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714B1 - 손 건조기 - Google Patents

손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714B1
KR102331714B1 KR1020200032328A KR20200032328A KR102331714B1 KR 102331714 B1 KR102331714 B1 KR 102331714B1 KR 1020200032328 A KR1020200032328 A KR 1020200032328A KR 20200032328 A KR20200032328 A KR 20200032328A KR 102331714 B1 KR102331714 B1 KR 102331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camera
ultraviolet light
modul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907A (ko
Inventor
이기종
이제일
김정민
이아연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7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 거치 영역에 손을 거치시 바람을 토출시켜 손을 건조시키는 손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거치된 손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모듈과, 상기 거치된 손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손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 건조기{HAND DRYER}
본 발명은 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의 오염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손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휴게소, 호텔, 백화점, 회사, 식당, 공장 등의 공중 화장실에서 손을 씻은 후 손의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수건이나 종이로 닦거나 열풍 건조기로 건조시키는 방법이 있다. 수건을 사용하는 경우, 많은 사람들의 공동 사용으로 비위생적이며, 종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자원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열풍 건조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열풍 건조 방식은 세면대와는 독립적으로 물이 묻은 손을 빠른 시간내에 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손 건조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열풍 건조 방식은 온풍 또는 냉풍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행문헌 : 한국 등록특허 10-0597107
상기 선행문헌에 기재된 발명은 신속하고 간편한 손 건조를 위해 싸이클론형 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강력한 열강풍으로 손의 물기를 신속하게 건조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아래쪽에 있는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소용돌이 쳐주는 나선형 벽체가 내부에 돌출된 후방 케이싱과, 상기 나선형 벽체를 밀폐 시켜주고 중앙에 공기 통과 구멍을 가진 덮개와, 이 덮개의 구멍과 마주보는 구멍을 가진 원판형 플랜지가 모터하우징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고, 팬과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의 원통형 벽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송풍모터와, 상기 송풍모터 주위에 와류실을 형성해주고 아래쪽에 공기토출용 노즐이 달린 송풍모터커버와, 상기 후방케이싱과 결합되고 상기 노즐이 관통하는 구멍과 접근감지기를 가진 전방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싸이클론형 손건조기에 관한것이다.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손을 신속하게 건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풍 또는 강풍 손건조기의 경우, 건조기 내부에 곰팡이균이나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서 위생상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을 통해 소독 및 살균을 수행하고, 또한 거치된 손의 모습을 직접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생상 우려를 줄일 수 있는 손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 거치 영역에 손을 거치시 바람을 토출시켜 손을 건조시키는 손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거치된 손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모듈과, 상기 거치된 손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손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해 거치된 손의 표면에 포함된 오염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산란광 및 형광을 각각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광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손 표면의 오염물질의 종류, 위치, 범위, 및 오염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은, 분석된 오염물질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은, 거치된 손 및 손의 오염상태를 표시하여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은 UV-B 대역의 파장을 발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손 건조기는, 상기 손 거치 영역에 손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건조기는, 상기 거치된 손에 소독액을 토출하는 소독액 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외선을 통해 소독 및 살균을 수행하고, 거치된 손의 모습을 직접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생상 우려를 줄일 수 있는 손 건조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손 소독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손 소독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손 소독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손 소독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손 소독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100)는, 자외선 발광모듈(120), 카메라(130), 분석모듈(140), 및 표시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100)는 바람을 통해 손을 건조시키는 기존 손 건조기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손 거치부(101)에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구(110)에서 바람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 건조기의 본체 하우징(109)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송풍모터를 포함하는 송풍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는 송풍장치를 통해 상기 송풍구(110)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풍구에서 온풍을 송풍하기 위해서는 히터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강한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구의 형상이나 방향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치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120)은, 상기 손 거치부(101)에 거치된 손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120)은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일 수 있다.
자외선은 가시광선의 파란색이나 보라색 광선보다 더 짧은 파장으로 UV-C, UV-B, UV-A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UV-A의 파장은 장파장으로 320~400nm에 해당한다. 이는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는 범위이며 진피층까지 침투할 수 있어 피부를 검게 만들며 주름형성을 유발하고, 만성적으로 노출시에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파괴로 탄력 섬유의 변성과 모세혈관 확장증을 일으킴으로써 색소침착(기미, 잡티, 주근깨) 및 광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다.
