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259B1 - 양방향 슬리퍼 - Google Patents

양방향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259B1
KR102329259B1 KR1020200156409A KR20200156409A KR102329259B1 KR 102329259 B1 KR102329259 B1 KR 102329259B1 KR 1020200156409 A KR1020200156409 A KR 1020200156409A KR 20200156409 A KR20200156409 A KR 20200156409A KR 102329259 B1 KR102329259 B1 KR 10232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straps
outsole
strap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아틸리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틸리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틸리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바닥창(10); 상기 바닥창(1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되, 양단부가 각각 바닥창(10)에 설치된 스트랩(20); 상기 각각의 스트랩(2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공(31)을 갖추고서, 스트랩(20) 사이로 인입되는 발에 의해 스트랩(20)을 따라 이동되어 스트랩(20) 사이 간격이 가변되도록 하면서 발등과 밀착되며, 가이드공(31) 사이의 간격이 스트랩(20) 사이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슬라이드블록(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에서든지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고, 바닥창의 하면에 청소솔을 형성해 줌으로서 화장실 바닥을 손쉽게 문질러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슬리퍼{A slipper wearing from both diretion}
본 발명은 양방향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에서든지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고, 부가된 청소솔을 이용하여 바닥에 오염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양방향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슬리퍼는 바닥창에 발등이 걸려지는 갑피밴드를 고정위치로 한정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착용방향이 일방향으로 한정이 되어있다.
예를 들면, 실내에 들어갈 때 벗어놓은 슬리퍼를 실내로부터 나올 때는 손으로 돌려 놓아주거나 아니면 돌아선 자세에서 착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종래의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슬리퍼의 중간이 유동되는 상태의 갑피밴드를 축설하는 경우와 슬리퍼 밑창에 좌우 2개의 갑피밴드를 부착하여 교대로 행거할 수 있게 한 양방향 슬리퍼가 공지된 바 있다.
상기 전자의 선행 기술은 행거밴드가 발등에 충분히 걸리지 않아 착용상태가 불안정하고, 후자의 선행기술은 하나의 슬리퍼에 2개의 행거밴드가 부착되어 외관이 좋지 않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한쪽 행거밴드는 사용시 발바닥에 밟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물감이 있어 부자연스러운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9528호(2001.07.03)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602호(2017.06.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에서든지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고, 부가된 청소솔을 이용하여 바닥에 오염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양방향 슬리퍼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블록이 탄성부재에 의해 스트랩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킨 양방향 슬리퍼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발등 및 발가락이 모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된 양방향 슬리퍼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바닥을 지지하는 바닥창;
상기 바닥창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되, 양단부가 각각 바닥창에 설치된 스트랩;
상기 각각의 스트랩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공을 갖추고서, 스트랩 사이로 인입되는 발에 의해 스트랩을 따라 이동되어 스트랩 사이 간격이 가변되도록 하면서 발등과 밀착되며, 가이드공 사이의 간격이 스트랩 사이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창의 상면은 물이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가장자리에서 가운데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바닥창의 상면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배수홈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창의 하면에는 미끄럼방지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미끄럼방지구를 기준으로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청소솔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발등에 얹혀지는 마찰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랩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슬라이드블록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슬라이드블록에 내설되어 슬라이드블록에 관통되게 끼워지면서 양단부가 각각 스트랩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랩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슬라이드블록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슬라이드블록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일단이 바닥창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드블록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창에 매설되며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관체, 관체의 양단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창의 상면으로 돌출되되, 둘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면 유체에 의해 밀려 나머지 하나는 바닥창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로드로 구성된 토우바승강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발가락을 걸 수 있도록 된 토우바로 이루어진 발가락거치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에서든지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고, 바닥창의 하면에 청소솔을 형성해 줌으로서 화장실 바닥을 손쉽게 문질러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 후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벗는 과정에 슬라이드블록이 탄성부재에 의해 스트랩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에서든지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이 바닥창과 스트랩 사이로 인입되어 슬라이드블록에 의해 지지되면서 발가락지지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발가락이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안정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걷는 과정에 양방향 슬리퍼가 벗겨지는 문제 역시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각기 다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각기 다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는 바닥창(10)과 한 쌍의 스트랩(20) 및 슬라이드블록(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에서든지 발을 스트랩(20) 사이로 끼워서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바닥창(10)은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를 이용해 땅콩모양으로 제작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창(10)의 상면은 가장자리에서 가운데로 갈수록 완만하게 상향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물이 유입될 경우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여 배수효과를 향상시켜 주면서 발바닥의 아치 부분을 안정감 있게 받쳐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상기 바닥창(10)의 상면 전측부와 후측부에는 바닥창(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배수홈(1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배수홈(11)을 통해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배수됨에 따라 바닥창(10)이 신속하게 자연건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바닥창(10)의 하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구(12)가 일체로 형성되고, 미끄럼방지구(12)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전측부와 후측부에는 화장실의 바닥을 문질러 청소할 수 있는 청소솔(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바닥창(10)의 하면에 청소솔(13)을 형성해 줌으로서 화장실 바닥을 손쉽게 문질러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스트랩(20)은 바닥창(10)의 상면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블록(30)을 안내하면서 사용자의 신고 이동할 수 있게 사용자의 발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랩(20)은 바닥창(10)의 상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되,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스트랩(20)의 양단부는 각각 바닥창(10)에 설치 고정된다.
