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243B1 - 다기능 cctv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다기능 cctv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243B1
KR102329243B1 KR1020200108895A KR20200108895A KR102329243B1 KR 102329243 B1 KR102329243 B1 KR 102329243B1 KR 1020200108895 A KR1020200108895 A KR 1020200108895A KR 20200108895 A KR20200108895 A KR 20200108895A KR 102329243 B1 KR102329243 B1 KR 102329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ear
horizontal
screw thread
cc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한
Original Assignee
(주)제이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한테크 filed Critical (주)제이한테크
Priority to KR1020200108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04N5/22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을 위해 주변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기 위한 CCTV를 지반으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CCTV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CCTV;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발광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안내판; 상기 지주대에 설치되어 소리를 출력하여 정보를 절단하는 스피커; 및 "ㄴ" 형태로 상기 지주대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평면 상측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평면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CCTV, 안내판 또는 스피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함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CCTV설치 구조{MULTIFUNCTIONAL CCTV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다기능 CCTV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범을 위해 주변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기 위한 CCTV를 지반으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CCTV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대도시의 치안유지와 강도, 강간, 살인사건 등 각종 강력범죄에 대한 예방과 범인 검거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의 도로 주변과 유흥가, 주택가 및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폐쇄회로TV를 설치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CCTV가 없었다면 영구미제 사건으로 방치될 수 있었던 범죄사건들이 CCTV에 촬영된 영상자료에 의해 범인이 검거되고 해결됨으로써, CCTV는 이제 도시에서의 범죄 발생을 억제하고 시민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최근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기업체, 주민단체 또는 개인들과 같은 민간 주도로 도로주변, 주택가, 유흥가, 학교, 아파트, 공원, 주차장 등 거의 모든 장소에 CCTV가 활발하게 설치되고 있는데, CCTV의 설치방법은 설치장소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즉, CCTV가 건물의 내부나 외벽 혹은 옥상 위에 설치될 경우에는 건물의 적당한 위치에 브라켓을 고정하고 CCTV를 설치하면 되지만, 건물이 아닌 야외에 설치할 경우에는 지면에 직접 지주를 설치하고 그 지주의 상단부에 CCTV를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CCTV 설치 구조의 경우에는 차량의 이동이 많은 도로변에 주로 설치되는 설치상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CCTV 또는 음성/화면 출력 장치 등의 전자 장치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겨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되거나,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CCTV의 안정적인 촬영을 방해하여 깨끗한 영상을 촬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087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0824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바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와 지주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을 이용하여 CCTV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시키고, 각종 제어 장비가 설치되는 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탄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감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CCTV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단순히 탄성력을 이용하여 물체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이나 충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간격 지지부를 이에 따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CCTV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 설치 구조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CCTV;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발광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안내판; 상기 지주대에 설치되어 소리를 출력하여 정보를 절단하는 스피커; 및 "ㄴ" 형태로 상기 지주대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평면 상측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평면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CCTV, 안내판 또는 스피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함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 설치 구조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주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과 바닥면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지주대로부터 전달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주대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대는, 상기 지지 원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나사산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제동부는,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렉 기어; 및 상기 수평 렉 기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본체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회전홈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제동부는, 상기 지지 바디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는 수직 바아; 상기 수직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으로 전달하는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안착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와 지주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을 이용하여 CCTV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시키고, 각종 제어 장비가 설치되는 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탄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감쇄시킴으로써,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CCTV 또는 음성/화면 출력 장치 등의 전자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CTV가 설치되어 있는 거치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최소화시켜 CCTV에 의한 깨끗한 영상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설치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설치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설치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설치 구조(10)는, 지주대(100), 거치 프레임(200), CCTV(300), 함체(600), 안내판(700) 및 스피커(800)를 포함한다.
지주대(10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측에 거치 프레임(200)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스피커(800) 및 함체(600) 등이 설치된다.
거치 프레임(200)은, 지주대(10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하측에 CCTV(300) 및 안내판(700)이 설치된다.
CCTV(300)는, 거치 프레임(20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함체(6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제어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한 영상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안내판(700)은, 거치 프레임(20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LED 또는 기타 발광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CCTV의 촬영에 따른 통지 등)를 주변을 걷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 등에게 전달한다.
스피커(800)는, 지주대(100)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여 정보(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CCTV의 촬영에 대한 통지 등)를 주변을 걷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 등에게 전달한다.
