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045B1 - 입체시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시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045B1
KR102331045B1 KR1020200033537A KR20200033537A KR102331045B1 KR 102331045 B1 KR102331045 B1 KR 102331045B1 KR 1020200033537 A KR1020200033537 A KR 1020200033537A KR 20200033537 A KR20200033537 A KR 20200033537A KR 102331045 B1 KR102331045 B1 KR 102331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ar
stereoscopic vision
cover
sp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412A (ko
Inventor
김형수
김선일
권현진
Original Assignee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0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binocular or stereoscopic vision, e.g. strabis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91Fixation targets for viewing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61B3/15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bloc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휴대성이 높고 입체시 측정의 기준이 되는 사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정확한 입체시 측정이 가능한 입체시 측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시 측정장치는 상하부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측정기준막대, 상기 측정기준막대의 일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막대, 상기 측정기준막대 및 이동막대를 둘러싸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이동막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막대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측정기준막대보다 상대적으로 좌우 폭이 작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시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STEREOVIS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체시력을 측정하는 입체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두 눈으로 시각환경의 물체 사이의 상대거리 및 부피를 인식하거나 3D 콘텐츠를 인식하는데 있어 입체시(stereovision)가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인간의 두 눈은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이로 인해 특정 대상물을 바라볼 때 오른쪽 눈으로 바라본 물체의 모습과 왼쪽 눈으로 바라본 물체의 모습이 상이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두 개의 상(image)이 뇌에서 하나로 융합되어 입체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입체시라고 한다.
그러나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2차원 평면시표를 이용한 입체시 측정장비는 실제 시각상황과의 괴리가 있어 그 측정치가 부정확하여 실제 시공간의 입체시를 측정가능한 측정장비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부피가 너무 큰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82704호는 입체시 측정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772호는 입체시 검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3D 영상송출을 통한 입체시 측정 방식으로 실제 시공간에서의 입체시 평가가 어려움이 있어 휴대성이 높고 실제 시공간에서의 입체시를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이 가능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휴대성이 높고 실제 시공간에서 사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한 입체시 측정이 가능한 입체시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체시 측정장치는 상하부로 연장된 막대(rod) 형태로 형성되는 좌, 우측의 측정기준막대 2개, 상기 측정기준막대의 중앙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막대, 상기 측정기준막대 및 이동막대를 둘러싸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이동막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막대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측정기준막대는 서로 좌우 폭이 다르며 이동막대 또한 좌우 측정기준막대와 좌우 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 3개의 막대의 좌우 폭이 서로 다른 것은 순수한 입체시가 아닌 거리 단서에 의한 측정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입체시 측정장치는 일단은 상기 커버부의 전방에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이동막대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체시 평가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체시 측정장치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권취된 측정테이프가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막대가 이동하는 슬라이딩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차단판들, 상기 차단판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막대의 일부를 둘러싸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막대는 타단은 중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시 측정장치는 내부에 배치된 막대들 중 중앙의 막대를 이동시켜 입체시를 평가할 수 있고, 기존의 입체시 측정장비와 비교하여 부피가 작아 휴대성이 개선된 장점이 있다.
또한, 입체시 측정장치는 내부에 배치된 막대들의 배경쪽에 배치되는 컬러판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양한 색상의 컬러판들을 통해 조명색을 달리하여 입체시를 측정하도록 제작되므로 시각 환경의 색상변화에 따른 입체시 평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입체시 측정장치는 내부에 배치된 막대들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막대들을 통해 일반 시생활에서의 대상물체의 색상 변화에 따른 입체시 평가가 용이하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 및 3들은 도 1의 입체시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입체시 측정장치를 절단한 단면도들.
도 5는 도 1의 입체시 측정장치의 절개도.
