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154B1 -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154B1
KR102330154B1 KR1020210076305A KR20210076305A KR102330154B1 KR 102330154 B1 KR102330154 B1 KR 102330154B1 KR 1020210076305 A KR1020210076305 A KR 1020210076305A KR 20210076305 A KR20210076305 A KR 20210076305A KR 102330154 B1 KR102330154 B1 KR 10233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information
server
vi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최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재 filed Critical 최영재
Priority to KR102021007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은 위반기준에 관한 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위반기준에 관한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승인요청정보에 대응한 승인정보, 및 위반기준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입력된 위반기준 및 이에 대응하는 정보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위반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Control system and method uppon vehicle in violation}
본 발명은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gns)의 발달로 모바일에서도 자동차를 제어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차량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으며, 미리 연계된 스마트폰(smartphone)에 의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거나 공조장치를 열거나 차문을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해졌다.
한편, 종래 위반차량에 대한 조치는 위반 내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취하여졌다. 예를 들어, 아파트 내 주차공간에서 외부차량이 허가 없이 주차하는 경우 주차위반 스티커를 차량 전면 유리에 부착하였다. 예를 들어, 자동차세 등 자동차와 관련된 각종 세금을 내지 않은 자동차에 대하여 자동차 번호판을 영치하기도 하였다.
차량운행에 있어 위반의 모습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데, 관리 내지 제재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공간내에 주차권리를 가지고 있으나 2개의 주차면에 걸쳐 주차를 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협조요청 외에는 적절한 제재규정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 위반차량에 대한 제재가 인력, 시간,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된다는 점을 고려하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반차량에 대한 제재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은 차량의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승인요청정보에 대응한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설정된 위반기준 및 이에 대응하는 정보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위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위반차량에 대하여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은 시동, 시동잠금, 트렁크 열림, 창문열림, 창문잠금, 문열림 및 문잠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된 차량에 대하여 제어를 해제할 수 있는 조건에 관한 해제조건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해제조건에 대응하는 제어해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족하는 경우 차량에 대한 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위반기준은 차량에 관한 세금의 장기 체납여부이며, 상기 제어명령은 시동잠금, 창문잠금, 문잠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위반기준은 차량의 주차면 침범이며, 상기 제어명령은 시동 및 문열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해제조건은 차량에 관한 요금의 완납이며, 상기 제어해제관련정보는 상기 위반차량의 위반내용과 관련된 요금 결제 정보일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기준에 관한 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위반기준에 관한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승인요청정보에 대응한 승인정보, 및 위반기준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입력된 위반기준 및 이에 대응하는 정보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위반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위반차량에 대하여 제어명령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명령은 시동, 시동잠금, 트렁크 열림, 창문열림, 창문잠금, 문열림 및 문잠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반차량에 대한 제재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은 서버(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은 입출차처리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한 정보의 처리, 통신,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서버(100)는 설정 정보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단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된 2 이상의 서버(serv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서버는 각각의 기능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그 일부 기능을 외부 서버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때 서버(100)는 그 처리 기능 중 일부를 외부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는 다른 사업자 또는 법인이 소유하거나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서버(100)는 입출차처리장치(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휴대단말(300) 및 차량(400) 중 적어도 하나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출차처리장치(200)는 차량(400)의 입출차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차량(400)의 입출차와 관련된 정보의 처리를 위해, 입출차처리장치(200)는 차량(400)번호 판독(LPR, License Plate Recognition)수단, 터치스크린, 카드 삽입부와 같은 결제처리와 관련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차처리장치(200)는 차량(400)의 입출차 경로에 차단바를 내리거나 올리는 차단바 및 차단바의 제어수단을 포함하거나 이들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이들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입출차처리장치(200)는 차량(400)이 입차할 경우 종이로 된 방문증을 발급하는 방문증 발급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차처리장치(200)는 서버(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출차처리장치(200)는 휴대단말(300) 및 차량(400) 중 적어도 하나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휴대단말(300)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무선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단말(300)은 차량(400)과 인터넷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수단, 또는 유에스비(USB) 단자에 의한 유선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휴대단말(300)은 입출차처리장치(200)와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휴대단말(300)은 미리 차량(400)에 등록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휴대단말(300)에는 본 발명의 일부 단계에 대한 수행을 위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단말(300)은 적어도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부, 표시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400)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부, 표시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400)은 휴대단말(300)과 인터넷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수단, 또는 유에스비(USB) 단자에 의한 유선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차량(400)은 휴대단말(300)의 등록을 설정된 조건 하에서 허용할 수 있다.