함체(600)는, "ㄴ" 형태로 지주대(100)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610), 거치 플레이트(610)의 평면 상측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평면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640)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 지지대(620), 및 받침 플레이트(640)의 상측에 안착되며 CCTV(300), 안내판(700) 또는 스피커(8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즉, 제어부)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630)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장치는, 관리자와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CCTV(3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거나, CCTV(300), 안내판(700) 또는 스피커(800)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설치 구조(10)는, 바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00)와 지주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200)을 이용하여 CCTV(30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시키고, 각종 제어 장비가 설치되는 함체(6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탄성 지지대(620)를 이용하여 감쇄시킴으로써,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CCTV 또는 음성/화면 출력 장치 등의 전자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 ㄹ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설치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설치 구조(20)는, 지주대(100), 거치 프레임(200), CCTV(300), 완충 지지대(400), 함체(600), 안내판(700) 및 스피커(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주대(100), 거치 프레임(200), CCTV(300), 함체(600), 안내판(700) 및 스피커(800)는, 도 1의 구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완충 지지대(40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주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900)과 바닥면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지지 원판(900)를 지지하며, 지주대(100)로부터 전달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지주대(1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CCTV설치 구조(20)는, 지주대(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900)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 지지대(400)를 이용하여 지주대(100)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CCTV(300)가 설치되어 있는 거치 프레임(2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최소화시켜 CCTV(300)에 의한 깨끗한 영상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충 지지대(400)는, 받침대(410), 승하강 슬라이더(420), 지지 바디(430), 지지 기어(440), 기어 지지 스프링(450), 수평 제동부(460) 및 수직 제동부(470)를 포함한다.
받침대(410)는, 지지 원판(90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에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410)는, 원판 또는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11), 지지 플레이트(41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412) 및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홈(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 바아(412)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바아(413)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슬라이더(4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대(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S1)을 형성하여 지지 바디(430)의 안착홈(431)에 안착되며, 지지 원판(900)을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안착홈(431)에서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나사산(S1)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R)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바디(430)는, 바닥면에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431)이 상부에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S2)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 기어(440)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홈(431)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즉,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하기까지의 깊이에 대응하는 거리) 하강할 경우 승하강 슬라이더(420)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된다.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안착홈(431)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기어(44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회전 안착대(452) 및 회전 안착대(452)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안착대(452)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451)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제동부(460)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 기어(440)의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지지 기어(440)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제동부(460)는, 수평 렉 기어(461) 및 수평 스프링(46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렉 기어(461)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수평 스프링(462)은, 수평 렉 기어(4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수직 제동부(470)는, 지지 바디(430)에 설치되며, 제2 나사산(S2)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제1 나사산(S1)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제2 나사산(S2)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제동부(470)는, 수직 바아(471), 유체 탱크(472) 및 공급 라인(473)을 포함한다.
수직 바아(471)는, 지지 바디(430)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여 유체 탱크(472)를 압축시켜 준다.
유체 탱크(472)는, 수직 바아(471)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직 바아(471)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 라인(473)를 통해 제2 나사산(S2)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공급 라인(473)은, 유체 탱크(472)로부터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개별적인 공급 파이프들로 이루어지며, 유체 탱크(472)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지지대(400)는, 지주대(100)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CCTV(300)가 설치되어 있는 거치 프레임(2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최소화시켜 CCTV(300)에 의한 깨끗한 영상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기어(440)는, 플런저(441), 하부 나사산(442) 및 기어 본체(443)를 포함한다.
플런저(44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홈(4431)에사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 나사산(442)은,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44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 나사산(443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기어 본체(443)는, 수평 제동부(46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되며, 플런저(441)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플런저(441)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4431)이 형성되며, 하부 나사산(442)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4432)이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본체(443)는,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즉, 플런저(441)는 처음 안착시에는 회전홈(4431)의 상측에 일부만이 삽입되어 안착되어 플런저(441)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기어 본체(443)는 회전하지 못하며, 플런저(441)이 회전하면서 회전홈(4431)의 바닥면에 안착되어서야 회전력에 의해 기어 본체(443)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480a, 480b)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된다.
도 5의 경우에는 두 개의 기어 블록(480a, 480b)만을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됨에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어 블록(480)은, 나사산 하부(481), 나사산 상부(482), 팽창 파우치(483) 및 후단 지지대(484)를 포함한다.
나사산 하부(481)는,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한다.
나사산 상부(482)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팽창 파우치(483)가 팽창함에 따라 승강되어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팽창 파우치(483)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4811)에 안착되며, 수직 제동부(47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나사산 상부(482)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후단 지지대(484)는, 안착홈(43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나사산 상부(482)의 후단을 지지한다.
도 7은 도 1의 탄성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500)는, 상부 지지대(510), 하부 지지대(520), 제1 중간 지지대(530), 제2 중간 지지대(540), "V" 형 지지대(550), 제1 수평 지지대(560), 제2 수평 지지대(570) 및 간격 지지 탄성체(58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510)는, 받침 플레이트(640)의 하측에 안착되어 받침 플레이트(640)를 지지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받침 플레이트(6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로 전달한다.
하부 지지대(520)는, 거치 플레이트(610)의 상측에 안착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중간 지지대(53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532)으로 이루어진다.
제2 중간 지지대(54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상부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542)으로 이루어진다.
