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079B1 -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079B1
KR102331079B1 KR1020177002024A KR20177002024A KR102331079B1 KR 102331079 B1 KR102331079 B1 KR 102331079B1 KR 1020177002024 A KR1020177002024 A KR 1020177002024A KR 20177002024 A KR20177002024 A KR 20177002024A KR 102331079 B1 KR102331079 B1 KR 10233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bf
information
bbfs
signal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504A (ko
Inventor
황성희
양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2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65/1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6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이어 2(layer 2: L2) 서비스에 관련된 L2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베이스밴드 프레임(baseband frame: BBF)들 중 분할되어 상기 프레임과 다른 프레임에 각각 포함된 BBF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다른 프레임에 각각 포함된 BBF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BBF들 중 첫 번째 BBF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패킷(baseband packet: BBP)이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여 전송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S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브로드밴드 망을 통한 통신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통한 통신이 융합된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기반 방송 통신 시스템이 설계 및 구축되고 있다.
근래의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 품질의 컨텐트(content) 소비 성향이 증가하고 고해상도 (High Definition: HD) 및 초 고해상도(Ultra High Definition: UHD) 컨텐트들 등과 같은 고용량 컨텐트들이 증가됨에 따라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혼잡(data congestion)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방송 통신 망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전송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정보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이어 2(layer 2: L2) 서비스에 관련된 L2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프레임을 구성하는 베이스밴드 프레임(baseband frame: BBF)들 중 분할되어 상기 프레임과 다른 프레임에 각각 포함된 BBF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다른 프레임에 각각 포함된 BBF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BBF들 중 첫 번째 BBF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패킷(baseband packet: BBP)이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과정과, 디코딩된 프레임을 구성하는 베이스밴드 프레임(baseband frame: BBF)들 중 첫 번째 BBF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패킷(baseband packet: BBP)으로부터 레이어 2(layer 2: L2) 서비스에 관련된 L2 시그널링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IP 패킷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고, 압축 해제된 IP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을 획득하는 과정과, MMTP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획득된 MPU와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레이어 2(layer 2: L2) 서비스에 관련된 L2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베이스밴드 프레임(baseband frame: BBF)들 중 분할되어 상기 프레임과 다른 프레임에 각각 포함된 BBF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제어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다른 프레임에 각각 포함된 BBF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BBF들 중 첫 번째 BBF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패킷(baseband packet: BBP)이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프레임을 구성하는 베이스밴드 프레임(baseband frame: BBF)들 중 첫 번째 BBF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패킷(baseband packet: BBP)으로부터 레이어 2(layer 2: L2) 서비스에 관련된 L2 시그널링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IP 패킷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고, 압축 해제된 IP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을 획득하고, MMTP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획득된 MPU와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게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게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단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과 그 파생어들은 한정 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것을 의미하고; 상기 단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은 L2에서의 미디어 데이터 재생을 위해 필요한 L2 시그널링 정보를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채널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RF 채널에서 전송되는 L2(layer 2) 시그널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절차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절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L2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PHY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L2 시그널링 정보의 사용에 따른 채널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들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해 해석 가능한 의미의 예를 제시한다. 하지만, 아래 제시하는 해석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방송 송신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송신 장치, 서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또는 클라이언트)는 방송 송신 장치와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TV(television), 단말(user equipmen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장비(mobile equipment: ME), 디바이스(device), 터미널(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RF 채널에서 전송되는 L2(layer 2) 시그널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1b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가 RF 브로드캐스팅에 대한 초기 스캔(initial scan)을 완료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즉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 프로그램 안내(electronic program guide: EPG)를 이미 알고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TV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TV 채널에 매핑되는 RF 채널과 PLP(physical layer pipe) 번호를 이미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TV 채널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대응하며, 예를 들어 TV 채널 i 의 서비스는 RF 채널 k의 PLP 번호 j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MMT(MPEG media transport) 표준의 패키지(package)에 대응하거나, 레이블(label)에 대응하거나, 또는 하나의 TV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TV 채널은 하나의 PLP 또는 BBP(baseband packet)의 서브 스트림(sub-stream)에 대응할 수 있다. ATSC 3.0 시스템에서 RF 브로드캐스팅되는 하나의 RF 채널은 일례로 6MHz의 대역을 가질 수 있으며, 다수의 논리 채널(즉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RF 채널에 포함되는 다수의 PLP들 각각에서 L2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하나의 RF 채널(100)은 두 개의 PLP, 즉 PLP #1(110), PLP #2(120)를 포함한다. 상기 PLP들(310, 320)은 예를 들어 NBC(National Broadcasting Company), CBS(Columbia Broadcasting System), ABC(American Broadcasting Company)와 같은 TV 방송사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PLP #1(110), PLP #2(12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서비스는 하나의 TV 채널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PLP #1(110), PLP #2(120) 각각은 하나의 L2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즉 PLP #1(110)은 서비스 #0(112) 및 서비스 #1(114)과 L2 시그널링 정보(116)을 전송하고, PLP #2(120)는 서비스 #3(122)과 L2 시그널링 정보(124)을 전송한다. 여기서 L2 서비스에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의미한다.
