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390B1 -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390B1
KR102331390B1 KR1020210054345A KR20210054345A KR102331390B1 KR 102331390 B1 KR102331390 B1 KR 102331390B1 KR 1020210054345 A KR1020210054345 A KR 1020210054345A KR 20210054345 A KR20210054345 A KR 20210054345A KR 102331390 B1 KR102331390 B1 KR 10233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cable
tension
unit
scre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재성전력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성전력 (주) filed Critical 재성전력 (주)
Priority to KR102021005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은 전신주에서 기후 변화, 침하 현상의 원인으로 배전 케이블의 장력 변화가 발생하면, 탄성 스프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과, 장력 변화량에 따라 배전 케이블이 탑재된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력이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어 배전 케이블이나 전신주 주변장치가 파손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System for Binding Distribution Cable Using Electric Poles}
본 발명은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에서 기후 변화, 침하 현상의 원인으로 배전 케이블의 장력 변화가 발생하면, 탄성 스프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과, 장력 변화량에 따라 배전 케이블이 탑재된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력이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 및 송배전 철탑의 상부 측에 완철과 같은 지지부재를 통해 라인포스트 애자(LP Insulator)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전 케이블을 절연고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된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 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로 배전된다.
그리고 배전은 전신주에 지지되는 배전 케이블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진다.
배전 케이블을 이용하는 배전 구조 및 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반 수용가를 대상으로 배전 케이블에 의한 전력 공급은 전신주에 애자를 매개로 고정된 배전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고, 각 배전 케이블은 점퍼선으로 연결된다.
즉, 전신주에 연결하고자 하는 가공배전선은 전신주에 고정된 완금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애자를 통해 고정하고, 이와 같이 고정된 가공배전선은 점퍼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바람, 눈 등의 기후적인 영향, 기온 변화에 따른 배전 케이블 자체의 팽창 및 수축 또는 지반 침하 현상 등에 의해서 전신주를 중심으로 배전 케이블에 장력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력 변화가 심할 경우, 배전 케이블 및 전신주의 애자 간 고정 부위 또는 배전 케이블 및 점퍼선 간의 접속 부위에 이상이 발생되면서 수용가로의 전력 공급에 차질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기후 변화가 심해지면서 폭우 현상이 잦고, 이에 더하여 지하철 노선 확대 등에 따른 잦은 터널 공사 등으로 인해 도심지의 지반을 중심으로 그 침하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전신주에는 기후 변화, 침하 현상 등의 원인으로 배전 케이블의 처짐에 마땅한 대응책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심지의 전신주를 주요 대상으로 그 주변의 지반 침하 시 해당 배전 케이블의 장력이 순간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71473호(등록일: 2015년 11월 18일), 발명의 명칭: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하는 전신주용 결합장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신주에서 기후 변화, 침하 현상의 원인으로 배전 케이블의 장력 변화가 발생하면, 탄성 스프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과, 장력 변화량에 따라 배전 케이블이 탑재된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력이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100)은,
전력 공급을 위한 철탑이나 전신주(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애자나 완금을 설치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배전 케이블(101)이 통과되고, 안착되는 각각의 케이블 안착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케이블 안착부재(120)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원통관(121)과, 원통관(121)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지지대(110)의 슬라이드홈(111)에 삽입되고, 단면이 '⊥' 형태의 슬라이드부재(123)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관(121)은 상기 배전 케이블(101)이 통과하는 단면이 원형인 내관(122)을 형성하고, 상기 내관(122)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의 둘레를 따라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탄성 복원력으로 제자리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장력 조절부(130), 제2 장력 조절부(140), 제3 장력 조절부(150), 제4 장력 조절부(160)를 각각 결합하며,
상기 전신주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110)의 일단에 결합하여 지지대(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장치(17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170)는 수직으로 세워진 일정한 길이의 스크류(172)와, 상기 스크류(172)의 하부에 제1 베벨기어(174)를 결합하고, 상기 제1 베벨기어(174)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175)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상기 제2 베벨기어(175)를 구동모터(176)의 회전축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전신주 일측을 통과하는 배전 케이블을 장력 변화에 대응하도록 수평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력이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어 배전 케이블이나 전신주 주변장치가 파손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케이블 안착부재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안착부재와 승강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신주에는 기후 변화, 침하 현상 등의 원인으로 배전 케이블의 처짐에 마땅한 대응책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심지의 전신주를 주요 대상으로 그 주변의 지반 침하 시 해당 배전 케이블의 장력이 순간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신주 일측을 통과하는 배전 케이블을 장력 변화에 대응하도록 수평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력이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케이블 안착부재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안착부재와 승강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100)은 전력 공급을 위한 철탑이나 전신주(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애자나 완금을 설치하는 지지대(110)와, 지지대(1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배전 케이블(101)이 통과되고, 안착되는 각각의 케이블 안착부재(120)를 포함하고, 제어모듈(180),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지지대(110)는 각각의 케이블 안착부재(120)를 삽입하도록 상부면에 슬라이드홈(11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다.