도 6은 도 1의 입체시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측정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은 도 1의 입체시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시 측정장치(100)는 커버부(200), 걸이부(330), 측정기준막대(500, 520)들, 이동막대(540), 컬러판(600), 조명부(650), 줄자(800) 및 배터리(9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두 눈으로 시각환경의 물체 사이의 상대거리 및 부피를 인식하거나 3D 콘텐츠를 인식하는데 있어 입체시(stereovision)가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인간의 두 눈은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이로 인해 특정 대상물을 바라볼 때 오른쪽 눈으로 바라본 물체의 모습과 왼쪽 눈으로 바라본 물체의 모습이 상이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두 개의 상(image)이 뇌에서 하나로 융합되어 입체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입체시라고 한다.
그러나 특수안경(편광렌즈, 적녹필터렌즈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2차원 평면시표를 이용한 입체시 측정장비는 실제 시각상황과의 괴리가 있어 그 측정치가 부정확하여 실제 시공간의 입체시를 측정가능한 측정장비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부피가 너무 큰 단점이 있다.
입체시 측정장치(100)는 내부에 배치된 막대들 중 중앙의 막대를 이동시켜 입체시를 평가할 수 있고, 기존의 입체시 측정장비와 비교하여 부피가 작아 휴대성이 개선된 장점이 있다.
또한, 입체시 측정장치(100)는 내부에 배치된 막대들의 배경쪽에 배치되는 컬러판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양한 색상의 컬러판들을 통해 입체시를 측정하도록 제작되므로 시각 환경의 색상변화에 따른 입체시 평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입체시 측정장치(100)는 내부에 배치된 막대들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막대들을 통해 일반 시생활에서의 대상물체의 색상 변화에 따른 입체시 평가가 용이하다.
커버부(200)는 제1 커버(300), 개폐유닛(310) 및 제2 커버(400)를 포함한다.
커버부(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내부의 공간과 전방의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412)가 형성되며,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절개선을 통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 커버(300)는 제1 바디(305) 및 차단판(320)을 포함한다.
제1 커버(300)는 내부의 공간이 전방을 향해 개방된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의 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함몰되어 제1 커버(300)의 후방 공간 및 전방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301)가 형성된다.
제1 바디(305)는 내부의 공간이 전방을 향해 개방된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코너에 해당하는 외측면들은 곡면을 형성하도록 테이퍼 지게 가공되며, 상부에는 걸이부(350)가 형성된다.
차단판(320)의 일단은 제1 바디(305)의 전방 제1 방향(1)쪽에 형성되는 제1 바디(305)의 일측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방향(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2)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제1 바디(305)의 타측 내측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바디(305)의 안쪽에는 차단판(320)을 사이에 두고 차단판(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상부공간 및 차단판(3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하부공간이 형성된다.
개폐유닛(310)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이 전방 및 후방을 향하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커버(300)의 배면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개구부(301)를 커버하거나 개방시킨다.
걸이부(330)의 하단부는 제1 커버(300)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단면이 마름모 형태인 이동공간(331)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공간(331)에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방향으로 절단되면 절단면이 마름모 형태인 로드가 삽입되며, 상기 로드의 외측면들 각각은 걸이부(330)의 상단부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따라서, 걸이부(330)를 통해 상기 로드에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입체시 측정장치(100)는 단면이 마름모 형태인 상기 로드에 의해 바닥면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므로, 다양한 측정거리에서 정확한 입체시 측정이 가능하다.
제2 커버(400)는 제2 바디(410), 차단판(420, 430)들, 슬라이딩부(440), 고정부(450) 및 로드(470, 480)들을 포함한다.
제2 커버(400)는 내부의 공간이 후방을 향해 개방된 사각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전면의 직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제2 커버(400)의 후방공간과 제2 커버(400)의 전방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412)가 형성된다.
제2 바디(410)는 내부공간이 후방을 향해 개방된 사각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코너쪽에 해당하는 외측면들은 테이퍼지게 가공되어 곡면이 형성되며, 제1 커버(3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바디(410) 및 제1 바디(305)가 결합되면 제2 바디(410)의 테두리는 제1 바디(305)의 테두리와 연결되어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차단판(320)의 전방 모서리는 후술될 제2 커버(400)의 차단판들과 연결된다.
