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050B1 -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050B1
KR102330050B1 KR1020210083310A KR20210083310A KR102330050B1 KR 102330050 B1 KR102330050 B1 KR 102330050B1 KR 1020210083310 A KR1020210083310 A KR 1020210083310A KR 20210083310 A KR20210083310 A KR 20210083310A KR 102330050 B1 KR102330050 B1 KR 10233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straw
biodegradab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신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신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신에코
Priority to KR102021008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25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로서, 터치스크린이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Extrusion device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straws}
본 발명은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음용을 위한 음료용 빨대는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등으로 제조되는 합성수지재 빨대는 완전히 분해하는데 수백 년의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각종 합성수지 제품의 원료는 가공성, 내구성, 기계적 성질, 대량 생산성이 우수하여 천연소재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재질로 각광을 받고 있고 합성수지를 응용한 고분자물질들이 개발되 면서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물품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일회용 합성수지재 제품, 예컨데 음료용 컵이나 음용수 용기 등은 사용 후 수거하여 세척 과정 등 전처리 과정을 거쳐 재활용 가능할 수 있으나, 빨대와 같은 경우에는 내부를 세척하는 것이 어려워, 재활용되는 경우보다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빨대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용융하여 수지화한 후에 재생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빨대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의 종류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재생산을 위한 분류 작업 자체가 어렵고, 상당한 비용이 수반되어 그대로 폐기 처분하여 매립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재활용되는 비율이 현저히 낮은 빨대의 경우, 각 국의 정부에서 종이 빨대로의 대체 생산을 유도하고 있으며 이를 법제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법률 규제 방침 및 시행 계획에 따라 생산업체 또는 빨대의 수요처가 되는 업계 등에서는 종이 빨대로 대체하기 위한 대응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기존의 합성수지재 빨대에서 종이 재질로의 빨대 대체를 위한 기술 내용 중의 하나로, 대한민국에 등록된 특허 제10-0515685호인 '음료용 종이빨대'가 개시되어 있다.
한 선행기술의 종 이빨대는 그 구성을 적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측과 하측의 직경을 달리하며 구형돌출부를 갖는 등 구성적 요소가 번잡하고 제조하기 위한 방법등이 제시되고 있지는 않으나, 제조시 상당한 코스트가 발생될 수 있음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
또한 종이를 이용하여 외측 파이프, 내측 파이프를 구성하고 내측 파이프의 상하측에 각각 내측 구형돌출부를 구성하는 등 구성상 제조 과정이 상당히 복잡하고 작업의 신속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문제점을 일시에 해소하고, 일회용 빨대를 종이 빨대로 대체하는 것과 달리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용 후 친환경적인 생분해가 가능하도록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화석연료 기반으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이하 pbat이라 함)원료를 이용하여 압출된 빨대를 냉각하므로서 일회용 빨대를 얻을 수 있는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는, 터치스크린이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는, 주입되는 원료인 pbat이 주입되고, 주입된 pbat을 이용하여 생분해성 빨대를 압출하는 압출부; 및 상기 압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출부는,일단을 통해 상기 pbat이 주입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빨대 굵기사이즈에 따라 pbat의 점도를 조절하여 상기 생분해성 빨대를 제조하는 제조부; 상기 제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조부에 의하여 점도가 조절된 상기 생분해성 빨대에 1차 압력을 가하는 제1 압출관; 상기 제1 압출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 압출관에 의하여 압출된 상기 생분해성 빨대에 2차 압력을 가하여 상기 생분해성 빨대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2 압출관; 및 상기 제2 압출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 압출관에 의하여 외형이 형성된 상기 생분해성 빨대에 3차 압력을 가하여 상기 생분해성 빨대의 내형 및 외형을 형성하는 제3 압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압출관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빨대 굵기사이즈에 따라 상기 생분해성 빨대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두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분해성 빨대는, 상기 제3 압출관으로부터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의 인입부로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입부는, 외측 모서리에 상기 관통부를 세척하는 세척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인입부 세척 시 용이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회전지지대; 상기 인입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대 상단에 일정한 각도로 연장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세척본체; 및 상기 세척본체로부터 상기 인입부 세척 시 흘러내리는 이물질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세척본체와 상기 회전지지대 사이에 판체로 결합되어 있는 오염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척본체는, 연장 형성된 상단에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단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프레임; 상기 인입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세척되도록 다수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원통 형상으로 집합된 후 일단을 가열 압착하여 다수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하나로 결합되면서 결합판이 다수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세척부; 및 상기 회전세척부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프레임에 끼움되어 선회 작동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원터치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하부 외주연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세척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회전세척부가 결합되는 세척부프레임이 교체 시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홈은, 상기 세척부프레임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세척부프레임이 상기 본체프레임에 안착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판은, 상기 세척부프레임의 결합턱에 걸림 결합된 후, 상기 결합턱과 상기 본체프레임 사이 공간에서 상기 회전세척부가 사용자의 세척 동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척부프레임은, 중앙으로 상기 회전세척부가 끼움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입부 측을 문질러 세척이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홈은, 직경이 상기 회전세척부가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세척부의 