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972B1 - 침술 훈련기구 - Google Patents

침술 훈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972B1
KR102330972B1 KR1020200160642A KR20200160642A KR102330972B1 KR 102330972 B1 KR102330972 B1 KR 102330972B1 KR 1020200160642 A KR1020200160642 A KR 1020200160642A KR 20200160642 A KR20200160642 A KR 20200160642A KR 102330972 B1 KR102330972 B1 KR 10233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uncture
training
needle
acupuncture training
ski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완
남효주
심현우
김봉수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림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림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림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0016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83/00Polysilox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gebr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술 훈련기구에 관한 것으로, 시침훈련과정에서 스마트 침의 미세전류가 가상피부와 유사한 침술훈련용 피부패드와의 접촉하여 마치 피부에 직접 시술하는 것과 같은 감각을 익힐 수 있어, 손의 시침감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침술CBT 콘텐츠와 실시간 연동할 경우 정경혈 361개, 경외기혈 48개 등의 훈련체험이 가능할 뿐 아니라, 콘텐츠 업데이트 내지 추가만으로 원하는 침술 훈련서비스를 쉽게 확대적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므로 사용편의성, 가격경쟁력의 극대화되며, 침술훈련용 피부패트 상부의 시술공간을 감지하는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시침위치, 방향과 각도를 감지해주어 복합적인 시술 자세교정이 이루어지므로 훈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침술 훈련기구 {Acupuncture simul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침술 훈련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인체 조직과 유사하게 피부, 피하, 근막, 근육 내 침감 조직으로 구성된 피부패드를 통해 침술훈련에 적합한 침 감각을 익힐 수 있게 해주며 휴대성, 이동성 및 확장성이 용이한 침술 훈련기구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서 IT기술의 융합을 괄목할만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상현실에서 조작할 수 있는 인체의 의학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기술이 미국,일본,유럽 등을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주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Microsoft는 혼합현실장치와 소프트웨어를 연동한 Holoens를 공급하여, 외과의사들이 방사선을 사용하는 대신 수술부위에 3D해부지도를 배치하여 척추융합수술에 이용하도록 하고 있고, 의료전문 컴퓨터 소프트웨어 회사로서 실리콘에 소재한 Anatomage사는 인체 전신을 수많은 스캔데이터로 3D 해부학적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연동되는 가상의료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의학계에서도 이와 같은 첨단 IT기술을 활용하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특히 한의학 분야의 침술은 선진국들에 권위있는 과학자들이 통증 개선 효과에 대해서 수많은 연구결과가 발표하면서, 침술의 원리와 효과에 대해 전세계인들의 관심을 더욱 모으고 있다.
침술의 원리상, 침의 재료를 금속물질로 사용하는 것은 피뢰침이 전기를 유인하는 것처럼 어혈때문에 기(氣)와 혈액이 흐르지 못하는 경혈점에 꽃음으로 인해서몸안에 있는 전기적인 성질의 기를 모이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시침의 정확한 위치가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베르데루트(Verde Root)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경혈자리 표준안인 WTO/WPRO 표준경혈위치와 한국 한의과대학 경혈학 교과서(대한경락경혈학) 및 중국전통의학서(황제내경 영추)를 기본으로 하여, 동의보감,침구대성,침구집성,유경을 참고로 하여 특정 혈자리를 한국어,영어,한문으로 위치 등을 해부학적으로 3차원 화면으로 구현하는 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로체스터대학의 신경과학 메이컨 네더고르(Maiken Nedergaard)연구진에 의하면, 침의 효과는 침을 실제로 통증부위 주변에 꽂을 때 나타나며,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엔돌핀만으로는 침술의 국지적 통증완화를 설명할 수 없다고 하면서, 침술사가 침을 꽂은 다음 침을 회전시킬때 조직에 작은 손상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하여 모종의 물질(아데노신)이 분비되어 국지적인 통증완화제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는 시침은 침의 삽입깊이와 각도 및 삽입된 상태에서 침을 돌리는 동작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말해준다.
