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303B1 -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303B1
KR102397303B1 KR1020210111985A KR20210111985A KR102397303B1 KR 102397303 B1 KR102397303 B1 KR 102397303B1 KR 1020210111985 A KR1020210111985 A KR 1020210111985A KR 20210111985 A KR20210111985 A KR 20210111985A KR 102397303 B1 KR102397303 B1 KR 102397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authentication
management server
vi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지스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지스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지스웨이
Priority to KR102021011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01F13/06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은 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및 방문일시가 포함된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차량이 입차할 때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입출차정보처리부; 및 응대자 단말의 근접 동작(tag)에 의하여 상기 응대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근접정보처리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system of managing visiting vehicle}
본 발명은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번호판인식(LPR, License Plate Recongnition) 장치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의 번호를 인식한 후 출입을 제한하거나 입차 및 출차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차량번호판인식 장치는 최근 아파트단지나 상업시설 같이 많은 수의 입주자 및 방문자를 대상으로 입차, 출차를 관리하기 위해서 적용되고 있다. 차량번호인식 장치는 차량의 입출구 게이트(gate)에 설치되며 입주자의 차량번호를 미리 등록하여 두고 차량번호판인식 장치가 인식한 차량번호가 등록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면 게이트를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한편, 방문차량은 입주자 차량과 같은 방식으로 관리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다. 방문차량의 입출입을 자유롭게 허용하면 입주자들의 주자공간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는 방문차량에 방문호수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장치를 설치하고 방문차량이 방문호수를 입력하면 일단 게이트 통과를 허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방문자가 실제로 입력된 주소지에 방문하였는 지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예를 들어, 입주민이 현재 거주지가 아닌 다른 장소에 머물러 있다고 하여도 입주민의 주소지에 방문한 것처럼 하여 부정주차를 하는 것을 막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방문자는 해당 건물에 방문하기 위하여 입주자와 개별적으로 연락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중앙 현관에는 자동으로 잠기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아파트 중앙 현관을 출입할 때 입주자에게 연락하고, 개별호실에 도착 시에 다시 연락하거나 초인종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차량을 이용한 방문과 관련하여 종래 존재하였던 다양한 불편한 점을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문 예약으로 인한 게이트 출입의 편의성 뿐만 아니라 인증정보를 활용하여 중앙현관 출입 등 부가적 편의성도 제공하는 한편 부정한 입출차 차량을 등록하여 주차시설을 무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문차량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은 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및 방문일시가 포함된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차량이 입차할 때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입출차정보처리부; 및 응대자 단말의 근접 동작(tag)에 의하여 상기 응대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근접정보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예약정보에 대응하는 입차 차량에 대하여 상기 응대자 단말에 방문인증요청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근접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대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방문에 대한 인증으로 판단하며, 상기 인증여부에 대응하여 출차처리방법 및 입차거부 차량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은 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및 방문일시가 포함된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차량이 입차할 때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입출차정보처리부; 및 응대자 단말의 근접 동작(tag)에 의하여 상기 응대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근접정보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방문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예약정보에 대응하는 입차 차량에 대하여 상기 응대자 단말에 방문인증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응대자 단말이 촬영부를 통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의 표시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여부를 판단하여 출차처리방법 및 입차거부 차량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은 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및 방문일시가 포함된 예약정보를 수신하고 입차거부 차량을 등록하는 관리서버;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차량이 입차할 때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입출차정보처리부; 및 응대자 단말의 근접 동작(tag)에 의하여 상기 응대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근접정보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방문차량이 입차거부 차량에 대당하는 경우 상기 응대자 단말에 임시인증요청을 송신한 후, 상기 근접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대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임시인증으로 판단하며, 상기 임시인증여부에 대응하여 입차처리방법 및 출차처리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임시인증의 횟수가 기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입차거부 차량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증정보는 설정 시간 범위 내에서만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은 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및 방문일시가 포함된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차량이 입차할 때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입출차정보처리부; 및 QR코드 판독수단 및 포스장치(POS, Point of Sale)를 포함하는 개별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방문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개별관리 장치는, 상기 QR코드 판독수단을 통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의 표시부로부터 획득한 인증정보를 결제정보와 연동하고,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여 주차요금 할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문 예약으로 인한 게이트 출입의 편의성 뿐만 아니라 인증정보를 활용하여 중앙현관 출입 등 부가적 편의성도 제공하는 한편 부정한 입출차 차량을 등록하여 주차시설을 무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을 휴대 단말을 통하여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을 휴대 단말을 통하여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입차 차량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방법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방법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방법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방법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은 입출차정보처리부(100) 및 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은 방문자 단말(300), 응대자 단말(400), 근접정보처리수단(500), 출입통제장치(600) 및 개별관리장치(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통신부(110), 근거리통신부(120), 차량인식부(130), 촬영부(140), 제어부(150), 표시부(160), 발급부(170), 차단부(180) 및 차단바(185)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입차 게이트(gate) 혹은 출차 게이트(gate)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입출차정보처리부(100)가 설치된 입차 게이트에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나타낸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관리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설정에 따라 방문자 단말(300) 또는 응대자 단말(400)과 무선 네트워크에 의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120)는 방문자 단말(300) 또는 응대자 단말(400)이 기설정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통신을 위한 다른 통신수단으로도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120)는 차량 소유자의 방문자 단말(300) 또는 응대자 단말(400)이 장치에 근접하면,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fairing) 과정을 통하여 방문자 단말(300) 또는 응대자 단말(40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근거리통신부(120)는 방문자 단말(300) 또는 응대자 단말(400)로부터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단말 소유자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 방문 호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120)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식별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통신부(120)는 입차 차량에 대하여 방문자 단말(300)로부터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120)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제공하면 제어부(150)는 차량인식부(130)가 인식한 차량번호와 비교하여 차량번호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통신부(120)의 수신정보에 맞추어 인식된 차량정보가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인식된 차량정보와 근거리통신부(120)에 의해 수신된 정보가 현저히 다르다면(예를 들어 50%이상), 제어부(150)는 차량인식부(130)에 의하여 인식된 정보를 우선하여 입차 차량에 대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차량번호 뿐만아니라 차량의 운행자에 관한 정보(차량인식부(130)로는 식별할 수 없고, 근거리통신부(120)가 수신하는 방문자 단말(300)이 제공하는 정보로부터 식별될 수 있다)를 모두 차단부(180)를 제어하는 조건에 관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번호는 입차거부 차량정보로 등록되어 있지 않아 차단대상이 아니나 방문자 단말(300)의 소유주가 입차거부 차량의 운행자였던 경우 제어부(150)는 차단부(180)를 동작하지 않음으로써 입차를 거부할 수 있다.