UV-B의 파장은 중파장으로 280~320nm에 해당한다. 이는 대부분이 오존층에 흡수되지만 일부는 지표면까지 도달한다. 피부에 화상을 입혀 벌겋게 만드는 주범이다. 이는 피부세포를 파괴시키고 홍반, 수포, 각화, 일광화상, 피부염과 가려움증을 동반한 썬번(Sun Burn)등을 유발한다. 이 파장대는 프로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 인체에 꼭 필요한 비타민 D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UV-C의 파장은 단파장으로 100~280nm에 해당한다. UV-C 파장영역은 100~280nm로서 유기물의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거나 매우 큰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서 1cm2 당 100μW의 강도를 가진 자외선을 1분간 조사하면 대장균, 디프테리아균, 이질균 등은 99%가 죽게 된다. 특히 처리과정에서 잔류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UV-C 를 이용하고 있으며, 실내 공기중에 부유하는 세균성 물질의 살균이나 수처리현장의 최종 방류수 살균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발광모듈(120)은 UV-B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광모듈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120)을 UV-B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광모듈을 사용함으로써 기본적인 살균 및 소독기능을 수행하면서, 손 건조기에 사용하여 손에 직접 조사되더라도 피부에 해로운 효과보다는 이로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30)는 상기 손 거치부(101)에 거치된 손의 표면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30)는 자외선 발광모듈(120)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해 거치된 손의 표면에 포함된 오염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산란광 및/또는 형광을 검출할 수 있다.
살모넬라균과 같은 세균은 자외광을 흡수하면 특유의 형광신호를 방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외광을 조사한 손의 표면을 카메라로 촬영하되 상기 카메라는 기 지정된 세균의 발광이나 형광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 검출가능한 세균은 카메라의 감도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손을 확대하는 확대 현미경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 확대 현미경을 사용하면, 손의 표면에 붙어있는 먼지나 이물질등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단순히 손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상기 분석모듈(140)은, 상기 카메라(130)에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140)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검출된 손 표면의 오염물질의 종류, 위치, 범위, 및 오염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140)에는 세균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카메라(130)에서 인식된 형광특성에 따라 세균의 종류나 오염의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 인식된 손의 형태 내에서 세균의 분포 영역을 분석하며, 손의 면적 대비 세균의 분포 면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14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석모듈(140)은 분석된 오염물질의 분포 영역이 줄어들면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120)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140)은, 분석된 정보에 따라 손 소독기의 송풍장치, 자외선 발광모듈(120), 소독액 토출장치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150)은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150)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모니터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시모듈(150)은 거치된 손 및 손의 오염상태를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모듈(150)에는 카메라(130)에 의해 촬영된 손의 모양이 표시되고, 상기 분석모듈(140)에 의해 분석된 세균의 종류와 오염의 세기, 세균 분포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모듈(150)은 이처럼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수치적인 데이터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모듈은 단순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손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는, 근접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감지부(160)는 상기 손 거치 영역에 손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상기 근접감지부(160)를 추가하면 사용자가 손 거치대에 손을 거치한 경우와 손 거치대에 손이 거치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할 수 있어, 손의 거치 여부에 따라 손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100)는 소독액 토출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독액 토출구(170)는 거치된 손에 소독액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소독액 토출구(170)로 소독액을 토출하기 위해서, 상기 손 건조기 본체(109) 내부에는 소독액 탱크, 소독액 분사노즐, 소독액 공급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액 공급로는 펌프와 밸브를 구비하여 소독액이 공급되거나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200)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200)는, 손 건조기 본체(209), 송풍구(210), 자외선 발광모듈(220), 카메라(230), 분석모듈(240), 표시모듈(250), 근접 감지부(260) 및 소독액 토출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200)는 하우징 본체(209)의 일부 영역에 손 거치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손 거치부(201)는 하우징 본체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205),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여 형성된 제2 돌출부(206) 및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바닥부(20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손 거치부(201)에 손을 거치하면 상기 제1 돌출부(205)는 손바닥을 향하고, 제2 돌출부(206)는 손등을 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200)는 바람을 통해 손을 건조시키는 기존 손 건조기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손 거치부(201)에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송풍구(210)는 제2 돌출부(206)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송풍구는 제1 돌출부(205)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구(210)에서 바람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 건조기의 본체 하우징(209)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송풍모터를 포함하는 송풍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는 송풍장치를 통해 상기 송풍구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풍구에서 온풍을 송풍하기 위해서는 히터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강한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구의 형상이나 방향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치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220)은, 상기 손 거치부(201)에 거치된 손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220)은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220)은 제1 돌출부(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220)은 제1 돌출부(205)나 제2 돌출부(206)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205) 및 제2 돌출부(206)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은 가시광선의 파란색이나 보라색 광선보다 더 짧은 파장으로 UV-C, UV-B, UV-A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UV-A의 파장은 장파장으로 320~400nm에 해당한다. 이는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는 범위이며 진피층까지 침투할 수 있어 피부를 검게 만들며 주름형성을 유발하고, 만성적으로 노출시에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파괴로 탄력 섬유의 변성과 모세혈관 확장증을 일으킴으로써 색소침착(기미, 잡티, 주근깨) 및 광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다.