전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턱은, 상기 회전세척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삽입홈을 통해 끼움 결합된 후, 상기 결합판이 걸림 안착되어 상기 삽입홈 외측으로 회전세척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 하측으로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턱은, 상기 회전세척부의 상기 결합판이 결림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세척부 전체가 상기 삽입홈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본체프레임 사이 공간이 상기 결합판이 회전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는, 터치스크린이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는, 일정한 굵기사이즈로 압출되는 pbat을 원료로 한 생분해성 빨대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하강하는 이물질을 수용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상단 타측에 위치하며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빨대가 일단으로부터 관통되어 타단 방향으로 이송하는 인입부;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입부를 통과한 상기 빨대가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되며 타단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 통과부;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과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통과부를 통과한 상기 빨대가 타단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롤러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제2 통과부; 및 상기 인입부, 상기 제1 통과부 및 상기 제2 통과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인입부, 상기 제1 통과부 및 상기 제2 통과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빨대의 굵기사이즈를 다수 개 출력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입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빨대의 굵기사이즈에 따라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빨대가 관통하는 관통부; 및 비어 있는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통과부의 일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 가능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동력부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상기 동력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고, 중앙이 패여 있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패여 있는 중앙에 상기 빨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입부는, 외측 모서리에 상기 관통부를 세척하는 세척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인입부 세척 시 용이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회전지지대; 상기 인입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대 상단에 일정한 각도로 연장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세척본체; 및 상기 세척본체로부터 상기 인입부 세척 시 흘러내리는 이물질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세척본체와 상기 회전지지대 사이에 판체로 결합되어 있는 오염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척본체는, 연장 형성된 상단에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단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프레임; 상기 인입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세척되도록 다수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원통 형상으로 집합된 후 일단을 가열 압착하여 다수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하나로 결합되면서 결합판이 다수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세척부; 및 상기 회전세척부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프레임에 끼움되어 선회 작동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원터치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하부 외주연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세척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회전세척부가 결합되는 세척부프레임이 교체 시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홈은, 상기 세척부프레임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세척부프레임이 상기 본체프레임에 안착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판은, 상기 세척부프레임의 결합턱에 걸림 결합된 후, 상기 결합턱과 상기 본체프레임 사이 공간에서 상기 회전세척부가 사용자의 세척 동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척부프레임은, 중앙으로 상기 회전세척부가 끼움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입부 측을 문질러 세척이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홈은, 직경이 상기 회전세척부가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세척부의 전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턱은, 상기 회전세척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삽입홈을 통해 끼움 결합된 후, 상기 결합판이 걸림 안착되어 상기 삽입홈 외측으로 회전세척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 하측으로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턱은, 상기 회전세척부의 상기 결합판이 결림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세척부 전체가 상기 삽입홈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본체프레임 사이 공간이 상기 결합판이 회전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는 일회용 빨대를 종이 빨대로 대체하는 것과 달리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용 후 친환경적인 생분해가 가능하도록 pbat원료를 이용하여 압출된 빨대를 냉각하므로서 일회용 빨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출되는 빨대의 굵기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빨대의 굵기사이즈를 터치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에 사용되는 냉각장치 및 압출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에 사용되는 냉각장치 및 압출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에는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900) 및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100)가 사용된다.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100)는 투입된 pbat 원료를 이용하여 200도 이하의 온도로 설정된 후 생분해성 빨대는 압출할 수 있고,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100)로부터 압출된 생분해성 빨대는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900)의 내부로 이송되어 식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는 터치스크린이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부(5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입력부(500)는 빨대의 굵기사이즈를 다수 개 출력하여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원하는 빨대의 굵기사이즈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100)는 주입되는 원료인 pbat이 주입되고, 주입된 pbat을 이용하여 생분해성 빨대를 압출하는 압출부(190) 및 압출부(1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출부(190)는 제조부(191), 제1 압출관(193), 제2 압출관(195) 및 제3 압출관(197)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부(191)는 일단을 통해 pbat이 주입되고, 입력부(500)에 의해 입력되는 빨대 굵기사이즈에 따라 pbat의 점도를 조절하여 생분해성 빨대를 제조할 수 있다.