차량번호와 차량의 소유주 또는 방문자 단말(300)의 소유주에 관한 정보는 관리서버(200)에 제공되고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차량인식부(130)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의 번호를 판독하여 차량번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판독된 차량번호는 또한, 통신부(110)를 통하여 관리서버(200)에 제공될 수 있다.
촬영부(140)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40)는 입차차량의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40)는 방문자 단말(300)에 표시된 인증정보(예를들어, QR코드)를 읽어들이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 근거리통신부(120), 차량인식부(130), 촬영부(140), 표시부(160), 발급부(170) 및 차단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지시정보에 대응하여 차단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제어부(150) 자체적으로 수집되는 정보에 따라 차단부(18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차단부(18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차단바(185)를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특정 차량에 관하여 입차거부 차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차 차량에 대한 정보가 입차거부 차량에 관한 정보에 대응한다면 입차를 거부할 수 있다. 제어부(150)가 입차를 거부하는 것은 제어부(150)가 차단부(180)를 제어하여 차단바(185)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근거리통신부(120)를 제어하여 방문자 단말(300)에 방문호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방문자 단말(300)로부터 이를 수신한 후 관리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의 운전자가 창문을 열고 손을 뻗어서 터치(touch)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시각적 정보의 표시와 터치에 의한 제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60)는 방문호실에 대한 질의 정보를 표시하고, 방문호실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표시부(160)는 방문증 발급 선택 정보를 표시하고, 방문증 발급 선택 승인 또는 거절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표시부(160)는 예약방문의 인증 또는 차량번호 인식 오류를 보완하기 위하여 인증정보 제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60)는 인증정보 중 하나인 QR코드에 의한 인증 내지 입력을 요청하면서 표시된 QR코드가 촬영부(140)에 의하여 탐색될 수 있는 영역을 화면에 점선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300)의 소유자는 방문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수신한 QR코드를 표시한 후 촬영부(140)를 향하여 적절한 각도 및 거리에 디스플레이부를 위치시킴으로써 QR코드를 입출차정보처리부(100)에 인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식의 QR코드 인증을 촬영인증으로 부르기로 한다.
위 예시에서, QR코드는 방문자에 관한 정보, 방문호실에 관한 정보 및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차량번호 인식의 오류가 생긴 경우 QR코드 정보에 의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다. QR코드 정보에 의한 차량번호에 관한 정보 보완방식은 상술한 근거리통신부(120)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보완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일부 인식 오류는 QR코드의 차량번호 정보로 대체할 수 있고, 상당부분 정보가 다른 경우 차량인식부(130)로부터 제공된 차량정보를 우선할 수 있다. 물론,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인식이 아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QR코드에 의한 차량번호 정보를 입차차량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발급부(170)는 발급용 인쇄지와 이를 지지하고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발급부(170)는 입차 차량의 소유자가 방문증 발급을 원하거나 방문 대상 건물 시스템 정책상 방문증 발급이 강제되는 경우 종이에 방문에 관한 정보를 인쇄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방문증에는 상술한 인증정보에 해당하는 QR코드, 출입통제장치(600)에 대한 인증정보, 개별관리장치(700)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문증에는 건물 내 특정 업체의 상품 또는 서비스 대한 할인권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발급부(170)에서 방문증이 출력되어 나오는 것(좌측)과 방문증이 도시되었다.