각각의 케이블 안착부재(120)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원통관(121)과, 원통관(121)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지지대(110)의 슬라이드홈(111)에 삽입되고, 단면이 '⊥' 형태의 슬라이드부재(123)를 포함한다.
원통관(121)은 배전 케이블(101)이 통과하는 단면이 원형인 내관(122)을 형성하고, 내관(122)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의 둘레를 따라 제1 장력 조절부(130), 제2 장력 조절부(140), 제3 장력 조절부(150), 제4 장력 조절부(160)를 각각 결합한다.
내관(122)은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이 크게 변하여 상하좌우로 흔들리는 경우, 제1 장력 조절부(130), 제2 장력 조절부(140), 제3 장력 조절부(150), 제4 장력 조절부(16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탄성 복원력으로 제자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장력 조절부(130)는 내관(122)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곡선 형태의 제1 접촉지지대(131)를 결합하고, 제1 접촉지지대(131)의 상부면에 제1 스프링부재(132)를 결합하며, 제1 스프링부재(132)의 상부에서 원통관(121)의 내측면의 사이에 제1 스프링지지대(133)를 결합한다.
제2 장력 조절부(140)는 내관(122)의 하면 테두리를 따라 곡선 형태의 제2 접촉지지대(141)를 결합하고, 제2 접촉지지대(141)의 하부면에 제2 스프링부재(142)를 결합하며, 제2 스프링부재(142)의 하부에서 원통관(121)의 내측면의 사이에 제2 스프링지지대(143)를 결합한다.
제3 장력 조절부(150)는 내관(122)의 좌측면 테두리를 따라 곡선 형태의 제3 접촉지지대(151)를 결합하고, 제3 접촉지지대(151)의 좌측면에 제3 스프링부재(152)를 결합하며, 제3 스프링부재(152)의 좌측면에서 원통관(121)의 내측면의 사이에 제3 스프링지지대(153)를 결합한다.
제4 장력 조절부(160)는 내관(122)의 우측면 테두리를 따라 곡선 형태의 제4 접촉지지대(161)를 결합하고, 제4 접촉지지대(161)의 우측면에 제4 스프링부재(162)를 결합하며, 제4 스프링부재(162)의 좌측면에서 원통관(121)의 내측면의 사이에 제4 스프링지지대(163)를 결합한다.
슬라이드부재(123)는 원통관(12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수직바(124)와, 수직바(124)의 하부 끝단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하고, 슬라이드홈(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드홈(111)을 이동하는 수평바(1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3개의 케이블 안착부재(120)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개수로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케이블 안착부재(120)는 서로 원통관(121)의 연결하는 경우, 원통관(121)과 원통관(121)의 사이를 일정한 탄성이 있는 탄성 스프링(126)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결합한다.
케이블 안착부재(120)는 배전 케이블(101) 자체의 팽창 및 수축 또는 지반 침하 현상 등에 의해서 배전 케이블(101)에 장력 변화가 발생하면, 원통관(121)의 사이에 결합된 탄성 스프링(126)과 슬라이드부재(123)가 슬라이드홈(111)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장력이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신주(10)의 일측에는 지지대(110)의 일단에 결합하여 지지대(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 장치(170)를 설치한다.
승강 장치(170)는 전신주(10)의 일측(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고, 전방부와 후방부가 개방되어 사각 형태의 사각틀인 프레임(171)을 형성한다.
프레임(171)은 바닥면에서 천장면까지 스크류(172)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스크류(172)를 기준으로 양쪽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일정한 길이의 제1 가이드봉(177)과 제2 가이드봉(178)이 바닥면에서 천장면까지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된다.
승강 장치(170)는 스크류(172), 이동블록부(173), 제1 베벨기어(174), 제2 베벨기어(175) 및 구동모터(176)를 포함한다.