차량(400)은 인터넷 접속 및 통신기능을 자체적으로 보유하여 서버(100) 및 입출차처리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300)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송수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S201단계에서, 서버(100)는 기준정보를 입력받는다.
기준정보는 서버(100)에 구비된 입력부, 서버(100)에 접속될 수 있는 컴퓨터(PC) 및 서버(100)에 접속될 수 있는 휴대단말(300)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기준정보는 차량(400)의 위반을 관리하여야 하는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기준정보는 위반기준에 관한 정보, 제어전제조건에 관한 정보, 제어해제조건에 관한 정보, 제어유형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위반기준에 관한 정보는 차량(400)이 법에서 정해진 규정을 위반하거나, 특정 구역 내에서 정해진 규칙을 위반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속도제한 위반, 단순 통과 목적으로 주차장 게이트 이용, 자동차세를 지정기일까지 납부하지 않아 체납한 경우, 과태료를 미납한 경우, 지정된 주차구역에 주차되지 않은 경우, 주차면을 침범하여 주차한 경우 및 미등록 방문차량(400)의 장기주차인 경우에 각각 위반기준에 관한 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정보 또는 수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예시한 위반사유는 그 중 어느 하나가 목록화 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수반된 수치(예를 들어, 주차면 침범 비율, 체납일, 장기주차 시단)가 입력되도록 인터페이스가 서버(100)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이하의 정보 입력에서도 같다).
제어전제조건은 위반차량을 제어하는 데 있어데 필요한 전제조건으로서 시간적, 공간적 조건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과태료 체납과 같은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400)이 특정 주차시설 내에 있는 경우(입출차 게이트에 의하여 시설 내에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차량(400) 제어의 전제조건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400)의 과태료 체납일이 3달 이상인 경우를 차량(400) 제어의 전제조건으로 할 수 있다.
제어해제조건은 차량(400)이 제어되었을 때, 이를 해제할 수 있는 조건이다.
예를 들어, 차량(400)의 주차료 미납으로 인하여 차량(400)이 제어되었을 경우 주차료 납부를 제어해제조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료 납부여부에 관한 정보는 제어해제조건에 관한 정보가 된다.
제어유형에 관한 정보는 위반 차량(400)에 대하여 어떠한 제어를 수행할 지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제어유형은 시동, 시동잠금, 차량의 속도 제한, 공조 제어, 트렁크열림, 창문열림, 창문잠금, 문열림 및 문잠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형은 위반기준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각각 다르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기 체납 차량(400)에 대응하여 시동잠금이 제어유형에 관한 정보로 입력될 수 있으며, 주차면 위반 차량(400)에 대응하여 시동 및 문열림이 제어유형에 관한 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S203단계에서, 서버(100)는 제어전제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전제조건을 만족하면 S205단계로 진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S213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차량(400)이 주차시설 내로 진입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시설의 입출구에는 입출차처리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출차처리장치(200)가 제어전제조건과 관련된 정보인 입출차 정보를 생성하게 되므로 제어전제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는 입출차처리장치(200)에 의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입출차처리장치(200)로부터 차량(400)의 입차 및 출차 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통하여 제어전제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차량(400)의 체납일이 3개월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서버(100)와 연계된 외부서버(예를 들어, 국세청과 정보가 연계된 차량의 세금을 관리하는 서버)에 의하여 체납일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5단계에서, 서버(100)는 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한다. 승인요청정보는 입출차처리장치(200)에 의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승인요청정보는 차량(400)에 송신될 수도 있고, 차량(400)과 연결된(예를 들어, 블루투스 페어링(fairing)에 의한 연결을 들 수 있다) 차량(400) 소유주 또는 운행자의 휴대단말(300)에 송신될 수 있다.