관리서버(200)는 입출차정보처리부(100), 방문자 단말(300), 응대자 단말(400), 근접정보처리수단(500), 출입통제장치(600) 및 개별관리장치(700) 각각과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인터넷에 의한 접속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일반적인 관리서버와 클라우드 관리서버(cloud server)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가 아니더라도 관리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위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관리서버(200)는 단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물리적인 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관리서버(200)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네이게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클라우드 서버와 협업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200)는 링크정보를 외부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링크정보는 방문예약과 관련된 인터넷 웹(web)페이지, 방문예약을 도와줄 수 있는 휴대 단말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받을 수 있는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란 예를 들어, SNS관리서버(200)(국내 서비스 예로 카카오톡),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국내 서비스 예로 T-map)일 수 있다. 외부 서버에 방문예약과 관련된 링크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큰 편의성을 제공한다. 방문예정인 방문자는 일반적으로 SNS 대화를 통하여 방문지 주소를 확인할 수 있고 네이게이션을 통하여 방문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방문자는 방문지 주소만 확인하면 이에 연계된 링크를 통하여 방문예약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의 좌측은 방문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네이게이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방문지가 검색된 화면이다. 이 때, 화면에는 방문지 주소를 안내하는 버튼과 방문예약 링크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2의 우측은 방문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방문예약 페이지 혹은 방문예약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방문예약 화면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방문자는 방문장소(연계된 링크에 관련정보에 의해 자동입력될 수 있다), 방문일시, 방문목적, 체류시간, 방문호실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차량의 소유주 및 차량번호에 관한 정보의 입력을 부가적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이들은 회원가입을 통하여 미리 입력받을 수도 있다.
관리서버(200)는 방문자 단말(300)로부터 예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약정보는 상술한 방문일시, 방문목적, 체류시간, 방문호실, 차량의 소유주 및 차량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예약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예약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응대자 단말(400)에 송신할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은 이에 대응하여 예약정보를 승인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예약이 승인되면 관리서버(200)는 방문자 단말(300)에 인증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예약이 거절되면 관리서버(200)는 방문자 단말(300)에 예약불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의 좌측은 응대자 단말(400)에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예약정보 확인요청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 것이다. 예약정보는 방문호실, 입차예정시간 및 출차예정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정보 확인요청은 푸시알림(push)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의 소유자는 예약승인을 할 수 있거나 거절할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의 소유자는 예약승인에 부대하여 승인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승인옵션은 예약을 확인함과 동시에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인옵션은 중앙현관 출입을 위한 정보, 사무실 출입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은 방문자 단말(300)에 인증정보 및 부가정보가 함께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인증정보는 QR코드로 표시되었으며, 적어도 차량번호 및 방문호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아래에는 사무실 출입용 비밀번호가 표시되었다. 사무실 출입용 비밀번호는 방문에 대응하는 시간(예를 들어, 방문 전 10분으로부터 방문 후 1시간)에만 유효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적어도 사무실 출입통제 장치(예를들어, 도어락)가 개별관리장치(700)로서 관리서버(200)와 통신될 수 있어야 한다. 그 아래에는 바코드가 표시되어 있다. 바코드는 중앙현관의 출입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중앙현관의 출입통제수단은 출입통제장치(600)로서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며 관리서버(200)의 관리를 받을 수 있다. 출입통제장치(600)는 바코드 스캐너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코드 스캔 후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앙현관의 출입방법으로 바코드를 통한 인증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비밀번호, 상기 QR코드에 의하여 인증후 출입할 수도 있다. 즉, 인증정보로서 QR코드는 건물 게이트 뿐만 아니라 중앙현관의 출입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앙현관의 출입통제장치(600)에는 QR코드 스캔을 위한 촬영수단 및 표시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주로 중앙현관 출입문이 통제되는 아파트나 빌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QR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출입 게이트에서의 인증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아파트 중앙현관의 출입용으로도 동시(방문과 관련된 시간 내에)에 사용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관리서버(200)는 입출차정보처리부(100)로부터 입차 또는 출차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입차 또는 출차 차량에 관한 정보는 이력정보로서 저장 및 갱신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방문자 단말(300)로부터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 및 차량의 소유주 또는 운행자에 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예약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가 입차거부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응대자 단말(400)에 임시인증요청을 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임시인증여부에 대응하여 입차처리방법 및 출차처리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대자 단말(400)의 소유자는 근접정보처리수단(500)에 응대자 단말(400)을 태그 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증행위를 할 수 있고, 이 경우, 관리서버(200)는 응대자 단말(400) 및 근접정보처리수단(500)에 의한 인증을 확인하고 임시차단해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임시차단해제정보를 입출차정보처리부(10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이를 수신하는 경우, 입차거부 차량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당회에 한하여 차단부(180)를 제어하여 게이트를 통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입차예정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범위에서 근접정보처리수단(500)에 의한 인증을 확인하는 경우에 이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임시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방문증을 발급하는 조건으로 입차를 허용하고, 주차요금 정산을 조건으로 출차를 허용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200)는 응대자 단말(400)로부터 방문지 주소의 건물에 대한 입주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이는 물론, 반드시 응대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응대자 단말(400)의 소유자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을 매개로 하여 관리서버(200)에 입주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고 방문예약과 관련된 제반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차량의 입차시에 관리서버(200)는 입출차정보처리부(100)로부터 입차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방문호실의 응대자 단말(400)에 상술한 임시인증요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위 임시인증요청은 태그(tag) 요청정보일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근접정보처리수단(500)으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태그정보는 응대자 단말(400)이 근접정보처리수단(500)에 근접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 정보로서, 응대자 정보, 응대자의 호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정보는 입차거부 차량의 등록을 해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방문호실에 대한 방문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관리서버(200)는 태그정보를 수신한 후 방문호실의 태그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출차정보처리부(100)에 제공할 수 있다.