프레임(171)은 바닥면에 제1 베벨기어(174)를 형성하고, 제1 베벨기어(174)의 상부에 일정한 길이의 스크류(172)를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고, 제1 베벨기어(174)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175)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제2 베벨기어(175)를 구동모터(176)의 회전축에 결합한다.
스크류(172)는 직선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너트부(미도시)를 구비한 일정 형상의 이동블록부(173)를 관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스크류(172)는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홈이 전조 또는 연삭 방식으로 가공된다.
스크류(172)는 이동블록부(173)의 너트부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너트부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 부분을 스크류(172)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내주면에 스크류(17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스크류(172)는 너트부의 관통공에 끼워져서 나사홈과 나사산이 나사 결합을 한다.
제어모듈(180)은 구동모터(176)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172)가 회전을 하게 되면, 너트부의 회전으로 이동블록부(173)가 스크류(172)를 따라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복수의 배전 케이블(101) 중 하나의 배전 케이블(101)은 둘레면에 진동판(103)을 결합하는 고정부재(102)를 결합하고, 진동판(103)의 상부면 일측에 압전소자(104)를 형성한다.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 변화에 따라 진동판(103)의 고유 진동수가 변화하게 되고, 변화된 고유 진동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 응답을 압전소자(104)가 측정하여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 변화를 추정한다.
제어모듈(180)은 압전소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182)는 압전소자(104)로부터 진동판(103)의 고유 진동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값을 수신하여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 변화를 산출한다.
프레임(171)의 일측, 내측, 외측 중 하나에는 제어모듈(180)을 탑재하고 있다.
제어모듈(180)은 신경망 처리부(190), GPS 모듈(181), 제어부(182), 저장부(183) 및 무선 통신부(184)를 포함한다.
제어부(182)는 압전소자(104)로부터 수신한 임피던스값을 저장부(183)와 연동하여 임피던스값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모터(176)로 전송한다.
저장부(183)는 임피던스값에 기설정된 구동모터(176)의 구동 신호(회전수)에 매칭되어 있다.
구동모터(176)는 제어부(182)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베벨기어(175)와 이에 맞물려 있는 제1 베벨기어(174)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1 베벨기어(174)에 결합된 스크류(172)를 회전한다.
지지대(110)에 결합된 이동블록부(173)는 스크류(172)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구동모터(176)의 회전수는 이동블록부(173)의 이동 거리가 정해여 있다.
바람, 눈 등의 기후적인 영향, 기온 변화에 따른 배전 케이블(101)에 장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2)는 장력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임피던스값을 이용하여 임피던스값에 해당하는 구동모터(176)의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82)는 생성한 구동모터(176)의 구동 신호를 구동모터(176)로 전송하면, 이동블록부(173)가 스크류(172)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장력 변화량에 따라 지지대(110)에 결합된 이동블록부(17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이 순간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신경망 처리부(190)는 임피던스값 저장부(191), 딥러닝 학습부(192), 판별부(193) 및 학습부(194)를 포함한다.
제어부(182)는 딥러닝 학습부(192), 판별부(193) 및 학습부(19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임피던스값 저장부(191)는 제어부(182)로부터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 변화를 나타내는 임피던스값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신경망 처리부(190)는 임피던스값에 대응하는 장력 레벨이 설정되고, 입력된 임피던스값에 대응하는 장력 레벨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임피던스값 저장부(191)은 복수의 임피던스값을 딥러닝 기법으로 학습하여 각각의 임피던스값에 따른 장력 레벨을 데이터 값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딥러닝 학습부(192)는 임피던스값 저장부(191)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을 통해 학습시킬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92)는 학습 데이터로부터 특징값을 검출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값과 장력 레벨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신경망에 적용되는 연결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92)는 신경망의 출력층에서 생성된 출력값과 학습 데이터에 대한 원하는 기대 값을 비교하여 오류를 계산하고, 오류를 줄이는 방향으로 신경망의 인식 모델에 적용되는 연결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92)는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신경망이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크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은 임피던스값과 이에 대응하는 장력 레벨을 인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92)는 입력층, 히든층 및 출력층으로 구성되어 임피던스값을 입력층에 입력시키고, 입력된 임피던스값과 이에 대응하는 장력 레벨을 출력층으로 출력되도록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92)는 임피던스값 저장부(191)로부터 수신한 학습 데이터인 임피던스값에서 특징값을 검출하고, 특징값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딥러닝 학습부(192)는 임피던스값과 장력 레벨로부터 특징 벡터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징 벡터들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판별부(193)는 딥러닝 학습부(192)로부터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어부(182)로부터 임피던스값을 수신하고,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수신한 임피던스값과 비교하여 장력 레벨을 판별한다.