송신된 승인요청정보는 차량(400)이나 휴대단말(3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승인요청정보란, 제어전제조건 하에서 차량(4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를 서버(100)가 수행할 수 있도록 승인을 구하는 취지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건물 주차장 내에서, 주차규정 위반 시 귀하의 차량(400) 기능의 일부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동의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문구를 차량(400)이나 휴대단말(300)의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푸시(push)알림 정보일 수 있다. 차량(400)이나 휴대단말(300)의 표시부에는 “동의” 및 “거절”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거절”버튼을 클릭한다면, 서버(100)는 다른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주차관련 시설에 연관된 경우 입차를 거부할 수 있다. 다른 조건은 예를 들어, 보증금의 납부, 주차요금의 선결제 요청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300)의 결제 기능을 통하여 보증금을 납부하거나 주차요금을 선결제한다면 서버(100)는 입차를 허용할 수 있다. 입차가 허용되면 입출차처리장치(200)는 차단바를 올려 차량이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서버(100)는 승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승인정보는 예를 들어, 상술한 “동의”에 관한 정보이다. 승인정보는 “동의”버튼이 클릭됨으로서 차량(400) 또는 휴대단말(300)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S209단계에서, 서버(100)는 위반관련정보를 생성한다.
위반관련정보는 체납기일에 관한 정보의 수신(관련기관의 서버(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과태료 미납 정보의 수신, 주차센서에 의한 주차구역, 주차면에 관한 정보, 미등록 방문차량(400)의 경우 주차 시간, 주차위반 차량(400)의 제보정보(예를들어, 차량(400) 소유자 외의 제3자가 소유한 휴대단말에 의하여 신고될 수 있다)의 수신에 의하여 위반관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211단계에서, 서버(100)는 차량(400)의 위반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100)는 기설정된 위반기준,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위반관련정보에 의하여 차량(400)의 위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반이라고 판단되면, S213단계로 진행하고, 위반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S203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203단계는 어느 단계에서도 되돌아올 수 있다.
위반 여부에 대한 판단은 위반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체납일로부터 지정된 기일까지의 시간이 지난 경우 체납규정에 관한 위반 차량(400)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지정된 주차구역에 주차되지 않은 경우(비장애 남성이 여성전용 또는 장애인 주차장을 이용), 주차면을 침범하여 주차한 경우에 주차구역 또는 주차면에 관한 규정 위반 차량(400)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미등록 방문차량(400)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주차를 유지하는 경우 주차에 관한 규정 위반 차량(400)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위반 차량(400)에 대한 제보(위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를 수신한 경우 해당 규정을 위반한 차량(400)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13단계에서, 서버(100)는 차량(400)에 제어명령에 관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차량(400)을 제어한다.
차량(400)은 제어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시동, 시동잠금, 차량(400) 속도 제어, 공조 제어, 트렁크열림, 창문열림 및 문열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동작될 수 있다.