차단판(420)의 일단은 개구부(412)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2 바디(410)의 제1 방향(1)쪽 일측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바디(410)의 전방쪽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제2 방향(2)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차단판(420)의 후방 상부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의 슬라이딩홈(421)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421)의 제2 방향(2)쪽 부분은 차단판(420, 430)들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25)과 연결된다.
차단판(420)의 타단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부면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차단판(420)의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관통홈(422)이 형성되고, 측정기준막대(500)는 관통홈(422)에 삽입된다.
차단판(430)의 일단은 차단판(420)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2 바디(410)의 제2 방향(2)쪽 타측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바디(410)의 전방쪽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제1 방향(1)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차단판(420)의 타단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차단판(430)의 후방 상부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의 슬라이딩홈(431)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431)의 제1 방향(1)쪽 부분은 차단판(420, 430)들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25)과 연결된다.
차단판(430)의 타단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부면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차단판(430)의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관통홈(432)이 형성되고, 측정기준막대(520)는 관통홈(432)에 삽입된다.
한편, 관통홈(422, 432)들 각각은 측정기준막대(500, 520)들 각각의 좌우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측정기준막대(500, 520)들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시각(visual angle) 변화에 따른 입체시 측정이 가능하다.
차단판(420, 430)들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바디(410)의 제2 방향(2)쪽 측면은 제1 방향(1)을 향해 함몰되어 제2 바디(410)의 내부공간과 제2 방향(2)쪽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슬롯홈(415)이 형성된다.
슬롯홈(415)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후술될 컬러판(600)은 슬롯홈(415)을 통해 커버부(20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분리된다.
슬라이딩홈(421, 431)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각각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형성되고, 슬라이딩홈(431)의 제2 방향(2)쪽은 슬롯홈(415)과 연결되며, 컬러판(600)은 슬롯홈(415)에 삽입된 후 슬라이딩홈(421, 431)을 따라 커버부(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1 및 제2 바디(305, 410)들이 결합되면, 차단판(420, 430)들 각각은 차단판(320)의 전면 모서리와 밀착되고, 커버부(200)의 내부공간은 차단판(420, 430, 320)들을 통해 상부의 제1 공간(10) 및 하부의 제2 공간(20)으로 분리된다.
슬라이딩부(440)는 제1 가이드(442) 및 제2 가이드(444)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440)는 차단판(420, 430)들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2 바디(410)의 전방측 내측면에 결합되고,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슬라이딩홈(425)에 삽입되는 이동막대(540)의 양측을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442)의 일단부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홈(425)의 제1 방향(1)쪽에 형성되는 제2 바디(410)의 전방쪽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의 제2 방향(2)쪽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2 가이드(444)의 일단부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홈(425)의 제2 방향(2)쪽에 형성되는 제2 바디(410)의 전방쪽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의 제1 방향(1)쪽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442, 444)들 사이에는 직육면체 형태의 슬라이딩홈(446)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442, 444)들 각각의 하단부 일부분은 슬라이딩홈(446)을 향해 연장되어 하부돌출부(443, 445)들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돌출부(443, 445)들 각각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홈(446)의 하부를 커버한다.
로드(470)의 일단은 슬라이딩홈(446)의 제1 방향(1)쪽에서 제1 가이드(442)의 일단부를 전후방으로 관통하면서 제1 가이드(442)와 결합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로 일단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고정부(450)와 결합된다.
로드(480)의 일단은 슬라이딩홈(446)의 제2 방향(2)쪽에서 제2 가이드(444)의 일단부를 전후방을 관통하면서 제2 가이드(444)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고정부(450)와 결합된다.
고정부(450)는 제1 및 제2 방향(1, 2)쪽 일단 및 타단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ㄷ' 형상의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 안쪽에는 직육면체 형태의 돌출부(451, 452)들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부(450) 및 슬라이딩부(44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451, 452)들 각각은 제1 및 제2 가이드(442, 444)들 각각의 타단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배치된다.
슬라이딩부(440) 및 고정부(45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451, 452)들 사이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442, 444)들 각각의 타단부가 배치되고, 로드(470, 480)들 각각의 타단은 돌출부(451, 452)들 각각을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제1 및 제3 홀(453, 455)들 각각에 삽입된다.