이러한 스트랩(20)은 고무,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와 같은 다소 하드한 재질을 이용해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트랩(20)은 양단부가 바닥창(10)에 이동가능하게 관통되게 끼워지고, 스트랩(20)의 양단에는 단턱부를 마련하여 바닥창(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스트랩(2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스트랩(20) 사이로 인입되는 사용자의 발에 의해 스트랩(20)을 따라 이동되어 스트랩(20) 사이 간격이 가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등에 밀착될 수 있게 호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은 착용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고무, 실리콘과 같은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와 같은 다소 하드한 재질을 이용해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블록(30)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가이드공(3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31)은 한 쌍의 스트랩(20)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은 스트랩(20)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 스트랩(20) 사이 간격이 가변(일측 스트랩의 사이 간격은 줄어들고, 타측 스트랩 사이 간격은 확장됨)될 수 있도록 가이드공(31) 사이의 간격이 스트랩(20) 사이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이 스트랩(20)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게 가이드공(31)은 장공으로 제작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를 신기 위하여 사용자가 발을 스트랩(20) 사이로 밀어 넣게 되면, 스트랩(20) 사이로 인입되는 발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은 스트랩(2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 스트랩(20)은 슬라이드블록(30)에 의해 스트랩(20) 사이 간격이 가변되며, 슬라이드블록(30)의 하면은 사용자의 발등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착용한 상태에서 화장실의 바닥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바닥창(10)의 하면에 형성된 청소솔(13)로 오염된 부분을 문지르게 되면, 오염원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벗어 두었던 양방향 슬리퍼를 다시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 벗어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발을 밀어 넣은 다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양방향 슬리퍼를 착용하면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에서든지 발을 스트랩(20) 사이로 끼워서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저면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경우 사용자가 입실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블록(30)이 이동되어 있고, 이로 인해 스트랩(20) 사이가 좁게 가변되어 있어 추후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 스트랩(20) 사이의 좁은 틈으로 발을 밀어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착용 후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벗는 과정에 슬라이드블록(30)이 스트랩(20)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좀 더 향상시켜 주었다는 점에 주목해 주기 바란다.
이를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앞선 제1실시 예와 전반적인 구조를 동일하며, 다만 슬라이드블록(30)의 하면, 즉 사용자의 발등에 밀착되는 면에 마찰부재(32)를 더 보강 구비하였다는 점만 상이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마찰부재(32)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 부재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2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를 착용하게 되면, 슬라이드블록(30)에 형성된 마찰부재(32)가 사용자의 발등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벗게 되면, 벗는 방향으로 마찰부재(32)를 매개로 사용자의 발등에 밀착된 슬라이드블록(30)이 스트랩(20)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다시 착용하고자 할 경우 스트랩(20) 사이 간격이 제1실시 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져 있기 때문에 스트랩(20)의 좁은 사이 공간으로 발을 밀어넣어야 했던 제1실시 예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좀 더 쉽게 양방향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을 좀 더 개선시켜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평면도이다.