"V" 형 지지대(550)는,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부 지지대(510)가 하강하여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즉, 상부 지지대(510)가 받침 플레이트(6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해당 간격을 지지하고 있는 "V" 형 지지대(550)가 받침 플레이트(6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1 수평 지지대(560)는,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부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2 수평 지지대(570)는, 제1 직립 프레임(532)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 지지 탄성체(580)는, 제1 수평 지지대(560)의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일측 사이, 및 제1 수평 지지대(560)의 다른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560)와 제2 수평 지지대(57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500)는, 각종 제어 장비가 설치되는 함체(6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킴으로써,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CCTV 또는 음성/화면 출력 장치 등의 전자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제1 지지바아(551), 제2 지지바아(552), 하부 연결 기어(553) 및 중간 탄성체(55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바아(551)는,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제1 직립 프레임(53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V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2 지지바아(552)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바아(552)는, 하부가 제1 지지바아(551)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 또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연결 기어(553)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52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하부 렉기어(521)를 따라 이동한다.
중간 탄성체(554)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상부 연결 기어(555) 및 추가 중간 탄성체(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 기어(555)는, 제2 지지바아(552)의 상부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수평 지지대(560)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56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부 렉기어를(561) 따라 이동한다.
추가 중간 탄성체(556)는,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다기능 CCTV 설치 구조
100: 지주대
200: 거치 프레임
300: CCTV
400: 완충 지지대
500: 탄성 지지대
600: 함체
700: 안내판
800: 스피커

Claims (8)

  1.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CCTV;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발광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안내판;
    상기 지주대에 설치되어 소리를 출력하여 정보를 절단하는 스피커;
    "ㄴ" 형태로 상기 지주대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평면 상측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평면 형태의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CCTV, 안내판 또는 스피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함체;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주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과 바닥면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지주대로부터 전달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지주대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지지대는,
    상기 지지 원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산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 제동부는,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렉 기어; 및 상기 수평 렉 기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스프링;을 포하며,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본체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회전홈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하며,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제동부는,
    상기 지지 바디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는 수직 바아;
    상기 수직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으로 전달하는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다기능 CCTV 설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안착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다기능 CCTV 설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하는, 다기능 CCTV 설치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CCTV 설치 구조.
KR1020200108895A 2020-08-27 2020-08-27 다기능 cctv설치 구조 KR102329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95A KR102329243B1 (ko) 2020-08-27 2020-08-27 다기능 cctv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95A KR102329243B1 (ko) 2020-08-27 2020-08-27 다기능 cctv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243B1 true KR102329243B1 (ko) 2021-11-22

Family

ID=7871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895A KR102329243B1 (ko) 2020-08-27 2020-08-27 다기능 cctv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2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245B1 (ko) 2014-09-05 2015-04-07 다산정보통신주식회사 추가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복수 개의 적외선 카메라들을 내장한 방범용 다방향 cctv 카메라 장치
KR101830875B1 (ko) 2017-03-31 2018-02-21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Cctv 카메라를 위한 제어함체의 결합구조
KR101844760B1 (ko) * 2017-02-21 2018-05-18 주식회사 데일리블록체인 사용 및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시스템
KR20180058013A (ko) * 2016-11-23 2018-05-31 권순철 긴급상황 알림용 방범 안내판
KR101971035B1 (ko) * 2018-11-02 2019-04-22 주식회사 동일이엔지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245B1 (ko) 2014-09-05 2015-04-07 다산정보통신주식회사 추가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복수 개의 적외선 카메라들을 내장한 방범용 다방향 cctv 카메라 장치
KR20180058013A (ko) * 2016-11-23 2018-05-31 권순철 긴급상황 알림용 방범 안내판
KR101844760B1 (ko) * 2017-02-21 2018-05-18 주식회사 데일리블록체인 사용 및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씨씨티브이 시스템
KR101830875B1 (ko) 2017-03-31 2018-02-21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Cctv 카메라를 위한 제어함체의 결합구조
KR101971035B1 (ko) * 2018-11-02 2019-04-22 주식회사 동일이엔지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9245B2 (en) Vehicle projection systems and method
JP6165050B2 (ja) 移動式監視カメラ装置
RU2659956C1 (ru) Мобильная система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KR102163130B1 (ko) Cctv 설치 구조
WO2016207437A1 (en) Charging system
KR101009456B1 (ko) Cctv가 장착된 무인 비행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29243B1 (ko) 다기능 cctv설치 구조
EP3198574A1 (en) Security camera having a body orientation sensor and method of use
ES2564393B1 (es) Estabilizador de mano telescópico para cámara de video/foto
JP2011063337A (ja) エレベーター扉を利用した広告宣伝装置
KR20200114831A (ko)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
KR20220166148A (ko)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하는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KR101848363B1 (ko) 감시카메라 장치
KR101655259B1 (ko) 블랙박스가 구비된 가로등
KR101139768B1 (ko) 시시티브이 지지대
KR102144425B1 (ko) 지진 대비용 cctv 카메라 장치
US10327081B2 (en) Announcement system with speakers attached
KR102506350B1 (ko) Cctv 설치 구조
KR20240012152A (ko) Cctv 설치 구조
KR200484267Y1 (ko) 통합형 보안장치
KR100709783B1 (ko)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KR100964250B1 (ko) 방범용 양방향 감시 시스템
KR10249498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cctv
KR200397727Y1 (ko) 감시카메라가 구성된 현수막 설치대
KR102537619B1 (ko) 자동차 주행 촬영을 위한 전자식 제어 카메라 리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