측정기준막대(500)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제1 공간(10)에서 개구부(412)의 후방에 배치되어 관통홈(422)에 삽입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확장되면서 연장되며 로드(47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로드(470)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측정기준막대(520)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제1 공간(10)에서 개구부(412)의 후방에 배치되어 관통홈(432)에 삽입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확장되면서 연장되며 로드(48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로드(480)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동막대(540)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개구부(412)의 후방에 배치되면서 슬라이딩홈(425)에 일부분이 삽입되며, 중앙부는 일단에서 하부를 향해 확장 연장되어 슬라이딩홈(446)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막대(540)의 중앙부 안쪽에는 후술 될 스위치부(700)의 일부분이 관통하며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중앙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 바디(410)의 하부쪽 내측면을 관통한다.
이동막대(540)의 타단 제1 및 제2 방향(1, 2)쪽 일부분은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각각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제2 바디(410)의 저면에 밀착되고, 사용자는 이동막대(540)의 타단을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밀어서 이동막대(5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측정기준막대(500), 이동막대(540) 및 측정기준막대(520) 각각의 좌우 폭은 2.5mm, 3.0mm 및 2.0mm가 바람직하고, 측정기준막대(500, 520)들 및 이동막대(540)의 좌우 폭이 각각 다르므로 이동막대(540)의 전후방 이동 거리에 따른 좌우 폭의 차이를 통해 입체시 측정을 편법으로 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측정기준막대(500, 520)들 및 이동막대(540) 각각의 좌우 폭이 모두 같고, 이동막대(5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측정기준막대(500, 520)들에 비해 이동막대(540)의 좌우 폭이 얇아져 좌우 폭 변화만으로 이동막대(540)가 이동한 것을 편법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입체시 측정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기준막대(500, 520) 및 이동막대(540) 각각의 좌우 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입체시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입체시 측정장치(100)의 사용을 통해 이동막대(540)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고, 측정기준막대(500, 520)들과 이동막대(540) 사이의 전후방 거리를 mm 단위로 측정하여 입체시력 계산 공식에 대입하면 입체시 평가가 가능하다.
컬러판(600)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반투명의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며, 슬롯홈(415)을 통해 제1 공간(10)으로 삽입되면 슬라이딩홈(421, 431)을 따라 이동하여 제1 공간(20)을 제2 바디(410) 내부의 전방공간 및 제1 바디(305) 내부의 후방공간(30)으로 분리시킨다.
컬러판(600)은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되고, 입체시 측정을 위해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컬러판(600)들 중 어느 하나를 슬롯홈(415)에 삽입시켜 입체시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조명부(650)는 컬러판(6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제1 바디(305)의 상기 후방공간(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빛을 전방을 향해 발광시킨다.
스위치부(700)는 다이얼(710) 및 리드스크류(720)를 포함한다.
스위치부(700)의 일단은 개구부(412)의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부(200)의 전방에 형성되고, 스위치부(700)의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커버부(200)를 관통하여 이동막대(540)와 나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다이얼(710)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200)의 전방에 배치되고, 리드스크류(720)의 일단은 다이얼(710)의 배면 중앙에 결합되며, 일단 일부분은 제2 바디(410)의 전방을 관통하여 제2 바디(410)와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2 바디(410)와 결합된다.
리드스크류(720)의 타단은 일단에서 이동막대(540)의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이동막대(540)의 내측과 나사 결합되고, 이동막대(540)의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더 연장되어 고정부(450)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2 홀(454)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이얼(710)의 외측면을 잡고 다이얼(710)을 제자리 정회전시키면, 리드스크류(720)가 제자리에서 정회전 하고, 이동막대(540)의 중앙부는 리드스크류(720)의 정회전에 의해 슬라이딩홈(446)에서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다이얼(710)이 제자리 역회전되면, 리드스크류(720)가 제자리에서 역회전 하고, 이동막대(540)의 중앙부는 리드스크류(720)의 역회전에 의해 슬라이딩홈(446)에서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줄자(800)는 본체(810), 측정테이프(820) 및 후크(830)를 포함한다.