즉 시침은 정확한 위치에 시침이 이루어지더라도 깊이, 각도, 침을 돌이는 동작과 같은 사후 동작이 잘못된 경우 제대로 된 시술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다. MAI(Medical Augmental Intelligence)는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경락과 경혈을 시각화한 AcuMap을 통해, 사용자가 신체의 인체 해부학적 시스템에 대해 경락경로와 경혈을 오버레이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경혈에 대한 침술 기술을 시뮬레이션하면서 깊이나 각도와 같은 판독값을 시각화하고 햅틱 피드백할 수 있는 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특허분야에서, 수지침훈련장치(특허등록 제10-1530983호) 및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전신자침교육자재(특허등록 제10-1564294호)는, 인체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손이나 인체를 제작하여 모형 내부에 경혈점을 설치하고, 전도성 있는 바늘을 통해 침술의 각도, 깊이, 방향 등을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발명을 제시하고 있다.
또 혼합현실을 이용한 침술훈련시스템(특허공개 제10-2020-0073492호)에서는, 인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3차원 형상으로 모형화되어 감지좌표값을 생성하는 감지센서가 내장된 인체 모형을 사용하여, 침부가 인체 모형의 소정 경혈점에 위치되어 접촉되면서 압력센서를 통해 압력 값에 따라 깊이, 각도, 속도 값이 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인체모형에 시침을 할 때 촉감이 실제 인체와 유사하도록 하는 발명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 1530983호 및 특허1564294호는 인체의 실제 모형을 대상으로 침술훈련을 하는 구성으로서, 인체 모형 내부에 경혈자리를 설계하여야 하고, 혈 자리를 추가하려면 모형 자체를 수정하여야 하는 등 확장성에 큰 제한이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20-0073492호는 가압 느낌만 있을 뿐 실제로 피부 속으로 시침이 이루어지는 감각을 익힐 수가 없어, 침의 원리에 부합되는 침술 훈련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 침술훈련 시스템이나 장치들이 가진 제한성을 극복하고 휴대성, 이동성 및 확장성이 매우 용이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침술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침술 훈련기구를 제공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의 원리에 보다 부합되게 피부, 피하, 근막, 근육 내 침감 조직과 같은 실제 피부구조와 유사한 재질의 가상피부 조직 사이로 실제 시침이 이루어져 침술훈련의 시뮬레이트를 통해 시침위치, 깊이, 각도 ,회전 등의 고도한 시침감각을 익히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국한의약진흥원에서 개발한 침술 CBT(Computer Based Training) 프로그램 내지 기존의 컴퓨터 기반 침술 소프트웨어와 상호 연동된 침술훈련 시스템에 필요한 매우 경제성 있고 유효한 침술훈련 기기와 시뮬레이터를 제공하여 전세계에 한국의 침술을 보급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침술훈련용 피부패드(110)가 구비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파트(200); 상기 암파트(200) 일단부에 결합된 카메라부(300); 상기 피부패드(110)를 찌르면서 통전하는 실습침(400);을 포함하여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침술 훈련기구는 인체 경혈 정보가 저장된 외부 시뮬레이터와 연동되어 시침이 화면장치 상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시뮬레이터는 한국한의약진흥원이 개발한 침술 CBT(Computer Based Train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피부패드(110)는 매트형상으로 피부조직과 유사하도록 상이한 밀도의 실리콘 층(S)들이 적층 형성되고, 각 실리콘 층(S) 사이에 탄소섬유층(C)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피부패드(110)에는 격자모양의 기준선(110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부패드의 기준선은 시뮬레이터 화면 상의 기준선과 일치하여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부패드(110)는 각 층별로 교체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파트(200)는 몸체부(100)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메인암(210)과 메인암(210)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확장암(2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암파트(200)는 절첩 작동에 의해 길이조절되어 접혔을 시 몸체부(100)측편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암파트(200)는 확장시 카메라부(300)의 감지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확장암(220)의 선회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2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부(300)는 실습침(4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시침위치, 시침각도를 추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300)와 실습침(400)의 거리를 20~30cm 범위 내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카메라부(300)를 이용해 피부패드(110) 상에 실습침과 시술동작이 촬영되어, 시침깊이와 각도를 실시간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습침(400)은 상부에 패턴이 표시된 감지부(4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430) 패턴의 왜곡률에 따라 시침방향 및 각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습침(400)의 상단부에 전원공급부(4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는 수납부(100A)가 일체로 구비되어 개폐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시침훈련과정에서 스마트 침의 미세전류가 가상피부와 유사한 침술훈련용 피부패드와의 접촉하여 마치 피부에 직접 시술하는 것과 같은 감각을 익힐 수 있어, 손의 시침감각 기능을 향상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 기존의 인체 모형에 직접 침술 훈련을 하는 경우, 인체모형의 이동, 혈자리 추가에 따른 재설계나 교체,관리의 불편함이 있는 등 적용 확장성에 큰 제약이 있으나, 본 발명을 침술CBT 콘텐츠와 실시간 연동할 경우 정경혈 361개, 경외기혈 48개 등의 훈련체험이 가능할 뿐 아니라, 콘텐츠 업데이트 내지 추가만으로 원하는 침술 훈련서비스를 쉽게 확대적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므로 사용편의성, 가격경쟁력의 극대화가 실현된다.