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태그여부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출차 차량에 대한 차단부(180)의 제어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입차 차량이 방문한 호실에 대응하는 태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차단바(185)를 제어하여 출차차량을 통과시킬 수 있다.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태그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차단바(185)를 열지 않도록 제어하며, 미인증 횟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차단바(185)는 주차요금의 정산 등을 거쳐서 열어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미인증 횟수에 관한 정보는 물론, 관리서버(200)측에서 생성 및 처리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200)는 미인증 횟수가 기설정 횟수보다 큰 경우 입차거부 차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인증 횟수란 실제 방문이 인증을 통하여 확인되지 않은 횟수에 관한 것이며 실제 방문 인증에 관한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
입차거부 차량정보는 방문 이후 동일 차량이 입차 시 별도 인증 없이 게이트를 통과할 수 없도록 차단부(180)를 제어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인증 횟수가 3회를 초과한 경우 해당 차량은 입차거부 차량으로 등록될 수 있다. 해당 차량은 이후 방문지 게이트에 진입 시 별도의 인증 없이는 입차가 거부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방문호실에 관한 정보만 제공하면 상대적으로 쉽게 입차가 허용되는 아파트 출입 게이트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실제 방문을 하지 않으면서 무단으로 입출입하려는 차량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입차거부 차량의 등록은 다음의 방법으로 해제할 수 있다. 입차 시점에서 방문호실에 대응하는 응대자가 설정 횟수 이상(예를 들어, 3회. 해제를 위하여 3회 이상의 실제 방문이 필요) 임시방문인증을 처리하는 경우 입차거부 차량의 등록이 해제될 수 있다. 임시방문인증의 처리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입차거부 차량의 등록을 해제하기 위한 임시방문인증은 방문인증과는 구별될 수 있다. 임시방문인증은 입차 게이트의 통과를 위한 것으로, 방문인증은 실제 방문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특정 차량에 관하여 입차시간, 출차시간, 차량의 방문호실에 관한 정보, 응대자의 방문인증여부, 입차거부 차량정보 등록 이후 방문인증 횟수, 미인증 횟수, 입차거부 차량정보 등록 이후 임시방문인증 횟수, 차량 소유주에 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차량 소유주에 관한 식별정보란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서버를 통하여 서비스 이용 회원가입 시 입력되는 아이디(ID) 정보일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식별정보를 통하여 미리 입력받은 이름, 연락처,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300)은 방문자가 소유하고 이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과 같은 휴대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방문자 단말(300)은 방문자의 입력을 통하여 방문예약에 관한 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300)은 본 발명과 연계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되는 링크정보를 통하여 방문예약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정보 입력의 인터페이스로 기능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300)은 인증정보를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QR코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정보가 간단하다면 바코드로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숫자, 문자로도 표시될 수 있다. 인증정보는 차량번호,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방문자 단말(300)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방문호실에 대한 정보, 방문자 체류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300)이 지문인식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지문인증에 관한 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지문인증에 관한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중앙현관의 출입 또는 개별호실의 출입시 인증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방문자는 중앙현관 출입문을 등록한 지문을 통하여 출입할 수 있고, 개별호실 역시 등록한 지문을 통하여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출입 인증은 물론 방문 시간 범위 내에서 임시로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출입 인증을 위해서 출입통제장치(600) 및/또는 개별관리장치(700)는 지문인식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은 응대자가 소유하고 이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과 같은 휴대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응대자는 방문자가 방문하는 호실에 거주하는 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산업시설의 경우 사무실에 거주하는 자, 아파트의 경우 개별호실에 거주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은 예약정보 확인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응대자는 예약정보 확인요청을 보고 방문예약을 승인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응대자는 방문예약을 승인하면서 승인옵션 버튼을 클릭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부가적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응대자 단말(400)은 방문자 단말(300)에 대하여 촬영부를 통하여 상술한 촬영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방문자가 QR코드를 방문자 단말(300) 화면에 표시하고, 응대자 단말(400)이 촬영부(카메라)로 이를 인식하여 인증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다. 이는 방문인증 방법 중 하나의 실시예이다. 이러한 인증과정은 도 6b(우측)에 도시되었다. 이 때, 방문자 단말(300)에 표시되는 QR코드는 설정 시간 범위 내에서만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인증요청을 응대자 단말(400)에 송신한 후 방문자 단말(300)에 인증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된 인증정보는 예를 들어, 5분내에 응대자 단말(400)로부터 촬영부를 통하여 인식되어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인증시간이 경과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인증정보가 재요청된 후 다른 QR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로 재발행 될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은 NFC(Near Field Communcation)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NFC 기능을 보유한 응대자 단말(400)은 근접정보처리수단(500)에 근접됨으로써(태그(tag)라고 한다) 응대자 단말(400)에 관한 정보를 근접정보처리수단(500)에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이 과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방문예약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방문인증이 이루어 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방문예약 정보에 대응하는 지 내지 일치하는 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방문시간이 방문예약시 등록된 시간과 일치하는 지(소정의 시간 편차를 설정할 수 있다) 여부 인식된 차량번호와 입차차량의 차량번호의 일치여부에 관한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정보처리수단(500)은 응대자 단말(400)의 근접여부(태그)를 감지하며, 응대자 단말(400)이 근접한 경우 응대자 단말(400)의 소유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의 소유주에 관한 정보는 방문호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과정은 도 6a(좌측)에 도시되었다.