줄자(8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공간(1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되고, 내부에 권취된 테이프 형태의 줄은 전방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전방을 향해 권출되거나 후방을 향해 이동하여 내부에 권취된다.
구체적으로, 본체(810)는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하고 내부에 측정테이프(820)가 권취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 하부에는 내부의 공간과 전방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측정테이프(820)는 본체(810)의 내부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축에 권취되고, 본체(810)의 개구부를 통해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후크(830)와 결합된다.
후크(830)는 일단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절곡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2 바디(410)의 전면을 관통하여 제2 바디(410)의 전방으로 권출되는 측정테이프(820)의 끝단과 결합된다.
후크(830)의 일단은 제2 바디(410)의 전방에서 제2 바디(410)의 전면과 밀착되고, 후크(830)의 타단은 측정테이프(820)와 함께 제2 바디(410)를 관통하며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 공간(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크(830)의 일단을 전방을 향해 당겨서 입체시를 측정하는 피험자와 입체시 측정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테이프(820)에 형성된 눈금을 통해 측정하여 다양한 거리에서 정확한 입체시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9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후방공간(30)에 배치되고, 조명부(650)와 연결되어 조명부(650)에 전력을 공급하며, 개폐유닛(310)의 개폐를 통해 편리하게 배터리(900)를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입체시 측정장치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입체시 측정장치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입체시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710)이 정회전하면 리드스크류(720)가 제자리 정회전 하고, 리드스크류(720)의 정회전에 의해 이동막대(540)는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동막대(540)의 중앙부 일측 및 타측면 각각은 제1 가이드(442) 및 제2 가이드(444)들 각각의 제2 및 제1 방향(2, 1)쪽 각각에 해당하는 측면에 밀착되므로, 리드스크류(720)의 정회전에 의해 이동막대(540)는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이동막대(540)의 일단 및 중앙부 사이에 해당하는 이동막대(540) 중앙부의 상부면은 슬라이딩홈(446) 안쪽의 차단판(420, 430)들 각각의 저면과 밀착된다.
또한, 이동막대(540)의 타단 및 중앙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의 저면은 하부돌출부(443, 445)들 각각의 상부면과 밀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400)는 상부돌출부(490)를 더 포함한다.
상부돌출부(490)의 상단부는 제1 공간(10)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부 내측면 후방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제1 공간(10)에 슬롯 삽입된 컬러판(600)의 상단 상부면 및 전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컬러판(600)이 제1 공간(10)에 삽입되면, 제1 공간(10) 및 후방공간(30)은 서로 분리되고, 조명부(650)에서 발광되는 빛은 빛샘현상 없이 온전히 컬러판(600)을 투과한 후 개구부(412)를 통해 전방을 향해 이동된다.
제2 바디(4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저면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하부슬라이딩홈(413)이 형성되고, 이동막대(540)의 타단은 하부슬라이딩홈(413)을 관통하여 제2 바디(410)의 하부를 향해 돌출된다.
이동막대(540)의 타단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이동막대(540)의 중앙부의 이동에 의해 다이얼(710) 및 리드스크류(720)가 제자리 회전하고, 이동막대(540)의 일단은 개구부(412)의 후방에 해당하는 제1 공간(10)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입체시 측정장치(100)는 로드(910)를 더 포함한다.
로드(910)의 일단은 단면이 마름모 형태인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포롭터(Phoropter)(15)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입체시 측정장치(100)의 걸이부(330) 안쪽의 이동공간(331)에는 포롭터(Phoropter)(1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910)가 삽입되고, 입체시 측정장치(100)는 로드(910)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이 가능하다.
입체시 측정장치(100)는 로드(910)를 따라 좌우 흔들림없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포롭터(15) 및 입체시 측정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유지한 상태에서 입체시 측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측정장치(120)는 커버부(920)의 제1 커버(921)와 제1 바디(922), 배터리(923), 송풍부(924), 조명부(925), 무선충전부(926) 및 필터(927)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입체시 측정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시 측정장치(120)는 커버부(920), 배터리(923), 송풍부(924), 조명부(925), 무선충전부(926) 및 필터(927)를 포함한다.