또, 침술훈련용 피부패드 상부의 시술공간을 감지하는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시침위치, 방향과 각도를 감지해주어 복합적인 시술 자세교정이 이루어지므로 훈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패드와 카메라 등의 주요 구성이 일체화된 심플한 구조로서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휴대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이성 및 확장성이 크게 개선되어지고, 한국의 침의술이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 보급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술 훈련기구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술 훈련기구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침술CBT 콘텐츠와 연동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술 훈련기구의 침술훈련용 피부패드에 격자모양 기준선이 구비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술 훈련기구의 침술훈련용 피부패드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술 훈련기구의 암파트가 절첩구조에 의해 각도조절되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술 훈련기구의 암파트가 절첩구조에 의해 몸체부 측편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술 훈련기구의 실습침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술 훈련기구의 실습침 시술각도에 따른 감지부 형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술 훈련기구에 수납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침술 훈련기구는 도 1과 같이 몸체부(100), 암파트(200), 카메라부(300), 실습침(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0)는 침술훈련용 피부패드(110)와 상기 피부패드(110)와 연결되어 시침 감지값을 수치화 하고, 컴퓨터와 같은 외부 시스템으로 전달해주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피부패드(110)는 매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시침 훈련작업대 내지 시침 공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표면에 격자모양과 같은 위치 기준선이 구비 되어 있다.
상기 피부패드(110)에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실습침(400)을 접촉시켜주면 접촉위치에 미세전류가 통전되고, 통전상태를 피부패드(110)와 연결된 제어부가 인식하여 실습침(400)의 접촉위치를 데이터화 하여 피부패드(110)상에 시술 위치가 확인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침술 훈련기구가 외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침술CBT 콘텐츠와 연동되는 시스템으로서, 침술훈련이 이루어지는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술훈련 기구는, 인체의 경혈/경락을 포함한 인체 모델링 내지 해부학 정보가 저장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시술 훈련이 구현된다. 상기 시뮬레이터는 기존에 상용화되는 침술 소프트웨어로서 화면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며, 사용자는 시뮬레이터의 화면을 보면서 시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한국한의약진흥원의 CBT와 상호 연동되어 사용된다. 일실시예로 제시한 CBT는, 한국한의약진흥원이 보유한 30개 인증된 한의표준지침에서 보편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질환별 임상연구에서 나온 침 치료를 위한 혈자리를 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침술 훈련기구의 피부패드(110)에 실습침(400)이 접촉되면, 감지된 접촉위치가 제어부를 거쳐 데이터화되고, 상기 데이터는 USB케이블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CBT의 화면장치(500)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된 영상은 전신 또는 얼굴, 팔, 다리와 같은 사용자가 훈련을 희망하는 신체 부위가 선택되어져 나타나므로, 다양한 시술위치에 따라 별도의 시술훈련장비나 인체모형을 구비할 필요없이, 희망하는 영상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으로 다양한 시술부위에 시침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침술 훈련기구는 외부 시뮬레이터와의 연결을 위한 USB 등의 연결단자와 감지신호의 수치화 및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만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최대한 간소화된 구성만으로 채택하고 자체적인 전원공급장치나 외부출력시스템을 배제함으로써 휴대성, 이동성, 확장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피부 패드(110)에는, 매트 형상의 표면에 격자모양 기준선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기준선(110a)은 실습침(400)의 접촉위치와 간격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시술훈련영상이 표시되는 침술 콘텐츠 프로그램인 CBT (Computer Based Training)와 상호 연동될 때 경혈점에 시술위치를 매칭시켜주는 기준선의 역할을 제공해주게 된다. 시뮬레이터 화면 상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신체 부위에 나타난 시술위치가 표시되어, 실습침(400)이 피부패드(110)에 시침이 이루어졌을 때, 시침위치는 시뮬레이터 화면장치에 십자가 형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어 시침위치 확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훈련기구의 피부패드 상의 격자모양의 기준선(110a)과 시뮬레이터 화면장치 상에 나타난 격자모양이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이를 이용해 사용자는 이를 보고 경락위치 정보 등을 학습하고 피부패드 상에서 시술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시술훈련을 할 수 있다.