도 1b는 RF 채널에 포함되는 다수의 PLP들 모두에 대한 L2 시그널링 정보가 임의의 하나의 PLP에서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하나의 RF 채널(130)은 세 개의 PLP, 즉 PLP #0(140), PLP #1(150), PLP #2(160)를 포함한다. 상기 PLP #0(140), PLP #1(150), PLP #2(160) 중 하나의 PLP는 RF 채널(130)에서 전송되는 모든 서비스들을 위한 L2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PLP들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즉 PLP #0(140)은 RF 채널(130)에서 전송되는 모든 서비스들을 위한 L2 시그널링 정보(142)를 전송하고, PLP #1(150)은 서비스 #0(152)과 서비스 #1(154)을 전송하고, PLP #2(160)은 서비스 #2(162)를 전송한다.
한편, 도 1a 및 1b에 나타낸 L2 시그널링 정보(116, 124, 142)는 효율적인 저장 및 전송을 위해 테이블 구조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테이블 구조를 사용하여 나타낸 L2 시그널링 정보를 L2 시그널링 테이블이라 명명한다.
L2 시그널링 테이블은 가상 채널 맵 테이블(virtual channel map table: VMT)과 이벤트 맵 테이블(event map table: EMT)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 채널 맵 테이블과 상기 이벤트 맵 테이블은 방송 수신 장치가 이용 가능한 이벤트들을 탐색하고 선택된 이벤트를 소비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최소 집합을 제공한다.
또한 L2 시그널링 테이블은 미디어 동기 테이블(media sync table: MST)을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동기 테이블은 고속 채널 재핑(zapping)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1) 가상 채널 맵 테이블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은 구성요소인 가상 채널들의 특성들과 PLP의 체계(organiz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주어진 PLP에 대한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은 상기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의 table_id와 plp_id의 조합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된다.
하기 표 1은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07912326-pct00001
표 1의 가상 채널 맵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개의 필드들 각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table_id: 8 비트 무부호(unsigned)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표 1의 테이블이 가상 채널 맵 테이블임을 나타낸다. 일례로 table_id 필드가 0xXX로 세팅되면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의 콘텐츠는 현재의 PLP의 체계를 정의하고, 0XYY로 세팅되면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의 콘텐츠는 같은 RF 채널이나 다른 RF 채널들에 속하는 나머지 PLP들의 체계를 정의한다.
- version_number: 5 비트 필드로써 전체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나타낸다. 상기 버전 넘버는 가상 채널 맵 테이블에 포함된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1 mod 32 만큼씩 증가되어야 한다.
- table_length: 12 비트 필드로써 table_length 필드에 뒤이어 시작되는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의 바이트 수를 특정한다.
- vmt_protocol_version_number: 5 비트 무부호 필드로써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의 구조 버전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은 일례로서 나타낸 것이며,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은 표 1에 나타낸 구조와 다른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 1에서는 vmt_protocol_version_number에 대한 값이 0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표 1에 나타낸 가상 채널 맵 테이블과 다른 구조로 구현된 가상 채널 맵 테이블에서는 vmt_protocol_version_number에 대한 값이 0 아닌 값들로 설정될 수 있다.
- plp_id: 8 비트의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며 PLP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동일한 물리적 채널 내에서는 어떤 plp_id도 동일하지 않을 것이다.
- other_plp_info_indicator: 3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다른 PLP들에 대한 L2 시그널링 테이블들도 현재의 PLP를 통해 운반됨을 나타낸다.
표 2는 other_plp_info_indicator 필드의 의미를 규정한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07912326-pct00002
- num_of_virtual_channel: 8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현재의 PLP에 포함된 가상 채널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 virtual_channel_id: 16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범위 안에서 가상 채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 virtual_channel_name_length: 3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broadcaster_name 필드 내 바이트 쌍들(pairs)의 개수를 나타낸다. virtual_channel_name_length 필드의 값은 virtual_channl_name 필드에 대한 비트 열의 개수에서 'm'으로 보여지며, 가상 채널의 이름이 존재하지 않을 때 이 필드의 값은 0이어야 한다.
- virtual_channel_name: 관련 서비스에 대한 브로드캐스터의 이름을 나타내며, 그 각각의 특성은 UTF-8 마다 인코딩되어야 한다.
- major_channel_number: 16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관련 가상 채널의 주요 채널 개수를 나타낸다.
- minor_channel_number: 16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관련 가상 채널의 부차 채널 개수를 나타낸다.