근접정보처리수단(500)은 응대자 단말(400) 및 방문자 단말(300)에 대응하는 정보를 모두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근접정보처리수단(500)은 해당 정보를 모두 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실제 방문이 이루어졌는 지에 대한 판단을 강화하는 요소로 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는 입출차정보처리부(100)로부터 수신된 응대자 단말(400)에 관한 정보에 이에 연계된 방문정보, 근접정보처리수단(500)으로부터 수신된 응대자 단말(400) 및 방문자 단말(300)에 관한 정보로부터, 차량번호, 방문호실, 방문자 및 응대자에 관한 정보의 상호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실제 방문이 이루어졌는 지 여부(방문인증으로 처리될 수 있다)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방문인증 여부에 대응하여 출차처리방법 및 입차거부 차량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방문인증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수신된 정보들로부터 실제 방문을 인정할 수 없는 경우(방문인증 정보가 없거나 불일치 하는 경우), 방문차량이 출차 시 곧바로 출차할 수 없도록 입출차정보처리부(100)가 차단부(180)를 제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요금의 결제 등 부가적 행위에 의하여 출차 게이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방문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횟수가 기설정횟수보다 큰 경우 해당 차량을 입차거부 차량으로 등록할 수 있다.
출입통제장치(600)는 관리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하여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출입통제장치(600)는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 문과 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출입의 인증수단은 지문, 비밀번호, 바코드 및 QR코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위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출입 인증수단도 정보 처리에 따른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개별관리장치(700)는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인증정보를 판독하거나 입력받아 이와 연관된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를 통칭하기 위하여 명명되었다. 예를 들어, 개별관리장치(700)는 개별호실의 출입문 제어수단(도어락 등), 식당에 설치되는 주문 또는 방문자 기록용 태블릿, 포스장치(POS, Point of Sa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관리장치(700)는 인증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지문인식수단, 바코드 판독수단, QR코드 판독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문차량 관리방법은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관리서버(200) 및 입출차정보처리부(100))구성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방문차량 관리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 시스템에서 서술되는 관리 방법과 관련된 기술적 사상은 당연히 관리 방법에도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S100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예약정보의 입력을 매개하는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정보를 기록 내지 등록한다. 관리서버(200)는 SNS서비스 제공서버 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서버에 방문예약 시스템에 관한 링크정보를 제공함으로 방문예약 시스템을 제공하는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연관서버는 SNS,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위치정보가 검색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의성을 제공할 것이다. 즉, 링크정보는 적어도 방문지의 주소 정보를 정보 서비스로 제공하는 서버의 저장장치에 기록될 수 있다.
S110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예약정보를 수신한다. 예약정보는 방문일시, 방문목적, 체류시간, 방문호실, 차량의 소유주 및 차량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정보는 방문자가 방문자 단말(300)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방문자 단말(300)이 관리서버(200)로 방문에 관한 예약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S120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예약정보를 확인한다. 예약정보의 확인은 단지 응대자 단말(400)에 대하여 예약정보를 송신하는데 그칠 수 있고, 응대자 단말(400)에 대하여 예약에 대한 승인 또는 거절을 구하는 취지의 요청을 할 수도 있다.
도 8은 예약정보 확인 단계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S121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응대자 단말(400)에 예약정보 확인요청을 송신한다. 예약정보 확인요청은 예약에 대한 승인 또는 거절을 구하는 취지의 정보가 응대자 단말(4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정보이다. 예약정보 확인요청은 푸시알림(push)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약정보의 확인요청은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 방문일시, 방문목적, 체류시간에 대한 정보와 승인옵션, 예약승인 또는 거절에 대한 선택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은 이에 대응하여 예약을 승인하거나 거절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승인 시 승인옵션을 부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승인옵션은 중앙현관 출입을 위한 정보, 개별호실 출입을 위한 임시 비밀번호와 같은 부가 정보에 대하여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정보는 인증정보와 함께 방문자 단말(300)에 송신될 수 있도록 관리서버(200)에 제공된다.
S123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승인정보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승인정보가 수신된다는 것은 응대자가 예약을 승인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승인정보가 수신되면 S130단계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으면(예약이 거절되거나 선택자체를 하지 않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200)는 응대자 단말(400)이 예약정보 확인요청에 대하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시간) 내에 어떠한 선택도 하지 않는 경우 예약 거절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S125단계로 진행한다.
S125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방문자 단말(300)에 예약이 불가하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 또는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예약의 승인 또는 거절 정보에 대응하여 게이트의 제어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약이 거절되는 경우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방문증의 발급을 조건으로 차단부(180)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S130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방문자 단말(300)에 인증정보를 송신한다. 인증정보는 QR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정보가 간단하다면 바코드, 숫자, 문자 등의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인증정보는 차량번호,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방문자 단말(300)(차량 소유자와 다를 수도 있다)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방문호실에 대한 정보, 방문자 체류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인증정보에 부대하여 응대자가 선택한 부가 정보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중앙현관 출입을 위한 인증수단, 임시적 사무실 출입 비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300)은 인증정보 및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표시부(디스플레이)에 인증정보 및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300)에 인증정보 및 부가정보가 표시된 것은 도 3의 우측에 도시되었다.
S140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차량번호판을 스캔하여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생성한다. 차량번호의 인식은 상용화된 LPR(lisense plate recognition) 기술을 적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S150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차량번호 인식에 있어 오류가 발생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식의 오류는 차량번호가 아예 읽히지 않는 경우, 일부만 판독되는 경우, 번호가 다른 번호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번호가 다른 번호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는 관리서버(200)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번호 중 인식된 차량번호가 없는 경우에 오류로 판단할 수 있다.