차량(400)은 권한을 가진 송신장치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기능을 제어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어권한의 식별, 제어명령, 이에 따른 제어의 수행에 관한 프로토콜(protocol)은 차량(400)의 생산자와 서버(100) 운영자의 규약에 의하여 정하여질 수 있다. 위 제어권한은 상술한 승인요청과 이에 대한 승인 정보의 교환에 의하여 설정되며, 암호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어명령은 위반유형과 짝지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미등록 장기주차 차량(400)에 대해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시동잠금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장기 체납 차량(400)에 대해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시동잠금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장기 체납 차량(400)에 대하여 번호판의 영치에 의하여 제재를 하곤 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제어에 관한 승인을 받은 경우 장기 체납 차량(400)의 시동을 잠금으로써 번호판을 영치하지 않고도 운행이 불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주차면 침범 차량(400)에 대하여 시동 및 문열림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1차량(400)이 2주차면에 걸쳐 주차하여 주차공간이 모자란 경우에, 서버(100)는 위반 차량(400)에 시동을 걸고 문을 열 수 있게 하여 관리자가 차량(400)을 제위치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400)이 제위치에 주차되었다면, 서버(100)는 다시 문잠금, 시동꺼짐에 관한 제어명령을 송신하여 제어된 차량(400)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흔치 않은 일이나 도난품이 드렁크 내부에 있다는 정보가 있는 경우 서버(100)는 차량(400)의 트렁크를 열게하는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S215단계에서, 서버(100)는 제어를 받고 있는 차량(400) 또는 그 소유주의 휴대단말(300)에 해제조건안내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를 받고 있는 차량(400)이란 시동잠금과 같이 제어의 해제 없이는 소유주가 정상적인 운행을 할 수 없는 상태의 차량(400)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조건은 주차규정 위반의 경우 벌금 또는 주차료의 지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조건은 장기 체납의 경우 체납된 세금, 과태료의 지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조건은 올바른 주차공간에 재주차일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해제조건에 차량(400)의 운행이 필요한 경우 차량(400)의 제어는 시동잠금이 아닌 창문잠금 등 다른 제재방법에 대응한 제어가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해제조건의 달성여부의 판단을 위하여 서버(100)는 상기의 요금 지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주차면 내 주차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연결되어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S217단계에서, 서버(100)는 차량(400)의 제어해제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해제와 관련된 정보는 제어해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저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금 지불의 경우 결제를 처리하는 외부서버로 부터 결제완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것은 제어해제와 관련된 정보의 생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구역 위반의 경우 지정된 주차구역에 주차된 것에 관한 정보가 제어해제와 관련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해당 차량(400)이 지정된 구역에 주차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와 서버(100)가 통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S219단계에서, 서버(100)는 차량(400)의 제어해제조건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해제조건에 해당되면, S211단계로 진행하고, 해당되지 않으면 S203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주차요금, 과태료, 체납요금에 대한 지불정보로부터 해당 요금이 완납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납요금이 남아있다면 제어해제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요금이 완납되었다면, 제어해제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차량(400)이 지정된 주차구역에 주차되었는 지 여부를 주차센서정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주자구역에 주차되었다면 제어해제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11단계에서, 서버(100)는 차량(400)의 제어를 해제한다.
여기서, 차량(400)의 제어를 해제한다는 의미는 제어 전의 상태로 되돌린다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어명령으로서 시동잠금명령을 송신하였다면 시동이 잠기지 않도록 해제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창문잠금명령을 송신하였다면 창문이 열릴 수 있도록 해제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주차면 침범 차량(400)의 경우,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동 및 문열림에 관한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100)는 이를 해제하기 위하여 시동끔 및 문잠금에 관한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S213단계에서, 서버(100)는 제어승인해제정보를 송신한다.