- num_of_virtual_channel_level_descriptors: 4 비트 필드로써 관련 서비스의 서비스 레벨 서술자들(descriptors)의 개수를 특정한다.
- virtual_channel_level_descriptor(): 관련 서비스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0 또는 그 이상의 서술자들을 나타낸다.
- num_of_plp_level_descriptors: 4 비트 필드로써 관련 PLP의 PLP 레벨 서술자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 plp_level_descriptor(): 관련 PLP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0 또는 그 이상의 서술자들.
2) 이벤트 맵 테이블
이벤트 맵 테이블은 선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MMT 패키지를 포함하는 MMT 어셋들(assets)을 전달하는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벤트 맵 테이블의 콘텐츠에 대한 변경은 증가된 버전 넘버를 가진 새로운 이벤트 맵 테이블 인스턴스에서 운반될 것이다. virtual_channel_id를 가진 가상 채널에 대한 이벤트 맵 테이블은 상기 가상 채널 맵 테이블의 table_id, virtual_channel_id, event_id의 조합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된다.
하기 표 3은 이벤트 맵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07912326-pct00003
Figure 112017007912326-pct00004
표 3의 이벤트 맵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개의 필드들 각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table_id: 8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표 3의 테이블이 이벤트 맵 테이블임을 나타낸다. 일례로 table_id 필드가 0xXX로 세팅되면 이벤트 맵 테이블의 콘텐츠는 관련 PLP에서 운반되는 가상 채널들 상의 이벤트들의 체계를 정의하고, 0XYY로 세팅되면 이벤트 맵 테이블의 콘텐츠는 같은 RF 채널이나 다른 RF 채널들로 전달되는 다른 PLP들에 속하는 가상 채널들 상의 이벤트들의 체계를 정의한다.
- version_number: 5 비트 필드로써 전체 이벤트 맵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나타낸다. 상기 버전 넘버는 이벤트 맵 테이블에 포함된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1 mod 32 만큼씩 증가되어야 한다.
- table_length: 12 비트 필드로써 table_length 필드에 뒤이어 시작되는 이벤트 맵 테이블의 바이트 수를 특정한다.
- smt_protocol_version_number: 5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이벤트 맵 테이블의 구조 버전을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낸 이벤트 맵 테이블은 일례로서 나타낸 것이며, 이벤트 맵 테이블은 표 3에서 나타낸 구조와 다른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 3에서는 smt_protocol_version_number 필드에 대한 값이 0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표 3에 나타낸 이벤트 맵 테이블과 다른 구조로 구현된 이벤트 맵 테이블에서는 smt _protocol_version_number에 대한 값이 0 아닌 값들로 설정될 수 있다.
- virtual_channel_id: 16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범위 안에서 관련 이벤트와 관련된 가상 채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 event_id: 16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가상 채널 내 이벤트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상기 event_id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MMTP 패키지의 목적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 current_event_indicator: 1 비트 이진 플래그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current_event_indicator 필드가 '1'로 세팅되면 관련 이벤트가 현재 디스플레이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1’이 아닌 다른 값으로 세팅되면 관련 이벤트가 관련 시점에 사용자들에게 표시되어서는 안됨을 나타낸다.
- label: L2 패킷들을 필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벨 정보를 특정한다.
- SP_indicator: 1 비트 지시자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SP_indicator 필드가 '1'로 세팅되면 관련 서비스의 의미 있는 표현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성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서비스 보호가 적용됨을 나타낸다.
- num_of_components: 5 비트 필드로써 관련 이벤트의 성분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각각의 성분은 MMTP 패킷들 내 packet_id 필드의 값으로 식별되는 관련 MMTP 서브플로우를 통해 전달된다.
- IP_version_flag: 1 비트 지시자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IP_version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되면 service_source_IP_address, 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 component_source_IP_address 및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들이 IPv4 어드레스들임을 나타낸다. 또한 IP_version_flag 필드가 '1'로 세팅되면 service_source_IP_address, 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 component_source_IP_address 및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들이 IPv6 어드레스들임을 나타낸다.
- default_source_IP_address_flag: 1 비트 이진 플래그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default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되면 관련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소스 IP 어드레스 값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 default_source_IP_address: default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존재하는 필드로써, default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default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즉 default_source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default_source_IP_address 필드는 component_source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하는 성분들의 IP 데이터그램들을 제외하고 관련 서비스의 성분들을 운반하는 모든 IP 데이터그램들의 소스 IP 어드레스를 포함할 것이다.
-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1 비트 이진 플래그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되면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 값이 존재하며 관련 서비스의 성분들에 대한 디폴트 IP 어드레스로서의 역할을 함을 나타낸다.
-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존재하는 필드로써,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즉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는 num_of_components 루프(loop)의 각각의 성분마다 존재해야 한다.