입체시 측정장치(120)는 내부의 배터리(923)의 전력이 소비되거나 컬러판(600)이 없는 경우, 일측에서 내부를 향해 단말기(121)를 삽입시켜, 단말기(121)의 조명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며 입체시 측정이 가능하다.
커버부(920)는 제1 커버(921)를 포함하고, 제1 커버(921)는 제1 바디(922)를 포함한다.
제1 커버(921)는 내부의 공간이 전방을 향해 개방된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의 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함몰되어 제1 커버(921)의 후방 공간 및 전방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301)가 형성된다.
제1 바디(922)는 내부의 공간이 전방을 향해 개방된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코너에 해당하는 외측면들은 곡면을 형성하도록 테이퍼 지게 가공되며, 상부에는 걸이부(350)가 형성된다.
제1 바디(922)의 제1 방향(1)쪽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측면 일부분은 제2 방향(2)을 향해 함몰되어 후방공간(30)과 제1 바디(922)의 제1 방향(1)쪽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제1 슬롯홈(124)이 형성된다.
제1 바디(922)의 제2 방향(2)쪽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측면 일부분은 제1 방향(1)을 향해 함몰되어 후방공간(30)과 제1 바디(922)의 제2 방향(2)쪽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제2 슬롯홈(125)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슬롯홈(124, 125)들은 후방공간(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단말기(121)는 제2 슬롯홈(125)에서 후방공간(30)으로 삽입된 후 제1 슬롯홈(124)을 통해 제1 방향(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121)의 디스플레이, 카메라 또는 발광부가 배치된 부분을 전방을 향하도록 단말기(121)의 위치를 조정한 후, 제2 슬롯홈(125)으로 단말기(121)를 삽입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카메라 또는 발광부를 후방공간(30)의 중앙에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슬롯홈(124, 125)들 각각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미닫이 도어가 각각 형성되어 단말기(121)가 후방공간(30)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후방공간(30) 또는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고, 단말기(121)가 입체시 측정장치(120)와 분리된 경우 제1 및 제2 슬롯홈(124, 125)을 커버할 수 있다.
배터리(923)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개폐유닛(310)이 커버하는 개구부(301)의 전방 하부에 해당하는 후방공간(30)에 배치되어 개구부(301)의 일부를 커버한다.
배터리(923)는 송풍부(924), 조명부(925) 및 무선충전부(9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송풍부(924), 조명부(925) 및 무선충전부(926)에 공급한다.
송풍부(924)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배터리(923)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301)의 상부를 커버하고, 안쪽에는 팬이 형성되어 구동에 의해 후방공간(30) 내부의 공기를 제1 바디(922)의 후방 외부공간으로 배출하거나, 제1 바디(922)의 후방 외부공간의 공기를 후방공간(30)으로 유입시킨다.
배터리(923) 및 송풍부(924)는 개폐유닛(310)이 제1 바디(922)와 분리된 상태에서 개구부(301)를 후방공간(30)과 분리시키고,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서 개구부(301) 외부의 공간과 후방공간(30) 사이에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다.
조명부(925)는 LED들이 전방에 배치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배터리(923)의 전방에 결합되고, 구동에 의해 전방을 향해 빛을 발광시킨다.
무선충전부(926)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조명부(925)의 전방에 결합되고, 권선된 플랫 코일의 안쪽에 형성되는 원형의 공간에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명부(925)와 결합된 상태에서 조명부(925)의 LED들이 무선충전부(926)의 중앙을 관통하여 전방에 노출된다.
따라서, 단말기(121)가 제1 및 제2 슬롯홈(124, 125)들을 관통하여 제1 바디(9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명부(925)가 자외선을 발광하여 단말기(121)의 소독이 가능하고, 무선충전부(926)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단말기(121)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필터(927)는 컬러판(600)과 동일한 형태의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고, 컬러판(600) 대신에 슬롯홈(415)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홈(431, 412)을 따라 커버부(920)의 내부로 삽입되어 후방공간(30) 및 제1 공간(10)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단말기(121)가 커버부(920)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터(927)를 커버부(920)의 내부에 삽입시킨 후 송풍부(924)를 구동시켜 입체시 측정장치(120) 후방의 공기를 후방공간(30)으로 유입시키면, 공기가 필터(927)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개구부(412)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이동한다.