인식오류로 판단되면, S160단계로 진행하고, 인식오류로 판단되지 않으면 S180단계로 진행한다.
S160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표시부(160)에 인증요청정보를 표시한다. 인증요청정보란 인증정보를 제시하는 취지의 정보를 포함한다. 표시부(160)에 인증요청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촬영인증을 위하여 촬영부(140)를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있다. 방문자는 방문자 단말(30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촬영인증을 할 수 있다.
S170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인증정보를 확인한다.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인증정보로부터 차량번호,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방문자 단말(300)(차량 소유자와 다를 수도 있다)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방문호실에 대한 정보, 방문자 체류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S160~S170단계를 통하여 획득된 차량번호에 관한 정보는 차량인식부(130)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와 비교될 수 있다. 인식된 차량번호와 동일하면 그 차량번호를 입차 차량정보로 저장하고, 다를 경우 미리 설정된 규칙에 의하여 입차 차량정보로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차량번호가 일부 인식되지 않았으며 인식되지 않은 번호와 획득된 차량번호가 일치하면 획득된 차량번호를 입차 차량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번호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었으나 획득된 차량번호의 숫자 또는 문자가 2개 이상 다르다면 인식된 차량번호를 우선하여 입차 차량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S160~S170단계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160단계는 입출차정보처리부(100)가 근거리통신부(120)를 통하여 방문자 단말(300)에 페어링 요청 및 인증정보의 무선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S170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하여 수신된 인증정보를 통하여 량번호, 차량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방문자 단말(300)(차량 소유자와 다를 수도 있다) 소유자에 대한 정보, 방문호실에 대한 정보, 방문자 체류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S180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표시부(160)에 방문증 발급여부를 선택하라는 취지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위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방문증을 발급 받으시겠습니까?”와 같은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S190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발급부(170)를 통하여 인증정보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인쇄된 방문증을 출력하여 배출한다. 방문자는 인쇄된 방문증을 수령하고 활용할 수 있다. 도 5에는 방문증의 출력(좌측)과 인쇄된 방문증(P)이 도시되었다.
S200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입차거부차량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입차거부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에 대하여는 부가적인 행위 없이는 입차를 허용하지 않을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인 행위는 방문증의 발급 또는 응대자의 방문확인 등의 인증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입차거부차량여부를 확인 단계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S201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인식된 차량번호가 입차거부 차량으로 등록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이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관리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입차거부 차량인 경우 S203단계로 진행하고, 입차거부 차량이 아닌 경우 S210단계로 진행한다. 입차거부 차량에 대한 판단 결과는 관리서버(200)로 제공될 수 있다.
S203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응대자 단말(400)에 임시인증요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임시인증요청정보란 방문자가 응대자의 호실에 방문한다는 것을 확인한다는 취지의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임시인증요청은 개별호실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 근접정보처리수단(500)에 응대자 단말(400)을 태그해야 한다는 요청일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의 소유자는 이와 같은 요청을 확인한 후 거주 호실에 설치된 근접정보처리수단(500)에 응대자 단말(400)을 근접시킴으로써 방문을 확인한다는 취지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 6a(좌측)에 도시되었다.
응대자 단말(400)은 임시인증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S205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임시인증정보를 수신한다. 관리서버(200)는 임시인증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입출차정보처리부(100)로 하여금 차단바(185)를 고정시켜 회차를 유도하거나 주차요금의 부과를 조건으로(표시부(160)에 표시하거나 음성출력으로 이러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입차를 허용하는 등의 대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미리 정하여진 건물 내규 정책에 따를 수 있다.
S207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임시인증횟수가 기설정 횟수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 S207단계는 임시인증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이면 입차거부차량의 등록을 해제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임시인증횟수가 설정횟수보다 큰 경우 S209단계로 진행하고, 작은 경우 S210단계로 진행한다.
S209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입차거부 차량정보를 해제한다. 입차거부 차량정보가 해제되면, S203단계 내지 S205단계에 해당하는 임시인증 과정없이 차량의 입차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횟수는 2회일 수 있다. 즉, 임시인증횟수가 3회이상이면 입차거부 차량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
S203단계 내지 S205단계의 인증방법에 비하여, 스마트폰으로 방문 확인 버튼의 클릭과 같은 더 간단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방법은 실제 방문 목적 외의 무단 주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다소 번거로운 인증과정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차단부(180)를 제어하여 차단을 해제하여 방문차량의 입차를 허용한다. 물론, S200단계에서의 임시인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차단부(180)를 제어하여 입차를 허용하지 않거나 주차비 정산을 조건으로 입차를 허용할 수도 있다.
한 편, S210단계는 방문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하여 예약정보와의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차정보처리부(100)는 예약정보와 차량번호의 대응여부에 따라 게이트 통과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정보 중 인식된 차량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방문증을 발급을 조건으로 게이트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S220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인증정보의 활용 내역을 처리한다.
도 10은 인증정보의 활용 단계에 대한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좌측은 건물 내 불특정 다수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에서 실시될 수 있는 활용예이다. 예를 들어, 음식점에 설치된 단말은 관리서버(200)와 연결되어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음식점에 설치된 단말은 개별관리장치(700)의 예시로 한다.