-PA_session_descriptor(): 서비스의 프로그램에 대한 서술적 정보를 짧은 버전으로 제공하며, PA_session_descriptor() 필드에 대해서는 후술할 표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 num_of_BC_sessions: 5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한 이벤트 내 성분들의 전달에 사용되는 IP 세션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num_of_BC_sessions 필드의 최소값은 모든 성분들이 같은 IP 세션을 통해 전달될 때 1이어야 한다.
- MMT_signaling_session_flag: 1 비트 지시자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MMT_signaling_session_flag 필드가 '1'로 세팅되면 MMT 시그널링 정보가 관련 브로드캐스트 세션을 통해 운반됨을 나타낸다. 또한 MMT_signaling_session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되면 관련 브로드캐스트 세션을 통해 어떤 MMT 시그널링 정보도 운반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 component_source_IP_address_flag: 1 비트 이진 플래그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component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되면 component_source_IP_address가 관련 성분에 대해 존재함을 나타낸다.
- component_source_IP_address: component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존재하는 필드로써, component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component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즉 component_source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할 경우, 패키지의 관련 성분을 운반하는 IP 데이터그램들의 소스 어드레스는 component_source_IP_address 필드 내 어드레스와 매치할 것이다.
-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1 비트 이진 플래그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되면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값이 관련 성분에 대해 존재함을 나타낸다.
-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존재하는 필드로써,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즉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할 경우, 패키지의 관련 성분을 운반하는 IP 데이터그램들의 목적지 어드레스는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내 어드레스와 매치할 것이다.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 즉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관련 성분을 운반하는 IP 데이터그램들의 목적지 어드레스는 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내 어드레스와 매치할 것이다.
- component_destination_UDP_port_num: 16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UDP(user datagram protocol)/IP 스트림 성분에 대한 목적지 UDP 포트 넘버를 나타낸다.
- IP_header_compression_info_flag: 1 비트 이진 플래그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IP_header_compression_info_flag 필드가 '1'로 세팅되면 IP 헤더 압축 정보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 ip_header_compression_descriptor(): IP_header_compression_info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존재하는 필드로써, IP_header_compression_info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ip_header_compression_descriptor() 필드는 IP 세션에서의 헤더 압축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할 표 5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 num_of_components_per_sesssion: 5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IP 세션을 통해 전달되는 성분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 main_component_indicator: 1 비트 이진 플래그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main_component_indicator 필드가 '1'로 세팅되면 관련 성분이 이벤트의 주 성분임을 나타내고, main_component_indicator 필드가 '0'으로 세팅되면 관련 성분이 이차 성분임을 나타낸다.
- mmtp_packet_id: 16 비트 필드로써 관련 성분을 운반하는 MMTP 패킷들의 식별자를 특정한다.
- media_sync_info_mode: 2 비트 필드로써 미디어 동기 정보의 위치를 특정한다. media_sync_info_mode 필드가 '0'으로 세팅되면 관련 미디어 동기 정보는 component_level_descriotpr() 안에 존재하고, media_sync_info_mode 필드가 '1'로 세팅되면 관련 미디어 동기 정보는 미디어 동기 테이블을 통해 전달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관련 성분에 대한 미디어 동기 정보는 L2 시그널링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다. 즉 미디어 동기 정보는 main_component_indicator 필드가 '1'로 세팅되는 성분들에 대해서만 존재한다.
- media_sync_table_id: 주어진 패키지의 주 성분들에 대한 미디어 동기 정보는 table_id 필드가 media_sync_table_id 필드와 동일한 별개의 미디어 동기 테이블을 통해 운반된다. main_component_indicator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 media_sync_table_id 필드는 사용되지 않고 '0'으로 세팅될 것이다.
표 3에 표기하지는 않았지만, 이벤트 맵 테이블은 media_sync_info_flag 필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media_sync_info_flag 필드는 상기 media_sync_table_id 필드의 존재 유무를 나타낼 수 있다.
- minimum_buffer_size: main_component_indicator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존재하는 필드로써, main_component_indicator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main_component_indicator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즉 minimum_buffer_size 필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minimum_buffer_size 필드는 적합한 디코더에 대한 버퍼의 최소 사이즈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적합한 디코더에 대한 버퍼의 최소 사이즈는 킬로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 num_of_component_level_descriptors: 4 비트 필드로써 관련 성분의 성분 레벨 서술자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 component_level_descriptor(): 관련 성분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0 또는 그 이상의 서술자들을 나타낸다.
- num_of_event_level_descriptors: 4 비트 필드로써 관련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레벨 서술자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 event_level_descriptor(): 관련 이벤트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0 또는 그 이상의 술자들을 나타낸다.
- num_of_virtual_channel_level_descriptors: 4 비트 필드로써 관련 서비스의 가상 채널 레벨 서술자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 virtual_channel_level_descriptor(): 관련 가상 채널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0 또는 그 이상의 서술자들을 나타낸다.