제1 압출관(193)은 제조부(191)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제조부(191)에 의하여 점도가 조절된 생분해성 빨대에 1차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압출관(195)은 제1 압출관(193)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제1 압출관(193)에 의하여 압출된 생분해성 빨대에 2차 압력을 가하여 생분해성 빨대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압출관(197)은 제2 압출관(195)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제2 압출관(195)에 의하여 외형이 형성된 생분해성 빨대에 3차 압력을 가하여 생분해성 빨대의 내형 및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압출관(197)은 제어부(150)에 의하여 입력부(500)에 입력되는 빨대 굵기사이즈에 따라 생분해성 빨대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900)는 배출부(910), 인입부(930), 제1 통과부(950), 제2 통과부(970) 및 지지대(99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910)는 일정한 굵기사이즈로 압출되는 pbat을 원료로 한 생분해성 빨대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하강하는 이물질을 수용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인입부(930)는 배출부(910)의 상단 타측에 위치하며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 빨대가 일단으로부터 관통되어 타단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부(930)는 입력부(500)로 입력된 빨대의 굵기사이즈에 따라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빨대가 관통하는 관통부(931)를 포함할 수 있고, 비어 있는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부(9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과부(950)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인입부(930)의 타측에 위치하여 인입부(930)를 통과한 빨대가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되며 타단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2 통과부(970)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통과부(950)의 타측에 위치하여 제1 통과부(950)를 통과한 빨대가 타단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롤러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롤러부는 제2 통과부(970)의 일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 가능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971),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이 동력부(971)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동력부(971)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부(975), 회전부(975)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회전부(975)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고, 중앙이 패여 있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패여 있는 중앙에 빨대가 안착되는 안착부(979)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990)는 인입부(930), 제1 통과부(950) 및 제2 통과부(970)의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인입부(930), 제1 통과부(950) 및 제2 통과부(97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900)는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 가능하게 형성되는 세척모듈(80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세척모듈(800)은 회전세척부(850)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의 일부 교체 또는 세척본체 전체를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 가능하게 형성하여 회전세척부(850)의 재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일부를 교체함에 따라 자원절약과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지지대(810), 세척본체(830), 오염방지부(89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대(810)는 인입부(930) 청소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지지대는 장식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다양하게 디자인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회전지지대(810)의 하단에는 사용에 따라 인입부의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인입부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연결부(810')가 형성될 수 있다.