판별부(193)는 수신한 임피던스값을 양자화하여 특징값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값들을 딥러닝 학습부(192)에서 학습된 학습 데이터의 특징 벡터들과 비교하여 임피던스값과 이에 대응하는 장력 레벨을 제어부(182)로 전송한다.
학습부(194)는 제어부(182)의 제어에 따라 임피던스값이 판별되지 않는 경우, 새로운 임피던스값으로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압전소자(104)로부터 배전 케이블(101)의 임피던스값을 수신하여 신경망 처리부(190)로 전송하고, 신경망 처리부(190)로부터 출력값으로 장력 레벨을 수신한다.
제어부(182)는 저장부(183)에 연동하여 장력 레벨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모터(176)로 전송한다.
저장부(183)는 장력 레벨에 기설정된 구동모터(176)의 구동 신호(회전수)에 매칭되어 있다.
구동모터(176)는 제어부(182)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베벨기어(175)와 이에 맞물려 있는 제1 베벨기어(174)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1 베벨기어(174)에 결합된 스크류(172)를 회전한다.
지지대(110)에 결합된 이동블록부(173)는 스크류(172)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구동모터(176)의 회전수는 이동블록부(173)의 이동 거리가 정해여 있다.
바람, 눈 등의 기후적인 영향, 기온 변화에 따른 배전 케이블(101)에 장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2)는 장력 레벨에 해당하는 구동모터(176)의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82)는 생성한 구동모터(176)의 구동 신호를 구동모터(176)로 전송하면, 이동블록부(173)가 스크류(172)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장력 변화량에 따라 지지대(110)에 결합된 이동블록부(17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이 순간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GPS 모듈(181)은 인공위성(미도시)으로부터 전신주(10)의 현재 위치 좌표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계산한다.
제어부(182)는 임피던스값과 장력 레벨,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84)를 통해 통신망(102)을 거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통신망(102)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고,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제어부(182)로부터 수신된 경고 메시지를 분석하여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 변화량에 따라 해당 케이블 안착부재(120), 전신주(10), 프레임(171)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경망 처리부(190)는 제어모듈(180)의 구성요소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관리 서버(20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전신주 100: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
101: 배전 케이블 102: 통신망
110: 지지대 111: 슬라이드홈
120: 케이블 안착부재 121: 원통관
122: 내관 123: 슬라이드부재
124: 수직바 125: 수평바
126: 탄성 스프링 130: 제1 장력 조절부
131: 제1 접촉지지대 132: 제1 스프링부재
133: 제1 스프링지지대 140: 제2 장력 조절부
141: 제2 접촉지지대 142: 제2 스프링부재
143: 제2 스프링지지대 150: 제3 장력 조절부
151: 제3 접촉지지대 152: 제3 스프링부재
153: 제3 스프링지지대 160: 제4 장력 조절부
161: 제4 접촉지지대 162: 제4 스프링부재
163: 제4 스프링지지대 170: 승강 장치
171: 프레임 172: 스크류
173: 이동블록부 174: 제1 베벨기어
175: 제2 베벨기어 176: 구동모터
180: 제어모듈 181: GPS 모듈
182: 제어부 183: 저장부
184: 무선 통신부 190: 신경망 처리부
200: 관리 서버

Claims (1)

  1. 전력 공급을 위한 철탑이나 전신주(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애자나 완금을 설치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배전 케이블(101)이 통과되고, 안착되는 각각의 케이블 안착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케이블 안착부재(120)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원통관(121)과, 원통관(121)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지지대(110)의 슬라이드홈(111)에 삽입되고, 단면이 '⊥' 형태의 슬라이드부재(123)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관(121)은 상기 배전 케이블(101)이 통과하는 단면이 원형인 내관(122)을 형성하고, 상기 내관(122)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의 둘레를 따라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탄성 복원력으로 제자리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장력 조절부(130), 제2 장력 조절부(140), 제3 장력 조절부(150), 제4 장력 조절부(160)를 각각 결합하며,
    상기 전신주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110)의 일단에 결합하여 지지대(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장치(17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170)는 수직으로 세워진 일정한 길이의 스크류(172)와, 상기 스크류(172)의 하부에 제1 베벨기어(174)를 결합하고, 상기 제1 베벨기어(174)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175)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상기 제2 베벨기어(175)를 구동모터(176)의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172)는 직선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너트부를 구비한 일정 형상의 이동블록부(173)를 관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76)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172)가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너트부의 회전으로 상기 이동블록부(173)가 상기 스크류(172)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제어모듈(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전 케이블(101)은 둘레면에 진동판(103)을 결합하는 고정부재(102)를 결합하고, 상기 진동판(103)의 상부면 일측에 압전소자(104)를 형성하고, 상기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 변화에 따라 진동판(103)의 고유 진동수가 변화하게 되고, 변화된 고유 진동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 응답을 상기 압전소자(104)가 측정하여 상기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 변화를 추정하고,