도 3은 피부패드 (110) 상에 실습침이 순차적으로 시침되었을 때, CBT의 화면장치(500) 상에도 동일하게 기준선(110a)과 가이드선(500a)을 기준으로 일대일 매칭되어 표시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것처럼 피부패드 (110) 상에 ①,②,③의 순서대로 시침이 이루어지면 CBT의 화면장치(500) 상에도 동일한 시침 위치가 표시되어 실제로 사용자가 피부패드(110)상의 정확한 위치에 시침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술 훈련의 정확도를 더욱 개선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피부패드(110)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상기 침술훈련용 피부패드(110)는 인체의 피부(S1), 피하(S2), 근막(S3), 근육내 침감 조직(S4)을 그대로 재현하도록 상이한 밀도의 실리콘 층(S)이 적층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실리콘 층(S) 사이에 미세전류를 감지해주는 탄소섬유층(C)이 배치된다.
인체의 피부조직은 상대적으로 얇고 질기고, 피하조직은 상대적으로 두텁고 부드러우며, 근육은 단단한 특징을 가지므로 피부패드(110)를 구성하는 각 층의 밀도를 달리하여 실제 인체의 조직과 유사하게 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인체에 시침하는 것과 유사한 감각을 느끼면서 시침깊이와 시침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침술기구가 시침 위치를 파악하여 단순히 압으로 침을 누르는 정도의 감각을 익힐 수 밖에 없었다면, 본 발명은 실제 시침하는 것과 같은 감각으로 손 기능을 훈련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어, 사용자의 숙련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몸체부(100) 상측에 형성된 침술훈련용 피부패드(110)는 피부의 질감을 고려하여 탄성을 갖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해 형성된다. 피부패드(110)는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복된 시침으로 손상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각 층마다 탈착 및 부착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리콘 층(S) 사이에 전도성을 갖는 탄소섬유층(C)은, 사용자가 침술훈련용 피부패드(110)를 실습침(400)으로 찔렀을 때, 실습침(400)이 삽입되는 깊이가 감지된다. 도 4와 같이, 피부패드 내부의 C1 내지 C3의 탄소섬유층(C)은 실리콘 층(S) 사이 사이에 단계적으로 적층되며, 시침 시 탄소섬유층(C)에 접촉되었을 때 느껴지는 감각의 차이를 통해 시침 깊이가 인식된다. 이러한 반복 훈련을 통해 사용자는 침을 찌르는 압 내지 힘에 따른 침의 삽입깊이를 손 감각으로 익힐 수 있게 되어, 시침 기능을 개선시켜 보다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CBT와 연계되었을 때는, 실습침(400)의 삽입깊이를 탄소섬유층(C)과의 통전을 단계별로 감지하여 외부화면의 알림(미도시) 등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실리콘 층(S)은 피부조직과 대응되게 구성되며, 예컨대 피부(S1), 피하(S2), 근막(S3), 근육내 침감 조직(S4)과 같이 구분하도록 배치되고, 단계적으로 적층된 각 탄소섬유층(C1, C2, C3) 과의 통전을 감지하여 시침이 인체조직의 어느 위치까지 이루어졌는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실습침(400)이 C1 탄소섬유층에 접촉하게 되면 시침깊이가 피부(S1)를 찌르고 피하(S2)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습침(400)이 C2 탄소섬유층에 접촉하게 되면 피부와 피하(S2)를 찌르면서 근막(S3)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시침 깊이 확인이 감각과 동시에 영상이나 알림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되므로, 사용자는 시침의 정확한 위치뿐만 가압에 따른 시침의 깊이를 감각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시술을 익히게 된다.