세척본체(830)는 인입부(930)를 세척하기 위해 인입부(93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회전지지대(810) 상단에 일정한 각도로 연장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입부(930)에 대응시켜 문질러 세척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세척본체(830)가 손잡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는 형태로 절곡된 것은 인입부(930)를 청소할 때, 세척본체(830)를 통해 이물질이 회전지지대(810)쪽으로 흘러내려 배출부(910) 또는 인입부(930)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본체(830)는 본체프레임(831), 회전세척부(850), 세척부프레임(8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831)은 후술되는 회전세척부(850)가 결합되는 세척부프레임이 교체 시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세척 사용 시에는 견고히 고정되어 받침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연장 형성된 상단에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단 내측으로 결합홈(83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833)은 후술되는 세척부프레임의 결합돌기가 걸림 결합되어 세척부프레임이 본체프레임(831)에 안착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세척부(850)는 인입부(93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세척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다수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원통 형상으로 집합된 후, 일단을 가열 압착하여 다수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하나로 결합되면서 결합판(851)이 다수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판(851)은 후술되는 세척부프레임의 결합턱에 걸림 결합된 후, 결합턱과 본체프레임 사이 공간에서 회전세척부(850)가 사용자의 세척 동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부프레임(870)는 전술한 회전세척부(850)를 결합하여 본체프레임(831)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본체프레임(831)에 끼움되어 선회작동에 따라 전술한 결합홈(833)에 원터치 결합되도록 결합돌기(871)가 세척부프레임 하부 외주연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부프레임(870)의 중앙으로 전술한 회전세척부(850)가 끼움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인입부(930) 측을 문질러 세척이 가능하도록 삽입홈(87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873)의 직경은 전술한 회전세척부(850)가 삽입홈(873)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전체 직경이 회전세척부(850)의 전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턱(875)은 앞서 상술한 회전세척부(850)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홈(873)을 통해 끼움 결합된 후, 결합판(851)이 걸림 안착되어 삽입홈(873) 외측으로 회전세척부(850)가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홈(873) 하측으로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턱(875)은 전술한 회전세척부(850)의 결합판(851)이 걸림되어 회전함에 따라 회전세척부(850) 전체가 삽입홈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작동관계를 위해 결합턱(875)과 본체프레임(831) 사이 공간이 결합판(851)이 회전하는데 간섭되지 않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턱(875)과 본체프레임(831) 사이 공간과 직경이 회전하고자 하는 범위보다 너무 크게 형성되면 결합판(851)에 일체로 연속 형성된 회전세척부(850)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크게 형성된 간극으로 인해 휘거나 변형 내지는 결합판(851) 자체가 이탈될 수 있고, 결합턱(875)과 본체프레임(831) 사이 공간과 직경이 작게 형성되면 결합판(851)이 끼이게 되어 회전 자체가 힘들어 이 또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의 변형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세척부프레임(870)에 결합된 회전세척부(8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회전세척부(850)의 결합판(851)이 결합턱(875) 내에서 선회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회전세척부(850)의 선회작동은 단순히 고정된 형태의 회전세척부(850)에 의한 세척 효율보다 더 증대될 수 있다.
즉, 선회되는 회전세척부(850)의 선회력과 접촉되어 단지 문지르는 작용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단순히 문지르기만 하는 경우에는 회전세척부(850)의 탄성력에 의해 이물질이 인입부(930)로부터 떨어져 세척되는 것으로, 떨어지면서 다시 그 자리에 안착되거나 고착되는 경우가 발생되지만 문지름과 회전력을 동시에 적용하게 되면 문질러 떨어지는 이물질을 회전력에 의해 인입부(930) 외측으로 이탈시키게 되어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세척부(850)의 선회 작동에 따라 인입부(930)의 배출공 등에 회전세척부(850)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세척 시 걸림이나 끼임 등으로 인한 브러쉬의 변형을 선회 작동되는 회전 유동을 통해 쉽게 통과부 등으로부터 이탈시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세척부프레임(870)가 본체프레임(831)에 걸림 결합 시 걸림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결합홈(833)에는 돌출홈(835)이 더 형성되고, 결합돌기(871)에는 돌출홈(835)에 결합되는 돌출부(87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홈(835)과 돌출부(877)는 수평선상으로 회전하여 걸림되는 결합홈(833)과 결합돌기(871)에 수직선상으로 다시 걸림되는 돌출홈(835)과 돌출부(877)를 둠으로써, 결합홈(833)과 결합돌기(871)의 사용자의 외력이 발생되지 않는 한 걸림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오염방지부(890)는 세척본체(830)로부터 인입부(930) 세척 시, 흘러내리는 이물질이 손잡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 손이 오염되지 않고 청소가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극대화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세척본체(830)와 회전지지대(810) 사이에 판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한 본 발명에 따른 교체사용이 가능한 브러쉬모듈(800)은 인입부(930) 청소 시, 회전세척부(850)가 선회 작동되어 보다 편리하게 인입부(930)의 세척이 가능하여 세척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후, 계속해서 세척하다보면 인입부(930)의 온도와 사용자의 세척 강도에 의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로 형성된 회전세척부(850)가 변형되어 휘거나 구부러져 더 이상 회전세척부(850)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교체를 할 수 있다.