한편, 마찰부재(32)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블록(30)을 이동시키는 제2실시 예의 방법은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어 원활하게 작동을 기대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는 탄성부재(40)를 더 보강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 크기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 주목해 주기 바란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40)는 고무줄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갖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스트랩(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슬라이드블록(3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40)는 슬라이드블록(30)에 내설되어 슬라이드블록(30)에 관통되게 끼워지고, 양단부가 스트랩(20)의 중간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입되는 사용자의 발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은 스트랩(2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탄성부재(40)는 양단이 스트랩(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드블록(30)에 의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는 초기상태로 복원되는 힘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을 잡아당기게 되면서 슬라이드블록(30)은 사용자의 발등에 강하게 밀착하게 되므로 착화감을 좀 더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벗게 되면, 탄성부재(40)에 작용하고 있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은 스트랩(20)을 따라 이동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다시 착용하고자 할 경우 스트랩(20)의 좁은 사이 공간으로 발을 밀어넣어야 했던 제1실시 예의 문제와 원활한 작동을 기대할 수 없었던 제2실시 예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좀 더 쉽게 양방향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을 좀 더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사시도이다.
한편, 마찰부재(32)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블록(30)을 이동시키는 제2실시 예의 방법은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어 원활하게 작동을 기대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는 탄성부재(40')를 더 보강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 크기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 주목해 주기 바란다.
상기 탄성부재(40')는 고무줄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갖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스트랩(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슬라이드블록(3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40')는 슬라이드블록(3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일단은 바닥창(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라이드블록(30)에 고정된다.
일 예로, 인입되는 사용자의 발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은 스트랩(2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탄성부재(40')는 이동되는 슬라이드블록(30)에 의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는 초기상태로 복원되는 힘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을 잡아당기게 되면서 슬라이드블록(30)은 사용자의 발등에 강하게 밀착하게 되므로 착화감을 좀 더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벗게 되면, 탄성부재(40')에 작용하고 있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은 스트랩(20)을 따라 이동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다시 착용하고자 할 경우 스트랩(20)의 좁은 사이 공간으로 발을 밀어넣어야 했던 제1실시 예의 문제와 원활한 작동을 기대할 수 없었던 제2실시 예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좀 더 쉽게 양방향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을 좀 더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3실시 예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슬리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 예의 경우 사용자의 발이 바닥창(10)과 스트랩(20) 사이로 인입되어 슬라이드블록(3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걷는 과정에 벗겨질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서는 인입되는 사용자의 발가락에 끼워져 양방향 슬리퍼가 사용자의 발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가락거치부재(50)를 더 보강 구비해 줌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였다는 점을 주목해 주기 바란다.
상기 발가락거치부재(50)는 토우바승강기구(51)와 토우바(5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인입되는 사용자의 발가락이 끼워질 수 있게 바닥창(10)에 설치된다.
상기 토우바승강기구(51)는 일종에 유압실린더로, 관체(51a)와 로드(51b)로 구성된다.
상기 관체(51a)는 바닥창(10)의 길이방향으로 매설되고, 관체(51a)의 양단부는 바닥창(10)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전체적으로‘ㅂ’자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관체(51a)의 내부에는 유동가능한 유체(Lq)가 저장된다.
상기 관체(51a)의 절곡된 양단부에는 로드(51b)가 각각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닥창(10)의 상면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로드(51b)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된 로드(51b)는 관체(51a)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유체(Lq)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유체(Lq)는 유동되어 다른 로드(51b)를 밀게 되며, 유체(Lq)에 의해 밀린 로드(51b)는 바닥창(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토우바(52,52')는 대략‘숫자 3’또는‘갈매기’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로드(51b)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가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방향 슬리퍼를 착용하기 위해 발을 스트랩(20) 사이로 인입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토우바(52')를 가압하게 되면, 해당 토우바(52')가 설치된 로드(51b)는 가압되어 관체(51a)의 내부로 인입되고, 로드(51b)가 인입되는 과정에 유체(Lq)를 가압하게 되며, 가압된 유체(Lq)는 유동되어 반대편에 배치된 로드(51b)를 밀게 된다.