    상기 제어모듈(180)은 상기 압전소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소자(104)로부터 상기 진동판(103)의 고유 진동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전 케이블(101)의 장력 변화를 산출하는 제어부(18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2)는 상기 압전소자(104)로부터 수신한 임피던스값을 저장부(183)와 연동하여 임피던스값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모터(176)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부(183)는 임피던스값에 기설정된 상기 구동모터(176)의 구동 신호(회전수)에 매칭되어 있는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
KR1020210054345A 2021-04-27 2021-04-27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 KR10233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345A KR102331390B1 (ko) 2021-04-27 2021-04-27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345A KR102331390B1 (ko) 2021-04-27 2021-04-27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390B1 true KR102331390B1 (ko) 2021-12-01

Family

ID=7889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345A KR102331390B1 (ko) 2021-04-27 2021-04-27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139B1 (ko) * 2023-07-19 2024-03-11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91B1 (ko) * 2014-03-12 2014-09-12 김순자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571473B1 (ko) 2015-04-14 2015-12-04 김규현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하는 전신주용 결합장치
KR101995483B1 (ko) * 2019-03-11 2019-07-02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 전선 보호관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91B1 (ko) * 2014-03-12 2014-09-12 김순자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571473B1 (ko) 2015-04-14 2015-12-04 김규현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하는 전신주용 결합장치
KR101995483B1 (ko) * 2019-03-11 2019-07-02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 전선 보호관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139B1 (ko) * 2023-07-19 2024-03-11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2992B (zh) 基于精细地形数据的输电线路绕击防雷性能评估方法
US10850840B2 (en) Drone and rover preplacement for remote autonomous inspection of utility system components
CN102118021B (zh) 一种基于输电线路三维全景模型的故障处理方法及系统
KR101529678B1 (ko) 태양광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복합식 태양광 추미 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광 추미 장치 및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시스템
KR102331390B1 (ko) 전신주를 이용한 배전 케이블 고정 시스템
KR102110339B1 (ko)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송전선로 3차원 선간이격 검토방법
KR102160999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CN108320052A (zh) 气象灾害下的输电线路状态预测方法及装置
CN110929391B (zh) 一种台风灾害下配电网故障率计算方法及系统
CN110533265A (zh) 一种配电网雷击预警方法以及配电网雷击预警装置
CN206452083U (zh) 跨高差敷设电缆的电缆沟
CN110718879B (zh) 一种高压架空线及其下垂自动修正设备
CN104091032A (zh) 重冰区同塔双回路输电线路设计方法
CN109408928A (zh) 一种v型绝缘子悬挂方式的优化方法
KR102070722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Black et al. Equipment and methodology fo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dynamic line ratings on overhead transmission circuits
CN116108598A (zh) 输电线路设计评估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386410B1 (ko)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배전용 케이블 낙뢰방지 안정화 장치
CN109508808A (zh) 一种基于pso-bp神经网络的弧垂预测方法
CN211703396U (zh) 适用于架空输电线路的驱鸟装置
CN105824982A (zh) 特高压输电线路进站档三维电气距离校验方法
Hatibovic Advanced Application of the Catenary and the Parabola for Mathematical Modelling of the Conductor and Sag Curves in the Span of an Overhead Line
CN205123211U (zh) 一种输电走廊用防雷多功能杆塔
CN117629079B (zh) 基于数据分析及标定物的输电导线风偏监测方法及装置
KR102517631B1 (ko) 변압기에 결선된 배전선로의 전신주 낙뢰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