도 1 및 5를 통해 본 발명의 암파트(200)를 설명한다. 암파트(200)는 몸체부(100)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메인암(210)과 메인암(210)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확장암(220)으로 이루어진다. 암파트(200) 일단부에는 카메라부(300)가 결합되는 데, 일반적인 PC캠, 웹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를 통해 피부패드(110) 상의 시침 상태가 촬영되어, 침의 정확한 시술 위치,방향,각도가 감지 된다. 시침 동작이 가급적 느릴수록, 높은 해상도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실습침이 적정 거리에 있을 경우에 근접시킬수록 촬영 정밀도 및 시술 정보가 더욱 정확하게 감지된다. 본 발명의 경우 카메라와 실습침의 근접거리가 20~30cm에서 가장 정확도가 높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암파트(200)를 구성하는 메인암(210)과 확장암(22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부(300)의 촬영위치와 각도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시침위치와 카메라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시술동작으로 인해 촬영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암파트(200)의 위치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촬영의 정밀도를 높여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침의 기본원리에 입각하여, 침을 찌르는 각도와 침을 움직이는 방식에 대한 반복적인 훈련과 잘못된 시술 방식을 교정하기 위하여, 상술한 카메라부(300)를 이용해 침술훈련용 피부패드(110) 상측의 시침 공간을 감지 촬영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인의 시술동작을 외부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바로 확인하여 시침깊이와 시침각도를 실시간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여 본인의 시침형태를 사후 관찰해 볼 수도 있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기존의 올바른 시침자세 영상과 대비해가며 자세를 교정하여 시침 숙련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암파트(200)는 절첩 작동에 의해 길이조절되어 접혔을 시 몸체부(100)측편에 수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메인암(210)과 확장암(220)을 서로 겹쳐지도록 접어주면 외부로 돌출된 암파트(200)가 몸체부(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첩되어 수납이 이루어지므로 휴대 및 보관과정에서 암파트(200)나 카메라부(300)가 노출되어 간섭이 발생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암파트(200)가 확장되었을 때 연결된 카메라부(300)가 침술훈련용 피부패드(110)상의 정확한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확장암(220)의 최대 확장 각도를 제한하여 선회각도를 조정해주는 스토퍼(220a)가 형성된다.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220a)는 메인암(210)가 확장암(220)의 힌지 결합부에 형성되어 작동 반경을 제한해주는 것으로 암파트(200)를 최대한 펼쳤을 때 메인암(210)과 확장암(220)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각도정렬의 기준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확장암(2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힌지결합부에 스토퍼(220a)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메인암(210)과 본체부(100)의 연결부나, 확장암(220)과 카메라부(300)의 연결부와 같이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추가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습침(4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촬영된 영상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시침위치, 각도데이터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에 촬영된 시침각도 및 위치와 피부패드(110)에 감지된 시침위치 및 삽입깊이와 같은 데이터를 취합하여 감지의 정밀도를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의 실습침(400)은 침부(410), 파지부(420), 감지부(430) 및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원공급부(4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침부(410)는 실습침(400)의 아래 부분에 구비되어 피부패드(110) 깊숙히 찌를 수 있도록 길고 짧은 길이가 다양하게 구비된다.
상기 실습침(400)의 중간에 파지부(42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상부에는 패턴이 표시된 감지부(430)가 구비된다. 상기 패턴은 원형패턴(430a)과 가이드패턴(430b) 및 패턴문양(430c)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8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40)는 피부패드(110)와 접촉시 통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실습침 상단에 부착하여 탄소섬유와 접촉시 더욱 민감하게 미세 전기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로 수은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AG9 1.5V 규격을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습침(400)은, 상술한 도 4의 실리콘 재질의 가상 피부조직사이에 삽입된 전기전도를 갖는 탄소섬유 필름과 통전하여, 실습침에서 흐르는 미세전류가 시침의 깊이를 아주 미세하게 감지하여 깊이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또 아래 도 8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원형패턴(430a)과 가이드패턴(430b) 및 패턴문양(430c)를 카메라부(300)가 촬영하여 실습침(400)의 시침형태 판독이 이루어지게 되며, 감지부(430)에 표현된 각 패턴의 기울어짐이나 왜곡을 판독하여 시침방향 및 각도감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카메라부(300)의 감지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a)는 카메라부(300)에 비춰지는 감지부(430)가 완전 원형패턴(430a)을 보이는 것으로서, 가이드패턴(430b)을 구성하는 가로 세로선이 기울어짐 없이 실습침(400)이 수직방향(직교)으로 시침된 상태이다.