상기 유체(Lq)에 의해 밀린 로드(51b)는 바닥창(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되는 과정에 로드(51b)의 상단에 설치된 토우바(52) 역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바닥창(10)과 토우바(52) 사이에는 발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바닥창(10)과 토우바(52) 사이에 발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면, 사용자는 발가락을 토우바(52)로 밀어 넣어 준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발이 바닥창(10)과 스트랩(20) 사이로 인입되어 슬라이드블록(30)에 의해 지지되면서 발가락지지부재(50)에 의해 사용자의 발가락이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안정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걷는 과정에 양방향 슬리퍼가 벗겨지는 문제 역시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바닥창 11: 배수홈 12: 미끄럼방지구
13: 청소솔 20: 스트랩 30: 슬라이드블록
31: 가이드공 32: 마찰부재 40,40': 탄성부재
50: 발가락거치부재 51: 토우바승강기구 51a: 관체
51b: 로드 52,52': 토우바 Lq: 유체

Claims (6)

  1. 발바닥을 지지하는 바닥창;
    상기 바닥창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되, 양단부가 각각 바닥창에 설치된 스트랩;
    상기 각각의 스트랩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공을 갖추고서, 스트랩 사이로 인입되는 발에 의해 스트랩을 따라 이동되어 스트랩 사이 간격이 가변되도록 하면서 발등과 밀착되며, 가이드공 사이의 간격이 스트랩 사이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창의 상면은 물이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가장자리에서 가운데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바닥창의 상면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배수홈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창의 하면에는 미끄럼방지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미끄럼방지구를 기준으로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청소솔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슬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발등에 얹혀지는 마찰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슬리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슬라이드블록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슬라이드블록에 내설되어 슬라이드블록에 관통되게 끼워지면서 양단부가 각각 스트랩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슬리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슬라이드블록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슬라이드블록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일단이 바닥창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드블록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슬리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에 매설되며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관체, 관체의 양단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창의 상면으로 돌출되되, 둘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면 유체에 의해 밀려 나머지 하나는 바닥창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로드로 구성된 토우바승강기구와,
    상기 로드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발가락을 걸 수 있도록 된 토우바로 이루어진 발가락거치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슬리퍼.
  6. 삭제
KR1020200156409A 2020-11-20 2020-11-20 양방향 슬리퍼 KR10232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09A KR102329259B1 (ko) 2020-11-20 2020-11-20 양방향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09A KR102329259B1 (ko) 2020-11-20 2020-11-20 양방향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259B1 true KR102329259B1 (ko) 2021-11-19

Family

ID=7871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409A KR102329259B1 (ko) 2020-11-20 2020-11-20 양방향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2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496U (ko) * 1999-02-02 2000-09-25 소명정 양 방향 슬리퍼
KR200278188Y1 (ko) * 2002-03-13 2002-06-20 정재구 욕실용 슬리퍼
KR101742602B1 (ko) 2015-12-28 2017-06-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착용 가능한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496U (ko) * 1999-02-02 2000-09-25 소명정 양 방향 슬리퍼
KR200229528Y1 (ko) 1999-02-02 2001-07-03 소명정 양 방향 슬리퍼
KR200278188Y1 (ko) * 2002-03-13 2002-06-20 정재구 욕실용 슬리퍼
KR101742602B1 (ko) 2015-12-28 2017-06-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착용 가능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10868A1 (en) Footwear having cushioning device
US20070022527A1 (en) Foot scrubbing and massaging assembly
EP0992199B1 (en) Shoe construction providing spring action
KR102329259B1 (ko) 양방향 슬리퍼
KR200433240Y1 (ko) 욕실용 슬리퍼
US20040118015A1 (en) Slipper having good draining functions and thousands of flexible variable length bristles spaced in a special pattern providing comfortable enhanced support and special massaging effect on the foot sole
KR100825433B1 (ko)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KR102377547B1 (ko) 세족 슬리퍼
KR200470439Y1 (ko) 세족용 슬리퍼
KR101688411B1 (ko) 욕실용 슬리퍼
KR101872638B1 (ko) 욕실용 슬리퍼
KR101912161B1 (ko) 발 세척기
CN214854657U (zh) 一种具有搓洗功能的拖鞋
KR200457446Y1 (ko) 발등밴드 없는 양방향 슬리퍼
CN113349512A (zh) 一种脚底部滋水冲刷型浴室用拖鞋
CN219373938U (zh) 一种速干防臭拖鞋
KR20170090287A (ko) 욕실용 슬리퍼
CN209528018U (zh) 一种鞋底以及防滑鞋
JPH08164002A (ja) 健康履物
CN215531991U (zh) 一种不易磨脚的皮鞋
CN214630332U (zh) 一种便于拆分和组装的针织棉鞋
JP3092638U (ja) 足洗いマット
JP3062345U (ja) スリッパ
JP5686973B2 (ja) サンダル
CN110338505B (zh) 一种改进型防滑运动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