UV-B의 파장은 중파장으로 280~320nm에 해당한다. 이는 대부분이 오존층에 흡수되지만 일부는 지표면까지 도달한다. 피부에 화상을 입혀 벌겋게 만드는 주범이다. 이는 피부세포를 파괴시키고 홍반, 수포, 각화, 일광화상, 피부염과 가려움증을 동반한 썬번(Sun Burn)등을 유발한다. 이 파장대는 프로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 인체에 꼭 필요한 비타민 D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UV-C의 파장은 단파장으로 100~280nm에 해당한다. UV-C 파장영역은 100~280nm로서 유기물의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거나 매우 큰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서 1cm2 당 100μW의 강도를 가진 자외선을 1분간 조사하면 대장균, 디프테리아균, 이질균 등은 99%가 죽게 된다. 특히 처리과정에서 잔류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UV-C 를 이용하고 있으며, 실내 공기중에 부유하는 세균성 물질의 살균이나 수처리현장의 최종 방류수 살균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발광모듈(220)은 UV-B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광모듈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220)을 UV-B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광모듈을 사용함으로써 기본적인 살균 및 소독기능을 수행하면서, 손 건조기에 사용하여 손에 직접 조사되더라도 피부에 해로운 효과보다는 이로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30)는 상기 손 거치부(201)에 거치된 손의 표면을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카메라(230)는 제1 돌출부(205)에 형성되어 손바닥을 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카메라(230)는 제1 돌출부(205), 제2 돌출부(206), 혹은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30)는 자외선 발광모듈(220)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해 거치된 손의 표면에 포함된 오염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산란광 및/또는 형광을 검출할 수 있다.
살모넬라균과 같은 세균은 자외광을 흡수하면 특유의 형광신호를 방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외광을 조사한 손의 표면을 카메라로 촬영하되 상기 카메라는 기 지정된 세균의 발광이나 형광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 검출가능한 세균은 카메라의 감도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손을 확대하는 확대 현미경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 확대 현미경을 사용하면, 손의 표면에 붙어있는 먼지나 이물질등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단순히 거치된 손의 표면을 촬영할 수도 있다.