도 8(b)는 감지부(430)의 원형패턴(430a)이 타원형과 같이 가이드패턴(430b)의 가로 세로선이 경사진 상태로서, 실습침(400)이 도 8(a)의 상태에서 왼쪽으로 회전되며 기울어진 시침 상태로 카메라부(300)가 감지한다.
도 8(c)는 원형패턴(430a)의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는 것은 도 8(b)와 동일하나 패턴상에 표현된 사각과 삼각형의 패턴문양(430c)이 도 8(a)나 8(b)와는 반대방향에 위치됨에 따라 실습침(40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진 상태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원형패턴(430a)의 타원형상이 더욱 좁게 나타나는 것을 통해 실습침(400)의 각도가 크게 기울어진 상태인 것을 감지한다.
이처럼 일측에 배치된 카메라부(300)에서 촬영되는 과정에서 실습침(400) 일단부의 감지부(430)에 표시된 패턴이 실습침(400)의 각도에 따라 다른 형태로 비춰지게 되면, 카메라부(300)에 연결된 제어부가 패턴의 변형, 왜곡을 판독함으로써 시침의 방향과 각도, 회전여부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정확한 자세와 시술방법을 동시에 익힐수 있게 된다.
도 9에서는 몸체부(100)가 각종 케이블과 실습침(400)의 보관을 위한 수납부(100A)를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수납부(100A)는 도 9(a)와 같이 몸체부(100) 자체를 개폐가능한 커버로 사용하는 수납구조를 형성하거나,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100) 일측에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여 개폐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시뮬레이터 같은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USB케이블이나 다양한 실습침(400)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휴대성 및 사용편의성을 크게 개선해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100 : 몸체부 110 : 침술훈련용 피부패드
200 : 암파트 210 : 메인암
220 : 확장암 300 : 카메라부
400 : 실습침 410 : 전원공급부
430 : 감지부 430a : 원형패턴
430b : 가이드패턴 430c : 패턴문양

Claims (17)

  1. 침술훈련용 피부패드(110)가 구비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파트(200);
    상기 암파트(200) 일단부에 결합된 카메라부(300);
    상기 피부패드(110)를 찌르면서 통전하는 실습침(400);을 포함하여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피부패드(110)는 매트형상으로 피부조직과 유사하도록 상이한 밀도의 실리콘 층(S)들이 적층 형성되고, 각 실리콘 층(S) 사이에 탄소섬유층(C)이 배치되며,
    상기 피부패드(110)에는 격자모양의 기준선(110a)이 구비되고,
    상기 피부패드의 기준선은 시뮬레이터 화면 상의 기준선과 일치하여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술 훈련기구는 인체 경혈 정보가 저장된 외부 시뮬레이터와 연동되어 시침이 화면장치 상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뮬레이터는 한국한의약진흥원이 개발한 침술 CBT(Computer Based Train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패드(110)는 각 층별로 교체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훈련기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파트(200)는 몸체부(100)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메인암(210)과 메인암(210)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확장암(2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암파트(200)는 절첩 작동에 의해 길이조절되어 접혔을 시 몸체부(100)측편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암파트(200)는 확장시 카메라부(300)의 감지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확장암(220)의 선회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2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300)는 실습침(4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시침위치, 시침각도를 추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300)와 실습침(400)의 거리를 20~30cm 범위 내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카메라부(300)를 이용해 피부패드(110) 상에 실습침과 시술동작이 촬영되어, 시침깊이와 각도를 실시간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1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습침(400)은 상부에 패턴이 표시된 감지부(4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430) 패턴의 왜곡률에 따라 시침방향 및 각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습침(400)의 상단부에 전원공급부(4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수납부(100A)가 일체로 구비되어 개폐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술 훈련기구.