한편, 앞서 설명한 PA_session_descriptor() 필드는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07912326-pct00005
- descriptor_tag: 8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short_program_description_descriptor()로서 식별하는 0xXX의 값을 가질 것이다.
- descriptor_length: 8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이 필드에 바로 뒤이은 서술자의 끝까지의 길이를 특정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길이는 바이트로 표현될 수 있다.
- PA_session_source_IP_address_flag: 1 비트 이진 플래그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PA_session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되면 MMT PA 메시지의 소스 IP 어드레스 값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PA_session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되면 default_source_IP_address에 의해 식별되는 IP 어드레스는 MMT PA 메시지를 운반하는 IP 데이터그램들을 나르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 PA_session_source_IP_address: PA_session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존재하는 필드로써, PA_session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PA_session_source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즉 PA_session_source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PA_session_source_IP_address 필드는 MMT PA 메시지를 운반하는 IP 데이터그램들의 소스 IP 어드래스를 포함할 것이다.
- PA_session_destination_IP_address_flag: 1 비트 이진 플래그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PA_session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되면 MMT PA 메시지의 목적지 IP 어드레스 값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PA_session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되면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에 의해 식별되는 IP 어드레스는 MMT PA 메시지를 운반하는 IP 데이터그램들을 나르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 PA_session_destination_IP_address: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존재하는 필드로써,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0’으로 세팅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defaul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가 ‘1’로 세팅될 경우, 즉 PA_session_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PA_session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는 MMT PA 메시지를 운반하는 IP 데이터그램들의 목적지 IP 어드래스를 포함할 것이다. - PA_session_destination_UDP_port_num: 16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MMT PA 메시지를 운반하는 UDP/IP 스트림에 대한 목적지 UDP 포트 넘버를 나타낸다.
- mmtp_packet_id: MMT PA 메시지를 운반하는 MMTP 패킷들의 식별자를 특정할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ip_header_compression_descriptor() 필드는 하기 표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07912326-pct00006
- descriptor_tag: 8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ip_header_compression_info_descriptor()로서 식별하는 0xXX의 값을 가질 것이다.
- descriptor_length: 8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이 필드에 바로 뒤이은 서술자의 끝까지의 길이를 특정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길이는 바이트로 표현될 수 있다.
3) 미디어 동기 테이블
미디어 동기 테이블은 이벤트들의 주 미디어 성분들에 대한 미디어 동기 정보를 포함한다.
하기 표 6은 미디어 동기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07912326-pct00007
- table_id: 8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표 4의 테이블이 미디어 동기 테이블임을 나타낸다.
- version_number: 5 비트 필드로써 전체 미디어 동기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나타낸다. 상기 버전 넘버는 미디어 동기 테이블에 포함된 정보가 변할 때마다 1 mod 32 만큼씩 증가되어야 한다.
- table_length: 12 비트 필드로써 table_length 필드에 뒤이어 시작되는 미디어 동기 테이블의 바이트 수를 특정한다.
- mst_protocol_version_number: 8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미디어 동기 테이블의 구조 버전을 나타낸다. 표 4에 나타낸 미디어 동기 테이블은 일례로서 나타낸 것이며, 미디어 동기 테이블은 표 4에서 나타낸 구조와 다른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 4에서는 mst_protocol_version_number 필드에 대한 값이 0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표 4에 나타낸 미디어 동기 테이블과 다른 구조로 구현된 미디어 동기 테이블에서는 mst_protocol_version_number 필드에 대한 값이 0 아닌 값들로 설정될 수 있다.
- num_of_virtual_channels: 8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미디어 동기 정보가 현재의 미디어 동기 테이블에 포함된 가상 채널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 virtual_channel_id: 16 비트 무보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범위 안에서 관련 가상 채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 event_id: 16 비트 무보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가상 채널 내 현재의 이벤트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 num_of_components: 5 비트 무부호 정수로 표현되는 필드로써 미디어 동기 정보가 현재의 미디어 동기 테이블에 포함된 성분들의 개수를 특정한다.
- mmtp_packet_id: 관련 성분을 운반하는 MMTP 패킷들의 식별자를 특정한다.
- MPU_timestamp_descriptor(): MPU_timestamp_descriptor() 필드는 ISO/IEC 23008-1 (MPEG-H MMT)에 정의된 MPU_timestamp_descriptor()를 따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절차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도 1a에 나타낸 RF 채널에 포함되는 다수의 PLP들 각각에서 L2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절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200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TV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TV 채널과 RF 튜닝을 수행한다.
202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선택된 TV 채널에 상응하는 PHY(physical) 프레임 및/또는 관련 PLP 를 디코딩한다.
204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관련 PLP에서 전송되는 L2 시그널링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선택된 TV 채널에 대한 IP 세션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IP 세션 정보는 IP 세션 식별자와 매핑되는 IP 세션 정보의 소스 IP 어드레스,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및 데스티네이션 포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미디어 데이터 또는 IP 헤더 압축 정보 등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상기 IP 헤더 압축 정보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ip_header_compression_descriptor() 필드로 나타낼 수 있다.