우선, 세척부프레임(870)을 풀림방향으로 선회하여 결합홈(833)에 걸림결합된 결합돌기(871)의 걸림 결합력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홈(833)에 형성된 돌출홈(835)에 걸림 결합된 돌출부(877)의 걸림해제를 1차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는 강하게 세척부프레임(870)을 선회하도록 비틀어 해제하고, 계속해서 선회 작동함으로써, 세척부프레임(870)가 본체프레임(8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손상되거나 변형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를 세척부프레임(870)으로부터 교체하기 위해 사용자는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세척부(850)를 결합턱(875)측으로 밀어 결합판(85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결합판(851)을 잡고 회전세척부(850)를 세척부프레임(870)의 삽입홈(873)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새로운 회전세척부(850)를 앞서 제거한 회전세척부(850)의 역순으로 세척부프레임(870)에 결합한 후, 세척부프레임(870)을 본체프레임(831)에 다시 결합하여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회전세척부(850) 만을 교체하여 다시 재사용이 가능하다.
앞서 상술한 부분은 회전세척부(850)만을 교체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회전세척부(850)가 결합된 세척부프레임을 교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세척부(850) 또는 회전세척부(850)가 결합된 세척부프레임의 교체를 통해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 회전세척부(850) 전체를 새롭게 구매할 필요가 없이 일부만을 구매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고,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와 자원낭비 및 폐기물 발생량이 줄어들어 환경오염에 이바지할 수 있고, 나아가, 이러한 교체방식을 통해 회전세척부(850)의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800)은 세척수가 공급되는 회전연결부(6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600)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배관에 연결된 회전연결구로서, 배관과 연결되도록 상부 내주연에 나사산이 구비된 커넥트부(611), 커넥트부(611)의 하부에 연장되며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산형성부(612)가 구비된 중공의 제1 연결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600)는 제1 나사산형성부(612)와 결합되도록 상부 외주연에 나사산이 구비된 상단체결부(621), 상단체결부(621)의 하부에 연장되며 외주연에 환상의 돌출턱(622a)이 돌출된 연장회전부(622), 연장회전부(622)의 하부에 연장되며 외주연에 결합부재(미도시)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결합홈(623a)이 형성된 하단결합부(623)가 구비된 중공의 제2 회전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600)는 제2 회전부(620)의 외주연에 안착되며, 돌출턱(622a)에 지지되도록 내주연에 축심방향으로 돌출된 환상의 선단형성부(631)가 구비된 중공의 제1 회전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600)는 하단결합부(623)의 외부를 감싸며 제1 회전부(630)와 결합되도록 상부 내주연에 나사산이 구비된 제2 나사산형성부(641), 제2 나사산형성부(641)의 하부에 연장되며 배관과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3 나사산형성부(642)가 구비된 중공의 제2 연결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610)와 제2 연결부(640)의 외면은 조임이 용이토록 육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610)는 제2 회전부(620)의 상단체결부(621)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제2 연결부(640)는 제2 회전부(620)의 외주연에 안착된 제1 회전부(630)와 결합되어 회전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부(620)의 결합홈(623a)에는 결합부재(미도시)가 다층으로 결합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즉, 결합홈(623a)은 하단결합부(623)의 외주연에 환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부(630)는 제2 나사산형성부(641)와 결합되도록 하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커넥트부(632)와, 하부커넥트부(632)와 제2 나사산형성부(641)의 결합 시 조임이 용이토록 상부 외주연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체결부(63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부(630)는 제2 회전부(620)의 돌출턱(622a)의 상부 선단에 선단형성부(631)의 하단부가 지지되며, 하부커넥트부(632)가 제2 나사산형성부(641)와 결합됨으로써, 제2 연결부(640)와 일체로 회동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640)의 내주연은 제2 회전부(620)의 결합부재(미도시)에 밀착됨으로써, 제2 회전부(620)의 외주연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나사산형성부(642)는 하단결합부(623)의 하부 선단이 지지되도록 내주연 상부 선단에 축심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연장부(642a)이 구비됨으로써, 제2 회전부(620)가 제2 연결부(640)의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600)는 제1 연결부(610)는 제2 회전부(620)와 결합되고, 제2 연결부(640)는 제1 회전부(630)와 결합되며, 제2 회전부(620)의 외주연에 제1 회전부(630)가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 결합되게 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부(630)가 제2 회전부(620)의 연장회전부(622)의 외주연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연결부(610)는 제2 회전부(620)의 상단체결부(6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부(630)의 