S221단계에서, 개별관리장치(700)는 QR 체크인을 요청한다. 방문자는 촬영인증을 통하여 방문에 관한 인증정보를 개별관리장치(7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에는 방문자 단말(300) 소유자에 대한 이름, 연락처, 주소 등의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방문차량의 차량번호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매장 방문 이력과 함께 주차요금 할인의 기초정보로도 활용될 수 있다.
S222단계에서, 개별관리장치(700)는 인증정보를 수신한 후 결제정보와 연동한다. 결제정보와의 연동은 방문자가 착석한 테이블 정보, 주문내역에 관한 정보를 인증정보와 관련시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223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개별관리장치(700)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개별관리장치(700)는 이미 방문자로부터 상품/서비스에 대한 결제요청 및 결제를 마치고 그 결과에 관한 정보가 생성된 것을 가정한다. 개별관리장치(700)는 결제서비스를 위하여 포스기능을 구비하거나 포스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S224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결제정보에 대응하여 주차 할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건물 내 주차시간에 비례하여 주차요금을 부과한다면, 관리서버(200)는 결제 금액에 따라 주차 할인 공제 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만원 결제시 1시간 무료, 5만원 결제시 2시간 무료주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요금 할인정보는 출차 시 주차요금 정산시 활용될 수 있다.
도 10의 우측은 중앙현관 출입 및 개별호실 방문을 위하여 실시될 수 있는 활용예이다. 예를 들어, 아파트 공동현관에 관리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출입통제장치(60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가 건물에도 출입을 위한 출입통제장치(600)가 설치된 중앙현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리서버(200)는 미리 인증정보를 공동 출입문의 임시개폐수단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인증정보는 출입통제장치(600)에 설치된 출입문을 개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출입통제장치(600)는 방문자 단말(30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정보에 대신하여 부가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인증정보의 수신은 상술한 촬영인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정보의 수신은 바코드의 스캔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된 인증정보는 관리서버(200)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출입통제장치(600)가 자체적으로 S226단계를 처리할 수도 있다.
S226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현관잠금 해제정보를 생성한다. 현관잠금 해제정보는 인증정보가 유효한 것이므로 출입을 허용한다는 취지의 정보이다. 출입통제장치(600)는 현관잠금 해제정보를 수신하면 출입문을 개방하여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S227단계에서, 개별관리장치(700)는 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정보에 대신하여 부가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인증정보의 수신은 상술한 촬영인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정보의 수신은 바코드의 스캔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227단계에서, 개별관리장치(700)는 개별호실에 설치된 출입문에 부설된 스마트 도어락(smart door lock)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려면 QR코드 스캔, 바코드 스캔 또는 비밀번호 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스마트 도어락이 부설되어야 할 것이며, 관리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여야 한다. 스마트 도어락의 통신 기능은 사물 인터넷(IoT) 기술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수신된 인증정보 또는 부가정보는 관리서버(200)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개별관리장치(700)가 자체적으로 S228단계를 처리할 수도 있다.
S228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개별호실잠금 해제정보를 생성한다. 개별호실잠금 해제정보는 인증정보가 유효한 것이므로 출입을 허용한다는 취지의 정보이다. 개별관리장치(700)는 개별호실잠금 해제정보를 수신하면 스마트 도어락을 개방상태로 제어하여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S230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응대자 단말(400)에 방문인증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한 방문인증 정보를 수신 내지 생성한다. 방문인증 정보는 설정된 규칙에 따라 인증행위가(이하, 방문인증행위) 이루어진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인증행위는 개별호실 내에 설치된 근접정보처리수단(500)에 응대자 단말(400)을 태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행위는 도 6a(좌측)에 도시되었다. 물론, 이러한 방문인증행위는 미리 예약된 방문 시간에 대응하는 범위 내(체류시간 또는 방문시간 전후 30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부가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문인증행위는 응대자가 방문시간에 개별호실에 위치해야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방문인증단계는 응대자가 부재중임에도 불구하고 방문되는 허위 방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태그 동작에 의하여 응대자 단말(400)에 관한 정보가 근접정보처리수단(500)을 거쳐 관리서버(200)로 제공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이를 수신하여 태그 행위가 이루어졌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근접정보처리수단(500)은 반드시 개별호실 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건물에 특정 위치(예를 들어, 1층 관리실 외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근접정보처리수단(500)은 건물 내부 혹은 인근 카페 등 응대자가 방문자를 실제로 만났을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거리 범위 내에서 설치될 수 있다. 즉, 근접정보처리수단(500)은 개별호실 내부 뿐만 아니라 건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한 거리 범위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위에서 예시한 방문인증행위가 행하여진 위치가 건물을 기준으로 정한 것이라면, 다음의 예시는 사람을 기준으로 정한 것이다.
즉, 방문인증행위는 응대자 단말(400)이 방문자 단말(300)에 대하여 촬영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행위는 도 6b(우측)에 도시되었다. 이러한 방문인증행위에 의하여 실제로 응대자가 방문자를 만났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응대자 단말(400)은 방문자 단말(300)에 표시되는 인증정보를 획득하여 관리서버(200)에 제공하면 인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S240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위반 차량을 관리한다.
도 11은 위반 차량 관리 단계에 대한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위반 차량은 정하여진 규칙에 따라 실제 방문이 이루어지지 않은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실시예에서 위반 차량은 입차된 차량 중에서 상술한 방문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차량일 수 있다.