상기 분석모듈(240)은, 상기 카메라(230)에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240)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검출된 손 표면의 오염물질의 종류, 위치, 범위, 및 오염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240)에는 세균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카메라(230)에서 인식된 형광특성에 따라 세균의 종류나 오염의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 인식된 손의 형태 내에서 세균의 분포 영역을 분석하며, 손의 면적 대비 세균의 분포 면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24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소독기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석모듈(240)은 분석된 오염물질의 분포 영역이 줄어들면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120)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240)은, 분석된 정보에 따라 손 소독기의 송풍장치, 자외선 발광모듈(220), 소독액 토출장치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250)은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250)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모니터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시모듈(250)은 상기 제2 돌출부(206)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표시모듈(250)은 손 건조기 본체 하우징(209)과 별도의 기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시모듈(250)은 거치된 손 및 손의 오염상태를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모듈(250)에는 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손의 모양이 표시되고, 상기 분석모듈(240)에 의해 분석된 세균의 종류와 오염의 세기, 세균 분포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모듈(250)은 이처럼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수치적인 데이터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모듈(250)은 단순히 촬영된 손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는, 근접감지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감지부(260)는 상기 손 거치 영역에 손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근접감지부(260)는 제1 돌출부(205)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근접감지부(260)는 제2 돌출부(206)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205) 및 제2 돌출부(206)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감지부(260)를 추가하면 사용자가 손 거치대에 손을 거치한 경우와 손 거치대에 손이 거치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할 수 있어, 손의 거치 여부에 따라 손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200)는 소독액 토출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독액 토출구(270)는 거치된 손에 소독액을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독액 토출구(270)를 제2 돌출부(206)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상기 소독액 토출구(270)는 제1 돌출부(205)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독액 토출구(270)로 소독액을 토출하기 위해서, 상기 손 건조기 본체(209) 내부에는 소독액 탱크, 소독액 분사노즐, 소독액 공급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액 공급로는 펌프와 밸브를 구비하여 소독액이 공급되거나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건조기(300)는, 송풍장치(310), 자외선 발광모듈(320), 카메라(330), 분석모듈(340), 표시모듈(350), 근접 감지센서(360), 소독액 토출장치(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300)에서는, 손 건조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이 분석모듈(340)과 연결되어 있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 건조기의 작동 및 제어 관점에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겠다.
먼저 근접 감지센서(360)에 의해 손이 거치부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분석모듈(340)은 자외선 발광모듈(3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송풍구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송풍장치(3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자외선 발광모듈(320)은 상기 손 거치부에 거치된 손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320)은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발광모듈(320)은 UV-B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광모듈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320)을 UV-B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광모듈을 사용함으로써 기본적인 살균 및 소독기능을 수행하면서, 손 건조기에 사용하여 손에 직접 조사되더라도 피부에 해로운 효과보다는 이로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30)는 상기 손 거치부에 거치된 손의 표면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30)는 자외선 발광모듈(320)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해 거치된 손의 표면에 포함된 오염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산란광 및/또는 형광을 검출할 수 있다. 살모넬라균과 같은 세균은 자외광을 흡수하면 특유의 형광신호를 방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외광을 조사한 손의 표면을 카메라로 촬영하되 상기 카메라는 기 지정된 세균의 발광이나 형광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 검출가능한 세균은 카메라의 감도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손을 확대하는 확대 현미경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 확대 현미경을 사용하면, 손의 표면에 붙어있는 먼지나 이물질등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340)은, 상기 카메라(330)에서 촬영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340)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검출된 손 표면의 오염물질의 종류, 위치, 범위, 및 오염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340)에는 세균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카메라(330)에서 인식된 형광특성에 따라 세균의 종류나 오염의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 인식된 손의 형태 내에서 세균의 분포 영역을 분석하며, 손의 면적 대비 세균의 분포 면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350)은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350)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모니터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시모듈(350)은 거치된 손 및 손의 오염상태를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모듈(350)에는 