206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202단계에서 디코딩된 PHY 프레임 및/또는 PLP에서 상기 선택된 TV 채널에 해당하는 BBP 서브스트림을 필터링한다. 즉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BBP 서브스트림의 헤더에 기재된 레이블(label)을 체크함으로써 상기 TV 채널에 해당하는 BBP 서브스트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IP 세션 정보, 일례로 소스 IP 어드레스,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및 데스티네이션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208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필터링된 BBP를 역패킷화(de-packetization)하고, 210단계로 진행하여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여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을 획득한다. 일례로 IP 패킷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는 IP 세션 식별자에 매핑되는 IP 세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IP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을 압축 해제하여 상기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을 획득한다.
212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MMTP 패킷을 획득한다.
214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MMTP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미디어 처리 유닛(media processing unit: MPU)를 획득한다. 방송 수신 장치는 선택적으로 MMT 시그널을 파싱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MMT 시그널은 일례로 MMT-CI(MMT-composition information)일 수 있다.
216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MPU를 역캡슐화(de-capsulation)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획득한다.
218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되는 미디어 동기 정보(media_sync_info) 및 IP 헤더 압축 정보(ip_header_compression_descriptor())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획득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 즉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절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 1b에 나타낸 RF 채널에 포함되는 다수의 PLP들 모두에 대한 L2 시그널링 정보가 임의의 하나의 PLP에서 전송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절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300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TV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TV 채널과 RF 튜닝을 수행한다.
302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선택된 TV 채널에 상응하는 PHY 프레임 및/또는 L2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특정 PLP를 디코딩한다.
304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특정 PLP에서 전송되는 L2 시그널링 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선택된 TV 채널에 대한 IP 세션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IP 세션 정보는 IP 세션 식별자와 매핑되는 IP 세션 정보의 소스 IP 어드레스,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및 데스티네이션 포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미디어 데이터 또는 IP 헤더 압축 정보 등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상기 IP 헤더 압축 정보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ip_header_compression_descriptor() 필드로 나타낼 수 있다.
306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특정 PLP를 디코딩한다.
308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디코딩된 PLP에서 상기 선택된 TV 채널에 해당하는 BBP 서브스트림을 필터링한다. 즉 방송 수신 장치는 BBP 서브프레임의 헤더에 기재된 레이블을 체크함으로써 상기 TV 채널에 해당하는 BBP 서브스트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IP 세션 정보, 일례로 소스 IP 어드레스,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및 데스티네이션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310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필터링된 BBP를 역패킷화하고, 312단계로 진행하여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여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을 획득한다. 일례로 IP 패킷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IP 세션 식별자에 매핑되는 IP 세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IP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을 압축 해제하여 상기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을 획득한다.
314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IP 패킷 및/또는 UDP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MMTP 패킷을 획득한다.
316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MMTP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MPU를 획득한다. 방송 수신 장치는 선택적으로 MMT 시그널을 파싱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MMT 시그널은 일례로 MMT-CI일 수 있다.
318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MPU를 역캡슐화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획득한다.
320단계에서 방송 수신 장치는 L2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되는 미디어 동기 정보(media_sync_info) 및 IP 헤더 압축 정보(ip_header_compression_descriptor())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획득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 즉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L2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PHY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HY 프레임(400)은 제1 프레임(402), 제2 프레임(404), 제3 프레임(40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402)은 프레임 동기화(frame sync) 패킷(401), L1 시그널링 패킷(403), 데이터 패킷(40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404)은 프레임 동기화 패킷(407), L1 시그널링 패킷(409), 데이터 패킷(411)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프레임(406)은 프레임 동기화 패킷(413), L1 시그널링 패킷(415), 데이터 패킷(417)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 동기화 패킷(401, 407, 413)은 프레임 동기 획득을 위한 패킷을 의미하고, L1 시그널링 패킷(403, 409, 415)은 데이터 획득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획득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는 일례로 데이터 패킷들(405, 411, 417) 각각을 구성하는 기저대역 프레임(baseband frame: BBF)의 배열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논리적(logical) PHY 프레임(420)은 데이터 패킷들(405, 411, 417) 각각을 구성하는 BBF들을 포함하며, 기저대역 패킷(baseband packet: BBP) 스트림(430)은 상기 BBF들 각각에 대응되는 BBP들을 포함한다.
이때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BBP들 중 첫 번째 BBP에는 L2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나 만약 하나의 BBF가 도면부호 423,425와 같이 두 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되어(fragmented) 두 개의 프레임(402, 404) 각각에 포함될 경우, L2 시그널링 정보는 제2 프레임(404)의 데이터 패킷(411)을 구성하는 BBF들 중 하나의 BBF가 분할되어 포함된 BBF(425)를 제외한 나머지 BBF들 중 첫 번째 BBF에 대응하는 BBP(433)에 포함된다.