또한, 공기가 후방공간(30)으로 유입된 경우 조명부(925)가 자외선을 발광시켜 공기를 살균시킬 수 있고, 단말기(121)가 커버부(9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단말기(121)의 상부에 위치하는 후방공간(30)을 통해 공기가 이동 가능하므로, 입체시 측정장치(120)의 공기정화기능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입체시 측정장치 200: 커버부
300: 제1 커버 400: 제2 커버
500, 520: 측정기준막대 540: 이동막대
600: 컬러판 650: 조명부
700: 스위치부 800: 줄자
900: 배터리

Claims (6)

  1. 상하부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좌, 우측 2개의 측정기준막대;
    상기 두 개의 측정기준막대의 중앙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막대;
    상기 측정기준막대 및 이동막대를 둘러싸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부;
    상기 이동막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 및
    일단은 상기 커버부의 전방에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이동막대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막대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3개의 막대의 좌우 폭이 서로 다르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막대가 이동하는 슬라이딩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차단판들;
    상기 차단판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막대의 일부를 둘러싸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 측정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권취된 측정테이프가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 측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막대는,
    일단은 막대 형태로 상기 개구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내부에서 상기 스위치부의 타단을 둘러싸며 나사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막대는,
    타단은 중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 측정장치.


















KR1020200033537A 2020-03-19 2020-03-19 입체시 측정장치 KR10233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537A KR102331045B1 (ko) 2020-03-19 2020-03-19 입체시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537A KR102331045B1 (ko) 2020-03-19 2020-03-19 입체시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412A KR20210117412A (ko) 2021-09-29
KR102331045B1 true KR102331045B1 (ko) 2021-11-25

Family

ID=7792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537A KR102331045B1 (ko) 2020-03-19 2020-03-19 입체시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0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8190A (ja) * 2012-03-30 2013-10-10 Nikon Corp 視機能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907U (ja) * 1981-11-16 1983-05-20 ホ−ヤ株式会社 近方視野測定装置
JPH0838426A (ja) * 1994-07-27 1996-02-13 Canon Inc 検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8190A (ja) * 2012-03-30 2013-10-10 Nikon Corp 視機能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412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8887B2 (en) Camera with indicator for determining position within the angle of view
ES2975140T3 (es) Dispositivo de entrenamiento de la visión para mejorar la vergencia de fusión
KR102331045B1 (ko) 입체시 측정장치
US9427145B2 (en) Ophthalmologic measuremen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of controlling the same
US4943822A (en) Camera for photographing simulated X-ray images
CN109246272A (zh) 一种手机用的裸眼3d支架及其控制方法
KR101260288B1 (ko) 입체 영상 촬영을 위한 입체경 어댑터 기반의 다기능 안면 영상장치
CN108272431B (zh) 一种眼睛瞳距测量装置及方法
US20120148116A1 (en) Identity Verification Device
JP2020018715A (ja) 自覚式検眼装置及び自覚式検眼プログラム
US2495047A (en) Film or plate viewer having a telescoping casing
CN116027648B (zh) 一种光学成像结构
CN110974155A (zh) 瞳孔观测器
JP2019118501A (ja) 視力検査装置
US10560620B2 (e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CN201477291U (zh) 三维立体像盒
KR101371772B1 (ko) 입체시 검안 장치
US2477518A (en) Interpupillary distance gauge having mirror means
CN111929894A (zh) 一种可调式vr眼镜
CN111812857B (zh) 显示装置、方法与应用
CA2225358A1 (en) A stereoscopic film cartridge for a stereoscopic viewer
CN211704593U (zh) 瞳孔观测器
CN210014899U (zh) 一种3d眼镜光栅测试装置
CN215584102U (zh) 视光测量仪
JP201402806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