카메라(330)에 의해 촬영된 손의 모양이 표시되고, 상기 분석모듈(340)에 의해 분석된 세균의 종류와 오염의 세기, 세균 분포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모듈(350)은 이처럼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수치적인 데이터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분석모듈(340)은 손 표면의 오염물질의 분포 영역이 줄어들면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320)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340)은, 분석된 정보에 따라 손 소독기의 송풍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분석모듈(340)은 송풍 및 자외선 발광모듈의 작동을 멈춘 후 소독액 토출구를 통해 손에 소독액을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독액 토출구로 소독액을 토출하기 위해서, 소독액 토출장치(37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손 건조기 본체 내부에는 소독액 탱크, 소독액 분사노즐, 소독액 공급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액 공급로는 펌프와 밸브를 구비하여 소독액이 공급되거나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340)은 상기 펌프와 밸브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400)는, 손 건조기 본체(409), 송풍구(410), 자외선 발광모듈(420), 카메라(430), 분석모듈(440), 표시모듈(450), 근접 감지부(460) 및 소독액 토출구(4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400)는 하우징 본체(409)의 일부 영역에 손 거치부(40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손 거치부(401)는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몸체부(405),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어 형성된 받침부(406) 및 상기 몸체부(405)와 받침부(406)를 연결하는 연결부(40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400)는 바람을 통해 손을 건조시키는 기존 손 건조기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손 거치부(401)에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송풍구(410)는 몸체부(405)의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구(410)에서 바람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 건조기의 본체 하우징(409)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송풍모터를 포함하는 송풍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는 송풍장치를 통해 상기 송풍구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풍구에서 온풍을 송풍하기 위해서는 히터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강한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구의 형상이나 방향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치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420)은, 상기 손 거치부(401)에 거치된 손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420)은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420)은 몸체부(405)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은 가시광선의 파란색이나 보라색 광선보다 더 짧은 파장으로 UV-C, UV-B, UV-A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UV-A의 파장은 장파장으로 320~400nm에 해당한다. 이는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는 범위이며 진피층까지 침투할 수 있어 피부를 검게 만들며 주름형성을 유발하고, 만성적으로 노출시에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파괴로 탄력 섬유의 변성과 모세혈관 확장증을 일으킴으로써 색소침착(기미, 잡티, 주근깨) 및 광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다.
UV-B의 파장은 중파장으로 280~320nm에 해당한다. 이는 대부분이 오존층에 흡수되지만 일부는 지표면까지 도달한다. 피부에 화상을 입혀 벌겋게 만드는 주범이다. 이는 피부세포를 파괴시키고 홍반, 수포, 각화, 일광화상, 피부염과 가려움증을 동반한 썬번(Sun Burn)등을 유발한다. 이 파장대는 프로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 인체에 꼭 필요한 비타민 D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UV-C의 파장은 단파장으로 100~280nm에 해당한다. UV-C 파장영역은 100~280nm로서 유기물의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거나 매우 큰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서 1cm2 당 100μW의 강도를 가진 자외선을 1분간 조사하면 대장균, 디프테리아균, 이질균 등은 99%가 죽게 된다. 특히 처리과정에서 잔류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UV-C 를 이용하고 있으며, 실내 공기중에 부유하는 세균성 물질의 살균이나 수처리현장의 최종 방류수 살균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발광모듈(420)은 UV-B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광모듈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420)을 UV-B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광모듈을 사용함으로써 기본적인 살균 및 소독기능을 수행하면서, 손 건조기에 사용하여 손에 직접 조사되더라도 피부에 해로운 효과보다는 이로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30)는 상기 손 거치부(401)에 거치된 손의 표면을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카메라(430)는 몸체부(405)에 형성되어 손바닥이나 손등을 촬용할수 있다. 상기 카메라(430)는 자외선 발광모듈(420)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해 거치된 손의 표면에 포함된 오염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산란광 및/또는 형광을 검출할 수 있다.
살모넬라균과 같은 세균은 자외광을 흡수하면 특유의 형광신호를 방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외광을 조사한 손의 표면을 카메라로 촬영하되 상기 카메라는 기 지정된 세균의 발광이나 형광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 검출가능한 세균은 카메라의 감도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손을 확대하는 확대 현미경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 확대 현미경을 사용하면, 손의 표면에 붙어있는 먼지나 이물질등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440)은, 상기 카메라(430)에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440)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검출된 손 표면의 오염물질의 종류, 위치, 범위, 및 오염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440)에는 세균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카메라(430)에서 인식된 형광특성에 따라 세균의 종류나 오염의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 인식된 손의 형태 내에서 세균의 분포 영역을 분석하며, 손의 면적 대비 세균의 분포 면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44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소독기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석모듈(440)은 분석된 오염물질의 분포 영역이 줄어들면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420)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440)은, 