따라서 L2 시그널링 정보는 제1 프레임(402)의 데이터 패킷(405)에 대응하는 BBP들 중 첫 번째 BBP(431)와, 제2 프레임(404)의 데이터 패킷(411)에 대응하는 BBP들 중 하나의 BBF가 분할되어 포함된 BBF(425)에 대응하는 BBP 다음에 오는 BBP(433)와, 제3 프레임(406)의 데이터 패킷(417)에 대응하는 BBP들 중 첫 번째 BBP에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L2 시그널링 정보의 사용에 따른 채널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MPUs(500)는 MPU #i(502), MPU #i+1(504), MPU #i+2(506)를 포함하고, PHY 프레임(530)은 프레임 #j(532), 프레임 #j+1(534), 프레임 #j+2(536), 프레임 #j+3(538), 프레임 #j+4(540)를 포함한다.
또한 MMT(MPEG media transport) 시그널링 정보(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주기를 기반으로 전송되고, L2 시그널링 정보(520)는 매 프레임 전송이 시작되는 구간에서 전송된다.
프레임 #j(532) 중간에 TV가 켜지거나(turn on) TV 채널이 변경된다고 가정할 때, L2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고 MPU #i+1(504)를 presnet할 수있다. 이 경우 채널 변경에 소요되는 최대 시간은 PHY 프레임 듀레이션(duration)과 MPU 듀레이션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j(532) 중간에서 TV가 켜지거나 TV 채널이 변경된다고 가정할 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정보, 일례로 MMT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고 MPU #i+2(506)을 Present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변경에 소요되는 최대 시간은 PHY 프레임 듀레이션, MMT 시그널링 듀레이션, MPU 듀레이션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정보를 가진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일례로 MMT 시그널링 정보가 MPU 듀레이션 또는 PHY 프레임 듀레이션에 정합될 경우, 채널 변경에 소요되는 최대 시간은 PHY 프레임 듀레이션과 MPU 듀레이션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은 MPU바로 전에에 전송된다.
이 경우 사용 예(user case)는 다음과 같다.
- 오디오/비디오 스트림
- 오디오를 위한 MPU 듀레이션 = 비디오를 위한 MPU 듀레이션
- 오디오 및 비디오 MPUs 바로 전에 전송되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이 경우 채널 변경이나 TV를 켤 때 관련 디바이스는 PHY 프레임을 획득 후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획득하고, 바로 오디오 및 비디오 MPUs들을 획득하여 재생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최대 채널 전환 시간은 PHY 프레임을 얻는 시간 + MPU를 얻는 시간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MPU를 얻는 시간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MPU와 한 쌍으로 본다.
또 다른 예로서 프레젠테이션 정보를 가진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일례로 MMT 시그널링 정보가 MPU 듀레이션과 PHY 프레임 듀레이션 모두에 정합될 경우, 채널 변경에 소요되는 최대 시간은 PHY 프레임 듀레이션과 MPU 듀레이션 중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은 MPU 바로 전에에 전송되며,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 MPU”가 하나 이상의 PHY 프레임에서 저장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PHY 프레임의 듀레이션보다 MPU의 듀레이션이 크기 때문이며, PHY 프레임의 듀레이션이 MPU의 듀레이션보다 큰 경우에는 하나의 PHY 프레임 내에 MPU가 모두 저장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 예는 다음과 같다.
