 질소함유 가축분뇨 처리용 질소제거장치
KR102050142B1 (ko) 효율이 개선된 난분해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유동상 펜톤 처리장치
KR100757092B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KR102462959B1 (ko) 바이오가스 개질용 황화수소 제거 설비
CN211570406U (zh) 一种垃圾渗滤液mbr出水深度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