제어승인해제정보는 서버(100)가 차량(400)의 제어권한을 포기한다는 취지의 정보일 수 있다. 차량(400)은 제어승인해제정보를 수신하면(휴대단말(300)에 의한 간접적 정보수신을 포함한다), 차량(400)에 대한 제어권한이 서버(100)에 주어지지 않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서버
200: 입출차처리장치
300: 휴대단말
400: 차량

Claims (6)

  1. 서버가 주차시설 내로 진입하는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주차시설 내로 진입하는 차량, 상기 차량 소유주의 휴대단말 및 상기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차량의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차량, 상기 차량 소유주의 휴대단말 및 상기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승인요청정보에 대응한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기설정된 위반기준 및 이에 대응하는 정보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위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서버가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명령을 상기 위반차량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승인요청정보는 주차규정 위반을 조건으로 차량의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제어된 차량에 대하여 제어를 해제할 수 있는 조건에 관한 제어해제조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된 차량, 상기 제어된 차량 소유주의 휴대단말 및 상기 제어된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제어된 차량, 상기 제어된 차량 소유주의 휴대단말 및 상기 제어된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해제조건에 대응하는 제어해제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가 상기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족하는 경우 차량에 대한 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반기준은 차량에 관한 세금의 장기 체납여부이며,
    상기 제어명령은 시동잠금, 창문잠금, 문잠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반기준은 차량의 주차면 침범이며,
    상기 제어명령은 시동 및 문열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해제조건은 차량에 관한 요금의 완납이며,
    상기 제어해제관련정보는 상기 위반차량의 위반내용과 관련된 요금 결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방법.
  6. 서버; 및
    주차시설 내로 진입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입출차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위반기준에 관한 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위반기준에 관한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승인요청정보를 상기 주차시설 내로 진입하는 차량, 상기 차량 소유주의 휴대단말 및 상기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고, 상기 차량, 상기 차량 소유주의 휴대단말 및 상기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상기 승인요청정보에 대응한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입력된 위반기준 및 이에 대응하는 정보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위반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명령을 상기 위반차량에 송신하며,
    상기 승인요청정보는 주차규정 위반을 조건으로 차량의 제어 권한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KR1020210076305A 2021-06-11 2021-06-11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3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305A KR102330154B1 (ko) 2021-06-11 2021-06-11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305A KR102330154B1 (ko) 2021-06-11 2021-06-11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154B1 true KR102330154B1 (ko) 2021-11-23

Family

ID=7869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305A KR102330154B1 (ko) 2021-06-11 2021-06-11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39928A1 (en) * 2018-11-07 2020-05-07 The Tire Tag, LLC Tire lock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17A (ko) * 2015-05-04 2016-11-14 (주)델타온 운송차량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20180031983A (ko) * 2016-09-21 2018-03-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을 제어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134143A (ko) * 2017-06-08 2018-12-18 이종선 불법 차량 단속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단속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17A (ko) * 2015-05-04 2016-11-14 (주)델타온 운송차량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20180031983A (ko) * 2016-09-21 2018-03-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을 제어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134143A (ko) * 2017-06-08 2018-12-18 이종선 불법 차량 단속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단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39928A1 (en) * 2018-11-07 2020-05-07 The Tire Tag, LLC Tire lock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63846B (zh) 共享车辆管理方法、服务器、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20188054A1 (en) Remote security entrance application
CN108389429B (zh) 车位共享系统及方法
US20220396200A1 (en) Electronic license plate frame for displaying static and non-static information
US20160042575A1 (en) Automated facility access and paymen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N105405296A (zh) 基于车牌识别的车辆控制进出系统及其方法
US200800774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itation Management
US20190266562A1 (en)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5491133A (zh) 访客智能拜访系统及智能电子访问单的形成方法
WO2002089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a vehicle rental process
CN108492387B (zh) 固定车位管理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234570B2 (ja) 充電システム
CN104331972A (zh) 车辆通行请求发送方法、通行控制方法、通行方法及系统
KR102330154B1 (ko) 위반차량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9061686A5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02288784A (ja) カーレンタルシステム
CN110060427B (zh) 信息系统、信息处理方法及存储介质
US73152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ey programming tokens to a multiple vehicle programming device
KR20170132105A (ko) 사전 예약에 의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380398B1 (ko)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문차량 관리방법
KR20190142065A (ko) 드라이브스루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3141A (ko) 카트 대여 장치 및 방법
WO2017061051A1 (ja) 駐車予約システム
CN113470219A (zh) 一种车载T-Box及其使用方法
KR102397303B1 (ko)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