KR1020200160642A 2020-11-26 2020-11-26 침술 훈련기구 KR10233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642A KR102330972B1 (ko) 2020-11-26 2020-11-26 침술 훈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642A KR102330972B1 (ko) 2020-11-26 2020-11-26 침술 훈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972B1 true KR102330972B1 (ko) 2021-12-02

Family

ID=7886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642A KR102330972B1 (ko) 2020-11-26 2020-11-26 침술 훈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9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1365A (ja) * 2011-03-01 2012-09-20 Morita Mfg Co Ltd 医療用実習模型、医療用実習装置および実習管理システム
KR101530983B1 (ko) * 2014-02-13 2015-06-30 (주)온새메디 수지침 시술 교육 장치
KR20160096513A (ko) * 2015-02-05 2016-08-16 최건 복수개의 카메라 촬영을 이용한 모의 수술 장치
KR101855461B1 (ko) * 2017-10-24 2018-05-04 (주)포위즈시스템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자동 니들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3492A (ko) * 2018-12-14 2020-06-24 아주통신(주) 혼합현실을 이용한 침술 훈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침술 훈련방법
JP2020531866A (ja) * 2018-02-08 2020-11-05 サザン・ユニバーシティ・オブ・サイエンス・アンド・テクノロジーSouther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ファイバ温度検知ベースの可撓性電子皮膚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1365A (ja) * 2011-03-01 2012-09-20 Morita Mfg Co Ltd 医療用実習模型、医療用実習装置および実習管理システム
KR101530983B1 (ko) * 2014-02-13 2015-06-30 (주)온새메디 수지침 시술 교육 장치
KR20160096513A (ko) * 2015-02-05 2016-08-16 최건 복수개의 카메라 촬영을 이용한 모의 수술 장치
KR101855461B1 (ko) * 2017-10-24 2018-05-04 (주)포위즈시스템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자동 니들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531866A (ja) * 2018-02-08 2020-11-05 サザン・ユニバーシティ・オブ・サイエンス・アンド・テクノロジーSouther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ファイバ温度検知ベースの可撓性電子皮膚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73492A (ko) * 2018-12-14 2020-06-24 아주통신(주) 혼합현실을 이용한 침술 훈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침술 훈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674B2 (en) Vascular-access simulation system with ergonomic features
US6773263B2 (en) Medical simulator
D'Alonzo et al. Vibrotactile stimulation promotes embodiment of an alien hand in amputees with phantom sensations
Pfeiffer et al. Let your body move: a prototyping toolkit for wearable force feedback with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US5405357A (en) Acupressure glove device
CN103971574B (zh) 超声引导肿瘤穿刺训练仿真系统
Antfolk et al. Design and technical construction of a tactile display for sensory feedback in a hand prosthesis system
EP1426026A1 (en) Computer-aided automatic vital acupuncture point alignment and electronic acupuncture system
US20080312718A1 (en) Skin Stimulation Device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a Skin Stimulation Location
US20140063003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ducing 2D Representations of 3D Pain and Stimulation Maps and Implant Models on a Clinician Programmer
D’Alonzo et al. HyVE—hybrid vibro-electrotactile stimulation—is an efficient approach to multi-channel sensory feedback
Newport et al. Links between vision and somatosensation: Vision can improve the felt position of the unseen hand
CN103341232A (zh) 智能理疗仪
EP3019138B1 (en) Guiding means for administering acupuncture and other healing procedures
US11322048B2 (en) Ultrasound-guided medical tool insertion simulators
CN104485047A (zh) 一种针灸模拟系统和方法
Nabeel et al. Vibrotactile stimulation for 3D printed prosthetic hand
CN112071149A (zh) 一种可穿戴式医学仿真穿刺技能训练系统及方法
Aung et al. A novel upp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with self-driven virtual arm illusion
van Elk et al. The effect of limb crossing and limb congruency on multisensory integration in peripersonal space for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KR102330972B1 (ko) 침술 훈련기구
Robineau et al. Guiding the surgical gesture using an electro-tactile stimulus array on the tongue: A feasibility study
EP2325827A1 (en) Medical simulator with injection device
US20220270514A1 (en) Providing training and assessment of physiatrics and cosmetics processes on a physical model having tactile sensors, using a virtual reality device
CN203555944U (zh) 全方位穴位辨识及针灸器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