분석된 정보에 따라 손 소독기의 송풍, 자외선 발광모듈(420), 소독액 토출구(470)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450)은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450)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모니터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시모듈(450)은 상기 몸체부(405)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표시모듈(450)은 손 건조기 본체 하우징(409)과 별도의 기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시모듈(450)은 거치된 손 및 손의 오염상태를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모듈(450)에는 카메라(430)에 의해 촬영된 손의 모양이 표시되고, 상기 분석모듈(440)에 의해 분석된 세균의 종류와 오염의 세기, 세균 분포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모듈(450)은 이처럼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수치적인 데이터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는, 근접감지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감지부(460)는 상기 손 거치 영역에 손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근접감지부(460)는 몸체부(405)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근접감지부(460)는 받침부(406)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감지부(460)를 추가하면 사용자가 손 거치대에 손을 거치한 경우와 손 거치대에 손이 거치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할 수 있어, 손의 거치 여부에 따라 손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손 건조기(400)는 소독액 토출구(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독액 토출구(470)는 거치된 손에 소독액을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독액 토출구(470)를 몸체부(405)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독액 토출구(470)로 소독액을 토출하기 위해서, 상기 손 건조기 본체(409) 내부에는 소독액 탱크, 소독액 분사노즐, 소독액 공급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액 공급로는 펌프와 밸브를 구비하여 소독액이 공급되거나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자외선 발광모듈, 카메라, 표시모듈 등의 배치위치 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송풍구 120 : 자외선 발광모듈
130 : 카메라 140 : 분석모듈
150 : 표시모듈 160 : 근접감지 모듈
170 : 소독액 토출구

Claims (8)

  1. 손 거치 영역에 손을 거치시 바람을 토출시켜 손을 건조시키는 손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거치된 손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모듈;
    상기 거치된 손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해 거치된 손의 표면에 포함된 오염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산란광 및 형광을 각각 검출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검출된 손 표면의 오염물질의 범위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분석된 오염물질의 범위 변화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거치된 손 및 손의 오염상태를 표시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모듈은 UV-B 대역의 파장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 거치 영역에 손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된 손에 소독액을 토출하는 소독액 토출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기.

KR1020200032328A 2020-03-17 2020-03-17 손 건조기 KR102331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28A KR102331714B1 (ko) 2020-03-17 2020-03-17 손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28A KR102331714B1 (ko) 2020-03-17 2020-03-17 손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907A KR20210115907A (ko) 2021-09-27
KR102331714B1 true KR102331714B1 (ko) 2021-11-26

Family

ID=7792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328A KR102331714B1 (ko) 2020-03-17 2020-03-17 손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7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89Y1 (ko) * 2009-03-08 2011-02-16 진경 김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열풍 건조 및 소독 겸용 손소독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511A (ko) * 2008-01-09 2009-07-13 (주)이에스비 잔류세제의 형광물질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물 자동 살균건조기 및 제어방법
KR102061319B1 (ko) * 2013-10-31 2019-12-3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손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89Y1 (ko) * 2009-03-08 2011-02-16 진경 김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열풍 건조 및 소독 겸용 손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907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4026A1 (en) A portable germicidal ultraviolet lamp
KR102105243B1 (ko) 세탁 건조기 용도의 자외선 살균 장치
CN111330035A (zh) Uv消毒设备及其应用
US20180021465A1 (en) Ultraviolet-Based Bathroom Surface Sanitization
KR20200144248A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KR20100009091U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열풍 건조 및 소독 겸용 손소독기
KR20180072890A (ko) 오픈형 신발 살균기
KR101788769B1 (ko) 비데장치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KR102331714B1 (ko) 손 건조기
KR20090076511A (ko) 잔류세제의 형광물질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물 자동 살균건조기 및 제어방법
KR20120025841A (ko) 손 건조기
KR20200041758A (ko)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83005B1 (ko) 공기 순환 기능을 구비한 자외선 살균 장치
KR20220040787A (ko) 차량 내부의 물건 소독시스템
KR102204144B1 (ko) 양손과 휴대폰을 동시에 자동으로 소독·건조하는 장치
NL1043857B1 (en) Disinfection device
CN213884338U (zh) 一种智能手持式紫外线消毒灯
KR20220118809A (ko)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KR20220019121A (ko) Uvc 살균 소독장치
KR100643751B1 (ko) 광고판을 겸한 엘리베이터용 살균기
KR20110048761A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WO2022137575A1 (ja) 手乾燥装置
CN117715570A (zh) 自清洁干手器
KR102388649B1 (ko) 자동 손 세척 및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