- 오디오/비디오 스트림
- 오디오를 위한 MPU 듀레이션 = 비디오를 위한 MPU 듀레이션
- 오디오 및 비디오 MPUs 바로 전에에 전송되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 PHY 프레임 듀레이션 * N (여기서 N은 정수를 나타냄) = MPU 듀레이션 또는
- MPU 듀레이션 * N (여기서 N은 정수를 나타냄) = PHY 프레임 듀레이션
-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은 항상 논리적 PHY 프레임의 첫 번째 영역에서 시작됨.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일 예로 본 발명에 의한 L2 signaling은 L2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본 정보가 UDP/IP의 payload로 저장되어 IP packet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송수신 방법 및 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송수신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6)

  1.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이어 2(layer 2: L2) 서비스에 관련된 L2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프레임에 포함될 베이스밴드 프레임(baseband frame: BBF)들 중 다른 프레임에 포함될 BBF인 제1 BBF와 동일한 베이스밴드 패킷(baseband packet: BBP)으로부터 프래그먼트된 BBF인 제2 BBF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와 상기 BBF들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2 BBF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BBF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BF가 존재할 경우,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BBF들 중 상기 제2 BBF를 제외한 BBF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가상 채널들의 특성들과 PLP(physical layer pipe)의 체계(organiz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맵 테이블,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맵 테이블, 상기 관련 이벤트의 주 미디어 성분들에 대한 미디어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동기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표현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세션에서의 헤더 압축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5.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레이어 2(layer 2: L2) 서비스와 베이스밴드 프레임(baseband frame: BBF)들에 관련된 L2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에 포함될 BBF들 중 다른 프레임에 포함될 BBF인 제1 BBF와 동일한 베이스밴드 패킷(baseband packet: BBP)으로부터 프래그먼트된 BBF인 제2 BBF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BBF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BF가 존재할 경우,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BBF들 중 상기 제2 BBF를 제외한 BBF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가상 채널들의 특성들과 PLP(physical layer pipe)의 체계(organiz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맵 테이블,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맵 테이블, 상기 관련 이벤트의 주 미디어 성분들에 대한 미디어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동기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표현되는, 프레임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세션에서의 헤더 압축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수신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레이어 2(layer 2: L2) 서비스에 관련된 L2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고,
    프레임에 포함될 베이스밴드 프레임(baseband frame: BBF)들 중 다른 프레임에 포함될 BBF인 제1 BBF와 동일한 베이스밴드 패킷(baseband packet: BBP)으로부터 프래그먼트된 BBF인 제2 BBF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와 상기 BBF들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BBF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BBF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프레임 전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BF가 존재할 경우,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BBF들 중 상기 제2 BBF를 제외한 BBF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프레임 전송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가상 채널들의 특성들과 PLP(physical layer pipe)의 체계(organiz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맵 테이블,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맵 테이블, 상기 관련 이벤트의 주 미디어 성분들에 대한 미디어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동기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표현되는, 프레임 전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세션에서의 헤더 압축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장치.
  13.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와,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레이어 2(layer 2: L2) 서비스와 베이스밴드 프레임(baseband frame: BBF)들에 관련된 L2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에 포함될 BBF들 중 다른 프레임에 포함될 BBF인 제1 BBF와 동일한 베이스밴드 패킷(baseband packet: BBP)으로부터 프래그먼트된 BBF인 제2 BBF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BBF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BF가 존재할 경우,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BBF들 중 상기 제2 BBF를 제외한 BBF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는 가상 채널들의 특성들과 PLP(physical layer pipe)의 체계(organiz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맵 테이블,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는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맵 테이블, 상기 관련 이벤트의 주 미디어 성분들에 대한 미디어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동기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표현되는, 프레임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패킷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세션에서의 헤더 압축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수신 장치.
KR1020177002024A 2014-06-25 2015-06-25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31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6843P 2014-06-25 2014-06-25
US62/016,843 2014-06-25
PCT/KR2015/006486 WO2015199460A1 (ko) 2014-06-25 2015-06-25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504A KR20170026504A (ko) 2017-03-08
KR102331079B1 true KR102331079B1 (ko) 2021-11-25

Family

ID=5493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024A KR102331079B1 (ko) 2014-06-25 2015-06-25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64108B2 (ko)
KR (1) KR102331079B1 (ko)
WO (1) WO2015199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7004B2 (en) * 2014-12-22 2020-05-2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and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method based on pull mode
JP6259114B2 (ja) * 2015-01-21 2018-01-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信号送信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送信方法、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US10903922B2 (en) * 2015-01-29 2021-01-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2001014B1 (ko) * 2016-09-12 2019-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지상파 방송 네트워크 장치, 송신 장치 및 패킷 전송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3300A1 (en) 2009-10-30 2011-05-05 Nokia Corporation Data encapsulation and service discovery over a broadcast or multicast system
WO2015002007A1 (ja) 2013-07-05 2015-01-0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30B1 (ko) 2008-01-25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신호 송수신 장치
WO2011062433A2 (ko) * 2009-11-19 201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방법
WO2011096759A2 (ko) * 2010-02-08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WO2011105773A2 (ko) * 2010-02-23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GB201208389D0 (en) 2012-05-10 2012-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uni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KR102148180B1 (ko) 2014-02-28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131300A4 (en) * 2014-04-09 2018-01-17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reception device, operating method of broadcast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broadcast reception device
EP3148196A4 (en) * 2014-05-21 2017-11-1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nd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3300A1 (en) 2009-10-30 2011-05-05 Nokia Corporation Data encapsulation and service discovery over a broadcast or multicast system
WO2015002007A1 (ja) 2013-07-05 2015-01-0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504A (ko) 2017-03-08
WO2015199460A1 (ko) 2015-12-30
US10264108B2 (en) 2019-04-16
US20170134542A1 (en)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396B1 (ko)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87277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1019186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2616590B1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102450265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305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header compression
US11496542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233107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70134763A1 (en) Method for compressing transmission packet in ip-based broadcast network
US10856021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US10057539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JP6388295B2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受信プログラム
US20180139650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US20200067833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US10075568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2444111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14818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