내주연에 구비된 선단형성부(631)가 연장회전부(622)의 외주연에 구비된 돌출턱(622a)에 걸림되어 지지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610)는 제2 회전부(620)의 상단체결부(621)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되며, 제2 연결부(640)의 제2 나사산형성부(641)는 제1 회전부(630)의 하부커넥트부(632)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부(620)에는 하단결합부(623)가 구비되며, 하단결합부(623)에 구비된 다수개의 결합홈(623a)에는 결합부재(미도시)이 안착되며, 결합부재(미도시)의 외주연이 제2 연결부(640)의 내주연에 밀착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제2 회전부(620)는 제1 연결부(610)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제1 회전부(630)는 제2 연결부(640)와 결합되어 회전 시 하단결합부(623)의 결합부재(미도시)이 다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연결부(610)와 제2 연결부(640)의 사이에서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610)는 상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며, 이때, 하부에 배치된 제1 나사산형성부(612)의 내경이 상부에 배치된 커넥트부(611)의 내경보다 작게 구비됨으로써, 세척수의 공급이 용이해지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640)는 제3 나사산형성부(642)의 내주연에 선단연장부(642a)이 구비됨으로써, 제2 회전부(620)가 제2 연결부(640)의 중공을 통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Claims (4)

  1. 터치스크린이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에 있어서,
    주입되는 원료인 pbat이 주입되고, 주입된 pbat을 이용하여 생분해성 빨대를 압출하는 압출부; 및
    상기 압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부는,
    일단을 통해 상기 pbat이 주입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빨대 굵기사이즈에 따라 pbat의 점도를 조절하여 상기 생분해성 빨대를 제조하는 제조부;
    상기 제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조부에 의하여 점도가 조절된 상기 생분해성 빨대에 1차 압력을 가하는 제1 압출관;
    상기 제1 압출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 압출관에 의하여 압출된 상기 생분해성 빨대에 2차 압력을 가하여 상기 생분해성 빨대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2 압출관; 및
    상기 제2 압출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 압출관에 의하여 외형이 형성된 상기 생분해성 빨대에 3차 압력을 가하여 상기 생분해성 빨대의 내형 및 외형을 형성하는 제3 압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압출관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빨대 굵기사이즈에 따라 상기 생분해성 빨대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생분해성 빨대는,
    상기 제3 압출관으로부터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의 인입부로 관통하는,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는,
    외측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생분해성 빨대가 관통하는 관통부를 세척하는 세척모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인입부 세척 시 용이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회전지지대;
    상기 인입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대 상단에 일정한 각도로 연장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세척본체; 및
    상기 세척본체로부터 상기 인입부 세척 시 흘러내리는 이물질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세척본체와 상기 회전지지대 사이에 판체로 결합되어 있는 오염방지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본체는,
    연장 형성된 상단에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단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프레임;
    상기 인입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세척되도록 다수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원통 형상으로 집합된 후 일단을 가열 압착하여 다수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가 하나로 결합되면서 결합판이 다수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브러쉬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세척부; 및
    상기 회전세척부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프레임에 끼움되어 선회 작동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원터치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하부 외주연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세척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회전세척부가 결합되는 세척부프레임이 교체 시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세척부프레임의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세척부프레임이 상기 본체프레임에 안착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결합판은,
    상기 세척부프레임의 결합턱에 걸림 결합된 후, 상기 결합턱과 상기 본체프레임 사이 공간에서 상기 회전세척부가 사용자의 세척 동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프레임은,
    중앙으로 상기 회전세척부가 끼움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입부 측을 문질러 세척이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은,