S241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미인증 횟수가 기설정횟수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설정횟수는 2회일 수 있다. 이 때, 미인증 횟수가 3회이상이면 설정횟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다. 미인증횟수가 설정횟수보다 작으면 S243단계로 진행하고, 크면 S245단계로 진행한다.
S243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해당 차량에 대하여 미인증 횟수를 갱신한다. 미인증 횟수는 차량번호와 연계하여 저장될 수도, 방문자에 대한 정보(방문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와 연계하여 저장될 수도, 각각 저장될 수도 있다.
관리서버(200)는 당해 방문에 대하여 방문인증이 이루어졌다면, 미인증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방문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미인증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S245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입차거부 차량정보를 등록한다.
관리서버(200)는 차량번호 정보를 입차거부 차량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를 입차거부 대상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동일한 방문자가 차량을 바꾸어가며 여러 차례 방문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차량번호와 방문자 각각에 대한 미인증 횟수를 산정하여 어느 하나가 설정횟수 이상인 경우에 입차거부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S201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인식된 차량번호 정보 또는 근거리통신부(120) 내지 촬영부(140)를 통하여 인식된 QR코드로 표시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방문자에 관한 정보가 입차거부 대상이라면 임시인증요청 및 입차거부 차량정보의 관리의 각 단계(S203단계 내지 S09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입출차정보처리부
110: 통신부
120: 근거리통신부
130: 차량인식부
140: 촬영부
150: 제어부
160: 표시부
170: 발급부
180: 차단부
185: 차단바
200: 관리서버
300: 방문자 단말
400: 응대자 단말
500: 근접정보처리수단
600: 출입통제장치
700: 개별관리장치

Claims (6)

  1. 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및 방문일시가 포함된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차량이 입차할 때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입출차정보처리부; 및
    응대자 단말의 근접 동작(tag)에 의하여 상기 응대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근접정보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예약정보에 대응하는 입차 차량에 대하여 상기 응대자 단말에 방문인증요청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근접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대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방문에 대한 인증으로 판단하며,
    상기 인증여부에 대응하여 출차처리방법 및 입차거부 차량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되,
    상기 근접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입차 차량이 방문하는 건물에 설치되며,
    상기 방문에 대한 인증은 미리 예약된 방문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것을 부가 조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2. 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및 방문일시가 포함된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및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차량이 입차할 때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입출차정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방문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예약정보에 대응하는 입차 차량에 대하여 응대자 단말에 방문인증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응대자 단말이 촬영부를 통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의 표시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한 경우 방문에 대한 인증으로 판단하며,
    상기 인증여부에 대응하여 출차처리방법 및 입차거부 차량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되,
    상기 방문에 대한 인증은 미리 예약된 방문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것을 부가 조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입차거부 차량을 등록하고,
    상기 방문차량이 입차거부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응대자 단말에 임시인증요청을 송신한 후,
    상기 근접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대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임시인증으로 판단하며,
    상기 임시인증여부에 대응하여 입차처리방법 및 출차처리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임시인증의 횟수가 기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입차거부 차량정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설정 시간 범위 내에서만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6. 삭제
KR1020210111985A 2021-08-24 2021-08-24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KR102397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85A KR102397303B1 (ko) 2021-08-24 2021-08-24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85A KR102397303B1 (ko) 2021-08-24 2021-08-24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303B1 true KR102397303B1 (ko) 2022-05-12

Family

ID=8159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85A KR102397303B1 (ko) 2021-08-24 2021-08-24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3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428A (ja) * 2003-12-19 2005-07-07 Nec Corp 駐車料金徴収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78036A (ko) * 2012-12-14 2014-06-25 주식회사 이노메트릭스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사전예약 시스템
KR101654784B1 (ko) * 2016-01-27 2016-09-06 주식회사 다누시스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428A (ja) * 2003-12-19 2005-07-07 Nec Corp 駐車料金徴収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78036A (ko) * 2012-12-14 2014-06-25 주식회사 이노메트릭스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사전예약 시스템
KR101654784B1 (ko) * 2016-01-27 2016-09-06 주식회사 다누시스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423B1 (ko) 모듈형 신분증 이송 기술이 적용된 신분증 보관식 출입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US9424699B2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CN105405296B (zh) 基于车牌识别的车辆控制进出系统及其方法
KR101654784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KR101229333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출입 인증 방법
JP6081859B2 (ja) 入退域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域管理方法
KR101945688B1 (ko)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관리 방법
EP3584769A1 (en) Improved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ontrolling access of persons into restricted areas
CN112571413B (zh) 部署机器人安全护送者以增强企业安全性的系统和方法
JP6808277B2 (ja) 来訪者入場管理システム
JP3804532B2 (ja) 通行制御装置
US10553050B1 (en) System to register users to pre-authorize them to enter preselect locations
KR101513172B1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사전예약 시스템
EP3971847A1 (en)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80398B1 (ko)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문차량 관리방법
KR20150096850A (ko) 휴대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입실 검증시스템을 갖는 도서관 좌석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45526B1 (ko)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089360B2 (ja) 設備機器作動システム
KR20170038649A (ko)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0355A (ko) 공동주택 주차관리시스템
KR102397303B1 (ko)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KR20170132105A (ko) 사전 예약에 의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WO2021019508A1 (en) Property management systems
JP201109039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