    직경이 상기 회전세척부가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세척부의 전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은,
    상기 회전세척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삽입홈을 통해 끼움 결합된 후, 상기 결합판이 걸림 안착되어 상기 삽입홈 외측으로 회전세척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 하측으로 단차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은,
    상기 회전세척부의 상기 결합판이 결림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세척부 전체가 상기 삽입홈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본체프레임 사이 공간이 상기 결합판이 회전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크게 형성되는,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KR1020210083310A 2021-06-25 2021-06-25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KR10233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310A KR102330050B1 (ko) 2021-06-25 2021-06-25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310A KR102330050B1 (ko) 2021-06-25 2021-06-25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050B1 true KR102330050B1 (ko) 2021-11-24

Family

ID=7874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310A KR102330050B1 (ko) 2021-06-25 2021-06-25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5073A (zh) * 2022-07-12 2022-10-18 浙江海正生物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乳酸吸管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3246B2 (ja) * 1996-03-07 2007-09-12 豊田合成株式会社 多層ホースの製造方法
KR101145068B1 (ko) * 2010-01-05 2012-05-11 박의권 중력 빨대의 제조 방법과 그에 따른 중력 빨대
KR20160134733A (ko) * 2014-03-13 2016-11-23 마트헤이스 브루흐만스 생분해성 재료들로부터 물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70108372A (ko) * 2016-03-17 2017-09-27 노바다크 테크놀러지즈 인코포레이티드 오염 방지부를 구비한 내강내 삽입기
JP2020188861A (ja) * 2019-05-20 2020-11-26 東洋キャップ製造株式会社 ストロ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3246B2 (ja) * 1996-03-07 2007-09-12 豊田合成株式会社 多層ホースの製造方法
KR101145068B1 (ko) * 2010-01-05 2012-05-11 박의권 중력 빨대의 제조 방법과 그에 따른 중력 빨대
KR20160134733A (ko) * 2014-03-13 2016-11-23 마트헤이스 브루흐만스 생분해성 재료들로부터 물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70108372A (ko) * 2016-03-17 2017-09-27 노바다크 테크놀러지즈 인코포레이티드 오염 방지부를 구비한 내강내 삽입기
JP2020188861A (ja) * 2019-05-20 2020-11-26 東洋キャップ製造株式会社 ストロ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5073A (zh) * 2022-07-12 2022-10-18 浙江海正生物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乳酸吸管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050B1 (ko)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압출장치
KR102480806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착색 시스템들 및 관련된 방법들
AU20192007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bulked continuous filament
JP6533744B2 (ja) 細断されたプラスチックから不純物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50003714A (ko) 벌크형 연속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572470B (zh) A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plastic materials
AU20153500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bulked continuous filament
KR102330048B1 (ko) 생분해성 빨대 제조용 냉각장치
JP2013527051A (ja) プラスチック材料の処理装置
CN1938138B (zh) Pet瓶回收利用
JP2019524507A (ja) プラスチック粒状体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527800B1 (ko) 중합체 편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
CN110370644B (zh) 一种3d打印机喷头的快速清洗装置
KR100648910B1 (ko) 크러셔가 부설된 합성수지원료의 분리장치
KR20220030750A (ko) 코일매트의 제조장치
US5855219A (en) Bottle washing apparatus
JP5877912B2 (ja) マルチブラシ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4926145U (zh) 一种用于破碎塑料米原料的清洗装置
US20170001130A1 (en) Filter structure
KR101857153B1 (ko) 착즙용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는 하우징
KR20210032974A (ko)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의 벌크 연속 카펫 필라멘트의 제조
US6322012B1 (en) Cutting shaft with cutting tools for a shredding/crushing machine
KR20130011135A (ko)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CN204638626U (zh) 废塑料再生利用中双笼型反向脱胶搓揉清洗系统
JPH0664020A (ja) 樹脂材料をシート状に成形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